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523Y1 - 어항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어항 조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4523Y1 KR200344523Y1 KR20-2003-0035548U KR20030035548U KR200344523Y1 KR 200344523 Y1 KR200344523 Y1 KR 200344523Y1 KR 20030035548 U KR20030035548 U KR 20030035548U KR 200344523 Y1 KR200344523 Y1 KR 20034452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fish tank
- lamp
- cover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항 조명시 좌우측 광량을 고르게 할 수 있고, 램프 교환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본체가 기울어져도 투명커버가 엔드커버의 출입구를 통해 미끄러져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40)의 내부를 격벽(42)을 사이에 두고 전후로 분할하여 그 앞부분에는 램프수납실(44)을 형성하고, 그 후부에는 안정기수납실(46)을 형성하여 좌우 조명에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한편, 본체를 지지대로부터 회동 가능한 구조로 하여 램프의 교환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어항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어항을 조명하는데 이용되는 어항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내부의 후방에 안정기수납실을 두고 그 앞에는 램프수납실을 두어 좌우 조명에 균형을 이루고, 본체를 지지대로부터 회동 가능한 구조로 하여 램프의 교환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어항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항에는 어항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물속을 밝힘으로써 어항속 관상어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물의 오염정도를 쉽게 관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어항 조명장치의 한 가지 예를 첨부도면 도1 내지 도4에 도시하였는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 내부의 좌우측에는 램프(21)과 안정기(22)가 일렬로 위치되어 있었으며, 램프(21)는 본체(20)에 끼워지는투명커버(23)로 보호되어 있었고, 안정기(22)는 본체(20)에 끼워지는 불투명커버(24)로 은폐되어 있었다.
즉, 투명커버(23)와 불투명커버(24)는 본체(20)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끼움홈(20a)(20b)에 일직선으로 끼워져서 동일평면을 이루게 되며, 본체(20)의 좌우 양단을 덮는 엔드커버(27)(28) 중 일측의 엔드커버(28)에는 투명커버(23)와 불투명커버(24)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28t)가 형성되어 있었다.
또, 본체(20) 밑에는 어항(10)의 상단테두리(12)에 얹혀지는 두개의 지지대(25)(26)가 좌우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었으며, 그 지지대(25)(26) 하단부에는 역(逆) "U"자 모양의 채널(25c)(26c)이 형성되어 측면의 스크류(25s)(26s)를 통해 어항(10)의 상단테두리(12)에 물어서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어항 조명장치는 램프(21)가 안정기(22)와 함께 본체(20)의 좌우측에 일직선으로 위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안정기(22)가 위치된 곳에는 광량이 부족하고, 그 반대쪽은 밝게 되어 조명이 한쪽으로 편중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램프(21)를 새것으로 갈아 끼워야 되는 경우 본체(20)를 뒤집어야만 램프(21) 교환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스크류(25s)(26s)를 풀어서 어항(10)의 상단테두리(12)에 조여져 있던 지지대(25)(26)를 어항(10)으로부터 분리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본체(20)가 어항(10)으로부터 분리된 후 투명커버(23)와불투명커버(24)를 본체(20)의 끼움홈(20a)(20b)과 엔드커버(28)의 출입구(28t)로부터 옆으로 밀어서 분리한 다음 본체(20)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던 지지대(25)를 본체(20)의 우측으로 밀어서 옮겨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본체(20) 우측의 엔드커버(28)에 형성된 출입구(28t)가 아무런 걸림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채 본체(20)에 형성된 끼움홈(20a)(20b)과 일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본체(20)를 옮기는 과정에서 출입구(28t)가 아래쪽으로 기울게 되면, 본체(20)에 끼워져 있던 투명커버(23)와 불투명커버(24)가 엔드커버(28)의 출입구(28t)를 통해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어항 조명시 좌우측 광량을 고르게 할 수 있고, 램프 교환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본체가 기울어져도 투명커버가 엔드커버의 출입구를 통해 미끄러져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항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의 내부를 격벽을 사이에 두고 전후로 분할하여 그 앞부분에는 램프수납실을 형성하고, 그 후부에는 안정기수납실을 형성하여 어항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어항 조명장치가 어항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어항 조명장치를 보인 상면사시도
도 3은 종래 어항 조명장치를 보인 저면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 어항 조명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어항 조명장치가 어항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어항 조명장치의 본체가 세워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어항 조명장치를 보인 상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어항 조명장치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어항 조명장치를 보인 저면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어항 조명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래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0 : 램프 32 : 안정기
34 : 투명커버 40 : 본체
41,43 : 엔드커버 41t : 출입구
42 : 격벽 44 : 램프수납실
46 : 안정기수납실 48 : T-홈
50,52 : 지지대 60 : 어항
62 : 상단테두리 70,72 : 힌지부
80 : 잠금수단 82a,84a : 걸림부
82b,84b : 슬라이드래치 90 : 탄성바
92 : 걸림돌기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5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0)의 내부를 격벽(42)을 사이에 두고 전후로 분할하여 그 앞부분에는 램프(30)를 수용하는 램프수납실(44)을 형성하고, 그 후부에는 안정기(32)가 설치되는 안정기수납실(46)을 형성하였다.
