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074B1 -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 인쇄 장치 및 인쇄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 인쇄 장치 및 인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074B1
KR101042074B1 KR1020057015554A KR20057015554A KR101042074B1 KR 101042074 B1 KR101042074 B1 KR 101042074B1 KR 1020057015554 A KR1020057015554 A KR 1020057015554A KR 20057015554 A KR20057015554 A KR 20057015554A KR 101042074 B1 KR101042074 B1 KR 101042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inition
print content
content
print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587A (ko
Inventor
겐지 히사토미
가즈유키 무라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10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Direct printing, e.g. sending document file, using memory stick, printing from a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computing resources, e.g. memory, 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4Client or server resources management
    • G06F3/1228Printing driverless or using generic dr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6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handling markup languages, e.g. XSL, XML, HTM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취지의 표준화된 코맨드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이상 동작을 일으키지 않고,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가 인쇄 장치에 대해,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도록 지시할 수 있는 인쇄 시스템에서는, 인쇄 컨텐츠를 XML 형식으로 기술하고, 지시 코맨드를 XML 형식으로 인쇄 컨텐츠 내에 기술한다. 즉, 단계 S201에서, 처리 제어부(111)는, 사용자 입력 I/F부로부터의 입력이 있으면, 단계 S202로 진행한다. 단계 S202에서, 독자 정보 부가부(104)는, 인쇄에 섬네일 화상을 사용해야될지 여부를 판단한다. 섬네일 화상을 사용해야 한다고 판단한 경우(S202:Yes), 독자 정보 부가부(104)는, 인쇄 컨텐츠에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지시를 추기하도록 인쇄 컨텐츠 생성부(108)에 지시한다(단계 S203).

Description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 인쇄 장치 및 인쇄 시스템{PRINT CONTENT TRANSMISSION DEVICE, PRINT DEVICE, AND PRINT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대표되는 전자 촬상 장치 등에 의해서 촬영된 화상에 의거해 생성되어 압축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쇄 컨텐츠를 인쇄 장치에 송출하는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 및 인쇄 컨텐츠를 수신하여, 적절히 전개하여 화상을 포함하는 인쇄 출력을 행하는 인쇄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학 렌즈에 의해서 결상된 피사체상을 CCD 등의 촬상 소자를 이용해 전기 신호로 광전 변환하고, 그 전기 신호에 따라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방식 등의 압축 처리를 실시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PC 카드나 SD 카드 등의 카드 매체나 내장하는 고정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을 행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전자 스틸 카메라」라고도 한다)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에 의해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해, 종이 매체 등에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터가 등장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에 의해 생성되는 JPEG 방식 등의 화상 데이터에는, 통상,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규격에 의거한 헤더 정보가 부기되어 있다. 이 헤더 정보에는, 화상 데이터의 작성에 사용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종류나, 촬영 시의 촬영 조건 등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많은 경우, 주화상보다 해상도를 떨어뜨린 섬네일(thumbnail) 화상을 동시에 생성하여 보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해상도의 화상을 보관하는 경우에, 어떤 해상도의 화상을 인쇄에 사용할지를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0-267829호 공보 참조). 이 시스템은, 주화상과 작은 섬네일 화상으로 구성되는 JPEG 방식의 화상 데이터를 이용해 인쇄할 때에, 섬네일 화상을 사용해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형성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해상도가 높은(즉, 큰 사이즈의) 주화상을 핸들링하지 않아도 되고, 메모리 효율도 올라가, 인쇄에 요하는 시간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어떤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상이한 해상도마다 기억해 두고, 퍼스널 컴퓨터(이하「PC」로 약칭한다) 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인쇄 지시가 이루어진 문서 중에 그 인쇄 이미지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PC에서 지정된 인쇄 품위에 따른 해상도의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여, 이를 소정의 포맷으로 하여 인쇄 장치에 출력하는 기구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복수의 해상도의 인쇄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인쇄에 가장 알맞은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 장치에 송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국 특개 2000-26782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시스템에서는,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PC 내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이고,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섬네일 화상의 사용”을 전하는 상대는, 동일한 PC 내의 디 바이스 드라이버이다. 따라서, “섬네일 화상의 사용”을 전하는 코맨드(command)는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해석할 수 있으면 되고, 그 코맨드 체계는, 메이커 독자적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사고 방식은, 타사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상기 코맨드를 보내는 경우가 있다는 배려는 없다.
그러나, STB(Set Top Box)와 프린터로 구성되는 인쇄 시스템의 경우는, STB측에 프린터 기종마다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조합한다고 하는 PC 방식을 채용하는 것은 어렵다. 왜냐하면, STB는, 디팩토 표준(De facto standards)인 OS가 탑재되어 있는 PC와 달리, STB의 기종마다 OS의 종류가 가지각색이고, 이들 OS에 맞추어 프린터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개발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STB와 프린터와 같은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섬네일 화상의 사용”을 전하는 코맨드를 주고 받을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그 코맨드를 독자적으로 정의해 버리면, 그 독자 코맨드를 이해할 수 없는 타사 외부 기기 등이 독자 코맨드를 받아들였을 때에 이상 동작을 일으킬 수 밖에 없다. 이 이상 동작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코맨드 사양을 각 사(社)간에서 표준화해 둘 필요가 있는데, 코맨드를 각 사간에서 표준화하는 작업은 때때로 시간이 걸려, 표준화할 수 있는 코맨드도 각 사의 최대 공약수적인 범위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취지의 표준화된 코맨드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이상 동작을 일으키지 않고,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가 인쇄 장치에 대해,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도록 지시할 수 있는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는, 화상을 JPEG 방식의 화상 단독으로 송신하지 않고, XML 사양에 준거해 기술된 컨텐츠의 일부로서 송신하고, 또한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지시”도 XML 사양에 준거한 태그(tag)를 컨텐츠 내에 기술해 둔다. XML에는, 「인식할 수 없는 태그 및 속성이 있는 경우, 사용자 에이전트(프린터 등)는 해당 태그 및 속성의 정의 전체(즉, 속성과 그 값)을 무시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정한 것이 있다. 본 시스템(10)에서는, 컨텐츠를 XML에 준거하여 기술하는 것만을 표준화해 두면,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코맨드 등은 표준화하지 않아도 된다. 왜냐하면, XML 사양에 준거한 타사 프린터는, 자신이 모르는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코맨드를 무시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이상 동작으로 이어지는 일은 있을 수 없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는, 인쇄 장치에 인쇄 컨텐츠를 송출하는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로서, 소정의 마크업(markup) 언어에 준거하여 기술된 인쇄 컨텐츠를 취득 또는 생성하는 컨텐츠 입수 수단과, 상기 취득 또는 생성된 인쇄 컨텐츠의 특징을 식별하는 특징 식별 수단과, 상기 식별된 특징을, 상기 마크업 언어가 대처할 수 있는 독자 정의의 태그를 포함하는 정의문으로서 기술하고, 해당 정의문을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하는 추기 수단과, 상기 추기된 인쇄 컨텐츠를 인쇄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인쇄 장치는, 소정의 마크업 언어에 준거하여 기술된 인쇄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한 인쇄 컨텐츠 중에서, 상기 마크업 언어가 대처할 수 있는 독자 정의의 태그를 포함하는 정의문을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된 정의문에 의거해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인쇄를 행하는 인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취지의 표준화된 코맨드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이상 동작을 일으키지 않고,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가 인쇄 장치에 대해,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지시를 포함하는 인쇄 컨텐츠를 송신하고, 인쇄 장치는, 수신한 인쇄 컨텐츠에 포함되는 지시에 의거해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여 인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나 인쇄 장치로서 실현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 및 인쇄 장치를 구비하는 인쇄 시스템으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 또는 인쇄 장치의 구성 수단을 단계로 하는 인쇄 컨텐츠 송출 방법 또는 인쇄 방법으로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들 단계를 모두 포함하는 프로그램이나 이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는, 소정의 마크업 언어에 준거하여 기술된 인쇄 컨텐츠에, 그 인쇄 컨텐츠의 특징(예를 들면,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취지)을 표시하는 독자 정의의 태그를 포함하는 정의문을 추기하여 인쇄 장치에 송신하기 때문에,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취지의 표준화된 코맨드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이상 동작을 일으키지 않고, 인쇄 장치에 대해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도록 지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인쇄 시스템은, 화상을 JPEG 화상만으로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XML 형식으로 기술된 컨텐츠로서 송신하고, 또한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지시”도 XML 사양에 준거한 태그를 이용해 컨텐츠 내에 기술해 둔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지시”를 해석할 수 있는 프린터는, 섬네일 화상을 이용해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주화상을 이용해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보다 빠르게 인쇄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XML 형식으로 기술된 컨텐츠가, XML 사양에 준거하고 있는데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지시”를 해석할 수 없는 타사 프린터에 송부한 경우라도, 이를 수신한 프린터는, 그 지시를 표시하는 기술을 무시하므로, 이상 동작으로 이어지는 일은 없다.
