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274A - 필터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필터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274A
KR20100093274A KR1020090012390A KR20090012390A KR20100093274A KR 20100093274 A KR20100093274 A KR 20100093274A KR 1020090012390 A KR1020090012390 A KR 1020090012390A KR 20090012390 A KR20090012390 A KR 20090012390A KR 20100093274 A KR20100093274 A KR 20100093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luid
filtering
filter housing
filt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훈
장재원
신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2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3274A/ko
Publication of KR20100093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7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29/7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와 같은 다양한 가전기기에 적용 가능한 필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가 삽입되고, 필터링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구비한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을 포함하는 필터어셈블리를 제공한다.
필터, 자동세척, 막힘방지, 필터어셈블리, 식기세척기

Description

필터어셈블리{A 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와 같은 다양한 가전기기에 적용 가능한 필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는 유체의 필터링과정에서 필터링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터링과정의 종료후에는 필터링부에 부착된 오물들을 청소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필터는 액체나 기체와 같은 유체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장치를 의미한다.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이하, 필터링), 이물질이 걸러진 유체를 순환시키는 종래 가전기기들은 유체의 필터링에 필요한 구성들의 집합인 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유체의 필터링 및 필터링된 유체의 순환을 통해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술한 가전기기의 효율성 내지 우수한 기능성은 필터어셈블리의 구조나 필터링 효율에 있었고, 생산자들은 이러한 특징에 초점을 맞춰 기술을 발전시켜 왔다.
한편,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유체를 필터링할 때마다 유체에 포함되있던 이물 질이 메쉬와 같은 필터링부에 남게된다.
상기 필터링부는 통상 이물질보다 작은 공간을 형성하는 철망등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유체를 필터링하면 이물질은 상기 철망의 공간에 끼어 유체가 필터링부를 통과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필터링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야만 해당 가전기기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통상 가전기기에 구비되는 필터어셈블리의 위치는 해당 가전기기의 최저면에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터링부를 청소하는 것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필터링부의 청소를 주기적으로 하더라도 많은 이물질의 여과가 필요한 경우에는 가전기기의 작동 중 필터링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어 유체가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하지 못하고 역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유체의 필터링 과정에서 이물질이 필터링부를 막아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의 필터링의 종료 후 필터링부의 자동세척이 가능한 필터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가 삽입되고, 필터링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구비한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를 진동시켜 상기 이물질이 상기 필터의 표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수단을 포함하는 필터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 경우,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가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서 용이하게 진동할 수 있도록 하는 현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가장치는 상기 필터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가장치는 상기 필터의 외주면과 상기 필터하우징 내주면에 구비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의 막힘을 예상하여 상기 진동수단 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유로에 연결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회전수 변화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펌프의 회전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회전수 변화량 이상인 경우 상기 진동수단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를 통해 걸러진 이물질을 상기 필터에서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필터를 진동시키는 클리닝 진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리닝 진동수단은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며 회전축을 포함하는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는 자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자석부재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한 외주면에 금속띠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 진동수단은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며 회전축을 포함하는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는 자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자석부재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한 외주면에 자석띠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가 삽입되고, 필터링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구비한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를 통해 걸러진 이물질을 상기 필터에서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필터를 진동시키는 클리닝 진동수단을 포함하는 필터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체의 필터링 과정에서 이물질이 필터링부를 막아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어셈블리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의 