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370Y1 - 생리대 - Google Patents

생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370Y1
KR200471370Y1 KR2020120004727U KR20120004727U KR200471370Y1 KR 200471370 Y1 KR200471370 Y1 KR 200471370Y1 KR 2020120004727 U KR2020120004727 U KR 2020120004727U KR 20120004727 U KR20120004727 U KR 20120004727U KR 200471370 Y1 KR200471370 Y1 KR 200471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strual blood
sanitary napkin
absorber
tunnel
menstr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154U (ko
Inventor
김윤아
Original Assignee
김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아 filed Critical 김윤아
Priority to KR2020120004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37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71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1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3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09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having only interlabial part, i.e. with no extralabi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 A61F13/4722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for interlabi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6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 A61F13/74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having means to retain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0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as prophylaxis
    • A61F2013/1509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as prophylaxis as genital prophyl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성에 따라 생리혈의 많고 적음을 고려하고, 특히 생리 기간 중 생리혈이 집중적으로 많이 나오거나 다시 보통적으로 나오는 타이밍을 고려하여, 보통의 양으로 생리혈이 나올 경우에는 일반적인 생리대의 착용으로서 충분토록 하는 반면 생리혈이 많이 나오거나 취침시 또는 환자 등과 같은 경우에는 보통의 생리대와 더불어 간단히 보조 생리혈 흡수체(40)를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생리혈의 양에 따라 보다 유연하게 하나의 생리대로서 대응토록 할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생리대{SANITARY PAD}
본 고안은 생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에 따라 보통의 양으로 생리혈이 나올 경우에는 일반적인 생리대로의 착용으로 충분토록 하는 반면 생리혈이 많이 나오거나 취침시 또는 환자 등과 같은 경우에는 보조 생리혈 흡수체 또는 원통형 생리혈 흡수체를 추가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생리혈의 양에 따라 보다 유연하게 대응토록 할 수 있는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임기 여성의 자궁내막은 주기적으로 분비된 호르몬에 의하여 증식하여 배아의 착상을 준비하는데 임신이 되지 않으면 자궁내막이 저절로 탈락되며 이 현상을 월경, 즉 생리라고 한다.
가임기는 난자가 배란이 되어 임신이 가능한 기간을 뜻하는 것으로 초경이 시작되는 나이부터 폐경이 될 때까지를 일컬으며, 평균 초경 연령은 13세 정도이고 평균 폐경 연령은 약 50세 전후이다.
생리 주기는 난포기, 황체기로 나눌 수 있고, 난포기에서 황체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배란이 일어난다. 난포기에 난소에서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의 분비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생리는 멈추고 자궁의 내막은 증식하여 두꺼워지기 시작한다. 동시에 한쪽 난소에서 난자가 성숙되어 생리 주기가 28일인 경우, 생리 시작 14일 전후로 배란이 된다. 배란 이후 난소에서는 황체호르몬(프로게스테론) 분비가 증가하는데 자궁내막 착상에 대한 준비를 하도록 도와준다. 임신이 되지 않으면 28일째 정도에 자궁내막이 떨어져 나온다.
정상적인 생리 주기는 연속하는 두 번의 생리의 시작일 사이의 간격으로 보통 21~35일(평균 28일)이고, 3~7일간 지속되며, 생리혈은 여성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35㎖이며 10~80㎖까지를 정상으로 본다.
생리 기간 중 생리혈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생리대를 착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생리대에는 패드, 탐폰(tampon) 등이 있고, 패드는 속옷에 부착하여 생리혈을 흡수하는 것이고, 탐폰의 경우 질 안으로 삽입하여 생리혈을 흡수하는 것이다.
