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086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086B1
KR101042086B1 KR1020087030683A KR20087030683A KR101042086B1 KR 101042086 B1 KR101042086 B1 KR 101042086B1 KR 1020087030683 A KR1020087030683 A KR 1020087030683A KR 20087030683 A KR20087030683 A KR 20087030683A KR 101042086 B1 KR101042086 B1 KR 101042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muffler device
muffler
partition wall
cylind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607A (ko
Inventor
히로시 바바
요시노부 이치카와
Original Assignee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7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04B27/1018Cylindrical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45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2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means creating "anti-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1/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with compressor of reciprocating-pist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실린더 보어를 가지며, 머플러 장치가 설치된 왕복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머플러 장치의 내부공간을 간막이벽에 의해 적어도 2실로 구획하고, 상기 간막이벽에, 2실 사이를 연통하며 내부공간의 전체 길이에 대해 16~50%의 길이를 가지는 통형상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로서, 특히 머플러 장치의 내부공간의 전체 길이가 100~120mm의 범위내에 있으며, 통형상체의 길이가 20~50mm의 범위내에 있는 압축기이다. 왕복동식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맥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염가로 구성할 수 있는 머플러 장치를 구비한 압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본 발명은, 예컨대 차량용 공조장치 등에 사용되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기의 흡입통로 또는 토출통로 상에 설치되는 머플러(muffler) 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종래의 차량공조장치용 압축기로서, 다기통(多氣筒) 왕복동(往復動)식 압축기가 알려져 있다. 이 압축기의 실린더 헤드의 내부에는, 예컨대 중앙부에 토출실, 외주부에 대략 원환(圓環)공동(空洞) 형상의 흡입실이 구획되어 설치되어 있다. 토출실은 실린더 헤드 토출포트, 흡입실은 실린더 헤드 흡입포트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압축기가 구동되면, 증발기에 접속된 회로배관으로부터 실린더 헤드 흡입포트를 통해 흡입실로 유도된 냉매가스는, 실린더 보어내의 피스톤이 흡입 행정에 있을 때, 흡입밸브(리드밸브)를 밀어 개방하여, 밸브판의 각 흡입구멍을 통해 차례대로 흡입 행정의 실린더 보어로 흡입된다. 또한 피스톤이 압축 행정에 있을 때에는, 흡입밸브는 폐쇄되고, 토출밸브가 밀려 개방되어, 압축된 냉매가스가 밸브판의 각 토출구멍으로부터 차례대로 토출실로 토출되며, 최종적으로 토출실내의 가스는 실린더 헤드 토출포트를 통과하여 콘덴서에 접속된 공조장치의 회로로 토출된다.
상기 실린더 헤드 흡입포트나 토출포트의 근방에는, 특히 흡입포트 근방에는, 소음·진동의 저감을 위해 머플러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머플러 장치는, 예컨대 실린더 블록이나 실린더 헤드의 측면에(실린더 블록이나 실린더 헤드의 주위에), 실린더 블록이나 실린더 헤드와 일체로 설치되며, 통상적으로 어댑터 등에 의해 상기 머플러 공간을 폐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는, 머플러 장치는 실린더 블록이나 실린더 헤드의 측면에 실린더 블록이나 실린더 헤드와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블록이나 실린더 헤드를 설치함으로써 머플러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상기 머플러 장치 설치부분의 흡입가스 경로는, 통상적으로 머플러 장치로부터 실린더 헤드 흡입실 입구로 압축기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공보 H8(1996)-254181호
다기통 왕복동식 압축기에서는, 특히 압축기가 냉매가스를 흡입할 때에 발생하는 맥동이, 흡입포트를 통해 공조장치 시스템의 흡입배관으로 전해져 이들을 진동시켜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자주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포트 근방에 머플러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머플러 장치를 포함하는 흡입가스 경로는 압축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흡입가스의 맥동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발생하는 맥동 주파수에 대응한 머플러 장치를 설계할 필요가 있는데, 비교적 저주파수의 흡입 맥동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머플러의 전체 길이가 비교적 길어진다. 