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500B1 - 생리대 - Google Patents

생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500B1
KR101040500B1 KR1020080115521A KR20080115521A KR101040500B1 KR 101040500 B1 KR101040500 B1 KR 101040500B1 KR 1020080115521 A KR1020080115521 A KR 1020080115521A KR 20080115521 A KR20080115521 A KR 20080115521A KR 101040500 B1 KR101040500 B1 KR 101040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member
auxiliary
main
cove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632A (ko
Inventor
김도영
Original Assignee
김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영 filed Critical 김도영
Priority to KR1020080115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500B1/ko
Publication of KR20100056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longitudinal raised end, e.g. cup-shaped gluteal groo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86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 A61F2013/53092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having longitudinal barriers
    • A61F2013/53095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having longitudinal barriers being only in particular parts or specially arranged
    • A61F2013/53096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having longitudinal barriers being only in particular parts or specially arranged being maximum at the cro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는 전후방향으로 여성의 외음부로부터 항문에 걸쳐 배치되어 생리혈을 흡수하는 판상의 주흡수부재와; 주흡수부재의 내측을 커버하며 생리혈을 통과시키는 내측커버와; 주흡수부재의 외측을 커버하며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외측커버와; 외음부의 후단과 항문을 연결하는 신체의 골에 주흡수부재가 밀착되도록 주흡수부재를 변형시키는 보조흡수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생리 중 취침시 회음부를 따라 항문쪽으로 흘러내리는 생리혈을 흡수하여 누혈로 인한 불안감과 수치심을 없앨 수 있게 된다.
생리대, 누혈

