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744B1 - 알에프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알에프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744B1
KR101043744B1 KR1020090024273A KR20090024273A KR101043744B1 KR 101043744 B1 KR101043744 B1 KR 101043744B1 KR 1020090024273 A KR1020090024273 A KR 1020090024273A KR 20090024273 A KR20090024273 A KR 20090024273A KR 101043744 B1 KR101043744 B1 KR 101043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ductor
connector
coupling means
back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5919A (ko
Inventor
이민희
최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콘
Priority to KR1020090024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744B1/ko
Publication of KR20100105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1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01R24/542Adap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specially adapted to a specific shape of cables, e.g. corrugated cables, twisted pair cables, cables with two screens or hollow cables
    • H01R24/564Corrugated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에프케이블(RF케이블)과 알에프케이블의 연결 또는 알에프케이블과 어댑터의 연결 등을 매개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RF케이블(10)의 재킷(14)과 밀착하고 고정탭(214)이 형성된 제1내면(211)과, 재킷(14)이 탈피돼 노출된 아웃컨덕터(13)를 감싸는 제2내면(212)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고, 외면에는 제1결합수단(213)이 형성된 백너트(210); 및 백너트(210)가 삽입되고 제1결합수단(213)과 맞물려 결속되는 제2결합수단(231a)을 구비하며 백너트(210) 및 아웃컨덕터(13)의 선단이 삽입돼 맞물리면서 아웃컨덕터(13)가 밀착되는 마감홈(231b)이 형성된 수용부(231)와, 수용부(231)와 연통하는 결속부(232)와, RF케이블(10)의 센터컨덕터(11)와 통전하는 통전체(233)와, 통전체(233)와 통전하면서 결속부(232)에 위치하는 접속체(234)와, 통전체(233) 및 접속체(234)를 수용부(231) 및 결속부(232)와 절연하면서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절연형 지지대(235)와, 관 형상의 센터컨덕터(11)에 삽입되고 센터컨덕터(11)의 내면에 긴밀히 접촉하도록 센터컨덕터(11)의 내면으로 탄발하며 통전체(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체(236)로 된 커넥팅 바디(23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알에프케이블 커넥터{RF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알에프케이블(RF케이블)과 알에프케이블의 연결 또는 알에프케이블과 어댑터의 연결 등을 매개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RF케이블은 신호의 전달을 매개하는 통신선의 일종으로, 필요에 따라 RF케이블과 RF케이블, 또는 RF케이블과 어댑터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때, RF케이블의 연결은 커넥터를 매개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커넥터와 RF케이블의 연결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종래 클램프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RF케이블(10)을 전기적/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종래 커넥터(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RF케이블(10)은 관 형상의 센터컨덕터(Center Conductor; 11)와, 센터컨덕터(11)의 외면을 감싸 절연하는 절연체(12)와, 절연체(12)의 둘레를 감싸는 아웃컨덕터(Out Conductor; 13)와, 아웃컨덕터(13)의 외면을 감싸 절연하는 재킷(14)을 포함한다. 이때, 아웃컨덕터(13)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절곡되어서, 외면에는 다수 개의 홈(13a)이 형성된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RF케이블(10)은 다른 RF케이블 또는 어댑터와의 연결을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RF케이블(10)의 말단 재킷(14)을 충분히 탈피해서 아웃컨덕터(13)를 노출시킨다.
노출된 아웃컨덕터(13)에 백너트(Back Nut; 110)를 끼운다.
백너트(110)는 제1내면(111)과 제2내면(112)이 계단형으로 형성된 관 형상으로, 외면에는 제1결합수단(113)이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제1결합수단(113)은 백너트(110)와 커넥팅 바디(130) 간의 기계적 연결을 위한 것으로, 백너트(110)와 커넥팅 바디(130) 간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나선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내면(111)은 탈피되지 않은 재킷(14)의 외면을 감싸 접촉하는 구간이고, 제2내면(112)은 재킷(14)이 탈피된 아웃컨덕터(13)의 외면을 감싸 접촉하는 구간으로, 각 구간과 백너트(110) 간의 긴밀한 접촉을 위해 제1내면(111)이 제2내면(112)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아웃컨덕터(13)의 홈(13a)에 맞물린 실링(15)은 백너트(110)와 아웃컨덕터(13) 간의 접촉시 기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보강설치될 수 있다.