필터링의 종료 후 필터링부의 자동세척이 가능한 필터어셈블리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구성, 방법 기타의 실시예는 실시에 필요한 구성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의 개념도이고, 도2는 도1 I-I의 단면도로 고무부재를 채용한 개념도이며, 도3은 도1 I-I의 단면도로 스프링을 채용한 개념도이며, 도4는 제어부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1을 참고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100)는 필터하우징(1), 필터(3), 진동수단(5) 및 현가장치(7)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하우징(1)은 가전기기의 유체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필터(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필터하우징(1)은 그 내부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배수유로(11)와 순환유로(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유로(11)는 상기 필터하우징(1)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어 필터하우징(1)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필터하우징(1)의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배수펌프(111)와 연통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유로(13)는 상기 필터하우징(1)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어 필터하우징(1)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필터하우징(1)의 외부로 배출시키되 상기 필터하우징(1)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전기기의 세척공간으로 유체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순환펌프(131)와 연통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만약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100)를 식기세척기에 적용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필터하우징(1)의 상부에는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공간인 터브(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유로(13)는 일측이 상기 필터하우징(1)에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터브에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순환유로와 터브 사이에 순환펌프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필터하우징(1)의 중심에는 후술할 필터(3)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순환유로(13)로 유입되어 가전기기 내부로 순환공급되는 유체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3)는 상기 필터하우징(1)에 삽입되어 가전기기에서 필터하우징으 로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구성으로 필터프레임(31), 필터링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31)은 상기 필터(3)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필터(3)가 필터하우징(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프레임(31)의 상단은 상기 필터하우징(1)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는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필터프레임의 저면(313)과 필터하우징(1)의 저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필터프레임(31)의 형상은 예시에 불과하므로 당업자가 상술한 요건을 충족시키는 한 다양한 형상의 필터프레임을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필터링부(33)는 상기 필터프레임(31)의 외주면(311)을 감싸는 구성으로 가전기기에서 필터하우징(1)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필터링부(33)는 철망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여 유체는 통과하고, 철망에 형성되는 공간보다 큰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구비되면 충분하다.
도1에서는 필터(3)가 하나인 경우에 대한 개념도만 도시하였으나, 상기 필터(3)가 다수의 필터링부(33)를 구비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가장 큰 크기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필터링부가 필터프레임의 중심에 구비되고, 가장 작은 크기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필터링부는 필터프레임의 최외곽에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구성만을 포함하는 필터어셈블리(100)는 유체의 필터링이 진행되면 상기 필터(3)의 중심으로 유체가 유입된 뒤 필터링부(33)를 거쳐 필터하우징(1)의 배수유로(11) 또는 순환유로(13)로 유입되게 된다.
결국 상기 필터링부(33)의 표면에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이물질이 흡착되게 되므로 유체의 순환/배출 및 필터어셈블리(100)의 기능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동수단(5), 현가장치(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진동수단(5)은 유체의 필터링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필터(3)를 진동시켜 이물질이 상기 필터링부(33)에 흡착되는 것을 지연 내지 방지시키는 구성이다.
즉, 유체의 필터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진동수단(5)이 진동을 하게되면 상기 필터(3)로 유입되어 배수유로 또는 순환유로로 배출되는 유체의 이물질은 상기 필터링부(33)의 표면에 걸리지게 되지만, 상기 진동수단(5)이 제공하는 필터링부(33)의 진동때문에 이물질들이 흡착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진동수단(5)을 구비한 필터어셈블리(100)는 가전기기가 작동하는 동안 필터링부(33)에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지연 내지 방지시킴으로써 가전기기의 작동 중 필터링부 막힘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진동수단(5)은 모터 등의 일반적인 진동장치는 물론 휴대폰의 진동소자와 같은 진동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위치는 상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다만, 도1은 상기 진동수단(5)이 구비되는 위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필터프레임(31)의 저면(313)에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필터프레임(31)의 저면에 진동수단(5)이 구비되면 필터프레임의 다른 위치에 진동수단이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필터링부의 진동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진동수단(5)은 상기 필터(3)를 상하좌우 모든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필터(3)가 필터하우징(1)을 이탈하게 만들 수도 있다. 만약 이와 같은 현상이 유발된다면 상기 필터(3)로 유입되어야 할 유체가 필터링부(33)를 거치지 않고 필터하우징(1)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에 있어 상기 필터(3)의 이탈문제는 중요한 설계요건이다.
