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532B1 - 엔진용 집진시스템 - Google Patents

엔진용 집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532B1
KR101041532B1 KR1020080117278A KR20080117278A KR101041532B1 KR 101041532 B1 KR101041532 B1 KR 101041532B1 KR 1020080117278 A KR1020080117278 A KR 1020080117278A KR 20080117278 A KR20080117278 A KR 20080117278A KR 101041532 B1 KR101041532 B1 KR 101041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engine
dust
pipe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8759A (ko
Inventor
정재복
Original Assignee
정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복 filed Critical 정재복
Priority to KR1020080117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532B1/ko
Publication of KR20100058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6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engine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1/00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 F01N11/002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the diagnostic devices measuring or estimating temperature or pressure in, or downstream of the exhaust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엔진용 집진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선박용 엔진을 시운전할 때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정화할 수 있는 엔진용 집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집진시스템은 복수의 흄후드와, 온도센서와, 배연관과, 차단밸브와, 집연관과, 집진기를 포함한다. 상기 흄후드는 각각의 엔진의 사일런스와 스택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각각의 사일런스에 설치된다. 상기 배연관은 상기 흄후드로 통과하는 배기가스를 집진기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흄후드에 연결된다. 상기 차단밸브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배기가스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면 상기 배연관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배연관에 설치된다. 상기 집연관은 상기 각각의 배연관에 연결된다. 상기 집진기는 상기 집연관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정화시킨다. 또한, 상기의 엔진용 집진시스템은 상기 집연관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집진기는 상기 집연관에 설치된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배기가스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면 상기 배기가스의 흡입을 중단하기 위하여 팬을 중지시킨다.
엔진, 집진기, 배기가스

