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006A - 천장 설치형 조명 겸용 화분 - Google Patents

천장 설치형 조명 겸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006A
KR20170090006A KR1020160010099A KR20160010099A KR20170090006A KR 20170090006 A KR20170090006 A KR 20170090006A KR 1020160010099 A KR1020160010099 A KR 1020160010099A KR 20160010099 A KR20160010099 A KR 20160010099A KR 20170090006 A KR20170090006 A KR 20170090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ghting
unit
wate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아
최희조
안지민
Original Assignee
이정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아 filed Critical 이정아
Priority to KR1020160010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0006A/ko
Publication of KR20170090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기능이 결합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분을 천장에 설치할 수 있어 공간 절약의 효과가 있고, 또한 화분 측면에 조명이 배치되어 공간 활용을 효율화할 수 있다. 또한, 식물 옆에 조명을 배치함으로써 식물 성장을 촉진할 수 있고, 저장부에 물을 보관할 수 있어 물을 자주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겸용 화분 {FLOWERPOT COMBINED LAMP}
본 발명은 조명 기능이 결합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한정된 실내에서 보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에 사용된 합성자재 및 제품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유해물질이나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 등이 현대인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최근에는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며 외부의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어 현대인들의 건강이 더욱 위협받고 있다.
따라서 실내 공간의 친환경적 구성, 쾌적성과 실내 공기의 질의 향상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실내의 공기 질은 기계적 공조장치 외에도 공기청정기, 가습기, 복합 기능을 갖는 에어컨 및 환풍기 등으로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친환경적 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최근에는 실내에 실내조경을 조성하여 보다 자연친화적인 실내 환경을 만드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즉, 공기정화 식물 등을 실내에 도입하여 실내 공기 질을 정화시키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실내 식물의 경우에는 식물의 광합성을 위하여 식물의 배치 장소가 창문 근처 등으로 한정될 수 밖에 없어 공간 활용이 제한적이고 실내 장식에도 제한이 따르게 되고, 식물로 인한 공간을 차지하며, 자주 물을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3-0000122호 (2013.01.02.)
본 발명은 실내 등을 이용하여 식물에 빛을 공급함으로써 공간 배치의 자유도를 개선할 수 있는 조명 겸용 화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분에 물 저장고를 형성하여 자주 물을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조명 겸용 화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은,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고, 타면에 분무홀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일면에 제1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본체의 타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와 분리되어 있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은, 상기 본체의 타면과 상기 뚜껑 사이에 배치되고,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방지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은 상기 저장부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저장부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저장부 내부의 수위에 따라 돌출되는 높이가 변화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명부를 개방하는 교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분을 천장에 설치할 수 있어 공간 절약의 효과가 있고, 또한 화분 측면에 조명이 배치되어 공간 활용을 효율화할 수 있다.
또한, 식물 옆에 조명을 배치함으로써 식물 성장을 촉진할 수 있고, 저장부에 물을 보관할 수 있어 물을 자주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은 식물을 심는 화분이자 동시에 형광등 또는 LED 전등 등을 삽입하여 조명으로 사용 가능한 조명 겸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인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는 천장에 형광등 또는 LED 전등과 같은 일반적인 조명도구만 설치하나,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하는 조명에 화분을 결합하여 화분을 재배하며 동시에 조명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 조명 겸용 화분은 화분 내에 식물을 심은 후 천장 등에 매달아 사용하는 것으로, 도 1은 사용 상태를 기준으로 한 방향에서 도시하였고, 도 2는 도 1을 180ㅀ 뒤집어서 식물을 심을 때의 상태를 기준으로 한 방향에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은 본체(10), 저장부(20), 뚜껑(30) 및 조명부(4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고, 타면에 분무홀(12)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수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1)는 본체(10)의 비어있는 내부 공간으로 화분을 심을 수 있는 공간이다. 본체(10)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어 개방된 일면을 통하여 본체(10)의 수용부에 화분을 심을 수 있다.
본체(10)의 타면에는 분무홀(12)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분무홀(12)은 본체(10)에 심은 화분에 물을 주기 위하여 관통되어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는 분무홀(12)에 물을 부어 본체(10)에 심은 화분에 물을 줄 수 있게 된다.