또한, 머플러 장치에 의한 맥동 저감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머플러 공간(머플러 장치의 내부공간)의 단면적을 크게 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압축기의 측면에(주위에) 머플러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이것에 대응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압축기 축방향 길이를 취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맥동저감 효과가 높은 머플러 장치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또한, 머플러 장치에 어댑터 등을 이용하면, 부품수가 증가하여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왕복동식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맥동(특히, 흡입 맥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저감시킬 수 있는, 염가의 머플러 장치를 구비한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압축기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를 가지며, 머플러 장치가 설치된 왕복동식 압축기로서, 상기 머플러 장치의 내부공간을 간막이벽에 의해 적어도 2실로 구획하고, 상기 간막이벽에, 상기 2실 사이를 연통하며 상기 내부공간의 전체 길이에 대해 16~50%의 길이를 가지는 통형상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제 1 형태). 상기 제 1 형태에 있어서는, 대표적으로 간막이벽에 의해 2실로 구획되는데, 3실 이상의 구획도 가능하다. 또한, 통형상체의 형상은, 대표적으로는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원통체인데, 다른 횡단면 형상의 통형상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형태에서의 머플러 장치는, 흡입 맥동의 저감에 한정되지 않으며, 토출측의 맥동 저감에 대해, 혹은 이들 양쪽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상기 머플러 장치의 내부공간 및 상기 통형상체의 길이가 모두 특정 범위내에 있을 때에 우수한 맥동 저감 효과가 얻어진다. 즉, 상기 머플러 장치의 내부공간의 전체 길이가 100~120mm의 범위내에 있으며, 상기 통형상체의 길이가 20~50mm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머플러 장치의 벽이, 실린더 헤드 또는 실린더 블록, 또는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블록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부품수를 줄여, 설치의 용이화 및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막이벽은,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록의 사이에 장착(介裝)된 밸브판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종래의 어댑터 등을 생략할 수 있으며, 한층 부품수를 줄여, 더욱 설치의 용이화 및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압축기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를 가지며, 머플러 장치가 설치된 왕복동식 압축기로서, 상기 머플러 장치의 가스 유통 방향을 압축기의 둘레방향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제 2 형태). 상기 제 2 형태는, 특히 압축기 축방향으로, 머플러 장치의 길이를 충분히 취할 수 없는 경우에 유효하며, 머플러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필요한 가스 유통 방향 길이를 압축기의 둘레방향으로 확보하도록 한 것이다. 압축기의 둘레방향에 있어서는, 비교적 용이하게 필요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목표로 하는 성능을 가지는 머플러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머플러 장치가 실린더 블록 또는 실린더 헤드 중 어느 한 쪽의 주위에 설치되어도 된다. 특히 흡입 맥동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흡입포트 근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제 2 형태에서의 머플러 장치는, 흡입 맥동의 저감에 한정되지 않으며, 토출측의 맥동 저감에 대해 혹은 이들 양쪽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 2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머플러 장치의 내부공간이, 실린더 블록과 일체로 형성되며 실린더 헤드측에 개구부를 가지는 벽과, 상기 벽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록의 사이에 장착된 밸브판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혹은, 상기 머플러 장치의 내부공간이, 실린더 헤드와 일체로 형성되며 실린더 블록측에 개구부를 가지는 벽과, 상기 벽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록의 사이에 장착된 밸브판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어떠한 구성에 있어서도, 일체화 구성에 의해 부품수를 줄여, 설치의 용이화 및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밸브판의 연장부에 의해 개구부를 폐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종래의 어댑터 등을 생략할 수 있어, 한층 부품수를 줄여, 더욱 설치의 용이화 및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형태에 있어서는, 머플러 기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상기 제 1 형태에서의 기술 사상을 제 2 형태로 전개할 수도 있다. 즉, 머플러 장치의 내부공간의 가스 유통 방향의 전체 길이가 100~120mm의 범위내에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이 간막이벽에 의해 적어도 2실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간막이벽에, 상기 2실 사이의 연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형태에 있어서도, 대표적으로는 간막이벽에 의해 2실로 구획되는데, 3실 이상의 구획도 가능하다.
