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655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61655A KR20180061655A KR1020160161067A KR20160161067A KR20180061655A KR 20180061655 A KR20180061655 A KR 20180061655A KR 1020160161067 A KR1020160161067 A KR 1020160161067A KR 20160161067 A KR20160161067 A KR 20160161067A KR 20180061655 A KR20180061655 A KR 201800616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filter
- drum
- collecting
- rib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의 투입구가 구비되고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저장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벽에 구비되되 상기 드럼의 하부에서 상기 투입구를 향하여 연장되어 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를 따라 이동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로부를 따라 구비되어 이물질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바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부 내부의 물을 상기 바디로 유입시키는 유입부, 상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로 유입된 물에서 이물질을 여과하여 상기 드럼으로 배출하는 제1필터,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에 유입된 물을 일면을 따라 상기 바디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바디의 상부로 이동한 물을 타면을 따라 상기 바디의 하부 또는 상기 제1필터로 이동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를 말하는데,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류를 형성하는 교반부를 포함한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상기 드럼에 구비되어 교반부의 회전 시 물을 드럼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에 구비되어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
상기 교반부가 상기 드럼에서 회전하면 상기 교반부에 의해 밀려나는 물이 상기 드럼에 내벽에 구비된 유로부로 유입하게 되고, 상기 유로부에 유입된 물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여과되어 다시 드럼으로 배출되었다.
상기 과정이 반복되면서, 상기 터브에 수용된 물에 의류에서 떨어져 나온 이물질이나 보푸라기, 린트(이하 이물질) 등이 상기 필터부에 여과되어, 세탁완료시 상기 의류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필터부는 상기 필터부로 유입되는 물에 유로저항을 주는 부재가 구비되지 않아 상기 필터부로 물이 아무런 저항없이 유입되고 그대로 배출되는 구조였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에는 상기 필터부에 이물질을 포함한 물이 유입되었을 때 상기 이물질이 상기 필터부 내부에서 떠다니다가 상기 필터부에서 물이 빠지면 필터부의 표면 및 하부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 과정이 반복되면, 상기 이물질은 물이 상기 필터부에 유입될때마다 상기 필터부에서 떠다니며 더욱 많이 상기 필터부의 표면 및 하부에 놓인다.
이때, 상기 필터부의 표면에 부착된 상기 이물질은 자중에 의해 상기 필터부 하부로 적층되게 되므로 상기 필터부의 하부에는 상기 이물질이 적층되게 된다.
이로써,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필터부가 용량이 크더라도 상기 이물질이 상기 필터부의 하부에만 쌓이게 되므로 상기 필터부가 상기 이물질을 수용하는 용량이 커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필터부 하부에 상기 이물질이 적층되어 있어 상기 필터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거나, 새로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필터부 하부에 상기 이물질이 적층되어 상기 이물질이 오히려 상기 필터부를 이탈하여 상기 드럼으로 재유입되어 의류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필터부는 상기 유로부에 유입된 물의 일부는 상기 필터부 상부로 끝까지 유동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필터가 구비된다고 할지라도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 위치한 필터는 상기 필터부의 하부에 위치한 필터보다 여과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필터부의 하부에만 집중적으로 이물질이 적층되어 유로를 막아, 상기 필터부의 상부가 여과능력이 남아 있다고 할지라도 이물질을 여과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필터부에 여과된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포집수단이 구비되어도, 상기 필터부에 상부에 구비된 포집수단은 물과 이물질에 접촉할 수 있는 횟수 및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필터부의 길이를 더 길게 구비하여도, 여과능력이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필터부 전 영역에 물을 고르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필터부의 전 영역에 물을 순환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필터부에 유입된 물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포집된 이물질을 고정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필터부의 전체 영역이 여과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필터부에 고르게 이물질이 여과되어 분포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필터부에 여과되어 잔존하는 이물질이 다시 드럼이나 터브로 배출되지 않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의 투입구가 구비되고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저장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벽에 구비되되 상기 드럼의 하부에서 상기 투입구를 향하여 연장되어 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를 따라 이동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로부를 따라 구비되어 이물질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바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부 내부의 물을 상기 바디로 유입시키는 유입부, 상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로 유입된 물에서 이물질을 여과하여 상기 드럼으로 배출하는 제1필터,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에 유입된 물을 일면을 따라 상기 바디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바디의 상부로 이동한 물을 타면을 따라 상기 바디의 하부 또는 상기 제1필터로 이동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는 유로부와 나란하게 구비되는 베이스와,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서 상기 드럼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베이스의 타측면에서 상기 드럼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바디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제1플랜지를 따라 상승시키는 제1리브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제2플랜지를 따라 상승시키는 제2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리브는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1리브 사이로 안내하는 제1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리브는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제2플랜지와 상기 제2리브 사이로 안내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리브와 상기 제2리브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로 이동한 물이 상기 바디의 하부로 이동할 때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구비되는 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포집부는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어 구비되는 포집판과, 상기 포집판에서 상기 드럼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포집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포집돌기는 단면이 아래로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리브는 상단에 상기 포집판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리브와 상기 제1플랜지 사이에 유입된 물을 상기 포집판으로 안내하는 제1안내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리브는 상단에 상기 포집판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2리브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에 유입된 물을 상기 포집판으로 안내하는 제2안내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는 상기 포집판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판은 상기 고정돌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포집판은 일측이 절곡되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에 분리되는 힘을 가압받을 수 있는 착탈유도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포집부는 상기 포집판을 따라 이동하는 물을 여과하거나 상기 포집판에 포집된 이물질을 고정하는 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부는 상기 포집판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되 상기 포집판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포집판을 따라 유동하는 물을 여과하여 상기 드럼으로 배출하는 제2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는 상기 포집판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주면이 형성하는 부분을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2필터는 메쉬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제1필터와 상기2필터의 메쉬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포집판은 