또한, XML 형식으로 기술하는 컨텐츠 중에, 그 인쇄 컨텐츠가 표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인쇄 대상으로 하는 인쇄 컨텐츠인지 인쇄 전용 컨텐츠인지를 표시하는 정보를 기술함으로써, 인쇄 결과에 선택지(選擇肢)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XML 사양에 준거하고 있지만, “인쇄 컨텐츠의 종류를 표시하는 XML 기술”을 해석할 수 없는 타사 프린터에, “인쇄 컨텐츠의 종류를 표시하는 XML 기술”을 쓴 인쇄 컨텐츠가 송부되어도, 송부된 타사 프린터는 “인쇄 컨텐츠의 종류를 표시하는 XML 기술”을 무시하므로, 이상 동작으로 이어지는 일은 없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STB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3은 인덱스 시트의 인쇄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인쇄 컨텐츠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인쇄 컨텐츠 내에 기술되는 화상 파일의 일예이다. 도 4(c)는 인쇄 컨텐츠 내에 기술되는 화상 파일의 일예이다.
도 5(a)는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지시」를 추기한 인쇄 컨텐츠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b)는 상기 도 5(a)에 도시하는 인쇄 컨텐츠 내에 기술되는 화상 화일의 일례이다. 도 5(c)는 상기 도 5(a)에 도시하는 인쇄 컨텐츠 내에 기술되는 화상 파일의 일예이다.
도 6은 Exif 규격의 화상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프린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은 실시의 형태 1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인쇄 결과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타사 프린터가 상기 도 5(a)에 도시하는 인쇄 컨텐츠를 해석할 때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타사 프린터에 있어서의 인쇄 결과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타사 프린터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2는 form 요소로 기술된 컨텐츠의 표시 및 인쇄에 있어서의 표현이 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STB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5(a)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표시 한정 컨텐츠」에 대해서 추기한 인쇄 컨텐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b)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인쇄 전용 컨텐츠」에 대해서 추기한 인쇄 컨텐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프린터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2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인쇄 결과의 일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8(a)는 특수 태그 속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b)는 컨텐츠의 종류를 지정하기 위한 메타 정보명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이용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시스템(1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화상 처리 시스템(「인쇄 시스템」이라고도 한다)(10)은 XML 사양에 준거하여 기술된 인쇄 컨텐츠에 따라서 인쇄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고, 특히 XML 형식으로 기술된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지시”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컨텐츠를 프린터에 출력하는 기기로서 STB(100)를 예로 들고 있는데, STB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STB를 내장한 디지털 텔레비전(DTV)이어도 되고, 디지털 카메라나 PDA 등, 다른 기기로 STB의 기능을 실현하는 기기여도 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본 시스템(10)은 STB(100), 모니터(190) 및 프린터(150)를 구비하고 있다.
STB(100)는 안테나(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해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를, 미리 규정된 포맷으로 변환하여 프린터나 모니터에 송신하는 장치이고, 처리 제어부(111), 데이터 인터페이스(이하 「I/F」라고 약칭한다)부(101), 부호화 정보 전개부(102), 묘화 엔진부(103), 독자 정보 부가부(104), 비디오 RAM부(105), 표시 화상 I/F부(106), 표시 제어 I/F부(107), 인쇄 컨텐츠 생성부(108) 및 인쇄 컨텐츠 I/F부(109)를 구비한다.
처리 제어부(111)는 예를 들면 RAM이나 ROM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고, STB(100)에 있어서의 각 부의 제어를 행한다.
데이터 I/F부(101)는 상기 안테나 등을 통해 수신한 방송 컨텐츠에 소정 처리를 실시하고, 부호화 정보 전개부(102)에 출력한다.
부호화 정보 전개부(102)는, 데이터 I/F부(101)로부터, 예를 들면 XHTML(eXtensible Hyper Text Markup Language) 형식의 데이터,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형식의 데이터, 또는 BML(Broadcast Markup Language) 형식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한다. 또한, 부호화 정보 전개부(102)는 수신한 방송 컨텐츠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에 대해, 각각의 데이터 형식에 맞춘 복호화 처리를 행하고, STB(100)에의 제어 지시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추출이나, 화상 데이터의 추출 등을 행한다. 또한, 처리 제어부(111)는 부호화 정보 전개부(102)에서 추출된 데이터 중, 모니터(190)에 표시해야 할 데이터를 묘화 엔진부(103)에 송신한다.
묘화 엔진부(103)는, 부호화 정보 전개부(10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서 비디오 RAM부(105)에 격납한다. 비디오 RAM부(105)는 격납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 화상 I/F부(106)에 출력한다. 표시 화상 I/F부(106)는, 모니터(190)에 있어서의 표시 제어 I/F부(107)와의 사이에서, 표시해야 할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 등의 주고받음을 담당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 등의 사용자 입력 I/F부로부터 인쇄 지시를 받은 경우, 부호화 정보 전개부(102)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인쇄 대상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독자 정보 부가부(104)에 송부한다.
독자 정보 부가부(104)는 인쇄 대상의 컨텐츠에 부가하는 STB(100) 독자의 정보를 인쇄 컨텐츠 생성부(108)에 송신한다. 인쇄 컨텐츠 생성부(108)는, 부호화 정보 전개부(102)로부터 수신한 인쇄 대상의 컨텐츠와 독자 정보 부가부(104)로부터 수신한 독자 정보를 이용해, 인쇄용의 XML 언어로 기술된 인쇄 컨텐츠를 생성한다.
