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361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361B1
KR101675361B1 KR1020120146557A KR20120146557A KR101675361B1 KR 101675361 B1 KR101675361 B1 KR 101675361B1 KR 1020120146557 A KR1020120146557 A KR 1020120146557A KR 20120146557 A KR20120146557 A KR 20120146557A KR 101675361 B1 KR101675361 B1 KR 101675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alf mirror
optical module
reflection plat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7587A (ko
Inventor
김용환
송도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Priority to KR1020120146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361B1/ko
Priority to US14/101,988 priority patent/US9458979B2/en
Priority to EP13196901.6A priority patent/EP2743131B1/en
Priority to CN201310683710.4A priority patent/CN103867968B/zh
Publication of KR2014007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차량용 램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빛을 발생시키는 광학모듈, 상기 광학모듈에서 발생한 빛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빛의 나머지 일부를 반사시키는 하프미러, 및 상기 하프미러와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광학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내측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광학모듈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판은 소정의 곡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AUTOMOTIVE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반복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 지시등, 미등, 제동등,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 또는 고전압 방출(High intensity discharge, HID) 등과 같은 광원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최근에 이르러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되고 있는데, 발광 다이오드는 색 온도가 약 5500K로 태양광에 가까워 사람의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해주고, 사이즈를 최소화 함으로서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갖추고 있다.
이와 함께, 종래의 복잡한 램프 구성 및 가공 단계의 증가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자체의 특성으로 인한 램프의 수명 연장 및 작은 크기로 인한 램프의 공간상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추세이다.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빔 패턴의 광을 조사하면서도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램프는 조명을 조사하기 위한 수단 또는 외부에 신호를 알리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였으나, 최근에는 다자인 측면에서 램프가 차지하는 비중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즉, 종래 램프의 기본적인 역할인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통해 안전운행을 돕는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디자인 향상을 통해 소비자가 느끼는 심미적 측면 또한 차량 구매 결정 여부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광원의 단순 점등을 통한 정적인 이미지 구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적으로 보다 향상된 시각적 패턴을 부여하여 심미적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순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반복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디자인 측면에서 개선된 미감을 나타내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빛을 발생시키는 광학모듈, 상기 광학모듈에서 발생한 빛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빛의 나머지 일부를 반사시키는 하프미러, 및 상기 하프미러와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광학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내측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광학모듈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판은 소정의 곡면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하프미러 및 반사판 사이에 소정 형상의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광학기능체를 배치함으로써, 차량용 램프에 소정의 무한 반복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광원 및 광학 구조를 통해서 디자인적으로 향상된 외관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구현된 반복이미지의 예시적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차량용 램프에 의해 구현되는 반복 이미지의 광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구현된 반복이미지의 예시적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차량용 램프에 의해 구현되는 반복 이미지의 광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에서 구현된 반복 이미지(20)가 도시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일측에 차량용 램프(10)가 구현되고, 차량용 램프(10)에 의해 반복 이미지(20)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헤드램프, 리어램프, 턴시그널램프, 포지션램프 등 다양한 차량용 램프에 적용될 수 있다.
반복 이미지(20)는 라인 타입의 광원이 복수로 구비되어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반복 이미지(20)는 하나의 광원 또는 한 쌍의 광원을 이용하여 반사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서로 소정의 닮음비를 가지는 복수의 반복 이미지(20)가 무한 반복되어 소정 개수 이상 구현될 수 있다.
반복 이미지(20)는 최외각 형상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중심부 형상을 기초로 외측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복제되는 반복 이미지(20)의 형상은 서로 휘도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복 이미지(20)가 최외각 형상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되는 구조인 경우, 최외각의 형상이 가장 높은 휘도를 가지고, 내측으로 갈수록 휘도가 낮아지는 구성일 수 있다. 반대로, 중심부 형상을 기초로 외측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되는 구조일 경우, 중심부의 형상이 가장 높은 휘도를 가지고, 외측으로 갈수록 휘도가 낮아지는 구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등적인 휘도는 하프미러 구조에 의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개략적인 구조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학모듈(120)과 광학모듈(120)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하프미러(110) 및 반사판(130)을 포함한다.