상기 고정프레임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착탈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돌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필터는 상기 바디에 의해 형성되는 면들 중 상기 드럼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면에만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필터와 나란하게 구비된 상기 바디의 일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되, 상기 바디의 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제1필터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바디에 유입된 이물질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포집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 내부를 향해서만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바디에 물이 유입되면 상기 가이드판의 배면에 가까워지도록 회전하고, 상기 바디에 물의 유입이 중단되면 상기 가이드판의 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유입부를 개폐하는 역류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는 상기 유로부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유입부가 구비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내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필터가 고정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물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유로부로 이동시키는 교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필터부 전 영역에 물을 고르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필터부의 전 영역에 물을 순환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필터부에 유입된 물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포집된 이물질을 고정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필터부의 전체 영역이 여과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필터부에 고르게 이물질이 여과되어 분포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필터부에 여과되어 잔존하는 이물질이 다시 드럼이나 터브로 배출되지 않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필터부 및 유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필터부의 상부까지 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필터부에 여과된 이물질을 고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필터부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필터부 및 유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필터부의 상부까지 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필터부에 여과된 이물질을 고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필터부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3),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드럼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드럼에 저장된 의류를 인출하는 투입구(11), 상기 투입구(11)를 개폐하는 도어(13)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3)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31)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터브 바디(31)는 터브 지지부(35)를 통해 캐비닛(1)에 고정된다. 상기 터브 바디(31)의 상부면에는 상기 투입구(11)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33)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 바디(31)는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관(151),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밸브(1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51)이 터브 바디(31)의 상부에 위치될 경우, 상기 터브 바디(31)에는 상기 급수관(151)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로 유입시키는 급수홀(3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홀(37)은 상기 터브 바디(31)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31)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배수부는 터브 바디(31) 내부의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171) 및 배수펌프(1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5)은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바디(5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51)는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 바디(51)는 드럼 투입구(53)를 통해 상기 투입구(11)에 연통한다. 상기 드럼 바디(51)의 원주면과 바닥면에는 터브 바디(31) 내부의 물을 드럼 바디(51) 내부로 유입시키는 다수의 드럼 관통홀(55)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5)에는 드럼 바디(5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교반부(57)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교반부(57)가 회전하면 드럼 바디(51) 내부에는 수류가 형성된다.
상기 교반부(57)는 구동부(7)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는 터브 바디(31)의 외부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71),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73),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교반부(57)와 상기 로터(73)를 연결하는 회전축(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75)은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교반부(57)는 상기 회전축(75)에 고정되는 허브(751),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베인(573, vane)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7)에 의해 교반부(57)가 회전하면, 상기 드럼 바디(51) 내부에 저장된 물은 드럼 바디(51) 내부에서 베인(573)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교반부(57)의 회전 시 드럼 바디(51) 내부의 물을 드럼의 하부에서 드럼의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유로부(8), 상기 유로부로 유입된 물을 여과한 뒤 드럼으로 배출하는 필터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부(8)는 상기 드럼 바디(51)에 구비되되 드럼의 하부에서 드럼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유로바디(81), 상기 유로바디(81)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9)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유로(81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바디(81)는 드럼 바디(51)에 고정되어 드럼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유로바디(81)에는 상기 공급유로(811)로 물을 공급하는 개구부(83), 상기 필터부(9)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부(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바디(81)는 육면체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구부(83)는 상기 유로바디(81)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비되고, 상기 착탈부(85)는 상기 드럼(5)의 회전중심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9)가 삽입되는 구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8)가 드럼 바디(51)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유로바디(81)는 드럼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럼(5)이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구비될 경우, 상기 유로바디(81)도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비될 수 있다.
드럼(5)의 재질과 드럼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유로바디(81)의 재질이 동일하면 디자인적 일체감이 형성되어 의류처리장치의 내적 심미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효과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구비되는 유로바디(81), 드럼과 동일한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유로바디(81)의 표면을 덮는 바디커버(82, 도 1참고)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비용절감). 이 경우, 상기 바디커버(82)는 유로바디(81)의 표면 중 상기 드럼 바디(51)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면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바디커버(82)가 드럼 바디(51)와 동일한 재질로 구비된다는 의미는 바디커버와 드럼 바디가 완전히 동일한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는 물론 드럼 커버의 재질과 드럼 바디의 재질이 완전히 동일한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계열의 금속으로 구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즉, 상기 바디커버(82)가 드럼 바디(51)와 동일한 재질로 구비된다는 의미는 상기 드럼 바디(51) 제작에 사용된 스테인리스 스틸을 구성하는 성분비가 상기 바디커버(82) 제작에 사용된 스테인리스 스틸을 구성하는 성분비와 다른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처리장치의 디자인적 일체감은 드럼 바디(51), 교반부(57) 및 유로부(8)의 재질이 서로 동일한 경우 극대화될 것이다.