따라서, 상기 진동수단(5)에 의한 필터(3)의 진동시 필터하우징(1)으로부터의 이탈방지 및 진동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가장치(7)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가장치(7)는 고무재질(71)로 구비될 수도 있고, 스프링(73)으로 구비될 수도 있는데 도2는 고무재질로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도1 I-I의 단면도로 고무부재를 채용한 필터어셈블리의 개념도이다.
고무부재(71)로 구비되는 현가장치(7)는 상기 필터프레임(31)의 외주면(311)과 상기 필터하우징(1)의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수용부(711)와 연결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711)는 상기 필터프레임(31)의 외주면(311)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다.
상기 연결부(713)는 상기 수용부(711)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도1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필터하우징(1)의 내주면에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상기 필터(3)는 필터프레임(31)이 상기 수용부(711)에 삽입되고, 상기 현가장치(7)는 상기 연결부(713)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1)에 필터(3)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수단(5)이 진동하게 되면 상기 고무부재(71)로 구비되는 현가장치(7)를 통해 필터하우징(1) 내부에 결합된 필터(3)는 자유롭게 진동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필터하우징(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1과 도2는 상기 고무부재(71)로 구비되는 현가장치(7)가 필터프레임(31)의 저면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한 다른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3은 도1 I-I의 단면도로 스프링을 현가장치로 채용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스프링(73)은 일측이 상기 필터프레임(31)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필터하우징(1)의 내측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술한 고무부재(71)로 구비되는 현가장치(7)와 마찬가지로 진동수단(5)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에 의해 필터링부(33)가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도록 하되 필터하우징(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필터링부(33)가 이물질에 의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정도에 이른 경우에만 상기 진동수단(5)이 진동할 수 있는 필터어셈블리(100)에 대해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100)가 가전기기의 작동시간 내내 진동수단(5)이 구동되지 않고, 필요한 경우에만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가전기기의 전력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100)는 센서(S)와 제어부(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4를 참고하면, 상기 센서(S)는 상기 순환펌프(131)의 회전수 변화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감지된 순환펌프(131)의 회전수 변화에 관한 데이터를 제어부(C)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순환펌프(131)는 필터(3)를 거쳐 필터하우징(1)의 순환유로(13)로 공급되는 유체를 가전기기 내부로 순환시키는 구성임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따라서 필터링부(33)에 이물질이 흡착되어 유체의 통과가 어렵게 되면 순환펌프(131)의 회전수에 변화가 발생하게 될 것이고, 상기 센서(S)는 그 변화량 또는 회전수를 측정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C)는 스스로 또는 별도의 저장장치(미도시)에 필터링부(33)의 한계 필터링 용량에 상응하는 순환펌프(131)의 회전수 내지 변화량의 한계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센서(S)가 제공하는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진동수단(5)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센서(S)에서 제공되는 회전수 내지 회전수의 변화량이 제어부(C)에 저장되거나 별도로 제공되는 한계 회전수 내지 한계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진동수단(5)을 구동시킴으로써 가전기기에 소요되는 전력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내용은 상기 센서(S)가 순환펌프(131)의 회전수 변화만을 측정하여 제어부(C)에 제공하는 경우를 설명한 것이지만 배수펌프(111)의 회전수 변화를 측정하여 제어부(C)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감지센서(S)가 배수펌프(111)의 회전수변화량(또는 회전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C)에 제공하면, 상기 제어부(C)는 한계 변화량(또는 한계 회전수)을 상기 회전수변화량이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진동수단(5)을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감지센서(S)는 순환펌프 내지 배수펌프의 회전수 또는 회전수 변화량의 측정을 위한 구성으로 설명되었으나 유체의 유속 또는 유량을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감지센서(S)는 순환유로(13)나 배수유로(11)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하우징(1)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유속 