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421B1 -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0421B1 KR101040421B1 KR1020080114285A KR20080114285A KR101040421B1 KR 101040421 B1 KR101040421 B1 KR 101040421B1 KR 1020080114285 A KR1020080114285 A KR 1020080114285A KR 20080114285 A KR20080114285 A KR 20080114285A KR 101040421 B1 KR101040421 B1 KR 1010404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dal
- rotatable
- pair
- brake
- li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하판; 일측에 외부를 향하는 수평암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외주면에 구비된 기어에 의해 서로 맞물리며, 하단이 상기 하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주축; 일단이 상기 수평암의 타단과 수직축상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며, 타단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링크; 상기 관통홀들에 삽입되도록 제공되는 보조축; 일단이 상기 보조축의 하단과 수평축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링크; 중앙부가 수평축상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의 타단과 수평축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페달부재; 및 상기 보조축의 상단과 결합하여 상기 페달부재의 일단이 상기 주축 방향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크 조인트마다 각각 4개의 토션 스프링이 비선형 답력을 생성하게 되고, 토션 스프링의 일부가 기능을 상실하여도 다른 토션 스프링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되고, 한 쌍의 포텐셔미터에 의해 브레이크 시그널을 전자제어장치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주축, 링크, 페달부재,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
Description
본 발명은 페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페달로 사용되는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자식(X-by-wire) 제어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종래의 자동변속기와 달리 전기모터로 변속해 변속시 차량의 흔들림이나 덜컹거림을 막아주는 전자식 변속 레버(Shift-by-wire)와, 앞차와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스스로 주행하는 전자식 자동순항시스템(ACC-by-wire; Adaptive Cruise Control-by-wire) 등에 관련된 기술은 이미 개발되어 외국의 자동차 업체들이 이를 적용한 차량을 양산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하지만,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일컫는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Brake-by-wire) 기술은 안전성이라는 커다란 문제점이 해결되기 전까지는 양산이 곤란하다. 이러한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 기술은 하이브리드, 연료전지 자동차 등의 개발에도 요구되는 기술이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 시스템은 운전자와 제동륜 사이의 기계적 연결 없이, 각 차륜에 위치한 전동 캘리퍼(caliper)가 전동식 브레이크 전자제어장치(ECU)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각 차륜에 위치한 디스크를 잡아 줌으로 써 차량의 제동을 이룬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제동장치의 하나인 페달 시뮬레이터(10)는 차량과 운전자의 인터페이스부로서,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4) 조작의 제동입력을 ECU(8)에 전달하면, 각 차륜에 위치한 전동 캘리퍼(6)에서는 ECU(8)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크를 잡아 제동을 하게 된다. 또한,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운전자와 제동륜 사이의 기계적 연결이 없기 때문에, 제동페달의 임피던스가 매우 작다, 따라서, 페달 시뮬레이터(10)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적절한 페달 반력을 전달하여 운전자의 제동동작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종래 제동페달에 반력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들은 스프링이나 영구자석 또는 유압식 구동기를 이용한다. 수동요소(passive element)인 단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페달 반력을 얻을 경우에는, 시스템의 페달 변위에 대해 단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정해진 반력만을 얻을 수 있고, 제동 상황에 적절한 반력을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선회상황이나 지속적인 제동상황에서 운전자 발의 피로를 줄이는데 기여하는 페달 반력의 히스테리시스를 얻을 수 없다. 