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272Y1 -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 Google Patents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272Y1
KR200447272Y1 KR2020090010313U KR20090010313U KR200447272Y1 KR 200447272 Y1 KR200447272 Y1 KR 200447272Y1 KR 2020090010313 U KR2020090010313 U KR 2020090010313U KR 20090010313 U KR20090010313 U KR 20090010313U KR 200447272 Y1 KR200447272 Y1 KR 200447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hole
tank
aquarium
disposed
stora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구동
Original Assignee
조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구동 filed Critical 조구동
Priority to KR2020090010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2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2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01K61/85Feeding devices for use with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8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aquar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은, 수조, 하부가 수조의 상부 일측에 고정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각각의 수직프레임의 연장단부에서 수조의 중심부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각각의 수평프레임의 연장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가지는 지지프레임, 및 내부에 컨트롤러가 내장된 컨트롤러박스와, 컨트롤러박스의 양측에 배치되는 조명플레이트, 각각의 조명플레이트에 내장되는 PCB 기판, 및 각각의 PCB 기판에 장착되어 조명플레이트의 하부로 노출되는 다수의 LED를 구비하는 LED 모듈을 가지면서 와이어에 의해서 수조의 상부에 이격되게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조명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AQUARIUM HAVING IMPROVED STRUCTURE}
본 고안은 수생생물, 특히 관상어 등을 키울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상용 수족관(어항)은 살아있는 관상어 또는 수초와 같은 수생생물을 물이 담긴 수조에 넣어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일반 상점에서 실내외의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 소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통상적인 수족관을 살펴보면, 누구나 알 수 있듯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수조와, 수조를 덮는 덮개로 이루어진다. 수조에는 관상어가 오랜 기간 서식할 수 있도록 서식처가 제공되고, 그리고 수조에는 관상어들에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산소발생기가 제공된다.
한편, 수조를 덮는 덮개에는 수조 내부의 관상어에게 사료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먹이급여장치가 마련되고, 덮개의 내측으로 통상의 형광등으로 이루어진 조명기구 등과 같은 수조 용품들이 마련된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 수족관은 덮개가 수조를 덮는 단순하고 획일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디자인이 세련되지 못하여 실내 분위기를 오히려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종래 수족관은 한정된 수조의 주변 공간 내에 다양한 수조 용품들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수족관 주변이 복잡하고 시각적으로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통상의 LED(발광다이오드)모듈로 이루어진 조명유닛을 수조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종래 획일적인 수족관의 구조를 탈피하여 새로운 개념의 수족관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ED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서 수온을 조절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관상어 생육에 필요한 수온조절유닛 및 사료급여유닛 등과 같은 수조 용품들을 조명유닛에 일체로 구비되게 함으로써, 수조 주변공간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수조;
하부가 수조의 상부 일측에 고정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각각의 수직프레임의 연장단부에서 수조의 중심부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각각의 수평프레임의 연장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가지는 지지프레임; 및
내부에 컨트롤러가 내장된 컨트롤러박스와, 컨트롤러박스의 양측에 배치되는 조명플레이트, 각각의 조명플레이트에 내장되는 PCB 기판, 및 각각의 PCB 기판에 장착되어 조명플레이트의 하부로 노출되는 다수의 LED를 구비하는 LED 모듈을 가지면서 와이어에 의해서 수조의 상부에 이격되게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족관은, 수조의 내부의 물의 수온을 조절할 수 있는 수온조절유닛을 더 구비하며, 수온조절유닛은;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수조 내부의 물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수중에 침수되게 배치되는 온도센서; 및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컨트롤러박스와 조명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송풍팬;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족관은, 자동으로 수조 내부에 먹이를 제공하는 사료급여유닛을 더 구비하며, 사료급여유닛은;
컨트롤러박스의 배면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수조와 마주보는 제 1 배출공이 형성된 베이스와, 사료가 저장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함체 형상을 가지면서 하부에는 제 1 배출공과 연통하는 장공의 형태의 제 2 배출공이 형성 되어 베이스에 안치되는 저장케이스를 가지는 저장안내부;
제 2 배출공의 시작단부 또는 연장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제 2 배출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면서 제 2 배출공이 개폐되게 하는 셔터부재가 권취된 조절축과, 저장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고 조절축에 권취된 셔터부재를 제 2 배출공을 따라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버튼을 가지는 배출량 조절부; 및
저장케이스의 하부면 상에 배치되어 제 2 배출공을 개폐하는 슬라이딩도어와,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베이스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도어를 작동시키는 리니어 모터를 가지는 자동 배출부;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은 수조와, 수조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LED 모듈로 이루어지고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조명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종래 획일적인 디자인의 수족관을 탈피할 수 있어 새로운 개념의 수족관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100)은, 수조(110)와, 수조(110)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120)에 연결되는 조명유닛(140)을 구비한다.
