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524B1 - 변위계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변위계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524B1
KR101660524B1 KR1020160074268A KR20160074268A KR101660524B1 KR 101660524 B1 KR101660524 B1 KR 101660524B1 KR 1020160074268 A KR1020160074268 A KR 1020160074268A KR 20160074268 A KR20160074268 A KR 20160074268A KR 101660524 B1 KR101660524 B1 KR 101660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displacement gauge
gauge
accommodating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백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백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백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74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dead weight, e.g. pendulum; generated by springs ten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위계를 구속한 상태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일측에 결합되어 교량의 연직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계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위계 설치장치는, 상기 변위계가 내부에 수용하도록 관형태로 이루어진 변위계수용부와, 상기 변위계수용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지지대수용부와, 상기 지지대수용부 내부에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단부는 변위 측정 대상물과 접촉하는 작동부와, 상기 지지대수용부 내부에 일정 위치를 유지하여 상기 작동부의 직선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직선가이드와, 상기 작동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도록 작동부 일측에 고정되어 작동부의 직선운동시 변위계의 감지부가 연동하도록 하는 연동부와, 상기 연동부와 직선가이드 사이에서 탄성복원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위계 설치장치 {Apparatus for attaching displacement gauge}
본 발명은 변위계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천이나 강에 설치되어 있는 교량의 내하력 평가를 위한 정·동적 차량 재하시험에서 정·동적하중에 의한 연직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계가 일정 위치에서 구속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변위계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간소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저렴하면서도 사용편의성을 가지며 변위계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변위계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변위계에 가해지는 자체 하중을 최소화하고, 변위계의 감지부가 교량에 근접하도록 하여 보다 정밀한 변위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 변위계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등의 1종 시설물은 준공 후 10년이 경과하면 5년마다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할 경우 재하시험을 실시하며, 안전성 확보 유무 판단이 필요한 경우 내하력 평가를 위한 재하시험을 실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교량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해야 하고, 준공 후 일정 기간이 지난 교량에 대해서도 대형사고를 미리 예상하는 차원에서 교량 관리가 요구되어 정기적 또는 수시로 교량의 안전성 평가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교량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의 계측장비를 교량의 상판 중간지점에 설치하고 시험차량을 운행하여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과 각종 변위를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교량의 상태를 측정하였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0868호에는 도 1과 같이 교량의 지점변위를 측정하는 측정기를 교량의 저면에 밀착시키고, 차량이 통과하는 동안의 교량의 변위를 측정하여 안전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교량의 모멘트 변화 통함 관리 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교량 하부에 측정장치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어렵고, 측정작업이 종료된 후에 측정장치의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교량의 점검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83779호에는 도 2와 같이 승강축(5) 및 연장축(7)을 승강시키는 승강조작부(100)의 설치 및 해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측정장치의 설치, 해제 및 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측정장치는 다수의 기어가 물려 길이가 신축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 발생이 빈번하고 무거워 이동 및 설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0898호에는 도 3과 같이 구조물의 상부구조 거동과 대응되는 이동 범위를 가지는 부분을 상방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물의 상부구조 거동분석을 위한 재하 시험시 변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 변위 측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변위 측정장치는 하부플랜지(434), 제한부재(431), 탄성체(45), 케이스(43), 지지판(44) 등의 다수 부품 하중이 변위계(42)에 직접적으로 가해지고 있는 상태에서 변위를 측정하게 되므로 고가의 변위계(42)에 피로를 발생시키게 되어 고장 발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변위 측정장치는 다수 부품이 일직선상에 나열된 상태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좌/우 방향 움직임이 발생할 소지가 있어 변위계(42)를 통해 측정되는 변위값의 정밀도가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천이나 강에 설치되어 있는 교량의 내하력 평가를 위한 정·동적 차량 재하시험에서 정·동적하중에 의한 연직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계가 일정 위치에서 구속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변위계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소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저렴하면서도 사용편의성을 가지며 변위계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변위계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변위계에 가해지는 자체 하중을 최소화하고, 변위계의 감지부가 교량에 근접하도록 하여 보다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 변위계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변위계를 구속한 상태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일측에 결합되어 교량의 연직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계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위계 설치장치는, 상기 변위계가 내부에 수용하도록 관형태로 이루어진 변위계수용부와, 상기 변위계수용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지지대수용부와, 상기 지지대수용부 내부에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단부는 변위 측정 대상물과 접촉하는 작동부와, 상기 지지대수용부 내부에 일정 위치를 유지하여 상기 작동부의 직선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직선가이드와, 상기 작동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도록 작동부 일측에 고정되어 작동부의 직선운동시 변위계의 감지부가 연동하도록 하는 연동부와, 상기 연동부와 직선가이드 사이에서 탄성복원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의 상부 외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의 상측은 횡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가공되며, 상기 연동부는 수나사에 결합된 다수의 결합부재에 의해 작동부와 일체로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부와 작동부와 결합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상기 변위계에 하중을 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변위계수용부와 지지대수용부는 내부 공간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장치.
