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549B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549B1
KR101042549B1 KR1020090084977A KR20090084977A KR101042549B1 KR 101042549 B1 KR101042549 B1 KR 101042549B1 KR 1020090084977 A KR1020090084977 A KR 1020090084977A KR 20090084977 A KR20090084977 A KR 20090084977A KR 101042549 B1 KR101042549 B1 KR 101042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upport body
case
contac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7059A (ko
Inventor
허근무
안재필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549B1/ko
Publication of KR20110027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2Knife-and-clip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2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01H21/28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을 갖고, 접속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탄성체를 단자의 접촉부에 접촉시킴으로써 ON/OFF 전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스위치 장치는 그 구성품이 단자지지몸체(10), 케이스(20), 접속레버(30), 단자(40), 탄성체(50)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몸체 전체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자(40)를 구성하는 제1,제2단자결합부(41)(42)에 외부 연결단자(60)를 끼움에 있어, 상기 제1,제2단자결합부(41)(42)의 삽입부(41')(42')에 형성된 보조가압편(41")(42")이, 끼워진 연결단자(60)를 가압해주므로 끼움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단자(60)가 제1,제2단자결합부(41)(42)의 삽입부(41')(42')에 끼워짐에 있어, 상,하 방향에 관계없이 양측에서 모두 끼움이 가능하므로, 체결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속레버(30)의 회전에 따라서 탄성체(50)의 가동 접점이 단자(40)의 제1,제2접촉부(41A)(42A)에 확실하게 접촉 및 단락 되어지므로, 정확한 ON/OFF 전환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위치, 스프링, 단자, 케이스, 레버

Description

스위치 장치{actuator Switch}
본 발명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을 갖고, 접속레버를 회전 시킴에 따라 탄성체를 단자의 접촉부에 접촉시킴으로써 ON/OFF 전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유사한 종래 특허 문헌을 살펴보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31690호(스위치장치)가 있는 바, 상기 종래 특허 기술은 접속레버가 코일스프링의 권회부를 수납하는 스프링 수납부를 갖기 때문에, 이 스프링 수납부를 형성하는 벽부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스프링 수납부의 형상이 커지고, 이에 따라 접속레버의 형상이 커지는 경향이 있어 장치를 소형화하기가 어려웠다.
또, 접속레버를 풀스트로크까지 회전 운동시켰을 때에 접속레버의 조작부가 케이스의 외벽 단부에 부딪혀 정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스프링을 휨 변형시키기 위한 조작 레버의 스트로크에 제한을 받았다.
따라서, 원하는 스트로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접속레버의 형상을 비교적 크게 설정하지 않을 수 없어 장치 전체를 소형화하기가 어려웠다.
한편, 본 발명과 유사한 또 다른 종래 특허 문헌으로서, 공개특허 10-2007-0109937호(스위치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수납되어 가압 조작되는 조작부를 갖는 회전 운동 가능한 조작 레버와, 가동 접점을 형성하고, 권회부와, 이 권회부의 일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제 1 아암부와, 상기 권회부의 타단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회전 운동에 따라 휨 변형되는 제 2 아암부를 갖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상기 제 1 아암부에 상시 접촉되는 고정 접점과,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상기 제 2 아암부가 접촉/분리되는 전환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모퉁이부에 이 케이스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케이스의 연장부의 연장선 상에 상기 조작 레버의 상기 조작부를 상기 케이스 내로 밀어넣는 것을 허용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 레버에 상기 케이스의 연장부와 대향 가능한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연장부의 내방과 상기 조작 레버의 내방에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상기 권회부가 수납되는 스프링 수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과 그 구성은 상이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스위치장치를 살펴보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31690호(스위치장치), 공개특허 10-2007-0109937호(스위치장치)가 있다.
