KR101318947B1 - 경량 단열 욕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경량 단열 욕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947B1
KR101318947B1 KR1020110025148A KR20110025148A KR101318947B1 KR 101318947 B1 KR101318947 B1 KR 101318947B1 KR 1020110025148 A KR1020110025148 A KR 1020110025148A KR 20110025148 A KR20110025148 A KR 20110025148A KR 101318947 B1 KR101318947 B1 KR 101318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am
hard
modified epoxy
bath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574A (ko
Inventor
김정근
이종관
Original Assignee
이종관
김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관, 김정근 filed Critical 이종관
Priority to KR1020110025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947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29Enhancing adhesion to the preformed part using an int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9Sanitary equipment
    • B29L2031/7692B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경량 단열 욕조의 제조 방법은 욕조 내부형상에 대응하는 욕조 성형면과 욕조 성형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내부 금형의 외면에 이형제층을 형성한 후 이형제층의 위에 겔 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겔 코트층의 위에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의 위에 경질 무발포도막층-경질 발포폼층-경질 무발포도막층으로 구성된 3중층의 경질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 폼(Intergral Skin Foam, ISF)층을 일회의 공정으로 형성한다.
이를 통하여 겔 코트를 표면 코팅층으로 형성하고 빈 공간에 폴리우레탄 폼층을 형성하여 경량이면서 단열 효과와 내스크래치성 및 내수성, 내충격성이 뛰어나고 수선성도 우수한 경량 단열 욕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경량 단열 욕조 및 그 제조 방법{Light Heat-Insulating BathTub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욕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겔 코트를 표면 코팅층으로 하며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시켜 경량이면서 내스크래치성과 보온성이 뛰어난 경량 단열 욕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고정식 욕조에는 인조 대리석 욕조와 아크릴 욕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인조 대리석 욕조는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UP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와 탄산칼슘(CaCO3)을 약 1: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작하고 있으며, 성형 제품의 표면을 보호하고 미관을 미려하게 유지하여 상품 가치를 고급화 시킬 뿐 아니라 광택 수명과 성능 내구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겔 코트(Gel Coat) 코팅을 하지만 충격에 취약하기 때문에 두꺼운 합성수지층(UP 수지층과 탄산칼슘을 혼합시켜 형성된 층)을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두꺼운 합성수지의 두께는 제품의 무게와 제작 비용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인조 대리석 욕조는 두꺼운 합성수지의 두께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충격에 취약하며 무거운 제품의 무게로 인해 욕조의 설치가 어렵다.
또한, 아크릴 욕조는 아크릴 시트를 진공 성형한 뒤 배면에 FRP를 적층 보강하여 욕조 형태를 유지시켜 가볍지만 뒤틀림 현상이 있고 표면층 하자 보수가 힘들고 절단시 유리섬유 가루가 발생하여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이 있다.
이러한 두 종류의 욕조는 단열성이 좋지 않아 수온 유지에 취약하며 욕조의 사용 중 급격한 수온 변화로 목욕 도중 더운물을 보충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수온 변화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UP 수지, 우레탄 수지, 왕겨를 이용한 고정식 욕조가 있다.
이러한 욕조는 단열 성능이 우수하여 수온 변화가 적으며 제품의 무게가 줄어들어 설치가 편리하고 제작 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욕조는 일반적인 우레탄 폼의 사용으로 인해 표면 기포가 발생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발생된 기포는 욕조 사용시 사용되는 고온의 수온에 팽창되어 표면이 파손되고 충격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우레탄 폼으로 제조된 욕조는 겔 코트를 표면층으로 갖는 욕조에 비해 내스크래치성이 떨어져 제품의 원형 보전에 어려운 측면이 있으며 발생된 스크래치에 대한 수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표면의 내스크래치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충격 강도를 가지면서 내열성이 높고 보온성이 탁월하며 중량이 가벼운 욕조의 필요성이 있다.
욕조를 제조하는데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코팅제 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현재까지 상업적으로 겔 코트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다.