도 3(a)는 상기 필터부(9)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 (b)는 상기 필터부(9)의 측면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9)는 상기 착탈부(85)를 통해 상기 유로바디(81)에 결합되는 바디(B), 상기 바디(B)에 구비되어 공급유로(811)로 공급되는 물을 상기 바디(B)로 유입시키는 유입부(913), 상기 바디(B)로 유입된 물을 여과하여 상기 드럼 바디(51)으로 배출하는 제1필터(943), 상기 바디(B)를 유로바디(8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핸들(95)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B)는 상기 유로바디(81) 내부에 위치하는 제1바디(91), 상기 제1바디(9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필터(943)를 지지하는 제2바디(9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91)와 제2바디(94)는 힌지(912)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바디(91)와 제2바디(94)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바디(B)에 저장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바디(91)는 상기 유로바디(81)와 나란한 베이스(910),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제2바디(94)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필터(943)를 감싸는 플랜지(911)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입부(913)는 상기 플랜지(911)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94)는 상기 제1바디(91)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 바디(51)의 내주면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2바디(94)에는 바디(B) 내부를 드럼(5)에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홀(941)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필터(943)는 상기 관통홀(941)에 구비되는 메쉬(mesh)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943)는 상기 바디(B)에 의해 형성되는 면들 중 상기 드럼(5)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면에만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바디(B)에 의해 형성되는 면들 중 드럼(5)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면에만 제1필터(943)가 구비되면, 바디(B)의 여러 면에 필터가 구비된 경우에 비해 제1필터(943)에서 배출되는 물의 압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필터(943)에서 배출되는 물의 압력이 높아지면 교반부(57)의 회전 시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상부로 물을 강하게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탁력이 높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913)에는 역류방지부(97)가 구비되는데, 상기 역류방지부(97)는 상기 제1바디(91)와 제2바디(94)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913)를 개폐하는 수단이다. 다만, 상기 바디(B) 내부로 유입된 물이 유입부(913)를 통해 바디(B)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역류방지부(97)는 상기 바디(B) 내부를 향해서만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3(a),(b)는 상기 역류방지부(97)가 제2바디(94)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913)를 개폐하는 밸브바디(971), 상기 제1바디의 베이스(910)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바디(971)가 바디(B)의 외부를 향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97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밸브바디(971)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바디(91)와 상기 제2바디(94)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바디(91)와 상기 제2바디(94)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지지부(9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96)는 상기 제1바디(91)와 상기 제2바디(94)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바디(91)와 상기 제2바디(94) 중 나머지 하나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3(a)는 상기 지지부(96)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지지부(96)는 상기 제1바디(91)와 상기 제2바디(94)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바디(91)와 상기 제2바디(94)는 강철부재가 아닌 플라스틱과 같이 가볍고 연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5)의 무게를 최대한 가볍게하여 상기 드럼(5)의 관성모멘트를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이때, 드럼(5)의 과도한 진동 발생, 드럼(5)이 빠른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발생하는 원심력, 드럼(5)에 수용된 의류와의 충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상기 제1바디(91)와 상기 제2바디(94)는 형상이 변경되거나 파손되어 서로 가까워 질 수 있다.
상기 제1바디(91)와 상기 제2바디(94)가 서로 가까워지면 상기 필터부(9)에 유입되는 유량이 작아지게 되어 상기 필터부(9)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96)는 어느경우에나 상기 제1바디(91)와 상기 제2바디(94)의 간격유지시켜 상기 필터부(9)의 강성을 보강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부(9)의 부피를 유지하여 상기 필터부(9)로 유입되는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a),도3(b)는 상기 지지부(96)가 제2바디(94)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96)가 제2바디(94)에서 돌출되어 제1바디(91)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필터부(9)는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가 함유한 물을 터브로 배출시키는 탈수행정에서 이물질에 함유된 물을 바디(B)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9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배출부(915)는 상기 드럼(5)의 회전궤적 접선방향(R)으로 이물질에 함유된 물을 배출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배출부(915)는 상기 제1바디(91)의 측면을 형성하는 플랜지(911)에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디자인적 일체감을 형성하기 위해 드럼 바디(51)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바디(94)는 상기 드럼 바디(51)와 동일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 바디(51) 및 상기 교반부(57)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는 상기 제2바디(94)의 표면에 상기 드럼과 동일한 재질로 구비되는 커버(945)를 구비시킴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945)는 제2바디(94)의 표면 중 상기 드럼 바디(51)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면만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럼 바디(51), 교반부(57) 및 상기 커버(945)는 서로 동일한 재료(스테인리스 스틸 등)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945)가 드럼 바디(51)와 동일한 재질로 구비된다는 의미는 커버와 드럼 바디가 완전히 동일한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는 물론 커버의 재질과 드럼 바디의 재질이 완전히 동일한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계열의 금속으로 구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즉, 상기 커버(945)가 드럼 바디(51)와 동일한 재질로 구비된다는 의미는 상기 드럼 바디(51) 제작에 사용된 스테인리스 스틸을 구성하는 성분비가 상기 커버(945) 제작에 사용된 스테인리스 스틸을 구성하는 성분비와 다른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제2바디(94)가 드럼 바디(51)의 내주면을 형성할 경우, 상기 커버(945)는 제2바디(94)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94)와 커버(945)의 결합을 위해, 상기 커버(945)에는 상기 제2바디(94)를 향해 돌출된 체결돌기(947)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94)에는 상기 체결돌기(947)가 관통하는 체결홀(948)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교반부(57)가 상기 드럼(5)에서 회전하면 상기 교반부(57)에 의해 밀려나는 물이 상기 드럼(5)에 내벽에 구비된 유로부(8)로 유입하게 된다.