여기서 본체(40)의 램프수납실(44) 내에 수용되는 램프(30)는 이 본체(40)에 형성된 끼움홈(40a)(40b)에 끼워지는 투명커버(34)에 의해 보호 되며, 본체(40) 하부에는 어항(60)의 상단테두리(62)에 얹혀져서 좌우 폭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두 개의 지지대(50)(52)가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40)의 좌우측을 덮는 두 개의 엔드커버(41)(43) 중 적어도 하나의 엔드커버(43)에는 투명커버(34)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41t)를 형성하였다.
상기 지지대(50)(52)의 후부에 힌지부(70)(72)를 형성하여 본체(40) 앞부분을 힌지부(70)(72)를 기점으로 회동시켜 세울 수 있도록 하고, 본체(40)와 지지대(50)(52)의 결합을 유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잠금수단(80)을 본체(40)와 지지대(50)(52) 사이에 설치하였다.
즉, 힌지부(70)(72)는 좌우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40)에서 좌우로 직선운동이 가능하고 본체(40)에 고정되는 슬라이드부(70a)(72a)와, 지지대(50)(52)의 상단 후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보스(70b)(72b)와, 이들 슬라이드부(70a)(72a)와 고정보스(70b)(72b)를 연결하는 힌지핀(70c)(72c) 및 힌지볼트(70d)(72d)로 구성되며, 여기서 슬라이드부(70a)(72a)의 상면에는 본체(40)에 형성된 T-형 가이드홈(49)에 미끄럼 결합되는 슬라이드리브(70r)(72r)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지지대(50)(52)의 하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직선형의 도브테일돌기(52a)를 형성하고, 역(逆)"L"자 모양의 단면모양을 갖는 고정훅(50h)(52h)의 상면에는 그 도브테일돌기(52a)에 결합되는 도브테일홈(50g)(52g)을 형성하여 고정훅(50h)(52h)을 지지대(50)(52)의 하단부에 결합하거나 이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고정훅(50h)(52h)의 폭을 변경하면 다양한 크기의 어항(60) 상단테두리(62) 폭에 대응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지지대(50)(52)는 역(逆) 아치형으로 형성하여 투명커버(34)와 이격시킴으로써 램프(30)와 거리를 두도록 하여 광로의 차단을 방지하였고, 지지대(50)(52) 자체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빛이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램프(30)에서 방사되는 빛이 어항(60)으로 도달하기까지의 광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잠금수단(80)은 지지대(50)(52)의 앞부분에 걸림부(82a)(84a)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40)에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T-홈(48)을 형성하며, 그 걸림부(82a)(84a) 위를 덮거나 이로부터 물러나면서 지지대(50)(52)를 잡는 슬라이드래치(82b)(84b)를 상기 T-홈(48)에 미끄럼 결합하여서 구성하였다.
상기 엔드커버(41)에 탄성바(90)를 형성하고, 그 탄성바(90)의 중간에 그 엔드커버(41)의 출입구(41t)를 향해 돌출되어 투명커버(34)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돌기(92)를 형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4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어항 조명장치가 어항(60) 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40) 내의 램프(30)가 점등되면, 램프(30)로부터 방사되는 빛은 투명커버(34)를 투과하여 어항(60)으로 조사된다.
이때 안정기(32)가 본체(40)의 후부에 위치한 안정기수납실(46)에 수용되어 있고 램프(30)는 본체(40) 앞부분인 램프수납실(44)에서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빛이 좌우로 고르게 분포되어 편조명이 방지된다.
한편, 램프(30)를 교환하여야 되는 경우 잠금수단(80)을 구성하고 있는 슬라이드래치(82b)(84b)를 옆으로 밀게 되면, 슬라이드래치(82b)(84b)가 본체(40)에 형성된 T-홈(48)으로부터 미끄러지면서 동시에 지지대(50)(52)에 형성된 걸림부(82a)(84a)로부터 이탈하여 잠금이 해제된다.
그 다음 본체(40) 앞부분을 손으로 잡고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본체(40)가 해제된 상태이기 때문에 지지대(50)(52)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부(70)(72)를 기점으로 회동되면서 세워진다.
