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967B1 - 배수구 덮개 - Google Patents

배수구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967B1
KR101037967B1 KR1020100075074A KR20100075074A KR101037967B1 KR 101037967 B1 KR101037967 B1 KR 101037967B1 KR 1020100075074 A KR1020100075074 A KR 1020100075074A KR 20100075074 A KR20100075074 A KR 20100075074A KR 101037967 B1 KR101037967 B1 KR 101037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rain
washing
filter fram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용
Original Assignee
박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용 filed Critical 박호용
Priority to JP2012538751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3509980A/ja
Priority to US13/509,024 priority patent/US20130127263A1/en
Priority to PCT/KR2010/007813 priority patent/WO2011059208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적용되는 배수구 덮개에 관한 것으로, 세탁용수의 배수 과정에서 세척볼들이 세탁용수와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되, 세척볼을 제외한 나머지 이물질과 세척용수의 배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수구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서랍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름 틀과, 상기 거름 틀을 수납하여 상기 거름 틀이 세탁기 배수구 상에 위치하도록 고정하는 수납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거름 틀의 내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거름 부재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배수구 덮개에 관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배수구 덮개{drain cover}
본 발명은 세탁기에 사용되어 세척볼이 배수와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구 덮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조와 저수조 사이의 세척을 수행하는 세척볼이 세탁용수와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머리카락이나 실 그리고 동전이나 단추와 같은 나머지 이물질 그리고 세탁용수는 원활하게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한 배수구 덮개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의 세탁조와 저수조의 사이 공간에 소정의 부력을 지니는 세척볼을 삽입하고 세탁을 수행하면, 세탁 과정에서 세탁용수의 흐름에 편승하여 이리 저리 부유하면서 세탁조 및 저수조를 마찰하는 원리로 세탁기 내부의 오물을 세척하는 기술이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0-0001434호(관련기술1)에 의해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관련기술1에 따른 세척볼의 세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듯, 세탁기(10)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 내부 공간에는 세탁용수를 담기 위한 저수조(11)가 설치되고, 저수조(11)의 내측 하단부에는 모터와 연결된 펄세이터(13)가 구비되어 세탁용수의 회전수류를 형성하며, 저수조(11)의 내측에는 세탁물을 담기 위한 세탁조(12)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세탁조(12)의 안쪽에서 소정의 수류 가이드(14)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저수조(11)와 세탁조(12) 사이 및 세탁조(12)와 수류 가이드(14) 사이에는 통상 수 cm 내지 십수 cm 간격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세탁조(12)와 수류 가이드(14)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세탁용수가 상기 홀을 통해 자유롭게 유입 또는 유출되므로 저수조(11), 세탁조(12) 및 수류 가이드(14)는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세척볼(100)은 세탁기(10)의 저수조(11)와 세탁조(12) 사이, 세탁조(12)와 수류 가이드(1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된다. 그리고 세탁용수가 공급됨에 따라 세탁용수의 일정 수심에서 부유하고 있다가 펄세이터(13)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회전수류에 따라 다이나믹하게 이동하면서 저수조(11), 세탁조(12) 및 수류 가이드(14)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물을 마찰에 의해 제거한다. 또한 펄세이터(13) 근처까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펄세이터(13)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물을 제거한다.
한편, 세탁기의 세탁조와 저수조의 사이 공간에 영구 자석을 내포하는 소정의 세척볼을 삽입하고, 저수조의 외곽에 구비된 코일 권선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장으로 상기 세척볼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세탁기 내부의 오물을 세척하는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10-0009467호(관련기술2)에 의해 제안된 바 있다.
