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642B1 -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642B1
KR101039642B1 KR1020100060211A KR20100060211A KR101039642B1 KR 101039642 B1 KR101039642 B1 KR 101039642B1 KR 1020100060211 A KR1020100060211 A KR 1020100060211A KR 20100060211 A KR20100060211 A KR 20100060211A KR 101039642 B1 KR101039642 B1 KR 101039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upport
metal
adjusting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우
Original Assignee
(주)삼양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양디자인 filed Critical (주)삼양디자인
Priority to KR1020100060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23/00Tools; Devices not mentioned before for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7/00Patterns; Manufacture thereof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2C7/02Lo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6Permanent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22C9/065Cooling or heating equipment for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 B22D29/04Handling or stripping castings or ing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는 상호 마주하는 복수의 프레임이 하단측에 수평으로 연결된 연결대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ㄷ자 형태로 구비되고 상, 하로 회동이 가능하게 상단이 축연결되어 상호 이웃하는 복수의 지지대; 복수의 지지대의 프레임들 상단측에 양단이 체결되어 복수의 지지대의 상, 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상부 연결대; 상부 연결대 상에 설치되어 상호 마주하며 상부 연결대의 나사산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들에 의해 상부 연결대에 고정되고 금속 조형물 주물이 복수의 지지대 중앙에 위치하도록 금속 조형물 주물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조임 고정구; 복수의 지지대들의 연결대 상의 중앙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편; 복수의 고정편에 양단이 연결되어 복수의 지지대 간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지지대의 상, 하 회동에 의한 폭조절 및 폭조절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폭조절바; 폭조절바 중앙에 착탈되어 복수의 지지대 사이 중앙에 배치되고 복수의 조임 고정구에 의해 복수의 지지대 사이에 고정되는 금속 조형물 주물 내의 밀납을 가열하여 제거하기 위한 밀납 가열 부재; 폭조절바의 나사산에 나사 체결되어 밀납 가열 부재를 폭조절바에 고정하기 위한 조임너트; 연결대의 양단에 체결되어 복수의 지지대의 폭조절이 용이하도록 지면을 구르는 바퀴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이동식으로서 이동설치가 가능하고, 금속 조형물 주물을 중앙에 고정한 상태로 금속 조형물 주물의 제작 과정에서 금속 조형물 주물의 기본틀을 형성하는 밀납을 수작업의 어려움 없이 금속 조형물 주물에서 신속하게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BEESWAX REMOVING DEVICE OF METAL MOLDING CASTING}
본 발명은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조형물의 제작을 위한 금속 조형물 주물의 기초가 되며 금속 조형물 주물의 내면 또는 일면에 부착되어 있는 밀납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조형물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되며, 금속 조형물을 특정 형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금속 주물을 제작하고 그 금속 주물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금속 조형물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 조형물 주물은 주로 밀납주조법에 의해 제작되며, 밀납주조법은 밀납을 이용하는 것으로, 밀납주조법에 의해 제작된 금속 조형물 주물의 내면에는 밀납이 부착되어 있으며, 제작된 금속 조형물 주물을 이용하여 금속 조형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밀납을 제거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 금속 조형물 주물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밀납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람이 밀납을 긁어낼 수 있는 공구를 이용하여 밀납을 긁어내어 제거하거나, 사람이 직접 화염기구 등을 이용하여 밀납을 녹여 제거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 금속 조형물 주물 내에서 밀납을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러웠고, 밀납을 제거하는 과정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동식으로서 이동설치가 가능하고, 금속 조형물 주물을 중앙에 고정한 상태로 금속 조형물 주물의 제작 과정에서 금속 조형물 주물의 기본틀을 형성하는 밀납을 수작업의 어려움 없이 금속 조형물 주물에서 신속하게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는 상호 마주하는 복수의 프레임이 하단측에 수평으로 연결된 연결대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ㄷ자 형태로 구비되고 상, 하로 회동이 가능하게 상단이 축연결되어 상호 이웃하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프레임들 상단측에 양단이 체결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상, 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상부 연결대; 상기 상부 연결대 상에 설치되어 상호 마주하며 상기 상부 연결대의 나사산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들에 의해 상기 상부 연결대에 고정되고 금속 조형물 주물이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앙에 위치하도록 금속 조형물 주물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조임 고정구;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의 연결대 상의 중앙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편; 상기 복수의 고정편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대 간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상, 하 회동에 의한 폭조절 및 폭조절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폭조절바; 상기 폭조절바 중앙에 착탈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대 사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조임 고정구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지지대 사이에 고정되는 금속 조형물 주물 내의 밀납을 가열하여 제거하기 위한 밀납 가열 부재; 상기 폭조절바의 나사산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밀납 가열 부재를 상기 폭조절바에 고정하기 위한 조임너트; 상기 연결대의 양단에 체결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폭조절이 용이하도록 지면을 구르는 바퀴를 포함한다.
