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844B1 -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844B1
KR101043844B1 KR1020080118598A KR20080118598A KR101043844B1 KR 101043844 B1 KR101043844 B1 KR 101043844B1 KR 1020080118598 A KR1020080118598 A KR 1020080118598A KR 20080118598 A KR20080118598 A KR 20080118598A KR 101043844 B1 KR101043844 B1 KR 101043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ixing part
engine
fixed
engine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136A (ko
Inventor
김용대
Original Assignee
김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대 filed Critical 김용대
Priority to KR1020080118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8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 G01M1/16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이 형성된 오목한 엔진베드 뿐만 아니라 볼록한 엔진베드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엔진베드의 수평을 측정할 수 있는 선박용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는 제1베드장착프레임과, 텐션조립수단과, 제2베드장착프레임과, 줄고정조립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베드장착프레임은 제1베드고정부와, 스토퍼블럭과, 눈금측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베드고정부는 엔진베드의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 스토퍼블럭은 상기 제1베드고정부에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안내되어 고정된다. 상기 눈금측정부에는 눈금이 새겨져 있다. 상기 텐션조립수단은 봉과 탄성가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봉은 상기 스토퍼블럭에 관통하여 삽입되고 일단에 상기 엔진베드의 수평을 측정하기 위한 줄의 일단이 고정된다. 상기 탄성가압수단은 상기 줄에 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봉에 탄성력을 가한다. 상기 제2베드장착프레임은 제2베드고정부와, 환형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제2베드고정부는 상기 엔진베드의 타측에 고정된다. 상기 환형돌기는 상기 제2베드고정부의 일면에 결합한다. 상기 줄고정조립수단은 상기 환형돌기에 결합되며, 상기 줄의 타단이 고정된다.
엔진베드, 수평측정

Description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Engine bed level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홈이 형성된 오목한 엔진베드 뿐만 아니라 볼록한 엔진베드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엔진베드의 수평을 측정할 수 있는 선박용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에 대한 것이다.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는 선박용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베드의 수평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도 9 및 도 10은 종래의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는 제1베드장착프레임(110)과, 텐션조립수단(120)과, 제2베드장착프레임(130)과, 줄고정조립수단(140)을 포함한다.
제1베드장착프레임(110)은 볼록한 엔진베드의 일측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제1베드장착프레임(110)은 제1베드고정부(111)와, 스토퍼블럭(115)과, 기준봉(117)을 구비한다. 제1베드고정부(111)는 엔진베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제1베드고정부(111)는 밑면에 제1고정홈(112)이 형성되고, 측면에 볼트(114)가 관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볼트(114)는 제1베드고정부(111)와 나사결합을 한다. 즉 제1고정홈(112)에 엔진베드의 일측이 삽입되고 볼트(114)를 제1베드고정 부(111)에 삽입하여 엔진베드의 일측까지 전진하도록 회전시키면 제1베드고정부(111)는 엔진베드에 고정된다. 스토퍼블럭(115)은 제1베드고정부(111)와 볼트(116)로 결합한다. 즉 스토퍼블럭(115)을 제1베드고정부(111)의 상면에 위치시킨 후 볼트(116)로 스토퍼블럭(115)과 제1베드고정부(111)를 체결시킨다. 기준봉(117)은 스토퍼블럭(115)에 삽입된다.
텐션조립수단(120)은 봉(121)과 탄성가압수단(123)을 구비한다. 봉(121)은 외주면에 나사(122a)가 형성되어 스토퍼블럭(115)에 삽입되며, 일단(122b)에 피아노줄(50)의 일측이 체결된다. 탄성가압수단(123)은 너트(124)와 스프링(125)을 구비한다. 너트(124)는 봉(121)과 나사결합하며, 스프링(125)은 너트(124)와 스토퍼블럭(115) 사이에 위치한다.
