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975U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975U
KR20160003975U KR2020150003008U KR20150003008U KR20160003975U KR 20160003975 U KR20160003975 U KR 20160003975U KR 2020150003008 U KR2020150003008 U KR 2020150003008U KR 20150003008 U KR20150003008 U KR 20150003008U KR 20160003975 U KR20160003975 U KR 201600039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lamp
integral clamp
connecto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507Y1 (ko
Inventor
이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20150003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50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9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9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5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01R13/5221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having cable sea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커넥터는, 급전선의 자켓과 외부도체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일체형 클램프; 상기 일체형 클램프를 내부에 삽입 고정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선의 자켓과 접촉하는 상기 일체형 클램프의 내부 일측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에는 급전선의 외부도체와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프(Clamp)와 백 너트(Back Nut)를 일체화시킨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급전선에 체결되어 장비와 장비 간을 연결시켜주는 무선 통신의 가장 기본적인 자재이다.
커넥터는 급전선의 형태에 따라, Feeder Type, Smooth Wall Type 등으로 구분되며 상기 급전선의 형태에 따라 체결방식이 달라진다.
이 중 Feeder Type 형태의 급전선은 외부도체가 오목부 및 볼록부가 번갈아 형성된 주름진 관 형상을 하고 있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Feeder Type 형태의 급전선에 체결되는 커넥터는 백 너트(Back nut), 클램프(Clamp) 및 바디(Body)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Feeder Type 형태의 급전선에 체결되는 커넥터는, 우선 자켓의 일부가 제거된 급전선에 가스켓링과 백 너트를 결합한 후, 클램프를 급전선의 외부도체에 고정하고 마지막으로, 바디와 백 너트를 조이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보다 자세한 체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체결은 개략적으로 가스켓링 결합단계, 백 너트(Back Nut) 결합단계, 클램프(Clamp) 결합단계, 바디(Body) 결합단계 및 조임단계의 총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켓의 일부가 제거된 급전선의 외부에 가스켓링을 끼워넣는다. 이때, 상기 가스켓링은 후술할 바디의 내부로 삽입되어 커넥터 내부로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백너트의 내부에도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링이 삽입되어 있다.
다음으로, 백 너트는 급전선의 외부도체를 삽입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백 너트는 급전선의 외부도체를 삽입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상기 백 너트의 내부 직경은 급전선의 외부도체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백 너트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바디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구와 조임 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자켓 일부가 제거되어 드러난 외부도체의 일측 끝부분에 위치하도록 클램프를 상기 외부도체 상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클램프는 외측 일부가 절개된 형태(정면에서 바라보았을 경우 C자 형태)로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외부도체의 주름진 관의 오목부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는 외부도체의 일측 끝부분에 고정시켜 상기 백 너트가 급전선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외부도체의 일측 끝부분에 고정된 클램프를 중심으로 백너트와 바디가 조여지면서 급전선에서 커넥터가 이탈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바디를 백 너트에 결합시키고 조임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바디와 백 너트를 조임으로써 커넥터를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와 백 너트를 결합하여 커넥터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성의 조임을 위한 별도의 조임 장치가 필요하므로 결합 간에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커넥터의 주요 인장력이 클램프가 고정되어 있는 급전선의 외부도체에 발생하는데, 상기 외부도체의 재질 및 형태에 따라 급전선과 커넥터 간의 이탈/파단현상이 발생하므로 상술한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특성에 맞는 커넥터를 구분해서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43744호(2011.06.27 공고)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클램프와 백 너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일체형 클램프를 구비하여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체결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인장력을 강화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커넥터는 급전선의 자켓과 외부도체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일체형 클램프; 상기 일체형 클램프를 내부에 삽입 고정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선의 자켓과 접촉하는 상기 일체형 클램프의 내부 일측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에는 급전선의 외부도체와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일체형 클램프의 양 끝단에는 외측 바깥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사이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내부에는 C링이 삽입되고, 상기 일체형 클램프와 바디의 결합 시, 상기 C링은 상기 일체형 클램프의 외부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기의 일측에는 상기 C링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의 가이드부와 접촉하는 상기 C링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와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C링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의 상기 바디의 끝단 내면 둘레에는 가스켓링의 결합시 상기 가스켓링을 압박하는 가스켓링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링 돌기는 바디의 내부로 향할수록 돌출되도록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체결을 위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없으며, 체결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인장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바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는 일체형 클램프(100), 바디(200) 및 가스켓링(300)을 포함한다.
일체형 클램프(100)는 내부의 양측이 서로 다른 형상을 구비한다.
