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449B1 - 식물 재배용 유리블럭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용 유리블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8449B1 KR102238449B1 KR1020200151216A KR20200151216A KR102238449B1 KR 102238449 B1 KR102238449 B1 KR 102238449B1 KR 1020200151216 A KR1020200151216 A KR 1020200151216A KR 20200151216 A KR20200151216 A KR 20200151216A KR 102238449 B1 KR102238449 B1 KR 1022384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nts
- wall
- case
- mounting hole
- pla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2009/1484—Glazing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재배용 유리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광이 어려운 실내에서 식물의 광합성을 유도하도록 인위적인 광을 제공하고, 동시에, 식물을 향해 적절한 바람을 제공하여 식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 피톤치드 등의 유효성분을 주변으로 비산시켜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식물 자체가 바람에 흩날릴 수 있도록 해 식물의 생장 환경을 보다 자연환경에 가깝게 조성할 수 있어 식물의 성장을 보다 촉진시키고 올바른 성장을 유도할 수 있으며, 특히, 야간 시 뛰어난 시인성 확보와 함께 식물의 입체감 및 표현력을 증대시켜 미감 향상, 은은한 실내 분위기 조성 등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식물 재배용 유리블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 재배용 유리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광이 어려운 실내에서 식물의 광합성을 유도하도록 인위적인 광을 제공하고, 동시에, 식물을 향해 적절한 바람을 제공하여 식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 피톤치드 등의 유효성분을 주변으로 비산시켜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식물 자체가 바람에 흩날릴 수 있도록 해 식물의 생장 환경을 보다 자연환경에 가깝게 조성할 수 있어 식물의 성장을 보다 촉진시키고 올바른 성장을 유도할 수 있으며, 특히, 야간 시 뛰어난 시인성 확보와 함께 식물의 입체감 및 표현력을 증대시켜 미감 향상, 은은한 실내 분위기 조성 등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식물 재배용 유리블럭에 관한 것이다.
실내 경관을 조성한다거나, 각종 실내 오염 물질을 정화하기 위해 실내에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가 늘고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화분을 사용하고 있다. 화분은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하부 영역에 수분 및 공기의 통과를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통 형상으로, 단순히 식물을 심어놓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화분에 심어진 식물은 토양에 직접 심어진 식물들과 마찬가지로, 광합성을 통해서 영양분을 얻게 되고, 이러한 광합성은 광량, 온도, 이산화탄소 등에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에 설치되는 화분은 광합성을 위해, 주기적으로 창가나 베란다 등으로 운반하여 충분한 광량을 받도록 하지만, 주기적으로 화분을 옮겨야 하므로 그 관리가 힘든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으로, 요즘 대부분의 화분에는 조명 기구를 설치해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광을 인위적으로 제공하면서도 조명 기구에 의해 실내를 장식하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어, 실내 조명장치로서의 역할도 함께 할 수 있는 화분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화분을 살펴보면, 한국 등록특허 제10-1245820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는,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식물의 뿌리가 안치되도록 내부에 요입된 발포수지부와, 상기 발포수지부의 하방으로 유수되는 물을 저수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착탈되는 받침구와, 상부 중앙에 일정길이의 수직으로 돌출된 고정파이프를 형성한 화분 본체와;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화분 본체의 발포수지부에 안치된 식물에 빛을 공급하도록 하는 LED부와, 상기 화분 본체의 고정파이프에 내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이동구를 형성한 조명부재와; 상기 화분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하고, 음성을 감지하도록 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신호에 의해 음향을 출력하도록 하는 스피커와, 상기 조명부재의 점등과 음향을 설정하도록 하는 컨트롤부를 형성한 받침대;로 구성되는 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식물에 광원을 제공하는 조명기구가 화분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조명기구의 개수, 위치 등을 사용자의 임의로 조정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별도의 조명기구를 설치한다고 해도, 조명기구의 전선으로 인해 화분 주변이 지저분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채광이 어려운 실내에서 식물의 광합성을 유도하도록 인위적인 광을 제공하고, 동시에, 식물을 향해 적절한 바람을 제공하여 식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 피톤치드 등의 유효성분을 주변으로 비산시켜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식물 자체가 바람에 흩날릴 수 있도록 해 식물의 생장 환경을 보다 자연환경에 가깝게 조성할 수 있어 식물의 성장을 보다 촉진시키고 올바른 성장을 유도할 수 있으며, 특히, 야간 시 뛰어난 시인성 확보와 함께 식물의 입체감 및 표현력을 증대시켜 미감 향상, 은은한 실내 분위기 조성 등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식물 재배용 유리블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 유리재질로 이루어지며 전후 방향으로 거치공이 관통 형성되는 사각 형태의 케이스; 상기 거치공 내부에 거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유리재질의 화분; 상기 거치공의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광모듈; 상기 거치공의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팬모듈; 상기 