상기 밀납 가열 부재는 하단에 이동 가능하게 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폭조절바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전방측에 착탈홈을 갖는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대차의 내부에 관통되는 가스공급배관, 관 형태로 형성되어 하단에 제1 기어를 가지며 상기 이동대차의 상면에서 상기 이동대차의 내부에 관통되어 상기 제1 기어가 상기 이동대차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가스공급배관과 연통되는 회전부재, 축의 일단에 구비되는 핸들 및 축의 다른 일단에 구비되는 제2 기어를 가지며 상기 이동대차의 후방측에서 상기 이동대차의 내부에 관통되어 상기 제2 기어가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버너 회동조절레버, 하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버너관, 버너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버너 회동조절레버를 회전시키는 조작으로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의해 좌, 우 회전되는 버너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의 연결대 상에 설치된 상기 고정편 상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대 간의 이격 거리를 좁히거나 넓히면서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지지대 높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고정편 상의 외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폭조절바와 나사 체결되는 제1 조정 기어, 상기 고정편 상에 축결합되어 상기 제1 조정 기어의 상측에서 상기 제1 조정 기어와 치합되는 제2 조정 기어, 상기 고정편 상에 축결합되어 상기 제2 조정 기어의 상측에서 상기 제2 조정 기어와 치합되는 제3 조정 기어, 상기 제3 조정 기어에 체결되어 상기 제3 조정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 레버, 상기 고정편 상에서 상기 제3 조정 기어 상측에 배치되고 선단이 상기 제3 조정 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제3 조정 기어가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에 의하면, 이동식으로서 이동설치가 가능하고, 금속 조형물 주물을 중앙에 고정한 상태로 금속 조형물 주물의 제작 과정에서 금속 조형물 주물의 기본틀을 형성하는 밀납을 수작업의 어려움 없이 금속 조형물 주물에서 신속하게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에 금속 조형물 주물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는 도 1 및 및 2와 같이 복수의 지지대(11, 12), 복수의 고정편(21, 22), 바퀴(C), 상부 연결대(31), 복수의 조임 고정구(41, 42), 폭조절바(51), 지지대 높이조절부재(60), 밀납 가열 부재(70), 조임 너트(N)를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대(11, 12)는 상호 마주하는 복수의 프레임(11a, 11a', 12a, 12a')이 하단측에 수평으로 연결된 연결대(11b, 12b)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ㄷ자 형태로 구비되는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로 구성된다.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는 각각의 프레임(11a, 11a', 12a, 12a')들 상단이 후술할 상부 연결대(31)에 의해 축연결되어 상부 연결대(31)를 축으로 하여 상, 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복수의 고정편(21, 22)은 제1 지지대(11)의 연결대(11b, 12b) 상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 고정편(21), 제2 지지대(12)의 연결대(11b, 12b) 상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2 고정편(22)으로 구성된다. 제1 고정편(21) 및 제2 고정편(22)은 블록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고정편(21)은 후술할 지지대 높이조절부재(60)의 설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와 같이 수직으로 긴 마름모꼴 형태로 형성되거나 수직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퀴(C)는 연결대(11b, 12b)들의 양단에 체결되어 복수의 지지대(11, 12)의 폭이 조절될 때 지면상을 구르면서 복수의 지지대(11, 12)의 폭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부 연결대(31)는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의 프레임(11a, 11a', 12a, 12a')들 상단측에 양단이 체결되어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의 상, 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의 회동축 역할 및 금속 조형물 주물(1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조임 고정구(41, 42)는 상부 연결대(31) 상에 상호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제1 조임 고정구(41) 및 제2 조임 고정구(42)로 구성된다. 제1 조임 고정구(41) 및 제2 조임 고정구(42)는 상부 연결대(31) 상에서 좌, 우로 이동되면서 상호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나사산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N)들에 의해 조절된 간격을 유지하여 상부 연결대(31)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복수의 조임 고정구(41, 42)는 금속 조형물 주물(100)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어 금속 조형물 주물(100)이 복수의 지지대(11, 12) 중앙에서 상부 연결대(31)에 고정되도록 한다.