또한, 단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 스프링이 파손되면 안전성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유압식 구동기를 이용한 경우에는,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제어 가능한 반력의 범위가 작으며 반응시간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시스템의 구성이 단순한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은 하판; 일측에 외부를 향하는 수평암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외주면에 구비된 기어에 의해 서로 맞물리며, 하단이 상기 하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주축; 일단이 상기 수평암의 타단과 수직축상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며, 타단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링크; 상기 관통홀들에 삽입되도록 제공되는 보조축; 일단이 상기 보조축의 하단과 수평축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링크; 중앙부가 수평축상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의 타단과 수평축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페달부재; 및 상기 보조축의 상단과 결합하여 상기 페달부재의 일단이 상기 주축 방향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축들에는 제1 토션스프링이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수평암들의 타단에는 제2 토션스프링이 각각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축들의 상단에는 전자제어장치(ECU)로 상기 주축들의 회전각에 대한 신호를 보내는 포텐셔미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포텐셔미터는 각각 저항식 및 광학식일 수 있다. 나아가, 가장자리에 한쌍의 원형홀이 형성되고, 중앙에 슬릿 형상의 슬라이딩 홀이 형성된 중판; 및 가장자리에 사각 형상의 사각홀이 형성된 상판을 더 구비하되, 상기 주축들의 상단은 상기 원형홀에 삽입되고, 상기 보조축의 상단은 상기 슬라이딩 홀에 삽입되며, 상기 수평암, 상기 제1 링크들, 상기 제2 링크 및 상기 페달부재의 일단은 상기 중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포텐셔미터 및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중판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페달부재는 중앙부가 상기 중판의 하부와 힌지 결합하고, 일부가 상기 사각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중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브라켓; 상기 브라켓 사이에서 상기 중판과 이격되어 고정되는 로드; 상기 로드에 삽입되는 압축 스프링; 및 상기 압축스프링의 일단과 접촉하고, 상기 보조축의 상단과 결합하여 상기 로드 상에서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하부에는 충격 완화를 위한 댐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은 중앙에 슬릿 형상의 슬라이딩 홀이 형성된 하판; 일측에 외부를 향하는 수평암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외주면에 구비된 기어에 의해 서로 맞물리며, 하단이 상기 하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주축; 일단이 상기 수평암의 타단과 수직축상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며, 타단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링크; 상기 관통홀들과 상기 슬라이딩 홀에 상단이 삽입되도록 제공되는 보조축; 상기 하판의 하부에서 일단이 상기 보조축의 하단과 수평축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링크; 및 중앙부가 수평축상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의 타단과 수평축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페달부재를 포 함하되, 상기 주축들에는 제1 토션스프링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주축들의 기어는 상기 하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모터의 축에 구비된 기어와 맞물린다. 여기서, 가장자리에 사각 형상의 사각홀이 형성된 상판을 더 구비하되, 상기 페달부재는 중앙부가 상기 상판의 하부와 힌지 결합하고, 일부가 상기 사각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링크 조인트마다 각각 4개의 토션 스프링이 비선형 답력을 생성하게 되고, 토션 스프링의 일부가 기능을 상실하여도 다른 토션 스프링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둘째, 포텐셔미터가 한 쌍이 구비되어, 브레이크 시그널을 전자제어장치로 전달할 수 있고, 하나의 센서가 고장이 나더라도 다른 하나의 센서에 의해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일수 있다.
셋째, 슬라이딩 부재의 하부에 댐퍼가 구비되어 페달 리턴시 발생하는 소음과 충격을 줄여줄 수 있다.
넷째, 구조가 단순하여 다양한 차종에 장착할 수 있고, 경제적이다.
다섯째, 포텐셔미터 대신 모터를 장착하는 경우, 위급 상황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덜 작동시켰을 때 모터가 작동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더 밟아줄 수도 있으며, 신호 대기시나 정체시 브레이크 작동력을 줄여주어 운전자에게 주는 피로감을 줄일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의 분해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의 결합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중판의 저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PS)은 하판(110), 주축(200), 한 쌍의 제1 링크(300), 보조축(400), 제2 링크(500), 페달부재(600) 및 탄성부재(700)를 포함한다.