상기 유로부(8)로 유입된 물은 상기 유로부(8)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필터부(9)에 의해 여과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은 상기 드럼(5) 내벽에 구비된 제1필터(943)에 의해 걸러지게 되어 상기 드럼(5)으로 다시 배출되거나, 상기 배출부(915)에 의해 유출되어 상기 터브(3)로 다시 배출된다.
즉, 상기 과정이 반복되면 상기 드럼(5) 내부의 상당한 양의 물이 상기 필터부(9)에 유입되고 다시 상기 드럼(5)으로 배출되면서 순환되어 상기 필터부(9)에 의해 여과된다.
이로써, 상기 터브(3)에 수용된 물에 의류에서 떨어져 나온 이물질이나 보푸라기, 이물질 등이 상기 필터부(9)에서 여과되어, 상기 터브(3) 내부의 상기 이물질이나 보푸라기, 이물질(이하 이물질이라 한다.)가 제거된 상태로 남아있게 되어 세탁완료시 상기 의류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필터부(9)의 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바디(B)가 매끈하게 구비되면, 상기 필터부(9)로 유입된 물은 상기 바디(B)를 아무런 저항없이 통과하여 다시 상기 드럼(5)으로 유입된다. 즉, 상기 필터부(9)에 유입된 물이 유선의 변경없이 그대로 배출되게 되어 상기 물이 상기 필터부(9)에 남아 있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부(9)에 유입된 물의 유속이 작아지지 않아 상기 물에 함유된 이물질 등이 퇴적될 수 있는 가능성이 감소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이 상기 제1필터(943)에 여과되어 상기 바디(B)에 잔존하더라도 상기 바디(B)에 고정되지 못하므로 상기 바디(B)로 물이 유입되면 다시 상기 바디(B)의 내벽에서 이탈되어 상기 바디(B) 내부를 부유하게 된다.
상기 바디(B) 내부를 부유하는 상기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9)를 이탈하여 상기 드럼(5) 내부로 재유입될 가능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바디(B) 내부에 고정되지 못하는 상기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9)에 물이 전부 빠져나가는 경우 상기 필터부(9)의 하부에 몰리게 된다. 즉, 상기 유입부(913) 부근에 상기 이물질은 적층되게 된다.
이로써, 상기 필터부(9)가 오랜시간 동안 상기 드럼(5)의 물을 여과하는 경우 상기 바디(B)의 하부에만 상기 이물질은 적층되고, 상기 바디(B)의 대부분의 면적에는 상기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바디(B)의 전체 면적이 커지더라도 상기 필터부(9)가 상기 이물질을 수용하는 양은 일정량이상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913) 부근에 이물질이 적층되면 상기 이물질이 상기 필터부(9)로 물의 유입을 방해할 수 있고, 심할 경우 상기 이물질이 상기 유입부(913)로 이탈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973)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상기 바디(B)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이 많아지면, 상기 밸브바디(971)는 바디(B)의 외부로 회전하여 상기 바디(B) 내부의 이물질을 바디(B)의 외부로 배출시킬 가능성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필터부(9)의 기능이 떨어져 상기 의류가 이물질 등에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상기 필터부(9)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필터부(9) 또는 상기 바디(B)의 상부까지 안내하는 별도의 유로가 없다면, 상기 필터부(9)로 유입된 물은 상기 필터부(9) 전부에 확산되기 어려울 수 있다.
즉, 상기 제1필터(943)가 상기 바디(B)의 일면 전체에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유입부(913)가 하부에 구비되므로 대부분의 물과 이물질이 상기 필터부(9)의 하부에 중점적으로 머물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부(9)의 상부까지 상기 유입부(913)에서 유입된 물의 일부만 도달하게 되므로 상기 제1필터(943)의 상부면에는 물과 이물질이 접촉하기 어려울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필터부(9)의 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바디(B)가 매끈하게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해 돌기 등을 구비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유입부(913)가 상기 필터부(9)의 하부에 구비되므로 상기 바디(B)의 상부에 구비된 돌기에는 이물질이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부(913)에서 유입된 이물질은 상기 바디(B)의 하부에 구비된 돌기 등에 우선적으로 포집되고, 상기 바디(B)의 상부에 구비된 돌기 등에 포집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상기 바디(B)의 전반에 돌기를 구비한다고 하더라도 상부에 구비된 돌기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효율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바디(B) 하부에만 이물질이 적층되게 되고, 상기 이물질이 상기 유입부(913)에서 유입되는 물의 유입을 방해할 수 있고, 나아가 이물질이 상기 유입부(913)로 다시 토출될 가능성도 있다.