RF케이블(10)에 백너트(110)가 끼워지면, 클램프(120)를 아웃컨덕터(13)를 감싸듯 끼워서 백너트(110)와 일렬로 배치되도록 한다.
클램프(120)는 상호 분리된 다수 개의 제1,2,3편(121, 121', 121")이 아웃컨덕터(13)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제1,2,3편(121, 121', 121")이 일체로 아웃컨덕터(13)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링 타입의 탄성체(122)가 제1,2,3편(121, 121', 121")을 탄발력으로 감싸면서 결속한다.
한편, 아웃컨덕터(13)와 접하는 제1,2,3편(121, 121', 121")의 내면에는 아웃컨덕터(13)의 홈(13a)과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돌부(121a)가 형성된다.
결국, 클램프(120)가 아웃컨덕터(130)에 끼워지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부(121a)가 홈(13a)에 맞물리면서 탄성체(122)에 의해 밀착되어 클램프(120)는 아웃컨덕터(13)의 외면에 견고히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백너트(110)와 클램프(120)가 아웃컨덕터(13)의 외면에 일렬로 배치되면, 백너트(110)와 클램프(120)를 수용하는 커넥팅 바디(130)를 연결한다.
커넥팅 바디(130)는 백너트(110)와 클램프(120)가 삽입되는 수용부(131)와, 수용부(131)와 연통하면서 다른 커넥터 또는 어댑터와 맞물리는 결속부(132)와, RF케이블(10)의 센터컨덕터(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체(133)와, 통전체(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다른 커넥터 또는 어댑터와의 전기적 연결을 매개하는 접속체(134)와, 통전체(133) 및 접속체(134)를 수용부(131) 및 결속부(132)와 기계적으로 연결하면서 상호 절연하는 절연형 지지대(135)와, 관 형상의 센터컨덕터(11)에 삽입되고 센터컨덕터(11)의 내면에 긴밀히 접촉하도록 센터컨덕터(11)의 내면으로 탄발하며 통전체(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체(136)로 구성된다.
따라서, 백너트(110) 및 클램프(120)가 일렬로 끼워진 RF케이블(10)의 말단이 수용부(131)에 삽입되고, 수용부(131)의 중심에 돌출된 접촉체(136)는 센터컨덕터(11)에 삽입되면서, 센터컨덕터(11), 접촉체(136), 통전체(133) 및 접속체(13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수용부(131)의 내면에는 백너트(110)의 제1결합수단(113)에 상응하는 제2결합수단(131a)이 형성된다. 이때, 제1,2결합수단(113, 131a)은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제1,2결합수단(113, 131a)은 나사산 결합방식으로 상호 체결된다.
계속해서, 수용부(131)의 내면에는 클램프(120)의 선단이 삽입돼 맞물리는 마감홈(131b)이 형성된다. 마감홈(131b)은 클램프(120) 선단과의 사이에 아웃컨덕터(13)의 말단이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해서, 아웃컨덕터(13)와 커넥팅 바디(130) 간의 전기적 연결은 물론 클램프(12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이를 압축해서 클램프(120)의 돌부(121a)가 아웃컨덕터(13)의 홈(13a)에 밀착되도록 한다.
결속부(132)는 포어너트(140)가 연결될 수 있다.
포어너트(140)는 상기 커넥터(100)와 다른 커넥터 또는 어댑터와의 기계적 연결을 위한 것으로, 결속부(132)를 감싸듯 고정 배치되고 내면에는 제3결합수단(141)이 형성되어서 이를 매개로 다른 커넥터 또는 어댑터와 체결될 수 있다. 참고로, 제3결합수단(141)는 나사산일 수 있다.