도 4는 인쇄 컨텐츠 생성부(108)에서 생성된 인쇄 컨텐츠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인쇄 시의 레이아웃에 관한 지시나 인쇄할 텍스트가 기술된 화일「honbun.xhtml」의 일례이다. 도 4(b) 및 (c)는 상기 「honbun.xhtml」에서 지시된 레이아웃에 따라 끼워넣어지는 화상예이다(상기의 각 화상에 관한 화일명은 각각 「mobilel.jpg」,「mobile2.jpg」이다).
인쇄 컨텐츠 I/F부(109)는 프린터(150)의 인쇄 컨텐츠 I/F부(151)와의 사이에서, 인쇄 컨텐츠나 인쇄 코맨드 등의 주고받음을 행한다.
모니터(190)는, STB(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서 동화상이나 텍스트 등의 표시를 행하는 장치이고, 표시 화상 I/F부(191), 표시 화상 처리부(192), 화상 표시부(193), 표시 제어부(194) 및 표시 제어 I/F부(195)를 구비한다.
표시 화상 I/F부(191)는, STB(100)의 표시 화상 I/F부(106)와의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 등의 통신을 행하고, 수신한 화상 데이터 등을 표시 화상 처리부(192)에 송신한다. 표시 화상 처리부(192)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 등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고, 화상 표시부(193)에 송신한다.
화상 표시부(193)는, 예를 들면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프로젝터 등의 표시 디바이스이고, 표시 화상 처리부(192)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 등에 따라서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194)는, 표시 제어 I/F부(195)에 입력된 제어 데이터 등에 의거해, 모니터(190) 내의 각 부를 제어한다.
프린터(150)는 STB(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서 화상이나 텍스트를 인쇄 매체에 인쇄하는 장치이고, 인쇄 컨텐츠 I/F부(151), 컨텐츠 해석부(152), 인쇄 이미지 생성부(153), 인쇄부(154) 및 인쇄 제어부(155)를 구비한다.
인쇄 컨텐츠 I/F부(151)는 STB(100)의 인쇄 컨텐츠 I/F부(109)와의 사이에서, 인쇄 컨텐츠나 인쇄 코맨드 등의 주고받음을 행한다.
인쇄 컨텐츠 I/F부(151)는, 인쇄 컨텐츠 I/F부(151)로부터 수신한 인쇄 컨텐츠를 컨텐츠 해석부(152)에 송신한다. 컨텐츠 해석부(152)는, 인쇄용의 XML 언어로 기술된 각 행을 순차 해석하고, 인쇄 시에 있어서의 프린터(150)에의 지시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을 추출한다. 컨텐츠 해석부(152)에서 해석/추출된 데이터는, 프린터(150)의 각 부에 송신된다.
인쇄 이미지 생성부(153)는, 컨텐츠 해석부(152)에서 추출된 데이터에 의거해 인쇄 매체에 인쇄하는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인쇄부(154)는, 인쇄 이미지 생성부(153)에서 생성된 인쇄 이미지 데이터에 의거해, 소정의 해상도(예를 들면, 200dpi, 300dpi 또는 400dpi)로 종이 등의 인쇄 매체 상에 인쇄를 행한다. 이 경우의 인쇄 방식으로는, 감열형, 열 전사형, 승화형 또는 잉크 젯형 등이 있다.
인쇄 제어부(155)는, 예를 들면, RAM이나 ROM 등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고, 프린터(150)에 있어서의 각 부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STB(100), 모니터(190) 및 프린터(150)는, IEEE1394 버스나 USB 등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고, 각각의 기기의 I/F부는, 접속해 있는 버스의 사양에 따라서 데이터의 주고받음을 행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화상 처리 시스템(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시스템(10)에 있어서의 STB(100)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상기와 같이, 안테나 등을 통해 방송 컨텐츠가 입력되면, 부호화 정보 전개부(102)는 입력된 방송 컨텐츠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대해, 그 데이터 형식에 따라 복호화 처리를 행하고, STB(100)에의 제어 지시의 추출이나 영상·화상 데이터의 추출 등을 행한다.
부호화 정보 전개부(102)에서 추출된 데이터 등에 따라서, 처리 제어부(111)는, 모니터(190)에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서, 컨텐츠를 묘화 엔진부(103)에 송신한다. 묘화 엔진부(103)는, 비디오 RAM부(105)에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다.
묘화 엔진부(103)가 화상 데이터를 격납하는 한편, 처리 제어부(111)는, 도시되지 않은 사용자 입력 I/F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시한다. 사용자 입력 I/F부는, STB(100)나 프린터(150)에 구비되는 버튼이나 리모트 컨트롤이나, STB 내의 컨텐츠 그 자체에 기술되어 있는 지시를 독취하는 부분이나, 시스템 내의 퍼스널 컴퓨터 나, 본 시스템 외로부터의 통신 수신부(어느것도 도시하지 않음) 등, 그 형태는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처리 제어부(111)는, 사용자 입력 I/F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면(S201), 독자 정보 부가부(104)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이에 따라, 독자 정보 부가부(104)는, 인쇄에 섬네일 화상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202).
상기의 「인쇄에 섬네일 화상을 사용해야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STB에서 사진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사진 인덱스 시트를 인쇄하는 지시가 입력된 경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진 인덱스 시트(300)에는 작은 화상이 대량으로 인쇄되고, 화상의 인쇄 품질에서 인쇄 완료까지의 스피드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섬네일 화상을 사용한다고 판단한다. 또한, 다른 판단 방법의 예로서, 인쇄가 지시된 화상의 가로 세로 사이즈가, 섬네일 화상을 축소하지 않는 경우의 사이즈보다 작은 경우도, 섬네일 화상을 사용한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프린터의 인쇄 해상도가 200dpi, 화상이 인쇄되었을 때의 가로 세로 사이즈가 「가로 : 0.4인치, 세로 : 0.3인치」라고 지정된 경우를 생각한다. 본 화상의 가로 세로 화소수가 가로 화소 1600pixel이고, 세로 화소가 1200pixel이므로, 예를 들면, 섬네일 화상의 가로 세로 화소수에 있어서 가로 화소가 160pixel, 세로 화소가 120pixel일 때는, 각각의 화상을 인쇄 해상도로 인쇄했다고 하면, 본 화상의 인쇄 사이즈는 「가로: 8인치, 세로: 6인치」이고, 섬네일 화상의 인쇄 사이즈는, 「가로: 0.8인치, 세로: 0.6인치」이다. 인쇄 화상의 가로 세로 사이즈가 「가로: 0.4인치, 세로: 0.3인치」로 지정되는 것은, 섬네일 화상을 더 축소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독자 정보 부가부(104)는, 섬네일 화상을 사용한다고 판단한다.
독자 정보 부가부(104)가, 섬네일 화상을 사용한다고 판단한 경우(S202 : Yes), 인쇄 컨텐츠 생성부(108)는, 인쇄 컨텐츠에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지시를 추기한다(S203). 구체적으로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을 특정하고 있는 기술<object data=“./mobilel.jpg”type=“image/jpeg”style=“width : 12mm; height: 16mm">와, </object>의 사이에, <paramname=“imagepriority” value=“thumbnail” valuetype=“data”></param>이라는 지시를 삽입한다. 도 5(a)는 상기의 지시를 추가한 인쇄 컨텐츠의 일예이다.