Description

생리대{Hygienic band}
본 발명은 생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리 중 취침시 회음부를 따라 항문쪽으로 흘러내리는 생리혈을 흡수하여 누혈로 인한 불안감과 수치심을 없앨 수 있는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리대는 생리혈과 같은 여성의 분비물을 흡수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활동성이 강한 현대 여성들에게는 분비물이 외부로 세어나가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의 생리대는 디자인에 따라 직사각형의 일반형과, 양측으로 날개가 형성된 날개형, 측테두리에 주름이 있는 레이스형과 두께에 따라 울트라 슬림과 슬림형이 있다.
이러한 생리대들은 모두 사용자가 서있거나 앉아 있는 경우와 같이 여성분비물이 하방으로 흐르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우수하다.
한편, 생리대 착용자가 취침시 또는 누워있는 경우와 같이 생리혈 등의 분비물이 신체의 굴곡을 따라 이동할 경우에는 생리대와, 사용자의 회음부 및 항문 사이에 틈이 발생된다.
그러나, 종래의 생리대는 생리대 착용자가 누워있는 경우, 회음부 및 항문 사이의 신체의 골을 따라 흘러내리는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여 옷이나 시트를 버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취침시에 불안감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리 중 취침시 회음부를 따라 항문쪽으로 흘러내리는 생리혈을 흡수하여 누혈로 인한 불안감과 수치심을 없앨 수 있는 생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생리대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여성의 외음부로부터 항문에 걸쳐 배치되어 생리혈을 흡수하는 판상의 주흡수부재와; 상기 주흡수부재의 내측을 커버하며 생리혈을 통과시키는 내측커버와; 상기 주흡수부재의 외측을 커버하며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외측커버와; 상기 외음부의 후단과 상기 항문을 연결하는 신체의 골에 상기 주흡수부재가 밀착되도록 상기 주흡수부재를 변형시키는 보조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외측커버와 상기 주흡수부재 사이에는 상기 외음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항문에 대응하는 영역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흡수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수용하는 보조흡수부재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흡수부재 수용부는 상기 외측커버를 상기 주흡수부재에 접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흡수부재 수용부는 상기 보조흡수부재의 길이방향이 상기 주흡수부재의 폭방향의 중앙영역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흡수부재는 테이퍼진 종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흡수부재는 후단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흡수부재는 원형, 반원형, 타원형, 반타원형, 삼각형, 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조흡수부재는 70~140mm의 길이, 5~10mm의 높이, 5~15mm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흡수부재에는 상기 보조흡수부재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흡수부재 수용부는 상기 보조흡수부재가 출입하는 개구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개구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커버를 상기 보조흡수부재 수용부의 외면에 접착시키는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커버의 접착층에 착탈 가능하게 접착된 접착층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보조흡수부재 수용부의 후단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리 중 취침시 회음부를 따라 항문쪽으로 흘러내리는 생리혈을 흡수하여 누혈로 인한 불안감과 수치심을 없앨 수 있는 생리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1)는 전후방향으로 여성의 외음부로부터 항문에 걸쳐 배치되어 생리혈을 흡수하는 판상의 주흡수부재(10)와, 주흡수부재(10)의 내측을 커버하며 생리혈을 통과시키는 내측커버(20)와, 주흡수부재(10)의 외측을 커버하며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외측커버(30)와, 외측커버(30)와 주흡수부재(10) 사이에 막대형상으로 마련되어 외음부의 후단과 항문을 연결하는 신체의 골에 주흡수부재(10)가 밀착되도록 주흡수부재(10)를 변형시키는 보조흡수부재(40)를 포함한다.
주흡수부재(10)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마련되며, 액체의 흡수성이 강한 재질로 마련된다. 주흡수부재(10)는 면, 에어 레이드 펄프 등의 섬유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주흡수부재(1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생리대 또는 기저귀 등에 적용되는 다양한 흡수패드의 재질로도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주 흡수부재(10)는 항균, 탈취 등의 부가 기능을 겸비할 수 있도록 처리될 수도 있다.
내측커버(20)는 생리혈이 배출되는 외음부의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주흡수부재(10)의 내측을 커버한다. 내측커버(20)는 생리혈이 투과되어 주흡수부재(1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액 투과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커버(20)는 스펀 레이스 재질로 마련된다. 스펀 레이스 재질은 스펀 레이스를 형성하는 개별 섬유들을 고압의 워터 제트를 이용하여 형성시킨 것을 의미한다. 이는 열적인 결합 수단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섬유 자체의 부드러움이 유지되고 유체결합을 하기 때문에 다양한 섬유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내측커버(20)는 인체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인 만큼 부드럽고 촉감이 뛰어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내측커버(20)는 스루 에어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외측커버(30)는 주흡수부재(10)의 외측을 커버하며, 주흡수부재(10)에 흡수된 생리혈이 속옷 등 외부로 누혈되지 않도록 방수재질로 마련된다. 외측커버(30)는 PVC 등의 비닐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측커버(20)와 외측커버(30) 사이의 공간에는 주흡수부재(10)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커버(20)와 외측커버(30)는 가장자리 영역이 접합되어 있다.
보조흡수부재(40)는 외측커버(30)와 주흡수부재(10) 사이에 막대형상으로 마련되며, 외음부의 후단과 항문을 연결하는 신체의 골에 주흡수부재(10)가 밀착되도록 주흡수부재(10)를 변형시킨다. 즉, 보조흡수부재(40)는 여성의 회음부와 항문을 연결하는 신체의 골을 따라 배치된다. 보조흡수부재(40)는 주흡수부재(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탐폰'으로 공지된 삽입형 생리대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조흡수부재(40)는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흡수부재(40)는 길이 방향을 따라 테이퍼진 종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조흡수부재(40)는 후단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음부로부터 항문으로 갈수록 신체의 골이 점점 넓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보조흡수부재(40)는 신체의 굴곡에 대응하게 주흡수부재(1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게 되어 주흡수부재(10)를 회음부로부터 항문을 연결하는 신체의 골에 더욱 효과적으로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보조흡수부재(40)는 다양한 횡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보조흡수부재(40)는 도 4b 내지 4d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형, 반원형, 타원형, 반타원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흡수부재(40)는 70~140mm의 길이, 5~10mm의 높이, 5~15mm의 폭을 갖는다. 