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617B1 - 수족관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617B1
KR101042617B1 KR1020100113217A KR20100113217A KR101042617B1 KR 101042617 B1 KR101042617 B1 KR 101042617B1 KR 1020100113217 A KR1020100113217 A KR 1020100113217A KR 20100113217 A KR20100113217 A KR 20100113217A KR 101042617 B1 KR101042617 B1 KR 101042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rium
lighting
lighting device
lamp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주)체리루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체리루미 filed Critical (주)체리루미
Priority to KR1020100113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617B1/ko
Priority to PCT/KR2010/008394 priority patent/WO201206729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3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selectively switching fixed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8Clips;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8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aquar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관의 가로폭과 세로폭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회동에 의해 수족관의 상단이 개방됨에 따라 수족관의 내부청소나 수중생물의 교체작업 등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수족관 내의 수중생물의 종류나 생태환경에 적합한 조명광이 제공될 수 있어 수중생물의 수명이 증대됨과 동시에 다양한 색상의 조명광에 의해 관상효과가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수족관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조명장치는, 수족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족관 내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수족관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족관의 후방상단에 끼워져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단에는 힌지축이 구비되는 고정클램프와, 상기 고정클램프의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브래킷과, 상기 회동브래킷에 후방 하부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클램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며 중앙 하부에는 상기 수족관 내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램프가 설치되는 조명장치본체와, 상기 조명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조명램프로의 전원공급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명램프의 작동을 설정 및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조명장치본체의 전방하부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족관의 전방상단 또는 양측상단에 지지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족관용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FOR AQUATIC TANK}
본 발명은 수족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족관 내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수족관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족관의 가로폭과 세로폭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회동에 의해 수족관의 상단을 신속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수족관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족관은 투명한 수조 내에 물고기와 같은 수중생물을 넣고 사육하는 시설로서, 본연의 관상 목적 이외에 실내 습도조절기능도 함께 가지므로 사무실이나 가정의 거실 등의 인테리어 소품의 하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족관의 상부에는 통상적으로 조명램프가 설치된 수족관용 조명장치가 설치되는데, 종래의 수족관용 조명장치는 수족관의 가로폭과 세로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작되어 수족관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제조됨에 따라 다른 가로폭이나 세로폭을 가지는 수족관에 범용적으로 설치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족관용 조명장치는 수족관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부방향으로 통째로 들어올려야만 수족관의 상단이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수족관의 내부청소, 수중생물의 교체 등의 경우에 수족관용 조명장치의 분리나 보관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족관용 조명장치에는 단일광을 방출하는 조명램프가 설치됨에 따라 수족관 내의 수중생물의 종류나 생태환경에 적합한 조명광이 제공되기 어려우며 단조로운 조명에 의해 관상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수족관용 조명장치의 경우에는 조명램프로부터 가시광선 이외에 자외선과 적외선도 함께 방출됨에 따라 수중생물의 생태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조명램프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수온이 상승됨에 따라 별도의 수온조절장치가 부가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족관의 가로폭과 세로폭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회동에 의해 수족관의 상단이 개방됨에 따라 수족관의 내부청소나 수중생물의 교체작업 등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수족관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족관 내의 수중생물의 종류나 생태환경에 적합한 조명광이 제공될 수 있어 수중생물의 수명이 증대됨과 동시에 다양한 색상의 조명광에 의해 관상효과가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수족관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외선과 적외선이 방출되지 않는 조명램프를 사용함과 동시에 조명램프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방열됨에 따라 조명램프로 인한 수온상승문제가 해소될 수 있도록 한 수족관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수족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족관 