또한, 추가하는 기술로는, 상기 이외에 <object> 태그의 독자 속성으로서 「imagepriority」를 정의하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의 기술은, <object data=“./mobile1.jpg”type=“image/jpeg”style=“width : 12mm; height : 16mm” imagepriority=“thumbnail”>로 되고, 그 의미하는 바는, 「JPEG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파일 mobile1.jpg에서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여 가로 12mm, 세로 16mm의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 후, 처리 제어부(111)는, 인쇄 컨텐츠 I/F부(109)에 추기한 컨텐츠를 프린터에 송신하도록 지시한다(S204).
여기서, 화상 데이터의 포맷에 대해,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Exif 규격에 준거하는 JPEG 형식의 화상 파일(600)은 SOI(start of image)(601)와 APP1(어플리케이션 마커1)(602)와 주화상(603)과 EOI(end of image)(604)의 4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APP(1602) 중에 정의되어 있는 섬네일 화상(610)은, SOI(start of image)(610a)와 섬네일 화상(610b)과 EOI(end of image)(610c)로 구성되어 있다. 주화상(603)과 섬네일 화상(610b)은 각각 압축되어 있다.
다음에, STB(100)로부터 인쇄 컨텐츠를 수신한 프린터(150)의 동작에 관해서, 도 7에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에 따라 설명한다.
최초에, 인쇄 컨텐츠 I/F부(151)를 통해 인쇄 컨텐츠를 수신하면(S701), 컨텐츠 해석부(152)는, 수신한 인쇄 컨텐츠의 해석을 개시한다(S702). 그 해석에 있어서, 섬네일 화상을 인쇄에 사용할 것을 지시하는 기술인 <paramname=“imagepriority” value=“thumbnail” valuetype= “data”> </param>을 발견한 경우(S703:Yes), 컨텐츠 해석부(152)는 상기 도 6에 도시하는 Exif 규격에 준거한 구조를 갖는 화상 화일로부터, 섬네일 화상의 JPEG 압축 데이터(610b)를 취출한다.
또한, 컨텐츠 해석부(152)는 취출한 섬네일 화상의 JPEG 압축 데이터(610b)를 디코드하여 인쇄 이미지 생성부(153)에 송신한다. 인쇄 이미지 생성부(153)는,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여 인쇄용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인쇄부(154)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인쇄부(154)는, 생성된 인쇄용 이미지 데이터에 의거해 종이 등의 인쇄 매체에 인쇄한다.
도 8은, 상기 인쇄부(154)에서 섬네일 화상을 이용해 인쇄를 실행한 경우의 일예이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쇄 결과는, 섬네일 화상을 이용해 구성한 화상과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섬네일 화상의 사이즈(총 픽셀수)는, 주화상의 사이즈보다도 작기 때문에, 섬네일 화상을 사용해 인쇄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주화상을 사용하여 인쇄 이미지를 생성하는 경우에 비해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비교를 위해,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지시」를 해석할 수 없는 프린터(편의상, 이 프린터를 「타사 프린터」 라고 한다)에, 상기 도 5에 도시하는 인쇄용 컨텐츠를 입력하였을 때의 타사 프린터의 동작을 도 9 및 도 11을 이용해 설명한다. 또한, 도 11의 플로우 챠트에 있어서는, 상기 도 7의 플로우 챠트와 동일한 처리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타사 프린터는, 도 5의 인쇄 컨텐츠의 해석을 개시한다(S702). 그러나, 타사 프린터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 컨텐츠 중의 취소선으로 표시한 기술문(記述文)은 해석할 수 없다. 그런데, XML의 규약에 의하면, 해석할 수 없는 기술문은 무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타사 프린터는, 취소선으로 표시한 부분을 무시하거나, 또는 디폴트값으로 대체하여 그 이후의 기술문을 해석한다.
즉, 타사 프린터는, 인쇄 이미지의 생성에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지 않고, 통상대로의 주화상을 이용해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707).
도 10은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종이에 전사한 결과를 도 10에 도시한다. 도 10은 도 8과 동일한 인쇄물이 가능하다. 그러나, 인쇄된 화상 부분은 섬네일 화상보다 사이즈(총 픽셀수)가 큰 주화상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쇄 이미지를 생성하는 처리에 걸리는 시간은, 섬네일 화상 사용 지시를 해석할 수 있는 컨텐츠 해석부(152)를 구비하는 본 프린터(150)보다 길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인쇄 시스템에 의하면, 인쇄 대상의 화상에 따라 XML 형식으로 정의한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지시」를 프린터에 통지하기 때문에, 인쇄 시의 이상 동작의 발생을 회피하면서, 인쇄 스피드의 고속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2)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섬네일 화상을 사용하는 지시”를 인쇄 컨텐츠에 추기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표시 내용과 동 내용의 인쇄를 행하는 지시” 또는 “인쇄 전용 컨텐츠를 인쇄하는 지시”를 인쇄 컨텐츠에 추기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인쇄 컨텐츠에는, 스크린(「모니터」라고도 한다) 상에 표시되어 있는 내용과 동일한 내용으로 한정한 컨텐츠(이하 「표시 한정 컨텐츠」라고 한다)를 대상으로 하여 인쇄를 행하는 것과, 스크린에는 표시되지 않은 인쇄 전용의 컨텐츠(이하 「인쇄 전용 컨텐츠」라고 한다)를 대상으로 하여 인쇄를 행하는 것의 2종류가 있다. 각각의 인쇄 컨텐츠에 의해, 시스템은 상이한 인쇄 동작이 요구된다.
도 12는 form 요소에 의해 기술된 2종류의 인쇄 컨텐츠에 대해 인쇄 지시가 이루어진 경우의 인쇄 동작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표시 한정 컨텐츠에 대해서 인쇄 지시가 이루어진 경우는, 스크린 상에 표시되어 있는 내용과 동일한 내용의 인쇄를 행하게 된다(이 경우, 사용자는, 스크린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저장하기 위해서 인쇄를 행한다고 생각된다).
도 12는 textarea 요소에 의해서 기술된 텍스트 내용이 스크린 상 또는 인쇄 매체 상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대해서 표시하고 있다. 스크린 상에서 스크롤 바가 있는 경우는, 모든 텍스트 내용은 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표시 한정 컨텐츠에 대한 인쇄가 지시된 경우는, 인쇄 매체에 있어서도 텍스트 내용 전체에 대해서 인쇄를 행하지 않고, 스크린 상의 표시와 동일한 내용, 즉 스크롤 바의 위치에 따른 일부 텍스트 내용에 대해서 인쇄가 행해진다.
한편, 스크린 상에는 표시되지 않은 인쇄 전용 컨텐츠에 대해 인쇄를 행하도록 지시가 이루어진 경우는, 컨텐츠 전체에 대해 인쇄를 행하게 한다.
이는 텍스트 내용의 일부만 인쇄를 행하면, 인쇄되지 않은 부분의 내용을 사용자는 볼 수 없다. 이는 스크린 상의 표시와 동일한 내용의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비하면, 사용자에 있어 현저하게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인쇄 전용 컨텐츠를 인쇄하는 경우는, 인쇄 전용 컨텐츠 전체를 인쇄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기능을 실현하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시스템(「인쇄 시스템」이라고도 한다)(20)의 기능 구성을 도 13에 도시한다. 또한, 도 13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 1의 도 1과 동일한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독자 정보 부가부(104)는, 프린터(150)에 송신하는 인쇄 컨텐츠가, 표시 한정 컨텐츠인지, 인쇄 전용 컨텐츠인지를 판단한다.