상기 간막이벽은, 실린더 블록 또는 실린더 헤드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막이벽을 설치하여도 실질적으로 부품수를 늘리지 않아도 되게 된다.
2실 사이의 연통로는, 간막이벽에 설치된 절결(切缺)부 또는 구멍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혹은, 연통로가, 간막이벽에 설치되며, 가스 유통 방향의 길이가 20~50mm의 범위내에 있는 통형상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특히 후자의 구조에서는, 전술한 제 1 형태와 동일한 우수한 성능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제 2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통형상체의 형상으로서는, 대표적으로는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원통체이지만, 다른 횡단면 형상의 통형상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관한 압축기는, 특히 맥동 저감과 함께 부품수의 저감, 설치의 용이화, 비용 저감이 요구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이용되는 압축기로서 적합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관한 압축기에 따르면, 간막이벽에 의한 머플러 장치 내부공간의 구획 구성, 특정 범위의 길이를 가지는 연통용 통형상체의 구성에 의해, 우수한 맥동 저감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머플러 장치의 내부공간의 전체 길이를 100~120mm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통형상체의 길이를 20~50mm의 범위내로 설정함으로써, 비교적 저주파수(500Hz에서 1000Hz 정도)의 맥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관한 압축기에 따르면, 압축기의 측면에서의 둘레방향 공간을 머플러 장치 설치용 공간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압축기 축방향으로 필요한 머플러 장치의 길이를 취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목표로 하는 맥동 저감 성능을 가지는 머플러 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머플러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0, 40, 60 : 압축기 2, 43 : 실린더 블록
3 : 실린더 보어 4 : 피스톤
5 : 주축 6 : 힌지기구
7 : 사판(斜板) 8 : 슈
9, 26, 44 : 실린더 헤드 10, 28 : 흡입포트
11, 27, 52 : 흡입실 12, 30, 47 : 밸브판
13 : 흡입구멍 14 : 토출구멍
15 : 토출실 16 : 토출포트
21, 41, 61 : 머플러 장치 22, 42 : 내부공간
23, 62 : 간막이벽 24 : 제 1 실
25 : 제 2 실 29, 46, 64 : 머플러 장치의 벽
31 : 통형상체 32, 49 : 입구
45 : 개구부 48 : 밸브판의 연장부
50 : 출구 51 : 흡입포트겸 연통로
63 : 연통로로서의 절결부 65, 66 : 시일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비교를 위해, 머플러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일반적인 압축기의 구조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다기통 왕복동식의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압축기(1)는 실린더 블록(2)내에 복수의 실린더 보어(3)를 가지고 있으며, 각 실린더 보어(3)내에는 피스톤(4)이 왕복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주축(5)과 함께 회전되며, 힌지기구(6)를 통해 경사각 가변으로 설치된 사판(7)의 회전운동이, 한 쌍의 슈(8)에 의한 슬라이딩 접합을 통해 피스톤(4)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흡입 행정에서는, 실린더 헤드(9)의 흡입포트(10)로부터 흡입실(11), 밸브판(12)에 형성된 흡입구멍(13)을 통해 가스(예컨대, 냉매가스)가 실린더 보어(3) 내에 도입되고, 압축 행정에서 압축된 가스가 토출구멍(14), 토출실(15), 토출포트(16)를 통해 외부 회로에 송출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흡입구멍(13), 토출구멍(14)에는, 리드밸브로 이루어진 흡입밸브, 토출밸브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압축기(1)에 대해 본 발명이 적용된다. 이하, 실시예 1 ~ 3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 1 ~ 3은,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 장치를 흡입통로측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토출통로측에 대해서도 동일한 머플러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압축기(20)를 나타낸 것이다. 압축기(20)에서의, 도 4에 나타낸 압축기(1)와 공통되는 부위에는, 도 4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후술하는 실시예 2, 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함). 압축기(20)에는, 머플러 장치(21)가 설치되어 있으며, 머플러 장치(21)의 내부공간(22)이 간막이벽(23)에 의해 제 1 실(24)과 제 2 실(25)의 2실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머플러 장치(21)는, 실린더 헤드(26) 내에 형성된 흡입실(27)로 통하는 흡입포트(28)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실(25)이 흡입포트(28)를 통해 흡입실(27)로 연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머플러 장치(21)의 한쪽의 벽(29)은, 실린더 블록(2)과 일체로 형성되고, 머플러 장치(21)의 다른 쪽의 벽(64)은, 실린더 헤드(26)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막이벽(23)은, 밸브판(3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판(30)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밸브판(30)과 실린더 블록(2) 사이 및 밸브판(30)과 실린더 헤드(26) 사이는 개스킷 등의 시일재(65, 66)로 시일되어 있다.