내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수족관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족관의 후방상단에 끼워져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단에는 힌지축이 구비되는 고정클램프와, 상기 고정클램프의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브래킷과, 상기 회동브래킷에 후방 하부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클램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며 중앙 하부에는 상기 수족관 내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램프가 설치되는 조명장치본체와, 상기 조명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조명램프로의 전원공급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명램프의 작동을 설정 및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조명장치본체의 전방하부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족관의 전방상단 또는 양측상단에 지지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명램프는 상기 수족관 내의 수중생물의 생태환경에 적합한 조명광이 제공되도록 색변환이 가능한 엘이디램프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명램프는, 바다의 색상을 연출하여 상기 수족관 내의 수중생물의 색상과 생동감을 돋보이게 함으로써 아름다운 사진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발광되는 포토온니모드와, 맑은 날의 푸른 하늘빛이 재현되도록 11,000 캘빈의 색온도로 발광되는 블루스카이모드와, 일반 액티닉램프의 광이 재현되도록 15,000 캘빈의 색온도로 발광되는 액티닉모드와, 차가운 느낌의 바닷속이 재현되도록 18,000 캘빈의 색온도로 발광되는 마린모드와, 밤의 달빛이 재현되도록 발광되는 문나이트모드 중 하나로 작동되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설정 및 제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명장치본체의 일측에는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접속공이 구비되고, 상기 전원접속공의 일측에는 전원공급여부를 단속하는 메인전원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조명장치본체의 측면과 상부면에는 상기 조명램프의 점등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공랭시키기 위한 방열공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명장치본체의 후방하부에는 제 1 체결구에 의해 상기 회동브래킷이 위치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1 결합그루브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명장치본체의 전방하부에는 제 2 체결구에 의해 상기 지지다리가 위치조정 및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2 결합그루브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에는 상기 제 2 체결구에 의해 상기 제 2 결합그루브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2 체결구가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조명장치에 의하면, 조명장치본체의 후방이 고정클램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수족관의 전방상단 또는 양측상단에 지지되는 지지다리가 조명장치본체의 전방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수족관의 가로폭과 세로폭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조명장치본체를 고정클램프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키기만 하면 수족관의 상단이 개방됨에 따라 수족관의 내부청소나 수중생물의 교체작업 등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조명장치에 의하면, 바다의 색상을 연출하여 상기 수족관 내의 수중생물의 색상과 생동감을 돋보이게 하는 포토온니모드와, 맑은 날의 푸른 하늘빛을 재현하는 블루스카이모드와, 일반 액티닉램프의 광을 재현하는 액티닉모드와, 차가운 느낌의 바닷속을 재현하는 마린모드 또는 밤의 달빛을 재현하는 문나이트모드로 발광됨에 따라, 수족관 내의 수중생물의 종류나 생태환경에 적합한 조명광이 제공될 수 있어, 수중생물의 수명이 증대됨과 동시에 다양한 색상의 조명광에 의해 관상효과가 증대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조명장치에 의하면, 조명램프로서 자외선과 적외선이 방출되지 않는 엘이디램프가 사용됨에 따라 자외선과 적외선으로 인한 문제가 해소될 수 있으며 조명장치본체에 형성된 방열공을 통해 조명램프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방열됨에 따라 조명램프로 인한 수온상승문제가 해소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조명장치의 회동상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지지다리의 결합 및 길이조절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컨트롤러의 상세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조명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조명장치(1)는, 예를 들어 사각함체 등의 형상을 가지는 수족관(3)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족관(3) 내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족관(3)의 후방상단에 끼워져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단에는 힌지축(15)이 구비되는 고정클램프(10)와, 고정클램프(10)의 힌지축(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브래킷(20)과, 회동브래킷(20)에 후방 하부가 결합되어 고정클램프(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며 중앙 하부에는 수족관(3) 내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램프(31)가 설치되는 조명장치본체(30)와, 조명장치본체(30)에 구비되며 조명램프(31)로의 전원공급여부를 제어하고 조명램프(31)의 작동을 설정 및 제어하는 컨트롤러(40)와, 조명장치본체(30)의 전방하부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족관(3)의 전방상단 또는 양측상단에 지지되는 지지다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클램프(1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조명장치(1)가 수족관(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클램프(10)의 하단에는 수족관(3)의 후방상단에 끼워지는 ∩자형결합구(11)가 구비되고, ∩자형결합구(11)에는 회동방향에 따라 이동되면서 고정클램프(10)의 착탈가능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클팸핑조절나사(13)가 결합되며, 고정클램프(10)의 상단에는 회동브래킷(2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15)이 구비된다.