제2베드장착프레임(130)은 제2베드고정부(131)와, 환형돌기(135)를 구비한다. 제2베드고정부(131)는 엔진베드의 타측에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제2베드고정부(131)는 밑면에 제2고정홈(132)이 형성되고, 측면에서 볼트(133)가 관통하여 삽입된다. 그리고 볼트(133)는 제2베드고정부(131)와 나사결합을 한다. 즉 제2베드고정부(131)의 제2고정홈(132)에 볼록한 엔진베드의 타측이 삽입되고 볼트(133)를 제2베드고정부(131)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제2베드고정부(131)는 엔진베드의 타측에 고정된다. 환형돌기(135)는 제2베드고정부(131)의 상면에 고정된다.
줄고정조립수단(140) 환형돌기(135)에 결합하며 줄고정조립수단(140)에는 피아노줄(50)의 타측이 결합된다.
제1베드장착프레임(110)의 제1베드고정부(111)를 엔진베드의 일측에 고정시 키고, 제2베드장착프레임(130)의 제2베드고정부(131)를 엔진베드의 타측에 고정시킨 후 피아노줄(50)을 봉(121)과 줄고정조립수단(140)에 체결시킨다. 그리고 탄성가압수단(123)의 너트(124)를 회전시켜서 스프링(125)을 수축시키면 봉(121)에 탄성력이 가해져서 피아노줄(50)은 팽팽하게 당겨진다.
종래에는 피아노줄이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너트(124)를 기준봉(117)까지 회전시킨 후, 팽팽하게 당겨진 피아노줄(50)을 보고서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베드가 수평인진 아닌지를 측정하였다.
종래의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는 엔진베드에 고정되는 제1베드고정부(111)에 제1고정홈(112)가 형성되고 제2베드고정부(131)에 제2고정홈(132)가 형성되어 볼록한 엔진베드에만 고정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홈이 형성된 오목한 엔진베드에는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를 고정할 수 없어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아노줄(50)을 팽팽하게 설치하여 엔진베드의 수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스토퍼블럭(115)과 제1베드고정부(111)가 수직으로 결합하여야 한다. 종래의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는 스토퍼블럭(115)을 제1베드고정부(111)의 상면에 위치시킨 후 볼트(116)를 스토퍼블럭(115)에서 삽입하여 스토퍼블럭(115)과 제1베드고정부(111)를 고정시켰다. 이 경우 조립자가 스토퍼블럭(115)을 제1베드고정부(111)의 상면에 경험상 수직으로 위치시켜 조립하였다. 그러나 스토퍼블럭(115)이 제1베드고정부(111)에 정확하게 수직으로 위치되지 아니하여 수차례 시행착오를 거쳐야만 하였다. 또한, 볼트(116)를 스토퍼블럭(115)에서 삽입하여 스토퍼블럭(115)과 제1베드고정부(111)를 고정시켰다. 따라서 스토퍼블럭(115)과 제1베드고정부(111)를 분리하기 위하여 볼트(116)를 분해시 봉(121)을 먼저 분해해야만 하였다. 그러므로 스토퍼블럭(115)과 제1베드고정부(111)를 분리하기가 번거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는 너트(124)를 기준봉(117)까지 회전시켜서 피아노줄을 팽팽하게 하였다. 이 경우 피아노줄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알 수 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홈이 형성된 오목한 엔진베드에 장착할 수 있는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토퍼블럭을 제1베드고정부에 용이하게 수직으로 체결시킬 수 있는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토퍼블럭과 제1베드고정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아노줄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알 수 있는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는 제1베드장착프레임과, 텐션조립수단과, 제2베드장착프레임과, 줄고정조립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베드장착프레임은 제1베드고정부와, 스토퍼블럭과, 눈금측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베드고정부는 엔진베드의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 스토퍼블럭은 상기 제1베드고정부에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안내되어 고정된다. 상기 눈금측정부에는 눈금이 새겨져 있다. 상기 텐션조립수단은 봉과 탄성가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봉은 상기 스토퍼블럭에 관통하여 삽입되고 일단에 상기 엔진베드의 수평을 측정하기 위한 줄의 일단이 고정된다. 상기 탄성가압수단은 상기 줄에 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봉에 탄성력을 가한다. 상기 제2베드장착프레임은 제2베드고정부와, 환형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제2베 드고정부는 상기 엔진베드의 타측에 고정된다. 상기 환형돌기는 상기 제2베드고정부의 일면에 결합한다. 상기 줄고정조립수단은 상기 환형돌기에 결합되며, 상기 줄의 타단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의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에 있어서, 제1베드고정부는 일면에 상기 스토퍼블럭을 수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베드고정부는 상기 스토퍼블럭에 착탈할 수 있도록 타면에서 관통하여 삽입된 볼트로 상기 스토퍼블럭과 고정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베드고정부는 상기 타면에 상기 엔진베드의 일측이 삽입되기 위한 제1고정홈이 더 형성되며, 측면에서 볼트가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엔진베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2베드고정부는 타면에 상기 엔진베드의 타측이 삽입되기 위한 제2고정홈이 형성되며, 측면에서 볼트가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엔진베드의 타측에 고정된다.