분무홀(12)이 형성된 본체(10)의 타면은 일면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타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경우, 사용자가 분무홀(12)의 위치에 정확하게 맞추어 물을 주지 않아도, 물이 자연스럽게 흘러 분무홀(12)을 통해 수용부(11) 내부에 심어진 화분으로 흘러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본체(10)의 타면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으로 일면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일 수도 있으나,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본체(10) 타면의 일부는 직선 형상이고 나머지 일부만 일면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저장부(20)는 화분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는 공간이다. 저장부(20)는 그 일면이 개방되어 있는 형상으로 그 형상은 본체(10)의 일면에 대응되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장부(20)는 본체(10)의 타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그 일면에 미세한 사이즈의 통과홀(21)이 형성되어 있다. 통과홀(21)은 분무홀(12)에 비하여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본체(10)의 분무홀(12)을 통해 저장부(20) 내부로 물이 들어오게 되고, 저장부(20)에 관통 형성된 통과홀(21)을 통해 본체(10)에 심어진 식물에 물을 분배하게 된다.
저장부(20)에는 복수의 분무홀(12)이 형성되어 있고, 분무홀(12)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저장부(20)에 수용된 물이 통과홀(21)을 통과하여 한번에 식물로 흘러 들어가지 않고, 저장부(20)에 오래도록 머물 수 있게 된다.
뚜껑(30)은 본체(10)의 타면에 연결되는 부재이다. 뚜껑(30)은 본체(10)의 수용부(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31)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본체(10)를 뒤집어서 본체(10) 내부에 저장부(20)를 삽입한 후, 식물을 심게 된다. 그 이후 뚜껑(30)을 덮어 본체(10)를 뒤집어 사용하더라도 식물이 본체(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식물이 본체(10)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뚜껑(30)에는 관통홀(31)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체(10)에 심은 식물을 관통홀(31)을 이용하여 뚜껑(30)의 외측으로 돌출시킨 후, 뚜껑(30)을 본체(10)에 덮어 식물의 움직임을 막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32)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본체(10)에는 수용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뚜껑(30)에 형성된 돌기(32)를 본체(10)의 수용홈(14)에 삽입한 후 뚜껑(30)을 돌려 뚜껑(30)이 본체(10)에 결합되어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체(10)의 수용부(11)에 식물을 심은 후 본체(10)를 뒤집어 사용하여도 돌기(32)와 수용홈(14)의 결합 방식에 의해 본체(10)에 연결된 뚜껑(30)에 의해 식물이 본체(10) 아래로 빠지지 않고 수용부(11)에 심어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뚜껑(30)과 본체(10)의 결합 방식은 도시한 방식 이외에도 뚜껑(30)이 본체(10)에 힌지 결합 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돌기(32)와 수용홈(14)의 형상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다르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뚜껑(30)은 수용부(11)를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본체(10)에 결합되어 있다.
조명부(40)는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11)와 분리되어 있다. 조명부(40)는 형광등 또는 LED 전등 등 빛을 발하는 전등이 배치되는 장소이다. 조명부(40) 측면의 수용부(11)는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으로, 식물의 성장을 위하여 물이 스며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전기적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부(40)와 수용부(11) 사이는 격벽이 형성되어 조명부(40)는 수용부(11)와 분리되어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은, 우선 도 1에 도시된 본체(10)를 뒤집어서 식물을 심게 된다.
우선, 본체(10) 내부에 저장부(20)를 삽입한다. 저장부(20)는 본체(10)의 타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집어넣을 수 있다. 저장부(20)는 본체(10) 내부에 위치하기만 하면, 이후 식물을 심을 때 담게 되는 흙의 무게 및 이로 인한 압력으로 인하여 저장부(20)의 타면에 접해있게 된다.
또는 본체(10)의 타면과 접촉하는 저장부(20)의 형상을 따라 본체(10)의 타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 저장부(20)를 본체(10)의 타면에 끼움 방식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본체(10)의 수용부(11)에 저장부(20)를 삽입한 후, 본체(10)에 식재하고자 하는 식물과 적당한 흙을 수용부(11)에 담는다. 이후, 뚜껑(30)을 이용하여 본체(10)를 뒤집더라도 식물이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식물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뚜껑(30)에 형성된 관통홀 사이로 식물이 나올 수 있도록 하여, 뚜껑(30)은 식물을 수용부(11) 내부에 고정하는 동시에 식물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본체(10)에 연결된다.
