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635B1 - 방충창 및 이를 구비한 온실 - Google Patents

방충창 및 이를 구비한 온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635B1
KR101042635B1 KR1020100113659A KR20100113659A KR101042635B1 KR 101042635 B1 KR101042635 B1 KR 101042635B1 KR 1020100113659 A KR1020100113659 A KR 1020100113659A KR 20100113659 A KR20100113659 A KR 20100113659A KR 101042635 B1 KR101042635 B1 KR 101042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greenhouse
window fram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창
고석남
Original Assignee
화신농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4057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4263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화신농건(주) filed Critical 화신농건(주)
Priority to KR102010011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충창 및 이를 구비한 온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실에 구비되는 창을 열어도 해충이 온실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창을 간편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여, 농약사용을 줄이고 친환경적으로 재배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충창 및 이를 구비한 온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방충창의 주요구성은, 상측의 테두리를 이루고 내부가 폐쇄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부프레임; 하측의 테두리를 이루는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방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방을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상·하부프레임의 후방을 제외한 모든 테두리를 연결하며 구비되어, 해충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메쉬망(Mesh Assembly)으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방충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방충창을 온실의 지붕프레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실의 지붕프레임에 창틀·창문프레임을 설치하여 창을 구비하되, 상기 창을 메쉬망(Mesh Assembly)으로 이루어진 방충망이 구비된 방충창으로 설치하여, 창을 열어도 해충이 온실 내부로 들어오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해충을 없애기 위해 사용하는 농약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이에 친환경적으로 재배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충창 및 이를 구비한 온실{Moth-proof watch and the used Green House}
본 발명은 방충창 및 이를 구비한 온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실에 구비되는 창을 열어도 해충이 온실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창을 간편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여, 농약사용을 줄이고 친환경적으로 재배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충창 및 이를 구비한 온실에 관한 것이다.
온실이란, 식물의 주요 생육환경인 광선 ·온도 ·습도를 인공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든 건축물로, 그 지붕 모양에 따라 양쪽지붕형[兩面式], 3/4식[不等式], 외쪽지붕형[片面式], 반원형식(半圓形式), 연동식(連棟式) 등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난방시설을 갖춘 유리실을 온실이라고 하는데, 유리로 건조되었어도 난방시설이 없는 것은 온실과 구분하여 유리실(glass house)이라고 하며, 난방장치가 되어 있는 비닐하우스는 온실에 포함된다.
그러나 최근 온실은 난방과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어 온도의 조절폭이 넓어지고 있으며, 온도와 공중습도 및 광선까지를 완전히 조절할 수 있는 온실은 인공기상실(人工氣象室)이라고 한다.
상기 온실은, 작물의 촉성재배(促成栽培)와 억제재배(抑制栽培)가 가능하여 1년 중 계속해서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고, 노지(露地)에서는 재배가 되지 않는 특수 농작물을 재배하고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면적에서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그리고 여러 농작물의 생육단계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교배육종(交配育種)에 널리 이용되며, 온도, 습도, 광선을 조절하여 작물의 반응을 조사함으로써 환경과 작물생육의 관계를 연구할 수 있고, 열대 및 아열대 식물을 보호하고 육성함으로써 교육시설로 이용할 수 있는 등의 경제적, 학문적, 교육적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상기 온실은 시설비와 관리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는 어려운 점도 있는데, 한번 시설을 하면 반영구적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면 경제적으로 유리한 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온실의 종류를 나눌 때는 건축재료에 따라 목조(木造)온실, 철조(鐵造)온실, 반철조(半鐵造)온실, 알루미늄온실 등으로, 사용목적에 따라 가정온실, 표본식물온실, 실험용 온실, 영리생산온실 등으로, 재배하는 식물에 따라서 화훼온실, 채소온실, 과수온실, 일반작물온실 등으로 구분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온실의 지붕 모양에 따라 양쪽지붕형[兩面式] 온실, 3/4식[不等式] 온실, 외쪽지붕형[片面式] 온실, 반원형식(半圓形式) 온실 및 연동식(連棟式) 온실 등으로 나눈다.
상기 양쪽지붕형 온실은, 자연상태에 가까운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구조로서, 지붕의 양쪽 길이 및 경사각도가 같도록 설계된 것으로 태양광선이 위로부터 균일하게 투사되고 천장이나 옆의 창문을 전부 열어 놓으면 통풍이 좋으므로 각종 작물재배에 가장 적당한 형태의 온실이다.
그리고 상기 3/4식 온실은, 지붕의 길이가 남쪽면과 북쪽면이 3:1의 비율이 되도록 만든 구조로서, 광선의 투과를 좋게 하기 위하여 동서(東西)로 길게 배치하며 겨울철에 보온은 잘 되지만 충분한 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로 고온을 필요로 하거나 고온에 견디는 작물재배에 이용된다.
또한, 상기 외쪽지붕형 온실은, 건물벽 또는 축대의 남쪽을 이용하는 것으로 지붕의 북쪽은 높고 남쪽은 낮게 하는, 온실 중에서 가장 간단한 구조를 가졌기 때문에 시설비가 적게 들고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어서 가정용 및 취미용으로 많이 이용되며, 소규모 영리생산용으로도 이용된다. 그리고 겨울철의 보온면에서는 유리하나 통풍이 불충분하고 광선도 남쪽으로 제한되어 작물이 한쪽 방향으로만 생육을 하며 여름철에는 고온다습하다.