관련기술1 및 관련기술2은 세탁용수가 채워진 상태에서의 세척볼의 움직임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지만 실제로 세척볼을 이용하여 세탁기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1회 이상의 급수(給水) 과정과 배수(排水) 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각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다음의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즉, 세탁기의 배수구에는 통상의 배수구에 사용되는 이물질 거름용 배수구 덮개가 없으므로 배수 과정이 진행될 때 다수의 세척볼들이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버리거나, 세척볼이 배수구 부위에 한꺼번에 모여들 경우 원활한 배수를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1회의 세탁기 세척만으로는 원하는 만큼의 세척 효과를 기대하기 힘드므로 복수 회의 세척을 수행하여야 할 때 위와 같이 세척볼들이 외부로 배출되어 버리면 매회의 세척 과정에서 세척볼들을 세탁기 내에 보충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세척볼에 의해 원활한 배수가 방해받으면 그만큼 세척 시간이 길어지고, 세척된 오염물질들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은 상태로 다음 단계의 급수가 이루어지므로 세척 효율이 저감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배수 과정에서 세척볼들이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배수구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상기 배수구 덮개 부위에 세척볼들과 다수의 이물질이 집중되더라도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구 덮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급수 과정에서 배수구 덮개 부위에 집중되어 있는 세척볼들이 급수 과정에서 용이하게 상기 배수구 부위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볼록 반구 형상의 주 몸체(20)와, 상기 주 몸체(20)를 세탁기의 배수구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 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 몸체(20)에는 제1 직경의 원형 배수 홀과 거름 부재형의 배수 홀이 각각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를 일 실시예로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각형의 서랍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름 틀(40)와, 상기 거름 틀(40)을 세탁기 배수구의 위치에 고정 수납하는 수납 몸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거름 틀(40)의 내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거름 부재(41)가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를 다른 실시예로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두 번째 실시예의 배수구 덮개는 그 내부에 솔레노이드 코일(61)을 내장하는 프레임(62)과, 상기 프레임(62)을 세탁기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부(63)를 포함하는 자성체 유도수단(6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자성체 유도수단(60)은 상기 수납 몸체(50)의 상부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세탁기의 배수구로 세척볼이 배출될 가능성이 없으므로 여러 번의 세척 과정을 반복하더라도 매번 번거롭게 세척볼을 보충해 넣을 필요가 없다. 또한 세척볼들과 다수의 이물질들이 배수구 부근에 집중되더라도 실시예들의 배수구 덮개 구조로 인해 최대한의 배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수구 주변에 몰려 있던 세척볼들이 배수구를 원활하게 벗어날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다음 단계의 세척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관련기술1에 따른 세척볼의 세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배수구 덮개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 1의 배수구 덮개가 세탁기 배수구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에서 거름 틀을 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에서 거름 틀의 수납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가 세탁기에 장착되는 구조를 표현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배수구 덮개 주위에 저지턱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9는 실시예 3에 따른 거름 틀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은 실시예 3에 따른 거름 틀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거름 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베르누이의 원리를 적용한 배수구 덮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에서 "세척볼"이라 함은 관련기술1(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0-0001434호) 또는 관련기술2(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10-0009467호)에 설시된 세척볼을 가리킨다.
도 2는 실시예 1의 배수구 덮개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다.
실시예 1의 배수구 덮개는 크기 및 형상이 상이한 복수의 배수 홀 그룹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각 배수 홀 그룹은 동일한 형상의 배수 홀을 복수 개 포함한다. 도 2의 예에서, 배수구 덮개는 볼록 반구 형상의 주 몸체(20)와 주 몸체(20)를 세탁기의 배수구에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고정 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 몸체(30)는 수평 원형 띠 형상의 판 부(31)와 수직 원형 띠 형상의 배수구 장착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 몸체(20)에는 큰 원형의 다공들로 이루어진 제1 배수 홀 그룹과, 거름 부재형의 다공들로 이루어진 제2 배수 홀 그룹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 몸체(30)의 판 부(31)에는 작은 원형의 다공들로 이루어진 제3 배수 홀 그룹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3 배수 홀 그룹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옵션 사항이다.