폭조절바(51)는 제1 고정편(21) 및 제2 고정편(22)에 양단이 지지되며, 이때 일단은 제1 고정편(21)을 관통하여 제1 고정편(21)의 외부로 돌출되며, 이에 의해 제1 고정편(21)이 폭조절바(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 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폭조절바(5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 높이조절부재(60)는 제1 고정편(21)의 외면에 설치되어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 간의 이격 거리를 좁히거나 넓히면서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 높이조절부재(60)는 제1 조정 기어(61), 제2 조정 기어(62), 제3 조정 기어(63), 조절 레버(65), 스토퍼(64)를 포함한다.
제1 조정 기어(61)는 제1 고정편(21) 상의 외면측에 배치되어 폭조절바(51)의 제1 고정편(21)에 관통된 일단에 나사 체결된다.
제2 조정 기어(62)는 제1 고정편(21) 상에 축결합되어 제1 조정 기어(61)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조정 기어(61)에 치합된다.
제3 조정 기어(63)는 제1 고정편(21) 상에 축결합되어 제2 조정 기어(62)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2 조정 기어(62)에 치합된다.
조절 레버(65)는 제3 조정 기어(63)에 체결되어 수동 조작에 의해 제3 조정 기어(63)를 회전시킨다.
스토퍼(64)는 통상의 래칫 폴(ratchet pawl) 형태로 구성되고, 제1 고정편(21) 상에 설치되어 선단이 제3 조정 기어(63)에 치합되어 제3 조정 기어(63)가 일측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밀납 가열 부재(70)는 폭조절바(51) 중앙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며,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 사이 중앙에 배치되어 금속 조형물 주물(100) 내의 밀납을 가열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대차(71), 가스공급배관(72), 회전부재(74), 버너 회동조절레버(73), 버너관(75a)을 포함한다.
이동대차(71)는 하단 양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76)가 설치되고, 폭조절바(51)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전방측에 착탈홈(71a)이 형성된다.
가스공급배관(72)은 전방측이 ㄴ자로 절곡 형성되며, 이동대차(71)의 내부에 선단이 관통되어 이동대차(71)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후단에 가스공급관(90)이 연결된다.
회전부재(74)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관(74a) 및 연결관(74a)의 하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1 기어(74b)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대차(71)의 상면에서 하단이 이동대차(71)의 내부에 관통되어 제1 기어(74b)가 이동대차(71)의 내부에 위치되며, 이동대차(71)의 내부에서 가스공급배관(72)과 연통된다.
버너 회동조절레버(73)는 축(73a), 축(73a)의 일단에 구비되는 핸들(73c) 및 축(73a)의 다른 일단에 구비되는 제2 기어(73b)로 구성되고, 이동대차(71)의 후방측에서 이동대차(71)의 내부에 제2 기어(73b)측이 관통되어 제2 기어(73b)가 제1 기어(74b)와 치합된다.
버너(75)는 하단이 회전부재(74)의 연결관(74a)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이동대차(71)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버너관(75a), 그리고 버너관(75a)의 중심의 좌, 우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노즐(75b)로 구성되며, 버너 회동조절레버(73)를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제2 기어(73b) 및 제1 기어(74b)가 회전되면 이에 의해 좌, 우로 회전된다.