광학모듈(120)은 빛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빛은 하프미러(110) 및/또는 반사판(130)으로 향하게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광학모듈(12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형의 점광원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빛을 수용하여 입사된 광을 분산시키는 광학기능체 및 광학기능체의 일측 또는 배면 측에 배치되어 광학기능체로 빛을 공급하는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광학모듈(120)은 하프미러(110)와 반사판(130)이 형성한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프미러(110) 또는 반사판(130)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광학모듈(120)은 반사판(130)의 배면 측, 즉 도면상에서 반사판(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광학모듈(120)은 LED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LED소자는 소정의 회로기판(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은 기재 표면에 복수의 회로가 형성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류 및 점등 여부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여,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회로를 따라 점등 및 소등 신호를 송출하여 그 일면에 배치된 LED소자를 점등 및 소등한다.
회로기판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며, 일반적인 기판 소재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설파이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타레이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액정 폴리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을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LED 소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은 개별적으로 점등 및 소등이 가능하고, 일정한 패턴에 맞게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하여 원하는 광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LED 소자는 서로 다른 구동전류가 인가되어 개별적으로 밝기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소자에는 5mA의 전류가 인가되고, 다른 하나의 소자에는 50mA의 전류가 인가될 경우, 5mA의 전류가 인가된 점광원보다 50mA의 전류가 인가된 점광원의 휘도가 높기 때문에, 서로 다른 밝기의 광을 하프미러(110) 측에 전달하여 다양한 광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광학모듈(120)은 LED 소자 이외에도, 공지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램프, 벌브 등 제한없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광학모듈(120)의 하부면과 밀착되는 히트싱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트싱크는 히트 파이프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히트 스프레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열 전달 면적 증가를 위하여 히트 스프레드의 일측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히트싱크는 다수의 방열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히트싱크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빠르게 냉각시키기 위한 팬(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히트싱크는 광학모듈(120) 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학모듈(120)과 히트싱크와의 배치관계는 변경될 수 있다. 광학모듈(120)과 히트싱크 사이에는 서로 맞닿는 면을 균일하게 하고 연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히트패드(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하프미러(110)는 빛의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하도록 구성된 거울 구조로서, 거울 표면에 금속 코팅층 예를 들어 크롬 코팅, 알루미늄 코팅 또는 금속 산화물 층이 코팅된 형태일 수 있다. 크롬 또는 알루미늄 입자를 렌즈 또는 거울에 증착시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코팅층은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스퍼터링 증착, 진공증착, 플라즈마 증착 등의 기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주간 주행시에 광학모듈(120)이 소등된 상태인 경우, 외부에서 하프미러(110)는 메탈 질감을 나타내며 내부 구성요소는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반면, 예를 들어 야간 주행시에 광학모듈(120)이 점등된 상태인 경우, 외부에서 하프미러(110)는 일반 램프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주야간 주행시에 서로 상이한 미감을 나타낼 수 있으며 디자인적으로 향상된 외관을 부여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하프미러(110)는 특정 파장의 빛 또는 특정 형태로 빛을 편광시키는 편광층 및 편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모듈(120)로부터 발생한 빛의 일부는 통과시키되, 외부로부터 입사된 비편광은 반사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콜레스테릭 액정층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반사판(130)은 하프미러(110)와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광학모듈(120)을 수용하기 위한 내측 공간을 형성하고, 광학모듈(120)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판(130)은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크롬 코팅층이 표면에 증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모든 재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반사판(130)의 재질 자체가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반사판(130)은 소정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프미러(110) 또는 광학모듈(120)에서 직접 입사된 광을 다른 출사각으로 반사시켜서 반복 이미지(20)를 구현할 수 있다.
반사판(130)의 곡면은 오목면 또는 볼록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한 반복 이미지(20)의 형태에 따라 곡면의 형상 또는 곡률은 달라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반사판(130)의 곡면 형상 및 곡률에 따라 빛의 반사경로가 달라져서, 무한히 반복되는 반복 이미지(20)가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광학모듈(120)에서 발생한 제1 광선(R1)이 전방으로 진행하여 하프미러(110)에 입사하게 된다. 하프미러(110)에 입사한 제1 광선(R1) 중 일부인 제2 광선(R2)은 외부로 투과되어 출사되고, 나머지 일부인 제3 광선(R3)은 하프미러(110)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판(130)을 향해 진행하게 된다. 반사판(130)에 입사된 제3 광선(R3)이 반사되어 형성된 제4 광선(R4)이 다시 하프미러(110)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반사판(130)은 광학모듈(120)로부터 발생하여 하프미러(110)에 의해 반사된 빛을, 소정 각도로 하프미러(110)를 향해 반사시킬 수 있으며, 반사판(130)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입사각과 출사각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예에서, 반사판(130)에 입사하는 제3 광선(R3)의 입사각과, 제4 광선(R4)의 출사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반사판(130)에 의해 반사된 제4 광선(R4)이 하프미러(110)에 입사하고, 입사된 광의 일부가 제5 광선(R5)은 투과되어 출사되고, 나머지 일부인 제6 광선(R6)은 하프미러(110)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판(130)을 향해 다시 진행하게 된다.