고정클램프(10)는 차후에 설명될 조명장치본체(3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수족관(3)의 후방상단에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2개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전술한 고정클램프(10)의 힌지축(15)에는 회동브래킷(2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회동브래킷(20)은 고정클램프(10)에 대해 조명장치본체(3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고정클램프(10)의 힌지축(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구(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조명장치본체(30)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체결구(60)가 관통결합된다.
전술한 회동브래킷(20)에는 조명장치본체(30)의 후방 하부가 결합되어 고정클램프(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데, 이 조명장치본체(30)는 수족관(3)의 상부에 설치되어 조명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명장치본체(30)의 중앙 하부에는 수족관(3) 내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램프(31)가 설치된다.
조명램프(31)는 형광램프를 비롯한 다양한 램프로 형성될 수 있지만, 수족관(3) 내의 수중생물의 생태환경에 적합한 조명광이 제공되도록 예를 들어 RGB 엘이디램프와 같이 색변환이 가능한 엘이디램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명램프(31)가 엘이디램프로 형성될 경우에는 자외선과 적외선이 방출되지 않음에 따라 이로 인해 수중생물의 생태환경이 저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램프(31)가 색변환이 가능한 엘이디램프로 형성될 경우에는, 컨트롤러(40)의 설정 및 제어에 따라 바다의 색상을 최대한 연출하여 수족관(3) 내의 수중생물의 색상과 생동감을 돋보이게 함으로써 아름다운 사진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발광되는 포토온니모드(POHTO ONLY MODE)와, 맑은 날의 푸른 하늘빛이 재현되도록 11,000 캘빈의 색온도로 발광되는 블루스카이모드(BLUE SKY MODE)와, 일반 액티닉램프의 광이 재현되도록 15,000 캘빈의 색온도로 발광되는 액티닉모드(ACTINIC MODE)와, 차가운 느낌의 바닷속이 재현되도록 18,000 캘빈의 색온도로 발광되는 마린모드(MARINE MODE)와, 밤의 달빛이 재현되도록 발광되는 문나이트모드(MOON NIGHT MODE) 중 하나로 작동되어, 수족관(3) 내의 수중생물의 종류나 생태환경에 적합한 조명광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토온니모드의 경우에는 수족관(3) 내의 수중생물에 대해 사진을 찍고자 할 경우에 화이트밸런스 등의 조정없이도 아름다운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발광모드이고, 블루스카이모드의 경우에는 산호초에 알맞은 발광모드이며, 액티닉모드는 산호초를 비롯한 수초와 각종 무척추동물에 알맞은 발광모드로서, 수중식물의 광합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450nm 근처의 파장대가 집중적으로 발생되고, 마린모드는 식물성 플랑크톤과 같은 미세조류나 산호초 등에 알맞은 발광모드로서, 블루스펙트럼이 강조되며, 문나이트모드는 수족관(3) 내의 동식물들에게 밤을 연출하는 발광모드로서, 달의 28일 주기에 따라 그 광량이 조절되도록 발광된다. 특히 문나이트모드는 20,000 캘빈 이상의 색온도로 발광된다.
조명장치본체(30)의 일측에는 전원케이블(5)이 연결되는 전원접속공(32)이 구비되고, 전원접속공(32)의 일측에는 전원공급여부를 수동으로 단속하는 메인전원스위치(33)가 설치된다.
