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015B1 - 차량용 엘이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엘이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015B1
KR101040015B1 KR1020110029003A KR20110029003A KR101040015B1 KR 101040015 B1 KR101040015 B1 KR 101040015B1 KR 1020110029003 A KR1020110029003 A KR 1020110029003A KR 20110029003 A KR20110029003 A KR 20110029003A KR 101040015 B1 KR101040015 B1 KR 101040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vehicle
led lighting
led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667A (ko
Inventor
최성
Original Assignee
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 filed Critical 최성
Publication of KR20110038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door or boot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05Manufacturers' emblems, name plates, bonnet ornaments, mascots or the like; Moun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ED 조명장치의 투명 커버에 일정한 광 투과율을 갖는 박막 알루미늄 코팅층을 형성하여 낮에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알루미늄 코팅층에 의해서 반사되어 커버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LED 조명장치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하고 광택도가 좋은 알루미늄 코팅층을 통해 메탈(Metal) 질감을 구현할 수 있고, 밤에는 LED에서 방사되는 빛이 알루미늄 코팅층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차량용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LED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LED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에는 일정한 광 투과율을 갖는 박막의 알루미늄 코팅층이 형성되어 밤에는 LED에 의한 조명효과가 이루어지고 낮에는 외부의 광을 반사시켜 커버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크롬판과 같은 메탈 질감이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엘이디 조명장치{LED Light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ED 조명장치의 커버에 알루미늄 코팅층을 소정 두께로 형성하여 외부의 입사광이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LED 조명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는 조명장치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복잡한 내부의 구조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깔끔한 외관미를 유지할 수 있고, 광택이 있는 메탈(Metal) 질감을 구현하여 고급스러운 장식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는 야간에 차량의 안전을 위해서 사용된다.
최근 다양한 형태의 LED 조명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LED 조명장치는 다수 개의 LED가 배열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거나 지지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LED의 빛을 외부로 방사하거나 분산시켜 방사하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커버로 이루어진다.
특히, 강한 조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는 커버에 여러 가지 색깔을 넣거나 빛을 은은하게 하는 여러 가지 분산홈이나 시트를 설치하고 있다. 다른 형태의 차량용 LED 조명장치는 반투명의 튜브 속에 일렬로 연결된 LED를 넣는 경우도 있다.
한편, 차량에는 여러 가지 조명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조명장치로는 어두운 실내를 밝히기 위한 실내용 조명장치와 차량의 외부를 밝히기 위한 실외용 조명장치가 있다. 최근에는 차량의 실내용 조명장치와 실외용 조명장치에도 LED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LED 조명장치는 LED광의 투과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투명 커버를 사용하거나 비교적 투과율이 높은 컬러 커버를 사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LED 조명장치는 외부의 햇빛이 내부로 투과하여 LED 조명장치의 내부 구조물이 외부에서 그대로 보이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무드 램프와 같은 차량용 LED 조명장치는 커버에 분산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LED 조명장치의 내부 구조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외부에서 비치는 빛이 분산홈에 의해서 분산되기 때문에 반짝이는 느낌을 줄 수가 없었다.
결국, 종래의 LED 조명장치의 커버는 유리나 플라스틱 또는 종이 같은 느낌을 줄 수는 있었지만 광택이 있는 금속의 느낌은 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광택이 있는 금속판, 예를 들어 크롬 도금판이나 크롬 도금 띠 또는 스테인레스스틸이나 알루미늄판과 같은 느낌을 주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되는 각종 조명장치를 크롬 도금판이나 크롬 도금 띠처럼 보이게 하거나, 자동차의 외관에 부착되는 각종 크롬 도금판이나 크롬 도금 띠에서 LED 빛이 나오도록 하여 자동차의 외관을 더욱 화려하고 고급스럽게 하는 것이다.