한편, 상기 반원형 온실은, 지붕 모양이 반원에 가까운 것으로서 광선이 균일하게 투사되기 때문에 실내의 조도(照度)가 높고 온실 내의 공간이 넓다. 그리고 대개 표본식물 재배용으로 공원, 유원지, 학교 등에서 이용하고 있으며, 연동식 온실은 2동(棟) 이상의 온실이 연결된 형태를 말하는데 보통 양쪽지붕형 온실이 연동식으로 이용된다. 이 형은 시설비용과 연료 등을 절약하는 면에서는 유리하나 광선의 투사 및 통기가 불충분하고 연결부의 재료가 부패되기 쉬워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온난지(溫暖地)나 난방시설이 충분한 곳에서는 온도관리가 용이하고 단위면적당 건축비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상기 온실을 건축할 장소를 선택할 때에는, 태양광선의 이용가능성, 지하수위의 높이, 수질, 통풍상태, 각종 작업수행상의 편리성 등을 고려해야 하며, 온실은 동서로 길게 하거나 남북으로 길게 건축하는 것이 보통인데, 동서동(棟)은 겨울철에 태양열의 이용이 유리하므로 온도가 낮은 계절에만 집중적으로 온실을 이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적합하지만, 남북동은 저온기의 보온과 고온기의 환기 및 냉방이 용이하므로 연중 계속해서 온실을 이용해야 할 경우에는 남북동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실의 난방방법에도 전열(電熱)난방, 보일러를 이용한 증기난방 및 각종 난로를 이용한 열풍(熱風)난방 등이 있으므로, 온실의 규모와 목적에 따라서 알맞은 방법을 선택해야 하며, 이와 같이 온실을 설계하고 건축하는 데에는 상당히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각 분야별 전문가들과 상담을 거쳐서 목적에 알맞게 계획하여 건축을 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온실에 있어서, 통풍을 위해 창을 형성하게 되는바, 상기 창을 열어서 통풍을 할 때 외부에 있던 해충이 온실 내부에 들어와 재배작물에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창을 열게 되면 해충이 온실 내부로 들어오게 되고, 이에 상기 해충이 온실 내의 재배작물을 먹어 상품성을 떨어뜨리고, 해충에 의한 바이러스가 급속히 전파되어 재배작물에 막대한 피해를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해충의 알이 재배작물에 부착되면, 상기 재배작물의 상품성이 없어져 판매를 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농가의 수입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상기 해충이 온실 내부에 침입하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농약을 살포하게 되어 재배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농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재배가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해충이 온실의 내외부를 자유롭게 이동하게 됨에 따라, 천적 또는 유해한 해충에 의해 재배작물이 막대한 피해를 입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이에, 측면부에 고정식으로 방충망을 설치하고는 있으나 비나 눈 또는 바람 등의 영향을 많이 받아 그 실효성이 떨어지게 되고, 보온을 위해 고정식 방충망을 막는 별도의 바람막이 등이 필요하게 되어 사용상 애로점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온실에 구비되는 창에 방충망을 설치하여, 창을 열어도 해충이 온실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농약사용을 줄이고 친환경적으로 재배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충창 및 이를 구비한 온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친환경적인 재배작물로 재배하여 출하시 가격 경쟁력을 높여 농가의 수입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농약 살포에 따라 해충이 내성을 가지게 되므로, 농약 살포를 최대한 줄여 해충이 내성을 가지지 못하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이때 상기 창을 간편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창 개폐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충창은, 상측의 테두리를 이루고 내부가 폐쇄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부프레임; 하측의 테두리를 이루는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방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방을 연결하여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이 후방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힌지부; 및, 상기 상·하부프레임의 후방을 제외한 모든 테두리를 연결하며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하부프레임의 전방이 벌어졌을 때 상기 벌어진 부분으로 해충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메쉬망(Mesh Assembly)으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방충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이식 방충망은, 전방과 양측이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재봉되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하돌출부;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방에서 상향 연장되어 구비되는 상돌출부; 및, 상기 상돌출부와 하돌출부를 수평상 연결하며 결합하는 힌지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투명창으로 내부가 폐쇄되어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상부프레임은 내측에 하향 절곡되는 하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내측에 상향 절곡되는 상돌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돌부와 상돌부 각각의 둘레 외측에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력으로 설치되는 러버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양 러버에 상기 접이식 방충망의 상측과 하측이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하돌부의 내주연에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부프레임과 전방이 접할 때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주연과 밀착되어 밀폐성을 부여하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충창이 구비된 온실은, 세워 설치되는 다수의 벽체프레임 상부를 연결하며 구비되어 온실의 지붕을 구성하는 지붕프레임; 상기 지붕프레임의 일개소를 관통한 둘레에 설치되는 창틀프레임; 상기 창틀프레임의 후방을 제외한 전방면과 양측면 상부 둘레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 후방이 상기 창틀프레임의 후방과 힌지부로 결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창틀프레임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창문프레임; 상기 창문프레임의 후방을 제외한 전방면과 양측면 하부 둘레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및, 상측 둘레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측 둘레 하부와 결합되고, 하측 둘레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 둘레 상부와 결합되며, 상기 창문프레임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전방이 벌어졌을 때 상기 벌어진 부분으로 해충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메쉬망(Mesh Assembly)으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방충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이식 방충망은, 전방과 양측이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재봉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프레임은 내측에 하향 절곡되는 하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내측에 상향 절곡되는 상돌부 더 포함하되, 상기 하돌부와 상돌부 각각의 둘레 외측에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력으로 설치되는 러버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양 러버에 상기 접이식 방충망의 상측과 하측이 각각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하돌부의 내주연에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부프레임과 전방이 접할 때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주연과 밀착되어 밀폐성을 부여하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창문프레임을 회동시켜 개폐동작을 구현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창문프레임의 전방 내측에 하향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편; 상기 창문프레임의 하부에 전후방 방향으로 설치되고, 일부분에 숫나사부가 구비되며, 일측에 상스프로킷이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숫나사부와 대응하는 암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동구; 상측은 상기 돌출편과 상회동축으로 연결되고, 하측은 상기 유동구와 하회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동구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창문프레임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동작구; 상기 상스프로킷의 하측에 구비되고, 일측에 회전손잡이가 구비되는 하스프로킷; 및, 상기 상스프로킷과 하스프로킷을 연결하며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상기 상스프로킷으로 전달하는 체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회전축은, 상기 