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0799A -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 Google Patents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0799A
KR19990070799A KR1019980005840A KR19980005840A KR19990070799A KR 19990070799 A KR19990070799 A KR 19990070799A KR 1019980005840 A KR1019980005840 A KR 1019980005840A KR 19980005840 A KR19980005840 A KR 19980005840A KR 19990070799 A KR19990070799 A KR 19990070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retion
band
pad
absorbent cor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5116B1 (ko
Inventor
홍정신
Original Assignee
홍정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신 filed Critical 홍정신
Priority to KR1019980005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116B1/ko
Publication of KR19990070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 A61F13/4722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for interlabi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혈 또는 요실금에 의한 소변 등을 흡수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생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자의 전정(vestibule)으로부터 분비되는 다량의 분비물을 패드의 내부에 위치하는 흡수체에 신속하고도 안전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상부시트 표면에 흐름방지용 예비흡수수단을 구비함으로서 분비물이 전정으로부터 배출될 때 신체의 골을 따라 체액이 흘러내리지 아니하도록 하며, 나아가 어린아이로부터 성인에 이르기 까지 나이에 구애됨이 없이 안정된 자세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sanitary napkin)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은, 취침시 생리혈의 누출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으로부터 해방됨은 물론, 분비물이 많은 경우라 하더라도 질구로부터 분비되는 분비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엉덩이 홈부에 삽입되는 접촉밴드에 의해 신속히 흡수되어 그 하측의 흡수성코어로 유도되는 것이므로 신체의 골을 타고 후방으로 흘러내리는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심리적, 생리적 그리고 신체적 보호특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sanitary napkin, 생리대)
본 발명은 생리혈 또는 요실금에 의한 소변 등을 흡수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생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자의 전정(vestibule)으로부터 분비되는 다량의 분비물을 생리대의 내부에 위치하는 흡수체에 신속하고도 안전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상부시트 표면에 흐름방지용 예비흡수수단을 구비함으로서 분비물이 전정으로부터 배출될 때 신체의 골을 따라 체액이 흘러내리지 아니하도록 하며, 나아가 어린아이로부터 성인에 이르기 까지 나이에 구애됨이 없이 안정된 자세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흐름방지용 예비흡수수단을 구비하는 생리대(sanitary napkin)에 관한 것이다.
생리혈과 같은 체액을 흡수하기 위한 기구들은 필요한 특정 흡수특성 및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여야 하며, 동시에 심리적, 생리적 또는 신체적인 보호특성을 지녀야 한다. 상기 기구들은 또한, 착용할 때나 착용을 예비하여 휴대하고 다닐 때 특별히 표시가 나지 않는 특성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목적들은 현실적으로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휴대나 착용시 표시가 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박형의 패드구조가 바람직하게 요구되는 것이지만, 많은량의 분비물을 지체함이 없이 짧은 시간에 흡수하기 위해서는 패드의 두께와 폭을 표준치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착용자의 행동에 불편을 가져오게 되는 폐단으로 지적되고 있다.
생리대는 통상적으로 착용자의 내복에 부착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신체의 움직임에 따른 피부 마찰, 특히 빠른 걸음걸이나 달리기와 같은 심한 운동을 할 때 착용자 신체 국부부위와 내복사이에 비교이동이 발생되어 패드 자체가 접히거나 신체와 패드 사이에 틈이 생기면서 생리혈이 흘러나와 의복에 묻어나는 등 착용감을 저하시키게 되며, 불쾌감과 함께 심리적, 정신적 압박을 가져오게 된다. 이같은 현상은 보행중에 엉덩이의 후방이동에 의해 패드가 그 부착위치로부터 쉽게 벗어나기 때문이다.
즉, 통상의 생리대는, 착용자의 신체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골이 깊은 몸의 뒤쪽에 까지 패드의 상부 흡수면이 충분히 삽입 밀착될 수 없는 것이며, 착용후 활동이 잦은 경우 팬티등 피복에 부착된 상기 패드의 이동으로 인하여 소망하는 기대효과를 얻지 못하게 되는 것이었다.