이때 힌지부(70)(72)를 구성하고 있는 슬라이드부(70a)(72a)는 본체(40)와 함께 움직이게 되고, 힌지핀(70c)(72c)과 힌지볼트(70d)(72d)는 지지대(50)(5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보스(70b)(72b)에서 본체(40)와 슬라이드부(70a)(72a)의 움직임을 안내하게 된다.
이후 본체(40)가 거의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본체(40)의 후부가 지지대(50)(52)의 후부에 닿게 되면, 본체(40)의 무게중심이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이동되어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다음 본체(40)의 끼움홈(40a)(40b)에 끼워져 있던 투명커버(34)를 본체(40)로부터 분리해내기 위해 엔드커버(41)에 형성된 탄성바(90)를 앞으로 당겨서 약간 휘게 되면, 투명커버(34)에 걸려 있던 걸림돌기(92)가 투명커버(34)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출입구(41t)가 열리게 되며, 이때 휘어진 탄성바(90)를 잡은 상태에서 투명커버(34)를 옆으로 밀게 되면, 투명커버(34)가 끼움홈(40a)(40b)과 출입구(41t)를 통해 미끄러지면서 분리된다.
이때 투명커버(34)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앞으로 잡아당기고 있던 탄성바(90)를 놓게 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제 자리로 위치되려고 하나 투명커버(34)가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걸림돌기(92)가 투명커버(34)의 평평한 면에 걸리게 되고, 투명커버(34)가 끼움홈(40a)(40b)과 출입구(41t)로부터 완전하게 빠져서 분리되면, 탄성바(90)는 아무런 저항을 받지 않기 때문에 복원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노후한 램프(30)를 새것으로 갈아 끼운 다음 다시 탄성바(90)를 잡아당겨서 출입구(41t)를 열고 투명커버(34)를 끼우게 되면, 탄성바(90)에 형성된 걸림돌기(92)가 투명커버(34)의 단부에 밀착하여 투명커버(34)가 빠지지 못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 후 세워져 있던 본체(40)를 눕히기 위해 본체(40) 앞부분을 잡고 앞쪽으로 당기게 되면, 본체(40)가 힌지부(70)(72)를 기점으로 회동한 다음 수평한 위치에 이를 때 지지대(50)(52)의 앞부분에 형성된 걸림부(82a)(84a)에 밀착하면서 안착된다.
이때 본체(40)의 T-홈(48)에 설치되어 있던 슬라이드래치(82b)(84b)를 각각 지지대(50)(52)쪽으로 밀게 되면, 슬라이드래치(82b)(84b)가 지지대(50)(52)의 걸림부(82a)(84a)를 덮는 순간 지지대(50)(52)와 본체(40)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안정기를 수납하기 위한 안정기수납실이 본체의 후부에 형성되어 있고, 램프는 본체의 앞부분에 위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측 조명에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본체를 힌지를 통해 지지대 위에서 회동시켜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램프교환이 보다 용이하게 되며, 투명커버가 출입하는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탄성바와 검림돌기를 갖추고 있으므로 출입구가 아래쪽으로 기우는 경우에 투명커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 내부에 램프(30)과 안정기(32)를 수용하는 본체(40) 밑에 어항(60)의 상단테두리(62)에 얹혀지는 지지대(50)(52)가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40)의 좌우측을 덮는 엔드커버(41)(43)에 투명커버(34)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41t)가 형성되어 있는 어항 조명장치에 있어서,상기 본체(40)의 내부를 격벽(42)을 사이에 두고 전후로 분할하여 그 앞부분에는 램프수납실(44)을 형성하고, 그 후부에는 안정기수납실(46)을 형성하여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조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50)(52)의 후부에 힌지부(70)(72)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40) 앞부분을 힌지부(70)(72)를 기점으로 회동시켜 세울 수 있도록 하고, 본체(40)와 지지대(50)(52)의 결합을 유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잠금수단(80)을 본체(40)와 지지대(50)(52) 사이에 설치하여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조명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80)은 상기 지지대(50)(52)의 앞부분에 걸림부(82a)(84a)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40)에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T-홈(48)을 형성하며, 그 걸림부(82a)(84a) 위를 덮거나 이로부터 물러나면서 지지대(50)(52)를 잡는 슬라이드래치(82b)(84b)를 상기 T-홈(48)에 미끄럼 결합하여서 구성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어항 조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커버(41)에 탄성바(90)를 형성하고, 그 탄성바(90)의 중간에 그 엔드커버(41)의 출입구(41t)를 향해 돌출되어 투명커버(34)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돌기(9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조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5548U KR200344523Y1 (ko) | 2003-11-13 | 2003-11-13 | 어항 조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5548U KR200344523Y1 (ko) | 2003-11-13 | 2003-11-13 | 어항 조명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4523Y1 true KR200344523Y1 (ko) | 2004-03-11 |