상기 간막이벽(23)에, 2실(24, 25) 사이를 연통하며 머플러 장치(21)의 내부공간(22)의 전체 길이(L1)에 대해 16~50%의 길이(L2)를 가지는 통형상체(31;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체)가 설치되어 있다. 머플러 장치(21)의 입구(32)로부터 제 1 실(24) 내에 도입된 가스(예컨대, 냉매가스)는, 제 1 실(24) 내에서 일단 팽창된 후, 통형상체(31)를 통해 압축된 상태로 제 2 실(25) 내에 도입되고, 다시 팽창된 후, 흡입포트(28)를 통해 압축된 상태로 흡입실(27) 내로 보내져, 여기서 다시 팽창된다. 이렇게 팽창, 축소, 팽창, 축소, 팽창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흡입가스의 맥동이 감쇠·저감되어, 진동, 소음이 저감된다. 즉, 종래의 단순 팽창형의 머플러 장치에 비해, 머플러 장치(21) 내에서 팽창을 적어도 2회 반복함으로써 맥동 저감 효과가 높아진다. 특히, 머플러 장치(21)의 내부공간(22)을 2실(24, 25)로 구획하는 동시에, 2실(24, 25) 사이에 걸쳐 통형상체(31)를 설치함으로써, 한층 맥동 저감 효과가 높아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머플러 장치(21)의 내부공간(22)의 전체 길이(L1)가 100~120mm의 범위내로 설정되고, 통형상체(31)의 길이(L2)가 20~50mm의 범위내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특정 범위내의 치수로 설정함으로써, 비교적 저주파수(500Hz에서 1000Hz 정도)의 흡입 맥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특정 치수의 머플러 장치(21)를 흡입포트(28) 근방에 설치함으로써, 가스 맥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머플러 장치(21)의 한 쪽의 벽(29)을 실린더 블록(2)과 일체로 형성하면서, 머플러 장치(21)의 다른 쪽의 벽(64)을 실린더 헤드(26)와 일체로 형성하고, 간막이벽(23)을 밸브판(30)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저감하여, 설치성의 향상 및 비용 절감도 아울러 도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압축기(40)를 나타낸 것이다. 스페이스 상, 압축기 측면에 있어서 압축기 축방향으로 100~120mm의 머플러 장치의 길이를 취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경우에 적용하기 유효한 것이다. 압축기(40)의 측면부(외주측면부)에는, 머플러 장치(41)가 설치되며, 상기 머플러 장치(41)의 가스 유통 방향이 압축기(40)의 둘레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머플러 장치(41)의 내부공간(42)은, 실린더 블록(43)과 일체로 형성되며 실린더 헤드(44)측에 개구부(45)를 가지는 벽(46)과, 개구부(45)를 폐쇄하는 밸브판(47)의 연장부(48)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머플러 장치(41)의 벽(46)에 설치된 머플러 장치(41)의 입구(49)로부터 내부공간(42) 내에 도입된 가스(예컨대, 냉매가스)는, 내부공간(42) 내에서 일단 팽창된 후, 출구(50), 실린더 헤드(44)와 일체로 형성된 흡입포트겸 연통로(51)를 통해 압축된 상태로 흡입실(52) 내로 보내져, 여기서 다시 팽창된다. 팽창, 축소, 팽창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흡입가스의 맥동이 감쇠·저감되어, 진동, 소음이 저감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기 축방향으로 머플러 장치에 필요한 길이 치수를 취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머플러 장치(41)의 가스 유통 방향을 압축기(40)의 둘레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소정의 머플러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머플러 장치(41)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머플러 장치(41)의 벽(46)을 실린더 블록(43)과 일체로 형성하고, 그 개구부(45)를 밸브판(47)의 연장부(48)에 의해 폐쇄함으로써, 어댑터 등을 이용하지 않고, 소정의 내부공간(42)을 가지는 머플러 장치(41)를 구성할 수 있어, 부품수를 저감하여, 설치성의 향상 및 비용 절감도 아울러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머플러 장치(41)의 벽(46)을 실린더 블록(43)과 일체로 형성하였으나, 실린더 헤드(44)와 일체로 형성하여, 그 개구부를 밸브판(47)의 연장부(48)에 의해 폐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압축기(60)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2에 비해, 더욱 머플러 장치(61)의 내부공간(42)이, 간막이벽(62)에 의해 압축기의 둘레방향으로 2실로 구획되어 있다. 