또는 상기의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베드고정부는 상기 엔진베드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베드고정부는 상기 엔진베드의 타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의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베드고정부는 제1베드장착블럭과, 제1고정볼트와, 제1체결블럭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 기 제1베드장착블럭은 일면에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엔진베드의 일측에 삽입되기 위한 제1턱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볼트는 상기 제1베드장착블럭에 관통하여 나사결합한다. 상기 제1체결블럭은 일면에 상기 제1고정볼트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제1볼트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볼트가 제1베드장착블럭과 상기 제1체결블럭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베드고정부가 상기 엔진베드의 일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베드고정부는 제2베드장착블럭과, 제2고정볼트와, 제2체결블럭을 구비한다. 상기 제2베드장착블럭은 일면에 상기 환형돌기가 결합되며 타면에 상기 엔진베드의 타측에 삽입되기 위한 제2턱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볼트는 상기 제2베드장착블럭에 관통하여 나사결합한다. 상기 제2체결블럭은 일면에 상기 제2고정볼트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제2볼트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볼트가 제2베드장착블럭과 상기 제2체결블럭에 삽입되어 상기 제2베드고정부가 상기 엔진베드의 타측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의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수단은 너트와,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트는 상기 봉의 외주면과 나사결합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봉에 탄성력을 주기 위하여 상기 너트와 상기 스토퍼블럭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베드고정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스토퍼블럭을 제1베드고정부에 용이하게 수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토퍼블럭을 제1베드고정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볼트를 스토퍼블럭의 하면에서부터 삽입함으로써 스토퍼블럭과 제1베드고정부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홈이 형성된 엔진베드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제1베드고정부 및 제2베드고정부를 구비한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홈이 형성된 엔진베드의 수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눈금이 그려진 눈금측정부를 구비한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피아노줄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알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베드장착프레임과 제2베드장착프레임이 엔진베드에 고정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베드장착프레임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의 제1베드고정부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가 엔진베드에 고정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의 제2베드고정부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가 엔진베드에 고정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는 제1베드장착프레임(10)과, 텐션조 립수단(20)과, 제2베드장착프레임(30)과, 줄고정조립수단(40)을 포함한다.
제1베드장착프레임(10)은 제1베드고정부(11)와, 스토퍼블럭(15)과, 눈금측정부(17)를 구비한다.
제1베드고정부(11)는 엔진베드의 일측(1)에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제1베드고정부(11)의 하면에 제1고정홈(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베드고정부(11)의 상면에는 스토퍼블럭(15)이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베드고정부(11)의 측면에 볼트(14)가 삽입되어 제1베드고정부(11)와 나사결합을 한다. 즉 엔진베드의 일측(1)이 제1고정홈(12)에 삽입되도록 제1베드고정부(11)를 위치시킨 후 볼트(14)를 제1베드고정부(11)에 삽입하여 엔진베드의 일측(1)에 결합시키면 제1베드고정부(11)는 엔진베드의 일측(1)에 고정된다.
