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559U - 수족관 - Google Patents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559U
KR19980066559U KR2019970011008U KR19970011008U KR19980066559U KR 19980066559 U KR19980066559 U KR 19980066559U KR 2019970011008 U KR2019970011008 U KR 2019970011008U KR 19970011008 U KR19970011008 U KR 19970011008U KR 19980066559 U KR19980066559 U KR 199800665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aquarium
feeding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필
Original Assignee
김승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필 filed Critical 김승필
Priority to KR2019970011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559U/ko
Publication of KR199800665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559U/ko

Links

Landscapes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먹이의 공급이 지정된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공급되는 먹이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수족관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조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과 수조 사이에 설치되는 반사부재와, 상기 수조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공급수단과, 상기 수조의 내부를 조사하는 조명수단과, 상기 수조에 수납되어 있는 물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위조절수단과, 상기 수조의 측부에 설치되어 수조의 물을 정수시키는 필터수단과, 상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펌핑수단과,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온을 항시 설정온도로 유지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수조의 내저부에 구비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기포발생장치와, 상기 먹이공급시기 또는 물의 교체시기를 지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온을 감지하는 수온감지센서와, 상기 타이머와 수온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먹이공급수단, 펌핑수단 및 가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족관
본 고안은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먹이의 공급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며, 공급되는 먹이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정수 성능이 탁월하여 장기간 물을 교체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특히 벽걸이형으로 제작되어 설치공간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장식 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한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족관은 가정이나, 영업장 등에 설치되어 관상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수족관에는 여러 가지 부대장치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수조의 내부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장치, 수조 내의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배수 장치 또는, 수족관의 시각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암석, 수초 등의 데코레이션 장치등이 구비된다.
또한, 종래에는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3-48460호(명칭:자동급이기) 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91-4856호(명칭:수족관)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먹이를 공급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고,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92-1598호(명칭:수족관용 정수장치)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족관의 내저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흡입, 여과하거나 또는 수족관의 내벽면을 닦아주면서 이물질을 흡입, 여과시키도록 함으로써 수족관의 내부를 청소하는 기능을 겸한 수족관용 정수장치 등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족관에 적용되고 있는 장치들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즉, 상기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3-48460호에 의한 자동급이기의 경우에는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편리함은 있으나, 공급되는 먹이의 투여량을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91-4856호의 수족관에서는 먹이공급장치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92-1598호의 수족관용 정수장치는 수족관의 내부를 청소하는 동작과 아울러 수조내의 물을 정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장치 자체의 부품이 많아 제조가 어렵고, 유지관리가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수족관에서 요구되는 개개의 장치를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있어 다양한 성능을 모두 구비한 최적의 조건을 갖춘 수족관이 제공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편리를 도모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한 수족관은 수족관이 차지하는 일정한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내에서 수족관을 설치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으로 먹이를 공급하는 수단과, 수조의 물을 정화시키는 수단 및 수온을 조절하는 수단을 동시에 구현하도록 한 수족관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한정된 공간 내에서도 설치가능하도록 한 수족관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장식용으로 설치되는 수족관의 외관상의 미려함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수족관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수족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족관의 종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의한 먹이공급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
3a는 먹이공급통이 먹이통 내부에 수납된 상태의 단면도.
3b는 먹이공급통이 먹이통 외부로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수위감지플로트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1차 필터 및 2차 필터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마이콤 제어부의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20 ; 수조
30 ; 거울40 ; 시계
51 ; 먹이통52 ; 먹이공급레버
53 ; 솔레노이드53a ; 가동철심
55 ; 먹이공급통55a ; 먹이공급공
56 ; 먹이량조절나사57 ; 볼
60 ; 형광등71 ; 보충수 탱크
71a ; 물유입공72 ; 지지대
73 ; 수위조절플로트81 ; 1차 필터
82 ; 2차 필터90 ; 모터
101 ; 유리관102 ; 히터
103 ; 수온감지센서110 ; 기포발생장치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수족관은 수족관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조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과 수조 사이에 설치되는 반사부재와, 상기 수조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공급수단과, 상기 수조의 내부를 조사하는 조명수단과, 상기 수조에 수납되어 있는 물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위조절수단과, 상기 수조의 측부에 설치되어 수조의 물을 정수시키는 필터수단과, 상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펌핑수단과,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온을 항시 설정온도로 유지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수조의 내저부에 구비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기포발생장치와, 상기 먹이공급시기 또는 물의 교체시기를 지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온을 감지하는 수온감지센서와, 상기 타이머와 수온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먹이공급수단, 펌핑수단 및 가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수족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족관의 종단면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의한 먹이공급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 3a는 먹이공급통이 먹이통 내부에 수납된 상태의 단면도, 3b는 먹이공급통이 먹이통 외부로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수위감지플로트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1차 필터 및 2차 필터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실시예인 벽걸이형 수족관은 수족관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투명유리로 된 수조(20)가 안착되어 있고, 상기 수조(20)와 케이스(10)의 후벽체 사이에는 거울(3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거울(30)의 소정 부위에는 시계(4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케이스의 상면과 전면 케이스(11)(12)를 분해하여 보인 것으로, 상기 케이스(10)는 벽에 취부시켜 공간을 차지않는 정도로 두께가 얇은 슬림(slim)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면 상측에는 걸이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조(20)의 상측에는 자동먹이공급수단(50), 조명수단(60) 및 자동수위조절수단(70)이 구비되어 있고, 수조(20)의 측부에는 필터수단(80), 펌핑수단(90) 및 가열수단(100)이 설치되어 있으며, 수조(20)의 내측 저부에는 기포발생장치(1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자동먹이공급수단(50)은 먹이통(51)과, 상기 먹이통(51)의 저부에서 외측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먹이공급레버(52)와, 상기 먹이공급레버(52)를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53)로 구성되어 있다. 부호 53a은 가동철심이다.