본원 출원인은 패드형 생리대를 더욱 진보 발전시켜 본 고안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선행기술문헌 1(10-1999-0015579; 생리대)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생리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의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생리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길고, 전단 가장자리(2), 후단 가장자리(3) 및 측 가장자리(4)를 갖는다.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중앙부(6)와 측 가장자리(4)가 상향으로 기립하고, 중앙부(6)와 측 가장자리(4)와의 사이에 곡부(谷部, 7)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측 가장자리(4)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탄성부재(11)가 신장상태로 부착되어, 이 부재가 수축함으로써 다수의 개더(12)가 형성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1)의 두께 방향으로 상부부재(16)와 하부부재(17)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부재(16)는 정상부(18)가 W자형으로 절곡되어 있고 저부(19)는 평탄하며, 투액성 표면 시이트(21)와, 표면 시이트(21) 정상부의 하면에 맞닿아 있는 역 V자형의 흡액성 코어(22)와, 코어(22)의 하면에 맞닿아 있는 역 V자형의 보강 시이트(23)를 갖는다. 하부부재(17)는 상부부재(16)를 팬츠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하부부재(17)는 생리혈에 의해 팬츠가 더러워지는 것을 막는 흡수성 부재 및/또는 불투액성 부재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예의 것은 코어(51)와, 코어(51)의 상하면을 덮는 피복 시이트(52)와, 시이트(52)의 하면에 도포된 점착제(53)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생리대는 생리혈의 양이 많거나 적음을 떠나 상시 상부부재(16) 및 하부부재(17)로 이루어져 두께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함과 소요 재료의 과다로 인한 제작비용이 고가로 들어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2( 20-2005-0017283; 1회용 생리대에 부착되는 면 패드) 도 3은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1회용 생리대와 그것에 부착되는 면 패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에서는 녹차 성분을 도 3에 도시된 면 패드(1)에 적용하고자 한 고안이다. 면 패드(1)는 1회용 생리대(10)의 폭과 길이보다 적은 면적으로 제작되며, 이면에 접착수단(2) 즉, 양면테이프가 부착되어 있고, 면 패드(1)는 녹차분말성분을 함유한다.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1회용 생리대에 부착되는 면 패드(1)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하여 살균효과가 우수한 녹차를 함유한 면 패드(1)의 이면에 설치된 접착수단(2)인 양면테이프를 박리한 후, 생리대(10)의 흡수부(11) 상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피부 트러블방지 및 녹차의 성분에 의한 살균효과 등을 얻을 수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1회용 생리대에 부착되는 면 패드는 녹차분말성분을 함유한 면 패드(1)를 1회용 생리대(10)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도 불구하고, 생리혈에 의해 접착수단(2)의 성분이 면 패드(1) 속으로 침투되면서 오히려 질구(膣口) 주변의 피부에 노출되어 오히려 악영향(피부 트러블)을 미치는 단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여성에 따라 보통의 양으로 생리혈이 나올 경우에는 일반적인 생리대의 착용으로서 충분토록 하는 반면 생리혈이 많이 나오거나 취침시 또는 환자 등과 같은 경우에는 보조 생리혈 흡수체 또는 원통형 생리혈 흡수체를 추가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생리혈의 양에 따라 보다 유연하게 대응토록 할 수 있는 생리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보조 생리혈 흡수체가 커버의 터널 속으로 끼워져 착탈 가능하게 합체되므로 점착제나 접착제 등으로 겹친 경우 그 점착제나 접착제와 같은 화확성분이 생리혈과 함께 녹아들어 피부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생리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생리혈의 양이 극도로 많을 경우 보조 생리혈 흡수체와 더불어 원통형 생리혈 흡수체로서 전량 흡수토록 할 수 있는 생리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생리혈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지와, 상기 방수지 위에 적층되는 생리혈 흡수층과, 상기 생리혈 흡수층을 보호하면서 상기 방수지에 합체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생리대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길이방향으로 뚫려진 터널을 구비하고,