이 경우의 판단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례를 들면, 모니터에 표시하고 있는 표시 한정 컨텐츠를 인쇄하는 경우는, 인쇄 컨텐츠를 표시 컨텐츠로부터 생성한다. 이 경우는, 인쇄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이 판단의 근거가 된다. 다른 예로는, 인쇄 컨텐츠의 화일명과 표시하고 있는 컨텐츠의 화일명을 조합하여, 일치한 경우에 표시 한정 컨텐츠의 인쇄라고 판단한다. 독자 정보 부가부(104)에서 판단된 결과는, 인쇄 컨텐츠 생성부(108)에서 생성되는 인쇄 컨텐츠 내의 기술에 반영된다.
프린터(150)에 있어서의 표현 방법 선택부(256)는, 컨텐츠 해석부(152)에서 추출된, STB(100)에서의 상기 판단에 의거해 프린터(150)에 있어서의 표현 방법을 선택한다. 선택된 표현 방법은, 인쇄 이미지 생성부(253)에서 생성되는 인쇄 이미지 데이터에 반영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화상 처리 시스템(2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화상 처리 시스템(20)의 STB(100)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최초에, 사용자로부터 인쇄 지시를 받으면(S1401), 독자 정보 부가부(104)는, 그 인쇄 컨텐츠가, 표시 한정 컨텐츠인지, 인쇄 전용 컨텐츠인지를 판단한다(S1402).
만약, 표시 한정 컨텐츠이면, 독자 정보 부가부(104)는, 인쇄 컨텐츠에 표시 한정 컨텐츠인 것을 표시하는 기술을 추가한다(S1403). 구체적으로는,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etaname=“display-target” content=“screen”/>이라는 기술을 <head>와 </head>의 사이에 삽입한다. 또한, 이 기술이 표시 한정 컨텐츠인 것을 표시하는 것은, STB(100)와 프린터(250)에서 미리 합의해 두는 것으로 한 다. STB(100)는, 상기 기술이 추가된 후, 인쇄 컨텐츠를 프린터(150)에 송출한다.
한편, 인쇄 컨텐츠가 인쇄 전용 컨텐츠인 경우, 독자 정보 부가부(104)는, 인쇄 컨텐츠에 인쇄 전용 컨텐츠인 것을 표시하는 기술을 추가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etaname=“display-target”content=“print”/>라는 기술을 <head>와 </head>의 사이에 삽입한다.
만약, 표시 한정 컨텐츠와 구별이 된다면, 인쇄 컨텐츠에는 어떠한 기술의 추가를 하지 않고 프린터(150)에 송출되어도 된다.
도 16은, 화상 처리 시스템(20)의 프린터(250)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프린터(250)의 컨텐츠 해석부(152)는 인쇄 대상 컨텐츠를 수신하면(S1601), 인쇄 대상 컨텐츠의 기술을 해석한다(S1602). 그 기술 중에 인쇄 대상 컨텐츠의 종류를 표시하는 정보<meta name=“display-target” content=“screen”/> 등의 기술을 발견하면, 컨텐츠 해석부(152)는 그 종류를 표시하는 정보를 표현 방법 선택부(256)에 송신한다(S1603).
다음에, 표현 방법 선택부(256)는, 수신한 인쇄 대상 컨텐츠의 종류를 표시하는 정보에 의거해(S1604), 인쇄 이미지 생성부(253)에 있어서의 인쇄 이미지 데이터의 생성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 대상 컨텐츠에 <metaname=“display-target” content=“screen”/>의 기술이 있는 경우는 표시 한정 컨텐츠이므로, 표현 방법 선택부(156)는, 모니터 상의 표시와 동일한 textarea 요소의 내용이 인쇄되는 인쇄 이미지 데이터의 생성 알고리즘을 선택한다(S1604:스크린 표시). 그 결과, 인쇄 이미지 생성부(153)는, 도 17(a) 에 도시하는, textarea 요소의 표시 영역의 크기를 우선한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S1605), 인쇄 매체에 인쇄를 행한다(S1606).
한편, 도 15(b)에 도시하는 기술이 인쇄 전용 컨텐츠인 경우, 표현 방법 선택부(156)는, 인쇄 전용 컨텐츠용의 인쇄 이미지 데이터의 생성 알고리즘을 선택하고(단계 S1604:인쇄 전용), 도 17(b)에 도시하는 textarea 요소의 내용의 크기를 우선한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1607).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표시 내용과 동 내용의 인쇄를 행하는 지시” 인지 “인쇄 전용 컨텐츠를 인쇄하는 지시”인지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인쇄 결과에 있어서의 표현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3)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 이외의 XML 태그의 이용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시스템(30)은, 기본적으로는 상기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시스템(10)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기능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XML 사양에 준거한 특수 태그의 일례이다. 도 18(a)는, 특수 태그의 속성의 일례로, 「colorspace」,「content-width」및「content-height」의 예가 나타나 있다.
「colorspace」는, 화상의 색 공간에 대해 정의하기 위한 속성이고, 이에 따라, 인쇄 컨텐츠를 수신한 프린터는, 정확하게 색 공간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지 고, 인쇄 결과에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인 속성값으로는, 도 18(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hc-srgb” 등이 있다.
「content-width」및「content-height」은, 화상의 도트폭이나 도트 높이를 정의하는 속성이고, 이에 따라, 인쇄 컨텐츠를 수신한 프린터는, 화상의 헤더를 해석하지 않고 화상의 가로 세로 사이즈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content-width= “80px” 등에 의해 지정을 행한다. 인쇄 컨텐츠에 화상을 인쇄할 때의 사이즈가 기재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프린터는 화상의 헤더를 해석하여 화상이 본래 가지는 가로 세로 픽셀수를 취출, 그 픽셀수로부터 인쇄 시의 사이즈를 계산으로 산출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content-width」, 「content-height」가 기재되어 있으면, 인쇄에 사용하는 화상의 헤더를 해석하지 않고, 그 기재되어 있는 수치를 사용해 화상을 인쇄할 때의 사이즈를 산출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의 헤더의 해석에 요하는 시간과 기능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화상의 가로 세로 사이즈를 「도트」가 아니라, 길이(예를 들면 「mm」)로 지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8(b)는 컨텐츠의 종류를 지정하기 위한 메타 정보명 「content-kind」의 일예이다.
예를 들면, 인쇄 컨텐츠의 일부에 「content-kind= “photo-print”」라는 기술을 추가함으로써, 해당 화상의 종류는 「사진」인 것을 프린터측에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시스템(30)에 의하면, 화상의 색 공간, 화상의 가로 세로 사이즈 및 컨텐츠의 종류에 대해서, STB로부터 프린터 에 정확하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1∼3에서는, 사용자가 정의한 태그 등을 해석할 수 있는 마크업 언어로서 XML을 들었는데, XML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정의한 태그 등을 해석할 수 있는 언어이면 XML 이외의 언어라도 된다.