단자를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일체로 고정하는 단자지지몸체(10)와, 상기 단자지지몸체(10)를 지지 고정하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와 단자지지몸체(10) 사이에 축으로 회전하는 접속레버(30)를 가지며, 상기 접속레버(30)에는 상기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단자지지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는 단자를 서로 접속시키는 탄성체를 갖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지지몸체(10)는 단자(40)를 가지되, 상기 단자(40)는 단자지지몸체(10)의 제1측벽(11) 외측에 위치하는 제1,제2단자결합부(41)(42)를 가지며,
단자지지몸체(10)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제1,제2단자결합부(41)(42)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1,제2접촉부(41A)(42A) 및 접속레버저지턱(12)을 가지며,
상기 단자지지몸체(10)의 제1측벽에는 접속레버(30)의 회전돌기(31)가 끼워지는 회전돌기끼움구(13)와 회전돌기끼움홈(13')을 가지며,
상기 단자지지몸체(10)의 제2측벽(14) 외측에는 케이스(20)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7)를 가지되, 상기 제2측벽(14) 내측에는 제1결합구멍(16)을 가지며, 상기 단자지지몸체(10) 상,하면에는 케이스(20)에 끼워지는 고정돌기(15)를 가지며,
상기 접속레버(30)는 그 일측에 누름구(34)를 가지되, 상기 접속레버(30)의 내측면에는 탄성체(50)의 권취부(51)가 삽입되는 회전돌기(31)와, 탄성체지지턱(32)을 갖는 탄성체지지벽(33)을 가지며,
상기 접속레버(30)의 회전돌기(31)에 삽입 고정되는 탄성체(50)는 가운데 권 취부(51)를 가지며, 제1,제2굴곡접점(50A-1)(50A-2)를 갖는 제1단부(50A)와 단자지지몸체(10)의 내벽에 지지되는 제2단부(50B)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지지몸체(10)와 결합하는 케이스(20)는 그 바닥면(24)에 제1,제2단자결합부(41)(42)에 끼워지는 격벽(24-A)과 접속레버(30)의 회전돌기(31)를 지지하는 돌기결합홈(29)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20) 제1측벽(21)에는 접속레버 삽입구멍(21')과, 케이스 제2측벽(22)에는 끼움돌기삽입요홈(22')을 가지며, 케이스 상면(23)과 케이스 바닥면(24)에는 서로 일치하는 연결단자삽입구멍(28) 및 고정돌기삽입구멍(27)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20)의 상면(23)과 바닥면(24)을 서로 관통하는 제1체결구멍(25)과 제2체결구멍(26)을 갖도록 한 스위치 장치이다.
한편, 타 실시예로 상기 접속레버(30)는 그 일측에 누름구(34)를 가지되, 상기 접속레버(30)의 내측면에는 탄성체(50')의 권취부(51')가 삽입되는 회전돌기(31)와, 탄성체지지턱(32')을 갖는 탄성체지지벽(33')을 가지며,
상기 접속레버(30)의 회전돌기(31)에 삽입 고정되는 탄성체(50')는 가운데 권취부(51')를 중심으로 상기 탄성체지지턱(32')에 지지되는 제1단부(50A')와 제1측벽(11)의 지지턱(19)에 지지되는 제2단부(50B')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체지지턱(32') 하면에는 접점부재(35)가 끼워지는 끼움턱(32A')을 형성하되, 상기 접점부재(35)는 제1접촉부(41A)와 접촉하는 제1접점부(35-1)와 제2접촉부(42A)와 접촉하는 제2접점부(35-2)를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단자지지몸체(10)에 일체로 결합되는 단자(40)는 제1, 제2단자결합부(41)(42) 및 제1,제2접촉부(41A)(42A)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제2단자결합부(41)(42)는 연결단자(60)가 관통되는 삽입부(41')(42')를 가지되, 상기 각각의 삽입부(41')(42')에는 연결단자(60)를 가압하는 보조가압편(41")(42")을 각각 형성토록 하였다.
