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731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731B1
KR101720731B1 KR1020167036458A KR20167036458A KR101720731B1 KR 101720731 B1 KR101720731 B1 KR 101720731B1 KR 1020167036458 A KR1020167036458 A KR 1020167036458A KR 20167036458 A KR20167036458 A KR 20167036458A KR 101720731 B1 KR101720731 B1 KR 101720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direction
sheet
pad
longitudinal direction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021A (ko
Inventor
다로 닛토노
도시히사 하야시
기요코 니시무라
다카히로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04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61F2013/539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adhesive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두께 방향으로,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2), 액체 투과성의 세컨드 시트(3), 흡수체(4), 및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5)가 순서대로 적층되며, 폭 방향의 양측부에, 톱 시트(2), 세컨드 시트(3) 및 흡수체(4)를, 톱 시트(2)측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한 쌍의 압축부(7)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1)으로서, 세컨드 시트(3)는, 폭 방향의 양단부가 되접힘으로써, 폭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2층부(30)와, 폭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1층부(31)를 갖고, 길이 방향의 중앙부(1b)에 있어서, 세컨드 시트(3)가 갖는 2층부(30)의 적어도 일부가, 흡수체(4)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1)이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으로서, 예를 들면,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 사이에 경혈(經血) 등의 배설물을 흡수·홀딩하는 흡수체가 설치된 생리용 패드를 들 수 있다. 생리용 패드에서는, 고간에 장착되어 옆으로부터의 변형력을 받았을 때에 여러 가지 형상으로 변형되어 버리면, 피트성이 나쁘고, 위화감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그래서, 흡수체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 비(非)피부측으로부터 탄성 부재를 접착하여, 양측부의 강성을 중앙부의 강성보다도 높임으로써, 생리용 패드의 단면 형상을, 피부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형상으로 유도하기 쉽게 한 생리용 패드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허 제3737251호
그러나, 생리용 패드의 단면 형상이 피부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형상이 되어 생리용 패드의 폭 방향의 양측부가 하측으로 접혀 버리면, 폭 방향으로 흘러나온 경혈 등을 생리용 패드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서 막을 수 없다. 따라서, 생리용 패드로부터 경혈 등이 누설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경혈 등의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 액체 투과성의 세컨드 시트, 흡수체, 및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가 순서대로 적층되며, 상기 폭 방향의 양측부에, 상기 톱 시트, 상기 세컨드 시트 및 상기 흡수체를, 상기 톱 시트측으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한 쌍의 압축부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세컨드 시트는,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가 되접힘으로써,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2층부와, 상기 폭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1층부를 갖고,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세컨드 시트가 갖는 상기 2층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수체보다도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분명히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패드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측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패드에 있어서 착용자의 비피부측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의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위치 AA, 위치 BB에서의 패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의 도 4A는 자연 상태인 패드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고, 도 4B는 착용 시의 패드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패드의 두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세컨드 시트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 액체 투과성의 세컨드 시트, 흡수체, 및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가 순서대로 적층되며, 상기 폭 방향의 양측부에, 상기 톱 시트, 상기 세컨드 시트 및 상기 흡수체를, 상기 톱 시트측으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한 쌍의 압축부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세컨드 시트는,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가 되접힘으로써,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2층부와, 상기 폭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1층부를 갖고,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세컨드 시트가 갖는 상기 2층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수체보다도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양측부를, 안정적으로, 깨끗이 피부측으로 기립시킬 수 있으므로, 폭 방향으로 흘러나온 배설물을 폭 방향의 양측부에서 막을 수 있다. 