결국,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팅 바디(130)와, 백너트(110) 및 클램프(120)가 끼워진 RF케이블(10)의 결속이 완료되고, 커넥팅 바디(130)의 결속부(132)에 포어너트(140)가 고정되어 커넥터(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커넥터(100)를 매개로 당해 RF케이블(10)은 다른 커넥터 또는 어댑터와의 전기적/기계적 연결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백너트(110)와 커넥팅 바디(130)가 제1,2결합수단(113, 131a)을 매개로 연결되면 백너트(110)와 커넥팅 바디(130) 사이에 위치한 클램프(120)는 백너트(110)와 커넥팅 바디(130) 간의 압력에 의한 압축으로 돌부(121a)가 아웃컨덕터(13)의 홈(13a)에 밀착되면서 기계적으로 긴밀히 맞물려, 커넥터(100)와 RF케이블(10)이 장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는 충분한 고정성을 갖출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커넥터(100)는 RF케이블(10)과의 전기적/기계적 결속은 물론 장력에 의한 충분한 고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백너트(110), 클램프(120), 커넥팅 바디(130) 및 포어너트(140) 등의 구성이 필요하고, 이들의 긴밀한 맞물림을 위해 각 구성의 섬세한 가공이 요구되며, 특히 상호 분리된 제1,2,3편(121, 121', 121")이 탄성체(122)에 의해 결속돼 이루어진 클램프(120)와 같은, 구조적으로 다소 복잡하고 조작이 용이치 못한 구성 또한 필수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결국, RF케이블(10) 간의 연결 또는 RF케이블(10)과 어댑터 간의 연결을 위해서는 종래 커넥터(100) 제작을 위해 적지 않은 제작비용을 감수해야 하고, 종래 커넥터(100)와 RF케이블(10)의 연결을 위해서도 번거롭고 용이치 못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RF케이블(10) 설치에 불리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커넥터(100)와 RF케이블(10) 간의 결속은 클램프(120)의 돌부(121a)와 아웃컨덕터(13)의 홈(13a) 간의 걸림에 의한 것으로, 종래 커넥터(100)와 RF케이블(10) 간의 결속시 아웃컨덕터(13)의 변형 및 훼손이 예상되고, 지속적인 장력에 의해 아웃컨덕터(13)의 변형 및 훼손이 발생할 경우엔 종래 커넥터(100)가 RF케이블(10)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어, 안정성에 문제 또한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RF케이블 간의 결속 또는 RF케이블과 어댑터 간의 결속을 위한 커넥터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현장에서 RF케이블과의 연결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RF케이블과의 결속력 또한 높일 수 있는 알에프케이블 커넥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RF케이블의 재킷과 밀착하고 고정탭이 형성된 제1내면과, 재킷이 탈피돼 노출된 아웃컨덕터를 감싸는 제2내면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고, 외면에는 제1결합수단이 형성된 백너트; 및
백너트가 삽입되고 제1결합수단과 맞물려 결속되는 제2결합수단을 구비하며 백너트 및 아웃컨덕터의 선단이 삽입돼 맞물리면서 아웃컨덕터가 밀착되는 마감홈이 형성된 수용부와, 수용부와 연통하는 결속부와, RF케이블의 센터컨덕터와 통전하는 통전체와, 통전체와 통전하면서 결속부에 위치하는 접속체와, 통전체 및 접속체를 수용부 및 결속부와 절연하면서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절연형 지지대와, 관 형상의 센터컨덕터에 삽입되고 센터컨덕터의 내면에 긴밀히 접촉하도록 센터컨덕터의 내면으로 탄발하며 통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체로 된 커넥팅 바디;
를 포함하는 알에프케이블 커넥터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RF케이블과 커넥터의 충분한 결속력을 유지하면서도 커넥터를 이루는 구성의 수를 줄여서 커넥터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RF케이블과의 연결시에도 작업의 편의를 개선하며, RF케이블과 커넥터 간의 견고한 체결을 지속할 수 있도록 되어서 커넥터의 제작 및 설치작업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RF케이블의 연결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200)는 RF케이블(10)의 아웃컨덕터(13)에 끼워지는 백너트(210)와, 백너트(210)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면서 센터컨덕터(11) 및 아웃컨덕터(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팅 바디(230)와, 커넥팅 바디(230)에 연결되는 포어너트(240)를 포함한다.
상기 백너트(210)는 제1내면(211)과 제2내면(212)이 계단형으로 형성된 관 형상으로, 외면에는 제1결합수단(2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결합수단(213)은 백너트(210)와 커넥팅 바디(230) 간의 기계적 연결을 위한 것으로, 백너트(210)와 커넥팅 바디(230) 간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나선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내면(211)은 탈피되지 않은 재킷(14)의 외면을 감싸 접촉하는 구간이고, 제2내면(212)은 재킷(14)이 탈피된 아웃컨덕터(13)의 외면을 감싸 접촉하는 구간으로, 각 구간과 백너트(210) 간의 긴밀한 접촉을 위해 제1내면(211)이 제2내면(212)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원발명의 커넥터(200)는 제1내면(211)에 고정탭(214)이 형성된다.