더욱이 눕거나 비스듬이 앉을 경우 생리혈등의 흘러내림은 더욱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서, 둔부의 기울어 짐에 따라 패드의 위치가 이동하거나 틀어 지면서 둔부와 둔부 사이의 골을 타고 분비물이 몸의 뒤쪽으로 흐르게 됨에 따라 팬티등 의복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어 오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문제는 의복의 오염정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착용자로 하여금 심각한 심리적 불안감을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었으며, 휴식시간이라 할지라도 예외가 될 수는 없다. 분비물의 량이 많은 날에는 흘러내린 분비물로 인하여 침구나 바닥면이 오염되는 경험을 빈번히 하게 되는 것이므로 침구를 외면한 체 바닥에서 불편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게 되는 경우를 또한 어렵지 않게 목격할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질구로부터 배출되는 생리혈등의 분비물이 패드에 신속히 흡수되며, 많은량이 일시에 배출되는 경우라 할지라도 흡수 잔여물이 인체의 홈부를 따라 흐르는 경로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상하부시트 사이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흡수용 코어로 유도함으로서 분비물의 배출량에 구애됨이 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박형의 생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드의 상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분비물 접촉밴드가 착용자의 엉덩이 홈부에 긴밀히 끼워져 고정됨으로서 활동중에는 물론 눕거나 비스듬이 앉은 상태에서도 국소부위로부터 벗어남이 없는 국부 밀착형 생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드의 저면 중앙부를 길이방향으로 융기시켜 받쳐줌으로서, 별도의 패드 고정용 접착밴드를 구비하지 아니하고도 패드가 신체에 안정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신체와 내복사이의 비교이동에 따라 유발되는 피부자극을 억제하며 이로인해 착용자의 민감한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생리대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생리대 종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생리대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개한 생리대 종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생리대를 인체에 적용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생리대의 착용효과를 증대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패드 중앙부위 탄성누름부재를 갖는 보조착용수단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삽입형의 분비물 접촉밴드 양단이 패드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 생리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삽입형의 분비물 접촉밴드 상측에 요실금 예방용 압박돌기를 돌설한 생리대의 일부 발췌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생리대 착용상태를 보인 인체 적용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여아용 기저귀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부시트, 11: 주름밴드부, 20: 하부시트, 30: 흡수성코어, 40: 분비물 접촉밴드, 40a: 융기된 중앙부위, 40b: 분리된 단부, 41: 예비흡수코어, 42: 박형의 심지층, 43: 중공부, 45: 압박돌기, 50: 탄성누름밴드, 51,53: 고무밴드, 52: 비탄성끈,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액체투과성 상부시트와, 액체불투과성 하부시트, 및 이들 양 시트사이에 수용된 비교적 많은 량의 유체를 함침하는 흡수성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시트 중앙부에는 상부시트로부터 연장되는 융기부 내면에 예비흡수코어를 길이방향으로 수납하고 있는 삽입형의 분비물 접촉밴드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시트의 평명부와 융기부 사이가 주름밴드부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흡수성코아의 저부에는 상기 흡수성코어 및 상기 분비물 접촉밴드를 상향 압지하도록 탄성누름부재가 부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누름부재는, 그 양측의 선단면이 하부시트의 단부에 각기 고정된체 그 중간부분은 흡수성코어의 저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고무밴드가 사용되며, 상기 탄성누름부재는 또한,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로 피복된 상기 흡수성코어를 외부에서 감싸며 탄지하는, 중앙에 고무밴드가 고정되어 있는 별도의 보조착용수단. 예로서 팬티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착용자의 국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끼워지는 상기 분비물 접착밴드가, 상기 예비흡수코어를 수용하며 주름밴드부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중앙부위를 남긴체 양측 선단부가 패드로부터 일정길이만큼 분리 구성되도록 구성됨으로서 착용시 분리된 단부가 파지용 손잡이를 이루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분비물 접착밴드의 상측에는 가압돌기를 상부로 향하여 돌설하여 줌으로서, 상기 가압돌기의 가벼운 압박으로 인하여 요도구가 일시적으로 폐색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요실금 등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생리대(S)의 중앙 일부를 절개 도시한 사시도를 보이고 있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를 각기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생리대(S)는, 액체투과성이 우수한 상부시트(10)와, 액체의 투과가 불가능한 불투과성의 하부시트(20) 및 이들 양 시트(10)(20)사이에 수용되는 고용량의 유체 흡수가 가능한 흡수성코어(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시트(10)는 투과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그 외측 표면에 계면활성제를 처리한다.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표면은 친수성이 향상되고 그 결과 미처리 표면보다 액체의 침투가 더욱 빠르게 진행되는 것이므로 착용자의 질구로부터 분비되는 생리혈이 패드의 상부시트 밖으로 유출되어 옷이나 몸에 얼룩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하부시트(20)는 액체에 대하여 불투과성을 유지하는 폴리에틸렌 등의 소재가 사용된다. 이같은 하부시트(20)는 상부시트(10)를 거쳐 내부에 체워져 있는 흡수성코어(30)에 흡착되는 생리혈이 착용자의 활동에 의해 압박될 때 짜여져 사용자의 의복을 더럽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상하부시트(10)(2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흡수성코어(30)는 다량의 생리혈을 안전하고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최적의 용량을 확보하게 되는 것으로서 흡수될 생리혈의 총량보다 훨씬 큰 흡수용량을 가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같은 상기 상부시트(10)의 표면에는,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에 근접하게 제공되는 한쌍의 주름밴드부(11)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주름밴드부(11)에 의해 상부시트(10)면을 따라 삽입형의 분비물 접촉밴드(40)가 일체로 돌출되도록 한다.