본 발명 스위치 장치는 그 구성품이 단자지지몸체(10), 케이스(20), 접속레버(30), 단자(40), 탄성체(50) 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몸체 전체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자(40)를 구성하는 제1,제2단자결합부(41)(42)에 외부 연결단자(60)를 끼움에 있어, 상기 제1,제2단자결합부(41)(42)의 삽입부(41')(42')에 형성된 보조가압편(41")(42")이 끼워진 연결단자(60)를 가압해 주므로 끼움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단자(60)가 제1,제2단자결합부(41)(42)의 삽입부(41')(42')에 끼워짐에 있어, 상,하 방향에 관계없이 양측에서 모두 끼움이 가능하므로, 체결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속레버(30)의 회전에 따라서 탄성체(50)의 가동 접점이 단자(40)의 제1,제2접촉부(41A)(42A)에 확실하게 접촉 및 단락 되어지므로, 정확한 ON/OFF 전환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자를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일체로 고정하는 단자지지몸체(10)와, 상기 단 자지지몸체(10)를 지지 고정하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와 단자지지몸체(10) 사이에 축으로 회전하는 접속레버(30)를 가지며, 상기 접속레버(30)에는 상기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단자지지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는 단자를 서로 접속시키는 탄성체을 갖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지지몸체(10)는 단자(40)를 가지되, 상기 단자(40)는 단자지지몸체(10)의 제1측벽(11) 외측에 위치하는 제1,제2단자결합부(41)(42)를 가지며,
단자지지몸체(10)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제1,제2단자결합부(41)(42)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1,제2접촉부(41A)(42A) 및 접속레버저지턱(12)을 가지며,
상기 단자지지몸체(10)의 제1측벽에는 접속레버(30)의 회전돌기(31)가 끼워지는 회전돌기끼움구(13)와 회전돌기끼움홈(13')을 가지며,
상기 단자지지몸체(10)의 제2측벽(14) 외측에는 케이스(20)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7)를 가지되, 상기 제2측벽(14) 내측에는 제1결합구멍(16)을 가지며, 상기 단자지지몸체(10) 상,하면에는 케이스(20)에 끼워지는 고정돌기(15)를 가지며,
상기 접속레버(30)는 그 일측에 누름구(34)를 가지되, 상기 접속레버(30)의 내측면에는 탄성체(50)의 권취부(51)가 삽입되는 회전돌기(31)와, 탄성체지지턱(32)을 갖는 탄성체지지벽(33)을 가지며,
상기 접속레버(30)의 회전돌기(31)에 삽입 고정되는 탄성체(50)은 가운데 권취부(51)를 가지며, 제1,제2굴곡접점(50A-1)(50A-2)를 갖는 제1단부(50A)와 단자지지몸체(10)의 내벽에 지지되는 제2단부(50B)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지지몸체(10)와 결합하는 케이스(20)는 그 바닥면(24)에 제1,제2단 자결합부(41)(42)에 끼워지는 격벽(24-A)과 접속레버(30)의 회전돌기(31)를 지지하는 돌기결합홈(29)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20) 제1측벽(21)에는 접속레버 삽입구멍(21')과, 케이스 제2측벽(22)에는 끼움돌기삽입요홈(22')을 가지며, 케이스 상면(23)과 케이스 바닥면(24)에는 서로 일치하는 연결단자삽입구멍(28) 및 고정돌기삽입구멍(27)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20)의 상면(23)과 바닥면(24)을 서로 관통하는 제1체결구멍(25)과 제2체결구멍(26)을 갖도록 한 스위치 장치이다.
또한, 타 실시예로 상기 접속레버(30)는 그 일측에 누름구(34)를 가지되, 상기 접속레버(30)의 내측면에는 탄성체(50')의 권취부(51')가 삽입되는 회전돌기(31)와, 탄성체지지턱(32')을 갖는 탄성체지지벽(33')을 가지며,
상기 접속레버(30)의 회전돌기(31)에 삽입 고정되는 탄성체(50')는 가운데 권취부(51')를 중심으로 상기 탄성체지지턱(32')에 지지되는 제1단부(50A')와 제1측벽(11)의 지지턱(19)에 지지되는 제2단부(50B')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체지지턱(32') 하면에는 접점부재(35)가 끼워지는 끼움턱(32A')을 형성하되, 상기 접점부재(35)는 제1접촉부(41A)와 접촉하는 제1접점부(35-1)와 제2접촉부(42A)와 접촉하는 제2접점부(35-2)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단자지지몸체(10)에 일체로 결합되는 단자(40)는 제1,제2단자결합부(41)(42) 및 제1,제2접촉부(41A)(42A)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제2단자결합부(41)(42)는 연결단자(60)가 관통되는 삽입부(41')(42')를 가지되, 상기 각각의 삽입부(41')(42')에는 연결단자(60)를 가압하는 보조가압편(41")(42")을 각각 형성토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 스위치 장치의 일실시예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구성품인 단자지지몸체의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구성품인 단자의 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구성품인 접속레버에 탄성체가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품은 크게 단자지지몸체(10), 케이스(20), 접속레버(30), 단자(40), 탄성체(50)로 구성되어지며,
접속레버(30)가 부착된 단자지지몸체(10)를 케이스(20)에 끼워 넣어 구성하게 되는바, 이를 끼움에 있어서는 케이스(20)에 형성된 격벽(24-A)을 제1,제2단자결합부(41)(42)에 끼우되, 접속레버(30)의 누름구(34)가 케이스 밖으로 돌출되도록 끼우게 된다.