더욱이, 상기 필터부(9)의 길이를 길게 구비한다고 하여도 더욱 상기 필터부(9)의 상부까지 물이 접근하기 어려워 필터부(9)의 여과능력은 향상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B)는 상기 유입부(913)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바디(B)의 상부를 포함한 전체에 공급 및 전달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9)는 상기 바디(B)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913)에 유입된 물을 상기 바디(B)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바디(B)의 상부로 이동한 물을 상기 바디(B) 하부 또는 상기 제1필터(943)으로 이동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더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더부(100)는 상기 제1필터(943)과 나란하게 구비된 상기 바디(B)의 일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되, 상기 바디(B)의 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가이드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판(120)은 상기 베이스(9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910)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판(120)은 상기 가이드판(120)을 기준으로 일면과 타면을 흐르는 유로를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120)은 상기 바디(B)의 상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120)의 상부로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가이드판(120)의 상단은 상기 바디(B)의 상부로 이동한 물이 상기 가이드판(120)을 넘어 상기 바디(B)의 하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바디(B)의 상부에 구비된 플랜지(911)에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입부(913)로 유입된 물을 상기 가이드판(120)의 일면을 따라 상기 바디(B)의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바디(B)의 상부로 이동한 물은 상기 가이드판(120)의 타면을 따라 상기 바디(B)의 하부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120)의 상부에서 상기 바디(B)의 하부로 이동하는 물은 상기 제1필터(943)에 고르게 접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필터(943)의 여과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필터(943)가 상기 가이드판(120)의 전면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유입부(913)에 유입된 물은 상기 가이드판(120)의 배면으로 유입되어 상기 전면으로 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역류방지부(97)는 상기 유입부(913)에 유입된 물이 상기 가이드판(120)과 상기 베이스(910) 사이에만 유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집돌기(211)가 구비된 곳으로 상기 유입부(913)에 유입된 물이 유입되면 이물질 포집성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역류방지부(97)는 상기 바디(B)에 상기 유입부(913)를 통해 물이 유입되면 상기 가이드판(120)의 배면에 가까워지도록 회전하고, 상기 바디(B)에 물의 유입이 중단되면 상기 가이드판(120)의 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120)은 상기 베이스(910)의 하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역류방지부(97)의 밸브바디(971)는 상기 제2바디(9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판(120)의 배면과 접촉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바디(971)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판(120)의 전면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밸브바디(971)의 자유단이 상기 가이드판(120)의 배면에 접촉될 수 있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입부(913)를 통해 물이 유입되면 상기 밸브바디(971)를 상부로 가압하여 상기 밸드바디(971)의 자유단을 상기 가이드판(120)의 배면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바디(B)로 유입된 물은 온전히 상기 가이드판(120)의 배면과 상기 베이스(910) 사이에 유입되어 상기 가이드판(120)의 상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913)를 통해 물이 배출되면 상기 밸브바디(971)는 상기 스토퍼(973)에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판(120)의 전면을 따라 상기 바디(B)의 하부로 이동하는 물은 상기 제1필터(943)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판(120)은 상기 바디(B)의 상부로 이동한 물이 상기 바디(B)의 하부로 이동할 때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구비되는 포집부(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부(200)는 상기 제1필터(943)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바디(B)에 유입된 이물질을 포집하거나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포집돌기(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돌기(211) 상기 가이드판(120)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판(120)에서 상기 제1필터(943)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포집부(200)는 상기 가이드판(120)의 전면에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120)의 배면에는 물이 원할하게 유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판(120)이 제1바디(91)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포집돌기(211)는 상기 제2바디(94)에 접촉할 수 있는 길이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포집돌기(211)는 단면이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돌기(211)는 V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집돌기(211)는 상기 바디(B)의 하부로 이동하는 물의 유속을 느리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B)의 하부로 이동하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B)에 유입된 물은 상기 가이드판(120)을 따라 상기 바디(B)상부로 이동한 뒤, 다시 상기 바디(B)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필터(943)와 고르게 접촉하면서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필터부(9)의 성능이 현저하게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913)를 통해 물과 함께 유입된 이물질은 상기 포집돌기(211)에 안정적으로 포집되거나, 상기 제1필터(943)에 의해 여과될 수 있다.