한편, 폭 방향의 중앙부에서는, 세컨드 시트가 1층이므로, 액체 투과성의 저하를 방지하여 폭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배설물이 넘쳐 나와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으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압축부가 형성된 부위의 두께가, 상기 압축부보다도 상기 폭 방향의 외측 부위의 최대 두께의 절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폭 방향의 양측부가 피부측으로 기립하기 쉬워지므로, 보다 확실히, 폭 방향으로 흘러나온 배설물을 폭 방향의 양측부에서 막을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속옷의 피부측 면에 상기 흡수성 물품을 고정하는 접착제가 상기 백 시트의 비피부측 면에 설치되고, 상기 접착제가 설치된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단(端)보다도, 상기 세컨드 시트의 상기 폭 방향의 단이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폭 방향의 양측부의 움직임이 속옷에 규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 폭 방향의 양측부가 피부측으로 기립하기 쉬워지므로, 보다 확실히, 폭 방향으로 흘러나온 배설물을 폭 방향의 양측부에서 막을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서는, 상기 세컨드 시트의 되접힌 부위의 상기 폭 방향의 내측의 단이, 상기 압축부보다도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띄운 위치에서는, 상기 세컨드 시트의 되접힌 부위의 상기 폭 방향의 내측의 단이, 상기 압축부보다도 상기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세컨드 시트의 폭 방향의 단부가 되접힌 상태를 압축부에 의해 유지하면서,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서는, 세컨드 시트의 2층부를 피부측으로 융기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히, 폭 방향으로 흘러나온 배설물을 폭 방향의 양측부에서 막을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 쪽이,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띄운 위치에 비해, 한 쌍의 상기 압축부의 상기 폭 방향의 간격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압축부가 착용자의 대퇴부를 따르기 쉽고, 폭 방향의 양측부가 피부측으로 기립하기 쉬워지므로, 보다 확실히, 폭 방향으로 흘러나온 배설물을 폭 방향의 양측부에서 막을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 쪽이,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띄운 위치에 비해, 상기 흡수체의 폭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체가 착용자의 대퇴부를 따르기 쉽고, 폭 방향의 양측부가 피부측으로 기립하기 쉬워지므로, 보다 확실히, 폭 방향으로 흘러나온 배설물을 폭 방향의 양측부에서 막을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세컨드 시트는,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톱 시트측으로 되접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세컨드 시트의 2층부를 피부측으로 융기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히, 폭 방향으로 흘러나온 배설물을 폭 방향의 양측부에서 막을 수 있다.
=== 생리용 패드의 개략 구성 ===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생리용 패드(이하, 패드)를 예로 들어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패드(1)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측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패드(1)에 있어서 착용자의 비피부측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위치 AA, 위치 BB에서의 패드(1)의 개략 단면도이다. 패드(1)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다. 또, 패드(1)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부터,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2), 액체 투과성의 세컨드 시트(3), 흡수체(4), 및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5)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각 부재(2∼5)의 계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흡수체(4)는 경혈 등의 배설물을 흡수·홀딩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친수성 섬유나 고분자 흡수 폴리머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4)의 평면 형상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표주박 형상이다. 즉, 길이 방향의 양단부(1a)가 둥그스름하고, 길이 방향의 중앙부(1b)가 폭 방향으로 잘록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톱 시트(2)(예를 들면 부직포나 개공(開孔) 필름 등) 및 백 시트(5)(예를 들면 합성수지 필름이나 방수 처리가 실시된 부직포 등)는, 평면 형상이 같고, 흡수체(4)보다도 한 사이즈 크며, 또한, 길이 방향의 중앙부(1b)로부터 폭 방향의 양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는 한 쌍의 날개부(10)를 형성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날개부(10) 이외의 부위를 패드(1)의 본체부(11)라고도 칭한다. 또, 날개부(10)를 갖지 않는 패드(1)여도 된다. 그리고, 톱 시트(2)의 주연부(周緣部)와 백 시트(5)의 주연부는, 예를 들면 히트 엠보싱 가공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접합부(6)가 형성되어 있다.
세컨드 시트(3)는, 액체 투과성을 구비하면서, 톱 시트(2)나 백 시트(5)보다도 두께 방향으로 탄성을 구비하는 시트로 한다. 따라서, 세컨드 시트(3)로는, 액체 투과성 및 탄성이 부여되기 쉽고, 또한 비교적 염가이며, 제법(製法)이 용이한 합성수지 섬유(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부직포를 일례로서 들 수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천연 섬유(예를 들면 코튼)나 재생 섬유(예를 들면 레이온)의 부직포 등이어도 된다. 또, 부직포의 제조 방법으로는, 액체 투과성 및 탄성이 부여되기 쉬운 서멀 본드법, 특히, 그물 상에 퇴적시킨 섬유에 열풍을 관통시켜 시트상(狀)으로 하는 에어 스루식이 바람직하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케미컬 본드법이나 스펀레이스법 등 다른 제조 방법이어도 된다. 또, 액체 투과성 및 탄성이 발휘되도록, 세컨드 시트(3)의 단위 중량(目付)을 20∼40g/㎡으로 하고, 세컨드 시트(3)의 두께를 1∼4㎜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컨드 시트(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의 양단부가 비피부측(흡수체(4)측)으로 되접혀 있다. 상세하게는, 세컨드 시트(3)의 폭 방향의 한쪽측의 단부가 되접힌 부위와, 폭 방향의 다른쪽측의 단부가 되접힌 부위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세컨드 시트(3)의 폭 방향의 양단부는 되접혀 있다. 따라서, 세컨드 시트(3)는, 폭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2층부(30)와, 폭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1층부(31)를 갖게 된다.