거치공의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발광모듈 및 팬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 및 투명 또는 반투명 유리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좌우 방향으로 가로질러 장착되는 스트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공의 내벽에는 상기 발광모듈, 팬모듈 및 배터리모듈이 장착되는 복수의 장착홈 및 인접한 장착홈 사이마다 전선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에는 스트랩부의 좌우 양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랩부는, 호 형태로 만곡되는 밴드부재; 및 상기 밴드부재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에 삽입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케이스는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발광모듈을 통해 채광이 어려운 실내에서 식물의 광합성을 유도하도록 인위적인 광을 제공하고, 동시에 팬모듈을 통해 식물을 향해 적절한 바람을 제공하여 식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 피톤치드 등의 유효성분을 주변으로 비산시켜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식물 자체가 바람에 흩날릴 수 있도록 해 식물의 생장 환경을 보다 자연환경에 가깝게 조성할 수 있어 식물의 성장을 보다 촉진시키고 올바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둘째, 케이스, 화분, 스트랩부 등을 투명 유리재질로 구성하여 발광모듈에서 발광되는 빛을 사방으로 굴절 내지 반사시켜 특히 야간에 케이스 주변으로 퍼지는 빛에 의해 은은한 분위기 연출을 가능토록 하고 야간 시 뛰어난 시인성 확보와 함께 식물의 입체감 및 표현력을 증대시켜 미감 향상, 은은한 실내 분위기 조성 등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아울러, 케이스가 자연광을 무리 없이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면 케이스 내부로 화분이 배치되더라도 화분에 심긴 식물이 케이스에 의해 그늘져 자연광이 미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스트랩부는 거치공에 거치된 화분이 케이스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려 케이스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화분에 심긴 식물이 넝쿨식물일 경우엔 넝쿨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줄기를 유인하는 유인 지지대 역할을 하도록 해 특성상 곧게 자라지 않고, 주변 구조물에 말리면서 자라며, 심지어 줄기의 강도는 매우 약한 넝쿨식물의 줄기를 적절히 유인해 식물이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블럭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블럭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블럭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케이스의 부분 절개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케이스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을 기준으로 하는 유리블럭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넝쿨식물의 줄기가 스트랩부에 유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스트랩부와 케이스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스트랩부의 장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1은 화분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유리블럭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블럭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블럭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케이스의 부분 절개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케이스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을 기준으로 하는 유리블럭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넝쿨식물의 줄기가 스트랩부에 유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스트랩부와 케이스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스트랩부의 장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1은 화분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유리블럭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발명의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엄밀하지 않은 방향기준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y), 전후(z), 좌우(x)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유리블럭(이하 유리블럭이라 함)은 크게 케이스(10), 화분(20), 발광모듈(30), 팬모듈(40), 배터리모듈(50) 및 스트랩부(6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케이스(10)는 유리블럭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로 화분(2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내벽에 발광모듈(30), 팬모듈(40), 배터리모듈(50)이 적소에 배치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케이스(1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해 발광모듈(30)에서 발광되는 빛을 사방으로 굴절 내지 반사시켜 특히 야간에 케이스(10) 주변으로 퍼지는 빛에 의해 은은한 분위기 연출을 가능토록 한다.
아울러, 케이스(10)가 자연광을 무리 없이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면 케이스(10) 내부로 화분(20)이 배치되더라도 화분(20)에 심긴 식물이 케이스(10)에 의해 그늘져 자연광이 미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10)의 중앙에는 전후 방향으로 거치공(11)이 관통 형성되는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거치공(11) 주변으로는 서로 수직으로 접하는 4 개의 내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벽은 예컨대, 거치공(11)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벽(11a), 거치공(11)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벽(11b), 거치공(11)의 좌우 측면을 구성하는 측벽(11c)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때, 거치공(11)에 거치된 화분(20)은 하벽(11b) 위에 지지될 수 있다.