도4는 상기 필터부(9)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바디(91)에서 상기 제2바디(94)를 제외한 부분의 정면도이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제1바디(91)는 유로부(8)와 나란하게 구비되는 베이스(910)와, 상기 플랜지(9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911)는 상기 베이스(910)의 일측면에서 상기 드럼(5)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플랜지(911a)와 상기 베이스(910)의 타측면에서 상기 드럼(5)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플랜지(91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플랜지(911a)와 상기 제2플랜지(911b)는 상기 제1필터(943)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00)는 상기 제1바디(91)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유입부(913)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제1플랜지(911a)를 따라 상승시키는 제1리브(111)와, 상기 제1바디(91)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유입부(913)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제2플랜지(911b)를 따라 상승시키는 제2리브(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111)와 상기 제2리브(112)의 두께는 상기 플랜지(911)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910)에서 상기 제2바디(94)에 접촉할 수 있는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00)는 상기 유입부(913)에서 바디(B)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1리브(111) 또는 상기 제2리브(112) 중 어느 하나의 일면을 따라 상기 바디(B)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바디(B)의 상부로 이동한 물을 제1리브(111) 또는 상기 제2리브(112) 중 어느 하나의 타면을 따라 상기 바디(B)의 하부 또는 상기 제1필터(943)로 이동시키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1리브(111)와 상기 제1플랜지(911a) 사이와, 상기 제2리브(112)와 상기 제2플랜지(911b) 사이를 따라 상기 바디(B)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바디(B)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바디(B)의 상부로 이동한 물은 상기 제1리브(111)와 상기 제2리브(112)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바디(B)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리브(111) 및 상기 제2리브(112)가 상기 플랜지(911)와 가깝게 구비되면 구비될수록, 상기 제1리브(111) 및 상기 제2리브(112)와 상기 플랜지(911) 사이에 형성된 유로가 상대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바디(B)의 상부로 이동하는 물의 유속과 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제1리브(111)와 상기 제2리브(112) 상단까지 원할하게 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리브(111)는 상기 유입부(913)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제1플랜지(911a)와 상기 제1리브(111) 사이로 안내하는 제1경사면(111a)를 포함하고, 상기 제2리브(112)는 상기 유입부(913)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제2플랜지(911b)와 상기 제2리브(112) 사이로 안내하는 제2경사면(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111a)과 상기 제2경사면(112a)은 상기 유입부(913)에서 상기 바디(B)의 상부로 상승할수록 상기 플랜지(911)와 가까워지는 경사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913)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1경사면(111a)과 상기 제2경사면(112a)을 따라 구분되어 상기 바디(B)의 양측에 구비된 상기 플랜지(911)를 따라 상기 바디(B)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리브(111)와 상기 제2리브(112) 사이에는 상기 바디(B)의 상부로 이동한 물이 상기 바디(B)의 하부로 이동할 때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구비되는 포집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부(200)는 상기 베이스(910)에 안착되어 구비되는 포집판(210)과, 상기 포집판(210)에서 상기 드럼(5)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포집돌기(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판(210)은 상기 베이스(910)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포집판(210)에 적층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91)에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판(210)은 상기 제1리브(111)와 상기 제2리브(112) 사이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리브(111)와 상기 제2리브(112)에 의해 억지끼움 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집판(210)의 하부는 말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경사면(111a)와 상기 제2경사면(112a)의 형상에 따라 좁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910)는 상기 포집판(210)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고정돌기(910a)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판(210)은 상기 고정돌기(910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포집판(210)을 관통하여 구비하는 고정홀(21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판(210)이 상기 베이스(910)와 별도로 진동하게 되면 상기 포집판(210)에 포집된 이물질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돌기(910a)는 상기 고정홀(210a)에 억지 끼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910a)는 자유단에 상기 고정홀(210a)의 지름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고정헤드(910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포집판(210)은 상기 드럼(5)이 진동하더라도 상기 베이스(91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910)와 별도로 진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판(210)이 상기 베이스(910)에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면, 상기 포집판(210)을 상기 베이스(910)에서 분리하여 상기 포집판(910)에 포집된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바디(B)가 상기 유로부(8)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포집판(210)은 상기 베이스(910)에 일체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포집돌기(211')는 원통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물질의 포집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단면이 아래로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포집돌기(211')는 V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111)와 상기 제2리브(112)는 각각 상기 바디(B)의 상부로 이동한 물을 상기 바디(B)의 하부로 다시 이동시키는 제1안내면(111b)과 제2안내면(11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면(111b)은 상기 포집판(210)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리브(111)와 상기 제1플랜지(911a) 사이에 유입된 물을 상기 포집판(210)으로 안내할 수 있고, 상기 제2안내면(112b)는 상기 포집판(210)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2리브(112)와 상기 제2플랜지(911b) 사이에 유입된 물을 상기 포집판(210)으로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리브(111)와 상기 제2리브(112)는 상기 포집판(210)의 측면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안내면(111b)과 상기 제2안내면(112b)은 상기 포집판(210)을 향하여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경사면(111a)의 자유단과, 상기 제2경사면(112a)의 자유단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안내면(111b)의 자유단과 상기 제2안내면(112b)의 자유단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111a)의 자유단과, 상기 제2경사면(112a)의 자유단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유입홀(111c)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안내면(111b)의 자유단과 상기 제2안내면(112b)의 자유단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배출홀(111d)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100)를 따라 상기 바디(B)의 상부로 상승한 물은 상기 유입홀(111c)에 유입되어 상기 포집부(200)를 지나 상기 배출홀(111d)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포집돌기(211')에 의해 여과되거나, 상기 제1필터(943)로 여과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913)를 통해 상기 바디(B)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1리브(111) 및 상기 제2리브(112)에 의해 상기 바디(B)의 상부까지 