상기 작동부의 상부는 횡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가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위계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변위계수용부 내부로 삽입되어 변위계의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변위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변위계구속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위계수용부 내부로 삽입된 변위계구속구의 단부에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파손방지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수용부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지지대수용부 내부에 삽입된 지지대의 외면을 가압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지대구속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위계 설치장치는 변위계가 일정 위치에서 구속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위계 설치장치는 간소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저렴하면서도 사용편의성을 가지며 변위계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변위계에 가해지는 자체 하중을 최소화하여 고장 및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며, 변위계의 감지부가 교량에 근접한 상태로 설치되게 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0868호에 개시된 교량의 모멘트 변화 통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
도 2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3779호에 개시된 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를 나타낸 개요도.
도 3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0898호에 개시된 변위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변위계 설치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변위계 설치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상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변위계 설치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변위계 설치장치에 변위계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상면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변위계 설치장치에 변위계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변위계 설치장치에서 일구성인 작동부의 직선 하방향 움직임 전(a)/후(b)의 모습을 비교하여 나타낸 상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변위계 설치장치(1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변위계 설치장치(100)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변위계 설치장치(이하 '설치장치(100)'이라 칭함)는 변위측정대상물(1) 예컨대, 교량의 하측에 위치하며, 변위측정대상물(1)은 차량(4)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상부구조(2)와, 상기 상부구조(2)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구조(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장치(100)는 하부가 지지대(5)와 결합하고 상단부는 상부구조(2)의 하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여 변위측정대상물(1)의 변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5)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하단부는 지면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설치장치(10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도 4와 같이 상부구조(2)의 하측에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치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변위계 설치장치(100)의 외관 구성을 보인 상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변위계 설치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설치장치(100)는 변위계(도 7의 도면부호 S 참조)를 일측에 수용한 상태로 구속하고 지지대(5)의 상단에 위치하여 변위측정대상물(1)의 연직 변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탄성부재(1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수 부품의 하중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변위계(S)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설치장치(100)는 상기 변위계(S)가 내부에 수용하도록 관형태로 이루어진 변위계수용부(110)와, 상기 변위계수용부(110)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5)의 상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지지대수용부(120)와, 상기 지지대수용부(120) 내부에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단부는 변위측정대상물(1)과 접촉하는 작동부(130)와, 상기 지지대수용부(120) 내부에 일정 위치를 유지하여 상기 작동부(130)의 직선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직선가이드(140)와, 상기 작동부(13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도록 작동부(130) 일측에 고정되어 작동부(130)의 직선운동시 변위계(S)의 감지부(I)가 연동하도록 하는 연동부(160)와, 상기 연동부(160)와 직선가이드(140) 사이에서 탄성복원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위계수용부(110)는 원통관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는 변위계(S)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변위계수용부(110)의 외측에는 변위계구속구(112)가 구비된다. 상기 변위계구속구(112)는 변위계수용부(110) 내부로 단부가 삽입되어 있고, 선택적으로 회전시에 내부로 진입하여 변위계(S)의 외면과 접촉 후 가압함으로써 변위계(S)의 이탈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변위계구속구(112)는 나사 형태로 적용되었으며, 좌측단부에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파손방지구(114)가 구비된다.