한쌍의 주름밴드부(11) 사이에 제공되는 상기 삽입형의 분비물 접촉밴드(40)는, 주위 표면에 비해 다소 여유있는 길이로 제공되는 상부시트(10)의 연장부분으로서 좌우 주름밴드부(11)로 인하여 측면으로의 이동이 억제되는 것이므로 여유길이 만큼의 돌출된 높이부분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제공되는 상기 삽입형의 분비물 접촉밴드(40)는, 착용자의 질구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전정내에 밀착되는 형태로 끼워지는 것으로서, 이는 도 2 및 도 5에 구체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정의 앞부분으로부터 후방에 이르는 신체 홈부. 즉 둔부 사이의 홈에 긴밀히 끼워져 질구(74)를 통해 배출되는 생리혈이 둔부 홈의 후방이나 측방으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착용자가 앉거나 누운위치일 때 생리혈이 후방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며, 활동중 패드가 국소부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억제하게 되는 이탈방지의 기능을 갖게 된다.
이같은 분비물 접촉밴드(40)의 내면에는, 흡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흡착된 생리혈을 하부에 내설되는 흡수성코어(30)에 전달하기 위한 예비흡수코어(41)를 삽입하여 주게 되며, 상기 예비흡수코어(41)의 둘레에는 또한 흡수성이 우수한 박형의 심지층(42)을 설치하여 줌으로서 많은량의 분비물이 일시에 분비되는 경우 신속한 흡수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S)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부시트(10) 표면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제공되는 상기 주름밴드부(11) 내측의 삽입형 분비물 접촉밴드(40)가, 상부시트(10)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 내면에 중공부(43)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서, 이와같이 융기된 내측이 중공부(43)를 이루는 경우 상부시트(10)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국부 접촉시 피부자극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인바, 착용자의 질구(74), 요도구(72) 및 음핵(70)과 같은 매우 예민한 생식기와 접촉하면서 그 마찰에 의해 예민한 피부를 자극하여 부풀게 하는 폐단을 방지코자 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된 분비물 접촉밴드(40) 부분은, 국부의 홈에 가볍게 끼워져 질구(74)를 통해 배출되는 생리혈 등을 좌우로 흐름이 없이 신속히 내측의 흡수성코어(30)에 흡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족하다.
이같은 본 발명의 생리대(S) 저부에는, 상기 흡수성코어(30) 및 상기 분비물 접촉밴드(40)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착용자의 국부 홈에 패드가 긴밀히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누름부재(50)가 길이방향을 따라 제공된다.