고정 몸체(30)에서 배수구 장착부(32)의 측면에는 배수구 덮개를 세탁기의 배수구에 삽입한 후 고정하기 위한 고정 홈(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세탁기의 배수구 안쪽에는 상기 고정 홈(33)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수 홀 그룹에 속하는 각 배수 홀을 제1 배수 홀이라 하고, 제2 배수 홀 그룹에 속하는 각 배수 홀을 제2 배수 홀이라 하며, 제3 배수 홀 그룹에 속하는 각 배수 홀을 제3 배수 홀이라 할 때, 제1 배수 홀의 면적이 제일 크고 제2 배수 홀의 면적이 그 다음으로 크며 제3 배수 홀의 면적이 가장 작다. 이는 베르누이의 정리(Bernoulli equation)를 적용한 결과로서, 넓은 면적의 배수 홀에는 세척볼이 적게 집중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배수 홀에는 세척볼이 많이 집중되므로 배수구의 급격한 막힘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
즉,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르면 유체의 속력이 증가하면 유체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고 반대로 속력이 감소하면 내부 압력이 높아지는데, 큰 구멍의 제1 배수 홀에서는 세척용수의 내부 압력이 낮고 작은 구멍의 제3 배수 홀에서는 세척용수의 내부 압력이 높으므로 배수구 주위의 세척용수는 제1 배수 홀 쪽 보다는 제2 배수 홀 쪽으로 흐르게 되고, 만약 제3 배수 홀이 형성되어 있다면 제1 배수 홀 또는 제2 배수 홀 쪽 보다는 제3 배수 홀 쪽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대다수의 세척볼들도 세척용수의 흐름에 편승하여 제3 배수 홀 쪽으로 모이므로, 제1 배수 홀 및 제2 배수 홀은 세척볼들의 방해를 받지 않게 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실시예 1의 배수구 덮개의 지름은 세탁기 배수구의 지름보다 소정의 크기 만큼 크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소한 두 배가 넘게 설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배수구 덮개에 세척볼들이 달라붙을 때 일부의 배수 홀이 가려지더라도 그 외에 충분한 배수 유입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배수구 덮개가 세탁기 배수구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보듯, 세탁기 저수조의 중심에는 세탁기 모터(또는 배수 모터)가 장착되고 그 주위의 소정의 위치에 실시예 1의 배수구 덮개가 장착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거름 부재 쌍을 구비하는 배수구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세척볼"이라 함은 특히 관련기술2(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10-0009467호)에 설시된 세척볼을 가리킨다.
도 4는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다.
도 4에서 보듯,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는 세척볼을 걸러내기 위한 소정의 거름 부재를 구비하는 거름 틀(40)과, 거름 틀(40)을 수납하여 세탁기 배수구의 위치에 고정하는 수납 몸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는 이해를 돕기 위해 거름 틀(40)을 따로 도시한 것이다.