상기 파손방지구(114)는 변위계구속구(112)를 회전시켜 변위계수용부(110) 내부로 삽입시에 변위계(S)의 외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이다.
따라서 상기 파손방지구(114)는 고가의 변위계(S)에 압력을 가할시에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변위계(S)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구속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위계수용부(110)의 좌측에는 지지대수용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수용부(12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변위계수용부(110)와 평행 상태가 되도록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수용부(120)는 내측 하부에 지지대(5)가 일정 높이만큼 수용되고 내측 상부에는 작동부(130)의 하부가 수용되므로 변위계수용부(110)보다 길게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수용부(120)의 외면 하부에는 지지대구속구(12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구속구(122)는 변위계구속구(112)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상기 지지대(5)의 외면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구속구(122)의 우측 단부는 변위계구속구(112)와 달리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대구속구(122)는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대(5)의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설치장치(100)와 지지대(5)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것으로서, 충분한 결합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뾰족하게 구성함으로써 가압시 지지대(5) 외면을 찍어 누를 수 있도록 하였다.(도 6 참조)
상기 지지대수용부(120)의 상부 내측에는 직선가이드(140)가 구비된다.
상기 직선가이드(140)는 작동부(130)의 상/하 방향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뚫린 가이드홀(142)이 구비되어 대략 두꺼운 살두께를 가진 원통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직선가이드(140)의 외면은 지지대수용부(120)의 내주면과 접촉한 상태로 끼움 결합되어 지지대수용부(120)의 내측 상부에 일정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직선가이드(140) 내측 및 상부에는 작동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130)는 설치장치(100)의 다수 구성 중에서 변위 측정시 실제 직선 왕복운동하여 움직이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부(130)는 하단부가 가장 넓은 횡단면적을 갖고, 상측으로 일정한 외경을 갖도록 길게 뻗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130)는 탄성부재(150)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부(130)의 상부 외주면에는 수나사(132)가 가공된다. 상기 수나사(132)는 연동부(160)가 작동부(130)에 대하여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속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수의 결합부재(134)와 동일한 피치를 갖도록 가공되어 결합부재(134)와 나사 결합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130)의 상단부 즉, 상기 수나사(132)의 상측은 횡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도록 가공되어 상단부가 뾰족한 형태를 가지며, 뾰족한 작동부(130)의 상단부는 상기 변위측정대상물(1)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130)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15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150)는 압축스프링이 적용되며 작동부(13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50)의 하단부는 직선가이드(140)의 상면과 접촉하고 상단부는 연동부(160)의 하면과 접촉한 상태로 상방향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연동부(160)는 작동부(130)의 길이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좌측에 구멍이 천공되어 작동부(130)가 내부로 관통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부(160)는 한 쌍의 결합부재(134)가 상/하측에 놓인 상태로 수나사(132)와 결합됨으로써 작동부(130)와 일체로 연동하게 된다.
상기 연동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원형상의 판재 형태로 적용되었으며, 우측부가 변위계수용부(110) 상측에 위치하도록 작동부(130)에 결합된다.
이하 첨부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설치장치(100)를 이용하여 변위계(S)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변위계 설치장치(100)에 변위계(S)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상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변위계 설치장치(100)에 변위계(S)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변위계 설치장치(100)에서 일구성인 작동부(130)의 직선 하방향 움직임 전(a)/후(b)의 모습을 비교하여 나타낸 상면 사시도이다.
우선 도 7과 같이 상기 변위계(S)와 설치장치(100)를 준비한다음 상기 변위계수용부(110) 내부에 변위계(S)를 삽입하여 구속하게 된다.