또한, 경량 및 보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폴리우레탄 폼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술을 활용한 욕조를 제품화하기 위해서는 겔 코트를 금형에 스프레이 작업을 하여 표면 코팅층을 형성하고 빈 공간에 우레탄 원액을 주입하게 되면 고상의 폼이 형성되어 가볍고 내스크래치성이 좋으며 보온성이 뛰어난 욕조가 형성된다.
그러나 겔 코트와 폴리우레탄 폼층의 성분이 전혀 달라 접착력이 매우 불량하고 우레탄 폼 표면층에 빈 공간(Void)가 많이 발생되어 욕조 제품을 상용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 코팅층인 겔 코트층과 폴리우레탄 폼층을 결합하여 경량이면서 보온성, 내충격성, 표면의 내스크래치성이 뛰어난 경량 단열 욕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경량 단열 욕조의 제조 방법은 욕조 내부형상에 대응하는 욕조 성형면과 상기 욕조 성형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내부 금형의 외면에 이형제층을 형성한 후 상기 이형제층의 위에 겔 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겔 코트층의 위에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의 위에 내부에 이형 처리가 된 외부 금형을 끼우고 상기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과 상기 외부 금형 사이의 이격 부분에 경질 폴리우레탄 폼 원료를 일회를 주입하여 발포 및 확산을 통해 순차 형성되는 경질 무발포도막층-경질 발포폼층-경질 무발포도막층으로 구성된 3중층의 경질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 폼(Intergral Skin Foam, ISF)층을 일회의 공정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경량 단열 욕조는 욕조 내부형상의 표면 코팅을 위한 겔 코트층; 상기 겔 코트층의 위에 변성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 및 상기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의 상에 순차 형성된 경질 무발포도막층-경질 발포폼층-경질 무발포도막층으로 구성된 3중층의 경질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 폼(Intergral Skin Foam, ISF)층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욕조의 제조를 겔 코트를 표면 코팅층으로 형성하고 빈 공간에 폴리우레탄 폼층을 형성하여 표면의 내스크래치성이 뛰어나고 우수한 충격 강도를 가지면서 가볍고 내열성이 높으며 보온성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욕조의 제조를 겔 코트를 표면 코팅층으로 형성하고 빈 공간에 폴리우레탄 폼층을 형성하여 경량이면서 단열 효과와 내수성, 내스크래치성, 내충격성이 뛰어나고 수선성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생산 공정이 단순하여 불필요한 생산 손실을 줄이고 제조원가를 낮추어 저렴한 가격의 경량 단열 욕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욕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욕조의 일측 단면의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욕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욕조의 일측 단면의 구조도이다.
제1단계는 욕조 외곽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구조체층(10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외부 구조체층(100)은 욕조의 외곽면을 이루어 욕조에 구조체 역할을 수행하므로 통상의 딱딱한 욕조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경질의 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이동식인 유아용 욕조의 경우,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ABS 수지에 경화제를 첨가한 수지를 금형으로 성형으로 탈형하는 방법과 사출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욕조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경질성의 물질을 사용하여야 하며, 사용시 낙하 충격이나 기타 외부 충격에도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는 일정 정도의 연성을 지니는 물질이 바람직하며, PS, PE, PP, ACRYL, ABS, PVC, PET 등의 범용 플라스틱이 적합하다.
외부 구조체층(100)은 두께 2~5 mm 정도 되는 시트 형태의 플라스틱을 통상의 진공 성형기를 이용하여 진공 성형하여 제조한다.
또한, 고정식인 경우,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리 섬유를 적층한 FRP를 두께 4~5 mm로 제조하거나 4~5 mm 두께의 아크릴판을 진공 성형하여 제조한다.