숫나사부의 전방 끝단과 후방 끝단에 상기 유동구의 이동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간격유지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창문프레임의 전방 내측에 하향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편; 상기 창문프레임의 하부에 전후방 방향으로 설치되고, 일부분에 숫나사부가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숫나사부와 대응하는 암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동구; 상측은 상기 돌출편과 상회동축으로 연결되고, 하측은 상기 유동구와 하회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동구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창문프레임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동작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은, 상기 숫나사부의 전방 끝단과 후방 끝단에 상기 유동구의 이동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간격유지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창문프레임은, 투명창으로 내부가 폐쇄되어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힌지부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후방 또는 상기 창틀프레임이 설치된 상기 지붕프레임 둘레의 후방에 상향 돌출되되, 끝단이 라운드로 형성되는 내힌지; 상기 창문프레임의 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끝단이 내측으로 라운드로 절곡되어 상기 내힌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힌지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방충창 및 이를 구비한 온실에 따르면, 온실의 지붕프레임에 창틀·창문프레임을 설치하여 창을 구비하되, 상기 창을 메쉬망(Mesh Assembly)으로 이루어진 방충망이 구비된 방충창으로 설치하여, 창을 열어도 해충이 온실 내부로 들어오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해충을 없애기 위해 사용하는 농약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이에 친환경적으로 재배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친환경적인 재배작물로 재배하여 출하시 가격 경쟁력이 높아 농가의 수입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농약 살포가 줄어들어, 해충이 내성을 가지지 못하여 해충을 더욱 간단히 없앨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방충창을 간편하게 열고 닫을 수 있어, 창 개폐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방충창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방충창의 열린 상태의 요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방충창의 닫힌 상태의 요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방충창이 구비된 온실의 도면
도 5는 도 4에 따른 방충창이 열린 상태를 보인 요부단면도
도 6은 도 4에 따른 방충창이 닫힌 상태를 보인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방충창이 구비된 온실의 방충창을 개폐하는 개폐부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방충창이 구비된 온실의 방충창을 개폐하는 개폐부재의 다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온실의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방충창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충창의 열린 상태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방충창의 닫힌 상태의 요부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측의 테두리를 이루고 내부가 폐쇄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부프레임(100); 하측의 테두리를 이루는 하부프레임(110);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후방과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후방을 연결하여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0)이 후방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힌지부(H); 및, 상기 상·하부프레임(100)(110)의 후방을 제외한 모든 테두리를 연결하며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0)이 상기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하부프레임(100)(110)의 전방이 벌어졌을 때 상기 벌어진 부분으로 해충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메쉬망(Mesh Assembly)으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방충망(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방충창은,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110) 및 힌지부(H)와 접이식 방충망(12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110)은 후방이 힌지부(H)로 연결되고,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110)의 후방을 제외한 전방과 양측면을 연결하며 접이식 방충망(1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H)에 의해 상부프레임(100)이 회동하여 상·하부프레임(100)(110)의 전방과 양측이 개방되면 본 발명 방충창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순환하며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이 상기 상·하부프레임(100)(110)의 전방과 양측의 개방된 부분을 막고 있으므로, 외부의 해충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며 원환하게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사각 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측의 테두리를 이루되, 후방을 제외한 전방과 양측은 모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도면과 같이 테두리 부분은 일정한 단면 형상으로 후방을 제외한 전방과 양측으로 돌아가며 형성되고, 그 중앙부분은 투명창(30)으로 내부가 폐쇄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투명창(30)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상부프레임(100)을 제작시 중앙부분이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투명창(30)을 유리재질 또는 투명플라스틱재질 등으로 구비할 수 있는 등, 상기 투명창(30) 부분에 대한 단순 설계변형 및 재질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테두리 내측에는, 하향 절곡된 후 다시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하돌부(102)가 형성되는바, 상기 하돌부(102)의 내측면이 이루는 내주연으로 상기 투명창(30)의 외주연이 부착되며 상기 투명창(30)이 상부프레임(10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돌부(102)의 내측 내주연에는 하향 돌출된 형상의 밀폐부재(103)가 후방을 제외한 전방과 양측으로 돌아가며 구비되는바, 상기 밀폐부재(103)는 도 3과 같이 상기 힌지부(H)를 중심으로 상부프레임(100)이 회동하여 상·하부프레임(100)(110)의 전방이 밀착되었을 때, 상기 밀폐부재(103)가 하부프레임(110)의 테두리 내주연과 밀착되며 밀폐성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하돌부(102)의 둘레 외측에는 러버(130)가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의 상측이 상기 러버(130)와 결합되고, 하돌부(102)는 상부프레임(100)의 내측에서 하향 절곡된 후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대략 "⊃"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103)는,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후크가 구비되어 상기 하돌부(102)의 내측면에 도면과 같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러버(130)는, 고무재질로 상기 하돌부(102)와 대응하는 대략 "⊃" 형상을 이루어져,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하돌부(102)가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러버(130)의 꺽어지는 각도를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공간에 자체 탄성력으로 설치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러버(130)는, 외측으로 더 돌출된 부분을 구비하여, 상기 돌출된 부분에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의 상측을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러버(13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의 상측과 재봉으로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접착제에 의한 결합이나 기타 결합부재를 이용한 결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러버(130)와 접이식 방충망(120)의 상측을 결합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은 결합에 따른 단순 설계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하부프레임(110)은,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같이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사각 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측의 테두리를 이루되, 후방을 제외한 전방과 양측은 