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66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667A
KR20180077667A KR1020160182253A KR20160182253A KR20180077667A KR 20180077667 A KR20180077667 A KR 20180077667A KR 1020160182253 A KR1020160182253 A KR 1020160182253A KR 20160182253 A KR20160182253 A KR 20160182253A KR 20180077667 A KR20180077667 A KR 20180077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tub
connection body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빈
박영률
이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2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7667A/ko
Publication of KR20180077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터브의 바닥면이 위치된 방향에 구비되는 하부면, 상기 하부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면, 상기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을 연결하는 연결면, 상기 연결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순환유로에 연결되는 급수구를 구비하여 상기 순환유로로 공급되는 물을 상기 터브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 중 상기 상부면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1필터,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 중 상기 하부면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2필터,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2필터를 연결하며,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2필터를 서로 이격시키는 연결바디, 상기 연결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필터부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를 말하는데,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류를 형성하는 교반부를 포함한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상기 드럼에 구비되어 교반부의 회전 시 물을 드럼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에 구비되어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
상기 교반부가 상기 드럼 내부에서 회전하면, 상기 교반부가 물에 제공하는 원심력에 의해 물은 상기 드럼에 내벽에 구비된 유로부로 유입하게 되고, 상기 유로부에 유입된 물은 상기 필터부를 거친 후 드럼으로 재공급되었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필터부를 통해 여과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필터부는 드럼에 구비된 유로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고, 상기 유로부는 드럼의 바닥면에 위치된 교반부의 회전 시 물을 필터부로 공급하기 위해 유입구가 드럼의 내주면에 구비되어야 했다.
드럼의 내부와 유입부를 연통시키는 유입구가 드럼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필터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유로부 및 유입구를 통해 드럼으로 재공급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여과 가능한 필터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다시 드럼이나 터브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에 구비된 필터의 전 영역을 여과공간으로 활용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터브의 바닥면이 위치된 방향에 구비되는 하부면, 상기 하부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면, 상기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을 연결하는 연결면, 상기 연결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순환유로에 연결되는 급수구를 구비하여 상기 순환유로로 공급되는 물을 상기 터브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 중 상기 상부면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1필터;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 중 상기 하부면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2필터;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2필터를 연결하며,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2필터를 서로 이격시키는 연결바디; 상기 연결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필터부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연결바디에서 상기 필터부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필터부 내부에 C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차단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벽은 상기 연결바디에서 상기 필터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필터부의 중심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터브로 공급하며, 상기 필터부가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개방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와 상기 하부면은 상기 제2필터를 통과한 물이 상기 하부면을 따라 상기 개방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하부면은 상기 개방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필터가 고정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2필터가 고정되며 상기 연결바디를 통해 상기 제1바디에 결합하는 제2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연결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바디 관통홀; 상기 연결바디 관통홀에 구비되어 물을 여과하는 연결바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연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2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제3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3필터 사이의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제1유입구 및 상기 제3필터와 상기 제2필터 사이의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제2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벽은 상기 연결바디에서 상기 필터부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3필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C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1차단벽; 상기 연결바디에서 상기 필터부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3필터와 상기 제2필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C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2차단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여과 가능한 필터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다시 드럼이나 터브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에 구비된 필터의 전 영역을 여과공간으로 활용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여과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구비된 필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구비된 필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3)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11),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3)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구(11)는 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도어(13)는 캐비닛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투입구(11)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바디(21), 상기 터브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에 연통하는 터브투입구(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브바디(21)는 터브지지부(25)를 통해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배수부를 통해 내부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바디(21)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유로(51), 상기 급수유로(51)를 개폐하는 급수밸브(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터브바디(21) 내부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유로(55), 상기 배수유로를 통해 터브바디(21)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배수펌프(56)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은 상기 터브바디(21)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드럼이 원통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드럼(3)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드럼바디(31), 상기 드럼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터브투입구(23)에 연통하는 드럼투입구(32)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투입구(32)는 상기 터브투입구(23)를 통해 캐비닛에 구비된 투입구(11)에 연통한다.