최근에 고급 차량을 중심으로 사이드미러에 방향지시등의 기능을 겸하는 LED 조명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미러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는 종래의 LED 조명장치는 다수 개의 LED가 설치되는 인쇄기판과, LED의 빛을 전방으로 방사하는 반사판과, LED의 빛이 외부로 방사되도록 하는 투명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미러에 설치된 종래의 LED 조명장치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LED 조명장치는 투명 커버가 LED에서 방사되는 빛을 외부로 전부 투과시키기 때문에 LED가 꺼져 있는 낮에는 투명 커버를 통해서 LED 조명장치의 내부가 다 보이기 때문에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LED 조명장치의 커버에 알루미늄 코팅층을 소정 두께로 형성하여 외부의 입사광이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LED 조명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는 조명장치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복잡한 내부의 구조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깔끔한 외관미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ED 조명장치가 광택이 있는 메탈(Metal) 질감을 구현하여 고급스러운 장식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LED가 꺼져 있는 낮 시간에는 알루미늄 코팅층에 의해 외부의 빛을 대부분 반사시켜 크롬 도금판이나 크롬 도금 띠 또는 금속 엠블럼과 같이 보이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LED가 켜져 있는 밤에는 크롬도금 장식판이나 차량의 사이드몰드 또는 엠블럼이 스스로 빛이 발광하는 느낌을 줄 수 있고 운전자나 보행자의 시선을 끌어 안전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크롬도금된 장식판이나 엠블럼은 햇살에 반사될 때 가장 장식적인 효과가 있는데 어두운 날이나 밤에는 햇빛이 없어 원하는 만큼의 장식효과를 내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크롬 장식판이나 엠블럼이 햇빛에 관계없이 장식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LED 조명장치는, LED가 설치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거나 지지하는 케이스와, 인쇄회로기판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LED가 방사하는 광을 투과시키는 커버로 이루어진 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알루미늄 코팅층을 형성하여 낮에는 외부의 광을 반사시켜 조명장치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메탈 질감을 구현하고, 밤에는 LED가 방사하는 광을 투과시켜 점, 선 또는 면의 LED 조명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루미늄 코팅층은 70% 이하의 광 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코팅층은 30~70%의 광 투과율을 갖는다. 즉, 70%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질 경우 조명장치의 내부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고, 30% 이하의 광 투과율을 가질 경우 LED 광이 차단되어 조명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코팅층은 0.03~0.07㎛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알루미늄 코팅층의 두께가 0.03㎛ 이하이면 광 투과율이 70% 이상이 되고, 알루미늄 코팅층(152)의 두께가 0.07㎛ 이상이면 광 투과율이 30%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알루미늄 코팅층은 커버의 내측면이나 외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LED 조명장치는 차량의 사이드미러, 사이드몰드, 도어 손잡이, 차량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 방향지시, 차량의 전후방 범퍼에 부착되는 보조완충몰드 등에 적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LED 조명장치는 건물의 실내 또는 실외를 장식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차량용 LED 조명장치에 따르면, LED가 켜져 있는 밤에는 LED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커버를 투과하여 외부로 방사되어 LED 조명효과를 누릴 수 있고, LED가 꺼져 있는 낮에는 외부의 입사광이 알루미늄 코팅층에서 반사되어 조명장치의 내부가 가려져 크롬장식판이나 알루미늄장식판 또는 사이드몰드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롬 장식판이나 엠블럼이 햇빛에 관계없이 항상 반짝이거나 발광하게 함으로써 자동차를 고급스럽게 하고 운전자나 보행자의 주의를 끌어 안전운전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미러 방향지시등에 적용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2의 알루미늄 코팅층이 형성된 커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가 차량의 도어 개폐부 손잡이 부분에 적용된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가 차량의 전방측 방향지시등 부분에 적용된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하나의 반사판을 설치한 차량용 LED 조명장치의 일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두 개의 반사판을 설치한 차량용 LED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반사판을 설치한 차량용 LED 조명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LED 조명장치가 설치된 자동차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입체 엠블럼의 일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A-A 단면도로서, 도 7에 도시된 차량용 LED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LED 조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LED 조명장치를 사이드미러의 방향지시등에 적용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LED 조명장치는, 사이드미러 하우징(110) 일측에 마련된 요홈부(112) 공간에 복수의 LED(120)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인쇄회로기판(130)이 설치된다. 이 때 인쇄회로기판(130)은 차량(100) 내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130)의 전면에는 LED(120)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반사하여 광 효율을 높여주기 위한 반사판(140)과 LED(120)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커버(150)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150)는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LED(120)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되, 커버(150)의 내측면이나 외측면에는 일정한 광 투과율을 갖는 알루미늄 코팅층(15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150)에 일정한 광 투과율을 갖는 알루미늄 코팅층(15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버(150)는 LED가 꺼져있는 상태에서는 불투명한 커버가 되고, LED가 켜지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커버가 된다.