또, 패드(1)에는, 예를 들면 히트 엠보싱 가공에 의해, 톱 시트(2), 세컨드 시트(3) 및 흡수체(4)를, 피부측(톱 시트(2)측)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일체화한 압축부(오목부)(7, 8)가 형성되어 있다. 압축부는, 패드(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1b)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압축부(7)(한 쌍의 압축부)와, 패드(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1a)에 각각 설치되며, 하트 형상인 제 2 압축부(8)를 갖는다. 상세하게는, 제 1 압축부(7)는, 폭 방향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원호 부분을 갖고, 그 원호 부분은, 흡수체(4)의 폭 방향의 단(4a)을 따라서 만곡하고 있다. 또, 제 1 압축부(7) 및 제 2 압축부(8)에서는, 각각, 저압축부(70, 80)와, 저압축부(70, 80)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압축되어 오목부의 깊이가 깊은 고압축부(71, 81)가 교대로 늘어서 있다. 또 압축부는, 오목부가 연속한 홈 형상이어도 되고, 복수의 오목부가 간격을 띄고 선상으로 늘어선 형상이어도 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시트(5)의 비피부측 면에는, 속옷에 패드(1)을 고정하고, 또한 속옷으로부터 패드(1)를 박리 가능한 접착제(20, 21)(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가 설치되어 있다. 접착제는, 패드(1)의 본체부(11)에 설치된 제 1 접착제(20)와, 날개부(10)에 설치된 제 2 접착제(21)를 갖는다. 제 1 접착제(20)는 속옷의 피부측 면에 접착되고, 제 2 접착제(21)는 되접힌 날개부(10)에 의해 속옷의 비피부측 면에 접착된다. 또, 도 2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접착제의 띠가, 제 1 접착제(20)에서는 폭 방향으로 10가닥 늘어서고, 제 2 접착제(21)에는 1가닥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지만, 접착제의 도포 패턴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 생리용 패드의 누설 억제 ===
도 4A는 자연 상태인 패드(1)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고, 도 4B는 착용 시의 패드(1)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4A 및 도 4B는, 패드(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1b)를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패드(1)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중앙부(1b)에 있어서, 세컨드 시트(3)의 폭 방향의 길이(3b, 3b 사이)가, 흡수체(4)의 폭 방향의 길이(4a, 4a 사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또, 세컨드 시트(3)와 흡수체(4)의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가지런히 맞춰져 있기 때문에,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컨드 시트(3)의 폭 방향의 단부가 되접힌 2층부(30)의 일부가, 흡수체(4)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가령, 패드(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1b)에 있어서, 세컨드 시트(3)와 흡수체(4)의 폭 방향의 길이가 같고, 세컨드 시트(3)가 흡수체(4)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지 않다고 한다. 이 경우, 패드(1)(본체부(11))의 폭 방향의 양측부의 강성이, 폭 방향의 중앙부의 강성과 동등하게 높아진다. 그 때문에, 착용자의 고간부에 패드(1)가 끼워 넣어져, 패드(1)를 폭 방향의 내측으로 압축하려고 하는 가랑이 조임력이 작용하면,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는, 압축된 후에, 피부측으로 접히거나 비피부측으로 접혀 버리거나 한다. 즉, 착용 시의 패드(1)의 변형이 불안정해진다. 만약,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가 비피부측으로 접혀 버리면, 패드(1)의 폭 방향의 중앙부와 질구와의 틈새로부터 흘러나온 배설물이나, 폭 방향의 중앙부에서 다 흡수하지 못한 배설물이 폭 방향으로 넘쳐 나온 경우에,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서 배설물을 막을 수 없어 패드(1)로부터 배설물이 누설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 가령, 세컨드 시트(3)의 폭 방향의 양단부가 되접혀 있지 않아, 흡수체(4)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세컨드 시트(3)가 1층이라고 한다. 세컨드 시트(3)는 액체 투과성을 발휘할 정도의 단위 중량 및 두께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경우,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의 강성이, 폭 방향의 중앙부의 강성에 비해 너무 낮아져 버린다. 그 때문에, 패드(1)에 가랑이 조임력이 작용하면,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가 구깃구깃하게 찌부러져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접혀 버린다. 