간막이벽(62)에는 연통로로서의 절결부(63)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획된 2실 사이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연통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통형상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타 구성은 실시예 2에 준하므로, 도 2에 부여한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축기(60)의 머플러 장치(61)에 있어서는, 머플러 장치(61)의 내부공간(42)이 간막이벽(62)에 의해 2실로 구획됨으로써, 냉매가스가 입구(49)로부터 흡입실(52)에 이르는 과정에서, 팽창, 축소, 팽창, 축소, 팽창을 반복하게 되어, 흡입가스의 맥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감쇠·저감됨으로써, 진동, 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머플러 장치(61)의 벽(46)을 실린더 블록(43)과 일체로 형성하고, 그 개구부(45)를 밸브판(47)의 연장부(48)에 의해 폐쇄함으로써, 어댑터 등을 이용하지 않고, 소정의 내부공간(42)을 가지는 머플러 장치(61)를 구성할 수 있어, 부품수를 저감하여, 설치성의 향상 및 비용 절감도 아울러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간막이벽(62)에 의해 구획된 2실 사이를, 절결부(63) 대신에 실시예 1과 동일한 통형상체로 연통시키는 경우에는, 머플러 장 치(61)의 압축기 둘레방향에서의 내부공간(42)의 전체 길이를 100~120mm의 범위내로 설정하고, 통형상체의 길이를 20~50mm의 범위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정 범위내의 치수로 설정함으로써,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비교적 저주파수(500Hz에서 1000Hz 정도)의 흡입 맥동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압축기의 머플러 장치 구조는, 모든 왕복동식 다기통 압축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맥동 저감과 함께 부품수의 저감, 설치의 용이화, 비용 저감이 요구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이용되는 압축기로서 적합한 것이다.

Claims (14)

  1. 복수의 실린더 보어를 가지며, 머플러 장치가 설치된 왕복동식 압축기로서, 상기 머플러 장치의 내부공간을 간막이벽에 의해 적어도 2실로 구획하고, 상기 간막이벽에, 상기 2실 사이를 연통하는 통형상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전체 길이가 100~120mm의 범위내에 있으며, 상기 통형상체의 길이가 20~50mm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 장치의 벽이, 실린더 헤드 또는/및 실린더 블록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벽이,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록의 사이에 장착(介裝)된 밸브판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차량용 공조장치에 이용되는 압축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6. 복수의 실린더 보어를 가지며, 머플러 장치가 설치된 왕복동식 압축기로서, 상기 머플러 장치의 가스 유통 방향을 압축기의 둘레방향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 장치가, 실린더 블록 또는 실린더 헤드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 장치의 내부공간이, 실린더 블록과 일체로 형성되며 실린더 헤드측에 개구부를 가지는 벽과, 상기 벽의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록의 사이에 장착된 밸브판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 장치의 내부공간이, 실린더 헤드와 일체로 형성되며 실린더 블록측에 개구부를 가지는 벽과, 상기 벽의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록의 사이에 장착된 밸브판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0.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 장치의 내부공간의 가스 유통 방향 전체 길이가 100~120mm의 범위내에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이 간막이벽에 의해 적어도 2실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간막이벽에, 상기 2실 사이의 연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벽이, 실린더 블록 또는 실린더 헤드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가, 상기 간막이벽에 형성된 절결(切缺)부 또는 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가, 상기 간막이벽에 설치되며, 가스 유통 방향의 길이가 20~50mm의 범위내에 있는 통형상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4.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차량용 공조장치에 이용되는 압축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KR1020087030683A 2006-05-26 2007-05-17 압축기 KR101042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46323A JP2007315304A (ja) 2006-05-26 2006-05-26 圧縮機
JPJP-P-2006-146323 2006-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607A KR20090017607A (ko) 2009-02-18
KR101042086B1 true KR101042086B1 (ko) 2011-06-16

Family

ID=3877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683A KR101042086B1 (ko) 2006-05-26 2007-05-17 압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162215A1 (ko)
EP (1) EP2037122A4 (ko)
JP (1) JP2007315304A (ko)
KR (1) KR101042086B1 (ko)
CN (1) CN101454568A (ko)