즉, 본 발명은 LED에서 방사되는 빛을 일부 차단함과 아울러 외부에서 입사하는 빛을 대부분 반사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박막 층을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150)에 일정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LED 조명장치는 직진성을 특징으로 하는 LED 빛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분산 수단을 커버에 적용하였으나, 외부에서 입사하는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수단은 적용한바 없었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코팅층(152)은 스퍼터링(sputtering)이나 진공증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 플라즈마에 의한 플라스틱 시료의 파손이 적은 진공증착법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알루미늄 코팅층의 형성방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적정한 두께의 알루미늄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알루미늄 코팅층(152)은 70% 이하의 광 투과율을 갖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30~70%의 광 투과율을 갖는다. 예를 들어, 70%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질 경우, 낮에 조명장치의 내부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고, 30% 이하의 광 투과율을 가질 경우 LED 광이 과도하게 차단되어 조명효과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알루미늄 코팅층(152)의 두께는 0.03~0.07㎛가 적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가 적합하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코팅층(152)의 두께가 0.03㎛ 이하이면 광 투과율이 70% 이상이 되고, 알루미늄 코팅층(152)의 두께가 0.07㎛ 이상이면 광 투과율이 30%로 떨어져 조명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알루미늄 코팅층(152)은 커버(150)의 내측면이나 외측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커버(15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모두 알루미늄 코팅층(152)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내측면이나 외측면에 형성하는 알루미늄 코팅층(152)의 두께는 0.015~0.035㎛가 되도록 하여 전체 광 투과율이 30~70%의 범위에 있게 한다.
그리고 알루미늄 코팅층(152)을 커버(150) 외측면에 형성할 경우, 접촉에 의해 쉽게 손상되므로 알루미늄 코팅층(152)의 표면에 강화 투명 코팅층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화 투명 코팅층은 알루미늄 코팅층(152)의 표면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입사광의 반사 효과를 높여서 메탈 질감을 높여주는 역할도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커버(150)를 2개의 분리된 커버판(150)(150')을 겹쳐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외측 커버판(150)의 내측면에 알루미늄 코팅층(152)을 형성한 후, 알루미늄 코팅층이 형성된 외측 커버판(150)의 안쪽에 알루미늄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내측 커버판(150')을 겹침으로써 알루미늄 코팅층이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커버판(150')의 외측면에 알루미늄 코팅층(152)을 형성한 후, 그 외측에 알루미늄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외측 커버판(150)을 겹쳐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외측 커버판(150)의 내측면에 알루미늄 코팅층(152)을 형성하고, 내측 커버판(150')의 외측면에 알루미늄 코팅층(152)을 각각 형성한 후, 외측 커버판(150)과 내측 커버판(150')을 겹쳐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측 커버판이나(150)과 내측 커버판(150')에 형성되는 알루미늄 코팅층(152)(152a)의 두께는 0.015~0.035㎛가 되도록 하여 전체 광 투과율이 30~70%의 범위에 있게 한다. 이렇게 하면 알루미늄 코팅층(152)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알루미늄 코팅층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사광의 반사율은 높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LED 조명장치는 LED 광이 투과되는 투명 재질의 커버(150)에 일정한 광 투과율을 갖도록 알루미늄 코팅층(152)을 형성함으로써, LED 조명이 켜져 있는 밤에는 LED(120)의 빛이 알루미늄 코팅층(153)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사됨으로써 LED 조명효과를 누릴 수 있고, LED 조명이 꺼져 있는 낮에는 외부의 입사광이 알루미늄 코팅층(152)을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됨으로써 조명장치의 내부가 보이지 않게 됨과 동시에 알루미늄 코팅층(152)에 의해서 반사되는 빛에 의해서 크롬 도금판이나 금속 엠블럼에서 느낄 수 있는 질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LED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3은 차량의 도어 개폐부 손잡이에 설치된 차량용 LED 조명장치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차량의 전방측 방향지시등에 적용된 차량용 LED 조명장치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도어(102)의 개폐부 손잡이(104) 중앙 부분에 LED 조명장치를 설치한다. 이때 차량용 LED 조명장치의 커버(106) 부분에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코팅층(107)을 형성함으로써, LED(105) 조명이 점등되지 않은 낮에는 알루미늄 코팅층(107)에 의해 내부의 LED 구조물이 가려져 보이지 않고, 알루미늄 코팅층(107)에 의해서 햇살이 반사되어 크롬 도금된 주변의 손잡이(104) 부분과 마찬가지로 은색 메탈 질감이 구현되어 고급스러운 외관이 연출된다.