상기 터널 속으로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보조 생리혈 흡수체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여성에 따라 보통의 양으로 생리혈이 나올 경우에는 일반적인 생리대의 착용으로서 충분토록 하는 반면 생리혈이 많이 나오거나 취침시 또는 환자 등과 같은 경우에는 보조 생리혈 흡수체를 추가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생리혈의 양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라 보조 생리혈 흡수체가 커버의 터널 속으로 끼워질 경우 별도의 두꺼운 생리대를 사지 않고서도 하나의 생리대만으로도 유효 적절하게 생리혈의 양에 따라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실용적이면서도 편리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보조 생리혈 흡수체가 커버의 터널 속으로 끼워져 착탈 가능하게 합체되므로 점착제나 접착제 등으로 겹친 경우 그 점착제나 접착제와 같은 화확성분이 생리혈과 함께 녹아들어 피부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라 보조 생리혈 흡수체가 터널 속으로 끼워지는 끼움부 이외에 터널 밖의 생리혈 흡수층 위에 놓여지는 적층부를 더 포함토록 하여 수면시 특히 많은 양의 생리혈이 나올 경우 적층부에서 전량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생리혈의 양이 극도로 많을 경우 보조 생리혈 흡수체와 더불어 원통형 생리혈 흡수체로서 전량 흡수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라 원통형 생리혈 흡수체가 보조 생리혈 흡수체를 감싸는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합체되므로 점착제나 접착제 등으로 겹친 경우 그 점착제나 접착제와 같은 화확성분이 생리혈과 함께 녹아들어 피부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체질적으로 생리혈을 많이 흘리거나 적게 흘릴 경우에 하나의 생리대와 보조 생리혈 흡수체 나아가 원통형 생리혈 흡수체로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은 물론이거니와 사용 편리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생리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의 단면도.
도 3은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1회용 생리대와 그것에 부착되는 면 패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는 생리혈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지(10)와, 이 방수지(10) 위에 적층되는 생리혈 흡수층(20)과, 생리혈 흡수층(20)을 보호하면서 방수지(10)에 합체되는 커버(30)를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방수지(10)는 피부와 직접 닿지 않고 속옷에 놓여지기 때문에 생리혈의 누수를 적극 방지할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필름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생리혈 흡수층(20)은 자신의 무게 200배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과 같은 고분자흡수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커버(30)는 피부 접촉에 대한 트러블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부드럽고 플렉시블한 재질의 부직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여성에 따라 생리혈의 많고 적음을 고려하고, 특히 생리 기간 중 생리혈이 집중적으로 많이 나오거나 다시 보통적으로 나오는 타이밍을 고려하여, 보통의 양으로 생리혈이 나올 경우에는 일반적인 생리대의 착용으로서 충분토록 하는 반면 생리혈이 많이 나오거나 취침시 또는 환자 등과 같은 경우에는 보통의 생리대와 더불어 간단히 보조 생리혈 흡수체(40)를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생리혈의 양에 따라 보다 유연하게 하나의 생리대로서 대응토록 할 수 있는 고안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라 커버(30)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뚫려진 터널(31)을 구비하고, 커버(30)의 터널(31) 속으로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보조 생리혈 흡수체(40)를 포함한다.
커버(30)는 피부 접촉에 대한 트러블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부드럽고 플렉시블한 재질의 부직포로 제작되므로, 평상시에는 생리혈 흡수층(20)을 보호하면서 뉘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적은 양의 생리혈일 경우 그(뉘어진) 상태대로 사용하게 되고, 생리혈이 집중적으로 많이 나오거나 취침시 또는 환자 등과 같은 경우에는 커버(30)의 터널(31)을 벌려 보조 생리혈 흡수체(40)를 끼워 넣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조 생리혈 흡수체(40)가 커버(30)의 터널(31) 속으로 끼워질 경우 별도의 두꺼운 생리대를 사지 않고서도 하나의 생리대만으로도 유효 적절하게 생리혈의 양에 따라 대응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실용적이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보조 생리혈 흡수체(40)가 커버(30)의 터널(31) 속으로 끼워져 착탈 가능하게 합체되므로 점착제나 접착제 등으로 겹친 경우 그 점착제나 접착제와 같은 화확성분이 생리혈과 함께 녹아들어 피부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게 된다.