따라서, 폭 방향으로 흐른 배설물을,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서 막을 수 없어 패드(1)로부터 배설물이 누설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패드(1)에서는, 전술과 같이, 길이 방향의 중앙부(1b)에 있어서, 세컨드 시트(3)의 폭 방향의 단부가 되접힌 2층부(30)의 일부가, 흡수체(4)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패드(1)(본체부(11))의 폭 방향의 양측부의 강성이, 흡수체(4)가 존재할 때에 비하면 낮아지지만, 흡수체(4)로부터 튀어나오는 세컨드 시트(3)가 1층일 때 정도로 지나치게 낮아지지는 않는다. 따라서, 착용 시의 패드(1)의 변형이 불안정해지거나, 착용 시에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가 구깃구깃하게 찌부러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를, 제 1 압축부(7)을 기점으로 피부측으로 기립시킬 수 있다.
이것은, 본 실시형태의 패드(1)에서는, 폭 방향의 양측부의 강성이, 흡수체(4)가 존재하는 경우에 비해 낮고, 또한, 폭 방향의 양측부에 존재하는 것이 흡수체(4)보다도 피부측에 위치하는 세컨드 시트(3)이기 때문에, 제 1 압축부(7)가 패드(1)에 설치됨으로써, 자연 상태에 있어서도(도 4A),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가, 제 1 압축부(7)를 기점으로 피부측으로 약간 접혀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패드(1)와 같이 날개부(10)를 갖는 경우, 날개부(10)가 속옷에 되접힘으로써, 속옷의 다리 구멍부에 패드(1)의 본체부(11)의 폭 방향의 양측부가 위치하게 된다. 그 경우에도, 가령,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 흡수체(4)가 존재하고 있으면, 착용자에게 밀착하려고 하는 속옷의 다리 구멍부의 힘이 흡수체(4)의 강성으로 상쇄되어 버리므로, 폭 방향의 양측부는 피부측으로 기립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패드(1)에서는, 폭 방향의 양측부에 흡수체(4)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속옷의 다리 구멍부에 의해, 폭 방향의 양측부가 피부측으로 기립하려고 하는 힘이 촉진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패드(1)에 의하면, 착용 시에, 길이 방향의 중앙부(1b)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양측부를, 안정적으로, 깨끗이 피부측으로 기립시킬 수 있어, 패드(1)의 단면 형상을 W자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용 시에, 패드(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1b), 즉, 질구 주변에 맞닿는 부위가 W자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패드(1)(본체부(11))의 폭 방향의 중앙부를 질구에 밀착시키면서, 폭 방향으로 흘러나온 배설물을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서 막을 수 있다. 따라서, 패드(1)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패드(1)의 단면 형상이 W자 형상이면, 대음순으로부터 서혜부에 걸친 질구 주변부에도 패드(1)가 피트하기 쉬워, 착용자와 패드(1) 사이의 틈새가 줄어 드는 것으로부터도, 패드(1)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패드(1)의 피트성이 향상함으로써, 착용자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또, 가령, 세컨드 시트(3)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되접지 않아도, 예를 들면, 세컨드 시트(3)의 단위 중량이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가랑이 조임력이 작용했을 때에,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가 구깃구깃하게 찌부러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패드(1)의 폭 방향의 중앙부, 즉, 질구에 맞닿는 부위에 있어서도, 세컨드 시트(3)의 단위 중량이나 두께가 증가하여, 톱 시트(2)로부터 흡수체(4)로의 액체 투과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마찬가지로, 세컨드 시트(3)가 액체 투과성을 발휘할 정도의 단위 중량이나 두께여도, 세컨드 시트(3)가 되접힌 부위끼리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버리면, 즉, 세컨드 시트(3)가 1층부(31)를 갖지 않으면, 패드(1)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서의 액체 투과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세컨드 시트(3)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되접으면서, 세컨드 시트(3)의 폭 방향의 중앙부를 1층부(31)로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를 피부측으로 기립시키면서, 폭 방향의 중앙부의 액체 투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패드(1)의 폭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배설물이 넘쳐 나와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 패드(1)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흡수체(4)가 액체 투과성의 피복재(예를 들면 티슈 시트 등)로 싸여 있어도 되고, 패드(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1b)에 있어서, 피복재의 폭 방향의 길이가 세컨드 시트(3)의 폭 방향의 길이와 동일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피복재는, 흡수체(4)보다도 강성이 낮기 때문에,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가 피부측으로 기립하는 것을 저해하는 일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의 패드(1)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중앙부(1b)에 있어서, 흡수체(4)의 폭 방향의 단(4a)이 폭 방향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고 있다. 