반면에 어두운 밤에는 LED(105)에서 방사되는 빛이 알루미늄 코팅층(107)을 투과해서 외부로 방사되기 때문에 손잡이(104)를 쉽게 잡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옆 차량 운전자의 시선을 끌어서 안전운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LED(105)는 방향지지 등과 함께 연동함으로써 옆 차량 운전자에게 차량의 회전방향을 미리 알려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LED 조명장치를 채용한 차량의 전방측 방향지시등(201) 부분에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내측면에 알루미늄 코팅층(206)이 형성된 커버(205)를 장착함으로써, LED(202) 조명이 점등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알루미늄 코팅층(206)에 의해 커버(205) 내부의 LED(202), 인쇄회로기판(203) 및 반사판(204)을 포함한 LED 구조물이 가려지고 알루미늄의 은색 메탈 질감으로 인해 고급스러운 외관이 연출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용도에 따라서 반사판을 채용할 수도 있고 채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을 장식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반사판을 채용하지 않고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반사판 없이 LED와 인쇄회로기판만으로 구성하여도 커버의 내부에 코팅된 알루미늄 코팅층에 의해 내부가 가려지기 때문에 외관이 저해되지 않는다. 또한, 반사판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LED의 직선광이 외부로 그대로 방출되기 때문에 LED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점 조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면에, 반사판을 설치할 경우에는 LED의 직선광이 반사판에서 반사되어 빛이 분산되어 방출되기 때문에 선(line)이나 면 조명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반사판(350)를 설치한 차량용 LED 조명장치의 일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차량용 LED 조명장치는, 차량의 측면에 부착되는 사이드 몰드로서, 다수 개의 LED(330)가 배열된 인쇄회로기판(340)과, 인쇄회로기판(340)이 고정된 상태로 차량의 외면에 접착되는 본체(310)와, 인쇄회로기판(340)의 전면에 설치되고 LED(330)의 빛을 전방으로 방사시키는 반사판(350)과, 상기 본체(310)의 전면에 결합하되 내측면에 알루미늄 코팅층(321)이 형성된 커버(320)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커버(320)는 LED(330) 및 반사판(35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또한, 커버판(320)의 가장자리에는 본체(31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걸림턱(3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310)에는 인쇄회로기판(340)에 형성된 결합홈을 관통하여 인쇄회로기판(34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312)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반사판(350)은 LED(330)에서 방사되는 광을 넓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반사판(350)은 두 개 또는 2열로 배열된 LED(330)에서 방사되는 빛이 본체(310)를 벗어나서 방사되지 않도록 본체(310)의 안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는 본체(310)에는 만곡된 반사판(350)를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313)가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20)에 형성된 알루미늄 코팅층(321)은 70% 이하의 광 투과율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30~70%의 광 투과율을 갖는다. 이를 위해서 알루미늄 코팅층(152)의 두께는 0.03~0.07㎛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이다.