조임너트(80)는 폭조절바(51) 상에 나사 체결되어 이동대차(71)가 폭조절바(51)에 체결된 상태를 고정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의 특징 및 이점이 더욱 부각되도록 사용 상태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는 금속 조형물, 예를 들어 범종 등과 같은 원통형의 금속 조형물 주물 또는 판 형태의 금속 조형물주물을 고정시켜서 금속 주형물 주물의 제조 과정에 의해 금속 조형물 주물의 내측 또는 일면에 부착되어 있는 밀랍을 제거할 수 있다.
원통형의 금속 조형물 주물(100) 내면의 밀납을 제거하기 위하여, 먼저 밀납 가열 부재(70)의 이동대차(71)를 이동시켜서 이동대차(71) 전방의 착탈홈(71a)을 폭조절바(51)에 체결한다. 그리고 이동대차(71)의 양측면에 조임너트(80)를 조여서 이동대차(71)를 폭조절바(51)에 고정시킨다. 이때, 밀납 가열 부재(70)의 버너관(75a) 상에는 노즐(75b)들에 근접하게 스위치 조작이 가능한 점화장치(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금속 조형물 주물(100)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밀납 가열 부재(70)가 금속 조형물 주물(100)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며, 이때, 금속 조형물 주물(100)은 폭조절바(51)를 누르지 않도록 크레인에 매달려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는 최대한 낮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제1 조임 고정구(41) 및 제2 조임 고정구(42)가 금속 조형물 주물(100)의 상부측 둘레에 대응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1 조임 고정구(41) 및 제2 조임 고정구(42)를 고정하고 있는 너트(N)를 풀어서 제1 조임 고정구(41) 및 제2 조임 고정구(42)가 상부 연결대(31) 상에서 금속 조형물 주물(100) 둘레측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한 후, 제1 조임 고정구(41) 및 제2 조임 고정구(42)를 금속 조형물 주물(100)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고 너트(N)를 조여서 도 3과 같이 제1 조임 고정구(41) 및 제2 조임 고정구(42)가 금속 조형물 주물(100)에 밀착된 상태를 고정한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금속 조형물 주물(100)이 폭조절바(51)를 누르지 않도록 크레인 등의 장비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작업한다.
금속 조형물 주물(100)이 제1 조임 고정구(41) 및 제2 조임 고정구(42)에 고정되면 금속 조형물 주물(100)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지지대 높이조절부재(60)를 조작하여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조절한다.
이때,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은, 지지대 높이조절부재(60)의 조절 레버(65)를 작업자가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제3 조정 기어(63)가 스토퍼(64)의 간섭 없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3 조정 기어(63)에 치합된 제2 조정 기어(6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조정 기어(62)에 치합된 제1 조정 기어(6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1 조정 기어(61)는 회전되면서 폭조절바(51) 상의 나사산을 타고 폭조절바(51)의 중앙측으로 이동되며, 이와 함께 제1 고정편(21)이 폭조절바(51)의 중앙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 사이의 간격 폭이 좁아지며, 이에 의해 도 4와 같이 제1 지지대(11) 및 제2 지지대(12)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조절되고 금속 조형물 주물(100)이 지면으로부터 상승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스공급관(90)에 가스탱크 등의 가스공급수단과 연결된 가스공급관(90)을 연결하여 가스공급관(90)에 가스를 공급한다.
가스공급관(90)에 가스가 공급되면 공급된 가스는 가스공급관(90)에 연통된 회전부재(74)의 연결관(74a)을 통해 버너관(75a) 내에 유입되며, 버너관(75a)에 유입된 가스는 노즐(75b)들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고, 이때 작업자는 점화장치로 노즐(75b)을 점화하여 화염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버너(75)에서 형성되는 화염은 금속 조형물 주물(100) 내측의 밀납을 녹여서 제거하며, 밀납을 녹이는 과정에서는 버너 회동조절레버(73)를 좌, 우로 회전시켜서 버너(75)를 좌, 우로 회전시키면서 밀납을 제거한다.