한편, 보조 생리혈 흡수체(40)는 생리혈을 흡수하는 생리혈 흡수구(41)와, 이 생리혈 흡수구(41)를 감싸는 케이스(4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생리혈 흡수체(40)는 생리혈 흡수층(20)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무게 200배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과 같은 고분자흡수체로 제작될 수 있고, 케이스(42) 역시 커버(30)와 마찬가지로 피부 접촉에 대한 트러블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부드럽고 플렉시블한 재질의 부직포 등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보조 생리혈 흡수체(40)는 터널(31) 속으로 끼워지는 끼움부(40a)와, 터널(31) 밖의 생리혈 흡수층(20) 위에 놓여지는 적층부(40b)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생리혈 흡수체(40)가 터널(31) 속으로 끼워지는 끼움부(40a) 이외에 터널(31) 밖의 생리혈 흡수층(20) 위에 놓여지는 적층부(40b)를 더 포함할 경우 수면시 특히 많은 양의 생리혈이 나올 경우 적층부(40b)에서 전량 흡수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이때, 끼움부(40a)는 질구를 향하여 배치되고, 적층부(40b)는 항문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40a)는 원기둥형으로 이루어지고, 터널(31) 속으로 끼워진 끼움부(40a)를 탄성적으로 감싸면서 커버(30) 위에 적층되는 원통형 생리혈 흡수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통형 생리혈 흡수체(50)는 생리혈의 양이 극도로 많을 경우 보조 생리혈 흡수체(40)와 더불어 전량 흡수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끼움부(40a)를 탄성적으로 수용하도록 오픈라인(50a)을 지닌 원통형 생리혈 흡수구(51)와, 이 원통형 생리혈 흡수구(51)를 감싸는 하우징(52)을 포함한다.
원통형 생리혈 흡수체(50)는 체질적으로 많은 양의 생리혈을 흘려 보조 생리혈 흡수체(40)와 생리혈 흡수층(20)만으로도 충분치 않는 경우 적합하며, 이때 원통형 생리혈 흡수구(51)는 생리혈 흡수층(20)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무게 200배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과 같은 고분자흡수체로 제작될 수 있고, 하우징(52) 역시 커버(30)와 마찬가지로 피부 접촉에 대한 트러블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부드럽고 플렉시블한 재질의 부직포 등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원통형 생리혈 흡수체(50)가 보조 생리혈 흡수체(40)를 감싸는 것으로 착탈 가능하게 합체되므로 점착제나 접착제 등으로 겹친 경우 그 점착제나 접착제와 같은 화확성분이 생리혈과 함께 녹아들어 피부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체질적으로 생리혈을 많이 흘리거나 적게 흘릴 경우에 하나의 생리대와 보조 생리혈 흡수체(40) 나아가 원통형 생리혈 흡수체(50)로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은 물론이거니와 사용 편리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가임기 여성들에게서 나오는 생리혈의 양에 따라 유효 적절하게 대응 흡수토록 하는 생리대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 : 방수지 20 : 생리혈 흡수층
30 : 커버 31 : 터널
40 : 보조 생리혈 흡수체 40a : 끼움부
41 : 생리혈 흡수구 42 : 케이스
40b : 적층부 50 : 원통형 생리혈 흡수체
50a : 오픈라인 51 : 원통형 생리혈 흡수구
52 : 하우징

Claims (6)

  1. 생리혈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지(10)와, 상기 방수지(10) 위에 적층되는 생리혈 흡수층(20)과, 상기 생리혈 흡수층(20)을 보호하면서 상기 방수지(10)에 합체되는 커버(30)를 포함하는 생리대에 있어서,
    상기 커버(30)는 길이방향으로 뚫려진 터널(31)을 구비하고,
    상기 터널(31) 속으로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보조 생리혈 흡수체(4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생리혈 흡수체(40)는 상기 터널(31) 속으로 끼워지는 끼움부(40a)와, 상기 터널(31) 밖의 상기 생리혈 흡수층(20) 위에 놓여지는 적층부(40b)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40a)는 질구를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적층부(40b)는 항문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끼움부(40a)는 