이어서, 도 6은 반사판(350)를 설치한 차량용 LED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특히, 두 개의 반사판(350)(350b) 사이에 LED(330)가 배열된 인쇄회로기판(340)을 설치한 경우이다.
상기 본체(310)의 전면에 결합하는 커버(320)는 LED(330) 및 반사판(35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또한, 커버판(320)의 가장자리에는 본체(31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걸림턱(325)이 형성되면, 내측면에는 알루미늄 코팅층(321)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310)에는 인쇄회로기판(340)에 형성된 결합홈을 관통하여 인쇄회로기판(34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312)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반사판(350a)(350b)은 LED(330)에서 방사되는 광을 넓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가운데가 만곡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반사판(350)은 1열로 배열된 LED(330)에서 방사되는 빛이 본체(310)를 벗어나서 방사되지 않도록 본체(310)의 안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310)에는 만곡된 반사판(350a)(350b)을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313)가 설치된다.
도 7은 반사판(350)를 설치한 차량용 LED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차량의 전면이나 후면 또는 측면에 부착되는 사이드몰드의 상부나 하부의 한쪽에서만 빛이 방사되도록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LED(330)가 배열된 인쇄회로기판(340)과, 한쪽이 안쪽으로 만곡된 반사판(350) 등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고, LED(330)와 반사판(350)이 본체(310)의 상부(또는 하부)에 하나 또는 1열로 설치되는 점만 다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사이드몰드의 일측에서만 빛이 나오기 때문에 새로운 느낌을 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커버(320)는 상부판(320a)과 하부판(320b)으로 구분되고, 상부판(320a)에는 전술한 알루미늄 코팅층(321)이 형성되어 반투명한 특성이 있다. 반면 하부판(320b)은 일반적으로 불투명한 특성이 있다. 이 때 하부판(320b)의 표면에는 크롬도금 층(322)을 형성하여 낮에는 상부판(320a)과 하부판(320b) 같은 재질의 느낌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간에는 사이드 판넬 전체가 크롬 도금판처럼 보이고 야간에는 사이드 판넬의 상부판에서만 빛이 방사되기 때문에 사이드 판넬의 상부판만 빛이 반사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인쇄회로기판(340)에 설치되는 LED(330)는 빛이 측방향에서 방사되는 사이드 뷰(Side View) LED이다. 따라서 사이드 뷰(Side View) LED(330)에서 방사되는 빛을 본체(310)의 전면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한쪽으로 만곡된 반사판(350)을 사용한다.
한편, 도 10은 도 7에서 설명한 차량용 LED 조명장치를 더욱 개량한 것으로서, 특히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체 형상의 엠블럼에 적용하기 위한 차량용 LED 조명장치를 보여준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엠블럼(F)은 하나의 큰 링과 두 개의 작은 링으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각 링의 중앙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부 절곡면과 하부 절곡면에서의 빛 반사율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함으로써 입체감이 살아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낮에는 상부절곡면과 하부절곡면에서의 빛 반사율 차이에 의해서 입체감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어두운 밤에는 빛이 없기 때문에 입체감이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LED를 설치하면, 엠블럼 전체에서 빛이 방사되기 때문에 엠블럼이 잘 보이기는 하지만 입체감이 살아나지는 않게 된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체형상을 만들기 위해서, 좌우 대칭구조를 같은 본체(3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커버(320)를 설치하되, 이 커버(320)의 상부쪽으로만 빛이 방사되도록 하여 엠블럼의 입체감이 살아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본체(310)의 중앙부에는 한 개 또는 1열의 LED(330)가 배열된 두 개의 인쇄회로기판(340)이 본체(310)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고, 본체(310)의 상단부에는 두 개의 반사판(350)가 본체(310)를 사이에 두고 맞대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커버(320)는 상부판(320a)과 하부판(320b)으로 구분되고, 상부판(320a)에는 전술한 알루미늄 코팅층(321)이 형성된 반투명한 특성을 갖고, 하부판(320b)은 불투명한 특성이 있다. 이 때 하부판(320b)의 표면에는 크롬도금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주간에는 사이드 판넬 전체가 크롬 도금된 엠블럼처럼 보이다가 야간에는 엠블럼의 상부판이나 하부판에서만 빛이 방사되기 때문에 입체감이 살아나게 된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340)에 설치된 LED(330)는 사이드 뷰(Side View) LED이고, 반사판(350)은 LED에서 방사되는 빛을 본체(310)의 전면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안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아울러, 커버(320)는 LED(330) 및 반사판(35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호 형상의 단면을 갖고, 가장자리에는 걸림턱(325)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의 LED에는 소정의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LED 조명장치는 상술한 여러 실시예와 같이 차량의 외관장식을 위한 튜닝용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S는 차량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몰드이다. 이 사이드몰드는 차량의 양측면에 길게 설치되어 차량의 측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참조부호 B는 차량의 범퍼의 양쪽 코너 부근에 설치되는 보조완충모드이다. 이 보조완충모드는 범퍼의 코너 부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참조보호 F는 제조회사의 입체 엠블럼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LED 조명장치는 차량의 외관을 장식하기 위한 튜닝용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차량 실내, 계기판, 실내등, 장식등 등 차량의 다양한 실외용 LED 조명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고, 가정이나 영업소에서 다양한 실내용 조명장치 부분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5, 120, 202, 330 : LED