거름 틀(40)은 상향면과 하향면이 개방된 사각 함의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도 5의 예와 같이 사각 서랍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각 서랍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서랍의 손잡이부에 해당하는 측면에는 거름 틀(40)을 수납 몸체(50)에 피스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42)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거름 틀(40)의 내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빗(comb) 형상의 거름 부재(41)가 한 쌍으로 마주보며 형성된다. 거름 부재(41)의 경사도, 거름 부재(41)를 구성하는 각 거름 살 간의 간격 및 거름 살의 길이는 거름 부재(41) 간의 이격 틈 및 거름 살 간의 간격으로 세척볼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머리카락, 실, 동전 등과 같은 이물질 및 세척용수는 최대한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거름 부재(41)가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며 기울어짐 없이 수평을 유지할 수도 있고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거름 틀(40)에 의하면, 머리카락이나 실과 같이 가늘고 긴 이물질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통상 이물질의 여과를 위한 격자형의 거름망의 경우, 거림 살들이 교차되는 지점에 가늘고 긴 이물질이 엉키게 되고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게 되므로 원활한 배수를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된다. 반면 본 발명의 거름 틀(40)에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빗(comb) 형상의 두 거름 부재(41)가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두 거름 부재(41)의 사이에는 이격 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설령 거름 살에 머리카락이나 실이 엉기는 경우에도 거름 살이 갖는 기울기와 배수에 의하여 머리카락이나 실이 거름 살을 따라 미끄러져 내림으로써 머리카락이나 실에 의한 배수구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거름 부재(41)는 거름 살들의 테두리가 한 개의 폐곡선에 의해 형성된 구조이므로, 가늘고 긴 이물질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반면, 격자형의 거름망의 경우 다수개의 폐곡선을 구비하는 관계로 가늘고 긴 이물질이 쉽게 엉기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두 거름 부재(41)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틈은 동전이나 단추 들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충분한 거리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 몸체(50)는 그 일측면에 거름 틀(4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상위면에는 세척용수를 받아들이기 위해 배수 입구(51)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배수 입구(51)를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고 사각형 외의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위면에는 수납 몸체(50)를 세탁기 배수구에 결합 고정하기 위해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되는 배수 출구(52)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 출구(52)가 세탁기 배수구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 배수 출구(52)의 지름은 세탁기 배수구의 지름보다 작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름 틀(40)에 여러 가지 세탁 이물질들이 누적되어 배수 효율이 낮아지면 거름 틀(40)을 수납 몸체(50)에서 이탈시켜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다시 수납할 수 있으므로 유지비가 적게 소요되며 관리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도 6은 거름 틀(40)이 수납 몸체(50)에 수납되는 모습을 이해하기 쉽도록 표현한 것이다.
한편, 세척용수의 배수 과정에서 다수의 세척볼들은 배수구 덮개의 수납 몸체(50)과 거름 틀(40) 사이의 공간에 몰리게 된다. 이 경우, 도 4에서 보듯 상기 공간은 함몰형으로 형성되므로 인위적으로 세척볼들을 끄집어 내 주지 않으면 급수가 진행되더라도 세척볼들이 상기 공간에서 자연스럽게 빠져나올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는, 수납 몸체(50)의 상단에 위치하면서 솔레노이드 코일을 이용하여 세척볼을 상기 공간으로부터 끄집어 내주는 자성체 유도수단(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관련기술2의 세척볼은 그 중심에 자성체(일례로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있으므로 솔레노이드 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장에 이끌려 수납 몸체(50)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자성체 유도수단(60)은 세척볼들이 용이하게 수납 몸체(50)으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수납 몸체(50)의 상향부에 위치하게 된다. 자성체 유도수단(60)은 그 내부에 솔레노이드 코일(61)을 내장하는 프레임(62)과, 프레임(62)을 세탁기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세탁기의 저수조 밑판, 세탁기의 배수 모터부 일단 등)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부(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62)과 브라켓부(63)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가 세탁기에 장착되는 구조를 표현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의 예에서, 수납 몸체(50)는 저수조 밑판의 하부에 장착되고, 자성체 유도수단(60)은 수납 몸체(50)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저수조 밑판에 고정 장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코일(61)은 배수 과정에서만 동작하는 것이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필요하므로 코일(61)이 세탁기 배수 모터의 구동부(미도시)와 연동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솔레노이드 