Family
ID=4942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5548U KR200344523Y1 (ko) | 2003-11-13 | 2003-11-13 | 어항 조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44523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2617B1 (ko) | 2010-11-15 | 2011-06-20 | (주)체리루미 | 수족관용 조명장치 |
KR101399550B1 (ko) | 2012-03-14 | 2014-06-02 | (주)삼호무역 | 어항 장착용 조명장치 |
KR20150111182A (ko) * | 2014-03-25 | 2015-10-05 | 주식회사 아이알브이테크 | pH센서를 구비한 수조용 조명장치 |
KR101613253B1 (ko) * | 2014-03-25 | 2016-04-18 | 주식회사 아이알브이테크 | 온도센서와 송풍팬을 구비한 수조용 조명장치 |
KR101920253B1 (ko) * | 2018-01-10 | 2018-11-20 | 권오현 | 수족관용 착탈식 조명장치 |
KR20190139114A (ko) | 2018-06-07 | 2019-12-17 | 주식회사 트윈스타 | 수족관 조명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
-
2003
- 2003-11-13 KR KR20-2003-0035548U patent/KR20034452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2617B1 (ko) | 2010-11-15 | 2011-06-20 | (주)체리루미 | 수족관용 조명장치 |
WO2012067296A1 (ko) * | 2010-11-15 | 2012-05-24 | (주)체리루미 | 수족관용 조명장치 |
KR101399550B1 (ko) | 2012-03-14 | 2014-06-02 | (주)삼호무역 | 어항 장착용 조명장치 |
KR20150111182A (ko) * | 2014-03-25 | 2015-10-05 | 주식회사 아이알브이테크 | pH센서를 구비한 수조용 조명장치 |
KR101613253B1 (ko) * | 2014-03-25 | 2016-04-18 | 주식회사 아이알브이테크 | 온도센서와 송풍팬을 구비한 수조용 조명장치 |
KR101643656B1 (ko) | 2014-03-25 | 2016-07-29 | 주식회사 아이알브이테크 | pH센서를 구비한 수조용 조명장치 |
KR101920253B1 (ko) * | 2018-01-10 | 2018-11-20 | 권오현 | 수족관용 착탈식 조명장치 |
KR20190139114A (ko) | 2018-06-07 | 2019-12-17 | 주식회사 트윈스타 | 수족관 조명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
KR102153073B1 (ko) | 2018-06-07 | 2020-09-22 | 주식회사 트윈스타 | 수족관 조명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464386C (en) | Light bar providing illumination from inside a vehicle | |
KR200344523Y1 (ko) | 어항 조명장치 | |
EP0400594A2 (en) | Flashlight | |
US2544708A (en) | Fluorescent fixture having swingable members carrying the lamps | |
US2807515A (en) | Toilet case | |
CN209262843U (zh) | 一种实验室消毒照明两用灯 | |
KR20060126881A (ko) | 핸드 믹서기용 거치대 | |
AR028870A1 (es) | Dispositivo de cierre para camaras de acceso o de inspeccion | |
KR950010352Y1 (ko) | 양어용수조의 조명장치 | |
US3069540A (en) | Recessed lighting fixture having hinged light diffuser cover | |
US2917619A (en) | Photographic light bar and carrying case | |
CN220293999U (zh) | 头戴式治疗仪 | |
DE59507365D1 (de) | Leuchte zum Einbau in eine Wandöffnung | |
KR200395940Y1 (ko) | 슬라이딩개폐식 천정등 | |
KR200312454Y1 (ko) | 관상용 수족관 | |
JP2003249118A (ja) | 間接照明付き間仕切装置 | |
JP4102359B2 (ja) | 鑑賞用水槽の照明器具 | |
RU2069290C1 (ru) | Кабина пассажирского лифта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освещения кабины | |
KR200229599Y1 (ko) | 칫솔걸이 | |
KR0127997Y1 (ko) | 형광등 | |
EP0875141A2 (en) | Lighting unit for illuminating aquariums, terrariums and the like. | |
JP2004197507A (ja) | 電灯取替作業支援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脚立及び梯子 | |
JPH0431292A (ja) | キャップ殺菌装置 | |
KR200334866Y1 (ko) | 거울 내장형 액자의 거울집 개폐구조 | |
NO307671B1 (no) | Langstrakt lysarmatu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60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