먼저, 수조(110)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수조(110)의 내부에는 관상어와 수초 등이 서식할 수 있도록 서식공간(112)이 제공된다.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수조(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함체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수조(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부가 개방된 다양한 용기(容器)의 형상을 제작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0)은 하부가 수조(110)의 상부 일측에 고정 장착되는 수직한 한 쌍의 수직프레임(122)과, 각각의 수직프레임(122)의 연장단부에서 수조(112)의 중심부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24)과, 각각의 수평프레임(124)의 연장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26)을 구비한다. 각각의 수직프레임(122)의 하부에는 수조(1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단면이 대략 "∩"자 형상을 가지는 홀더(128)가 일체로 제공되는데, 홀더(128)는 수조에 끼워진 상태에서 홀더(128)의 일측에서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볼트(B)에 의해서 수조(110)에 고정 장착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조명유닛을 하부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조명유닛(140)은 내부에 컨트롤러(142)가 내장된 컨트롤러박스(144)와, 컨트롤러박스(144)의 양측에 배치되는 LED 모듈(158)을 구비한다.
컨트롤러박스(144)의 전면 상에는 디스플레이 화면(146)이 제공되고, 디스플레이 화면(146)의 일측으로는 메인스위치(148), 조명타이머스위치(150), 조도조절스위치(152), 또한 후술하는 수온조절유닛(200)을 제어하는 수온조절스위치(154) 및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사료급여유닛(300)을 제어하는 사료급여스위치(156)가 제공된다.
컨트롤러박스(144)의 양측에 배치된 LED 모듈(158)은 내부에 컨트롤러(142)와 연결된 PCB 기판(160)이 내장된 조명플레이트(162)와, 각각의 PCB 기판(160)에 장착되고 각각의 조명플레이트(162)의 하부 측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LED(164)를 구비한다.
지지프레임(120)의 연결프레임(126)과 마주보는 각각의 조명플레이트(162)의 상부에는 와이어(166)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연결고리(168)가 형성되고, 연결프레임(126)에는 와이어(166)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 2 연결고리(170)가 형성된다,
한편, 각각의 조명플레이트(162)의 하부로 노출된 LED(164)는 색상별로 배열되고, LED(164)에서 발생한 열은 수조(110) 내부로 전달되어 수조(110) 내부의 물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러한 LED(164)는 컨트롤러(142)에 의해서 색상별로 점등되는 것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100)은, 수조(110) 내부에 물의 수온을 조절할 수 있는 수온조절유닛(200)을 더 구비한다.
수온조절유닛(200)은 온도센서(210)와, 다수의 송풍팬(220)을 구비한다. 온 도센서(210)는 수조(110) 내부의 물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수중에 침수되게 배치된다. 온도센서(210)는 컨트롤러(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송풍팬(220)은 온도센서(210)와 마찬가지로 컨트롤러(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컨트롤러박스(144)와 조명플레이트(162) 사이에 배치되는데, 이와 같이 배치된 송풍팬(220)은 수조(110) 내부의 수온이 설정된 온도보다 상승하면 작동하여 LED(164)에서 방사되는 열을 수조(110)의 외부로 유도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료급여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료저장부를 저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100)은, 자동으로 수조(110) 내부의 관상어들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사료급여유닛(300)을 더 구비하는데, 사료급여유닛(3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플레이트(162) 및 송풍팬(220)에 간섭되지 않게 컨트롤러박스(144)의 배면에 배치된다.
전술한 사료급여유닛(300)은 관상어용 사료가 충진되고, 충진된 사료를 수조(11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저장안내부(310)와, 수조(110) 측으로 안내되는 사료의 양을 조절하는 배출량 조절부(330), 및 저장안내부(310) 내의 사료를 자동으로 배출되게 하는 자동 배출부(350)를 구비한다.
저장안내부(310)는 관상어용 사료가 저장되는 저장케이스(312)와, 저장케이스(312)가 안치되고, 저장케이스(312) 내의 사료를 수조(110) 측으로 안내하는 베이스(314)를 구비한다.