거치공(11)의 내벽에는 상기 발광모듈(30), 팬모듈(40) 및 배터리모듈(50)이 장착되는 복수의 장착홈(12)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12)은 발광모듈(30), 팬모듈(40) 및 배터리모듈(50)이 설치될 설치공간을 의미하며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형태로 예시된다.
즉, 내벽을 구성하는 상벽(11a), 하벽(11b) 및 측벽(11c)마다 하나의 장착홈(12)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장착홈(12)에는 발광모듈(30), 팬모듈(40) 및 배터리모듈(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장착홈(12)에 설치될 발광모듈(30), 팬모듈(40) 및 배터리모듈(50)의 설치위치는 재배될 식물의 종류, 실내 인테리어,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측벽(11c)의 장착홈(12)에는 발광모듈(30)을, 상벽(11a)의 장착홈(12)에는 팬모듈(40)을, 하벽(11b)의 장착홈(12)에는 배터리모듈(50)이 설치된 실시예를 기본 실시예로 하고, 필요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측벽(11c)에 팬모듈(40)을 설치한다거나, 상벽(11a)에 발광모듈(30)을 설치하는 등 목적 또는 상황에 맞게 발광모듈(30), 팬모듈(40) 및 배터리모듈(50)의 설치 위치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각 모듈을 배치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스(10)에는 인접한 장착홈(12) 사이마다 전선수용홈(13)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전선수용홈(13)은 각각의 장착홈(12)과 상호 연결되어 장착홈(12)과 함께 내벽 상에 하나의 채널을 구성하며 발광모듈(30), 팬모듈(40) 및 배터리모듈(5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전선(C)을 수용한다.
발광모듈(30), 팬모듈(40) 및 배터리모듈(50)은 전선(C)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전선(C)의 부적절한 고정에 의해 거치공(11) 측으로 늘어져 노출될 경우 육성중인 식물에 간섭을 일으켜 올바른 육성을 방해하게 되며, 심하게는 식물이 늘어진 전선(C) 외측으로 엉키게 육성하여 식물 줄기와 전선(C)이 서로 풀리지 못하게 엉켜버리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렇게 되면, 불필요한 가지치기를 해야 하거나, 반대로 전선(C) 자체를 새롭게 결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른다.
아울러, 전선(C)이 거치공(11) 측으로 노출되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도 있기 때문에, 전선(C)이 상기 전선수용홈(13)에 올바르게 수용되도록 해 이와 같은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한다.
또한, 전선수용홈(13)에 의해 모든 장착홈(12)이 하나의 채널로 서로 연결 구성되기 때문에 발광모듈(30), 팬모듈(40), 배터리모듈(50) 및 이를 연결하는 전선(C)이 케이스(10)의 연속된 내벽을 따라 단절 없이 연이어 설치될 수 있다.
즉, 발광모듈(30), 팬모듈(40), 배터리모듈(50)이 서로 연결구성됨에 있어 별도 공간의 제약 없이 장착홈(12)과 전선수용홈(13) 내에서 연속적인 직렬 연결이 가능하므로 설치 자유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 모듈의 연결구성을 대폭 간소화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장착홈(12)에는 자석부재(12a)가 내장될 수 있으며, 발광모듈(30), 팬모듈(40) 및 배터리모듈(50)에는 거치공(11)에 내장된 자석부재(12a)와 다른 극성을 가진 자석부재(14)가 일체화될 수 있다.
즉, 자석부재(12a,14)의 흡인성질을 이용해 발광모듈(30), 팬모듈(40) 및 배터리모듈(50)을 거치공(11) 상에 탈부착 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발광모듈(30), 팬모듈(40) 및 배터리모듈(50)을 임이의 장착홈(12)에 자유롭게 탈부착시킬 수 있게 되어 설치 자유도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자석부재 외에도, 장착홈(12)에 발광모듈(30), 팬모듈(40) 및 배터리모듈(50)을 탈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양면접착제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수용홈(13)의 전후 폭(w1)은 장착홈(12)의 전후 폭(w2)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홈(12)의 경우 발광모듈(30), 팬모듈(40) 및 배터리모듈(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설치면적을 확보해야 하지만 전선수용홈(13)은 단순히 전선(C) 몇 가닥만을 수용하면 되므로 불필요하게 장착홈(12)과 동일한 면적을 가질 필요가 없다.