또한 조명장치본체(30)의 측면과 상부면에는 방열공(34, 35)이 각각 형성되는데, 이 방열공(34)은 조명램프(31)의 점등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공랭시키는 것으로, 특히 조명램프(31)가 엘이디램프로 형성되는 경우에 엘이디램프의 기판으로부터 열이 발생되게 되는데, 이러한 열은 조명장치본체(30)의 측면에 형성된 방열공(34)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조명장치본체(30)의 상부면에 형성된 방열공(35)으로 빠져나가면서 자연적으로 공랭시킴으로써 외부로 방열됨에 따라 이로 인한 수온상승이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조명장치본체(30)의 후방하부에는 제 1 체결구(60)에 의해 회동브래킷(20)이 위치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1 결합그루브(36)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조명장치본체(30)의 전방하부에는 제 2 체결구(70)에 의해 차후에 설명될 지지다리(50)가 위치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2 결합그루브(37)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조명장치본체(30)에는 컨트롤러(40)가 구비되는데, 이 컨트롤러(40)는 조명램프(31)로의 전원공급여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조명램프(31)의 작동을 설정 및 제어하는 것으로, 조명램프(31)로의 전원공급여부를 단속하는 전원버튼(41)과, 표시창 역할을 하는 디스플레이패널(43)과, 조명램프(31)의 작동모드를 표시하는 모드표시창(45)과, 조명램프(31)의 작동모드와 자동점멸시간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설정버튼(4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컨트롤러(40)의 설정버튼(47)을 통해 조명램프(31)의 작동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조명램프(31)가 자동으로 점등되는 시간이나 자동으로 점멸되는 시간까지도 설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수족관(3) 내의 수중생물의 생장, 번식 등에 적합한 최적의 생태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조명장치본체(30)의 전방하부, 특히 제 2 결합그루브(37)에는 지지다리(50)가 결합되는데, 이 지지다리(50)는 조명장치본체(30)의 전방하부에 그 돌출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족관(3)의 전방상단 또는 양측상단에 지지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조명장치(1)가 수족관(3)의 가로폭과 세로폭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지지다리(50)의 일측에는 제 2 체결구(70)에 의해 제 2 결합그루브(37)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2 체결구가 관통되는 장공(5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족관(3)의 전방상단 또는 양측상단에 지지되도록 직각거치대(53)가 구비되며, 직각거치대(53)의 내측면에는 수족관(3)을 보호함과 동시에 지지다리(5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패드(상세히 도시되지 않음)가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다리(50)가 수족관(3)의 양측상단에 지지되는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족관(3)의 세로폭에 따라 그 돌출길이가 조정된 상태로 제 2 체결구(70)에 의해 제 2 결합그루브(37)에 결합될 수 있고, 지지다리(50)가 수족관(3)의 전방상단에 지지되는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족관(3)의 가로폭에 따라 그 돌출길이가 조정된 상태로 제 2 체결구(70)에 의해 제 2 결합그루브(37)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다리(50)가 수족관(3)의 전방상단에 지지되는 경우에,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조명장치(1)는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수족관(3)의 가로폭에 관계없이 위치이동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족관(3)의 가로폭에 상응하게 다수개가 연속배열될 수도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천정에 고정되는 펜던트와이어에 의해 수족관(3)의 상부에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체결구(60)는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결합그루브(36) 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나사공이 형성된 슬라이드편과, 회동브래킷(20)을 관통하여 슬라이드편의 나사공에 결합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 1 체결구(60)는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결합그루브(37) 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나사공이 형성된 슬라이드편과, 지지다리(50)의 장공(51)을 관통하여 슬라이드편의 나사공에 결합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조명장치(1)는, 조명장치본체(30)의 후방이 고정클램프(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수족관(3)의 전방상단 또는 양측상단에 지지되는 지지다리(50)가 조명장치본체(30)의 전방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수족관(3)의 가로폭과 세로폭에 관계없이 안정적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조명장치본체(30)를 고정클램프(10)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키기만 하면 수족관(3)의 상단이 개방됨에 따라 수족관(3)의 내부청소나 수중생물의 교체작업 등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조명장치의 경우에는, 컨트롤러(40)의 설정 및 제어에 의해 조명램프(31)가 바다의 색상을 최대한 연출하여 수족관(3) 내의 수중생물의 색상과 생동감을 돋보이게 하는 포토온니모드와, 맑은 날의 푸른 하늘빛을 재현하는 블루스카이모드와, 일반 액티닉램프의 광을 재현하는 액티닉모드와, 차가운 느낌의 바닷속을 재현하는 마린모드 또는 밤의 달빛을 재현하는 문나이트모드로 발광됨에 따라, 수족관(3) 내의 수중생물의 종류나 생태환경에 적합한 조명광이 제공될 수 있어, 수중생물의 수명이 증대됨과 동시에 다양한 색상의 조명광에 의해 관상효과가 증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40)에 의한 시간설정을 통해 조명램프(31)를 설정된 시간에 자동점등시키고, 설정된 시간에 자동점멸시킬 수도 있다.