상기 드럼바디(31)의 원주면 및 바닥면에는 상기 드럼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33)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터브바디(21)로 공급된 물은 상기 관통홀(33)을 통해 드럼바디(31)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의류에 함유된 물은 상기 드럼의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과 관통홀(33)을 통해 터브바디(21)로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드럼(3)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전류가 공급되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발생시키는 스테이터(4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된 로터(43), 상기 터브바디(21)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바디(31)와 로터(43)를 연결하는 회전축(4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41)는 터브바디(21)에 고정되고, 상기 로터(43)에는 서로 다른 자극이 교번적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영구자석이 고정된다. 따라서, 스테이터(41)에 의해 회전자계가 발생하면, 영구자석들은 회전자계를 따라 이동하게 될 것이고, 이 과정에서 로터(43) 및 회전축(45)이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급수부를 통해 터브바디(21)에 물을 공급한 뒤 상기 구동부를 통해 드럼바디(31)를 회전시킴으로써 의류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의류에서 분리시킨다.
상기 드럼바디(31)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회전시켜 의류로부터 이물질이 충분리되면,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배수부를 통해 터브바디(21)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의류를 세탁한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럼바디(31)의 회전으로 이물질이 의류에서 분리될 때 의류를 구성하는 섬유도 함께 의류에서 분리되고,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이나 섬유는 터브바디(21) 내부에서 물과 함께 유동하므로, 배수부를 통해 터브바디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더라도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이나 섬유가 다시 의류에 잔류하게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터브바디(21)에 저장된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7, 8, 9)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구비된 여과부는 상기 터브바디(21)에 구비되는 하우징(7), 상기 터브바디(21)에 저장된 물을 터브바디(21)의 외부로 인출한 뒤 상기 하우징(7)으로 공급하는 공급부(8), 상기 하우징(7)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8)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8)는 상기 터브바디(21)에 저장된 물을 터브바디(21)의 외부로 인출한 뒤 상기 하우징(7)으로 안내하는 순환유로(81),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물을 이동시키는 펌프(8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7)은 상기 공급부(8)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터브바디(21) 내부로 안내하는 수단으로, 상기 하우징(7)은 상기 터브바디(21)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필터부(9)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71), 상기 순환유로(8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수용부(71)로 안내하는 급수가이더(7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71)는 상기 터브바디(21)의 바닥면이 위치된 방향에 구비되는 하부면(711), 상기 하부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면(713), 상기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을 연결하는 연결면(715), 상기 연결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급수가이더(73)를 통해 상기 순환유로(81)에 연결된 급수구(7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면(711)과 상부면(713)은 후술할 필터부(9)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결면(715)는 상기 하부면(711)과 상부면(713) 사이에 상기 필터부(9)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71)는 상기 연결면(715)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71)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바디(21)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데, 도 3은 상기 배출구가 상기 연결면(715)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터브바디(21)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개방면(717)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필터부(9)는 상기 개방면(717)을 통해 상기 수용부(71)에 삽입되고, 상기 수용부(71)를 통해 상기 수용부(71)에서 인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9)와 상기 수용부(71)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연결면(715)에는 상기 필터부(9)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지지부(7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718)는 상기 필터부(9)의 바닥면과 상기 하부면(711) 사이를 이격시켜, 상기 필터부(9)를 통과한 물이 상기 하부면(711)을 따라 상기 개방면(717)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면(711)은 상기 개방면(717)이 위치된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9)는 상기 수용부(71) 내부 공간 중 상기 상부면(713)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1바디(91), 상기 수용부 내부 공간 중 상기 하부면(711)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2바디(92),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91)와 제2바디(92) 사이에 공간(필터부 내부공간)을 형성시키는 연결바디(94)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91)에는 상기 제1바디(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1바디 관통홀(911) 및 상기 제1바디 관통홀(911)에 구비되어 물을 여과하는 제1필터(913)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93)에는 상기 제2바디(9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2바디 관통홀(921) 및 상기 제2바디 관통홀(921)에 구비되어 물을 여과하는 제2필터(9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94)에는 상기 급수구(719)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제1바디(91), 상기 제2바디(92) 및 연결바디(94)에 의해 형성되는 필터부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945)가 구비된다. 상기 유입구(945)는 상기 연결바디(94)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바디(94)에는 상기 제2필터(923)가 상기 수용부의 하부면(71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더(94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949)는 상기 연결바디(94)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필터부(9)가 수용부(71)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9)가 수용부(71)에 삽입되면, 상기 가이더(949)는 상기 수용부(71) 내부에 위치된 지지부(718)의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제2필터(923)가 상기 수용부의 하부면(71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순환유로(81)를 통해 수용부(71)로 유입된 물은 필터부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뒤 상기 제1필터(913)와 제2필터(923)를 통과하고, 상기 필터들(913, 923)을 통과한 물은 하우징에 구비된 하부면(711)과 개방면(717)을 통해 터브바디(21)로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이나 섬유가 다시 의류에 잔류하게 될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를 가진 필터부(9)는 상기 급수구(719)를 통해 수용부(71)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1필터(913)의 상부에 분사되어 제1필터(913)와 제2필터(923)를 순차적으로 거친 뒤 상기 터브바디(21)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필터부(9)의 중앙에서 상기 제1필터(913)와 제2필터(923)를 거쳐 터브바디(21)로 이동하므로 여과시간이나 여과성능에 있어 보다 유리한 효과가 있다.