베이스(314)는 컨트롤러박스(144)의 배면에서 컨트롤러박스(144)의 배면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14)의 전면은 컨트롤러박스(144)의 배면 상에 일체로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베이스(314)에는 제 1 배출공(316) 및 제 1 호퍼경사면(318)이 제공되는데, 제 1 배출공(316)은 베이스(314)의 하부면 상에서 베이스(314)의 상부면 상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제 1 호퍼경사면(318)은 제 1 배출공(316)의 연장단부에서 베이스(314)의 상부면 측으로 방사상 넓어지게 연장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베이스(314)에는 저장케이스(312)가 안치된다.
저장케이스(312)는 내부에 관상어용 사료를 충진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함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저장케이스(312)의 바닥면 상에는 제 1 배출공(316)과 마주보는 제 2 배출공(320)이 형성되는데, 제 2 배출공(320)은 저장케이스(312)의 폭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저장케이스(312)의 바닥면에는 제 2 배출공(320)에서 사방 측면의 상부 측으로 높아지는 경사로 제공되는 제 2 호퍼경사면(3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저장케이스(312)의 개방된 상부는 일단이 저장케이스(312)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324)에 의해서 덮어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저장안내부(310)의 저장케이스(312)에는 배출량 조절부(330)가 배치되고, 저장케이스(312)와 베이스(314) 사이에는 자동 배출부(350)가 배치된다.
배출량 조절부(330)는 제 2 배출공(320)의 시작단부 또는 연장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 2 배출공(320)에 배치되는 배출량 조절부(330)는 제 2 배출공(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면서 제 2 배출공(320)이 개폐되게 하는 셔터부재(332)가 권취된 조절축(334)과, 조절축(334)에 권취된 셔터부재(332)를 제 2 배출공(320)을 따라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버튼(336)을 구비한다.
조절축(334)은 제 2 배출공(320)의 시작단부 또는 연장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조절축(334)의 외주면 상에는 셔터부재(332)의 일단이 고정됨과 아울러 셔터부재(332)가 권취된다. 한편, 슬라이딩 버튼(336)은 저장케이스(312)의 전면 상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버튼(336)의 배면 상에는 제 2 배출공(320) 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브라켓(338)이 형성되는데, 연결브라켓(338)의 연장단부는 셔터부재(332)의 타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저장케이스(312)의 전면 상에는 연결브라켓(338)이 슬라이딩 안내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340)이 수평하게 형성된다. 즉, 슬라이딩 버튼(336)의 작동에 의해서 제 2 배출공(320)을 따라 안내되는 셔터부재(332)는 제 2 배출공(320)을 통해 안내되는 배출되는 사료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자동 배출부(350)는 저장케이스(312) 및 베이스(314)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자동 배출부(350)는 저장케이스(312)의 하부면 상에 배치되어 제 2 배출공(320)을 개폐하는 슬라이딩도어(352), 및 컨트롤러(142)와 연결되고 베이스(314)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도어(352)를 작동시키는 리니어 모터(354)를 구비한다.
슬라이딩도어(352)는 제 2 배출공(320)을 폐쇄할 수 있는 수평한 판 형상을 가지며, 저장케이스(312)의 하부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서 저장케이스(312)의 하부면 상에는 슬라이딩도어(352)의 양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356)가 형성된다. 한편, 리니어 모터(354)는 베이스(314)의 상부면에 침강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리니어 모터(354)에서 연장되는 모터축(358)은 슬라이딩도어(352)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슬라이딩도어(352)의 하부에는 모터축(358)이 장착되는 결합브라켓(360)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제 2 배출공(320)은 리니어 모터(354)의 작동에 의해서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슬라이딩도어(352)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10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수조(110)에 지지프레임(120)을 결합시킨다. 지지프레임(120)을 수조(11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수직프레임(122)의 하부에 형성된 홀더(128)를 수조(110)의 상부 일측에 끼움 결합한 후, 홀더(128)에 관통 체결되는 체결볼트(B)를 이용해 지지프레임(120)을 수조(110)에 유동되지 않게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수조(110)에 지지프레임(120)의 결합이 완료되면, 수온조절유닛(200) 및 사료급여유닛(300)이 장착된 조명유닛(140)을 와이어(166)를 이용해 지지프레임(120)에 연결시킨다. 즉, 와이어(166)의 일단은 제 1 연결고리(168)에 연 결시킨 상태에서 와이어(166)의 타단은 제 2 연결고리(170)에 연결함으로써, 조명유닛(140)은 지지프레임(120)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족관(100)의 결합이 완료되면, 컨트롤러(142)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 하에서 메인스위치(148)를 ON 시키면 LED 모듈(158)의 LED(164)는 발광하게 된다. LED(164)가 발광함에 따른 LED(164)에서 방사되는 열에 의해서 수조(110) 내부의 물은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조명타이머스위치(150) 및 조도조절스위치(152)를 작동시킴으로써, LED(164)의 발광 시간 및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수조(110) 내부의 수온이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온도센서(210)는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142) 측으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그리고 컨트롤러(142)는 송풍팬(220)을 작동시킨다. 이렇게 작동하는 송풍팬(220)은 수조(110) 측으로 방사되는 열을 조명유닛(140) 외부로 방출시킨다. 그리고 수온이 설정된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송풍팬(220)은 작동되지 않는다.