그러나, 이는 동양인을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므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고려하여 가변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외측커버(30)와 주흡수부재(10) 사이에는 외음부의 후단으로부터 항문에 대응하는 영역에 전후방향을 따라 보조흡수부재(40)를 길이방향으로 수용하는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는 외측커버(30)를 주흡수부재(10)에 접합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외측커 버(30)와 주흡수부재(10)는 열압착, 열융착,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 접합되어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를 형성한다.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는 보조흡수부재(40)의 종단면에 대응하는 크기의 접합선(51)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커버(30)와 주흡수부재(10)는 판면이 상호 타이트하게 밀착되도록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측커버(30)와 주흡수부재(10)를 상호 타이트하게 밀착하도록 접합하여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를 형성함으로써, 보조흡수부재(40)가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에 삽입되는 경우 외측커버(30)가 보조흡수부재(40)를 가압하여 주흡수부재(10)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는 보조흡수부재(40)의 길이방향이 주흡수부재(10)의 폭방향의 중앙영역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사용자는 생리대(1)의 착용시 정위치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으며, 보조흡수부재(40)에 의하여 주흡수부재(10)의 중앙영역이 변형되므로 생리대(1)가 일측으로 치우쳐 지는 것을 방지하여 생리혈의 흡수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는 보조흡수부재(40)가 출입하는 개구부(53)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부(53)는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의 후단영역에 형성된다. 그러나, 개구부(53)는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의 전단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일측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개구부(53)를 통하여 보조흡수부재(40)를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에 인입 및 인출할 수 있어,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보조흡수부재(40)의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1)는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의 개구부(53)를 커버하는 개구커버(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커버(55)는 주흡수부재(10) 또는 보조흡수부재(40)에 흡수된 생리혈이 개구부(53)를 통하여 외부로 누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커버(55)는 외측커버(30)와 동일한 방수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커버(55)의 내측에는 개구커버(55)를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의 외면 즉, 외측커버(30)에 접착시키는 접착층(5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주흡수부재(10) 또는 보조흡수부재(40)에 흡수된 생리혈이 개구부(53)와 개구커버(55) 사이로 누혈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1)는 개구커버(55)의 접착층(57)에 착탈 가능하게 접착되는 접착층 보호커버(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임으로 개구커버(55)가 개구부(53)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주흡수부재(10)에는 보조흡수부재(40)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굴곡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조흡수부재(40)는 주흡수부재(10)의 굴곡부의 형상을 유지시키며, 생리혈의 흡수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1)는 날개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60)는 주흡수부재(10)의 양측 영역으로 연장 형성된다. 날개부(60)는 생리대의 착용시 절곡되어 속옷(미도시)의 외부에 잡착되도록 접착층(61)을 가지며, 접착층(61)에는 접착층 보호시트(65)가 착탈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1)의 외측커버(30)에는 생리대(1)의 착용시 속옷의 내부에 잡착되도록 접착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착층(31)에는 접착층 보호시트(35)가 착탈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생리대(1)를 날개형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직사각형의 일반형, 측테두리에 주름이 있는 레이스형 등 다양한 형태의 생리대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1)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주흡수부재(10)를 사이에 두고 내측커버(20)와 외측커버(30)를 접합한다.
다음, 외측커버(30)를 주흡수부재(10)에 접합선(51)을 따라 접합하여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를 형성한다.
다음,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에 개구부(53)를 형성하고, 개구부(53)를 커버하는 개구커버(55)를 마련한다.
다음, 외측커버(30) 및 날개부(60)에 접착층(31, 61)을 형성하도록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접착층(31, 61)에 접착층 보호시트(35, 65)를 결합한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여,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1)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외측커버(30)로부터 접착층 보호시트(35)를 제거한다.
다음, 개구커버(55)를 젖혀 개구부(53)를 개방하고, 보조흡수부재(40)를 개구부(53)를 통하여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에 삽입한다.
다음, 개구커버(55)에 접착되어 있는 접착층 보호커버(59)를 제거한 후, 외측커버(30)에 접착시켜 개구부(53)를 폐쇄한다.
다음, 날개부(60)의 접착층 보호시트(65)를 제거한 후, 속옷에 생리대(1)를 결합한다.
다음, 보조흡수부재(40)가 회음부와 항문을 연결하는 신체의 골에 대응하게 배치되도록 생리대(1)를 착용한다. 그러면, 보조흡수부재(40)에 의하여 변형되어 굴곡된 주흡수부재(10)가 회음부와 항문을 연결하는 신체의 골에 삽입 및 밀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측커버(30)와 주흡수부재(10) 사이에 막대형상으로 마련되어 외음부의 후단과 항문을 연결하는 신체의 골에 주흡수부재(10)가 밀착되도록 주흡수부재(10)를 변형시키는 보조흡수부재(40)를 마련함으로써, 생리 중 취침시 회음부를 따라 항문쪽으로 흘러내리는 생리혈을 흡수하여 누혈로 인한 불안감과 수치심을 없앨 수 있는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를 도시한 평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를 도시한 절취사시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의 보조흡수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생리대 10 : 주흡수부재
20 : 내측커버 30 : 외측커버
40 : 보조흡수부재 50 : 보조흡수부재 수용부
51 : 접합선 53 : 개구부
55 : 개구커버 60 : 날개부