여기서, 버너(75)의 회전 작용을 설명하면, 작업자가 버너 회동조절레버(73)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리면 버너 회동조절레버(73)의 축(73a) 선단에 구비된 제2 기어(73b)가 회전되면서 제2 기어(73b)에 치합된 제1 기어(74b)를 함께 회전시키고, 제1 기어(74b)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부재(74)가 회전되고, 회전부재(74)에 체결된 버너관(75a)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버너(75)를 좌, 우로 회전시키면서 금속 조형물 주물(100) 내의 밀납을 녹여서 금속 조형물 주물(100) 내측의 밀납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11 : 제1 지지대 12 : 제2 지지대
11a, 11a', 12a, 12a' : 프레임 11b, 12b : 연결대
21 : 제1 고정편 22 : 제2 고정편
31 : 상부 연결대 41 : 제1 고정 조임구
42 : 제2 조임 고정구 51 : 폭조절바
60 : 지지대 높이조절부재 61 : 제1 조정 기어
62 : 제2 조정 기어 63 : 제3 조정 기어
64 : 스토퍼 65 : 조절 레버
70 : 밀랍 가열 부재 71 : 이동대차
71a : 착탈홈 72 : 가스공급배관
73 : 버너 회동조절레버 73a : 축
73b : 제2 기어 73c : 핸들
74 : 회전부재 74a : 연결관
74b : 제1 기어 75 : 버너
75a : 버너관 75b : 노즐
80 : 조임너트 90 : 가스공급관
100 : 금속 조형물 주물

Claims (4)

  1. 상호 마주하는 복수의 프레임(11a, 11a', 12a, 12a')이 하단측에 수평으로 연결된 연결대(11b, 12b)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ㄷ자 형태로 구비되고 상, 하로 회동이 가능하게 상단이 축연결되어 상호 이웃하는 복수의 지지대(11, 12);
    상기 복수의 지지대(11, 12)의 프레임(11a, 11a', 12a, 12a')들 상단측에 양단이 체결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대(11, 12)의 상, 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상부 연결대(31);
    상기 상부 연결대(31) 상에 설치되어 상호 마주하며 상기 상부 연결대(31)의 나사산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N)들에 의해 상기 상부 연결대(31)에 고정되고 금속 조형물 주물(100)이 상기 복수의 지지대(11, 12) 중앙에 위치하도록 금속 조형물 주물(100)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조임 고정구(41, 42);
    상기 복수의 지지대(11, 12)들의 연결대(11b, 12b) 상의 중앙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편(21, 22);
    상기 복수의 고정편(21, 22)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대(11, 12) 간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11, 12)의 상, 하 회동에 의한 폭조절 및 폭조절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폭조절바(51);
    상기 폭조절바(51) 중앙에 착탈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대(11, 12) 사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조임 고정구(41, 42)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지지대(11, 12) 사이에 고정되는 금속 조형물 주물(100) 내의 밀납을 가열하여 제거하기 위한 밀납 가열 부재(70);
    상기 폭조절바(51)의 나사산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밀납 가열 부재(70)를 상기 폭조절바(51)에 고정하기 위한 조임너트(80);
    상기 연결대(11b, 12b)의 양단에 체결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대(11, 12)의 폭조절이 용이하도록 지면을 구르는 바퀴(C)를 포함하는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납 가열 부재(70)는
    하단에 이동 가능하게 바퀴(76)를 구비하고 상기 폭조절바(51)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전방측에 착탈홈(71a)을 갖는 이동대차(71),
    상기 이동대차(71)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대차(71)의 내부에 관통되는 가스공급배관(72),
    관 형태로 형성되어 하단에 제1 기어(74b)를 가지며 상기 이동대차(71)의 상면에서 상기 이동대차(71)의 내부에 관통되어 상기 제1 기어(74b)가 상기 이동대차(71)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가스공급배관(72)과 연통되는 회전부재(74),
    축(73a)의 일단에 구비되는 핸들(73c) 및 축(73a)의 다른 일단에 구비되는 제2 기어(73b)를 가지며 상기 이동대차(71)의 후방측에서 상기 이동대차(71)의 내부에 관통되어 상기 제2 기어(73b)가 상기 제1 기어(74b)와 치합되는 버너 회동조절레버(73),