한편, 수조(110) 내부로 사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사료급여스위치(156)를 작동시킨다. 사료급여스위치(156)를 작동시키면 컨트롤러(142)는 리니어모터(354)를 구동시키고, 리니어모터(354)는 모터축(358)과, 모터축(358)과 연결된 슬라이딩도어(352)를 당겼다가 복귀시킨다. 이때, 슬라이딩도어(352)가 리니어모터(354)의 작동에 의해서 당겨지면, 제 2 배출공(320)의 하부는 개방되고, 제 2 배출공(320)의 하부가 개방됨에 따라 제 2 배출공(320)을 통해 저장케이스(312) 내부의 사료는 제 1 호퍼경사면(318), 제 1 배출공(316) 및 배출호퍼(362)를 통해 수조(110) 내부 로 안내된다. 한편, 리니어모터(354)의 작동에 의해서 배출되는 사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셔터부재(332)와 연결된 슬라이딩버튼(336)을 이동시켜 제 2 배출공(320)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조명유닛을 하부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료급여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료저장부를 저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110 : 수조
120 : 지지프레임 140 : 조명유닛
158 : LED 모듈 200 : 수온조절유닛
300 : 사료공급유닛

Claims (8)

  1. 수조;
    하부가 상기 수조의 상부 일측에 고정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연장단부에서 상기 수조의 중심부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수평프레임의 연장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가지는 지지프레임;
    내부에 컨트롤러가 내장된 컨트롤러박스와, 상기 컨트롤러박스의 양측에 배치되는 조명플레이트, 각각의 상기 조명플레이트에 내장되는 PCB 기판, 및 각각의 상기 PCB 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조명플레이트의 하부로 노출되는 다수의 LED를 구비하는 LED 모듈을 가지면서 와이어에 의해서 상기 수조의 상부에 이격되게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조명유닛; 및
    자동으로 상기 수조 내부에 먹이를 제공하는 사료급여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사료급여유닛은;
    상기 컨트롤러박스의 배면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상기 수조와 마주보는 제 1 배출공이 형성된 베이스와, 사료가 저장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함체 형상을 가지면서 하부에는 상기 제 1 배출공과 연통하는 장공의 형태의 제 2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에 안치되는 저장케이스를 가지는 저장안내부;
    상기 제 2 배출공의 시작단부 또는 연장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배출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면서 상기 제 2 배출공이 개폐되게 하는 셔터부재가 권취된 조절축과, 상기 저장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축에 권취된 상기 셔터부재를 상기 제 2 배출공을 따라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버튼을 가지는 배출량 조절부; 및
    상기 저장케이스의 하부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배출공을 개폐하는 슬라이딩도어와,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작동시키는 리니어 모터를 가지는 자동 배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수조에 끼워지는 홀더가 일체로 제공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수조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홀더의 일측에서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볼트에 의해서 상기 수조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과 마주보는 각각의 상기 조명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 2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족관은, 상기 수조의 내부의 물의 수온을 조절할 수 있는 수온조절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수온조절유닛은;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수조 내부의 물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수중에 침수되게 배치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박스와 상기 조명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송풍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출공은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 상에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 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 1 배출공의 연장단부에는 제 1 호퍼경사면이 상기 제 1 배출공의 연장단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 측으로 방사상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배출공에는 배출호퍼가 끼워지며, 상기 저장케이스의 바닥면 상에는 상기 제 2 배출공에서 사방 측면의 상부 측으로 높아지는 경사로 제공되는 제 2 호퍼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는 일단이 상기 저장케이스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에 의해서 덮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버튼의 배면 상에는 상기 제 2 배출공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셔터부재의 타단과 연결되는 연결브라켓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케이스의 전면 상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이 