130, 203, 340 : 인쇄회로기판
140, 204, 350 : 반사판
106, 150, 205, 320 : 커버
107, 152, 206, 321 : 알루미늄 코팅층
310 : 본체
322: 크롬도금층

Claims (16)

  1. 차량의 도어 손잡이, 사이드미러, 전·후방측 방향지시등,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몰드 또는 전·후면에 설치되는 엠블럼에 사용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의 LED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LED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의 내측 면에는 진공증착을 통해 30~70%의 광 투과율을 갖도록 코팅된 알루미늄 코팅층이 형성되어, 밤에는 LED에 의한 조명효과가 이루어지고 낮에는 외부의 광을 반사시켜 커버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알루미늄 코팅층에 의하여 광택을 갖는 메탈 질감이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
  2. 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의 LED가 배열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고정된 상태로 차량의 외면에 접착되는 본체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설치되고 LED의 빛을 전방으로 방사시키는 반사판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하여 인쇄회로기판과 반사판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에는 30~70%의 광 투과율을 갖도록 0.03~0.07㎛ 두께로 코팅된 알루미늄 코팅층이 형성되어, 밤에는 상기 LED에 의한 조명효과가 이루어지고 낮에는 외부의 광을 반사시켜 커버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알루미늄 코팅층에 의하여 광택을 갖는 메탈 질감이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판부와 하판부로 구분되고, 상기 상판부 또는 하판부 중 어느 하나에만 알루미늄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 또는 하판부 중 알루미늄 코팅층이 형성된 커버의 하부에만 다수 개의 LED가 배열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설치된 LED의 빛을 전방으로 방사시키는 반사판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LED에서 방사되는 알루미늄 코팅층이 형성된 커버 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소정 곡률로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 또는 하판부 중 알루미늄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는 커버의 표면에는 크롬도금 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
  7. 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의 LED가 배열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고정된 상태로 피부착물의 외면에 접착되는 본체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와 하부측에 설치되어 LED의 빛을 전방으로 방사시키는 반사판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하여 인쇄회로기판과 반사판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의 내측 면에는 30~70%의 광 투과율을 갖도록 코팅된 알루미늄 코팅층이 형성되어, 밤에는 상기 LED에 의한 조명효과가 이루어지고 낮에는 외부의 광을 반사시켜 커버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알루미늄 코팅층에 의하여 광택을 갖는 메탈 질감이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
  8. 제 2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LED에서 방사되는 광을 본체의 전면으로 넓게 분산시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안쪽으로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
  9. 제 2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LED 및 반사판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호 형상의 단면을 갖고, 커버판의 가장자리에는 본체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반사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
  11. 제 2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결합홈을 관통하여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
  12. 제 1항, 제 2항,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2개의 분리된 커버판을 겹쳐서 이루어지고, 두 개의 커버판 중 어느 하나의 커버판에 30~70%의 광 투과율을 갖는 알루미늄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
  13. 제 1항, 제 2항,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2개의 분리된 커버판을 겹쳐서 이루어지고, 두 개의 커버판의 양측에 각각 알루미늄 코팅층을 형성하되, 한쪽 알루미늄 코팅층의 두께가 0.015~0.035㎛로 되도록 하여 전체 커버의 광 투과율이 30~70%의 범위에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
  14. 제 2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장치는 차량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사이드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
  15. 제 2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장치는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 범퍼에 설치되는 보조완충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
  16. 제 2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장치는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는 엠블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LED 조명장치.