외부 구조체층(100)은 욕조 외곽 형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로부터 바깥으로 불필요하게 연장되는 부분을 후처리 공정을 통하여 제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외부 구조체층(100)은 후술할 경질의 무발포 도막층으로 대체할 수 있어 구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경질의 무발포 도막층의 색상이 변색되는 경우, 이를 보완하는 용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구조체층(100)을 대신하는 용도로 외부 금형(20)에 우레탄 코팅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 제2단계는 욕조 내부형상에 대응하는 욕조 성형면과 욕조 성형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내부 금형(10)의 외면에 이형제층(110)을 형성하고 이형제층(110)의 상면에 겔 코트층(40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욕조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욕조 성형면과 욕조 성형면과 가장자리로부터 외부(욕조 성형면의 좌우측)로 연장하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금형으로 통상의 욕조 산업에서 사용하는 FRP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 내부 금형(10)을 사용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금형(10)의 배면을 위로 오게 배치하고 표면에 왁스 등의 이형제를 발라 이형 처리를 하여 이형제층(110)을 형성시킨다.
제2단계는 이형제층(110)을 도포한 후, 이형제층(110)의 위에 겔 코트(Gel Coat)를 에어 스프레이기를 사용하여 200~500 ㎛의 두께로 도포한다.
겔 코트층(400)을 경화시키기 위해 온도 20~80 ℃를 가지는 후경화실에서 20~50분 가량 경화시킨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겔 코트는 층간 접착제와 화학적 결합을 할 수 있도록 겔 코트의 구성성분의 100%를 기준으로 첨가제를 0.1~10%(무게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겔 코트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Ortho Type, Iso Type),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수지(비스페놀 Type, 2염기산과 다가알코올 그리고 아크릴산 모노머를 사용하여 에스터 교환 반응시킨 Type)를 주성분으로 하고 착색 안료 및 첨가제를 포함한 도료이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겔 코트는 에폭시 접착제와 접착력이 불량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겔 코트에 사용되는 첨가제(0.1~10%(무게비))는 후술할 변성 에폭시 접착제와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우수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첨가제는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류이면 되고, 특별히 겔 코트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아크릴 모노머류, 특히 글리시드 메타 아크릴레이트, 글리스드 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첨가제는 겔 코트와 후술할 경질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폼과의 접착을 하기 위한 층간 프라이머인 변성 에폭시 접착제와 화학적인 반응을 하여 겔 코트층(400)과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300) 및 경질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폼층(200)의 접착력을 원하는 수준으로 향상시켜준다.
다음, 제3단계는 겔 코트층(400)과 후술할 경질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 폼(Intergral Skin Foam, ISF)층(200) 사이에 적용하여 겔 코트층(400)과 경질 폴리우레탄 ISF를 접착하도록 하는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30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제2단계의 겔 코트층(400)의 경화가 진행된 후, 변성 에폭시 접착제를 겔 코트층(400) 위에 에어 스프레이기를 사용하여 50~500 ㎛의 두께로 도포하며 바람직하게는 100~300 ㎛의 두께로 도포한 후, 온도 20~80 ℃를 갖는 후경화실에서 20~50분 가량 경화시킨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변성 에폭시 접착제의 주제 조성은 비스페놀 Type 에폭시 수지를 주 전색제로 착색 안료, 무기 안료, 첨가제, 희석 용제 등을 포함하고, 경화제의 조성은 폴리 아민 수지, 용제, 첨가제 등으로 이루어지며, 점도는 100~1000cps(at 25℃) 비중 0.9~1.2, 경도 1~4H(연필 경도계)를 갖는다.
구체적인 일예로서 변성 에폭시 접착제는 겔 코트와 접착시 접착력의 우수함과 동시에 욕조가 가져야할 다른 물성과 작업성 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대한 폴리텍(주)의 제품 PRC-500을 사용한다.
다음, 제4단계는 외부 구조체층(100)과 변성 에폭시 접착제 사이의 충진되는 경질 무발포 도막층과 경질 발포층을 함께 가지는 경질폼층(경질 무발포도막층(210)-경질 발포폼층(220)-경질 무발포도막층(210))(200)을 일회의 작업으로 형성하는 공정이다.
제4단계는 제3단계의 변성 에폭시 접착제의 경화 후 그 위에 이액형의 경질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폼 원료를 통상의 발포기를 사용하거나 Hand Mixing의 방법을 이용하여 주입한다.
경질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폼은 20~60℃의 온도를 가지는 후경화실에서 10~40분의 시간동안 경화시킨다. 경질 폴리우레탄 스킨폼의 두께는 5~50 mm 정도이며 경제성과 작업성을 감안하면 10~30 mm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질폼층(200)은 경질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폼(Intergral Skin Foam, ISF)층(200)이라 불리운다.