즉, 상기 변위계구속구(112)를 회전시켜 파손방지구(114)를 변위계(S) 외면에 접촉시킨 후 가압함으로써 변위계(S)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변위계(S)의 감지부(I)는 연동부(160)가 위치한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후 상기 결합부재(134)의 결합을 해지하여 연동부(160)의 위치를 조절한 후 다시 결합부재(134)를 죄게 되면 상기 연동부(160)는 작동부(130)에 대하여 직교한 상태로 일정 높이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연동부(160)의 하면에는 도 7과 같이 감지부(I)의 상단부가 접촉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변위계(S)는 변위계수용부(1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변위계수용부(110)는 지지대수용부(120)와 일체화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부(I)의 상단부는 연동부(160)의 하면과 접촉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연동부(160)는 탄성부재(150)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지지됨과 동시에 한쌍의 결합부재(134)에 의해 작동부에 대하여 움직임이 제한되어 잇으므로, 상기 작동부(130)와 연동하여 하측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동부(160)는 탄성부재(150)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한 쌍의 결합부재(134), 작동부(130)의 하중을 받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지지대(5)의 상단부를 지지대수용부(120) 내부에 삽입한 후 지지대구속구(122)를 회전시켜 지지대(5) 상부에 설치장치(100)가 고정되게 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5)의 상단부는 도 8과 같이 작동부(130)의 하단부와 이격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것은 변위측정대상물(1)이 하측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작동부(130)가 연동하여 내려오더라도 작동부(130)의 하단부와 지지대(5)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 지지대(5)의 길이를 신장시켜 지지대(5)의 하단부를 지면에 직립되게 세움으로써 변위계(S)의 설치는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따라 설치된 변위계(S)는 도 9와 같이 변위측정대상물(1) 하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 작동부(130)와 연동부(160)의 연동에 의해 감지부(I)의 길이가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변화량은 변위계(S)가 감지하여 별도로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나 제어장치 등에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 변위측정대상물 2. 상부구조
3. 하부구조 4. 차량
5. 지지대 100. 변위계 설치장치
110. 변위계수용부 112. 변위계구속구
114. 파손방지구 120. 지지대수용부
122. 지지대구속구 130. 작동부
132. 수나사 134. 결합부재
140. 직선가이드 142. 가이드홀
150. 탄성부재 160. 연동부
S . 변위계 I . 감지부

Claims (7)

  1. 변위계를 구속한 상태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일측에 결합되어 교량의 연직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계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위계 설치장치는, 상기 변위계가 내부에 수용하도록 관형태로 이루어진 변위계수용부와, 상기 변위계수용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지지대수용부와, 상기 지지대수용부 내부에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단부는 변위 측정 대상물과 접촉하는 작동부와, 상기 지지대수용부 내부에 일정 위치를 유지하여 상기 작동부의 직선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직선가이드와, 상기 작동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도록 작동부 일측에 고정되어 작동부의 직선운동시 변위계의 감지부가 연동하도록 하는 연동부와, 상기 연동부와 직선가이드 사이에서 탄성복원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동부와 작동부와 결합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상기 변위계에 하중을 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상부 외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의 상측은 횡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가공되며,
    상기 연동부는 수나사에 결합된 다수의 결합부재에 의해 작동부와 일체로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변위계수용부와 지지대수용부는 내부 공간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계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변위계수용부 내부로 삽입되어 변위계의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변위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변위계구속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계수용부 내부로 삽입된 변위계구속구의 단부에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파손방지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수용부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지지대수용부 내부에 삽입된 지지대의 외면을 가압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지대구속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장치.