수용부(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조명부(40)에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전등을 삽입한다.
이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을 뒤집어서 천장에 걸어 식물 재배와 실내 조명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을 천장에 거는 방법으로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본체의 타면 부분에 와이어가 형성되어 있거나 훅이 형성되어 있어, 천장에 걸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조명부(40)에 삽입된 전등의 전선은 본체(10)의 타면을 통해 본체(10)외부로 돌출되어 천장에 배선되어 있는 전선에 연결되어 전등에 불이 들어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은, 식물을 천장에 매달아 재배함으로써, 식물 재배를 위한 공간을 별도로 준비하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공간 사용에 자유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빛을 제공함에 있어서도, 화분을 창가에 배치하거나, 빛이 안 드는 장소에서도 실내를 밝히기 위한 전등을 식물의 주변에 배치함으로써 식물을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체(10)의 타면에 형성된 분무홀(12) 및 본체(10) 내부에 삽입된 저장부(20)를 통해 식물에 물을 주게 된다. 저장부(20)는 그 사이즈에 대응하는 공간만큼의 물을 저장하였다가 미세한 사이즈의 통과홀(21)을 통해 식물에 물을 주게 되므로, 물이 한번에 바닥 부분으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저장부(20)에 물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매일같이 물을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에 대하여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은 본체(10), 저장부(20), 뚜껑(30), 방지망(50) 및 조명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의 본체(10), 저장부(20), 뚜껑(30) 및 조명부(40)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의 본체(10), 저장부(20), 뚜껑(30) 및 조명부(40)와 그 구조 및 기능이 유사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방지망(50)은 본체(10)의 타면과 뚜껑(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1) 내부에 식물 및 흙을 담은 후, 뚜껑(30)을 덮기 전에 방지망(50)을 덮는 경우, 조명 겸용 화분을 뒤집어서 천장에 매달았을 때 흙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1) 내부에 담은 흙은 흙이 안정화 되면 하나의 덩어리처럼 형성되어 뚜껑(30)만 덮어도 본체(10)를 뒤집었을 때 하부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방지망(50)을 이용하여 이중으로 흙의 떨어짐을 방지하는 경우, 흙의 떨어짐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방지망(50)은 메쉬(mesh)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흙에 공기는 접촉시키면서 흙의 떨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저장부(20)에는 표시부(60)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부(60)는 부력을 이용하여 물에 뜨는 부재로, 그 재질은 일례로 빨대와 같은 재질일 수 있다.
표시부(6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부재로, 그 일측은 저장부(20)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타측은 저장부(20)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표시부(60)는 저장부(20) 내부의 수위를 표시하여 주는 부재로, 그 겉 표면에 저장부 내부의 수위가 최저 상태일 때와 최대 상태일 때가 눈금으로 표시되어 있다.
저장부(20)의 수위가 최대인 경우에도, 표시부(60)가 본체(10)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시부(60)의 일단 부분에는 표시부(6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부(60)가 수위에 의하여 상승하더라도 돌기가 본체(10)에 걸려 표시부(60)가 본체(10)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수용부(11)에 식물을 심은 후 본체(10)를 뒤집어 천장에 매달았을 때, 표시부(60)는 중력으로 인하여 일단이 저장부(20)에 닿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수용홈(14)을 이용하여 저장부(20) 내부에 물을 저장하게 되면, 저장부(20)의 수위가 높아지며 표시부(60)가 상승하게 된다.
저장부(20) 내부에 물이 거의 가득 차게 되면, 표시부(60)는 상승할 수 있는 최대 높이까지 상승하여, 표시부(60) 겉에 표시된 최대표시가 본체(10) 외측으로 보이게 된다. 사용자는 표시부(60)의 눈금을 확인한 후, 저장부(20)의 수위가 최대치임을 알 수 있고 수용홈(14)에 물 붓기를 중단할 수 있다.