하판(110)은 다른 구성이 지지되는 베이스가 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제2 링 크(500)가 움직이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사각 형상의 홀(H)이 구비될 수 있다. 주축(200)은 한 쌍이 구비된다. 주축(200)에는 그 일측에 외부를 향하는 수평암(210)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외주면에 구비된 기어(220)에 의해 서로 맞물리게 된다. 또한, 주축(200)의 하단은 하판(110)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주축들(200)의 상단에는 포텐셔미터(900)가 구비되어 주축(200)의 회전각을 센싱하여 페달 위치에 대한 브레이크 시그널을 전자제어장치로 전달하게 되며, 시그널에 따라 전자제어장치는 각 차륜에 위치한 제동부재(미도시) 등에 제동 신호를 보내고, 제동부재(미도시)는 디스크를 잡아 제동하게 된다. 포텐셔미터(900)는 주축들(200) 각각에 저항식(910) 및 광학식(920) 한 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한 조가 마련되므로 하나의 센서가 고장이 나더라도 다른 하나의 센서에 의해 작동이 가능하고, 안전성을 높일수 있다. 포텐셔미터(900)는 영하 40℃ 내지 영상 85℃에서 작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링크(300)는 한 쌍이 구비되며, 그 일단이 수평암(210)의 타단과 수직축상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며, 그 타단에는 관통홀(310)이 형성된다. 이 관통홀들(310)에는 로드 형상의 보조축(400)이 삽입된다. 제2 링크(500)는 그 일단이 보조축(400)의 하단과 수평축상 회동 가능하도록 핀(P1)에 의해 결합된다. 보조축(400)의 상부에는 별도의 무급유 부시(B1)가 구비될 수도 있다.
페달부재(600)는 ㄱ자 형상으로, 그 중앙부가 수평축상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그 일단이 제2 링크(500)의 타단과 수평축상 회동 가능하도록 핀(P2)에 의해 결합된다.
탄성부재(700)는 보조축(400)의 상단과 결합하여 페달부재(600)의 일단이 주축(200) 방향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탄성부재(700)는, 브라켓(710), 로드(720), 압축 스프링(730) 및 슬라이딩 부재(740)를 포함한다. 브라켓(710)은 한 쌍이 구비되고, 상판(130)의 하부에 고정된다. 로드(720)는 브라켓(710) 사이에서 중판(120)과 이격되어 고정되고, 압축 스프링(730)이 로드(720)에 삽입된다. 로드의 일단에는 별도의 무급유 부시(B2)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것처럼, 로드(720), 압축 스프링(730)이 안정성을 위해 한 쌍이 구비된다. 압축 스프링(730)은 기준(Reference) 답력을 제공하며, 차종마다 다른 답력을 만들기 위하여 교체가 가능하다. 슬라이딩 부재(740)는 압축스프링(730)의 일단과 접촉하고, 보조축(400)의 상단과 결합하여 로드(720) 상에서 왕복 운동하게 된다. 슬라이딩 부재(740)의 하부에는 충격 완화를 위한 댐퍼(750)가 구비된다. 댐퍼(750)는 우레탄 소재로 쿠션 역할을 하고, 페달부재(600)가 리턴할 때, 발생하는 소음과 충격을 줄여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축들(200)에는 제1 토션스프링(810)이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수평암들(210)의 타단에는 제2 토션스프링(820)이 각각 더 구비되어 회전시 충격을 흡수하고,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2 토션스프링(820)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암(210)의 내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810,820)은 페달 시스템(PS)이 가지고 있는 비선형 답력을 생성하게 된다.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810,820)은 차종에 따라 다양한 답력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PS)은 중판(120) 및 상판(130)을 더 구비한다. 중판(120)은 가장자리에 한쌍의 원형홀(121)이 형성되고, 중앙에 슬릿 형상의 슬라이딩 홀(122)이 형성된다. 상판(130)은 가장자리에 사각 형상의 사각홀(131)이 형성된다. 이때, 주축들(200)의 상단은 원형홀(121)에 삽입되고, 보조축(400)의 상단은 슬라이딩 홀(122)에 삽입된다. 하판(110)과 상판(130)은 네 개의 컬럼(C)에 의해 지지 결합된다.