경질 폴리우레탄 ISF층(폴리우레탄 경질폼)(200)의 구성 성분의 비율은 분자량 300~1500과 하이드록실기(-OH)의 관능기가 3~8인 Polyol 60~90%, 물(화학적 발포제) 0~3%, Silicone Surfactant 0~5% 3차 아민이나 금속계 Catalyst 0~10%, 물리적 발포제(R-11, HFC-141b, Cyclopentane, HFC-365mfc, HFC-245fa 등등) 0~30% 정도로 혼합되어 있는 레진(Resin)과 Polymeric MDI로 불리어지는 4.4-Di Phenyl Methane di Isocyanate가 혼합되어 우레탄(Urethane) 결합을 갖는 우레탄 폼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인 일예로서 경질 폴리우레탄 ISF는 제품 평균밀도 300~700 kg/m3을 가지는 대한 폴리텍(주)의 제품 BH-500을 사용한다.
이러한 경질 폴리우레탄 ISF층(200)은 일반적인 경질 우레탄 폼이 갖는 표면 Void가 발생하지 않고 폴리우레탄 폼 스킨층에 깨끗한 표면을 가지는 고밀도의 도막층을 형성하여 일반적인 경질 우레탄 폼보다 내충격성도 완벽히 개선되었다.
본 발명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경량 단열 욕조는 경량이면서 고강도, 보온성을 유지하며 내충격성도 우수한 특징을 갖기 위해서 고강도의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야 한다.
폴리우레탄 폼은 저밀도보다 고밀도의 제품이 더욱 강도가 높으며, 특히 경질의 무발포폴리우레탄이 가장 강도가 우수하다.
그러나 무발포폴리우레탄은 밀도가 1000~2000 kg/m3 정도되어 고강도를 발현하기에 적합하나 경량화라는 본 발명의 특징에 반대되는 특성이 있으며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경질 폴리우레탄 ISF층(200)은 특별히 대한 폴리텍(주)의 BH-500 제품인 경질의 폴리우레탄 ISF 원료를 통상의 교반 방법, 즉 RPM 3,000~5,000 정도의 교반기를 이용하여 원료를 혼합하거나 저압 발포기 또는 고압 발포기를 이용하여 원료를 혼합한 후, 내부 금형(10)과 외부 금형(20) 사이에 주입 성형시켜 얻을 수 있다. 전술한 것 처럼 경질 폴리우레탄 ISF 원료는 일회의 작업으로 경질 무발포도막층(210)-경질 발포폼층(220)-경질 무발포도막층(210)으로 구성된 3중층의 경질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폼(220)은 중심부가 경질 발포폼층(220)이며, 발포된 폼이기에 200~600 kg/m3 정도의 상대적으로 저밀도이다.
따라서, 경량의 목적에 적합하며 폼으로 이루어져 있기에 단열 성능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양 가장자리의 경질 무발포도막층(210)은 무발포된 폴리우레탄수지로서 1000~3000 정도의 고밀도 고강도의 무발포도막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문제점인 표면 빈 공간(Void), 거친 표면(달 표면의 분화구 모양, Craters)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더불어 내충격성과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외부 구조체층(100)이 내부에 결합한 외부 금형(20)과 겔 코트와 변성 에폭시 접착제가 결합한 내부 금형(10)을 결합하고 이들이 이루는 공간에 경질의 폴리우레탄 ISF 원료를 주입하여 발포시킬 수도 있고, 외부 금형(20)과 내부 금형(10)으로부터 단체 상태의 외부 구조체층(100)과 겔 코트, 변성 에폭시 접착제가 내부에 결합한 내부 금형(10)을 결합하고 이들이 이루는 공간에 경질의 폴리우레탄 ISF 원료를 주입하여 발포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300)의 상면에 내부에 이형 처리가 된 외부 금형(20)을 끼우고 경질 폴리우레탄 ISF층(200)을 발포한 후, 외부 금형(20)을 분리하여 도 1의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포된 경질 폴리우레탄 ISF층(200)의 상면에 외부 구조체층(100)을 결합하여 욕조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발포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 구조체층(100)의 결합 전에 보충적인 발포 작업을 더하여 경질 폴리우레탄 ISF층(200)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경질 폴리우레탄 ISF층(200)은 내부 금형(10)과 외부 금형(20) 사이에 한 번의 경질 폴리우레탄 ISF 원료의 주입으로 양쪽의 표면층에만 고강도를 갖는 경질 무발포도막층(210)과 양표면층의 안쪽의 중심 부위에 상대적으로 저밀도를 갖는 경질 발포폼층(220)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질 폴리우레탄 ISF층(200)은 경량이면서 동시에 내열 성능이 우수하고 내충격성이 우수한 욕조를 제작할 수 있다.