이때, 광학모듈(120)로부터 발생한 빛(R2)이 하프미러(110)의 제1 지점에서 반사되고, 하프미러(110)의 제1 지점에서 반사된 빛이 반사판(130)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하프미러(110)의 제1 지점과 다른 제2 지점으로 입사될 수 있다.
즉, 제2 광선(R2)의 출사위치와 제5 광선(R5)의 출사위치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하프미러(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1 지점이 제2 지점보다 외측에 배치되거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2 지점이 제1 지점에 비해 내측(중심부 방향)으로 이동된 예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지점에서 투과되는 제2 광선(R2)의 휘도가 제2 지점에서 투과되는 제5 광선(R5)의 휘도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제2 광선(R2)에 비해 제5 광선(R5)이 하프미러(110) 및 반사판(130)에 의한 반사 과정에 기인한 빛의 소실량이 더 크기 때문에, 제2 광선(R2)보다 제5 광선(R5)의 휘도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반사판(130)에 의해 반사된 제 6광선(R6)은 다시 하프미러(110)로 입사되고 입사된 광의 일부인 제7 광선(R7)은 출사되고, 제8 광선(R8)은 다시 반사판(130)으로 입사되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출사된 제7 광선(R7)은 제2 및 제5 광선(R2, R5)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반사판(130)에 의해 출사 방향이 이동되어 제5 광선(R5)에 비해 투과되는 지점이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학모듈(120)에 의해 발생된 광이 하프미러(110)와 반사판(130)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반사 및/또는 투과되되, 입사되는 지점이 서로 상이하게 조정되어 앞선 도 1에서와 같은 반복 이미지(2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빛을 발생시키는 광학모듈(120), 광학모듈(120)에서 발생한 빛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빛의 나머지 일부를 반사시키는 하프미러(110), 및 하프미러(110)와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광학모듈(120)을 수용하기 위한 내측 공간을 형성하고, 광학모듈(120)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130)을 포함하되, 반사판(130)은 소정의 곡면을 포함하고, 광학모듈(120)은 빛을 수용하여 분산시키는 광학기능체(122a, 122b; 이하 122), 및 광학기능체(122)의 일측에 배치되어 광학기능체(122)로 빛을 공급하는 광원(121a, 121b; 이하 121)을 포함하며, 광학기능체(122)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라인 타입의 구조체일 수 있다.
광원(121)은 광학기능체(122)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원(121)은 반사판(130)의 배면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광학기능체(122)는 광원(121)에 의해 공급된 광을 분산시켜서 광학기능체(122)의 전체 면에서 발광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학기능체(122)는 소정의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구현하고자 하는 반복 이미지(20)의 형상은 광학기능체(122)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즉, 광학기능체(122)의 형상과 소정의 닮음비를 가지는 복수의 이미지가 하프미러(110)를 통해 반복 형성될 수 있다.