상기 탄성누름부재(50)는, 바람직하게 양측의 선단면이 하부시트(20)의 단부에 각기 고정된체 그 중간부분은 흡수성코어(30)의 저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고무밴드(51)가 이용될 수 있는 것이며, 도 3 및 도 4를 통해 보는 바와같이, 상하부시트(10)(20)의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삽입되며 그 양측의 선단이 시트의 바깥쪽으로 일정길이 만큼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비탄성끈(52)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누름부재(50)는 도 6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 생리대(S)의 착용효과를 증대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패드 중앙부위 누름용 고무밴드(53)를 갖는 보조착용수단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 경우 상기 탄성누름부재(50)는,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로 피복된 상기 흡수성코어(30)를 외부에서 감싸며 탄지하는, 중앙에 고무밴드(53)가 고정되어 있는 팬티를 통해 소망하는 목적이 달성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삽입형의 분비물 접촉밴드(30) 양단이 패드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 생리대(S)의 구조를 보이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쌍의 주름밴드부(11)에 의해 제공되며 내면에 예비흡수코어(41)를 수용하고 있는 상기 분비물 접착밴드(4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주름밴드부(11) 사이에 형성되는 융기부의 중앙부위(40a)만을 남긴체 그 양측 선단부(40b)가 패드로부터 일정길이만큼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분리된 단부(40b)는 패드를 착용자의 국부에 긴밀히 삽입하기 위한 파지용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탄성누름부재를 필요로 함이 없이도 착용위치에 용이하게 거치시킬수 있게 되는 잇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주된 사용은 질구(74)로부터 배출되는 생리혈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생리대(S)는 여성 요실금 환자의 소변을 흡수 또는 압박에 의해 억제시키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삽입형의 분비물 접촉밴드(40) 상측에 요실금 예방용 압박돌기(45)를 돌설한 생리대의 일부 발췌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분비물 접착밴드(40)의 상측에 돌설되는 상기 압박돌기(45)는 도 9에서와 같이 요도구(72)를 가볍게 압박함으로서 요실금을 일시적으로 폐색시키는 효과를 가져와 외출시 안전한 활동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압박돌기(45)는, 전정내에 위치하는 요도구(72)를 향하여 상부로 경사지게 돌설되는 구조를 취하게 됨이 바람직 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성인용 위생기구인 생리대(S)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와 더불어 여아용 기저귀에 적용함에 있어서도 소망하는 목적을 달성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것이다.
여아 역시 신체 구조적인 특성에 있어서는 성인과 동일하기 때문이며, 남녀 구분없이 획일적으로 통상의 기저귀를 사용하는 경우, 소변의 흡수효과는 현저히 떨어지는 것임을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도 10에 의하여 더욱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여아용 기저귀에 적용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여아용 기저귀는, 액체투과성 상부시트(10)와, 액체불투과성 하부시트(20) 및 이들 양 시트(10)(20) 사이에 수용되는 일정부피를 갖는 흡수성코어(30)를 포함하며, 허리둘레용 탄성플랩(16)과 다리둘레용 탄성플랩(17)을 각기 구비하는 통상의 기저귀 내표면에, 상기 상부시트(1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에 근접하게 제공되는 한쌍의 주름밴드부(11)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주름밴드부(11)에 의해 상부시트(10)면을 따라 삽입형의 분비물 접촉밴드(40)가 일체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같은 삽입형의 분비물 접촉밴드(40)는, 내표면의 중앙이 길이방향으로 솟구쳐 골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인데, 이는 상기한 구성을 통해 융기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그 융기부의 형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포장시 내표면이 외부로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접어주고 나서, 이를 포장재료로 피복하는 경우 그 돌출효과는 더욱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시예들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른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에 의하면, 취침시 생리혈의 누출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으로부터 해방됨은 물론, 분비물이 많은 경우라 하더라도 질구로부터 분비되는 분비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둔부와 둔부 사이의 홈에 삽입되는 접촉밴드에 의해 신속히 흡수되어 그 하측의 흡수성코어로 유도되는 것이므로 신체의 골을 타고 후방으로 흘러내리는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등 심리적, 생리적 그리고 신체적 보호특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9)