전술한 제1단계는 제3단계의 경질폼층(200)의 발포가 이루어진 이후에 진행할 수도 있으며, 이들 각 단계의 순서에 따른 수행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단지 이들 각각의 공정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은 필수적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렇게 형성된 경질 폴리우레탄 ISF층(200)은 외부 구조체층(100)과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300) 사이의 양쪽의 표면층에 고강도의 경질 무발포도막층(210)을, 중심 부위의 상대적으로 저밀도의 경질 발포폼층(220)을 일회의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종래기술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것으로, 대한민국특허 제83205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전의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욕조는 제품의 특성상 표면층과 그 내부층이 탄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표면층에 탄성이 우수한 아크릴-우레탄 코팅층, 생고무액, 실리콘 등의 수지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재질의 수지들은 내스크래치성이 매우 열악하며, 손상에 따른 수선성이 떨어지고 목욕 중 표면층이 파괴된 경우 욕조 내부로 물이 들어감으로써 욕조의 기능을 상실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욕조는 표면 경도가 우수한 겔 코팅층과 그 하부로 경도와 강도가 우수한 에폭시층 경질의 무발포폴리우레탄 도막층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종래의 탄성을 갖는 우레탄 욕조와 달리 내스크리치성이 우수하고 수선성도 뛰어나며 고강도의 수지 특성상 제품의 내구성도 탁월히 우수한 특징으로 갖는다.
본원발명에서는 경질 무발포도막층(210)-경질 발포폼층(220)-경질 무발포도막층(210)의 형성에 소요시간이 15-20분 정도 요구되며, 1회의 공정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계면의 불량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원천적으로 봉쇄하며, 몰드의 눕힘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욕조는 겔 코트층(400)과 경질 폴리우레탄 ISF층(200)으로 인하여 단열 성능이 우수하고 경량이면서 보온성을 유지하며 내충격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경량 욕조는 내스크래치성 및 충격 강도가 우수하고 내수성이 뛰어나며 수선성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욕조는 상기 기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작될 수도 있고, 다른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도 있으며, 상기 욕조는 통상의 욕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에는 고정식, 이동식 등의 욕조가 모두 이에 해당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외부 구조체층
200: 경질 폴리우레탄 ISF층
210: 경질 무발포도막층
220: 경질 발포폼층
300: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
400: 겔 코트층

Claims (8)

  1. 욕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욕조 내부형상에 대응하는 욕조 성형면과 상기 욕조 성형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내부 금형의 외면에 이형제층을 형성한 후 상기 이형제층의 위에 겔 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겔 코트층의 위에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의 위에 내부에 이형 처리가 된 외부 금형을 끼우고 상기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과 상기 외부 금형 사이의 이격 부분에 경질 폴리우레탄 폼 원료를 일회를 주입하여 발포 및 확산을 통해 순차 형성되는 경질 무발포도막층-경질 발포폼층-경질 무발포도막층으로 구성된 3중층의 경질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 폼(Intergral Skin Foam, ISF)층을 일회의 공정으로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단열 욕조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 코트층을 형성하는 겔 코트는 구성성분 중 첨가제를 0.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단열 욕조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 폼층은 양쪽의 표면층에 고강도의 경질 무발포도막층을, 중심 부위의 상기 경질 무발포도막층보다 저밀도를 갖는 상기 경질 발포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단열 욕조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 폼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의 반대면에 욕조 외곽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구조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단열 욕조의 제조 방법.