즉,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B)를 향해 흡수체(4)의 폭이 서서히 좁아지고 있어,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B)가, 그 중앙 위치(B)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띄운 위치(예를 들면 위치 A)에 비해, 흡수체(4)의 폭이 좁아지고 있다. 따라서, 흡수체(4)가 착용자의 대퇴부를 따르기 쉽고,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가 피부측으로 기립하기 쉬워진다. 또, 세컨드 시트(3)의 폭은 길이 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기 때문에, 길이 방향의 중앙부(1b)에 있어서, 흡수체(4)로부터 폭 방향으로 튀어나오는 세컨드 시트(3)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질구 주변에 맞닿는 패드(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1b)에 있어서, 보다 확실히,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를 피부측으로 기립시킬 수 있어, 폭 방향으로 흘러나온 배설물을 막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패드(1)에서는, 길이 방향의 중앙부(1b)에 있어서, 흡수체(4)가 폭 방향으로 잘록하게 되어 있고, 흡수체(4)로부터 폭 방향으로 세컨드 시트(3)의 2층부(30)가 튀어나와 있다. 그 때문에, 착용자의 대퇴부는, 흡수체(4)보다도 강성(뻣뻣한 느낌)이 낮은 세컨드 시트(3)에, 톱 시트(2)를 개재하여 면으로 접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컨드 시트(3)를 비교적 탄성이 높은 시트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의 쿠션성이 높고, 착용자로부터의 가랑이 조임력이 세컨드 시트(3)에 의해 완화되어 착용자에의 반발력도 약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패드(1)에 의하면, 어른에 비해 패드의 착용에 서투른 초·중학생이 착용하는 경우에도 착용 시의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어른에 비해 고간 폭이 작은 초·중학생이 착용하는 경우에도, 흡수체(4)로부터 폭 방향으로 튀어나온 세컨드 시트(3)에 의해 패드(1)의 폭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착용 시의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세컨드 시트(3)의 한쪽 면 쪽이, 다른쪽 면에 비해 강성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세컨드 시트(3)가, 에어 스루식의 부직포인 경우, 제조 시에 그물과 접촉하고 있던 그물면 쪽이, 반대측의 면에 비해 섬유 밀도가 높아져, 강성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세컨드 시트(3)의 양면에서 강성이 다른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컨드 시트(3)의 강성이 높은 면이 내측이 되도록 폭 방향의 양단부를 비피부측으로 되접음으로써, 강성이 높은 면은 착용자측에 노출되지 않고, 강성이 낮은 면만을 착용자측을 향하게 할 수 있다. 즉, 세컨드 시트(3)의 쿠션성이 높은 면만을 착용자측을 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장착 시의 위화감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 세컨드 시트(3)는, 일반적으로, 흡수체(4)로부터의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거나, 흡수체(4)가 흡수한 액체의 은폐성을 높이거나 하는 역할을 다하기 위해 설치된다. 그와 같은 세컨드 시트(3)에,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를 피부측으로 기립시키거나, 쿠션성을 높이거나 하는 역할도 담당하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세컨드 시트(3)와는 다른 새로운 시트 부재를 흡수체(4)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에 설치하여 기립성이나 쿠션성의 역할을 담당하게 하는 경우에 비해, 패드(1)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패드(1)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중앙부(1b)에 있어서, 제 1 압축부(7)가, 흡수체(4)의 폭 방향의 단(4a)을 따라서 폭 방향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고 있어,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B)가, 그 중앙 위치(B)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띄운 위치(예를 들면 위치 A)에 비해, 한 쌍의 제 1 압축부(7)의 폭 방향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따라서, 기립 기점인 제 1 압축부(7)가 착용자의 대퇴부를 따르기 쉽고,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가 피부측으로 기립하기 쉬워진다. 