더욱이, 전선수용홈(13)의 전후 폭(w1)을 장착홈(12)의 전후 폭(w2)과 일치시키거나 이보다 크게 구성하게 되면 식물이 자라나면서 보다 쉽게 전선수용홈(13) 측으로 유입되는 상황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전선수용홈(13)에 전선(C)만 수용될 수 있는 전후 폭을 가지도록 해 자라나는 식물의 접근을 최대한 제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화분(20)은 상기 거치공(11) 내부에 거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유리재질의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로 식물이 심어진다.
화분(20)은 거치공(11) 상에 자유롭게 탈착 가능하기 때문에 화분(20)에 심긴 식물의 상태가 좋지 못할 경우, 화분(20)을 거치공(11)에서 별도로 분리하여 채광이 좋은 곳에 위치시키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화분(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 식물 등을 동시 수용할 수 있는 선에서 상부가 개방된 다양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발광모듈(30)은 상기 거치공(11)의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장착홈(12)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발광모듈(30)은 거치공(11)에 거치된 화분(20)을 향해 빛을 조사하게 되며 채광이 충분하지 못한 상황에서도 식물에 인위적인 빛을 제공해 식물의 광합성을 적절히 유도할 수 있다.
발광모듈(30)은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해 발열이 적어 식물의 피해가 적고,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LED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팬모듈(40)은 상기 거치공(11)의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장착홈(12)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특히, 팬모듈(40)은 식물의 직상방에서 바람을 제공하도록 상벽(11a)에 형성된 장착홈(1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모듈(40)은 식물을 향해 바람을 제공하여 식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 피톤치드 등의 유효성분을 주변으로 비산시켜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식물 자체가 바람에 흩날릴 수 있도록 해 식물의 육성 환경을 보다 자연환경에 가깝게 조성할 수 있어 식물의 성장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배터리모듈(50)은 거치공(11)의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발광모듈(30) 및 팬모듈(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배터리모듈(50)은 기전력 공급 외에는 별 다른 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화분(20)에 의해 가려지더라도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배터리모듈(50)은 공간활용을 고려해 하벽(11b)에 형성된 장착홈(1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스트랩부(60)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유리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좌우 방향으로 가로질러 장착될 수 있다.
스트랩부(60)는 거치공(11)에 거치된 화분(20)이 케이스(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려 케이스(1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화분(20)에 심긴 식물이 넝쿨식물일 경우엔 넝쿨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줄기를 유인하는 유인 지지대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에는 스트랩부(60)의 좌우 양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넝쿨식물의 특성상 곧게 자라지 않고, 주변 구조물에 말리면서 자라며, 심지어 줄기의 강도는 매우 약하기 때문에 이러한 줄기를 적절히 유인해 지지해 주어야만 시들지 않고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트랩부(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형태로 만곡되는 밴드부재(61) 및 상기 밴드부재(61)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15)에 삽입되는 체결부재(6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밴드부재(61)는 소정의 상하 전폭을 가지는 띠 형태로 구성되며 호 형태로 인해 중앙으로 갈수록 케이스(10)에서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재(61)는 화분(20)과의 사이에 빈 공간(S)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공간(S)으로 넝쿨식물의 줄기가 유인되어 밴드부재(61)의 외측에 감길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구성되면 하부에 배치된 다른 유리블럭에서부터 자라나는 넝쿨식물의 줄기마저 상부에 배치된 유리블럭의 밴드부재(61)에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지게 되어 넝쿨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지게 된다.
체결부재(62)는 밴드부재(61)의 좌우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정구(15)에 상하로 슬라이딩하여 체결되거나, 반대로 상하로 슬라이딩하여 고정구(15)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다.