  6. 욕조에 있어서,
    욕조 내부형상의 표면 코팅을 위한 겔 코트층;
    상기 겔 코트층의 위에 변성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 및
    상기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의 상에 순차 형성된 경질 무발포도막층-경질 발포폼층-경질 무발포도막층으로 구성된 3중층의 경질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 폼(Intergral Skin Foam, ISF)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단열 욕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 폼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의 반대면에 욕조 외곽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구조체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단열 욕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 폼층은 상기 외부 구조체층과 상기 변성 에폭시 접착제층 사이의 양쪽의 표면층에 고강도의 경질 무발포도막층을, 중심 부위의 상기 경질 무발포도막층보다 저밀도를 갖는 상기 경질 발포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단열 욕조.
KR1020110025148A 2011-03-22 2011-03-22 경량 단열 욕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8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148A KR101318947B1 (ko) 2011-03-22 2011-03-22 경량 단열 욕조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148A KR101318947B1 (ko) 2011-03-22 2011-03-22 경량 단열 욕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574A KR20120107574A (ko) 2012-10-04
KR101318947B1 true KR101318947B1 (ko) 2013-10-17

Family

ID=4727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148A KR101318947B1 (ko) 2011-03-22 2011-03-22 경량 단열 욕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9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744B1 (ko) * 2021-05-14 2022-07-06 김다솜 욕조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509B1 (ko) * 2012-10-31 2014-06-30 엔피에프(주) 레미콘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9114A (ko) * 2008-11-26 2010-06-04 김정근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
KR20100060280A (ko) * 2008-11-27 2010-06-07 김정근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
KR20100061897A (ko) * 2008-12-01 2010-06-10 김정근 탄성욕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16542A (ko) * 2009-04-22 2010-11-01 김경준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9114A (ko) * 2008-11-26 2010-06-04 김정근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
KR20100060280A (ko) * 2008-11-27 2010-06-07 김정근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
KR20100061897A (ko) * 2008-12-01 2010-06-10 김정근 탄성욕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16542A (ko) * 2009-04-22 2010-11-01 김경준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744B1 (ko) * 2021-05-14 2022-07-06 김다솜 욕조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574A (ko)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59516A1 (en) Microwave molded article and method thereof
JP5947483B2 (ja) 複合製品成形方法及び製品
EP3181620A1 (en) Microwave molded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365321B2 (en) Method of preparing bath tub with cushion and bath tub with cushion
FI83533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n foerstaerkt formad produkt och saolunda erhaollen produkt.
ITMI20091776A1 (it) Adesivo a base di poliisocianurato a due componenti e pannelli isolanti preparati con il suo impiego
CN104742467B (zh) 低熔点粘合膜
JP2002086656A (ja) 耐衝撃性サンドイッチ構造要素
WO2016134568A1 (zh) 一种自结皮抗疲劳地垫及其制备工艺
GB2264083A (en) Composite foam-filled articles
KR101318947B1 (ko) 경량 단열 욕조 및 그 제조 방법
US11548244B2 (en) Laminated parts containing a slip resistant and water resistant outer layer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KR101163614B1 (ko) 탄성욕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2703B1 (ko) 발포매트 및 그 제조방법
JP6132779B2 (ja) 木質化粧板の製造方法
KR101104414B1 (ko) 쿠션 욕조의 제조방법 및 구조체
CN210685244U (zh) 一种远红外线板材
CN216109083U (zh) 一种耐腐蚀保温挤塑板
KR20100110440A (ko) 경량 보온욕조의 제조방법 및 경량 보온욕조
KR101275703B1 (ko) 탄성을 갖는 족욕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족욕기
TW201302444A (zh) 聚胺酯複合材及其製法
JP2000238224A (ja) 化粧複合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S59178236A (ja) 複合成形体の製造法
JP2000071409A (ja) 化粧複合材及びその製造法
JPH091766A (ja) 天然石調複合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