그리고, 수평암(210), 제1 링크들(300), 제2 링크(500) 및 페달부재(600)의 일단은 중판(120)의 하부에 위치하고, 포텐셔미터(900) 및 탄성부재(700)는 중판(12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페달부재(600)는 그 중앙부가 상판(130)의 하부에 마련된 브라켓(B)과 핀(P3)에 의해 힌지 결합하고, 일부가 사각홀(131)을 관통하여 상판(130)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동 원리를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아직 페달에 답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페달에 답력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운전자가 페달부재(600)에 지면 방향을 향해 힘을 가하면, 페달부재(600)와 힌지 결합된 제2 링크(500)가 후방을 향해 당겨진다. 제2 링크(500)가 후방을 향해 밀려나면, 제2 링크(500)와 보조축(400)(도5참조)에 의해 힌지 결합된 제1 링크(300)와 슬라이딩 부재(740) 역시 동시에 뒤로 밀려난다. 슬라이딩 부재(740)가 뒤로 밀려나면 압축 스프링(730)이 압축된다. 또한, 제1 링크(300)가 뒤로 밀려나면, 제1 링크(300)와 힌지 결합한 수평암(210) 역시 안쪽을 향해 회전하게 되고, 주축들(200)은 기어(220)에 의해 동시에 맞물려 같은 회전각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810,820)은 페달 시스템(PS)이 가지고 있는 비선형 답력을 생성하게 된다.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810,820)은 병렬형으로 4개의 조인트에 장착되기 때문에, 많게는 3개의 스프링이 끊어지고 하나의 스프링만 존재하여도 답력은 줄어들지만, 브레이크 페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두 가지 종류의 포텐셔미터(900)가 개별적으로 주축(200)의 회전 각도 값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각도 값을 가지고 페달 위치를 계산하여 전자제어장치(미도시)로 제동을 위한 시그널을 보내기 때문에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번에는 반대로 운전자가 페달부재(600)에서 발을 떼면, 압축되었더 압축 스프링(7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740)가 전방을 향해 움직이게 되고,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810,8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주축(200)과 연결된 제1 링크(300) 역시 전방을 향해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740) 및 제1 링크(300)와 함께 연결된 보조축(400)은 전방을 향해 움직이고, 제2 링크(500) 역시 전방을 향해 당겨지게 된다. 제2 링크(500)와 연결된 페달부재(600)는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단부가 상부를 향해 올라가게 된다. 이때, 댐퍼(750)(도3참조)는 쿠션 역할을 하므로, 페달부재(600)가 리턴할 때, 발생하는 소음과 충격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포텐셔미터(900)는 주축(200)의 감소된 회전 각도 값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각도 값을 가지고 페달 위치를 계산하여 전자제어장치(미도시)로 제동을 약하게 하는 시그널을 송신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은 하판(110), 상판(130), 한 쌍의 주축(200), 한 쌍의 제1 링크(300), 보조축(400), 제2 링크(500)(도3참조) 및 페달부재(600)를 포함한다. 이하 제1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2실시예의 제1 링크(300), 보조축(400), 제2 링크(500) 및 페달부재(60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와 달리, 제2실시예에서는 중판이 생략되고, 하판(110)의 중앙에 슬릿 형상의 슬라이딩 홀(111)이 형성된다. 또한, 제1실시예와 달리 탄성부재(700)와 포텐셔미터(900)가 생략된다. 상판(130)에는 가장자리에 사각 형상의 사각홀(131)이 형성되고, 페달부재(600)는 중앙부가 상판(131)의 하부와 힌지 결합하고, 일부가 사각홀(131)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130)의 상부에 위치한다. 보조축(400), 제2 링크(500) 및 페달부재(600)의 하단은 하판(110)의 하부에 위치한다.