원기둥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터널(31) 속으로 끼워진 끼움부(40a)를 탄성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커버(30) 위에 적층되는 원통형 생리혈 흡수체(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생리혈 흡수체(40)는 생리혈을 흡수하는 생리혈 흡수구(41)와, 상기 생리혈 흡수구(41)를 감싸는 케이스(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생리혈 흡수체(50)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끼움부(40a)를 탄성적으로 수용하도록 오픈라인(50a)을 지닌 원통형 생리혈 흡수구(51)와, 상기 원통형 생리혈 흡수구(51)를 감싸는 하우징(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KR2020120004727U 2012-06-05 2012-06-05 생리대 KR200471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727U KR200471370Y1 (ko) 2012-06-05 2012-06-05 생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727U KR200471370Y1 (ko) 2012-06-05 2012-06-05 생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154U KR20130007154U (ko) 2013-12-13
KR200471370Y1 true KR200471370Y1 (ko) 2014-02-17

Family

ID=5141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727U KR200471370Y1 (ko) 2012-06-05 2012-06-05 생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37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557B1 (ko) * 2017-10-23 2023-10-30 김정선 흡수 필터체를 구비한 생리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799A (ko) * 1998-02-24 1999-09-15 홍정신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KR100982722B1 (ko) * 2008-03-31 2010-09-17 김흥란 체액흡수용 위생밴드
KR101040500B1 (ko) 2008-11-20 2011-06-09 김도영 생리대
KR101102681B1 (ko) * 2009-07-27 2012-01-05 이성기 생리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799A (ko) * 1998-02-24 1999-09-15 홍정신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KR100982722B1 (ko) * 2008-03-31 2010-09-17 김흥란 체액흡수용 위생밴드
KR101040500B1 (ko) 2008-11-20 2011-06-09 김도영 생리대
KR101102681B1 (ko) * 2009-07-27 2012-01-05 이성기 생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154U (ko) 201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713B1 (ko) 흡수 용품
US4072151A (en) Sanitary napkin
US8870842B2 (en) Sanitary pad
US20070060901A1 (en) Disposable incontinence napkin for men
US20080021420A1 (en) Powder dispensing pouch for mens and boys underwear
SK169099A3 (en)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liquid acquisition capability
JPH03207359A (ja) 柔軟性、親水性の灯心手段を有する吸収性生成物
JP6442274B2 (ja) 吸収性物品
US20090036857A1 (en) Disposable feminine underwear
US20160228304A1 (en) Comfort Nights Overnight Pad
CN108210173A (zh) 一种多功能卫生巾
KR200471370Y1 (ko) 생리대
KR101417822B1 (ko) 밀착력 강화용 생리대
JP2563824Y2 (ja) 使い捨て尿取りパッド
KR20170006682A (ko) 밀착력 강화용 생리대
KR200484074Y1 (ko) 방수기능을 갖는 생리대
CN214909267U (zh) 一种养护暖巢的卫生护垫
KR101886602B1 (ko) 생리대
US20160038349A1 (en) Absorbent Feminine Hygiene Device
CA2285646A1 (en) Pantliner
CN209377889U (zh) 一种妇科产后用护理用品
WO2016016903A2 (en) "an improved disposable object"
JP2017113133A (ja) 尿漏れ防止パッド
KR200483792Y1 (ko) 개선된 흡수성 물품
JP3033115U (ja) 尿取り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