본 발명은, STB(또는 STB의 기능을 갖는 디지털 텔레비전 등)와 인쇄 장치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고, 특히, XML 등을 해석할 수 있는 인쇄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24)

  1. 인쇄 장치에 인쇄 컨텐츠를 송출하는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에 있어서,
    인쇄 컨텐츠의 취득과 생성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구성된 컨텐츠 입수 수단으로서, 상기 인쇄 컨텐츠는 소정의 마크업(markup) 언어를 사용하여 기술되는, 컨텐츠 입수 수단;
    상기 인쇄 컨텐츠의 특징을 식별하도록 동작가능한 특징 식별 수단;
    상기 식별된 특징을,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인쇄 컨텐츠와 함께 인쇄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고 상기 마크업 언어로 처리될 수 있는 독자 정의의 태그를 포함하는 정의문으로서 기술하고, 상기 정의문을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追記)하도록 동작가능한 추기 수단; 및
    상기 추기된 정의문을 포함하는 인쇄 컨텐츠를 상기 인쇄 장치에 송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특징 식별 수단은, 상기 인쇄 컨텐츠가 그 인쇄 시에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하는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특징 식별 수단이, 상기 인쇄 컨텐츠가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하는 컨텐츠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추기 수단은 상기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정의문을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추기 수단은 상기 인쇄 컨텐츠에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정의문을 추기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정의문은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 및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가 사용되는 독자 정의의 정의문를 사용하여 인쇄 컨텐츠에 추기되고,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 및 상기 독자 정의의 정의문이 함께 상기 정의문을 형성하며 상기 인쇄 컨텐츠를 기술하는데 사용된 상기 마크업 언어와 동일한 마크업 언어의 사양을 따르며,
    상기 정의문은 상기 추기 수단에 의해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되고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며, 상기 정의문이 다른 인쇄 장치에 의해 해석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다른 인쇄 장치에 의해 무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식별 수단은,
    상기 인쇄 컨텐츠가, 인덱스 시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하는 컨텐츠라고 판단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식별 수단은, 이미지가 인쇄될 경우 인쇄 사이즈가 상기 인쇄 컨텐츠에 기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인쇄 사이즈가 상기 인쇄 컨텐츠에 기술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추기 수단은 상기 인쇄 컨텐츠에 상기 정의문을 추기하여 가로 및 세로 픽셀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식별 수단은 상기 인쇄 컨텐츠가 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인지 인쇄 전용의 컨텐츠인지를 판단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추기 수단은 상기 인쇄 컨텐츠에 상기 정의문을 추기하여 상기 인쇄 컨텐츠가 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인지 인쇄 전용의 컨텐츠인지를 나타내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식별 수단은, 상기 인쇄 컨텐츠의 종류를 식별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추기 수단은, 상기 인쇄 컨텐츠에 상기 정의문을 추기하여 상기 인쇄 컨텐츠의 종류를 표시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는 X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
  7. 인쇄 컨텐츠의 취득과 생성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구성된 컨텐츠 입수 수단으로서, 상기 인쇄 컨텐츠는 소정의 마크업(markup) 언어를 사용하여 기술되는, 컨텐츠 입수 수단;
    상기 인쇄 컨텐츠의 특징을 식별하도록 동작가능한 특징 식별 수단;
    상기 식별된 특징을,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인쇄 컨텐츠와 함께 인쇄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고 상기 마크업 언어로 처리될 수 있는 독자 정의의 태그를 포함하는 정의문으로서 기술하고, 상기 정의문을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追記)하도록 동작가능한 추기 수단; 및
    상기 추기된 정의문을 포함하는 인쇄 컨텐츠를 상기 인쇄 장치에 송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특징 식별 수단은, 상기 인쇄 컨텐츠가 그 인쇄 시에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하는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특징 식별 수단이, 상기 인쇄 컨텐츠가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하는 컨텐츠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추기 수단은 상기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정의문을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추기 수단은 상기 인쇄 컨텐츠에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정의문을 추기하며, 상기 정의문은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 및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가 사용되는 독자 정의의 정의문를 사용하여 인쇄 컨텐츠에 추기되고,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 및 상기 독자 정의의 정의문이 함께 상기 정의문을 형성하며 상기 인쇄 컨텐츠를 기술하는데 사용된 상기 마크업 언어와 동일한 마크업 언어의 사양을 따르며,
    상기 정의문은 상기 추기 수단에 의해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되고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며, 상기 정의문이 다른 인쇄 장치에 의해 해석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다른 인쇄 장치에 의해 무시되는,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로부터 인쇄 컨텐츠를 수신하는 인쇄 장치로서,
    상기 소정의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여 기술된 상기 인쇄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수단;
    상기 수신된 인쇄 컨텐츠로부터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를 포함하는 정의문을 추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추출 수단; 및
    상기 추출된 정의문에 기초하여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쇄를 실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인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정의문은,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정의문에 기초하여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정의문에 기초한 상기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인쇄 컨텐츠로부터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만을 취득하도록 동작가능한 취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취득된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정의문은,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픽셀수를 나타내고,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인쇄될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사이즈를, 상기 정의문으로부터 독취하여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수단은,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된 알고리즘과 동일한 생성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수단은, "textarea" 요소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즈가 "textarea" 요소 내용의 사이즈보다 우선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수단은, "textarea" 요소 내용의 사이즈가 "textarea" 요소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즈보다 우선하는 생성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는 X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5. 인쇄 장치; 및
    상기 인쇄 장치로 인쇄 컨텐츠를 송출하는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는,
    인쇄 컨텐츠의 취득과 생성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구성된 컨텐츠 입수 수단으로서, 상기 인쇄 컨텐츠는 소정의 마크업(markup) 언어를 사용하여 기술되는, 컨텐츠 입수 수단;
    상기 인쇄 컨텐츠의 특징을 식별하도록 동작가능한 특징 식별 수단;
    상기 식별된 특징을,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인쇄 컨텐츠와 함께 인쇄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고 상기 마크업 언어로 처리될 수 있는 독자 정의의 태그를 포함하는 정의문으로서 기술하고, 상기 정의문을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追記)하도록 동작가능한 추기 수단;
    상기 추기된 정의문을 포함하는 인쇄 컨텐츠를 상기 인쇄 장치에 송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특징 식별 수단은, 상기 인쇄 컨텐츠가 그 인쇄 시에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하는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특징 식별 수단이, 상기 인쇄 컨텐츠가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하는 컨텐츠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추기 수단은 상기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정의문을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추기 수단은 상기 인쇄 컨텐츠에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정의문을 추기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정의문은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 및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가 사용되는 독자 정의의 정의문를 사용하여 인쇄 컨텐츠에 추기되고,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 및 상기 독자 정의의 정의문이 함께 상기 정의문을 형성하며 상기 인쇄 컨텐츠를 기술하는데 사용된 상기 마크업 언어와 동일한 마크업 언어의 사양을 따르고,
    상기 정의문은 상기 추기 수단에 의해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되고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며, 상기 정의문이 다른 인쇄 장치에 의해 해석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다른 인쇄 장치에 의해 무시되며,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로부터 상기 인쇄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수단;
    상기 수신된 인쇄 컨텐츠로부터 상기 독자 정의된 태그를 포함하는 정의문을 추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추출 수단; 및
    상기 추출된 정의문에 기초하여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쇄를 실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인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는 X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시스템.