또한, 주축(200)은 수평암(210)과 기어(220),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810,820)을 구비하여 비선형 답력을 생성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주축들(200)의 기어(220)가 하판(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모터(830)의 축에 구비된 기어(831)와 맞물리는 차이점이 있다. 여기서는 제1실시예의 포텐셔미터가 없어도, 모터(830) 내부의 인코더(미도시)가 전자제어장치로 회전 각도에 대한 시그널을 대신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의 활용을 위해 제1 토션스프링(810)은 주축(20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의 경우, 기본적으로 4개의 토션 스프링(810,820)이 비선형 답력을 형성하여 주고 있는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압축 스프링과 포텐셔미터가 생략되고, 모터(830)를 장착하여 액티브(active)한 감각을 주는 브레이크 페달 시스템이다. 모터(830)만 사용하면 모터에 너무 큰 토크가 필요하여 모터 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1차적으로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810,820)으로 답력을 만들어 내고, 부가적으로 모터(830)가 능동적인 작동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즉, 모터(830)는 운전자가 브레이킹을 하였는데, 더 강하게 브레이크를 밟아야 된다고 판단되면 페달부재(600)가 자동적으로 더 내려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신호 대기시나 정체시에 오랜시간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으면 다리에 피로가 많이 발생하므로, 이런 상황에서 페달의 반력을 모터(830)가 지지하여 운전자의 피로를 줄여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의 분해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의 결합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중판의 저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0...하판 200...주축
300...제1 링크 400...보조축
500...제2 링크 600...페달부재
700...탄성부재 810,820...토션 스프링
900...포텐셔미터
Claims (9)
- 하판(110);일측에 외부를 향하는 수평암(210)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외주면에 구비된 기어(220)에 의해 서로 맞물리며, 하단이 상기 하판(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주축(200);일단이 상기 수평암(210)의 타단과 수직축 상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며, 타단에는 관통홀(310)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링크(300);상기 관통홀(310)들에 삽입되도록 제공되는 보조축(400);일단이 상기 보조축(400)의 하단과 수평축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링크(500);중앙부가 수평축상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제2 링크(500)의 타단과 수평축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페달부재(600); 및상기 제2링크(500)의 타단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페달부재(600)의 일단이 상기 주축(200)방향을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일측이 상기 보조축(400)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페달부재(600)의 수평축 중심부분에 결합되는 탄성부재(700)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한 쌍의 상기 주축(200)과 한 쌍의 상기 수평암(210)의 일단이 결합되는 부분에 개재되어 상기 수평암(210)이 각각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토션스프링(810)이 각각 더 구비되고,한 쌍의 상기 수평암(210)의 타단과 한 쌍의 상기 제1링크(300)의 일단이 결합되는 부분에 개재되어 상기 수평암(210)과 상기 제1링크(300)가 모아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토션스프링(820)이 각각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주축(200)들의 상단에는 전자제어장치(ECU)로 상기 주축들의 회전각에 대한 신호를 보내는 포텐셔미터(9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포텐셔미터(900)는 각각 저항식(910) 및 광학식(9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
-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가장자리에 한쌍의 원형홀(121)이 형성되고, 중앙에 슬릿 형상의 슬라이딩 홀(122)이 형성된 중판(120); 및 가장자리에 사각 형상의 사각홀(131)이 형성된 상판(130)을 더 구비하되,상기 주축(200)들의 상단은 상기 원형홀(121)에 삽입되고, 상기 보조축(400)의 상단은 상기 슬라이딩 홀(122)에 삽입되며,상기 수평암(210), 상기 제1 링크(300)들, 상기 제2 링크(500) 및 상기 페달부재(600)의 일단은 상기 중판(12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포텐셔미터(900) 및 상기 탄성부재(700)는 상기 중판(120)의 상부에 위치하며,상기 페달부재(600)는 중앙부가 상기 중판(120)의 하부와 힌지 결합하고, 일부가 상기 사각홀(131)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탄성부재(700)는,상기 중판(120)의 상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브라켓(710);상기 브라켓(710) 사이에서 상기 중판(120)과 이격되어 고정되는 로드(720);상기 로드(720)에 삽입되는 압축 스프링(730); 및상기 압축스프링(730)의 일단과 접촉하고, 상기 보조축(400)의 상단과 결합하여 상기 로드(720) 상에서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7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딩 부재(740)의 하부에는 충격 완화를 위한 댐퍼(7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