코일(61)에 구동 전압이 인가될 때 세척볼들이 수납 몸체(50)를 벗어날 수 있을 정도로만 부양되도록 적절한 크기의 전자기장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적절한 크기의 전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코일(61)의 감김 횟수(또는 촘촘히 감긴 정도)를 조절하여 구현하거나, 별도의 구동 전압 강하(또는 승압) 회로를 자성체 유도수단(60)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자성체 유도수단(60)으로 배수구 덮개의 함몰 공간에 유입된 세척볼들을 끄집어내기에 앞서 세척볼들이 상기 함몰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저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 주위에는 복수의 돌기 판들로 구성되는 저지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배수구 덮개 주위에 저지턱(70)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8의 예에서 보듯, 저지턱(70)은 복수의 삼각판(71)들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전체적으로 4각의 형상으로 배수구 덮개를 에워싸도록 구현된다. 이는 각 삼각판(71) 사이의 공간으로 세척용수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저지턱(70)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배수 시간이 지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세척볼들은 저지턱(70)을 곧바로 넘기보다는 저지턱(70)의 삼각판(71) 쪽으로 먼저 유도되므로 세척볼들이 함몰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삼각판(71)은 반드시 정확한 삼각형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샤크 지느러미 형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탄성수단에 의해 거름 부재의 경사각이 형성되는 배수구 덮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2에서는 거름 틀(40)의 내측에 거름 부재(41)가 소정의 각도로 고정되어 형성되는 데 비해, 실시예 3의 거름 틀(400)은 평상시에 거름 부재(410)가 수평으로 유지되고 있다가 세척볼 등과 같은 이물질이 도달하면 그 무게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순간적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이물질이 제거되면 소정의 탄성 부재에 의해 다시 수평으로 되돌아오는 구조로 구현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도 9는 실시예 3에 따른 거름 틀(400)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9의 일례에 의하면, 2개의 거름 부재(410)가 하나의 쌍으로 구비되며 각 거름 부재(410)는 몸체(411)와 복수의 거름 살(412)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411)의 양 측면에는 거름 부재(410)를 거름 틀(40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413)가 형성되는데, 이에 상응하여 거름 틀(400)의 내측에는 거름 부재(410)의 결합 돌기(413)들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 홈(401)이 4개 형성된다.
아울러, 도 9의 거름 틀(400)은, 거름 부재(410)가 평소에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거름 부재(410) 위로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물체가 놓여지면 거름 부재(410)가 아래로 기울어지지만 상기 물체가 없어지면 다시 수평 상태로 회복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거름 부재(410)에 제공하는 탄성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미도시)의 예로 'A'자형 스프링 또는 고리 형상의 판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거름 틀(400)의 내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거름 부재(410)의 위에 놓여지는 물체 중의 하나는 세척볼일 수 있다. 다만 세척볼의 무게로 인해 거름 부재(410)가 기울어지되 세척볼이 배수구 덮개를 통과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거름 부재(410)의 몸체(411) 또는 거름 부재(410)의 몸체와 긴 방향으로 맞닿는 거름 틀(400)의 내측면에는 거름 부재(410)가 소정의 각도에서 경사 이동을 멈추고 더 이상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4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톱퍼(440)의 형상 및 형성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단순 돌기형 또는 삼각 돌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 3에 따른 거름 틀(4000)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거름 틀(400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의 일례에 의하면, 거름 틀(4000)에는 하나의 거름 부재(4100)가 구비되며 각 거름 부재(4100)는 몸체(4110)와 복수의 거름 살(4120)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4110)의 양 측면에는 거름 부재(4100)를 거름 틀(400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4130)가 형성되는데, 이에 상응하여 거름 틀(4000)의 내측에는 거름 부재(4100)의 결합 돌기(4130)들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 홈(4010)이 2개 형성된다.
아울러, 도 10의 거름 틀(4000)은, 거름 부재(4100)가 평소에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거름 부재(4100) 위로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물체가 놓여지면 거름 부재(4100)가 아래로 기울어지지만 상기 물체가 없어지면 다시 수평 상태로 회복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거름 부재(4100)에 제공하는 탄성 부재(4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4140)의 예로 'A'자형 스프링 또는 고리형 판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11a 및 도 11b에서 보듯, 거름 틀(4000)의 내측 및 거름 부재(4100)의 하부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 끝단이 고정되는 스프링 걸이턱(4141)이 형성될 수 있다.