다만, 상술한 구조를 가진 여과부(7, 8, 9)는 상기 제1필터(913)가 제공하는 여과공간 및 제2필터(923)가 제공하는 여과공간을 모두 활용하여 물을 여과하지 못하고, 상기 제1필터(913)가 제공하는 여과공간의 일부 영역(유입구에 인접한 영역)과 상기 제2필터(923)가 제공하는 여과공간 중 일부영역(유입구에 인접한 영역)만을 여과면으로 활용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필터부(9)에는 상기 연결바디(94)에서 상기 필터부(9)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필터부(9) 내부에 C자 형상의 유로나 S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차단벽(9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차단벽(96)이 C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도 4의 차단벽(96)은 상기 연결바디(94)에서 상기 필터부(9)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945)를 통해 필터부(9)로 공급된 물은 상기 차단벽(96)을 따라 상기 필터부(9)의 중심으로 이동한 뒤 연결바디(94)를 따라 상기 필터부(9) 내부를 이동하므로, 상기 필터부(9) 내부에는 C자 형상의 유로가 형성될 것이다.
상기 필터부(9) 내부에 C자 형상의 유로가 형성되면, 상기 제1필터(913)가 제공하는 여과공간 중 일부 영역과 상기 제2필터(923)가 제공하는 여과공간 중 일부 영역만을 여과면으로 활용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9) 내부에 S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차단벽(96)이 구비될 경우, 상기 차단벽(96)은 상기 연결바디(94)에서 상기 필터부(9)의 내부를 향해 구비되되 상기 유입구(945)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차단벽, 상기 제1차단벽과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연결바디(94)에서 상기 유입구(945)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2차단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바디(91), 상기 제2바디(92) 및 상기 연결바디(94) 중 어느 하나에는 핸들(9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핸들(97)을 통해 상기 필터부(9)를 상기 수용부(71)에 삽입하거나 상기 수용부(71)에서 상기 필터부(9)를 인출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9)의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상기 제1바디(91)와 상기 제2바디(9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바디(9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상기 제1바디(91)가 힌지축(915)을 통해 상기 연결바디(9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연결바디(94)는 상기 제1바디(91)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2바디(92)를 향해 절곡된 제1절곡부(941), 상기 제2바디(92)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바디(91)를 향해 절곡된 제2절곡부(943)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구비된 필터부(9)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9)는 연결바디(94)에도 필터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도 4나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별된다.