고정구(15)는 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 전면에 형성된 케이스(1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고정구(15)는 케이스(10)의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홈 형태의 고정홈(15a) 및 상기 고정홈(15a)의 전면 하단 일부를 폐쇄하는 고정판(15b)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62)가 개방된 고정홈(15a)으로 삽입되면, 고정홈(15a)에 삽입된 체결부재(62)는 고정판(15b)에 의해 하부로 가이드되어 고정홈(15a)의 하부에 끼움 된 뒤, 고정판(15b)에 의해 고정홈(15a) 내에서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스트랩부(60)가 케이스(1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므로 화분(20)이 케이스(10) 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케이스(10)에 결합된 스트랩부(60)를 단순히 상부로 들어 올리기만 하면 체결부재(62)가 고정홈(15a) 내에서 상부로 상승하면서 체결부재(62)를 고정홈(15a)의 개방된 상부로 빠져나가게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홈(15a)의 내측면은 완전히 개방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스트랩부(60)를 상승이동시키지 않고서도, 스트랩부(60)를 좌우 양단이 중심으로 모이게 탄성변형시키기만 하면 체결부재(62)를 개방된 고정홈(15a)의 내측면으로 빠져나가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랩부(6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에, 스트랩부(60)를 케이스(10)에 보다 간편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화분(20)의 유지보수를 보다 간편하게 수행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춘 유리블럭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열과 행으로 적층 구성되어 벽체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리블럭은 발광모듈을 통해 채광이 어려운 실내에서 식물의 광합성을 유도하도록 인위적인 광을 제공하고, 동시에 팬모듈을 통해 식물을 향해 적절한 바람을 제공하여 식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 피톤치드 등의 유효성분을 주변으로 비산시켜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식물 자체가 바람에 흩날릴 수 있도록 해 식물의 생장 환경을 보다 자연환경에 가깝게 조성할 수 있어 식물의 성장을 보다 촉진시키고 올바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화분, 스트랩부 등을 투명 유리재질로 구성하여 발광모듈에서 발광되는 빛을 사방으로 굴절 내지 반사시켜 특히 야간에 케이스 주변으로 퍼지는 빛에 의해 은은한 분위기 연출을 가능토록 하고 야간 시 뛰어난 시인성 확보와 함께 식물의 입체감 및 표현력을 증대시켜 미감 향상, 은은한 실내 분위기 조성 등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아울러, 케이스가 자연광을 무리 없이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면 케이스 내부로 화분이 배치되더라도 화분에 심긴 식물이 케이스에 의해 그늘져 자연광이 미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스트랩부는 거치공에 거치된 화분이 케이스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려 케이스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화분에 심긴 식물이 넝쿨식물일 경우엔 넝쿨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줄기를 유인하는 유인 지지대 역할을 하도록 해 특성상 곧게 자라지 않고, 주변 구조물에 말리면서 자라며, 심지어 줄기의 강도는 매우 약한 넝쿨식물의 줄기를 적절히 유인해 식물이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케이스
20: 화분
30: 발광모듈
40: 팬모듈
50: 배터리모듈
60: 스트랩부
20: 화분
30: 발광모듈
40: 팬모듈
50: 배터리모듈
60: 스트랩부
Claims (5)
- 복수의 열과 행으로 적층 구성되어 벽체 구조물을 형성하는 식물 재배용 유리블럭에 있어서,
투명 또는 반투명 유리재질의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후 방향으로 거치공이 관통 형성되고, 거치공 주변으로는 서로 수직으로 접하는 4 개의 내벽이 형성되되, 상기 내벽은 각각 거치공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벽, 거치공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벽, 거치공의 좌우 측면을 구성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거치공 내부에 거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유리재질의 화분;
상기 거치공의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광모듈;
상기 거치공의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팬모듈;
상기 거치공의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발광모듈 및 팬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 및
투명 또는 반투명 유리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좌우 방향으로 가로질러 장착되는 스트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벽, 하벽 및 측벽마다 발광모듈, 팬모듈 및 배터리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장착홈이 함몰 형성되고, 각각의 장착홈과 상호 연결되어 장착홈과 함께 내벽 상에 하나의 채널을 구성하며 발광모듈, 팬모듈 및 배터리모듈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전선을 수용하는 전선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전선수용홈의 전후 폭은 장착홈의 전후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팬모듈은 식물의 직상방에서 바람을 제공하도록 상벽에 형성된 장착홈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에는 스트랩부의 좌우 양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스트랩부는,