  17. 인쇄 장치에 인쇄 컨텐츠를 송출하는 인쇄 컨텐츠 송출 방법에 있어서,
    인쇄 컨텐츠의 취득과 생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컨텐츠 입수 단계로서, 상기 인쇄 컨텐츠는 소정의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여 기술되는, 컨텐츠 입수 단계;
    상기 인쇄 컨텐츠의 특징을 식별하는 특징 식별 단계;
    상기 식별된 특징을,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인쇄 컨텐츠와 함께 인쇄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고 상기 마크업 언어로 처리될 수 있는 독자 정의의 태그를 포함하는 정의문으로서 기술하고, 상기 정의문을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하는 추기 단계; 및
    상기 추기된 정의문을 포함하는 인쇄 컨텐츠를 상기 인쇄 장치에 송출하는 송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징 식별 단계는, 상기 인쇄 컨텐츠가 그 인쇄 시에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하는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징 식별 단계가 상기 인쇄 컨텐츠가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하는 컨텐츠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추기 단계는 상기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정의문을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하고,
    상기 추기 단계는 상기 인쇄 컨텐츠에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정의문을 추기하며, 상기 정의문은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 및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가 사용되는 독자 정의의 정의문를 사용하여 인쇄 컨텐츠에 추기되고,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 및 상기 독자 정의의 정의문이 함께 상기 정의문을 형성하며 상기 인쇄 컨텐츠를 기술하는데 사용된 상기 마크업 언어와 동일한 마크업 언어의 사양을 따르며,
    상기 정의문은 상기 추기 단계에 의해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되고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며, 상기 정의문이 다른 인쇄 장치에 의해 해석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다른 인쇄 장치에 의해 무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컨텐츠 송출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는 X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컨텐츠 송출 방법.
  19. 인쇄 컨텐츠의 취득과 생성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구성된 컨텐츠 입수 수단으로서, 상기 인쇄 컨텐츠는 소정의 마크업(markup) 언어를 사용하여 기술되는, 컨텐츠 입수 수단;
    상기 인쇄 컨텐츠의 특징을 식별하도록 동작가능한 특징 식별 수단;
    상기 식별된 특징을,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인쇄 컨텐츠와 함께 인쇄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고 상기 마크업 언어로 처리될 수 있는 독자 정의의 태그를 포함하는 정의문으로서 기술하고, 상기 정의문을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하도록 동작가능한 추기 수단; 및
    상기 추기된 정의문을 포함하는 인쇄 컨텐츠를 상기 인쇄 장치에 송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특징 식별 수단은, 상기 인쇄 컨텐츠가 그 인쇄 시에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하는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특징 식별 수단이, 상기 인쇄 컨텐츠가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하는 컨텐츠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추기 수단은 상기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정의문을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추기 수단은 상기 인쇄 컨텐츠에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정의문을 추기하며, 상기 정의문은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 및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가 사용되는 독자 정의의 정의문를 사용하여 인쇄 컨텐츠에 추기되고,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 및 상기 독자 정의의 정의문이 함께 상기 정의문을 형성하며 상기 인쇄 컨텐츠를 기술하는데 사용된 상기 마크업 언어와 동일한 마크업 언어의 사양을 따르며,
    상기 정의문은 상기 추기 수단에 의해 상기 인쇄 컨텐츠로 추기되고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며, 상기 정의문이 다른 인쇄 장치에 의해 해석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다른 인쇄 장치에 의해 무시되는,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로부터 인쇄 컨텐츠를 수신하는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소정의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여 기술된 상기 인쇄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수신된 인쇄 컨텐츠로부터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를 포함하는 정의문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정의문에 기초하여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는 X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방법.
  21.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가, 인쇄 장치로 인쇄 컨텐츠를 송출하도록 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가,
    인쇄 컨텐츠의 취득과 생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컨텐츠 입수 단계로서, 상기 인쇄 컨텐츠는 소정의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여 기술되는, 컨텐츠 입수 단계;
    상기 인쇄 컨텐츠의 특징을 식별하는 특징 식별 단계;
    상기 식별된 특징을,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인쇄 컨텐츠와 함께 인쇄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고 상기 마크업 언어로 처리될 수 있는 독자 정의의 태그를 포함하는 정의문으로서 기술하고, 상기 정의문을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하는 추기 단계; 및
    상기 추기된 정의문을 포함하는 인쇄 컨텐츠를 상기 인쇄 장치에 송출하는 송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징 식별 단계는, 상기 인쇄 컨텐츠가 그 인쇄 시에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하는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징 식별 단계가 상기 인쇄 컨텐츠가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하는 컨텐츠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추기 단계는 상기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정의문을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하고,
    상기 추기 단계는 상기 인쇄 컨텐츠에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정의문을 추기하며, 상기 정의문은 독자 정의의 태그 및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가 사용되는 독자 정의의 정의문를 사용하여 인쇄 컨텐츠에 추기되고,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 및 상기 독자 정의의 정의문이 함께 상기 정의문을 형성하며 상기 인쇄 컨텐츠를 기술하는데 사용된 상기 마크업 언어와 동일한 마크업 언어의 사양을 따르며,
    상기 정의문은 상기 추기 단계에 의해 상기 인쇄 컨텐츠로 추기되고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며, 상기 정의문이 다른 인쇄 장치에 의해 해석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다른 인쇄 장치에 의해 무시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는 X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23. 인쇄 장치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로부터 인쇄 컨텐츠를 수신하는 상기 인쇄 장치는, 인쇄 컨텐츠의 취득과 생성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구성된 컨텐츠 입수 수단으로서, 상기 인쇄 컨텐츠는 소정의 마크업(markup) 언어를 사용하여 기술되는, 컨텐츠 입수 수단; 상기 인쇄 컨텐츠의 특징을 식별하도록 동작가능한 특징 식별 수단; 상기 식별된 특징을,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인쇄 컨텐츠와 함께 인쇄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고 상기 마크업 언어로 처리될 수 있는 독자 정의의 태그를 포함하는 정의문으로서 기술하고, 상기 정의문을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하도록 동작가능한 추기 수단; 및 상기 추기된 정의문을 포함하는 인쇄 컨텐츠를 상기 인쇄 장치에 송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특징 식별 수단은, 상기 인쇄 컨텐츠가 그 인쇄 시에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하는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특징 식별 수단이, 상기 인쇄 컨텐츠가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하는 컨텐츠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추기 수단은 상기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정의문을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추기 수단은 상기 인쇄 컨텐츠에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정의문을 추기하며, 상기 정의문은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 및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가 사용되는 독자 정의의 정의문를 사용하여 인쇄 컨텐츠에 추기되고,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 및 상기 독자 정의의 정의문이 함께 상기 정의문을 형성하며 상기 인쇄 컨텐츠를 기술하는데 사용된 상기 마크업 언어와 동일한 마크업 언어의 사양을 따르며, 상기 정의문은 상기 추기 수단에 의해 상기 인쇄 컨텐츠에 추기되고 섬네일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며, 상기 정의문이 다른 인쇄 장치에 의해 해석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다른 인쇄 장치에 의해 무시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소정의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여 기술된 상기 인쇄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수신된 인쇄 컨텐츠로부터 상기 독자 정의의 태그를 포함하는 정의문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정의문에 기초하여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는 X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057015554A 2003-03-28 2004-03-26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 인쇄 장치 및 인쇄 시스템 KR101042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92489 2003-03-28
JP2003092489 2003-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587A KR20050107587A (ko) 2005-11-14
KR101042074B1 true KR101042074B1 (ko) 2011-06-16

Family

ID=3312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554A KR101042074B1 (ko) 2003-03-28 2004-03-26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 인쇄 장치 및 인쇄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97152B2 (ko)