거름 틀(4000)의 내측면에는 거름 부재(4100)가 소정의 각도에서 경사 이동을 멈추고 더 이상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하부 스톱퍼(4400-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름 틀(4000)의 일측 상부에는 거름 부재(4100)의 거름 살(4120)이 더 이상 탄성 부재(4140)에 의해 상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상부 스톱퍼(4400-2)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스톱퍼(4400-1)는 기울어진 직사각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부 스톱퍼(4400-2)는 거름 틀(4000)의 일측의 상부 양쪽에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특정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거름 부재(410, 4100)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부재라면 어떤 것이라도 탄성 부재(도 9에 미도시, 도 10에서 4140)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각 탄성 부재의 특성에 맞도록 고정 홈(도 9에 미도시, 도 11a에서 4141)이 적절히 수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고정 홈의 수정은 역류 방지용 배수구 덮개의 기술분야에서 다수가 공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동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에서 거름 틀(400, 4000)을 제외한 수납 몸체(50), 자성체 유도수단(60) 및 저지턱(70)의 구성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1과 같은 통상의 세탁기 외에 드럼 세탁기의 배수구에도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하여 당업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실시예 1>
주 몸체(20) 고정 몸체(30)
고정 홈(33)
<실시예 2>
거름 틀(40) 수납 몸체(50)
거름 부재(41) 배수 입구(51)
배수 출구(52) 자성체 유도수단(60)
솔레노이드 코일(61) 프레임(62)
브라켓부(63) 저지턱(70)
<실시예 3>
거름 틀(400, 4000) 결합 홈(401, 4010)
거름 부재(410, 4100) 몸체(411, 4110)
거름 살(412, 4120) 결합 돌기(413, 4130)
탄성 부재(4140)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서랍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름 틀(400)과,
    상기 거름 틀(400)을 수납하여 상기 거름 틀(400)이 세탁기 배수구 상에 위치하도록 고정하는 수납 몸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거름 틀(400)의 내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구조를 가지며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는 거름 부재(410)가 형성되되,
    상거 거름 틀(400)과 거름 부재(410)는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거름 부재(410)는 몸체(411)와, 상기 몸체(411)에 구비된 복수의 거름 살(412)들과, 상기 거름 부재를 상기 거름 틀에 결합하기 위해 몸체(411)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 돌기(4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름 틀의 내측에는 상기 거름 부재의 결합 돌기(413)들과 결합되는 결합 홈(4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4. 서랍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름 틀(4000)과,
    상기 거름 틀(4000)을 수납하여 상기 거름 틀(4000)이 세탁기 배수구 상에 위치하도록 고정하는 수납 몸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거름 틀(4000)의 내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구조를 가진 거름 부재(4100)가 단일로 형성되되,
    상거 거름 틀(4000)과 거름 부재(4100)는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거름 부재(4100)는 몸체(4110)와, 상기 몸체(4110)에 구비된 복수의 거름 살(4120)들과, 상기 거름 부재를 상기 거름 틀에 결합하기 위해 몸체(411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 돌기(4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름 틀의 내측에는 상기 거름 부재의 결합 돌기(4130)들과 결합되는 결합 홈(40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 부재(4100)가 경사 방향으로 기울어졌다가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도록 상기 거름 부재(4100) 및 상기 거름 틀(4000)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부재(4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7. 제3항 또는 제4항 있어서,
    내부에 솔레노이드 코일(61)을 내장하는 프레임(62)과,