한편,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단자지지몸체(10)와 케이스(20) 내측에 끼워져 있는 접속레버(30)의 누름구(34)를 좌,우측으로 회전시킴으로서 탄성체(50)의 제1굴곡접점(50A-1), 제2굴곡접점(50A-2)이 제1,제2단자결합부(41)(42)의 제1,제2접촉부(41A)(42A)에 접촉 접점되도록 하여 ON/OFF 전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단자지지몸체(10)나 케이스(20)의 세부 구성품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상 바닥면 또는 상면이라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은 단자(40)의 제1,제2단자결합부(41)(42)에 외부 연결단자(60)를 끼움에 있어 상,하 양측방면에서 모 두 끼울 수 있는 구조이므로, 본 발명 몸체에 있어 상면과 하면이 특별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구성품에 있어, 상기 단자지지몸체(10)에 부착되는 단자(40)는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단자지지몸체(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단자(40)를 구성하는 제1,제2단자결합부(41)(42)에는 외부 연결단자가 관통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삽입부(41')(4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삽입부(41')(42')에는 결합된 연결단자(60)를 가압하는 보조가압편(41")(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연결단자(60)가 제1,제2단자결합부(41)(42)의 삽입부(41')(42')에 끼워질때 보조가압편(41")(42")이 끼워진 연결단자(60)를 가압해 주므로, 끼움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단자(60)가 제1,제2단자결합부(41)(42)의 삽입부(41')(42')에 끼워짐에 있어, 상,하 방향에 관계없이 양측에서 모두 끼움이 가능하므로, 체결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제2단자결합부(41)(42)의 끝단은 제1,제2접촉부(41A)(42A)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제2접촉부(41A)(42A)와 맞닿는 단자지지몸체(10)의 바닥면에는 구멍(18)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제2접촉부(41A)(42A)는 상기 단자지지몸체(10)의 바닥면과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
즉, 단자(40)가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단자지지몸체(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있어, 상기 제1,제2단자결합부(41)(42)의 제1,제2접촉부(41A)(42A)는 상기 구멍(18)을 통하여 사출시 몰드가 어느 정도 채워지게 됨으로, 견고한 결합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단자지지몸체(10)에는 접속레버 회전돌기끼움구(13)와 회전돌기끼움홈(13'), 접속레버저지턱(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지지몸체(10)의 제1측벽(11) 반대편의 제2측벽(14)에는 케이스(20)와 고정되는 끼움돌기(1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지지몸체(10) 상,하면에는 케이스(20)에 끼워지는 고정돌기(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측벽(14) 내측에는 제1결합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자지지몸체(10)에는 탄성체(50)가 끼워진 접속레버(30)가 위치하게 되는바, 상기 접속레버(30)는 케이스(20)의 삽입구멍(21')을 통하여 끼워지며, 상기 접속레버(30)에는 탄성체(50)의 권취부(51)가 접속레버(30)의 회전돌기(31)에 끼워지되, 제1,제2굴곡접점(50A-1)(51A-2)를 갖는 탄성체(50)의 제1단부(50A)는 접속레버(30)의 탄성체지지벽(33)에 밀착 지지된 상태로 단자의 제1,제2접촉부(41A)(42A)와 맞닿게 되며, 탄성체(50)의 제2단부(50B)는 단자지지몸체(10)의 내벽에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어진다.