슬라이딩 안내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는 상기 제 2 배출공을 폐쇄할 수 있는 수평한 판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저장케이스의 하부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저장케이스의 하부면 상에는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양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침강되게 배치되고, 상기 리니어 모터에서 연장되는 모터축은 상기 슬라이딩도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KR2020090010313U 2009-08-07 2009-08-07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KR200447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313U KR200447272Y1 (ko) 2009-08-07 2009-08-07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313U KR200447272Y1 (ko) 2009-08-07 2009-08-07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272Y1 true KR200447272Y1 (ko) 2010-01-13

Family

ID=4421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313U KR200447272Y1 (ko) 2009-08-07 2009-08-07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27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2826A (zh) * 2011-08-17 2012-04-25 邢良坤 一种大型玻璃水族养殖缸及其运转系统和运转方法
KR101369892B1 (ko) * 2012-06-18 2014-03-06 이현성 분산형 물고기 먹이 자동 공급장치
KR20150111182A (ko) * 2014-03-25 2015-10-05 주식회사 아이알브이테크 pH센서를 구비한 수조용 조명장치
WO2015152673A1 (ko) * 2014-04-04 2015-10-08 박성남 수족관용 엘이디 램프 장치
KR101613253B1 (ko) * 2014-03-25 2016-04-18 주식회사 아이알브이테크 온도센서와 송풍팬을 구비한 수조용 조명장치
KR20190139114A (ko) 2018-06-07 2019-12-17 주식회사 트윈스타 수족관 조명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862U (ja) * 1991-09-10 1993-03-30 寿工芸株式会社 水槽管理装置
JPH0730049U (ja) * 1993-11-24 1995-06-06 株式会社ニッソー 観賞用水槽の照明装置
KR19980066559U (ko) * 1997-05-17 1998-12-05 김승필 수족관
JP2008293945A (ja) * 2007-05-22 2008-12-04 Prodisc Technology Inc 水槽用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862U (ja) * 1991-09-10 1993-03-30 寿工芸株式会社 水槽管理装置
JPH0730049U (ja) * 1993-11-24 1995-06-06 株式会社ニッソー 観賞用水槽の照明装置
KR19980066559U (ko) * 1997-05-17 1998-12-05 김승필 수족관
JP2008293945A (ja) * 2007-05-22 2008-12-04 Prodisc Technology Inc 水槽用照明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2826A (zh) * 2011-08-17 2012-04-25 邢良坤 一种大型玻璃水族养殖缸及其运转系统和运转方法
KR101369892B1 (ko) * 2012-06-18 2014-03-06 이현성 분산형 물고기 먹이 자동 공급장치
KR20150111182A (ko) * 2014-03-25 2015-10-05 주식회사 아이알브이테크 pH센서를 구비한 수조용 조명장치
KR101613253B1 (ko) * 2014-03-25 2016-04-18 주식회사 아이알브이테크 온도센서와 송풍팬을 구비한 수조용 조명장치
KR101643656B1 (ko) 2014-03-25 2016-07-29 주식회사 아이알브이테크 pH센서를 구비한 수조용 조명장치
WO2015152673A1 (ko) * 2014-04-04 2015-10-08 박성남 수족관용 엘이디 램프 장치
KR20150115377A (ko) * 2014-04-04 2015-10-14 박성남 수족관용 엘이디 램프 장치
KR101583270B1 (ko) 2014-04-04 2016-01-07 박성남 수족관용 엘이디 램프 장치
KR20190139114A (ko) 2018-06-07 2019-12-17 주식회사 트윈스타 수족관 조명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272Y1 (ko)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JP6236251B2 (ja) 生育器
US8113147B1 (en) LED lamp and aquarium using same
US5067060A (en) Aquarium lamp
CA2593253A1 (en) Color changing light object and user interface for same
US11771058B2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CN106472287A (zh) 生态种植箱
US3680245A (en) Fish attracting device
KR101818678B1 (ko)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
US6915762B2 (en) Wall-mountable aquarium
KR101366209B1 (ko) 수족관용 착탈식 조명장치
KR101042617B1 (ko) 수족관용 조명장치
KR100626998B1 (ko) 장식용 화분
JP2022547399A (ja) 垂直に分布される光源を有する植物エンクロージャ
EP3649855A1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KR20180076437A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스마트 어항 시스템
KR20120060096A (ko) 화분장치
CN113243290A (zh) 多功能植物灯花盆
KR20170090006A (ko) 천장 설치형 조명 겸용 화분
KR101369501B1 (ko) 성장발육이 우수한 양계를 생산할 수 있는 양계장용 엘이디조명제어장치
KR102024814B1 (ko) 조명 기능을 갖는 테라리움
KR100742725B1 (ko) 기능성 어항
CN210328727U (zh) 生物养殖箱
KR200397179Y1 (ko) 장식용 화분
CN214677173U (zh) 一种喂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