  1. 액체투과성 상부시트와, 액체불투과성 하부시트, 및 이들 양 시트사이에 수용된 비교적 많은 량의 유체를 함침하는 흡수성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시트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에 근접하게 제공되는 한쌍의 주름밴드부를 가짐으로서, 상기 주름밴드부에 의해 상부시트면을 따라 삽입형의 분비물 접촉밴드가 일체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흡수성코아에는, 상기 흡수성코어 및 상기 분비물 접촉밴드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착용자의 국부 홈에 패드가 긴밀히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누름부재를 길이방향을 따라 부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한쌍의 주름밴드부 사이에 제공되는 상기 삽입형의 분비물 접촉밴드가, 상부시트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 내면에 예비흡수코어를 내설하며, 상기 예비흡수코어 둘레에는 흡수성이 우수한 박형의 심지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형의 분비물 접촉밴드가, 상부시트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 내면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국부 접촉시 피부자극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누름부재는, 양측의 선단면이 하부시트의 단부에 각기 고정된체 그 중간부분은 흡수성코어의 저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고무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누름부재는, 상하부시트의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삽입되며 그 양측의 선단이 시트의 바깥쪽으로 일정길이 만큼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비탄성끈의 형태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누름부재는,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로 피복된 상기 흡수성코어를 외부에서 감싸며 탄지하는, 중앙에 고무밴드가 고정되어 있는 별도의 보조착용수단(팬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7. 제 2항에 있어서, 한쌍의 주름밴드부에 의해 제공되며 내면에 예비흡수코어를 수용하고 있는 상기 분비물 접착밴드는, 상기 주름밴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융기부의 중앙부위를 남긴체 양측 선단부가 패드로부터 일정길이만큼 분리되도록 구성됨으로서, 분리된 단부가 패드를 착용자의 국부에 긴밀히 삽입하기 위한 파지용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8.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비물 접착밴드 상측에, 요도구를 가볍게 압박함으로서 요실금을 일시적으로 폐색시키는 가압돌기가 상부로 향하여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9. 액체투과성 상부시트와, 액체불투과성 하부시트, 및 이들 양 시트사이에 수용되는 일정부피를 갖는 흡수성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시트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에 근접하게 제공되는 한쌍의 주름밴드부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주름밴드부에 의해 상부시트면을 따라 삽입형의 분비물 접촉밴드가 일체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아용 기저귀에 적합한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KR1019980005840A 1998-02-24 1998-02-24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KR100245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840A KR100245116B1 (ko) 1998-02-24 1998-02-24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840A KR100245116B1 (ko) 1998-02-24 1998-02-24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799A true KR19990070799A (ko) 1999-09-15
KR100245116B1 KR100245116B1 (ko) 2000-02-15

Family

ID=19533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840A KR100245116B1 (ko) 1998-02-24 1998-02-24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1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681B1 (ko) * 2009-07-27 2012-01-05 이성기 생리대
KR200471370Y1 (ko) * 2012-06-05 2014-02-17 김윤아 생리대
KR101880530B1 (ko) * 2017-11-17 2018-07-23 정지윤 속옷 일체형 밀착식 바지
KR102288320B1 (ko) * 2020-08-24 2021-08-10 최지영 생리대 부착이 용이한 여성용 위생 팬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636Y1 (ko) 2009-08-04 2009-11-16 황정숙 누혈방지부재가 구비된 생리대
KR101760515B1 (ko) 2010-12-03 2017-07-24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흡수제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681B1 (ko) * 2009-07-27 2012-01-05 이성기 생리대
KR200471370Y1 (ko) * 2012-06-05 2014-02-17 김윤아 생리대
KR101880530B1 (ko) * 2017-11-17 2018-07-23 정지윤 속옷 일체형 밀착식 바지
KR102288320B1 (ko) * 2020-08-24 2021-08-10 최지영 생리대 부착이 용이한 여성용 위생 팬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5116B1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20699B2 (ja) 液体吸収性使い捨て物品
EP1234562B1 (en) Sanitary absorbent article
EP0167931B1 (en) Bowed, trough-like absorbent pad
US20020040211A1 (en)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liquid-handling ability
JPH03207359A (ja) 柔軟性、親水性の灯心手段を有する吸収性生成物
HU213087B (en) Decoupled sanitary napkin
JPH0798054B2 (ja) おむつ又は失禁防具の如き細長い吸収物品
GB2304586A (en) Two-part absorbent product joined at the acquisition zone
KR19990064255A (ko) 개선된 신체 맞춤성을 갖는 복합형 일회용 흡수제품
JPH10192338A (ja) 使い捨て着用吸収性物品
JP2007203097A (ja) 吸収製品
JPH11267145A (ja) 尿取りパッド
KR100245116B1 (ko) 인체 분비물 흡수용 패드
JP2002209940A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0140021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4031256B2 (ja) 収尿袋
KR100746803B1 (ko) 누출방지 기능을 갖는 생리대
JP4005476B2 (ja) 男性用失禁パッド
US20020193767A1 (en) Sanitary absorbent article with flaps
KR100855860B1 (ko) 생리대
JP3046156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060136193A (ko) 누출방지 기능을 갖는 생리대
JPH01119250A (ja) 吸収性物品
KR200246497Y1 (ko) 둔부 밀착되는 생리대
KR200282492Y1 (ko) 보조 흡수패드를 구비한 생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