또한, 상기 접속레버(30)의 회전돌기(31)는 그 일측이 단자지지몸체(10)의 회전돌기끼움구(13)에 끼워지며, 그 타측이 단자지지몸체(10)의 회전돌기삽입홈(13')에 끼워지되, 상기 회전돌기(31)가 케이스(20)의 돌기결합홈(29)에 끼워짐으로서 회전이 가능토록 하였다.
따라서, 도9 내지 도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속레버(30)의 누름구(34)를 일측방향으로 눌러 회전시키면, 탄성체(50)의 제1,제2굴곡접점(50A-1)(50A-2)이 단자(40)의 제1,제2접촉부(41A)(42A)와 접점 상태로 맞닿게 되어 ON 상태로 도통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도통전인 처음에는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체의 제1굴곡접점(50A-1)만 제1단자결합부(41)의 제1접촉부(41A)에 접촉되어 있고, 탄성체의 제2굴곡접점(50A-2)은 제2단자결합부(42)의 제2접촉부(42A)에 접촉되어 있지 아니한다.
그러나, 접속레버(30)의 누름구(34)를 손으로 눌러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10처럼 접속레버(30)의 탄성체지지벽(33)이 탄성체(50)의 제1단부(50A)를 밀치게 되고, 상기 밀쳐진 탄성체의 제1단부(50A)는 안쪽으로 오므려지면서 제2굴곡접점(50A-2) 마져도 제2단자결합부(42)의 제2접촉부(42A)와 접점 상태로 맞닿게 되어 ON 상태로 도통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접속레버(30)의 누름구(34)를 일측방향으로 끝까지 회전시키면, 도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속레버의 탄성체지지턱(32)이 접속레버저지턱(12)에 맞닿게 되어 더 이상의 전진을 막아주게 된다.
한편, 반대로 접속레버(30)의 누름구(34)를 손으로 눌러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오므려져 있던 탄성체의 제1단부(50A)가 탄성력으로 다시 벌어지면서 도9와 같이 도통전인 처음 위치로 다시 복귀하게 되므로 제2굴곡접점(50A-2)은 제2단자결합부(42)의 제2접촉부(42A)에서 이탈되어 OFF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탄성체(50)과 제1,제2단자결합부(41)(42)의 제1,제2접촉부(41A)(42A)는 전기가 잘 통하는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탄성체의 제1,제2굴곡접점(50A-1)(50A-2)의 표면에는 은(Ag)이 도금되어 있어 전기가 더욱 잘 도통되도록 하였다.
한편, 타실시예로 상기 접속레버(30)는 그 일측에 누름구(34)를 가지되, 상기 접속레버(30)의 내측면에는 탄성체(50')의 권취부(51')가 삽입되는 회전돌기(31)와, 탄성체지지턱(32')을 갖는 탄성체지지벽(33')을 가지며,
상기 접속레버(30)의 회전돌기(31)에 삽입 고정되는 탄성체(50')는 가운데 권취부(51')를 중심으로 상기 탄성체지지턱(32')에 지지되는 제1단부(50A')와 제1측벽(11)의 지지턱(19)에 지지되는 제2단부(50B')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체지지턱(32') 하면에는 접점부재(35)가 끼워지는 끼움턱(32A')을 형성하되, 상기 접점부재(35)는 제1접촉부(41A)와 접촉하는 제1접점부(35-1)와 제2접촉부(42A)와 접촉하는 제2접점부(35-2)를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타실시예에 대한 누름구의 작동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22 내지 도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통 전 상태에서는, 접접부재(35)의 제1접점부(35-1)만 제1단자결합부(41)의 제1접촉부(41A)에 접촉되어 있고, 접접부재(35)의 제2접점부(35-2)는 제2단자결합부(42)의 제2접촉부(42A)에 접촉되어 있지 아니한다.