Description

엔진용 집진시스템{Dust collecting system for engine}
엔진용 집진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선박용 엔진을 시운전할 때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정화할 수 있는 엔진용 집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용 엔진은 공장에서 제작되어 시운전을 거친 후 선박에 장착된다. 상기 엔진을 시운전할 때 기동시에는 연료가 불완전 연소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반면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연료가 완전 연소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기동시에는 연료가 불완전 연소되므로 배기가스의 온도가 낮은 반면 매연이 심하며,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완전 연소되어 배기가스의 온도가 매우 높은 반면 매연은 심하지 않다. 엔진의 성능 시험을 위하여 기동 및 정지를 자주 하다보면 기동시 매연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어 환경오염이 심하였다.
집진기는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장치로서 섬유질로 된 패드에 배기가스를 통과시켜 배기가스를 정화한다. 집진기의 패드는 섬유질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온도에 취약하다. 고온의 배기가스가 집진기로 들어올 경우 패드가 손상되므로 상기 집진기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엔진에는 사용하지 못한다.
선박용 엔진은 기동시에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낮은 반면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배기기스의 온도가 높다. 집진기는 낮은 온도에서만 작동을 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시간이 지난 뒤 선박용 엔진의 배기가스는 온도가 높으므로 집진기를 사용하여 엔진의 배기가스를 정화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종래의 선박용 엔진을 시운전을 할 때 배기가스를 별도로 여과시키는 수단이 없어서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바로 공기중으로 배출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환경오염이 심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민원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용 엔진의 시운전시 상기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시켜서 공기 중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집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엔진을 시운전하더라도 이를 한꺼번에 정화시킬 수 있는 집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집진시스템은 복수의 흄후드와, 온도센서와, 배연관과, 차단밸브와, 집연관과, 집진기를 포함한다. 상기 흄후드는 각각의 엔진의 사일런스와 스택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각각의 사일런스에 설치된다. 상기 배연관은 상기 흄후드로 통과하는 배기가스를 집진기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흄후드에 연결된다. 상기 차단밸브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배기가스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면 상기 배연관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배연관에 설치된다. 상기 집연관은 상기 각각의 배연관에 연결된다. 상기 집진기는 상기 집연관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정화시킨다.
또한, 상기의 엔진용 집진시스템은 상기 집연관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집진기는 상기 집연관에 설치된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배기가스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면 상기 배기가스의 흡입을 중단하기 위하여 팬을 중지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배기가스를 집진할 수 있는 집진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환경오염 및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민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엔진을 한꺼번의 시운전하거나, 개별적으로 시운전을 하더라도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집진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집진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집진시스템은 복수의 흄후드(10)와, 복수의 배연관(20)과, 복수의 차단밸브(15)와, 집연관(30)과, 집진기(40)와, 각각의 사일런스(3)에 설치된 복수의 온도센서(25)와, 집연관(30)에 설치된 온도센서(35)를 포함한다.
흄후드(10)는 엔진(미도시)의 사일런스(3)와 스택(1)의 사이에 위치한다. 사일런스(3)는 엔진에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을 줄이기 위한 소음기이다. 종래의 엔진의 경우에 엔진의 배기가스 배출구부에 사일런스(3)가 결합되고, 상기 사일런스(3)에 스택(1)이 결합된다. 그리서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는 사일런스(3)와 스택(1)을 통과하여 바로 공기 중으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배기가스의 분 진을 집진기(40)로 유도하기 위하여 흄후드(10)가 사일런스(3)와 스택(1)의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6개의 엔진의 배기가스의 분진을 한꺼번에 집진하기 위하여 6개의 흄후드(10)가 설치된다.
배연관(20)은 흄후드(10)의 일측에 결합된다. 즉 배기가스의 분진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흡입력이 발생할 경우 흄후드(10)에서 배연관(20)으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배연관(20)이 설치된다.
집연관(30)은 각각의 배연관(20)에 연결된다. 즉 각각의 배연관(20)은 하나의 집연관(30)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배연관(20)으로 유입된 분진은 하나의 집연관(30)에 통합된다.
분진기(40)는 집연관(30)을 통하여 유입되는 분진을 정화시키기 위하여 집연관(30)에 연결된다. 분진기(40)에는 팬(45)이 설치되어 있고, 팬(45)이 회전을 하면 흡입력이 발생된다. 상기 흡입력에 의하여 사일런스(3)에서 스택(1)로 흘러가는 분진은 흄후드(10)에서 배연관(20)과, 집연관(30)을 통하여 분진기(40)로 유입된다. 분진기(40)로 유입된 분진은 분진기(40)의 패드를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상기 패드는 섬유질로 되어 있어서 온도에 약하다. 분진의 온도가 200℃이상이면 패드가 손상되어 정상적인 작용을 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분진기(40)에는 상기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분진이 유입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분진시스템에는 온도센서(25, 35)와, 차단밸브(15)가 설치된다.
먼저 사일런스(3)에 온도센서(25)가 설치된다. 사일런스(3)에 설치된 온도센서(25)는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상기 온도 센서(25)는 각각의 사일런스(25)에 설치되므로 본 실시예의 경우 6개의 온도센서(25)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집연관(30)에 온도센서(35)가 설치된다. 집연관(30)의 온도센서(35)는 집진기(40)로 유입되는 분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차단밸브(15)는 배연관(20)에 설치되어 배연관(20)을 개폐시킨다. 즉 사일런스(3)에 설치된 온도센서(25)에서 측정된 배기가스의 온도가 160℃이상이면 차단밸브(15)는 배연관(20)을 폐쇄시키고, 온도가 160℃미만이면 차단밸브(15)는 배연관(20)을 개방시킨다. 엔진은 기동시에는 배기가스가 불완전연소되어 온도가 낮은 반면 매연을 많이 포함한다. 그러나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완전연소되어 배기가스의 온도가 높은 대신 매연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집진시스템은 기동시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 그러므로 기동시 즉 배기가스의 온도가 160℃미만일 경우 차단밸브(15)를 개방하여 분진이 집진기(40)로 유입되게 하며, 배기가스의 온도가 160℃이상일 경우 차단밸브(15)를 폐쇄하여 분진이 집진기(40)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시킨다.
그리고 집연관(30)에 설치된 온도센서(35)에서 측정된 온도가 200℃이상일 경우 팬(45)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팬(45)의 동작이 중지되면 흡입력이 사라지므로 배기가스는 흄후드(10)에서 배연관(20)으로 유입되지 아니하고 스택(1)으로 바로 배출된다. 집연관(30)에 설치된 온도센서(35)는 집진기(40)를 보호하기 위하여 2차적으로 설치된 보호장치이다.
본 실시예의 집진시스템은 6개의 엔진에 적용되었다. 그러므로 6개의 엔진을 동시에 동작시켜 배기가스를 정화시킬 수 있으며, 또는 6개 중 일부를 동작시켜 배기가스를 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용 집진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스택 3 : 사일런스
10 : 흄후드 15 : 차단밸브
20 : 배연관 25 : 온도센서
30 : 집연관 40 : 집진기
45 : 팬