스토퍼블럭(15)은 제1베드고정부(11)의 가이드홈(13)에 삽입되어 볼트(16)로 제1베드고정부(11)와 결합한다. 가이드홈(13)이 제1베드고정부(11)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토퍼블럭(15)을 가이드홈(13)에 삽입시키면 스토퍼블럭(15)은 제1베드고정부(11)와 수직으로 만난다. 그러므로 스토퍼블럭(15)을 용이하게 제1베드고정부(11)에 수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볼트(16)를 제1베드고정부(11)의 하면에서부터 삽입시켜 제1베드고정부(11)와 스토퍼블럭(15)을 결합시킨다. 그러므로 하술하는 봉(21)을 분리시키지 않고 볼트(16)만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베드고정부(11)와 스토퍼블럭(15)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눈금측정부(17)는 스토퍼블럭(15)의 상면에 고정된다. 눈금측정부(17)에는 인장력을 나타내는 눈금(18)이 그려져 있다. 하술하는 스프링(25)이 수축되면 스프링(25)의 탄성력이 피아노줄(50)에 가해진다. 그러므로 스프링(25)의 수축량을 알면은 피아노줄(50)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알 수 있다. 눈금측정부(17)에는 스프링(25)의 수축량 및 탄성력을 나타내는 눈금(18)이 그려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눈금(18)을 보고서 피아노줄(50)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알 수 있다.
텐션조립수단(20)은 봉(21)과 탄성가압수단(23)을 구비한다. 봉(21)은 스토퍼블럭(15)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나사(22a)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22b)에 피아노줄(50)이 결합된다.
탄성가압수단(23)은 너트(24)와 스프링(25)을 구비한다. 너트(24)는 봉(21)의 외주면에 결합하며, 스프링(25)은 너트(24)와 스토퍼블럭(15)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너트(24)를 회전시켜 스프링(25)을 수축시키면, 스프링(25)은 봉(21)에 힘을 가하여 피아노줄(50)을 팽팽하게 잡아당긴다.
제2베드장착프레임(30)은 제2베드고정부(31)과 환형돌기(35)를 구비한다. 제2베드고정부(31)는 엔진베드의 타측(3)에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제2베드고정부(31)의 하면에 제2고정홈(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베드고정부(31)의 측면에 볼트(33)가 삽입되어 제2베드고정부(31)와 나사결합을 한다. 즉 엔진베드의 타측(3)이 제2고정홈(32)에 삽입되도록 제2베드고정부(31)를 위치시킨 후 볼트(33)를 제2베드고정부(31)에 삽입하여 엔진베드의 타측(3)에 결합시키면 제2베드고정부(31)는 엔진베드의 타측(3)에 고정된다. 환형돌기(35)는 제2베드고정부(31)의 상면에 고정된다.
줄고정조립수단(40)은 환형돌기(35)의 일단에 결합되며, 줄고정조립수단(40)에는 피아노줄(50)의 타단이 고정된다.
제1베드장착프레임(10)을 엔진베드의 일측(1)에 고정시킨 후 제2베드장착프레임(30)을 엔진베드의 타측(3)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피아노줄(50)을 봉(21)의 일단(22b)과 줄고정조립수단(40)에 고정시킨다. 탄성가압수단(23)의 너트(24)를 사용하여 피아노줄(50)에 인장력을 가하면 피아노줄(50)은 팽팽하게 되어 엔진베드의 수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눈금측정부(17)에는 눈금(18)에 그려져 있으므로 너트(24)를 회전시켜서 스프링(25)을 수축시키면 피아노줄(50)에 어느 정도의 인장력이 가해지는가를 알 수 있다. 제1베드고정부(11) 및 제2베드고정부(31)는 돌기가 형성된 볼록한 엔진베드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래서 홈이 형성된 오목한 엔진베드에는 제1베드고정부(11) 및 제2베드고정부(31)를 엔진베드에 고정시킬 수 없다.