그러나, 접속레버(30)의 누름구(34)를 손으로 눌러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탄성체(50')의 제1단부(50A')가 안쪽으로 오므려지면서 접접부재(35)의 제2접점부(35-2) 마져도 제2단자결합부(42)의 제2접촉부(42A)와 접점 상태로 맞닿게 되어 ON 상태로 도통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반대로 접속레버(30)의 누름구(34)를 손으로 눌러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상기 오므려져 있던 탄성체(50')의 제1단부(50A')가 탄성력으로 다시 벌어지면서 도통전인 처음 위치로 다시 복귀하게 되므로 접접부재(35)의 제2접점부(35-2)는 제2단자결합부(42)의 제2접촉부(42A)에서 이탈되어 OFF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한편, 단자지지몸체(10)와 케이스(20)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상기 단자지지몸체(10)의 상,하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5)를 케이스(20)의 상,하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삽입구멍(27)에 끼워서 결합시키게 되며, 단자지지몸체(10)의 제2측벽(14)에 형성된 끼움돌기(17)를 케이스의 제2측벽(22)에 형성된 끼움돌기삽입요홈(22')에 끼워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서로 연통되어 있는 단자지지몸체(10)의 제1결합구멍(16)과 케이스(20)의 상,하면에 관통되게 형성된 제1체결구멍(25)을 볼트로 결합시키며, 상기 케이스(20)의 상,하면에 연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체결구멍(26) 서로간을 볼트로 결합시킴으로서, 단자지지몸체(10)와 케이스(20)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해당하는 스위치 장치는 기존의 스위치 장치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그 구성 및 효과가 우수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은 충분하다.
도1은 본 발명 스위치 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구성품인 단자지지몸체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구성품인 단자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구성품인 접속레버와 탄성체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구성품인 접속레버에 탄성체가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
도7은 도6의 저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구성품인 케이스의 사시도.
도13은 도12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14는 외부연결단자가 단자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15는 외부 연결단자가 단자에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일 예시 단면도.
도16은 외부 연결단자가 단자에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타 예시 단면도.
도17은 타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성품인 단자지지몸체의 사시도.
도18은 타실시예로서 접속레버에 탄성체가 끼워지는 상태의 사시도.
도19는 타실시예로서 접속레버에 접점부재가 끼워지는 상태의 사시도.
도20는 타실시예로서 접속레버에 접점부재가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
도21은 타실시예로서 접속레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2는 타실시예로서 접속레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23은 타실시예로서 접속레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부호
10 : 단자지지몸체 11 : 단자지지몸체의 제1측벽
12 : 접속레버저지턱 13 : 회전돌기끼움구 13' : 회전돌기끼움홈
14 : 단자지지몸체의 제2측벽 15 : 고정돌기 16 : 제1결합구멍
17 : 끼움돌기 19 : 지지턱 20 : 케이스 21 : 케이스의 제1측벽
21' : 접속레버삽입홈 22 : 케이스의 제2측벽 22' : 끼움돌기삽입요홈
23 : 케이스의 상면 24 : 케이스의 바닥면 24-A : 격벽
25 : 제1체결구멍 26 : 제2체결구멍 27 : 고정돌기삽입구멍
28 : 연결단자삽입구멍 29 : 돌기결합홈
30 : 접속레버 31 : 회전돌기 32,32' : 탄성체지지턱
33,33' : 탄성체지지벽 34 : 누름구
35 : 접점부재 35-1 : 제1접점부 35-2 : 제2접점부
40 : 단자 41 : 제1단자결합부 41' : 삽입홈 41" : 보조가압편
41A : 제1접촉자 42 : 제2단자결합부 42' : 삽입홈 42" : 보조가압편
42A : 제2접촉자 50,50' : 탄성체 50A,50A' : 제1단부
50A-1 : 제1굴곡접점 50A-2 : 제2굴곡접점 50B,50B' : 제2단부
60 : 연결단자

Claims (4)

  1. 단자를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일체로 고정하는 단자지지몸체(10)와, 상기 단자지지몸체(10)를 지지 고정하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와 단자지지몸체(10) 사이에 축으로 회전하는 접속레버(30)를 가지며, 상기 접속레버(30)에는 상기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단자지지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는 단자를 서로 접속시키는 탄성체를 갖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지지몸체(10)는 단자(40)를 가지되, 상기 단자(40)는 단자지지몸체(10)의 제1측벽(11) 외측에 위치하는 제1,제2단자결합부(41)(42)를 가지며,