광학모듈(120)의 광원(121)은 LED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130)은 복수의 체결홈(1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사판(130)의 일면에는 볼록 또는 오목한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차량용 램프(100)는 예를 들어 차량용 사이드미러(200)와 결합되어 특별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헤드램프, 리어램프, 턴시그널램프, 포지션 램프 등 다양한 램프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하프미러 및 반사판 사이에 소정 형상의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광학기능체를 배치함으로써, 차량용 램프에 소정의 무한 반복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광원 및 광학 구조를 통해서 디자인적으로 향상된 외관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하프미러
120: 광학모듈
130: 반사판

Claims (12)

  1.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어 턴 시그널 램프의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빛을 수용하여 분산시키는 광학기능체와, 상기 광학기능체의 일측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광학기능체로 광을 제공하는 광원으로 구성되는 광확모듈;
    상기 광학모듈에서 발생한 빛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빛의 나머지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금속 코팅층이 형성되는 하프미러; 및
    상기 광학모듈을 사이에 두고 하프미러와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광학모듈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시키는 면은 곡면을 이루는 반사판을 포함하되,
    상기 하프미러는 상기 사이드 미러의 하우징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위에 장착되고, 상기 반사판은 외주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부에 의해 상기 사이드 미러의 하우징과 체결되어, 상기 하프미러와 상기 반사판은 상기 광학모듈이 상기 하프미러와 상기 반사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수용되기 위한 내측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광학모듈의 발광 시, 상기 광학기능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와 닮음비를 갖는 복수의 반복 이미지가 나란히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능체는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광원은 상기 광학기능체의 일단에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능체는 소정의 곡선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소자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광학모듈로부터 발생하여 상기 하프미러에 의해 반사된 빛을, 소정 각도로 상기 하프미러를 향해 반사시키는, 차량용 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입사각과 출사각이 상이한, 차량용 램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표면에 소정의 코팅층이 증착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크롬코팅층, 알루미늄코팅층 또는 금속산화물 코팅층 중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모듈로부터 발생한 빛이 상기 하프미러의 제1 지점에서 반사되고,
    상기 하프미러의 상기 제1 지점에서 반사된 빛이 상기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상기 하프미러의 상기 제1 지점과 다른 제2 지점으로 입사되는, 차량용 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에서 투과되는 빛은, 상기 제2지점에서 투과되는 빛에 비하여 휘도가 높아서 더 밝은, 차량용 램프.
KR1020120146557A 2012-12-14 2012-12-14 차량용 램프 KR101675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557A KR101675361B1 (ko) 2012-12-14 2012-12-14 차량용 램프
US14/101,988 US9458979B2 (en) 2012-12-14 2013-12-10 Signal lamp for vehicle having a light guide and mirror housing and lamp housing with reflection unit and support unit
EP13196901.6A EP2743131B1 (en) 2012-12-14 2013-12-12 Lamp for vehicle
CN201310683710.4A CN103867968B (zh) 2012-12-14 2013-12-13 用于交通工具的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557A KR101675361B1 (ko) 2012-12-14 2012-12-14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587A KR20140077587A (ko) 2014-06-24
KR101675361B1 true KR101675361B1 (ko) 2016-11-11

Family

ID=5112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557A KR101675361B1 (ko) 2012-12-14 2012-12-14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3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249Y1 (ko) * 2003-05-02 2003-08-14 임상천 자동차용 발광 장식테
JP2011146376A (ja) * 2009-12-21 2011-07-28 Valeo Vision 3次元光学効果を有する車両の信号伝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975B1 (ko) * 2008-03-12 2011-10-06 최성 차량용 엘이디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249Y1 (ko) * 2003-05-02 2003-08-14 임상천 자동차용 발광 장식테
JP2011146376A (ja) * 2009-12-21 2011-07-28 Valeo Vision 3次元光学効果を有する車両の信号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587A (ko)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8979B2 (en) Signal lamp for vehicle having a light guide and mirror housing and lamp housing with reflection unit and support unit
KR101453936B1 (ko) 차량용 램프
CN101592302B (zh) 用于机动车后组合灯的后载式发光二极管模块
US9440580B2 (en) Optic assembly having virtual external common focus
JP5815995B2 (ja) 車両用灯具用の光学ユニット
US9243768B2 (en) Light source for headlight and headlight
KR101451861B1 (ko) 차량용 램프
JP7237466B2 (ja) ハイブリッドヘッドランプ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9225645A1 (ja) 車両用灯具
US10139067B2 (en) Laser car lamp
KR200483320Y1 (ko) 차량용 램프
KR101423668B1 (ko) 차량용 램프
KR102145189B1 (ko) 차량용 램프
KR101675361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053573A (ko) 차량용 램프
KR101472965B1 (ko) 차량용 램프
US20170122520A1 (en) Lighting appliance for engine vehicles
KR20170000496A (ko) 면발광램프 구조
KR102002029B1 (ko) 차량용 램프
TWI805473B (zh) 多光源照明模組及其汽車燈具
JP2011154913A (ja) 光学ユニット
KR200474585Y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57405A (ko) 차량용 램프
KR102166854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60044926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