예컨대,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급전선의 자켓(410)과 접촉하는 내부 일측은 다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타측은 급전선의 외부도체(430)와 대응하는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를 급전선에 체결할 경우,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내부 일측은 급전선의 자켓(410)을 압박하여 고정하고, 내부 타측은 급전선의 외부도체(430)와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므로 일체형 클램프(100)와 급전선의 외부도체(430)를 밀착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는 상기 급전선의 자켓(410)과 외부도체(430)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는 급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한 형태가 같은 두 개의 결합을 통해 완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급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외부 양 끝단에는 돌기(110)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10) 사이에는 오목부(13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급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외부 양 끝단의 둘레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돌기(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110)의 사이에는 일정 깊이를 가지는 오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110)의 일측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형태의 가이드부(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타측은 직각의 각도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오목부(130)의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110)의 타측은 직각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30)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110)의 일측은 일정한 각도로 경상진 형태의 가이드부(150)를 구비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돌기(11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50)를 통해 후술할 바디(200)의 내부에 삽입된 C링(230)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어, 바디(200)와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결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110)의 타측은 직각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오목부(130)에 C링(230)이 삽입되면 별도의 장치를 통해 제거하지 않는 이상 C링(230)은 돌기(110)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C링(230)을 포함하는 바디(200)는 일체형 클램프(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 클램프(100)에 돌기(110)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바디(200)와의 결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200)가 일체형 클램프(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디(200)는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를 내부에 삽입 고정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C링(230)을 포함한다.
C링(230)은 상기 바디(20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바디(200)와 일체형 클램프(100)의 체결을 견고히 한다. 이때, C링(230)의 길이는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오목부(130)의 급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링(230)은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에 체결될 경우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에 형성된 돌기(110)를 지나 오목부(130)에 결합되므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C링(230)의 양 끝단 즉,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돌기(11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50)와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돌기(110)의 가이드부(150)와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C링(230)의 양 끝단을 상기 돌기(110)의 가이드부(150)와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C링(230)이 일체형 클램프(100)의 돌기(110)에 의해 저지되지 않으므로 상기 C링(230)을 포함하는 바디(200)와 일체형 클램프(100)의 결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200)의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의 끝단 내면 둘레에는 가스켓링 돌기(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링 돌기(210)는 가스켓링(300)이 바디(200)의 내부로 삽입될 경우, 상기 가스켓링(300)이 상기 가스켓링 돌기(210)에 압박되어 방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켓링 돌기(210)는 바디(200)의 내부로 향할수록 돌출되도록 경사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켓링(300)은 상기 바디(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커넥터 내부로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가스켓링(300)은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이면 관계없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고무 재질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와 급전선의 체결은 개략적으로 가스켓링(300) 결합단계, 일체형 클램프(100) 결합단계 및 바디(200) 결합단계의 총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자켓(410) 일부가 제거된 급전선의 외부에 가스켓링(300)을 끼워넣는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가스켓링(300)은 자켓(410) 일부를 제거하여 드러난 외부도체(430)의 후면에 위치하는 자켓(410) 상에 끼워넣어 후술할 바디(200)와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켓링(300)은 바디(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커넥터 내부로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일체형 클램프(100)를 급전선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는 내부의 양측이 서로 다른 형상을 구비한다. 예컨대,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급전선의 자켓(410)과 접촉하는 내부 일측은 다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타측은 급전선의 외부도체(430)와 대응하는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를 급전선에 체결할 경우,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내부 일측은 급전선의 자켓(410)을 압박하여 고정하고, 내부 타측은 급전선의 외부도체(430)와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므로 일체형 클램프(100)와 급전선의 외부도체(430)는 밀착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는 상기 급전선의 자켓(410)과 외부도체(430)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는 급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한 형태가 같은 두 개의 결합을 통해 완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급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외부 양 끝단에는 돌기(110)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10) 사이에는 오목부(13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급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외부 양 끝단의 둘레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돌기(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110)의 사이에는 일정 깊이를 가지는 오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110)의 일측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형태의 가이드부(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타측은 직각의 각도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오목부(130)의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110)의 타측은 직각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30)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110)의 일측은 일정한 각도로 경상진 형태의 가이드부(150)를 구비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돌기(11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50)를 통해 후술할 바디(200)의 내부에 삽입된 C링(230)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어, 바디(200)와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결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110)의 타측은 직각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오목부(130)에 C링(230)이 삽입되면 별도의 장치를 통해 제거하지 않는 이상 C링(230)은 돌기(110)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C링(230)을 포함하는 바디(200)는 일체형 클램프(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 클램프(100)에 돌기(110)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바디(200)와의 결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200)가 일체형 클램프(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에 바디(200)를 결합한다.
상기 바디(200)는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를 내부에 삽입 고정하며, 내부에는 C링(230)을 포함한다.