또, 패드(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1b)에 있어서, 제 1 압축부(7)로부터 폭 방향으로 튀어나오는 세컨드 시트(3)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질구 주변에 맞닿는 패드(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1b)에 있어서, 보다 확실히,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를 피부측으로 기립시킬 수 있고, 또, 기립 높이를 높일 수 있으므로, 폭 방향으로 흘러나온 배설물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압축부(7)는 폭 방향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는 데 대해, 세컨드 시트(3)의 되접힌 부위의 폭 방향의 내측의 단(3a)(이하, 되접힌 단(3a))은 길이 방향을 따르고 있다. 그 때문에,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B)를 포함하는 길이 방향의 소정의 구간(도 1의 CC 사이)에서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컨드 시트(3)의 되접힌 단(3a)이, 제 1 압축부(7)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한다. 한편,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B)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띄운 위치(예를 들면 위치 A)에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컨드 시트(3)의 되접힌 단(3a)이 제 1 압축부(7)보다도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B)를 포함하는 길이 방향의 소정의 구간(도 1의 CC 사이)에서는, 세컨드 시트(3)의 2층부(30)가, 제 1 압축부(7)에 의해 흡수체(4)에 단단히 눌러질 수 없기 때문에, 흡수체(4)로부터 피부측으로 융기하기 쉽다. 즉, 질구 주변에 맞닿는 부위에 있어서,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를 피부측으로 융기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히, 폭 방향으로 흘러나온 배설물을 막을 수 있다. 또, 대음순으로부터 서혜부에 걸친 질구 주변부에 대한 피트성이 높아지는 것으로부터도, 패드(1)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B)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띄운 위치에서는, 세컨드 시트(3)의 2층부(30)가, 제 1 압축부(7)에 의해 흡수체(4)와 일체화하므로, 세컨드 시트(3)가 비교적 탄성이 높은 시트여도 폭 방향의 양단부가 되접힌 상태가 유지된다. 또, 예를 들면, 흡수체(4)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195㎜인 경우, 세컨드 시트(3)의 되접힌 단(3a)이 제 1 압축부(7)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구간(도 1의 CC 사이)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30㎜∼50㎜로 하면 된다.
도 5는 패드(1)의 두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패드(1)에서는, 자연 상태에 있어서, 제 1 압축부(7)가 형성된 부위의 두께(두께 방향의 길이) (t1)가, 제 1 압축부(7)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 부위의 최대 두께(t2)의 절반 이하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압축부(7)가 저압축부(70)와 고압축부(71)를 갖지만, 저압축부(70)와 고압축부(71)의 각 두께를 모두, 제 1 압축부(7)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 부위의 최대 두께(t2)의 절반 이하로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압축부(7)보다도 피부측의 공간이 커지므로, 가랑이 조임력이 작용했을 때에,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가 피부측으로 기립하기 쉬워진다. 바꿔 말하면, 기립 기점이 되는 제 1 압축부(7)가 보다 비피부측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가 피부측으로 기립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보다 확실히, 폭 방향으로 흘러나온 배설물을 막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패드(1)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부(10)이외의 본체부(11)에 도포된 제 1 접착제(20), 즉, 속옷의 피부측 면에 패드(1)를 고정하는 제 1 접착제(20)(접착제)가 설치된 영역의 폭 방향의 단(20a)보다도, 세컨드 시트(3)의 폭 방향의 단(3b) 쪽이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를 기립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세컨드 시트(3)가 존재하는 영역의 일부는 속옷에 고정되지 않아, 움직임이 속옷에 규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는 피부측으로 기립하기 쉬워져, 보다 확실히, 폭 방향으로 흘러나온 배설물을 막을 수 있다.