모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도면과 같이 테두리 부분은 일정한 단면 형상으로, 후방은 개방되어 제외된 상태로 전방과 양측으로 돌아가며 형성되고, 그 중앙부분은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내측은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내측과 동일하게 형성되는바, 하부프레임(110)의 내측에 상기 하돌부(102)와 대응하는 형상의 상돌부(112)가 상향 절곡된 후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돌부(112)와 하부프레임(110)이 이루는 공간에도 러버(130)가 결합되어, 도면과 같이 상기 러버(13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의 하측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러버(130)와 접이식 방충망(120) 하측도 재봉으로 결합함이 바람직하나 접착제에 의한 결합이나 기타 결합부재를 이용한 결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러버(130)와 접이식 방충망(120)의 하측을 결합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은 단순 설계변형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힌지부(H)는, 도면과 같이 상부프레임(100)의 후방에 후방으로 돌출된 하돌출부(101)와, 하부프레임의 후방에 상부로 돌출된 상돌출부(111)와, 상기 하돌출부(101)와 상돌출부(111)를 관통하며 수평상 연결하며 결합하는 힌지축(S)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힌지부(H)에 의해 상부프레임(100)이 회동하여 상·하부프레임(100)(110)의 전방이 벌어지거나 접할 때,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110)의 후방은 밀폐된 구조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힌지부(H)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상·하부프레임(100)(110)의 후방측이 회동에 관계없이 밀폐성이 부여되도록 하돌출부(101)와 상돌출부(111)를 형성해도 되고, 상기 상·하부프레임(100)(110)의 후방측 접합부분에 밀폐성을 부여할 수 있는 패킹을 결합하여도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프레임(100)이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하부프레임(100)(110)의 전방이 벌어지더라도, 상기 상·하부프레임(100)(110)의 후방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하부프레임(100)(110)의 전방과 양측을 통해 환기가 이루어짐과 함께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은, 도면과 같이 상측은 상부프레임(100)에 구비된 러버(130)에 결합되고 하측은 하부프레임(110)에 구비된 러버(130)에 결합되는바, 전방과 양측이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재봉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접이식 방충망(120)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힌지부(H)를 중심으로 상부프레임(100)이 회동하여 상·하부프레임(100)(110)의 전방이 밀착된 상태에서는 절첩식으로 접히며 밀착된 형상으로 변형되고, 상기 상·하부프레임(100)(110)의 전방이 벌어진 상태에서는 절첩식으로 펴지며 지그재그 형상으로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을 지그재그 형태로 재봉하면, 양 측면부분은 도면과 같이 중심측으로 모여지며 재봉된 형상을 이루게 되어, 양측에서 각각 절첩되어 접히는 부피가 줄어들어 본 발명의 목적을 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을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하지 않고, 물결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쉽게 말아지는 형태로 접이식 방충망(120)을 형성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은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의 단순 형상변형 및 형상변형에 따른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은, 흔히 사용되는 모기장과 같은 것으로, 일명 메쉬망(Mesh Assembly)이라고도 한다.
이에, 해충의 종류에 따라 메쉬망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을 형성하여 본 발명 방충창을 제작하여 설치함이 바람직하고, 이에 본 발명 방충창이 설치되는 장소 및 주변 환경에 맞추어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을 형성하는 메쉬망의 크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2에서는 상·하부프레임(100)(110)의 전방 부분에 위치하는 접이식 방충망(120) 형상을 단면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상·하부프레임(100)(110)의 양측 부분도 동일한 형태로 접이식 방충망(120)이 결합되어 위치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상·하부프레임(100)(110)에 각각 하·상돌부(102)(112)를 형성하지 않음과 함께 러버(130)를 결합하지 않고, 직접 접이식 방충망(120)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상·하부프레임(100)(110)의 각각의 내측 하면과 상면에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접착제로 접착하여 구성하여도, 상기 힌지부(H)에 의해 상부프레임(100)이 회동하여 상·하부프레임(100)(110)의 전방이 벌어졌을 때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에 의해 환기가 이루어짐과 함께 해충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 접착제 외에도 접착테이프나 실리콘 등으로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을 상·하부프레임(100)(110)에 직접 부착하여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프레임(100)(110)에 각각 러버(130)를 결합하지 않고, 직접 접이식 방충망(120)을 결합한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방충창은, 방충창이 설치될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상기 하부프레임(11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상측에는 상부프레임(100)이 힌지부(H)에 의해 연결되어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상·하부프레임(100)(110)의 후방을 제외한 전방과 양측 둘레를 연결하며 접이식 방충망(120)이 결합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H)가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하부프레임(110)을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힌지부(H)가 하측에 위치하면 힌지부(H)를 중심으로 상부프레임(100)이 회전하여 상·하부프레임(100)(110)의 전방이 개방되면, 환기에는 크게 문제가 없으나 비나 눈이 올 경우,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접이식 방충망(120)을 통과하여 내측으로 비나 눈이 들어오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힌지부(H)가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의해 비나 눈이 내측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방충창이 설치된 후에는, 사용자는 상부프레임(100)을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며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에 의해 환기가 이루어질 때에도, 해충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이 차단되어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방충창이 구비된 온실의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방충창이 열린 상태를 보인 요부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따른 방충창이 닫힌 상태를 보인 요부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방충창이 구비된 온실의 방충창을 개폐하는 개폐부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세워 설치되는 다수의 벽체프레임(2) 상부를 연결하며 구비되어 온실의 지붕을 구성하는 지붕프레임(1); 상기 지붕프레임(1)의 일개소를 관통한 둘레에 설치되는 창틀프레임(10); 상기 창틀프레임(10)의 후방을 제외한 전방면과 양측면 상부 둘레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110); 후방이 상기 창틀프레임(10)의 후방과 힌지부(H)로 결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창틀프레임(10)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창문프레임(20); 상기 창문프레임(20)의 후방을 제외한 전방면과 양측면 하부 둘레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100); 및, 상측 둘레는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내측 둘레 하부와 결합되고, 하측 둘레는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내측 둘레 상부와 결합되며, 상기 창문프레임(20)이 상기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창문프레임(20)과 창틀프레임(10)의 전방이 벌어졌을 때 상기 벌어진 부분으로 해충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메쉬망(Mesh Assembly)으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방충망(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 방충창이 구비된 온실은, 기 설명한 방충창을 온실의 지붕프레임(1)에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상·하부프레임(100)(110)에 접이식 방충망(120)이 결합된 구성을, 온실의 상기 지붕프레임(1)에 설치하기 위한 창틀프레임(10)과 창문프레임(20)이 구비되고 힌지부(H)가 변형된 것이다.