    하단이 상기 회전부재(74)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이동대차(71)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버너관(75a), 버너관(75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노즐(75b)을 포함하며 상기 버너 회동조절레버(73)를 회전시키는 조작으로 상기 제1 기어(74b)의 회전에 의해 좌, 우 회전되는 버너(75)를 포함하는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대(11, 12)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11, 12)의 연결대(11b, 12b) 상에 설치된 상기 고정편(21, 22) 상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대(11, 12) 간의 이격 거리를 좁히거나 넓히면서 상기 복수의 지지대(11, 1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지지대 높이조절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높이조절부재(60)는
    상기 고정편(21, 22) 상의 외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폭조절바(51)와 나사 체결되는 제1 조정 기어(61),
    상기 고정편(21, 22) 상에 축결합되어 상기 제1 조정 기어(61)의 상측에서 상기 제1 조정 기어(61)와 치합되는 제2 조정 기어(62),
    상기 고정편(21, 22) 상에 축결합되어 상기 제2 조정 기어(62)의 상측에서 상기 제2 조정 기어(62)와 치합되는 제3 조정 기어(63),
    상기 제3 조정 기어(63)에 체결되어 상기 제3 조정 기어(63)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 레버(65),
    상기 고정편(21, 22) 상에서 상기 제3 조정 기어(63) 상측에 배치되고 선단이 상기 제3 조정 기어(63)에 치합되어 상기 제3 조정 기어(63)가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64)를 포함하는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
KR1020100060211A 2010-06-24 2010-06-24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 KR101039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211A KR101039642B1 (ko) 2010-06-24 2010-06-24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211A KR101039642B1 (ko) 2010-06-24 2010-06-24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642B1 true KR101039642B1 (ko) 2011-06-08

Family

ID=44405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211A KR101039642B1 (ko) 2010-06-24 2010-06-24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6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944A (ja) 1996-07-11 1998-01-27 France Bed Co Ltd ベッド装置
JP2010014157A (ja) 2008-07-01 2010-01-21 Inax Corp 棒状フレーム部材どうしの連結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944A (ja) 1996-07-11 1998-01-27 France Bed Co Ltd ベッド装置
JP2010014157A (ja) 2008-07-01 2010-01-21 Inax Corp 棒状フレーム部材どうしの連結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26789A (zh) 一种柔性夹具机构
US20170173645A1 (en) Helically traveling carriage and helically traveling cleaning machine
KR101039642B1 (ko) 금속 조형물 주물의 밀납 제거 장치
CN205733506U (zh) 一种新型金属焊接设备
CN207158445U (zh) 一种收缩膜对折焊边机
KR20130046599A (ko) 소재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CN212682417U (zh) 一种用于金属铸件生产的铁水浇注装置
KR20140034457A (ko) 평탄도 확보를 위한 파이프 벤딩기
KR101342462B1 (ko) 대형 타이어 탈부착기구
CN202656102U (zh) 一种板坯连铸机弯曲段喷嘴拆装专用扳手
CN203830985U (zh) 一种暖通管焊接中的夹具
CN209338389U (zh) 一种同步移动座
CN206122342U (zh) 一种可防止热轧卷板扁卷的装置
KR101261795B1 (ko) 세그멘트 롤 분해조립장치
DE2062101C3 (de) Verfahren zum stellenweisen Auf bringen eines rutschfesten Belages auf den Boden von emaillierten Bade oder Brause wannen aus Stahl oder Gußeisen und Vorrichtung zur Ausfuhrung des Ver fahrens
CN206643552U (zh) 一种用于h型排水管的焊接装置
CN210551167U (zh) 一种方便更换模具的汽车玻璃标记用加工装置
JP2012254033A (ja) クレープ生地を伸ばすための器具及び方法
CN203580131U (zh) 滤清器滤芯端盖加热装置
CN211564814U (zh) 一种数控等离子切割机
CN210548759U (zh) 一种便于维护的自动埋弧焊机
CN207874091U (zh) 一种方便快捷的esp产线喷嘴拆装工具
ITMO20130276A1 (it) Braccio portautensili per macchine smontagomme
JP5137697B2 (ja) 作業台
CN215447436U (zh) 辊棒更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