또는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진동수단(5)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C)는 한계유속(또는 한계유량)을 스스로 저장하고 있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부터 제공받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한계유속" 또는 "한계유량"은 상기 필터링부(33)에 이물질이 흡착되어 유체의 필터링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때의 유속 또는 유량을 의미하고 실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데이터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감지센서(S)에서 제공되는 유속이 한계유속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한계유속(또는 한계유량)보다 낮으면 상기 진동수단(5)을 구동시켜 필터어셈블리의 여과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제어부(C)는 필터링 어셈블리가 필터링을 시작한 뒤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진동수단(5)을 진동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유체의 필터링과정에서 시간이 경과할 수록 이물질이 필터링부(33)에 흡착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므로 필터링의 개시 후 일정시간 경과후 진동수단(5)이 진동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면 상기 감지센서(S) 없이도 전력소비량을 절약할 수 있는 필터어셈블리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며, 감지센서(S)의 오작동에 의한 필터링부(33)의 막힘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요구가 있는 때에만 진동수단(5)이 진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접시와 같은 세척대상물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이 많지 않은 경우 진동수단(5)의 제어 없이 유체의 필터링을 진행시킬 수도 있고, 상기 감지센서(S)나 제어부(C)에 설정된 시간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될 때 곧바로 진동수단(5)의 진동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가전기기에는 사용자가 진동수단(5)의 작동을 지시할 수 있는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5는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로 유체의 필터링을 종료한 뒤 필터링부(33)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어셈블리(100)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100)의 다른 실시예는 필터하우징(1), 필터(3), 진동수단(5), 현가장치(7) 및 클리닝 진동수단(9)을 포함하고 있다.
도5에 개시된 필터하우징(1), 필터(3), 진동수단(5), 현가장치(7)는 도1 내지 도4에 개시된 실시예의 구성들과 대동소이하므로 도1 내지 4에 개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 및 클리닝 진동수단(9)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1에 개시된 실시예에 개시된 필터어셈블리(100)는 상기 진동수단(5)이 필터링부(33)에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 또는 지연시킴으로써 필터어셈블리(100)의 기능을 담보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필터어셈블리(100)가 유체를 필터링하는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가전기기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모두 필터하우징(1)을 빠져나가게 될 것이므로 유체에서 걸러진 이물질은 최종적으로 필터링부(33)에 남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링부(33)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클리닝 진동수단(9)을 포함한다.
상술한 기능을 구현하는 클리닝 진동수단은 도1에 개시된 진동수단(5)을 유체가 모두 필터하우징을 빠져나간 후 작동시킴으로써 필터링부(33)에 흡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부(33)에서 제거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도5는 모터(91)와 자석부재(95)를 구비하여 진동수단(5)과 별도로 구비되는클리닝 진동수 단(9)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모터(91)는 회전축(93)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필터하우징(1)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91)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 필터하우징(1)과 같은 구성에 별도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그 같은 구조를 채용하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자석부재(95)는 상기 회전축(93)에 구비되어 회전축의 회전시 소정의 회전반경(R)을 가지면서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자력을 가지는 재료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석부재(95)의 회전반경(R)에 위치하는 필터프레임(31)의 외주면에는 띠부재(35)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회전축(93)의 회전으로 자석부재(95)가 회전할 때 필터프레임(31)의 외주면에 구비된 띠부재(35)가 자력에 의해 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띠부재는 금속 내지 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석부재(95)가 회전하면서 상기 띠부재(35)가 구비된 위치를 지나가면 상기 띠부재(35)가 상기 자석부재(95)의 방향으로 끌려가거나 밀려나게 될 것이고, 상기 띠부재(35)의 운동에 따라 필터프레임(31)이 운동하게 된다.