제1내면(211)은 재킷(14)의 외면과 밀착하는 곳으로, 고정탭(214)은 탄성재질의 재킷(14)과 긴밀히 맞물리면서 RF케이블(10)과 백너트(210)의 기계적 연결을 매개한다. 한편, 고정탭(214)은 다수의 돌기로 형성되어 재킷(14)에 강제로 맞물리므로, 연결작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고정탭(214)은 나사산 형상이어야 한다. 결국, 작업자는 백너트(210)를 재킷(14)을 수용하도록 RF케이블(10)에 끼워 관통시키되, 제1내면(211)이 재킷(14)에 접하면 나사산 형상의 고정탭(214)이 결속하는 방향으로 백너트(210)를 강제 회전시켜서 백너트(210)와 RF케이블(10) 간의 기계적 결속을 완료한다.
백너트(210)가 아웃컨덕터(13)의 외면에 배치되면서 RF케이블(10)에 연결되면, 백너트(210)를 수용하면서 이와 체결되는 커넥팅 바디(230)를 연결한다.
커넥팅 바디(230)는 백너트(210)가 삽입되는 수용부(231)와, 수용부(231)와 연통하면서 다른 커넥터 또는 어댑터와 맞물리는 결속부(232)와, RF케이블(10)의 센터컨덕터(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체(233)와, 통전체(2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다른 커넥터 또는 어댑터와의 전기적 연결을 매개하는 접속체(234)와, 통전체(233) 및 접속체(234)를 수용부(231) 및 결속부(232)와 기계적으로 연결하면서 상호 절연하는 절연형 지지대(235)와, 관 형상의 센터컨덕터(11)에 삽입되고 센터컨덕터(11)의 내면에 긴밀히 접촉하도록 센터컨덕터(11)의 내면으로 탄발하며 통 전체(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체(236)로 구성된다.
따라서, 백너트(210)가 끼워진 RF케이블(10)의 말단이 수용부(231)에 삽입되고, 수용부(231)의 중심에 돌출된 접촉체(236)는 센터컨덕터(11)에 삽입되면서, 센터컨덕터(11), 접촉체(236), 통전체(233) 및 접속체(23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수용부(231)의 내면에는 백너트(210)의 제1결합수단(213)에 상응하는 제2결합수단(231a)이 형성된다. 이때, 제1,2결합수단(213, 231a)은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제1,2결합수단(213, 231a)은 나사산 결합방식으로 상호 체결된다.
계속해서, 수용부(231)의 내면에는 백너트(210)의 선단이 삽입돼 맞물리는 마감홈(231b)이 형성된다. 마감홈(231b)은 백너트(210) 선단과의 사이에 아웃컨덕터(13)의 말단이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해서, 아웃컨덕터(13)와 커넥팅 바디(230) 간의 긴밀한 전기적 연결을 도모한다.
결속부(232)는 포어너트(240)가 연결될 수 있다.
포어너트(240)는 상기 커넥터(200)와 다른 커넥터 또는 어댑터와의 기계적 연결을 위한 것으로, 결속부(232)를 감싸듯 고정 배치되고 내면에는 제3결합수단(241)이 형성되어서 이를 매개로 다른 커넥터 또는 어댑터와 체결될 수 있다. 참고로, 제3결합수단(241)는 나사산일 수 있다.