=== 변형예 ===
도 6은, 세컨드 시트(3)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실시형태(도 3)에서는, 세컨드 시트(3)의 폭 방향의 양단부가 비피부측으로 되접혀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6과 같이, 세컨드 시트(3)의 폭 방향의 양단부가 피부측(톱 시트(2)측)으로 되접혀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세컨드 시트(3)의 되접힌 부위가 흡수체(4)에 단단히 눌러지지 않아 피부측으로 융기하기 쉽다. 따라서,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를 피부측으로 융기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히, 폭 방향으로 흘러나온 배설물을 막을 수 있다. 또, 대음순으로부터 서혜부에 걸친 질구 주변부에 대한 피트성이 높아지는 것으로부터도, 패드(1)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압축부(7)가, 폭 방향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압축부(7)가 길이 방향을 따르고, 제 1 압축부(7)와 세컨드 시트(3)의 되접힌 단(3a)과의 위치 관계가 길이 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해도 된다.
이 경우에, 세컨드 시트(3)의 되접힌 단(3a)이 제 1 압축부(7)보다도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면, 패드(1)의 폭 방향의 중앙부의 두께가 증가하여 쿠션성이 높아지므로, 질구 주변의 피트성이 향상하여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세컨드 시트(3)의 되접히는 폭이 크기 때문에 패드(1)의 제조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세컨드 시트(3)의 되접힌 단(3a)이 제 1 압축부(7)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면, 제 1 압축부(7)에 있어서의 세컨드 시트(3)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패드(1)의 폭 방향의 양측부가 피부측으로 기립하기 쉬워져, 보다 확실히, 폭 방향으로 흘러나온 배설물을 막을 수 있다. 또, 세컨드 시트(3)의 자재폭을 좁게 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4)의 평면 형상을 표주박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모래시계 형상이어도 되고, 또,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잘록하지 않은 타원형상이나 사각형이어도 된다. 그 밖에, 제 1 압축부(7)가 형성된 부위의 두께가, 제 1 압축부(7)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 부위의 최대 두께의 절반보다도 두꺼워도 된다. 또, 백 시트(5)에 도포된 제 1 접착제(20)의 폭 방향의 단(20a)이, 세컨드 시트(3)의 폭 방향의 단(3b)과 일치하고 있거나, 세컨드 시트(3)의 폭 방향의 단(3b)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거나 하고 있어도 된다. 또, 세컨드 시트(3)의 2층부(30) 전체가 흡수체(4)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생리용 패드를 예로 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 팬티 라이너, 실금 패드 등의 다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이나 개량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1: (생리용) 패드(흡수성 물품) 1a: 길이 방향의 단부
1b: 길이 방향의 중앙부 10: 날개부
11: 본체부 2: 톱 시트
3: 세컨드 시트 30: 2층부
31: 1층부 4: 흡수체
5: 백 시트 6: 접합부
7: 제 1 압축부(압축부) 70: 저압축부
71: 고압축부 8: 제 2 압축부
80: 저압축부 81: 고압축부
20: 제 1 접착제(접착제) 21: 제 2 접착제

Claims (7)

  1.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 액체 투과성의 세컨드 시트, 흡수체, 및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가 순서대로 적층되며,
    상기 폭 방향의 양측부에, 상기 톱 시트, 상기 세컨드 시트 및 상기 흡수체를, 상기 톱 시트측으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한 쌍의 압축부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세컨드 시트는,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가 되접힘으로써,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2층부와, 상기 폭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1층부를 갖고,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세컨드 시트가 갖는 상기 2층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수체보다도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가 형성된 부위의 두께가, 상기 압축부보다도 상기 폭 방향의 외측 부위의 최대 두께의 절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속옷의 피부측 면에 상기 흡수성 물품을 고정하는 접착제가 상기 백 시트의 비피부측 면에 설치되고,
    상기 접착제가 설치된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단보다도, 상기 세컨드 시트의 상기 폭 방향의 단이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서는, 상기 세컨드 시트의 되접힌 부위의 상기 폭 방향의 내측의 단이, 상기 압축부보다도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띄운 위치에서는, 상기 세컨드 시트가 되접힌 부위의 상기 폭 방향의 내측의 단이, 상기 압축부보다도 상기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 쪽이,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띄운 위치에 비해, 한 쌍의 상기 압축부의 상기 폭 방향의 간격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 쪽이,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띄운 위치에 비해, 상기 흡수체의 폭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드 시트는,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톱 시트측으로 되접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167036458A 2014-06-27 2015-02-27 흡수성 물품 KR101720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32984 2014-06-27