또한, 끌려가거나 밀려났던 필터프레임(31)은 필터프레임(31)과 필터하우징(1) 사이에 구비된 현가장치(7)에 의해 복원력을 제공받으므로 상기 자석부재(35)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필터링부(33)의 진동을 유발할 수 있게 되므로 필터링부(33)에 흡착된 이물질을 그 표면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 자석부재(95)와 띠부재(35)의 재질은 상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한 다양한 재질이 채택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로 도1과 도5에 개시된 진동수단(5)을 제외하고, 클리닝 진동수단(9) 만을 구비한 필터어셈블리의 개념도이다.
도6에 개시된 필터어셈블리는 유체의 필터링 과정에서는 필터링부(33)에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체의 필터링 과정이 종료된 이후에는 필터링부(33)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개시된 각 구성들은 도1과 도5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각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1에 개시된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필터어셈블리(100)은 유체의 필터링이 필요한 가전기기의 일측에 구비된다.
다만, 유체의 순환 및 배수를 위한 장치들이 자중에 의한 유체의 흐름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가전기기의 저면에 구비됨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필터어셈블리(100) 역시 가전기기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가전기기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필터하우징(1)의 상부에 있던 유체가 필터(3)로 유입된다.
필터(3)로 유입된 유체는 필터링부(33)를 거쳐 순환유로(13) 또는 배수유로(11)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13)는 가전기기가 필터링한 유체를 계속해서 가전기기 내부에 공급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필요한 구성으로 순환펌프(131)를 통해 가전기기의 내부로 필터링된 유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유로(11)는 필터링이 종료된 경우에 배수펌프(111)에 의해 유체를 가전기기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순환유로(13)로 유체가 유동하거나 배수유로(11)로 유체가 유동하는 경우, 유체는 반드시 상기 필터링부(33)를 거치게 되므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은 필터링부(33)에 걸러지게 된다.
이때 진동수단(5)이 상기 필터(3)를 진동시키게 되므로 필터링이 진행되는 동안 유체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필터링부(33)의 표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 또는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는 그 작동 중 필터링부(33)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4에 개시된 센서(S)와 제어부(C)를 통해 필터어셈블리를 제어하는 경우라면, 유체가 필터(3)로 유입되는 초기에는 상기 진동수단(5)이 작동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필터링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필터링부(33)에 흡착되는 이물질의 양이 증가하면 순환펌프(또는 배수펌프)의 회전수에 변화가 생기게 될 것이고, 이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센서(S)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와 제어부나 별도의 저장수단에 서 제공되는 데이터(한계 변화량 내지 한계 회전수 등)를 비교하여 상기 진동수단(5)을 작동시킴으로써 전술한 바와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한계 변화량 또는 한계 회전수"라 함은 필터링부(33)에 이물질이 흡착되어도 필터(3)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순환펌프(또는 배수펌프)의 회전수에 관한 데이터로 필터어셈블리의 필터링용량 및 상기 펌프들의 용량에 따라 수집되어 결정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유체의 필터링이 완료되면, 즉 유체가 필터하우징(1)을 모두 빠져나가고 나면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진동수단(5)을 가동시켜 필터링부(33)에 흡착된 이물질을 그 표면에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술한 필터링부(33)에 흡착된 이물질의 제거는 도5의 클리닝 진동수단(9)을 통해서 별도로 진행되거나, 진동수단(5)의 진동과 동시에 상기 클리닝 진동수단(9)의 진동을 더하여 진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클리닝 진동수단(9)을 통해 별도로 필터링부(33)의 청소가 진행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유체가 필터하우징(1)을 모두 빠져나가고 나면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클리닝 진동수단(9)을 가동시키게 된다.
진동수단(9)의 모터(91)가 회전하면 회전축(93)에 결합된 자석부재(95)가 같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석부재(95)의 회전반경(R) 내의 필터프레임 외주면(311)에 구비된 띠부재(35)가 상기 자석부재(95)의 회전에 연동하여 운동함으로써 필터(3)를 진동시키게 된다.
띠부재에 의한 필터(3)의 진동은 현가장치(7)에 의해 복원력을 제공받게 되므로 필터링부(33)에 흡착된 이물질을 그 표면에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1은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의 개념도이다.