결국,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팅 바디(230)와, 백너트(210)가 끼워진 RF케이블(10)의 결속이 완료되고, 커넥팅 바디(230)의 결속부(232)에 포어너트(240)가 고정되어 커넥터(2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커넥터(200)를 매개로 당해 RF케이블(10)은 다른 커넥터 또는 어댑터와의 전기적/기계적 연결을 이룰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커넥터와 RF케이블의 연결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종래 클램프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RF케이블의 연결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RF커넥터 11; 센터컨덕터 12; 절연체
13; 아웃컨덕터 100,200; 커넥터 110,210; 백너트
120; 클램프 130,230; 커넥팅 바디 140,240; 포어너트

Claims (3)

  1. RF케이블(10)의 재킷(14) 둘레와 나사산 결합방식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나사산 형상의 고정탭(214)이 형성된 제1내면(211)과, 재킷(14)이 탈피돼 노출된 아웃컨덕터(13)를 감싸는 제2내면(212)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고, 외면에는 제1결합수단(213)이 형성된 백너트(210);
    백너트(210)가 삽입되고 제1결합수단(213)과 맞물려 결속되는 제2결합수단(231a)을 구비하며 백너트(210) 및 아웃컨덕터(13)의 선단이 삽입돼 맞물리면서 아웃컨덕터(13)가 밀착되는 마감홈(231b)이 형성된 수용부(231)와, 수용부(231)와 연통하는 결속부(232)와, RF케이블(10)의 센터컨덕터(11)와 통전하는 통전체(233)와, 통전체(233)와 통전하면서 결속부(232)에 위치하는 접속체(234)와, 통전체(233) 및 접속체(234)를 수용부(231) 및 결속부(232)와 절연하면서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절연형 지지대(235)와, 관 형상의 센터컨덕터(11)에 삽입되고 센터컨덕터(11)의 내면에 긴밀히 접촉하도록 센터컨덕터(11)의 내면으로 탄발하며 통전체(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체(236)로 된 커넥팅 바디(230); 및
    상기 결속부(232)를 감싸듯 고정되는 관 형상을 이루고, 다른 커넥터 또는 어댑터와의 결속을 위해 내면에는 제3결합수단(241)이 형성된 포어너트(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케이블 커넥터.
  2. 삭제
  3. 삭제
KR1020090024273A 2009-03-23 2009-03-23 알에프케이블 커넥터 KR101043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273A KR101043744B1 (ko) 2009-03-23 2009-03-23 알에프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273A KR101043744B1 (ko) 2009-03-23 2009-03-23 알에프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919A KR20100105919A (ko) 2010-10-01
KR101043744B1 true KR101043744B1 (ko) 2011-06-27

Family

ID=4312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273A KR101043744B1 (ko) 2009-03-23 2009-03-23 알에프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7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659B1 (ko) 2011-08-24 2013-02-22 주식회사 텔콘 알에프 커넥터
KR20160003975U (ko) 2015-05-11 2016-11-21 주식회사 케이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4463A (zh) * 2010-11-10 2011-02-02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射频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2862A (ko) * 1998-04-06 1999-11-25 앤드류 코포레이션 환형의 주름진 외부 도체를 갖는 동축 케이블용 원피스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2862A (ko) * 1998-04-06 1999-11-25 앤드류 코포레이션 환형의 주름진 외부 도체를 갖는 동축 케이블용 원피스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659B1 (ko) 2011-08-24 2013-02-22 주식회사 텔콘 알에프 커넥터
KR20160003975U (ko) 2015-05-11 2016-11-21 주식회사 케이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919A (ko) 201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3734B2 (en) Connector
CN101820109B (zh) 用于同轴电缆的带有限位停止部的连接器及其方法
CN102005652A (zh) 用于同轴电缆的带有保持环的连接器及其方法
CN102823068B (zh) 电缆连接系统及将电缆连接到电缆连接系统的方法
JP5062863B2 (ja) 小型丸形コネクタ組立体
US8851935B2 (en) Electrical wire harness connector
US20130143450A1 (en) Electrical Connection Bus
US9793656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140106619A1 (en) Shield connector
EP1160930A1 (en) Fitting structure of waterproof plug
TW201112522A (en) Securable connector
CN102420368A (zh) 连接器
KR0140039B1 (ko) 차폐 케이블 컨넥터
KR101043744B1 (ko) 알에프케이블 커넥터
JP2011113945A (ja) 接続構造
US20170054225A1 (en) Joint connector and wire harness
JP2008021646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KR101622212B1 (ko) 케이블커넥터
EP2973871B1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CN105531876A (zh) 插拔连接器
US7731545B1 (en) Lamp socket and contact for said socket
JP6084197B2 (ja) プラグイン構造のアルミニウム導体ケーブルのケーブル端末
JP6762784B2 (ja) 電気コネクタ
US9246244B2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JP2019220248A (ja) 多芯電線の防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