KR1020110029003A 2008-03-12 2011-03-30 차량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1040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241 2008-03-12
KR20080003241 2008-03-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155A Division KR101070975B1 (ko) 2008-03-12 2008-12-19 차량용 엘이디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667A KR20110038667A (ko) 2011-04-14
KR101040015B1 true KR101040015B1 (ko) 2011-06-08

Family

ID=413570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155A KR101070975B1 (ko) 2008-03-12 2008-12-19 차량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20110029003A KR101040015B1 (ko) 2008-03-12 2011-03-30 차량용 엘이디 조명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155A KR101070975B1 (ko) 2008-03-12 2008-12-19 차량용 엘이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070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61B1 (ko) * 2012-12-14 2016-11-11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차량용 램프
US9458979B2 (en) 2012-12-14 2016-10-04 Sl Corporation Signal lamp for vehicle having a light guide and mirror housing and lamp housing with reflection unit and support unit
KR101503038B1 (ko) * 2014-08-20 2015-03-16 주식회사 에스티씨 3d 입체효과를 가지는 슬림형 자동차 램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192A (ko) * 2005-04-01 2006-10-11 주식회사 린포스 아크릴패널을 이용한 발광 조명장치
KR20080006010U (ko) * 2007-05-30 2008-12-04 아우곡스 컴파니 리미티드 Led 조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219B1 (ko) * 2003-10-21 2006-07-07 송병구 마네킹용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192A (ko) * 2005-04-01 2006-10-11 주식회사 린포스 아크릴패널을 이용한 발광 조명장치
KR20080006010U (ko) * 2007-05-30 2008-12-04 아우곡스 컴파니 리미티드 Led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667A (ko) 2011-04-14
KR20090097769A (ko) 2009-09-16
KR101070975B1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7746B1 (en) Signalling assembly
US7331683B2 (en) Decorative article and vehicular lamp
JP5478467B2 (ja) 車両外装ガーニッシュ
KR101211843B1 (ko) 2중-색상 조명 엠블럼
US10814801B2 (en) Emblem for vehicles
CN102774314A (zh) 车辆外表面的装饰件、脚灯系统及车辆用装饰件
JP6333519B2 (ja) 車両用加飾部品
MX2007016560A (es) Unidad de radiacion electromagnetica.
KR101040015B1 (ko) 차량용 엘이디 조명장치
JP7235957B2 (ja) 車両用加飾部品、車両用ライニング及び車両用ドア
KR20110113432A (ko) 장식용 조명거울
US20240059212A1 (en) Light assembly, vehicle design element, rear view device and door finisher
EP1439979A1 (en) Decorative article and vehicular lamp
JP2008105556A (ja) 自動車用表示装置
TWM310827U (en) Car indicator light with light-conducting function
US7077550B2 (en) Automotive lamp with light transmissive colored member
JP2014172440A (ja) 車両用燈体及び燈体付ドアミラー
WO2003040614A1 (en) Automotive lamp
JP3083031U (ja) 自動車の発光安全装飾体
JP6274438B2 (ja) 照明装置
JP2003151313A5 (ko)
JP6018954B2 (ja) 車両用燈体及び燈体付ドアミラー
KR200323249Y1 (ko) 자동차용 발광 장식테
CN210337735U (zh) 内饰氛围灯总成
JP6635509B2 (ja) 照明付き車両用ドアハンドルプロテクターとその照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