이후, 저장부(20) 내부의 물이 통과홀(21)을 통하여 하측에 위치한 흙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표시부(60)의 돌출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이후, 표시부(60)가 저장부(20)의 일면에 접촉하게 되면, 표시부(60) 겉에 표시된 최소 눈금이 저장부(20)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사용자는 최소 눈금이 사라진 것을 확인하고, 저장부(20)에 물이 없음을 유추할 수 있게 된다.
즉, 저장부(20)의 수위에 따라 표시부(60)의 돌출 높이가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표시부(60)에서 보이는 저장부 수위 눈금이 달라지게 된다. 이로부터 사용자는 저장부(20) 내부의 물의 양을 가늠하여 물을 줄 시기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물을 넘치게 주거나 물 줄 시기를 놓치게 되는 문제점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 교체부(13)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교체부(13)는 조명부(40)의 위치에 대응하는 본체(10)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조명부(40)를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조명부(40) 내부에 삽입한 전등의 수명이 다하거나, 고장 나는 경우, 교체부(13)를 열어 전등을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교체부(13)는 본체(10)에 힌지 결합되어 조명부(40)를 개방하거나 또는 뚜껑(30)과 같이 돌기와 홈 방식으로 본체(1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교체부(13)는 조명부(40)를 본체(10) 외측으로 개방하여 조명부(40)에 삽입되는 전등을 교체할 수 있는 다른 공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정리한다.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본체(10)를 뒤집어서 본체(10) 내부에 저장부(20)를 삽입하게 된다. 저장부(20)는 물을 저장하는 부재로, 그 내부 부피에 해당하는 양의 물을 저장하였다가 미세한 크기의 통과홀(21)을 통해 수용부에 심어지는 식물에 물을 주게 된다.
본체(10)에 저장부(20)를 삽입한 후 흙과 식물을 수용부(11)에 심고, 이후 뚜껑(30)을 덮어 흙의 움직임을 막게 된다. 뚜껑(30)을 덮기 전에 메쉬(mesh) 형상의 방지망(50)을 덮어 흙의 움직임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이후, 조명부(40) 사용 환경에 적합한 전등을 삽입한 후, 본체를 뒤집어서 본체를 천장에 매달아 사용하게 된다. 이때 본체를 천장에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또는 후크(hook) 등은 별도로 도시하지 아니하였다. 동시에 조명부(40)와 연결되어 본체 외측으로 돌출된 전선(도시하지 아니함)을 천장에 기 설치되어 있는 전선에 연결하여 전등에 전기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화분은, 공간이 부족한 실내에서도 천장에 매달아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을 효율화하고, 화분 옆에 별도의 조명을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화분에 조명이 내재되도록 함으로써 미적 측면도 극대화하였으며, 식물 옆에 배치된 조명으로 인하여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도록 하여 식물 재배 환경을 개선하였다.
또한, 기존의 화분과 달리, 저장부(20)를 통해 물이 흙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식물의 잎이 아닌 뿌리 부분에 물이 직접 닿을 수 있도록 하여 잎을 통한 물의 증발 현상을 감소하여 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감소하는 효과도 추구하였다.
그리고 표시부(60)에 눈금을 표시하고 이를 통하여 저장부(20) 내부의 수위를 유추할 수 있도록 하여 저장부(20)에 물을 추가하여야 하는 시기와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본체 11 : 수용부
12 : 분무홀 13 : 교체부
14 : 수용홈 20 : 저장부
21 : 통과홀 30 : 뚜껑
31 : 관통홀 32 : 돌기
40 : 조명부 50 : 방지망
60 : 표시부

Claims (4)

  1.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고, 타면에 분무홀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일면에 제1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본체의 타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와 분리되어 있는 조명부
    를 포함하는 조명 겸용 화분.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의 타면과 상기 뚜껑 사이에 배치되고,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방지망
    을 더 포함하는 조명 겸용 화분.
  3. 제1항에서,
    일측은 상기 저장부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저장부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저장부 내부의 수위에 따라 돌출되는 높이가 변화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조명 겸용 화분.
  4. 제1항에서,
    상기 조명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명부를 개방하는 교체부
    를 더 포함하는 조명 겸용 화분.