이때 상기 창틀프레임(10)은, 지붕프레임(1)의 일개소에만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온실의 크기 또는 환기에 필요한 방충창의 개수 등에 따라 다수개로 결합됨은 물론이며, 다수개소에 창틀프레임(10)이 결합된다 하여도 동일한 구성 및 결합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일개소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고 명세서에 기술함을 강조한다.
그리고 상기 방충창은, 온실의 지붕프레임(1)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온실의 벽체프레임(2)에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벽체프레임(2)에 방충창을 구비할 경우에는, 상기 힌지부(H)가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힌지부(H)가 하측에 위치하면 힌지부(H)를 중심으로 상부프레임(100)이 회전하여 상·하부프레임(100)(110)의 전방이 개방되면, 환기에는 크게 문제가 없으나 비나 눈이 올 경우,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접이식 방충망(120)을 통과하여 내측으로 비나 눈이 들어오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힌지부(H)가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의해 비나 눈이 내측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온실은, 세워 설치되는 다수의 벽체프레임(2) 상부를 다수의 지붕프레임(1)이 연결하며 구비된다.
이때 전방과 후방에 설치된 벽체프레임(2)의 상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붕프레임(1)이 중앙이 높은 형상을 이루며 온실을 형성하되, 상기 중앙 부분에는 이를 지탱하기 위한 연결프레임(3)이 구비됨은 물론인바, 이와 같은 온실의 구조는 통상 사용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일측의 지붕프레임(1)에 방충창을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양측의 지붕프레임(1)에 각각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양측에 설치된다 하여도 대칭으로 설치됨에 따라 일측의 지붕프레임(1)에 방충창을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고 기술함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상기 온실의 지붕프레임(1)이 일측으로 높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높아지는 온실의 지붕프레임(1)을 따라 복수열로 방충창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 라운드로 이루어지는 지붕프레임(1)의 일측 또는 양측에 각각 일렬 또는 복수열로 방충창을 형성할 수도 있는바, 이와 같이 상기 온실의 지붕프레임(1) 형상 및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방충창을 배열하여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창틀프레임(10)은,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어 지붕프레임(1)의 방충창을 설치할 일개소를 관통한 둘레에 테두리를 이루며 결합된다.
즉, 도면과 같은 프레임 형상으로 방충창이 설치될 구멍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것이며,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인바, 상기 창틀프레임(1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창문프레임(20)은,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창틀프레임(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후방이 상기 창틀프레임(10)의 후방과 힌지부(H)로 연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창문프레임(20)이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창틀프레임(10)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즉, 상기 힌지부(H)를 중심으로 창문프레임(20)을 회동시키되, 상기 창문프레임(20)과 창틀프레임(10)의 전방이 벌어진 상태는 창틀프레임(10)의 내부가 개방되어 온실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통하며 환기가 이루어지고, 상기 창문프레임(20)과 창틀프레임(10)의 전방이 밀착된 상태는 창틀프레임(10)의 내부가 폐쇄된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창문프레임(20)은, 내부가 관통된 형상의 사각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된 부분은 도면과 같이 투명창(30)이 구비되거나 상기 창문프레임(20)을 제작시 폐쇄된 상태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힌지부(H)는, 상기 창틀프레임(10)이 설치된 위치의 후방에 구비되는 연결프레임(3)에 상향 돌출되어 끝단이 라운드로 형성된 내힌지(11)와, 상기 창문프레임(20)의 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끝단이 내측으로 라운드로 절곡되어 상기 내힌지(11)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힌지(21)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면에서는, 중앙이 높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붕프레임(1)의 상단에 방충창을 구비함에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3)에 내힌지(11)를 구비하였으나, 상기 지붕프레임(1) 일측의 중간 부분에 방충창을 구비할 경우에는 상기 창틀프레임(10)의 후방이 위치하는 지붕프레임(1)에 상기 내힌지(11)가 구비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내힌지(11)가 구비되는 위치는, 상기 지붕프레임(1)의 형상과 방충창이 구비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내힌지(11)가 구비됨은 물론이며, 이와 같은 방충창의 위치에 따른 내힌지(11)의 위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내힌지(11)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후방측으로 연장된 끝단이 라운드로 형성되고, 상기 외힌지(21)는 창틀프레임(10)의 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끝단이 내측으로 라운드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도면과 같이 상기 내힌지(11)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내힌지(11)의 외부에 외힌지(21)를 감싸도록 결합하면, 상기 라운드로 이루어진 내힌지(11)와 외힌지(21)에 의해, 고정된 내힌지(11)를 중심으로 외힌지(21)가 회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힌지부(H)를 내힌지(11)와 외힌지(21)가 아닌 힌지축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바, 상기 창틀프레임(10)의 후방과 창문프레임(20)의 후방을 연결하며 상기 창문프레임(20)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H)에 대한 단순 설계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창틀프레임(10)의 상부에는 하부프레임(110)이 결합되고, 상기 창문프레임(20)의 하부에는 상부프레임(100)이 결합되어, 상기 창문프레임(20)의 힌지부(H)를 중심으로 한 회동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100)도 함께 회동하며,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에 의해 환기와 함께 해충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창틀프레임(10)에 하부프레임(110)을 결합하고, 상기 창문프레임(20)에 상부프레임(100)을 결합하는 구성은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나사못이나 리벳 등으로 결합함은 물론이며, 이들 외에도 결합구성은 많은 것들이 사용되고 있는바, 다양한 결합구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결합하면 된다.