도 5 내지 도 8은 홈이 형성된 오목한 엔진베드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제1베드고정부(61) 및 제2베드고정부(71)의 실시예이다. 엔진베드에 홈이 형성된 경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베드고정부(11)를 스토퍼블럭(15)에서 분리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1베드고정부(61)를 스토퍼블럭(15)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1베드고정부(11)는 볼트(16)가 제1베드고정부(11)의 하면에서 삽입되어 스토퍼블럭(1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볼트(16)만 분리시키면 제1베드고정부(11)를 스토퍼블럭(15)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1베드고정부(61)를 볼트(16)를 사용하여 스토퍼블럭(15)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1베드고정부(61)는 제1베드장착블럭(62)과, 제1고 정볼트(66)와, 제1체결블럭(68)을 구비한다. 제1베드장착블럭(62)은 상면에 가이드홈(63)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1턱(64)이 형성된다. 가이드홈(63)은 스토퍼블럭(15)을 수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턱(64)은 홈이 형성된 엔진베드의 일측(5)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된다. 즉 제1베드장착블럭(62)의 제1턱(64)을 엔진베드의 일측(5)의 홈에 삽입하면 제1베드장착블럭(62)은 엔진베드의 일측(5)의 홈에 형합된다. 그리고 제1베드장착블록(62)에는 하면에서 상면까지 볼트(16)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볼트구멍(65b)이 관통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제1고정볼트(66)와 나사결합을 할 수 있도록 나사구멍(65a)이 관통되어 있다.
제1고정볼트(66)는 제1베드장착블럭(62)의 나사구멍(65a)에 삽입되어 제1베드장착블럭(62)과 나사결합을 한다.
제1체결블럭(68)은 일면에 제1고정볼트(66)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홈(69)이 형성되어 있다.
제1베드장착블럭(62)을 제1턱(64)이 엔진베드의 일측(5)의 홈에 삽입되어 형합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1고정볼트(66)를 나사구멍(65a)에 삽입시켜 제1베드장착블럭(62)과 결합시킨다. 그리고 제1고정볼트(66)가 제1볼트홈(69)에 삽입되도록 제1체결블럭(68)을 엔진베드의 일측(5)의 홈에 위치시킨다. 제1고정볼트(66)를 회전시켜서 전진시키면 제1베드장착블럭(62)의 제1턱(64)과 제1체결블럭(68)이 엔진베드의 일측(5)의 홈의 양측에 꽉 끼워져서 제1베드고정부(61)는 엔진베드의 일측(5)에 고정된다.
도 7 및 도 8은 홈이 형성된 엔진베드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제2베드고정부의 실시예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2베드고정부(71)는 제2베드장착블럭(72)과, 제2고정볼트(76)와, 제2체결블럭(78)을 구비한다. 제2베드장착블럭(72)은 상면에 환형돌기(35)가 고정되며, 하면에 제2턱(74)이 돌기되어 있다. 제2턱(74)은 홈이 형성된 엔진베드의 타측(7)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된다. 즉 제2베드장착블럭(72)의 제2턱(74)를 엔진베드의 타측(7)에 삽입하면 제2베드장착블럭(72)은 엔진베드의 타측(7)의 홈에 형합된다. 그리고 제2베드장착블럭(72)의 양측에는 제2고정볼트(76)와 나사결합을 할 수 있도록 나사구멍(75a)이 관통되어 있다.
제2고정볼트(76)는 제2베드장착블럭(72)의 나사구멍(75a)에 삽입되어 제2베드장착블럭(72)과 나사결합을 한다.