이동하고, 상기 포집부(200)의 상부에서 하부로 고르게 이동하게 되어 이물질이 상기 포집부(200)에 고르게 포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포집부(200)를 따라 이동하는 물이 제1필터(943)의 상부에서 하부로 고르게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제1필터(943)의 여과력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5는 상기 포집부(200)의 포집된 이물질을 고정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a)는 상기 바디(B)에 가이드부(100) 및 상기 포집부(200)가 구비되어 있는 사시도 이며, 도5(b)는 상기 포집부(200)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5(b)는 상기 포집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포집판(210)을 이동하는 물을 여과하고, 상기 포집판(210)에 포집된 이물질을 고정하는 여과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250)는 상기 포집판(210)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고정부(251)와, 상기 고정부(251)에 구비되되 상기 포집판(210)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포집판(210)을 따라 유동하는 물을 여과하여 상기 드럼(5)으로 배출하는 제2필터(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254)는 상기 고정부(251)에 의해 상기 포집판(21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포집판(210)을 유동하는 물의 일부를 여과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집판(210)을 유동하는 물은 상기 제2필터(254)를 거쳐 상기 제1필터(943)을 통과하여 여과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필터(254)는 메쉬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필터(943)의 메쉬크기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9)는 상기 제1필터(943)와 상기 제2필터(254)에 의해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필터(254)는 상기 고정부(251)와 상기 포집판(210) 사이에서 물 이외의 다른 물질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집돌기(211')에 수집된 이물질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집돌기(211')에 이물질이 다량으로 포집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2필터(254)에 의해 고정되어, 이물질이 상기 포집돌기(211')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51)는 상기 포집판(21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252)과, 상기 고정프레임(252)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연결프레임(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52)과 상기 연결프레임(253)은 상기 제2필터(254)가 안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필터(254)는 상기 고정프레임(252)가 상기 연결프레임(253)이 구획하는 공간을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2필터(254)는 상기 연결프레임(253)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프레임(252)의 내주면이 형성하는 부분을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필터(254)는 상기 고정프레임(252)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프레임(253)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구비되거나, 억지끼움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필터(254)는 상기 연결프레임(253)이 복수개로 구비되면, 상기 연결프레임(253)들의 사이마다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고정프레임(252)과 상기 연결프레임(253)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집돌기(211')에 일정량 이상의 이물질이 포집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2필터(254)를 상기 고정부(251)에서 분리하여 상기 포집돌기(211')에 포집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c)는 상기 포집부(200)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b)의 포집부(200)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포집부(200)에는 일측이 절곡되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910)에서 분리되는 힘을 가압받을 수 있는 착탈유도홈(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유도홈(210b)은 상기 포집부(200)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910)에서 멀어지도록 절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포집부(200)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포집부(200)를 상기 베이스(910)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 신체의 일부분이나 도구를 상기 착탈유도홈(210b)과 상기 베이스(910) 사이에 삽입하여 상기 베이스(9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51)는 상기 포집판(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프레임(252)은 상기 포집판(21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포집판(210)은 상기 고정프레임(25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돌기(2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252)은 상기 착탈돌기(212)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돌기홀(25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돌기(212)는 상기 포집판(210)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기바디(212a)와, 상기 돌기바디(212a)에서 상기 포집판(2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삽입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12b)는 상기 돌기홀(252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51)가 상기 포집판(21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제2필터(254)는 복수개로 구비되거나 상기 고정부(251)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필요 없이 상기 고정부(251)의 일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필터(254)는 상기 고정부(251)의 노출면을 전부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필터(254)는 상기 고정부(251)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필터(254)가 상기 고정부(25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필터(254)는 상기 고정부(251)의 노출면을 전부 차폐하므로 상기 포집부(200)에 포집된 이물질을 고정하는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200)에 일정량 이상의 이물질이 포집되면, 사용자는 상기 고정부(251)을 상기 포집판(210)에서 분리하여 상기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6을 참조하여, 상기 바디(B)의 배면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체결돌기(947)는 체결홀(948)에 삽입된 뒤 절곡됨으로써 상기 커버(945)를 제2바디(94)에 고정할 수 있다. 안전사고의 방지 등을 위해, 상기 체결돌기(947)는 체결홀 커버(949)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홀 커버(949)는 제2바디(94)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투입구
13 도어
3 터브 31 터브바디 5 드럼 51 드럼바디
57 교반부 7 구동부 8 유로부 81 유로바디
811 공급유로 82 바디커버 83 개구부 85 착탈부
9 필터부 91 제1바디 910 베이스 910a 고정돌기
911 플랜지 911a 제1플랜지 911b제2플랜지
912 힌지 913 유입부 915 배출부 915a 제1배출부
915b 제2배출부 97 역류방지부 98 이탈방지부
100 가이더부 110 리브 111 제1리브 112 제2리브
111a 제1경사면 112a 제2경사면 111b 제1안내면 112b 제2안내면
111c 유입홀 111d 배출홀 120 가이더판
200 포집부 210 포집판 210a 체결홀 210b 착탈유도홈
212 착탈돌기 211 포집돌기 250 여과부 251 고정부
252 고정프레임 253 연결프레임 252a 돌기홀 254 제2필터
3 터브 31 터브바디 5 드럼 51 드럼바디
57 교반부 7 구동부 8 유로부 81 유로바디
811 공급유로 82 바디커버 83 개구부 85 착탈부
9 필터부 91 제1바디 910 베이스 910a 고정돌기
911 플랜지 911a 제1플랜지 911b제2플랜지
912 힌지 913 유입부 915 배출부 915a 제1배출부
915b 제2배출부 97 역류방지부 98 이탈방지부
100 가이더부 110 리브 111 제1리브 112 제2리브
111a 제1경사면 112a 제2경사면 111b 제1안내면 112b 제2안내면
111c 유입홀 111d 배출홀 120 가이더판
200 포집부 210 포집판 210a 체결홀 210b 착탈유도홈
212 착탈돌기 211 포집돌기 250 여과부 251 고정부
252 고정프레임 253 연결프레임 252a 돌기홀 254 제2필터
Claims (19)
- 상부의 투입구가 구비되고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저장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벽에 구비되되 상기 드럼의 하부에서 상기 투입구를 향하여 연장되어 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를 따라 이동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로부를 따라 구비되어 이물질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바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부 내부의 물을 상기 바디로 유입시키는 유입부;