    단자지지몸체(10)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제1,제2단자결합부(41)(42)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1,제2접촉부(41A)(42A) 및 접속레버저지턱(12)을 가지며,
    상기 단자지지몸체(10)의 제1측벽에는 접속레버(30)의 회전돌기(31)가 끼워지는 회전돌기끼움구(13)와 회전돌기끼움홈(13')을 가지며,
    상기 단자지지몸체(10)의 제2측벽(14) 외측에는 케이스(20)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7)를 가지되, 상기 제2측벽(14) 내측에는 제1결합구멍(16)을 가지며, 상기 단자지지몸체(10) 상,하면에는 케이스(20)에 끼워지는 고정돌기(15)를 가지며,
    상기 접속레버(30)는 그 일측에 누름구(34)를 가지되, 상기 접속레버(30)의 내측면에는 탄성체(50)의 권취부(51)가 삽입되는 회전돌기(31)와, 탄성체지지턱(32)을 갖는 탄성체지지벽(33)을 가지며,
    상기 접속레버(30)의 회전돌기(31)에 삽입 고정되는 탄성체(50)는 가운데 권 취부(51)를 가지며, 제1,제2굴곡접점(50A-1)(50A-2)를 갖는 제1단부(50A)와 단자지지몸체(10)의 내벽에 지지되는 제2단부(50B)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지지몸체(10)와 결합하는 케이스(20)는 그 바닥면(24)에 제1,제2단자결합부(41)(42)에 끼워지는 격벽(24-A)과 접속레버(30)의 회전돌기(31)를 지지하는 돌기결합홈(29)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20) 제1측벽(21)에는 접속레버 삽입구멍(21')과, 케이스 제2측벽(22)에는 끼움돌기삽입요홈(22')을 가지며, 케이스 상면(23)과 케이스 바닥면(24)에는 서로 일치하는 연결단자삽입구멍(28) 및 고정돌기삽입구멍(27)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20)의 상면(23)과 바닥면(24)을 서로 관통하는 제1체결구멍(25)과 제2체결구멍(26)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지지몸체(10)에 일체로 결합되는 단자(40)는 제1,제2단자결합부(41)(42) 및 제1,제2접촉부(41A)(42A)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제2단자결합부(41)(42)는 연결단자(60)가 관통되는 삽입부(41')(42')를 가지되, 상기 각각의 삽입부(41')(42')에는 연결단자(60)를 가압하는 보조가압편(41")(42")을 각각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090084977A 2009-09-09 2009-09-09 스위치 장치 KR101042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977A KR101042549B1 (ko) 2009-09-09 2009-09-09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977A KR101042549B1 (ko) 2009-09-09 2009-09-09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059A KR20110027059A (ko) 2011-03-16
KR101042549B1 true KR101042549B1 (ko) 2011-06-28

Family

ID=43933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977A KR101042549B1 (ko) 2009-09-09 2009-09-09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373B1 (ko) * 2018-05-14 2019-05-30 진흥전기 주식회사 실외기용 전자기기 스위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6608A (ja) 2005-02-22 2006-09-07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6608A (ja) 2005-02-22 2006-09-07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373B1 (ko) * 2018-05-14 2019-05-30 진흥전기 주식회사 실외기용 전자기기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059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8300B2 (ja) スイッチ装置
JP5957980B2 (ja) スイッチ
JP4061946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KR101197963B1 (ko) 푸쉬-버튼 스위치
JP4054741B2 (ja) 低背型fpc用zifコネクタ
EP1584096B1 (en) Push-button switch
US8497438B2 (en) Emergency stop device
KR19980023941A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KR101042549B1 (ko) 스위치 장치
WO2002037517A1 (fr) Commutateur de dimension reduite
JP4553088B2 (ja) スイッチ装置
EP3166118B1 (en) Switch
JP4628307B2 (ja) スイッチ装置
JP4195634B2 (ja) スイッチ
JP4106924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CN102332362B (zh) 开关装置及使用该开关装置的开关单元
KR100728477B1 (ko) 안테나힌지모듈
JP6906178B2 (ja) スイッチ装置及び移動体
JP2882557B2 (ja) スイッチ装置
JP5877607B2 (ja) スイッチ装置
JP3885298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0345352Y1 (ko) 휴대폰의플립도어스위치작동구조
US6967294B1 (en) Microswitch
KR20230051866A (ko) 푸쉬 스위치
KR200343952Y1 (ko) 전기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