KR1020160010099A 2016-01-27 2016-01-27 천장 설치형 조명 겸용 화분 KR20170090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099A KR20170090006A (ko) 2016-01-27 2016-01-27 천장 설치형 조명 겸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099A KR20170090006A (ko) 2016-01-27 2016-01-27 천장 설치형 조명 겸용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006A true KR20170090006A (ko) 2017-08-07

Family

ID=5965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099A KR20170090006A (ko) 2016-01-27 2016-01-27 천장 설치형 조명 겸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000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954A (ko) * 2018-07-31 2019-07-15 정윤환 천장에 설치되는 역전형 식물재배 시스템
KR20190085833A (ko) * 2018-10-11 2019-07-19 김진대 역전형식물재배수단의 낙하물차폐지지장치
KR20200094349A (ko) * 2019-01-30 2020-08-0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중 화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664A (ko) * 2009-03-26 2010-10-06 김구배 분갈이용 내부화분이 삽입되게 한 분재용 도자기 화분
KR20120104015A (ko) * 2011-03-11 2012-09-20 최진선 Led를 이용한 다기능 화분
KR20130005651A (ko) * 2011-07-07 2013-01-16 권태욱 수분 공급용 화분
KR20130002302U (ko) * 2011-10-06 2013-04-16 (주)로고스텍 항균기능을 갖는 플라스틱 안경
KR20150141308A (ko) * 2014-06-10 2015-12-18 주식회사 에이프로티 식물재배가 가능한 가습형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664A (ko) * 2009-03-26 2010-10-06 김구배 분갈이용 내부화분이 삽입되게 한 분재용 도자기 화분
KR20120104015A (ko) * 2011-03-11 2012-09-20 최진선 Led를 이용한 다기능 화분
KR20130005651A (ko) * 2011-07-07 2013-01-16 권태욱 수분 공급용 화분
KR20130002302U (ko) * 2011-10-06 2013-04-16 (주)로고스텍 항균기능을 갖는 플라스틱 안경
KR20150141308A (ko) * 2014-06-10 2015-12-18 주식회사 에이프로티 식물재배가 가능한 가습형 공기청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954A (ko) * 2018-07-31 2019-07-15 정윤환 천장에 설치되는 역전형 식물재배 시스템
KR20190085833A (ko) * 2018-10-11 2019-07-19 김진대 역전형식물재배수단의 낙하물차폐지지장치
KR20200094349A (ko) * 2019-01-30 2020-08-0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중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0097B2 (en) Automated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JP3218810U (ja) 栽培箱と栽培箱を利用した植物栽培機
US5918415A (en) Multi-purpose self-watering system
US20080072835A1 (en) Combined pot and aquarium
US5251399A (en) Vertical plant stand
KR101485824B1 (ko) 수직정원
KR20170090006A (ko) 천장 설치형 조명 겸용 화분
KR101176434B1 (ko) 어항을 구비한 화분
KR101172866B1 (ko) 식물 식재가 가능한 가로등주
KR100722371B1 (ko) 화분의 물공급장치
US20140153243A1 (en) Ornamental light set
US7544290B2 (en) Aquarium
KR200486196Y1 (ko) 화분용 조명장치
US20150083246A1 (en) Water-level indicator and wide-mouth re-fill apparatus for sub-irrigated, containerized plants that attaches to a plant's growpot
KR101429337B1 (ko) 공기 청정 분수 화분
JP2004008169A (ja) 鉢収容空間用自動給水セット
AU713138B2 (en) Multi-purpose automatic filling and leveling liquid basin with liquid transfer
KR100626998B1 (ko) 장식용 화분
KR20080006233U (ko) 발광이 이루어지는 실내, 외용 화분
JPH11225580A (ja) 生花器、植木鉢、造花篭を備えた容器と巻上げ装置
KR20130000122A (ko) 식물재배장치
KR102454244B1 (ko) 실내용 스마트 수경재배시스템
KR102238449B1 (ko) 식물 재배용 유리블럭
KR200288854Y1 (ko) 조명장치가 설치된 실내용 자동급수화분
KR101014627B1 (ko)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