한편, 상기 온실의 지붕프레임(1)에 방충창이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창문프레임(20)까지 손이 닿지 않으므로, 환기를 위해 창문프레임(20)을 회동시킬 수 있는 개폐부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창문프레임(20)의 전방 내측에 하향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편(22); 상기 창문프레임(20)의 하부에 전후방 방향으로 설치되고, 일부분에 숫나사부(51)가 구비되며, 일측에 상스프로킷(53)이 구비되는 회전축(50); 상기 숫나사부(51)와 대응하는 암나사부(61)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동구(60); 상측은 상기 돌출편(22)과 상회동축(C1)으로 연결되고, 하측은 상기 유동구(60)와 하회동축(C2)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동구(6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창문프레임(20)이 상기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동작구(40); 상기 상스프로킷(53)의 하측에 구비되고, 일측에 회전손잡이(55)가 구비되는 하스프로킷(54); 및, 상기 상스프로킷(53)과 하스프로킷(54)을 연결하며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상기 회전손잡이(55)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스프로킷(54)의 회전력을 상기 상스프로킷(53)으로 전달하는 체인(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50)은, 전후방 방향으로 설치된 양 벽체프레임(2)의 상측을 연결하며 자유회전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창틀프레임(10)의 직하부에 구비되고, 중앙 일부분에 숫나사부(51)가 구비되며, 일측에 상스프로킷(5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스프로킷(53)의 하부에는 회전손잡이(55)가 구비된 하스프로킷(54)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스프로킷(53)(54)은 체인(56)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하스프로킷(54)은 사용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에, 상기 회전손잡이(55)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하스프로킷(54)을 회전시키면, 상기 체인(56)에 의해 상스프로킷(53)도 회전하게 되어 회전축(5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동구(60)는, 상기 회전축(50)의 숫나사부(51)와 대응하는 암나사부(61)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50)의 회전에 따라 나사체결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구(60)의 상부에 상기 동작구(40)의 하부가 하회동축(C2)으로 연결되고, 상기 동작구(40)의 상부는 상기 창문프레임(20)의 전방 내측에서 하향 돌출된 돌출편(22)과 상회동축(C1)으로 연결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50)의 숫나사부(51) 전방과 후방 끝단의 양측에는, 간격유지구(52)가 결합 고정되어 상기 유동구(6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개폐부재는, 상기 창문프레임(20)과 창틀프레임(10)의 전방이 접한 상태가 되면, 상기 유동구(60)는 숫나사부(51)의 후방측 끝단에 고정된 간격유지구(52)와 접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동구(60)가 숫나사부(51)의 전방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유동구(60)와 하부가 연결된 동작구(40)에 의해 창문프레임(20)이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창문프레임(20)과 창틀프레임(10)의 전방이 벌어져 환기를 할 수 있는 개방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유동구(60)는 숫나사부(51)의 전방측 끝단에 고정된 간격유지구(52)와 접하게 되어, 창문프레임(2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0)이 반대로 회전하면, 상기 창문프레임(20)이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창문프레임(20)과 창틀프레임(10)의 전방이 접하며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개폐부재는, 도면 및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구성에 의해 힌지부(H)를 중심으로 창문프레임(20)을 회동시켜 개방 또는 폐쇄하는 기술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방충창이 구비된 온실은, 사용자가 방충창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회전손잡이(55)를 잡고 하스프로킷(54)을 방충창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체인(56)에 의해 회전축(50)이 회전하며 숫나사부(51)와 나사체결된 유동구(6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유동구(6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하회동축(C2)으로 결합된 동작구(40)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편(22)이 구비된 창문프레임(20)은 힌지부(H)에 의해 후방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돌출편(22)이 상측으로 밀리며 힌지부(H)를 중심으로 창문프레임(20)이 회전하며 개방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방충창이 닫힌는 방향으로 하스프로킷(54)을 회전시키면, 상기 창문프레임(20)이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닫히게 되어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창문프레임(2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상부프레임(100) 사이를 접이식 방충망(120)이 막고 있으므로, 공기는 온실 내부와 외부를 순환하며 환기가 이루어지고, 해충은 온실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 방충창이 구비된 온실의 방충창을 개폐하는 개폐부재의 다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온실의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개폐부재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바, 이에 따른 개폐부재는, 상기 창문프레임(20)의 전방 내측에 하향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편(22); 상기 창문프레임(20)의 하부에 전후방 방향으로 설치되고, 일부분에 숫나사부(51)가 구비되는 회전축(50); 상기 회전축(5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50)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70); 상기 숫나사부(51)와 대응하는 암나사부(61)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동구(60); 상측은 상기 돌출편(22)과 상회동축(C1)으로 연결되고, 하측은 상기 유동구(60)와 하회동축(C2)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동구(6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창문프레임(20)이 상기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동작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50)은, 상기 숫나사부(51)의 전방 끝단과 후방 끝단에 상기 유동구(60)의 이동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간격유지구(5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개폐부재는, 도 7과 같은 개폐부재와 구성이 거의 동일한 것인바, 도 7과 같은 개폐부재는 사람이 직접 손잡이(55)를 회전시켜 회전축(50)을 회전시키는 것이고,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개폐부재는 사람이 선택적으로 스위치를 눌러 상기 스위치의 제어에 의해 회전모터(70)가 회전하여 회전축(5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축(50)은, 전후방 방향으로 설치된 양 벽체프레임(2)의 상측을 연결하며 자유회전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창틀프레임(10)의 직하부에 구비되고, 중앙 일부분에 숫나사부(5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0)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50)과 결합하여 회전축(50)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7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유동구(60)는, 상기 회전축(50)의 숫나사부(51)와 대응하는 암나사부(61)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50)의 정역 회전에 따라 나사체결에 의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구(60)의 상부에 상기 동작구(40)의 하부가 하회동축(C2)으로 연결되고, 상기 동작구(40)의 상부는 상기 창문프레임(20)의 전방 내측에서 하향 돌출된 돌출편(22)과 상회동축(C1)으로 연결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50)의 숫나사부(51) 전방과 후방 끝단의 양측에는, 간격유지구(52)가 결합 고정되어 상기 유동구(6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모터(70)의 구동 제어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온실의 위치에 스위치가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회전모터(70)의 구동을 직접 제어할 수도 있으나, 온실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에서 상기 회전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며 온실 내부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인바, 이와 같은 단순 설계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온실 내부의 온도와 습도 등을 감지한 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의해 회전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온실에서 재배하는 작물에 최적의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개폐부재는, 상기 창문프레임(20)과 창틀프레임(10)의 전방이 접한 상태가 되면, 상기 유동구(60)는 숫나사부(51)의 후방측 끝단에 고정된 간격유지구(52)와 접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동구(60)가 숫나사부(51)의 전방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유동구(60)와 하부가 연결된 동작구(40)에 의해 창문프레임(20)이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창문프레임(20)과 창틀프레임(10)의 전방이 벌어져 환기를 할 수 있는 개방상태가 된다.