WO (1) WO2007138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803457B1 (pt) * 2008-09-05 2020-11-10 Embraco Indústria De Compressores E Soluções Em Refrigeração Ltda arranjo de sucção para compressor hermético de refrigeração
BRPI0900855A2 (pt) * 2009-04-06 2010-12-28 Whirlpool Sa arranjo construtivo para compressor hermético de refrigeração
EP3336355B1 (en) 2016-12-19 2022-05-11 Nidec Global Appliance Brasil Ltda. Hermetic compressor
CN107401510A (zh) * 2017-09-08 2017-11-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缩机排气降噪结构及压缩机
JP7161919B2 (ja) * 2018-11-06 2022-10-27 株式会社ミクニ ポン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9896A (ja) * 1993-12-27 1995-07-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往復動型圧縮機
JPH08254181A (ja) * 1995-03-17 1996-10-0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往復動型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6410U (ko) * 1975-04-09 1976-10-13
US4109751A (en) * 1976-08-26 1978-08-29 Deere & Company Noise silencer
JPS59135385U (ja) * 1983-03-02 1984-09-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斜板式圧縮機
US5101931A (en) * 1990-05-23 1992-04-07 Copeland Corporation Discharge muffler and method
KR200141490Y1 (ko) * 1993-04-24 1999-05-15 김광호 압축기의소음감쇠장치
US5496156A (en) * 1994-09-22 1996-03-05 Tecumseh Products Company Suction muffler
JP3731329B2 (ja) * 1997-12-24 2006-01-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の油回収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9896A (ja) * 1993-12-27 1995-07-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往復動型圧縮機
JPH08254181A (ja) * 1995-03-17 1996-10-0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往復動型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37122A4 (en) 2012-11-28
US20090162215A1 (en) 2009-06-25
EP2037122A1 (en) 2009-03-18
JP2007315304A (ja) 2007-12-06
KR20090017607A (ko) 2009-02-18
WO2007138877A1 (ja) 2007-12-06
CN101454568A (zh)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813B1 (ko) 왕복운동형 압축기
US5674054A (en) Reciprocating type compressor
KR101042086B1 (ko) 압축기
AU2005312690A1 (en) Compressor
US6402483B1 (en) Double-headed piston compressor
KR101165947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0659570B1 (ko) 압축기
US6390786B1 (en) Structure for damping pressure pulsations of compressor
US20030068235A1 (e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having improved refrigerant discharge structure
JP2006077766A (ja) 多気筒往復圧縮機
KR20130092876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379610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0457483B1 (ko) 압축기에서의 맥동 억제 구조
US6468050B2 (en) Cylinder head assembly including partitions disposed in refrigerant introduction path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using the same
KR101748295B1 (ko) 사판식 압축기용 실린더 블록
KR20110137566A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JP2005264887A (ja) 多気筒往復動圧縮機
KR101123743B1 (ko) 압축기
KR20170035254A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492345B1 (ko) 압축기의 머플러 장치
KR101984510B1 (ko) 압축기
KR100858096B1 (ko) 맥동압 저감구조를 가지는 압축기
KR101452569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20130092880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밸브어셈블리
KR101682343B1 (ko) 압축기의 소음 저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