JP2014132984A JP5860927B2 (ja) 2014-06-27 2014-06-27 吸収性物品
PCT/JP2015/055815 WO2015198638A1 (ja) 2014-06-27 2015-02-27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21A KR20170004021A (ko) 2017-01-10
KR101720731B1 true KR101720731B1 (ko) 2017-03-28

Family

ID=5493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458A KR101720731B1 (ko) 2014-06-27 2015-02-27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60927B2 (ko)
KR (1) KR101720731B1 (ko)
CN (1) CN106535843B (ko)
TW (1) TW201609061A (ko)
WO (1) WO2015198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9161B2 (ja) * 2016-11-25 2018-08-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9167191A1 (ja) * 2018-02-28 2019-09-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排泄物処理シート
JP7003028B2 (ja) * 2018-10-30 2022-0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1374826B (zh) * 2018-12-29 2023-04-07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CN111374835B (zh) * 2018-12-29 2022-10-21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用的吸收体以及吸收性物品
CN111374832B (zh) * 2018-12-29 2022-12-30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842A1 (en) 2010-03-23 2011-09-29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US20140324008A1 (en) 2007-06-18 2014-10-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ealed absorbent cor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8163A1 (fr) * 1991-06-25 1992-12-31 Kaysersberg Sa Serviette periodique avec bourrelets lateraux.
JP3737251B2 (ja) 1997-08-29 2006-01-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874573B2 (ja) * 1999-06-07 2007-01-3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813392B2 (ja) * 1999-09-30 2006-08-23 大王製紙株式会社 中高部及びエンボスを有する生理用ナプキン
US6613955B1 (en) * 1999-10-01 2003-09-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wicking barrier cuffs
US6730068B2 (en) * 2001-07-12 2004-05-04 Uni-Charm Corporation Sanitary napkin
JP4969101B2 (ja) * 2005-12-27 2012-07-0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258380B2 (ja) * 2008-05-15 2013-08-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802917B2 (en) * 2008-05-28 2014-08-12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and sanitary napkin
JP5745487B2 (ja) * 2012-09-28 2015-07-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98150B2 (ja) * 2013-09-02 2016-04-0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24008A1 (en) 2007-06-18 2014-10-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ealed absorbent cor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WO2011118842A1 (en) 2010-03-23 2011-09-29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09061A (zh) 2016-03-16
WO2015198638A1 (ja) 2015-12-30
JP5860927B2 (ja) 2016-02-16
KR20170004021A (ko) 2017-01-10
JP2016010471A (ja) 2016-01-21
CN106535843B (zh) 2018-01-02
CN106535843A (zh)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4539B2 (ja) 吸収性物品
JP4653537B2 (ja) 吸収性物品
KR101720731B1 (ko) 흡수성 물품
KR101714629B1 (ko) 흡수성 물품
RU2637891C1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имеющее выпуклость
KR20150132184A (ko) 흡수성 물품
JP2000271170A (ja) 表面構造体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20020077282A (ko) 동적 착용감이 좋은 복합 생리대
US6508796B2 (en) Absorbent article
JP2010042162A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2411325B1 (ko) 흡수성 물품
US9931253B2 (en) Contoured absorbent pad
JP5536425B2 (ja) 吸収性物品
JP4338619B2 (ja) 吸収性物品
CN114667124B (zh) 吸收性物品
JP5076022B1 (ja) 使い捨ておむつ
JP6080909B2 (ja) 吸収性物品
JP6044415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385395B2 (ja) 吸収性物品
JP3744925B2 (ja) 使い捨ての尿とりパッド
JP6253836B1 (ja) 尿取りパッド
JP6492025B2 (ja) 吸収性物品
JP6520809B2 (ja) 吸収性物品
WO2014196666A4 (ja) 吸収性物品
JP2017012454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