즉, 사용자가 온실에 구비된 스위치를 눌러, 상기 회전모터(70)를 구동하여 회전축(50)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50)과 나사체결되어 있는 유동구(60)가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구(60)는 숫나사부(51)의 전방측 끝단에 고정된 간격유지구(52)와 접하게 되어, 창문프레임(2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0)이 반대로 회전하면, 상기 창문프레임(20)이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창문프레임(20)과 창틀프레임(10)의 전방이 접하며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방충창 및 이를 구비한 온실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지붕프레임 2 - 벽체프레임 3 - 연결프레임
10 - 창틀프레임 11 - 내힌지
20 - 창문프레임 21 - 외힌지 22 - 돌출편
30 - 투명창
40 - 동작구
50 - 회전축 51 - 숫나사부 52 - 간격유지구
53 - 상스프로킷 54 - 하스프로킷 55 - 회전손잡이
56 - 체인
60 - 유동구 61 - 암나사부
70 - 회전모터
100 - 상부프레임 101 - 하돌출부 102 - 하돌부
103 - 밀폐부재
110 - 하부프레임 111 - 상돌출부 112 - 상돌부
120 - 접이식 방충망
130 - 러버
C1 - 상회동축 C2 - 하회동축
H - 힌지부 S - 힌지축

Claims (17)

  1. 상측의 테두리를 이루고 내부가 폐쇄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부프레임(100);
    하측의 테두리를 이루는 하부프레임(110);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후방과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후방을 연결하여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0)이 후방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힌지부(H); 및,
    상기 상·하부프레임(100)(110)의 후방을 제외한 모든 테두리를 연결하며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0)이 상기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하부프레임(100)(110)의 전방이 벌어졌을 때 상기 벌어진 부분으로 해충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메쉬망(Mesh Assembly)으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방충망(12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내측에 하향 절곡되는 하돌부(10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110)은 내측에 상향 절곡되는 상돌부(112)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돌부(102)와 상돌부(112) 각각의 둘레 외측에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력으로 설치되는 러버(130)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양 러버(130)에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의 상측과 하측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은,
    전방과 양측이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재봉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H)는,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하돌출부(101);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후방에서 상향 연장되어 구비되는 상돌출부(111); 및,
    상기 상돌출부(111)와 하돌출부(101)를 수평상 연결하며 결합하는 힌지축(S);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투명창(30)으로 내부가 폐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상기 하돌부(102)의 내주연에 상기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전방이 접할 때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내주연과 밀착되어 밀폐성을 부여하는 밀폐부재(10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
  7. 세워 설치되는 다수의 벽체프레임(2) 상부를 연결하며 구비되어 온실의 지붕을 구성하는 지붕프레임(1);
    상기 지붕프레임(1)의 일개소를 관통한 둘레에 설치되는 창틀프레임(10);
    상기 창틀프레임(10)의 후방을 제외한 전방면과 양측면 상부 둘레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110);
    후방이 상기 창틀프레임(10)의 후방과 힌지부(H)로 결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창틀프레임(10)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창문프레임(20);
    상기 창문프레임(20)의 후방을 제외한 전방면과 양측면 하부 둘레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100); 및,
    상측 둘레는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내측 둘레 하부와 결합되고, 하측 둘레는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내측 둘레 상부와 결합되며, 상기 창문프레임(20)이 상기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창문프레임(20)과 창틀프레임(10)의 전방이 벌어졌을 때 상기 벌어진 부분으로 해충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메쉬망(Mesh Assembly)으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방충망(12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내측에 하향 절곡되는 하돌부(10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110)은 내측에 상향 절곡되는 상돌부(112)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돌부(102)와 상돌부(112) 각각의 둘레 외측에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력으로 설치되는 러버(130)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양 러버(130)에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의 상측과 하측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을 구비한 온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방충망(120)은,
    전방과 양측이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재봉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을 구비한 온실.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상기 하돌부(102)의 내주연에 상기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전방이 접할 때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내주연과 밀착되어 밀폐성을 부여하는 밀폐부재(10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을 구비한 온실.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H)를 중심으로 상기 창문프레임(20)을 회동시켜 개폐동작을 구현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을 구비한 온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창문프레임(20)의 전방 내측에 하향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편(22);
    상기 창문프레임(20)의 하부에 전후방 방향으로 설치되고, 일부분에 숫나사부(51)가 구비되며, 일측에 상스프로킷(53)이 구비되는 회전축(50);
    상기 숫나사부(51)와 대응하는 암나사부(61)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동구(60);
    상측은 상기 돌출편(22)과 상회동축(C1)으로 연결되고, 하측은 상기 유동구(60)와 하회동축(C2)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동구(6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창문프레임(20)이 상기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동작구(40);
    상기 상스프로킷(53)의 하측에 구비되고, 일측에 회전손잡이(55)가 구비되는 하스프로킷(54); 및,
    상기 상스프로킷(53)과 하스프로킷(54)을 연결하며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상기 회전손잡이(55)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스프로킷(54)의 회전력을 상기 상스프로킷(53)으로 전달하는 체인(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을 구비한 온실.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50)은,
    상기 숫나사부(51)의 전방 끝단과 후방 끝단에 상기 유동구(60)의 이동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간격유지구(5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을 구비한 온실.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창문프레임(20)의 전방 내측에 하향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편(22);
    상기 창문프레임(20)의 하부에 전후방 방향으로 설치되고, 일부분에 숫나사부(51)가 구비되는 회전축(50);
    상기 회전축(5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50)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70);
    상기 숫나사부(51)와 대응하는 암나사부(61)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동구(60);
    상측은 상기 돌출편(22)과 상회동축(C1)으로 연결되고, 하측은 상기 유동구(60)와 하회동축(C2)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동구(6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창문프레임(20)이 상기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동작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을 구비한 온실.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50)은,
    상기 숫나사부(51)의 전방 끝단과 후방 끝단에 상기 유동구(60)의 이동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간격유지구(5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을 구비한 온실.