또한 조명램프(31)로서 자외선과 적외선이 방출되지 않는 엘이디램프가 사용될 경우에는 자외선과 적외선으로 인한 문제가 해소될 수 있으며 조명장치본체(30)에 형성된 방열공(34, 35)을 통해 조명램프(31)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방열됨에 따라 조명램프(31)로 인한 수온상승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1 :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조명장치
3 : 수족관
10 : 고정클램프
15 : 힌지축
20 : 회동브래킷
30 : 조명장치본체
31 : 조명램프
40 : 컨트롤러
50 : 지지다리

Claims (5)

  1. 수족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족관 내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수족관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족관의 후방상단에 끼워져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단에는 힌지축이 구비되는 고정클램프;
    상기 고정클램프의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브래킷;
    상기 회동브래킷에 후방 하부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클램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며 중앙 하부에는 상기 수족관 내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램프가 설치되는 조명장치본체;
    상기 조명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조명램프로의 전원공급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명램프의 작동을 설정 및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조명장치본체의 전방하부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족관의 전방상단 또는 양측상단에 지지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램프는 상기 수족관 내의 수중생물의 생태환경에 적합한 조명광이 제공되도록 색변환이 가능한 엘이디램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조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명램프는, 바다의 색상을 연출하여 상기 수족관 내의 수중생물의 색상과 생동감을 돋보이게 함으로써 아름다운 사진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발광되는 포토온니모드와, 맑은 날의 푸른 하늘빛이 재현되도록 11,000 캘빈의 색온도로 발광되는 블루스카이모드와, 일반 액티닉램프의 광이 재현되도록 15,000 캘빈의 색온도로 발광되는 액티닉모드와, 차가운 느낌의 바닷속이 재현되도록 18,000 캘빈의 색온도로 발광되는 마린모드와, 밤의 달빛이 재현되도록 발광되는 문나이트모드 중 하나로 작동되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설정 및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조명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본체의 일측에는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접속공이 구비되고, 상기 전원접속공의 일측에는 전원공급여부를 단속하는 메인전원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조명장치본체의 측면과 상부면에는 상기 조명램프의 점등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공랭시키기 위한 방열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조명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본체의 후방하부에는 제 1 체결구에 의해 상기 회동브래킷이 위치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1 결합그루브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명장치본체의 전방하부에는 제 2 체결구에 의해 상기 지지다리가 위치조정 및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2 결합그루브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에는 상기 제 2 체결구에 의해 상기 제 2 결합그루브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2 체결구가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조명장치.