상기 먹이공급레버(52)의 선단부에는 전후면이 개방된 원통체가 눕혀진 상태의 먹이공급통(55)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러한 먹이공급통(55)의 후방측 개방부는 먹이가 먹이공급통의 내부로 유입되며, 전방측 개방부는 먹이조절나사(56)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또한, 먹이공급통(55)의 하면에는 먹이공급공(55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먹이조절나사(56)에 의해 먹이공급공(55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공급되는 먹이의 양을 조절하도록 한다.
또한, 먹이공급레버(52)의 하면에는 레버(52)의 구름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다수개의 볼(57)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동철심(53a)과 먹이공급레버(52)는 고정핀(58)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가동철심(53a)은 항시 먹이통(51)의 반대측으로 스프링(59)에 의해 탄지되어 있다.
상기 조명수단(60)으로는 형광등이 설치되어 있는 바, 단색 형광등 외에도 다색 형광등을 사용하여 장식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 수위조절수단(70)은 보충수 탱크(71)와, 상기 보충수 탱크(71)의 하면에 형성된 물유입공(71a)에 설치되는 지지대(72)와, 상기 지지대(72)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수조(20)의 물 위에 설치되어 수조(20)내의 수위에 따라 상기 물유입공(71a)을 개폐하는 수위조절플로트(7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수단(80)은 1차 필터(81)와, 2차 필터(82)로 구성되어 있고, 수조(20)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펌핑수단(90)으로서의 펌프가 연결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1차 필터(81)는 필터케이스(81a)의 측면 하부에는 물유입구(81b)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물배출구(81c)가 형성되어 있으며, 필터케이스(81a)의 내부에는 필터부재인 솜(81d)이 스프링(81e)에 의해 필터지지 스트레이너(81f)로 탄지되어 있다.
상기 2차 필터(82)는 필터케이스(82a)의 상면에 물유입구(82b)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 물유출구(82c)가 형성되어 있으며, 필터케이스(82a)의 내부에는 필터부재인 카본(carbon)(82d)과 세라믹(ceramic)(82e)이 차단 스트레이너(82f)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상기 1차 필터(81)는 수조(20)의 상면에 연결되어 있고, 2차 필터(82)는 펌프(90)와 연결설치되어 수조(20)의 하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열수단(100)은 수조(20)의 내저부에 유리관(101)을 설치하여 그 내부에 히터(102)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가열수단(100)의 동작은 수온감지센서(103)에 의해 감지된 수온에 의하여 동작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에 의한 벽걸이형 수족관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 수족관에서의 먹이가 공급되는 동작은 먹이공급수단(5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미리 입력된 주기에 의해 일정 시간마다 솔레노이드(53)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가동철심(53a)이 스프링(59)의 힘을 이기고 도 3a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는 바, 가동철심(53a)과 연결되어 있는 먹이공급레버(52)의 선단부가 먹이통(51)의 외측으로 돌출되었다가 다시 스프링(59)의 힘에 의해 먹이통(51)의 내측으로 복귀된다. 이때, 먹이공급레버(52)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먹이공급통(55)이 먹이통(51)의 외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다시 먹이통(51)의 내부로 복귀되므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먹이공급통(55)의 내부에 얹혀있던 먹이는 관성의 법칙에 의해 먹이공급통(55)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먹이공급공(55a)을 통해 수조(20)로 투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이 수 회 반복되어 일정량의 먹이가 주기적으로 수조에 공급된다. 상기 먹이공급공(55a)의 크기는 먹이량조절나사(56)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명수단(60)은 형광등을 사용하는 바, 형광등 뿐만 아니라 각종 조명기구를 설치하여 다양한 조명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방법은 보충수 탱크(71)의 하면에 연결된 수위조절 플로트(73)에 의해 수조(20) 내의 수량이 일정량 이하가 되면, 수위조절 플로트(73)가 도 4에서 처럼,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된 상태와 같이, 하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물유입공(71a)이 개방되어 보충수 탱크(71)의 물이 수조(20)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 수단(80)에 의한 정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펌프(90)가 구동되어 수조(20) 내의 물이 1차 필터(81)를 거치면서 물과 혼합되어 있던 이물질이 여과되고, 1차 필터(81)를 통과한 물이 다시 카본(82d)과 세라믹(82e)으로 적층된 2차 필터(82)를 거치면서 각종 냄새 및 화학적 성분이 정화된다. 이와 같이 정화된 물은 다시 수조(20)로 들어가게 되며, 수 회에 걸친 정수 작용을 통해 수조 내의 물은 최소 1년 이상 교체하지 않아도 될만큼 항시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조 외부의 온도가 하강하더라도 수조 내의 물은 항시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수조(20)의 저부 일측에 가열수단인 히터(102)가 설치되어 있고, 수조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온감지센서(103)가 설치되어 있어 수온감지센서(103)에 의해 수조의 물온도를 감지하여 수온이 설정온도 이하로 하강하게 되면, 히터(102)에 전원을 인가하고, 다시 수온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히터(102)에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모든 동작은 도 6에 도시한 블록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수족관은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공급되는 먹이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가 없는 상태에서도 장기간 수족관의 관리가 가능해지는 것이며, 수조의 물 보충 작업도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필터수단에 의해 완벽한 정수 작용이 이루어져 빈번하게 수조의 물갈이를 실시할 필요가 없어 수족관 관리의 편이성을 극대화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수족관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조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과 수조 사이에 설치되는 반사부재와,