    상기 프레임(62)을 세탁기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부(63)를 포함하는 자성체 유도수단(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 유도수단(60)은 상기 수납 몸체(50)의 상부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유도수단(60)의 솔레노이드 코일(61)은 세탁기의 배수 펌프 구동계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덮개의 주위에는 복수의 돌기 판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4각의 형상을 형성하는 저지턱(7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00075074A 2009-11-10 2010-08-03 배수구 덮개 KR101037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538751A JP2013509980A (ja) 2009-11-10 2010-11-05 洗濯機洗浄ボールの誘導装置及び洗浄ボールのための排水口蓋
US13/509,024 US20130127263A1 (en) 2009-11-10 2010-11-05 Washer washing ball inductive device and a drain cover for the washing balls
PCT/KR2010/007813 WO2011059208A2 (ko) 2009-11-10 2010-11-05 세탁기 세척볼의 유도 장치 및 세척볼을 위한 배수구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0759 2010-01-22
KR2020100000759 2010-0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7967B1 true KR101037967B1 (ko) 2011-05-30

Family

ID=44366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074A KR101037967B1 (ko) 2009-11-10 2010-08-03 배수구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9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3146A (zh) * 2012-06-08 2012-10-17 海尔集团公司 一种洗衣机内桶结构及具有该内桶的洗衣机
CN102733147A (zh) * 2012-06-08 2012-10-17 海尔集团公司 一种具有自清洁桶壁功能的洗衣机内桶及洗衣机
CN102733148A (zh) * 2012-06-08 2012-10-17 海尔集团公司 一种洗衣机内桶底部的法兰盘安装结构及洗衣机
WO2013181901A1 (zh) * 2012-06-08 2013-12-12 海尔集团公司 一种自清洁洗衣机及控制方法
KR20170100030A (ko) * 2015-01-16 2017-09-01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자동세척 세탁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4929A (ko) * 2006-02-22 2007-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4929A (ko) * 2006-02-22 2007-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3146A (zh) * 2012-06-08 2012-10-17 海尔集团公司 一种洗衣机内桶结构及具有该内桶的洗衣机
CN102733147A (zh) * 2012-06-08 2012-10-17 海尔集团公司 一种具有自清洁桶壁功能的洗衣机内桶及洗衣机
CN102733148A (zh) * 2012-06-08 2012-10-17 海尔集团公司 一种洗衣机内桶底部的法兰盘安装结构及洗衣机
WO2013181901A1 (zh) * 2012-06-08 2013-12-12 海尔集团公司 一种自清洁洗衣机及控制方法
EP2860303A4 (en) * 2012-06-08 2016-01-06 Haier Group Corp SELF-CLEANING WASHING MACHINE AND CONTROL PROCESS THEREFOR
US9605368B2 (en) 2012-06-08 2017-03-28 Haier Group Corporation Self-cleaning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00030A (ko) * 2015-01-16 2017-09-01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자동세척 세탁기
KR102375448B1 (ko) * 2015-01-16 2022-03-17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자동세척 세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967B1 (ko) 배수구 덮개
US9222209B2 (en) Washing machine
US7406843B2 (en) Remote sump with film heater and auto purge
EP2860303B1 (en) Self-cleaning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KR101360205B1 (ko)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세탁기
US9644302B2 (en) Washing machine
JP2013509980A (ja) 洗濯機洗浄ボールの誘導装置及び洗浄ボールのための排水口蓋
KR20140018920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US10443177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76876B1 (ko) 여과포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홈형성수단을 포함하는 섬유디스크필터
US20190264368A1 (en) Washing machine
KR100907912B1 (ko)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KR100778688B1 (ko) 드럼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 장치
JP2020022622A (ja) フィルター装置、及び洗濯機
JP6372672B2 (ja) 洗濯機の排水装置および洗濯機
KR20100085497A (ko) 액체 저장조용 필터 및 그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용 액체 저장조
JP5767282B2 (ja) 洗濯機
JP2017079922A (ja) 洗濯機
JP2006255317A5 (ko)
JP7142206B2 (ja) 洗濯機
JP2014226176A (ja) 洗濯機用ろ過装置及びこれを取り付けた洗濯機
KR20180061655A (ko) 의류처리장치
KR100751781B1 (ko) 드럼세탁기의 보풀 제거구조
KR20100093274A (ko) 필터어셈블리
KR102560454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