즉, 본 실시예에 구비된 필터부(9)는 연결바디(94)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바디 관통홀(946), 상기 연결바디 관통홀(946)에 구비되어 물을 여과하는 연결바디 필터(947)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9)는 도 4나 도 6의 실시예에 비해 여과용량이 증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은 본 발명에 구비된 필터부(9)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에 따른 필터부(9)는 제1필터(913)와 제2필터(923) 사이에 위치하는 제3필터(983)가 더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9)는 상기 연결바디(94)에 고정되어 상기 제1바디(91)와 제2바디(92) 사이에 위치하는 제3바디(98), 상기 제3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필터(983)가 고정되는 제3바디 관통홀(9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벽(96)은 상기 연결바디(94)에서 상기 필터부(9)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필터(913)와 제3필터(98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C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1차단벽(961), 상기 연결바디(94)에서 상기 필터부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3필터(983)와 제2필터(92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C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2차단벽(96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945)는 상기 제1필터(913)와 제3필터(983) 사이의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제1유입구(945a) 및 상기 제3필터(983)와 제2필터(923) 사이의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제2유입구(945b)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투입구
13: 도어 2. 터브 21: 터브바디
23: 터브투입구 25: 터브지지부 3: 드럼
31: 드럼바디 32: 투입구 33: 관통홀
41: 스테이터 43: 로터 45: 회전축
51: 급수유로 53: 급수밸브 55: 배수유로
56:배수펌프 7: 하우징 71: 수용부
711: 하부면 713: 상부면 715: 연결면
717: 개방면 718: 지지부 719: 급수구
73: 급수가이더 8: 공급부 81: 순환유로
83: 펌프 9 필터부 91: 제1바디
911: 제1바디 관통홀 913: 제1필터 915: 힌지축
92: 제2바디 921: 제2바디 관통홀
923: 제2필터 94: 연결바디 941: 제1절곡부
943: 제2절곡부 945: 유입구 945a: 제1유입구
945b: 제2유입구 946: 연결바디 관통홀
947: 연결바디 필터 949: 가이더 96: 차단벽
961: 제1차단벽 963: 제2차단벽 97: 핸들
98: 제3바디 981: 제3바디 관통홀
983: 제3필터

Claims (10)

  1.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터브의 바닥면이 위치된 방향에 구비되는 하부면, 상기 하부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면, 상기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을 연결하는 연결면, 상기 연결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순환유로에 연결되는 급수구를 구비하여 상기 순환유로로 공급되는 물을 상기 터브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 중 상기 상부면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1필터;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 중 상기 하부면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2필터;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2필터를 연결하며,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2필터를 서로 이격시키는 연결바디;
    상기 연결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필터부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디에서 상기 필터부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필터부 내부에 C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차단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은 상기 연결바디에서 상기 필터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필터부의 중심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터브로 공급하며, 상기 필터부가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개방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와 상기 하부면은 상기 제2필터를 통과한 물이 상기 하부면을 따라 상기 개방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은 상기 개방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필터가 고정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2필터가 고정되며 상기 연결바디를 통해 상기 제1바디에 결합하는 제2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바디 관통홀;
    상기 연결바디 관통홀에 구비되어 물을 여과하는 연결바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2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제3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3필터 사이의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제1유입구 및 상기 제3필터와 상기 제2필터 사이의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제2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은
    상기 연결바디에서 상기 필터부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3필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C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1차단벽;
    상기 연결바디에서 상기 필터부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3필터와 상기 제2필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C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2차단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82253A 2016-12-29 2016-12-29 의류처리장치 KR20180077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253A KR20180077667A (ko) 2016-12-29 2016-12-29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253A KR20180077667A (ko) 2016-12-29 2016-12-29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667A true KR20180077667A (ko) 2018-07-09

Family

ID=6291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253A KR20180077667A (ko) 2016-12-29 2016-12-29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76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1869A (zh) * 2019-12-17 2021-06-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1869A (zh) * 2019-12-17 2021-06-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12981869B (zh) * 2019-12-17 2024-03-1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6181A (ko) 의류처리장치
EP2479336A1 (en) Washing machine and pump filter thereof
CN106367927B (zh) 衣物处理设备
WO2012141362A1 (ko) 세탁장치
CN104594000A (zh) 衣物处理设备
KR20180016861A (ko) 의류처리장치
KR102482654B1 (ko) 의류처리장치
RU266436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20180077667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21181B1 (ko) 의류처리장치
CN111945392B (zh) 排水泵及包括其的衣物处理装置
KR2017008679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241080B1 (ko) 의류처리장치
CN107700149B (zh) 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KR20180061655A (ko) 의류처리장치
KR102442971B1 (ko) 세탁기
KR10257754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EP2280112A1 (en) Laundry washing machine and filtering assembly for the draining circuit of a laundry washing machine
KR102461472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2280113A1 (en) Laundry washing machine and filtering assembly for the draining circuit of a laundry washing machine
KR10257709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7383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184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4034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40347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