  16.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20)은, 투명창(30)으로 내부가 폐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을 구비한 온실.
  17.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H)는,
    상기 창틀프레임(10)의 후방 또는 상기 창틀프레임(10)이 설치된 상기 지붕프레임(1) 둘레의 후방에 상향 돌출되되, 끝단이 라운드로 형성되는 내힌지(11);
    상기 창문프레임(20)의 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끝단이 내측으로 라운드로 절곡되어 상기 내힌지(11)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힌지(2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을 구비한 온실.
KR1020100113659A 2010-11-16 2010-11-16 방충창 및 이를 구비한 온실 KR101042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659A KR101042635B1 (ko) 2010-11-16 2010-11-16 방충창 및 이를 구비한 온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659A KR101042635B1 (ko) 2010-11-16 2010-11-16 방충창 및 이를 구비한 온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635B1 true KR101042635B1 (ko) 2011-06-20

Family

ID=4440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659A KR101042635B1 (ko) 2010-11-16 2010-11-16 방충창 및 이를 구비한 온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6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562B1 (ko) 2012-11-06 2014-06-13 (주)에스앤지 온실천창용 방충망 조립체
KR101429941B1 (ko) 2013-09-17 2014-08-13 (주)에스앤지 온실의 천창방충망 조립장치
KR20150111599A (ko) *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온실의 지붕창용 방충장치
CN106718328A (zh) * 2016-12-28 2017-05-31 厦门绿世界温室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夹膜型材及其应用
KR102070442B1 (ko) * 2018-07-24 2020-01-28 주식회사 케이엔지플러스 개폐형 천장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495U (ko) * 1989-10-21 1991-03-18
JPH0361710U (ko) * 1989-10-17 1991-06-17
JPH03124050U (ko) * 1990-03-30 1991-12-17
JP3026495U (ja) 1995-12-29 1996-07-12 株式会社山本産業 温室の換気窓装置
JP3061710U (ja) 1999-02-26 1999-09-24 渡辺パイプ株式会社 多連棟型温室の天窓開閉装置
JP3124050U (ja) 2006-05-24 2006-08-03 東都興業株式会社 ビニールハウスの換気装置
JP2007239252A (ja) * 2006-03-07 2007-09-20 Nippon Wide Cloth Kk 蛇腹状生地で形成した回動窓開放覆部材、並びに、蛇腹状生地の屈曲部形成方法、及び、蛇腹状生地の屈曲部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710U (ko) * 1989-10-17 1991-06-17
JPH0326495U (ko) * 1989-10-21 1991-03-18
JPH03124050U (ko) * 1990-03-30 1991-12-17
JP3026495U (ja) 1995-12-29 1996-07-12 株式会社山本産業 温室の換気窓装置
JP3061710U (ja) 1999-02-26 1999-09-24 渡辺パイプ株式会社 多連棟型温室の天窓開閉装置
JP2007239252A (ja) * 2006-03-07 2007-09-20 Nippon Wide Cloth Kk 蛇腹状生地で形成した回動窓開放覆部材、並びに、蛇腹状生地の屈曲部形成方法、及び、蛇腹状生地の屈曲部形成装置
JP3124050U (ja) 2006-05-24 2006-08-03 東都興業株式会社 ビニールハウスの換気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562B1 (ko) 2012-11-06 2014-06-13 (주)에스앤지 온실천창용 방충망 조립체
KR101429941B1 (ko) 2013-09-17 2014-08-13 (주)에스앤지 온실의 천창방충망 조립장치
KR20150111599A (ko) *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온실의 지붕창용 방충장치
KR101581676B1 (ko) * 2014-03-26 2015-12-31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온실의 지붕창용 방충장치
CN106718328A (zh) * 2016-12-28 2017-05-31 厦门绿世界温室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夹膜型材及其应用
KR102070442B1 (ko) * 2018-07-24 2020-01-28 주식회사 케이엔지플러스 개폐형 천장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635B1 (ko) 방충창 및 이를 구비한 온실
AU2015100015A4 (en) Modular Garden Planter
CN207355005U (zh) 一种用于南方果树种植的避雨防鸟抗风大棚
CN201403372Y (zh) 育苗专用连栋温室
CN107535240A (zh) 一种避雨防鸟抗风大棚
CN101322464A (zh) 太阳能多用有机农畜品高产大田温室
CN206260347U (zh) 家庭阳台装配式立体栽培菌菜共生系统
KR200463629Y1 (ko) 인삼 재배용 비닐하우스
US20170231170A1 (en) Weed Blocking Mini Conservatory
CN205794274U (zh) 一种多层通风降温大棚
US4671011A (en) Heat gain and retention structure, particularly a cold frame
JP2011239700A (ja) 植物栽培ハウス
KR101823575B1 (ko) 작물재배용 미니비닐하우스
KR100331691B1 (ko) 천창 완전 개폐형 간이 비가림 하우스
CN205305568U (zh) 一种多功能蔬菜种植大棚
CN208850331U (zh) 一种香菇周年高效架势立体栽培棚
JP5590589B2 (ja) 換気扇を付設したぶどう栽培圃場と、そのぶどう栽培方法
Grubinger et al. High Tunnels and Other Season Extension Techniques
CN207201488U (zh) 种养循环一体棚
CN205865364U (zh) 一种长寿除草养殖用膜
JP3106324U (ja) ベランダ用の植物温室
CN205546732U (zh) 一种火龙果大棚智能种植系统
CN214178277U (zh) 一种玻璃温室大棚开窗结构
JP2000342086A (ja) 伸縮提灯式植物保護
JP3109946U (ja) リバ−シブル農業マルチシ−ト敷設ハウ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5273;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1112

Effective date: 2017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