EP (1) EP1610216A4 (ko)
KR (1) KR101042074B1 (ko)
CN (1) CN100407124C (ko)
WO (1) WO2004088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07124C (zh) 2003-03-28 2008-07-3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印刷内容输出装置、印刷装置及印刷系统
US8460243B2 (en) 2003-06-10 2013-06-11 Abbott Diabetes Care Inc. Glucose measuring module and insulin pump combination
US7722536B2 (en) 2003-07-15 2010-05-25 Abbott Diabetes Care Inc. Glucose measuring device integrated into a holster for a personal area network device
KR100987776B1 (ko) 2004-02-04 2010-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움직임 벡터 정보의 치환을 이용한 스크램블 장치및 방법
CA2572455C (en) 2004-06-04 2014-10-28 Therasense, Inc. Diabetes care host-client architecture and data management system
KR100727927B1 (ko) * 2004-11-02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더링 파일을 이용한 프린트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프린트 시스템, 이미지 공급장치 및 프린트 장치
JP4079169B2 (ja) * 2005-10-06 2008-04-2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装置を備える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を画像処理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7864355B2 (en) * 2006-02-10 2011-01-04 Seiko Epso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US8384929B2 (en) * 2007-05-03 2013-02-2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 handling image data
JP2012171265A (ja) * 2011-02-23 2012-09-10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およ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US10136845B2 (en) 2011-02-28 2018-11-27 Abbott Diabetes Care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analyte monitoring devices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CN103365607B (zh) 2012-03-30 2016-01-2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印刷控制装置、印刷系统及印刷控制方法
JP6260231B2 (ja) * 2013-11-29 2018-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制御システム、及び、印刷制御方法
CN105096020A (zh) * 2014-05-19 2015-11-25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印刷生产数据的统计方法和装置
USD786931S1 (en) * 2014-12-30 2017-05-16 Sony Corporation Portion of a display panel or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1321S1 (en) * 2015-01-05 2016-07-12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2990308A (zh) * 2021-03-12 2021-06-18 深圳市安络科技有限公司 一种对印刷内容进行监测的方法、装置及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159A (ja) * 2000-11-24 2002-06-07 Konica Corp プリントシステム、撮像装置、プリント受付処理装置、プリント管理装置、プリント処理装置、記憶媒体、プリントサービス方法、プリント受付処理方法、プリント管理方法およびプリント処理方法
US20030014416A1 (en) * 2001-05-10 2003-01-16 Kimbell Benjamin D. System for setting image intent using markup language structures
JP2003036152A (ja) * 2001-05-17 2003-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印刷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1514A (en) * 1996-05-31 1999-11-23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a hyperspacial document
US6185588B1 (en) * 1996-12-31 2001-0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worldwide web pages in accordance with operator selected formatting
JP2959545B2 (ja) * 1997-03-25 1999-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情報入出力装置及び画像情報入出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
US6351317B1 (en) * 1997-09-30 2002-02-2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inting system using communication network
US7107516B1 (en) * 1998-04-13 2006-09-12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viewing images from an image capture device on a host computer
US6167469A (en) * 1998-05-18 2000-12-26 Agilent Technologies, Inc. Digital camera having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graphical representation of user inpu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the selected digital images thereof
JP3745179B2 (ja) 1999-01-12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4343372B2 (ja) 2000-01-11 2009-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画像処理装置、通信方法、及び画像処理方法
JP4192383B2 (ja) * 2000-02-24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並びにデジタル放送印刷装置
US20020054324A1 (en) * 2000-06-29 2002-05-09 Yuji Okada Web print system and accouting method thereof
JP4590080B2 (ja) * 2000-09-12 2010-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7062705B1 (en) * 2000-11-20 2006-06-13 Cisco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forming electronic documents comprising multiple information types
JP2002195208A (ja) * 2000-12-28 2002-07-10 Mitsubishi Heavy Ind Ltd ブームを備えた車両
JP2002229752A (ja) * 2001-02-06 2002-08-16 Ricoh Co Ltd Webプリンタ装置
JP4123726B2 (ja) * 2001-02-26 2008-07-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US6714209B2 (en) * 2001-04-06 2004-03-30 Lightsurf Technologies, Inc. Browser-based system providing methodology for labeling of photo compact discs with a photo-facsimile table of contents
JP2002334294A (ja) * 2001-05-11 2002-11-22 Nec Corp 書式オーバレイ印刷によるxml自動生成方式
US7142318B2 (en) * 2001-07-27 2006-11-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web page images via a marked proof sheet
US20030177248A1 (en) * 2001-09-05 2003-09-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rights information on computer accessible content
CN100407124C (zh) 2003-03-28 2008-07-3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印刷内容输出装置、印刷装置及印刷系统
JP3761554B2 (ja) 2003-03-28 2006-03-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印刷コンテンツ送出装置、印刷装置および印刷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159A (ja) * 2000-11-24 2002-06-07 Konica Corp プリントシステム、撮像装置、プリント受付処理装置、プリント管理装置、プリント処理装置、記憶媒体、プリントサービス方法、プリント受付処理方法、プリント管理方法およびプリント処理方法
US20030014416A1 (en) * 2001-05-10 2003-01-16 Kimbell Benjamin D. System for setting image intent using markup language structures
JP2003036152A (ja) * 2001-05-17 2003-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印刷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10216A4 (en) 2009-01-21
US7697152B2 (en) 2010-04-13
CN1759373A (zh) 2006-04-12
CN100407124C (zh) 2008-07-30
US20060120786A1 (en) 2006-06-08
WO2004088499A1 (ja) 2004-10-14
KR20050107587A (ko) 2005-11-14
EP1610216A1 (en) 200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074B1 (ko) 인쇄 컨텐츠 송출 장치, 인쇄 장치 및 인쇄 시스템
US7956895B2 (en) Image output devic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output an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e
US850300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prints combined image including image data and embedded information in image file, image printing system, image combining and outputting method, and computer product
JP5020517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US7471402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US8154748B2 (en) Digital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of printing information contents in the apparatus
US819996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EP1443390A1 (en) Print data creation apparatus and print data creation method
US2010023196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5317044A (ja) 印刷コンテンツ送出装置、印刷装置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3761554B2 (ja) 印刷コンテンツ送出装置、印刷装置および印刷システム
US20050151986A1 (en) Image processor and image printer
US20070177187A1 (en) Print system and print apparatus
JP5181631B2 (ja) 画像形成装置、電子文書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電子文書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US6851875B2 (en) Printer and print image reference system
US20100238302A1 (en) Print instruction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JP4421922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WO201007086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85317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image, and external device
JP4670565B2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リンタ
US838494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managing images in a multi-image file
JP200907178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