제2체결블럭(78)은 일면에 제2고정볼트(76)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홈(79)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체결블럭(68)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2베드장착블럭(72)과, 제2고정볼트(76)와, 제2체결볼트(78)을 사용하여 제2베드고정부(71)를 엔진베드의 타측(7)의 홈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1베드고정부(61) 및 제2베드고정부(71)는 홈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이를 사용하면 홈이 형성된 엔진베드의 수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베드장착프레임과 제2베드장착프레임이 엔진베드에 고정된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베드장착프레임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의 제1베드고정부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가 엔진베드에 고정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의 제2베드고정부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가 엔진베드에 고정된 측면도,
도 9는 종래의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제1베드장착프레임 11 : 제1베드고정부
12 : 제1고정홈 13 : 가이드홈
14 : 볼트 15 : 스토퍼블럭
17 : 눈금측정부 18 : 눈금
20 : 텐션조립수단 21 : 봉
23 : 탄성가압수단 24 : 너트
25 : 스프링 30 : 제2베드장착프레임
31 : 제2베드고정부 32 : 제2고정홈
35 : 환형돌기 40 : 줄고정조립수단
61 : 제1베드고정부 62 : 제1베드장착블럭
63 : 가이드홈 64 : 제1턱
66 : 제1고정볼트 68 : 제1체결블럭
69 : 제1볼트홈 71 : 제2베드고정부
72 : 제2베드장착블럭 74 : 제2턱
76 : 제2고정볼트 78 : 제2체결블럭
79 : 제2볼트홈

Claims (7)

  1. 스토퍼블럭과, 상기 스토퍼블럭이 삽입되어 수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일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엔진베드의 일측에 고정되기 위한 제1베드고정부와, 눈금이 새겨진 눈금측정부를 구비한 제1베드장착프레임과,
    상기 스토퍼블럭에 관통하여 삽입되고 일단에 상기 엔진베드의 수평을 측정하기 위한 줄의 일단이 고정되기 위한 봉과, 상기 줄에 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봉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탄성가압수단을 구비한 텐션조립수단과,
    상기 엔진베드의 타측에 고정되기 위한 제2베드고정부와, 상기 제2베드고정부의 일면에 결합한 환형돌기를 구비한 제2베드장착프레임과,
    상기 환형돌기에 결합되며, 상기 줄의 타단이 고정되기 위한 줄고정조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드고정부는 상기 스토퍼블럭에 착탈할 수 있도록 타면에서 관통하여 삽입된 볼트로 상기 스토퍼블럭과 고정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드고정부는 상기 타면에 상기 엔진베드의 일측이 삽입되기 위한 제1고정홈이 더 형성되며, 측면에서 볼트가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엔진베드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2베드고정부는 타면에 상기 엔진베드의 타측이 삽입되기 위한 제2고정홈이 형성되며, 측면에서 볼트가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엔진베드의 타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드고정부는 상기 엔진베드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베드고정부는 상기 엔진베드의 타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베드 수평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드고정부는 일면에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엔진베드의 일측에 삽입되기 위한 제1턱이 형성된 제1베드장착블럭과, 상기 제1베드장착블럭에 관통하여 나사결합한 제1고정볼트와, 일면에 상기 제1고정볼트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제1볼트홈이 형성된 제1체결블럭을 구비하며, 상기 제1고정볼트가 제1베드장착블럭과 상기 제1체결블럭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베드고정부가 상기 엔진베드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2베드고정부는 일면에 상기 환형돌기가 결합되며 타면에 상기 엔진베드의 타측에 삽입되기 위한 제2턱이 형성된 제2베드장착블럭과, 상기 제2베드장착블럭에 관통하여 나사결합한 제2고정볼트와, 일면에 상기 제2고정볼트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제2볼트홈이 형성된 제2체결블럭을 구비하며, 상기 제2고정볼트가 제2베드장착블럭과 상기 제2체결블럭에 삽입되어 상기 제2베드고정부가 상기 엔진베드의 타측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수단은 상기 봉의 외주면에 나사결합한 너트와,