상기 C링(230)은 상기 바디(20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바디(200)와 일체형 클램프(100)의 체결을 견고히 한다. 이때, C링(230)의 길이는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오목부(130)의 급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링(230)은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에 체결될 경우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에 형성된 돌기(110)를 지나 오목부(130)에 결합되므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C링(230)의 양 끝단 즉,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돌기(11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50)와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돌기(110)의 가이드부(150)와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C링(230)의 양 끝단을 상기 돌기(110)의 가이드부(150)와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C링(230)이 일체형 클램프(100)의 돌기(110)에 의해 저지되지 않으므로 상기 C링(230)을 포함하는 바디(200)와 일체형 클램프(100)의 결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200)의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의 끝단 내면 둘레에는 가스켓링 돌기(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링 돌기(210)는 가스켓링(300)이 바디(200)의 내부로 삽입될 경우, 상기 가스켓링(300)이 돌기(110)에 압박되어 방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켓링 돌기(210)는 바디(200)의 내부로 향할수록 돌출되도록 경사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클램프와 백 너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일체형 클램프(100)를 구비하므로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체결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급전선의 탈피작업 이외에는 체결 과정간에 공구가 필요하지 않아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일체형 클램프(100)가 급전선의 자켓(410)과 외부도체(430)를 동시에 잡아주는 구조로 되어있어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인장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일체형 클램프
110 : 돌기
130 : 오목부
150 : 가이드부
200 : 바디
210 : 가스켓링 돌기
230 : C링
300 : 가스켓링
410 : 자켓
430 : 외부도체

Claims (8)

  1. 급전선의 자켓과 외부도체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일체형 클램프;
    상기 일체형 클램프를 내부에 삽입 고정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선의 자켓과 접촉하는 상기 일체형 클램프의 내부 일측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에는 급전선의 외부도체와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클램프의 양 끝단에는 외측 바깥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사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내부에는 C링이 삽입되고,
    상기 일체형 클램프와 바디의 결합 시, 상기 C링은 상기 일체형 클램프의 외부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일측에는 상기 C링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가이드부와 접촉하는 상기 C링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와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링은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의 상기 바디의 끝단 내면 둘레에는 가스켓링의 결합시 상기 가스켓링을 압박하는 가스켓링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링 돌기는 바디의 내부로 향할수록 돌출되도록 경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20150003008U 2015-05-11 2015-05-11 커넥터 KR200482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008U KR200482507Y1 (ko) 2015-05-11 2015-05-11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008U KR200482507Y1 (ko) 2015-05-11 2015-05-11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975U true KR20160003975U (ko) 2016-11-21
KR200482507Y1 KR200482507Y1 (ko) 2017-02-02

Family

ID=5770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008U KR200482507Y1 (ko) 2015-05-11 2015-05-11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507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0032A1 (en) * 2006-05-18 2007-11-22 Kim Eriksen Sleeve for securing a cable in a connector
KR101043744B1 (ko) 2009-03-23 2011-06-27 주식회사 텔콘 알에프케이블 커넥터
CN202094347U (zh) * 2011-04-13 2011-12-28 江苏荣联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铝合金光滑杆电缆射频同轴连接
KR20130078183A (ko) *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 해강아이엔씨 커넥터
CN203250863U (zh) * 2013-02-06 2013-10-23 陕西华达电子科技有限公司 配接环状皱纹管或光滑管电缆的射频同轴连接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0032A1 (en) * 2006-05-18 2007-11-22 Kim Eriksen Sleeve for securing a cable in a connector
KR101043744B1 (ko) 2009-03-23 2011-06-27 주식회사 텔콘 알에프케이블 커넥터
CN202094347U (zh) * 2011-04-13 2011-12-28 江苏荣联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铝合金光滑杆电缆射频同轴连接
KR20130078183A (ko) *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 해강아이엔씨 커넥터
CN203250863U (zh) * 2013-02-06 2013-10-23 陕西华达电子科技有限公司 配接环状皱纹管或光滑管电缆的射频同轴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507Y1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1323B2 (en) Waterproof connector
US8562381B2 (en) Connector
US6776657B1 (en) Connector capable of connecting to coaxial cable without using tool
US9917396B2 (en) Device connector
CA2830104C (en) Flexible metal conduit to electrical metallic tubing/rigid conduit transition coupler
ITMI940351A1 (it) Connettore a innesto per cavo coassiale con conduttore esterno a tubo ondulato
CN102823068A (zh) 电缆连接系统及将电缆连接到电缆连接系统的方法
KR200434256Y1 (ko) 고압호스 연결구
WO2018148814A1 (pt) Conector para cabo de fibra óptica e mordente para cabo de fibra óptica
CN103424815B (zh) 光连接器
JP6604516B2 (ja) 防水コネクタ
KR200482507Y1 (ko) 커넥터
US9147978B2 (en) Shield connector
US9960528B2 (en) Electric device
JP6590853B2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JP2007087874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150114293A (ko) 가요전선관 커넥터
JP2011175775A (ja) コネクタ
KR101095471B1 (ko) 케이블접속구조체
KR101768822B1 (ko) 전선 고정용 커플러
KR20160000451U (ko) 전기배선관 커넥터
KR20100133887A (ko) 배선관연결구
EP3537548A3 (en) Vibration limiting compression protrusions
KR101891042B1 (ko) 나사형 결합 너트 및 고정 고리를 갖춘 전기 조립체
KR200479605Y1 (ko)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