하부에 배치된 다른 유리블럭에서부터 자라나는 넝쿨식물의 줄기가 유도되도록 중앙으로 갈수록 케이스에서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호 형태로 만곡되는 밴드부재; 및
상기 밴드부재의 좌우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구에 상하로 슬라이딩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케이스의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홈 형태의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의 전면 하단 일부를 폐쇄하는 고정판을 포함하며,
고정홈에 삽입되는 체결부재는 고정판에 의해 하부로 가이드되어 고정홈의 하부에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용 유리블럭.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1216A KR102238449B1 (ko) | 2020-11-12 | 2020-11-12 | 식물 재배용 유리블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1216A KR102238449B1 (ko) | 2020-11-12 | 2020-11-12 | 식물 재배용 유리블럭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38449B1 true KR102238449B1 (ko) | 2021-04-26 |
Family
ID=7573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1216A KR102238449B1 (ko) | 2020-11-12 | 2020-11-12 | 식물 재배용 유리블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8449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050U (ja) * | 1992-06-22 | 1994-01-18 | 文榮 陳 | 小植物栽培用ハウジング |
KR20100004465U (ko) * | 2008-10-22 | 2010-04-30 | 경기도농업기술원 | 조명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 |
KR101245820B1 (ko) | 2011-03-11 | 2013-03-20 | 최진선 | Led를 이용한 다기능 화분 |
JP2013165706A (ja) * | 2012-01-16 | 2013-08-29 | Panasonic Corp | 植物育成装置 |
KR20150012968A (ko) * | 2013-07-26 | 2015-02-04 | 손용준 | 액자형 풍란재배수단 |
KR20170010696A (ko) * | 2015-07-20 | 2017-02-01 | 주식회사 미주코리아 | Led램프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
-
2020
- 2020-11-12 KR KR1020200151216A patent/KR1022384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050U (ja) * | 1992-06-22 | 1994-01-18 | 文榮 陳 | 小植物栽培用ハウジング |
KR20100004465U (ko) * | 2008-10-22 | 2010-04-30 | 경기도농업기술원 | 조명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 |
KR101245820B1 (ko) | 2011-03-11 | 2013-03-20 | 최진선 | Led를 이용한 다기능 화분 |
JP2013165706A (ja) * | 2012-01-16 | 2013-08-29 | Panasonic Corp | 植物育成装置 |
KR20150012968A (ko) * | 2013-07-26 | 2015-02-04 | 손용준 | 액자형 풍란재배수단 |
KR20170010696A (ko) * | 2015-07-20 | 2017-02-01 | 주식회사 미주코리아 | Led램프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398107T3 (es) | Aparato para cultivar plántulas y método para cultivar plántulas | |
JP2009296928A (ja) | 室内観賞用苔庭の栽培装置 | |
KR20150082887A (ko) | 수족관과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 |
KR20120014305A (ko) | 엘이디 수경재배 다단형 식물 냉장고 | |
US10993381B2 (en) | Plant cultivation system | |
KR101245820B1 (ko) | Led를 이용한 다기능 화분 | |
KR102238449B1 (ko) | 식물 재배용 유리블럭 | |
KR101628656B1 (ko) | 식물재배장치 | |
KR101011377B1 (ko) | 관상식물용 천정 부착형 지지체 | |
CN206078239U (zh) | 一种鱼缸花盆装置 | |
KR200436029Y1 (ko) | 조명스탠드 겸용 실내 분재식물 생장관리 화분세트 및 그 형상구조 | |
KR200186476Y1 (ko) | 벽면부착용 수경재배화분집 | |
KR20170090006A (ko) | 천장 설치형 조명 겸용 화분 | |
KR101260430B1 (ko) | 실내용 식물재배장치 | |
TW201532511A (zh) | 植物培養燈具 | |
KR101052415B1 (ko) | 엘이디 식물재배기 | |
KR20160090023A (ko) | 수직걸이 식생장치 | |
KR20070088847A (ko) | 조명등을 내장한 식물 재배용 화분 | |
KR200416056Y1 (ko) | 난 인큐베이터 | |
JP7000832B2 (ja) | つる植物の登攀材及びこれを備える緑化装置 | |
KR200404327Y1 (ko) | 인공 흙을 이용한 식물 재배용 투명 화분 | |
KR20160058065A (ko) | 식물재배장치 | |
KR200437492Y1 (ko) | 수족관과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 |
KR102474558B1 (ko) | 다목적 책상 혹은 테이블 | |
CN216567242U (zh) | 悬挂式植物栽培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