    상기 수조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공급수단과,
    상기 수조의 내부를 조사하는 조명수단과,
    상기 수조에 수납되어 있는 물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위조절수단과,
    상기 수조의 측부에 설치되어 수조의 물을 정수시키는 필터수단과,
    상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펌핑수단과,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온을 항시 설정온도로 유지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수조의 내저부에 구비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기포발생장치와,
    상기 먹이공급시기 또는 물의 교체시기를 지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온을 감지하는 수온감지센서와,
    상기 타이머와 수온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먹이공급수단, 펌핑수단 및 가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케이스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벽걸이가 가능하도록 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의 전면에는 시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공급수단은 먹이통과, 상기 먹이통의 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먹이공급레버와, 상기 먹이공급레버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하면에는 먹이공급공이 형성된 먹이공급통과, 상기 먹이공급레버를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공급통의 후방측은 먹이가 먹이공급통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개방되고, 전방측 개방부는 먹이공급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먹이량조절나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공급레버의 하면에는 레버의 구름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다수개의 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보충수 탱크와, 상기 보충수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수조의 물 위에 설치되어 수조의 수위에 따라 보충수 탱크의 물을 수조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물공급공을 개방시키는 수위조절 플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은 솜 등이 수납되어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1차 필터와, 카본 및 세라믹이 수납되어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2차 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KR2019970011008U 1997-05-17 1997-05-17 수족관 KR199800665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008U KR19980066559U (ko) 1997-05-17 1997-05-17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008U KR19980066559U (ko) 1997-05-17 1997-05-17 수족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559U true KR19980066559U (ko) 1998-12-05

Family

ID=69684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008U KR19980066559U (ko) 1997-05-17 1997-05-17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55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886A (ko) * 2001-01-13 2002-07-19 장성주 양어조 및 급이조 분리형 양어 설비
KR100828629B1 (ko) * 2007-06-01 2008-05-09 전인환 수족관용 여과장치
KR200447272Y1 (ko) * 2009-08-07 2010-01-13 조구동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KR20220097060A (ko) * 2020-12-31 2022-07-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쿠아포닉스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886A (ko) * 2001-01-13 2002-07-19 장성주 양어조 및 급이조 분리형 양어 설비
KR100828629B1 (ko) * 2007-06-01 2008-05-09 전인환 수족관용 여과장치
KR200447272Y1 (ko) * 2009-08-07 2010-01-13 조구동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KR20220097060A (ko) * 2020-12-31 2022-07-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쿠아포닉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830734U (zh) 一种动物专用自动饮水器
US4684462A (en) Filtration, aeration, and water level control means for aquariums
US20080314808A1 (en) Portable, refillable water dispenser serving batches of water purified of organic and inorganic pollutants
US5565065A (en) Distilled water supply device
KR19980066559U (ko) 수족관
KR100694421B1 (ko) 수족관의 제어 방법
KR19980066560U (ko) 수족관
KR101017601B1 (ko) 벽걸이형 수족관
US4202056A (en) Toilet waterfall
KR20030041118A (ko)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와 그 제어방법
JPH06292483A (ja) 観賞魚飼育装置
CN210929109U (zh) 宠物饮水机
CN211091385U (zh) 一种带养水功能自动控制的观赏鱼缸
KR200449688Y1 (ko) 급배수장치가 구비된 관상용 수조
CN213327142U (zh) 装饰净饮机
JP3234289B2 (ja) 浄水器
CN214851883U (zh) 一种具有除雾功能的浴室镜加热装置
CN212269488U (zh) 一种水质水量自动控制装置
JP2000336702A (ja) 雨水貯留装置
CN212414367U (zh) 一种生态智能鱼缸
CN216271092U (zh) 一种用于原水的多功能储存容器
KR820000902Y1 (ko) 장식용 어항
JP3007144U (ja) 観賞用水槽ユニット
CN209932553U (zh) 一种电热毛巾架
CN107188349A (zh) 水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