KR1020100113217A 2010-11-15 2010-11-15 수족관용 조명장치 KR101042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217A KR101042617B1 (ko) 2010-11-15 2010-11-15 수족관용 조명장치
PCT/KR2010/008394 WO2012067296A1 (ko) 2010-11-15 2010-11-25 수족관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217A KR101042617B1 (ko) 2010-11-15 2010-11-15 수족관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617B1 true KR101042617B1 (ko) 2011-06-20

Family

ID=4440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217A KR101042617B1 (ko) 2010-11-15 2010-11-15 수족관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42617B1 (ko)
WO (1) WO201206729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4969A1 (zh) * 2013-10-18 2015-04-23 成都智拓水族用品有限公司 一种水族箱
WO2015152673A1 (ko) * 2014-04-04 2015-10-08 박성남 수족관용 엘이디 램프 장치
KR20230041314A (ko) 2021-09-17 2023-03-24 주식회사 트윈스타 풀스펙트럼 led가 구비된 조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8744A (zh) * 2013-02-06 2013-05-15 大连海洋大学 水产动物光照选择实验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024B2 (ja) * 1989-01-11 1996-02-07 株式会社ニッソー 観賞魚用水槽
JPH11215933A (ja) 1998-02-01 1999-08-10 Gendai Seiyaku Kk 卓上型水槽
KR20030044523A (ko) * 2001-11-30 2003-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40008847A (ko) * 2002-07-19 2004-01-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KR200344523Y1 (ko) 2003-11-13 2004-03-11 이종진 어항 조명장치
KR200408847Y1 (ko) 2005-11-22 2006-02-17 김기석 리베트로 조립된 벽걸이형 수족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45890A (en) * 2007-05-22 2008-12-01 Prodisc Technology Inc Aquarium lighting device
JP2010246486A (ja) * 2009-04-17 2010-11-04 Colcoat Kk 水槽用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024B2 (ja) * 1989-01-11 1996-02-07 株式会社ニッソー 観賞魚用水槽
JPH11215933A (ja) 1998-02-01 1999-08-10 Gendai Seiyaku Kk 卓上型水槽
KR20030044523A (ko) * 2001-11-30 2003-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40008847A (ko) * 2002-07-19 2004-01-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KR200344523Y1 (ko) 2003-11-13 2004-03-11 이종진 어항 조명장치
KR200408847Y1 (ko) 2005-11-22 2006-02-17 김기석 리베트로 조립된 벽걸이형 수족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4969A1 (zh) * 2013-10-18 2015-04-23 成都智拓水族用品有限公司 一种水族箱
WO2015152673A1 (ko) * 2014-04-04 2015-10-08 박성남 수족관용 엘이디 램프 장치
KR20150115377A (ko) * 2014-04-04 2015-10-14 박성남 수족관용 엘이디 램프 장치
KR101583270B1 (ko) 2014-04-04 2016-01-07 박성남 수족관용 엘이디 램프 장치
KR20230041314A (ko) 2021-09-17 2023-03-24 주식회사 트윈스타 풀스펙트럼 led가 구비된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67296A1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3952B1 (en) Lighting fixture for aquarium
US8860311B2 (en) Lighting apparatus
EP2732700B1 (en) Aquarium lighting system
US7465065B2 (en) Operating table lamp
US7314293B2 (en) Lamp having interchangeable decorative panels
JP5525595B2 (ja) 周囲照明光と作業光とを兼ね備えた照明器具
KR101042617B1 (ko) 수족관용 조명장치
KR20170117361A (ko) 직접 조명 방식 및 소프트 라이트 방식의 전환 가능한 촬영용 led 조명등
JP2010182660A (ja) Ledスタンド
JP4728895B2 (ja) 室内照明用照明器具
US20120038293A1 (en) LED Lighting Device
US9599297B2 (en) Visual media soft light system
KR101366209B1 (ko) 수족관용 착탈식 조명장치
JP3162698U (ja) 観賞用照明器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観賞魚用水槽
KR200447272Y1 (ko)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US20040179360A1 (en) Multiple color temperature video, task or reading light system
KR20150111156A (ko) 온도센서와 송풍팬을 구비한 수조용 조명장치
US10557598B2 (en) Floor lamp with integrated plant growth system
JP2008310994A (ja) 照明器具
WO2009072689A1 (en) Light projec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3142565U (ja) Led照明装置付き観賞用水槽蓋
KR102034631B1 (ko) 화장용 조명등
CN210069657U (zh) 一种可调光暗的变色环境艺术会展灯具
JP2019022457A (ja) ビバリウム用小型照明装置
KR200293876Y1 (ko) 전시용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