Claims (2)

  1. 각각의 엔진의 사일런스와 스택의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흄후드와,
    상기 각각의 사일런스에 설치된 복수의 온도센서와,
    상기 흄후드로 통과하는 배기가스를 집진기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흄후드에 연결된 복수의 배연관과,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배기가스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면 상기 배연관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배연관에 설치된 복수의 차단밸브와,
    상기 각각의 배연관에 연결된 집연관과,
    상기 집연관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정화시키기 위한 집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집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연관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집진기는 상기 집연관에 설치된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배기가스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면 상기 배기가스의 흡입을 중단하기 위하여 팬을 중지시키는 것을 엔진용 집진시스템.
KR1020080117278A 2008-11-25 2008-11-25 엔진용 집진시스템 KR101041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278A KR101041532B1 (ko) 2008-11-25 2008-11-25 엔진용 집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278A KR101041532B1 (ko) 2008-11-25 2008-11-25 엔진용 집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759A KR20100058759A (ko) 2010-06-04
KR101041532B1 true KR101041532B1 (ko) 2011-06-17

Family

ID=4236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278A KR101041532B1 (ko) 2008-11-25 2008-11-25 엔진용 집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5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1326A (zh) * 2020-07-27 2020-11-06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通风管路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020A (ko) * 1997-04-04 1998-11-25 카와소에카쯔히코 내연기관의 배기미립자제거장치
KR19990026270A (ko) * 1997-09-23 1999-04-15 남창우 산업용 발전기의 경유매연 여과장치의 재생시점 포착방법
KR19990025111U (ko) * 1997-12-16 1999-07-05 김덕중 직렬흡착식 배기후처리시스템의 유동분산장치
KR20080070291A (ko) * 2007-01-26 2008-07-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스모크 실측을 위한 측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020A (ko) * 1997-04-04 1998-11-25 카와소에카쯔히코 내연기관의 배기미립자제거장치
KR19990026270A (ko) * 1997-09-23 1999-04-15 남창우 산업용 발전기의 경유매연 여과장치의 재생시점 포착방법
KR19990025111U (ko) * 1997-12-16 1999-07-05 김덕중 직렬흡착식 배기후처리시스템의 유동분산장치
KR20080070291A (ko) * 2007-01-26 2008-07-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스모크 실측을 위한 측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759A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7062C (en) Machinery arrangement for marine vessel
ATE471439T1 (de) Abgassystem für verbrennungsmotor
ATE505628T1 (de) Abgas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SE8700706L (sv) I en avgasledning fran en dieselmotor anordnad partikelavskiljare
US200701309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enerating a diesel particulate filter
KR101041532B1 (ko) 엔진용 집진시스템
US8549848B2 (en) Machinery arrangement for marine vessel
JP4590454B2 (ja) テストスタンド
KR101262379B1 (ko)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용 쿨러내 매연 제거장치
JP2011202506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
KR100412243B1 (ko) 차량의 흡기 시스템
KR100376861B1 (ko) 디젤엔진의 필터 재생장치
KR20020053139A (ko)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JP5132545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WO2007076978A3 (de) Partikelfilteranordnung
KR100191002B1 (ko) 디젤자동차 배기가스의 매연 연소장치
JP2005002805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装置
JP2002250217A (ja) 定置用ディーゼル機関の黒煙除去装置及び黒煙除去方法
KR100405435B1 (ko) 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01526358U (zh) 二次空气装置
JPH0631132Y2 (ja) 排気浄化装置
TW201625840A (zh) 微粒過濾改良裝置
EP2031206A1 (en) Method for detecting failures in a particulate trap
KR20000007787U (ko) 자동차 배기계의 촉매 활성화 장치
JPS62255530A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