Claims (14)

  1. 전후방향으로 여성의 외음부로부터 항문에 걸쳐 배치되어 생리혈을 흡수하는 판상의 주흡수부재(10); 상기 주흡수부재(10)의 내측을 가리며 생리혈을 통과시키는 내측커버(20); 상기 주흡수부재(10)의 외측을 가리며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외측커버(30); 상기 외음부의 후단과 상기 항문을 연결하는 신체의 골에 상기 주흡수부재(10)가 밀착되도록 상기 주흡수부재(10)를 변형시키는 보조흡수부재(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생리대(1)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30)와 상기 주흡수부재(10) 사이에는 상기 외음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항문에 대응하는 영역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흡수부재(40)를 길이방향으로 수용하는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는 상기 외측커버(30)를 상기 주흡수부재(10)에 접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보조흡수부재(40)의 길이방향이 상기 주흡수부재(10)의 폭 방향의 중앙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는 상기 보조흡수부재(40)가 출입하는 개구부(53)를 가지고 상기 개구부(53)를 가리는 개구커버(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커버(55)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커버(55)를 상기 보조흡수부재 수용부(50)의 외면에 접착시키는 접착층(57)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커버(55)의 접착층(57)에 착탈 가능하게 접착된 접착층보호커버(5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80115521A 2008-11-20 2008-11-20 생리대 KR101040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521A KR101040500B1 (ko) 2008-11-20 2008-11-20 생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521A KR101040500B1 (ko) 2008-11-20 2008-11-20 생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632A KR20100056632A (ko) 2010-05-28
KR101040500B1 true KR101040500B1 (ko) 2011-06-09

Family

ID=42280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521A KR101040500B1 (ko) 2008-11-20 2008-11-20 생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70Y1 (ko) 2012-06-05 2014-02-17 김윤아 생리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7629U (ja) 1983-02-15 1984-08-28 前岡 和昭 生理用ナプキン
JPH1142250A (ja) 1997-07-28 1999-02-16 Reiko Kubo 生理用ナプキン
JP2000166968A (ja) 1998-12-01 2000-06-20 Mayumi Saeki 生理用ナプキン
KR200251643Y1 (ko) * 2001-07-23 2001-11-17 조윤점 분비물 유출방지구조를 갖는 생리대
KR20020051643A (ko) * 2000-12-23 2002-06-29 이대일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컴퓨터 전화 및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7629U (ja) 1983-02-15 1984-08-28 前岡 和昭 生理用ナプキン
JPH1142250A (ja) 1997-07-28 1999-02-16 Reiko Kubo 生理用ナプキン
JP2000166968A (ja) 1998-12-01 2000-06-20 Mayumi Saeki 生理用ナプキン
KR20020051643A (ko) * 2000-12-23 2002-06-29 이대일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컴퓨터 전화 및 제어장치
KR200251643Y1 (ko) * 2001-07-23 2001-11-17 조윤점 분비물 유출방지구조를 갖는 생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70Y1 (ko) 2012-06-05 2014-02-17 김윤아 생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632A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9497B2 (ja) 吸収物品
JP3616728B2 (ja) 体液吸収性物品
JP4722910B2 (ja) パンティライナー
CN105828761B (zh) 具有隆起的吸收性物品
JP4653537B2 (ja) 吸収性物品
WO2009107791A1 (ja) 吸収性物品
JP5860928B2 (ja) 吸収性物品
JP2009539535A (ja) 身体接着型個人ケアー製品
JP2008154606A (ja) 吸収性物品
TW200423909A (en) Longitudinal absorbent article
JP2005334294A (ja) 生理用ナプキン
JP5558617B1 (ja) 吸収性パッド
JP5566787B2 (ja) 吸収性物品
KR101720731B1 (ko) 흡수성 물품
KR20190089876A (ko) 흡수성 물품
KR101040500B1 (ko) 생리대
JP4693111B2 (ja) 陰唇間パッド
JP5548533B2 (ja) 吸収性物品
JP2010167177A (ja) 吸収性物品
JP3181218U (ja) 尿取りパッド
CN219307165U (zh) 女性用吸收制品
JP3812826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6913466B2 (ja) 男性用軽失禁パッド
JP4693109B2 (ja) 陰唇間パッド
JP2001276123A (ja) 前漏れ防止効果の高い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