상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로 유입된 물에서 이물질을 여과하여 상기 드럼으로 배출하는 제1필터;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에 유입된 물을 일면을 따라 상기 바디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바디의 상부로 이동한 물을 타면을 따라 상기 바디의 하부 또는 상기 제1필터로 이동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유로부와 나란하게 구비되는 베이스와,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서 상기 드럼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베이스의 타측면에서 상기 드럼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바디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제1플랜지를 따라 상승시키는 제1리브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제2플랜지를 따라 상승시키는 제2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는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1리브 사이로 안내하는 제1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리브는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제2플랜지와 상기 제2리브 사이로 안내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와 상기 제2리브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로 이동한 물이 상기 바디의 하부로 이동할 때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구비되는 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어 구비되는 포집판과,
상기 포집판에서 상기 드럼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포집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돌기는 단면이 아래로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는
상단에 상기 포집판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리브와 상기 제1플랜지 사이에 유입된 물을 상기 포집판으로 안내하는 제1안내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리브는
상단에 상기 포집판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2리브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에 유입된 물을 상기 포집판으로 안내하는 제2안내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포집판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판은 상기 고정돌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판은 일측이 절곡되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에 분리되는 힘을 가압받을 수 있는 착탈유도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포집판을 따라 이동하는 물을 여과하거나 상기 포집판에 포집된 이물질을 고정하는 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포집판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되 상기 포집판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포집판을 따라 유동하는 물을 여과하여 상기 드럼으로 배출하는 제2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포집판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주면이 형성하는 부분을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2필터는 메쉬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제1필터와 상기2필터의 메쉬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판은 상기 고정프레임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착탈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돌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는 상기 바디에 의해 형성되는 면들 중 상기 드럼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면에만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필터와 나란하게 구비된 상기 바디의 일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되, 상기 바디의 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제1필터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바디에 유입된 이물질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포집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 내부를 향해서만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바디에 물이 유입되면 상기 가이드판의 배면에 가까워지도록 회전하고, 상기 바디에 물의 유입이 중단되면 상기 가이드판의 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유입부를 개폐하는 역류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유로부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유입부가 구비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내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필터가 고정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물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유로부로 이동시키는 교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1067A KR20180061655A (ko) | 2016-11-30 | 2016-11-30 | 의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1067A KR20180061655A (ko) | 2016-11-30 | 2016-11-30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1655A true KR20180061655A (ko) | 2018-06-08 |
Family
ID=6259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1067A KR20180061655A (ko) | 2016-11-30 | 2016-11-30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6165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481947A (zh) * | 2020-11-28 | 2021-03-12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过滤装置及洗衣机 |
CN113463340A (zh) * | 2020-03-31 | 2021-10-01 | 合肥海尔洗衣机有限公司 | 异物收集装置及洗衣机 |
-
2016
- 2016-11-30 KR KR1020160161067A patent/KR2018006165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63340A (zh) * | 2020-03-31 | 2021-10-01 | 合肥海尔洗衣机有限公司 | 异物收集装置及洗衣机 |
CN113463340B (zh) * | 2020-03-31 | 2024-09-13 | 合肥海尔洗衣机有限公司 | 异物收集装置及洗衣机 |
CN112481947A (zh) * | 2020-11-28 | 2021-03-12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过滤装置及洗衣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43177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JP4959840B2 (ja) | リフターを備える洗濯機 | |
KR101835334B1 (ko) |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 |
KR101360205B1 (ko) |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세탁기 | |
JP4331243B1 (ja) | ドラム式洗濯機 | |
EP3018250A1 (en) | Washing machine capable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nd wash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80061655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520610B1 (ko) | 드럼세탁기 | |
JP3296789B2 (ja) | 洗濯機 | |
KR20210079729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70123599A (ko) | 의류처리장치 | |
EP2280113A1 (en) | Laundry washing machine and filtering assembly for the draining circuit of a laundry washing machine | |
WO2022059241A1 (ja) | 乾燥フィルタ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洗濯機 | |
EP3789530B1 (en) | A filter group suitable for use in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s | |
CN111671376B (zh) | 洗鞋装置及洗涤设备 | |
KR102442971B1 (ko) | 세탁기 | |
CN110409138B (zh) | 洗衣机 | |
EP2280112A1 (en) | Laundry washing machine and filtering assembly for the draining circuit of a laundry washing machine | |
JP7498465B2 (ja) | 洗濯機 | |
KR20100093274A (ko) | 필터어셈블리 | |
KR20180077667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560454B1 (ko) | 세탁기 | |
KR20180010858A (ko) | 세탁기 | |
KR100207297B1 (ko) | 세탁기 | |
KR100223422B1 (ko) |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