- 중앙에 슬릿 형상의 슬라이딩 홀(111)이 형성된 하판(110);일측에 외부를 향하는 수평암(210)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외주면에 구비된 기어(220)에 의해 서로 맞물리며, 하단이 상기 하판(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주축(200);일단이 상기 수평암(210)의 타단과 수직축상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며, 타단에는 관통홀(310)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링크(300);상기 관통홀(310)들과 상기 슬라이딩 홀(111)에 상단이 삽입되도록 제공되는 보조축(400);상기 하판(110)의 하부에서 일단이 상기 보조축(400)의 하단과 수평축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링크(500); 및중앙부가 수평축상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제2 링크(500)의 타단과 수평축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페달부재(600)를 포함하되,각각의 상기 주축(200)과 상기 수평암(210)의 일단이 결합되는 부분에 개재되어 상기 수평암(210)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토션스프링(810)이 각각 구비되고,상기 주축(200)들의 기어(220)는 상기 하판(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모터(830)의 축에 구비된 기어(831)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
- 제 8항에 있어서,가장자리에 사각 형상의 사각홀(131)이 형성된 상판(130)을 더 구비하되,상기 페달부재(600)는 중앙부가 상기 상판(130)의 하부와 힌지 결합하고, 일부가 상기 사각홀(131)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4285A KR101040421B1 (ko) | 2008-11-17 | 2008-11-17 |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4285A KR101040421B1 (ko) | 2008-11-17 | 2008-11-17 |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5287A KR20100055287A (ko) | 2010-05-26 |
KR101040421B1 true KR101040421B1 (ko) | 2011-06-13 |
Family
ID=4227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4285A KR101040421B1 (ko) | 2008-11-17 | 2008-11-17 |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042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0848A (ko) | 2021-08-26 | 2023-03-07 | 윤다혜 | 올인원 입욕제 |
CN117582213B (zh) * | 2024-01-18 | 2024-04-02 | 佳木斯大学 | 一种帕金森病人运动障碍量化及识别的可穿戴设备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56767A (ja) | 1997-12-02 | 1999-06-15 | Hitachi Ltd | 搬送装置 |
JP2001116507A (ja) * | 1999-10-18 | 2001-04-27 | Alps Electric Co Ltd | 角度検出装置 |
-
2008
- 2008-11-17 KR KR1020080114285A patent/KR1010404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56767A (ja) | 1997-12-02 | 1999-06-15 | Hitachi Ltd | 搬送装置 |
JP2001116507A (ja) * | 1999-10-18 | 2001-04-27 | Alps Electric Co Ltd | 角度検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5287A (ko) | 2010-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703133B (zh) | 用于在车辆中操纵制动器和油门的设备 | |
JP5419959B2 (ja) | 操作装置 | |
US8522640B2 (en) | Lightweight cantilever control system | |
US6076422A (en) | Structure for controlling displacement of vehicle pedal | |
CN107161121B (zh) | 一种三阶段踏板感觉模拟器及其汽车制动踏板机构 | |
CN107461425B (zh) | 用于对车辆的操作元件进行力模拟的装置以及电操作离合器系统 | |
AU2007231765B1 (en) | Accelerator Braking Module | |
CN107117143B (zh) | 一种制动感觉压电式可调阻尼制动踏板机构 | |
CN107697041A (zh) | 具有制动踏板仿真器超控装置的车辆线控制动系统 | |
KR101040421B1 (ko) |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용 페달 시스템 | |
DE10239913A1 (de) | Betätigungsmittel zum Beeinflussen einer Anlage zum Bremsen, Kuppeln oder Antrieb eines Kraftfahrzeuges | |
CN114630790A (zh) | 方向舵和制动踏板组件 | |
CN107117144B (zh) | 一种制动感觉压电元件调节式制动踏板机构 | |
CN107187434B (zh) | 一种脉冲电磁阀式可调阻尼踏板机构 | |
CN107161123B (zh) | 一种可调式阻尼踏板感觉模拟器及其汽车制动踏板机构 | |
CN103587415A (zh) | 用于离合器系统的回位力发生器 | |
JP2006264632A (ja) | ブレーキ操作入力装置 | |
CN107139905B (zh) | 一种二阶段踏板感觉模拟器及其汽车制动踏板机构 | |
JP4528183B2 (ja) | ペダル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自動車 | |
US9150078B2 (en) |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with bar and body load reaction component for ride height management | |
JP7081263B2 (ja) | 車両用制御装置 | |
SE539321C2 (en) | Pedal feel simulating system for a pedal device | |
JP6747282B2 (ja) | ブレーキ装置 | |
JP2006281803A (ja) | ペダル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自動車 | |
CN220430121U (zh) | 一种制动踏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