KR1020160074268A 2016-06-15 2016-06-15 변위계 설치장치 KR101660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268A KR101660524B1 (ko) 2016-06-15 2016-06-15 변위계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268A KR101660524B1 (ko) 2016-06-15 2016-06-15 변위계 설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524B1 true KR101660524B1 (ko) 2016-09-29

Family

ID=5707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268A KR101660524B1 (ko) 2016-06-15 2016-06-15 변위계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5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070B1 (ko) * 2019-06-14 2019-10-23 주식회사 대한이앤씨 교량 구조물 편기량 측정 장치
KR102176748B1 (ko) 2020-06-12 2020-11-09 탄탄안전 주식회사 교량재하시험용 변위측정장치
KR102346261B1 (ko) 2021-06-07 2022-01-03 주식회사 경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교량 재하시험용 변위 측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739Y1 (ko) * 2001-04-17 2001-10-26 (주) 한국건설안전기술단 다리나 고가도로의 처짐을 측정하는 장치
KR101170898B1 (ko) * 2012-05-04 2012-08-03 (주)백산엔지니어링 변위 측정장치
KR101202190B1 (ko) * 2012-05-04 2012-11-16 (주)백산엔지니어링 변위 측정장치
KR101599903B1 (ko) * 2015-10-22 2016-03-07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교량 현장 재하 시험을 위한 변위계 설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739Y1 (ko) * 2001-04-17 2001-10-26 (주) 한국건설안전기술단 다리나 고가도로의 처짐을 측정하는 장치
KR101170898B1 (ko) * 2012-05-04 2012-08-03 (주)백산엔지니어링 변위 측정장치
KR101202190B1 (ko) * 2012-05-04 2012-11-16 (주)백산엔지니어링 변위 측정장치
KR101599903B1 (ko) * 2015-10-22 2016-03-07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교량 현장 재하 시험을 위한 변위계 설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070B1 (ko) * 2019-06-14 2019-10-23 주식회사 대한이앤씨 교량 구조물 편기량 측정 장치
KR102176748B1 (ko) 2020-06-12 2020-11-09 탄탄안전 주식회사 교량재하시험용 변위측정장치
KR102346261B1 (ko) 2021-06-07 2022-01-03 주식회사 경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교량 재하시험용 변위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323B1 (ko) 교량 안전진단시 교좌장치 변위계측을 위한 이동량 측정장치
KR101170898B1 (ko) 변위 측정장치
KR101660524B1 (ko) 변위계 설치장치
CN109723910B (zh) 支吊架量化安装检测调整工器具及使用其进行支吊架载荷测量的方法
CN102351120A (zh) 电梯轿厢载荷称重装置
KR20120065531A (ko) 변위센서를 이용한 높이 측정장치
KR100874879B1 (ko) 교량 교각 구조물의 안전진단 방법
CN202599322U (zh) 一种混凝土徐变变形量测量装置
CN105509683B (zh) 一种用于自平衡试桩法的位移测量装置
WO2017054919A1 (de) Vorrichtung zum überprüfen eines martindale-probenhalters mit eingesetzter probe sowie anordnung umfassend die vorrichtung und den probenhalterns
CN109226646A (zh) 自动锤铆的铆钉入孔及镦头高度在线检测方法及装置
CN209878347U (zh) 一种液压拉伸器校准装置
KR101971886B1 (ko) 고속철도용 레일 체결장치의 체결스프링 특성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
CN115979309B (zh) 一种角度式水平位移传感器
CN110208021A (zh) 一种液压拉伸器校准装置
KR101942938B1 (ko) 바이스형 연결브라켓의 면외굽힘 시험 장치 및 그 시험 방법
CN111561985B (zh) 传感器安装机构
KR101988605B1 (ko) 휠 동력계의 특성 시험 장치
CN202265278U (zh) 电梯轿厢载荷称重装置
CN112857644B (zh) 一种微牵引力测试机构
CN109000546A (zh) 一种汽车轴类零件垂直度检测装置
CN209189736U (zh) 自动锤铆的铆钉入孔及镦头高度在线检测装置
KR101954827B1 (ko) 족장 지지대의 면외굽힘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족장 지지대의 면외굽힘 시험 방법
RU172393U1 (ru) Стенд для испыта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элементов с обжатием и кратковременным динамическим кручением
SU141508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динамических нагруз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