도2는 도1 I-I의 단면도로 고무부재를 채용한 개념도이다.
도3은 도1 I-I의 단면도로 스프링을 채용한 개념도이다.
도4는 제어부의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 필터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필터어셈블리: 100 필터하우징: 1 배수유로: 11
배수펌프: 111 순환유로: 13 순환펌프: 131
필터: 3 필터프레임: 31 필터링부: 33
띠부재: 35 진동수단: 5 현가장치: 7
고무부재: 71 수용부: 711 연결부: 713
스프링: 73 클리닝 진동수단: 9 모터: 91
회전축: 93 자석부재: 95

Claims (10)

  1.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가 삽입되고, 필터링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구비한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를 진동시켜 상기 이물질이 상기 필터의 표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수단;을 포함하는 필터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서 용이하게 진동할 수 있도록 하는 현가장치;를 더 포함하는 필터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장치는 상기 필터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지는 필터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장치는 상기 필터의 외주면과 상기 필터하우징 내주면에 구비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필터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막힘을 예상하여 상기 진동수단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필터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유로에 연결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회전수 변화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펌프의 회전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회전수 변화량 이상인 경우 상기 진동수단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어셈블리.
  7. 제1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통해 걸러진 이물질을 상기 필터에서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필터를 진동시키는 클리닝 진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필터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진동수단은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며 회전축을 포함하는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는 자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자석부재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한 외주면에 금속띠;가 형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진동수단은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며 회전축을 포함하는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는 자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자석부재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한 외주면에 자석띠;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어셈블리.
  10.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가 삽입되고, 필터링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구비한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를 통해 걸러진 이물질을 상기 필터에서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필터를 진동시키는 클리닝 진동수단;을 포함하는 필터어셈블리.
KR1020090012390A 2009-02-16 2009-02-16 필터어셈블리 KR20100093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390A KR20100093274A (ko) 2009-02-16 2009-02-16 필터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390A KR20100093274A (ko) 2009-02-16 2009-02-16 필터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274A true KR20100093274A (ko) 2010-08-25

Family

ID=4275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390A KR20100093274A (ko) 2009-02-16 2009-02-16 필터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32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975A (ko) * 2014-12-19 2016-06-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물질수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청소로봇
CN107158782A (zh) * 2017-06-05 2017-09-15 太原科技大学 一种基于流固耦振的高水基过滤系统反冲洗装置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975A (ko) * 2014-12-19 2016-06-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물질수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청소로봇
CN107158782A (zh) * 2017-06-05 2017-09-15 太原科技大学 一种基于流固耦振的高水基过滤系统反冲洗装置及方法
CN107158782B (zh) * 2017-06-05 2019-03-26 太原科技大学 一种基于流固耦振的高水基过滤系统反冲洗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2060B2 (e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er and methods of cleaning a rotating filter
US9010344B2 (e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KR101555758B1 (ko) 세탁기
KR102284641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0772223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JP4740247B2 (ja) 食器洗い機
CN103374808B (zh) 洗衣机
KR20150089762A (ko) 식기 세척기
AU2017213439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772224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KR102287518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US20170360273A1 (en) Filter with artificial boundary for a dishwashing machine
KR20100093274A (ko) 필터어셈블리
JP6548872B2 (ja) 洗濯機
JPH0847593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60101569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14226176A (ja) 洗濯機用ろ過装置及びこれを取り付けた洗濯機
US11330957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16778102U (zh) 过滤组件和洗涤设备
KR101245590B1 (ko) 식기 세척기의 배수펌프 및 그를 이용한 식기세척기의 운전방법
KR20190014896A (ko) 식기세척기
KR20060103982A (ko) 드럼 세탁기의 물순환장치용 필터구조
KR20210079729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36985B1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EP2371256B1 (en) Dishw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