    상기 봉에 탄성력을 주기 위하여 상기 너트와 상기 스토퍼블럭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
  7. 삭제
KR1020080118598A 2008-11-27 2008-11-27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 KR101043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598A KR101043844B1 (ko) 2008-11-27 2008-11-27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598A KR101043844B1 (ko) 2008-11-27 2008-11-27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136A KR20100060136A (ko) 2010-06-07
KR101043844B1 true KR101043844B1 (ko) 2011-06-22

Family

ID=4236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598A KR101043844B1 (ko) 2008-11-27 2008-11-27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8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8103A (ja) * 1995-04-05 1996-10-22 Daido Kikai Seisakusho:Kk ワーク端面の平面度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2000337804A (ja) 1999-05-31 2000-12-08 Sumitomo Forestry Co Ltd 層間変位計測用セット金物
KR100683863B1 (ko) 2006-07-25 2007-02-16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도로의 비탈면 토사 표면 슬라이딩 진단 구조
KR100686953B1 (ko) 2006-11-14 2007-02-27 한국씨엠이엔지(주) 연약지반의 침하 진단 시설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8103A (ja) * 1995-04-05 1996-10-22 Daido Kikai Seisakusho:Kk ワーク端面の平面度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2000337804A (ja) 1999-05-31 2000-12-08 Sumitomo Forestry Co Ltd 層間変位計測用セット金物
KR100683863B1 (ko) 2006-07-25 2007-02-16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도로의 비탈면 토사 표면 슬라이딩 진단 구조
KR100686953B1 (ko) 2006-11-14 2007-02-27 한국씨엠이엔지(주) 연약지반의 침하 진단 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136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602B2 (en) Process for mounting a clamp-on flow rate measurement device and mounting device for attaching a clamp-on flow rate measurement device
KR101655424B1 (ko) 교량 상부구조물 진동변위 측정용 장치
CA2533393C (en) Fixer for fiber bragg grating sensor
KR101043844B1 (ko) 엔진베드 수평측정 장치
KR101047687B1 (ko)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KR101660524B1 (ko) 변위계 설치장치
JP4511276B2 (ja) アンカーのリフトオフ試験装置
KR200236739Y1 (ko) 다리나 고가도로의 처짐을 측정하는 장치
KR20090126626A (ko) 막 장력 측정 장치
CN112444481A (zh) 一种点蚀涌现试验持力装置及其试验方法
CN209783539U (zh) 一种适用于多种工况的光纤光栅应变传感器
KR100638884B1 (ko) 어스앵커의 변위량 측정장치
KR102177113B1 (ko) 볼트의 축력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볼트의 축력 측정 방법
TW308628B (en) A rodless power cylinder
KR200447715Y1 (ko) 원자로 내부구조물 간극측정을 위한 자동 원격정밀측정용디지털 프로브 고정장치
KR100846163B1 (ko) 구조물의 인장 압축변형율의 계측용 광섬유센서의 고정대
KR20150040171A (ko) 크랭크 샤프트의 고유진동수를 측정하기 위한 모달 테스팅용 지그
JP2007154574A (ja) アンカーの定着具
JP4297435B2 (ja) アンカーのリフトオフ試験方法、及びそれに先立つアンカープレートのタップ方法
US20090185353A1 (en) Mounting apparatus for motherboard
CN210014737U (zh) 发动机连杆测量装置及其孔径测量柱
CN209764320U (zh) 一种抽油机皮带拉力检测装置
JP3148878U (ja) センターホール型ジャッキ用受圧アダプター
KR100461151B1 (ko) 커넥팅로드의강성측정장치
KR20230007247A (ko) 동시 설치 가능한 교량변위측정용 게이지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