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59208A2 - 세탁기 세척볼의 유도 장치 및 세척볼을 위한 배수구 덮개 - Google Patents

세탁기 세척볼의 유도 장치 및 세척볼을 위한 배수구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59208A2
WO2011059208A2 PCT/KR2010/007813 KR2010007813W WO2011059208A2 WO 2011059208 A2 WO2011059208 A2 WO 2011059208A2 KR 2010007813 W KR2010007813 W KR 2010007813W WO 2011059208 A2 WO2011059208 A2 WO 201105920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shing
signal
drain
ball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78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59208A3 (ko
WO2011059208A9 (ko
Inventor
박호용
Original Assignee
Park Ho Yon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0946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14702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7507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037967B1/ko
Application filed by Park Ho Yong filed Critical Park Ho Yong
Priority to US13/509,02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30127263A1/en
Priority to JP2012538751A priority patent/JP2013509980A/ja
Publication of WO201105920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59208A2/ko
Publication of WO2011059208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59208A9/ko
Publication of WO201105920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59208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Definition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washing bowl for washing the reservoir, the washing tank and the water guide of the washing machine.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washing ball to perform the cleaning between the washing tank and the water tank to be discharged with the washing water to be reused, the remaining foreign matter such as hair, thread and coins or buttons and washing water Relates to a drain cover which allows for a smooth discharge.
  • dirt such as purlin fibers and hair, accumulates in the space between the washing tank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washing tank when discharged from the laundry.
  • the method of washing using a liquid detergent is relatively easy to carry out by the general public because it does not require specialized knowledg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tisfaction is not high because old times or steamed dirt are not properly washed.
  •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9-0023804 (prior art 1)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n automatic washing device, the first washing brush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machine tank for washing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during the washing process, washing machine drum And a second washing brush provided on the outer wall, and a third washing brush installed on the drum housing at the bottom of the tank.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7-0088212 (Prior Art 2) relates to a washing method of a washing machine and a detergent supply mechanism, and includes a washing tank installed in a cabinet and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assage and a drainage passage, and detergent is added to the washing tank.
  • the steam generator for supplying steam to the detergent supply mechanism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assage, the water supply por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water supply passage to supply steam water and the steam outlet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supply mechanism and the washing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698304 (prior art 3) relates to a washing tank cleaning method of a drum washing machine, selecting a washing mode of the washing tank, supplying washing water to a steam generator, and And heating the washing water by turning the heater on, and sterilizing by spraying steam in the washing tank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prior art 2 and the prior art 3 has a blind spot to put artificial energy into steam generation for cleaning because the main goal is to clean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by generating steam.
  • the drain of the washing machine does not have a drain cov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used for the normal drain, a plurality of washing ball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when the draining process proceeds, or when the washing balls gather at the drain part at once, the drain is smooth.
  • the washing time is long, and the next step is to supply water in a state in which the washed pollutants are not properly discharged, which causes a reduction in washing efficiency.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ing means that can effectively clean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without installing an artificial cleaning structure.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eans having a structure that can facilitate the input and recovery of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t of cleaning means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in order to effectively perform the cleaning of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uction means for permanent magnets for effectively washing the inner wall of the reservoir using electric field induction or imparting motion to the artificial float of the reservoir.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 cover to prevent the washing bal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in the draining process.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 cover structure so that the drain is smoothly made even if a plurality of cleaning balls and a plurality of foreign substances are concentrated in the drain cover.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means for the washing ball concentrated in the drain cover portion in the water supply process to easily escape the drain portion in the water supply process.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for maintaining a predetermined buoyancy to piggyback the flow of the wash water and a plurality of washing protrusion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to remove dirt by rubbing the washing tank and the water tank.
  • a washing machine washing ball is proposed as an embodim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body for maintaining a first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hing water so as to piggyback on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and a plurality of first washing protrusion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 a second body including a first washing ball comprising a second body and a second body maintaining a second specific gravity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specific weight and greater than the specific gravity, and a plurality of washing protrusion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 a washing machine washing ball set provided with washing balls is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other embodiment of the induction apparatus of the permanent magnet built-in floating body located in the reservoir.
  • the induction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coil winding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eservoir and a pattern forming circuit configured to apply a pulse signal of a predetermined pattern to the coil winding to form an electric field for inducing the floating body in the reservoir. .
  • the main body 20 of the convex hemispherical shape and comprises a fixed body 30 for mounting the main body 20 in the drain of the washing machine, the main body In 20, the drainage cover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ircular drainage holes of the first diameter and the drainage member-type drainage hole are formed in plural is proposed as an embodiment.
  •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comprises a filter frame 40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drawer, including a receiving body 50 for fixing the filter frame 40 fixedly at the position of the washing machine drain
  • the drainag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member 41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in a pair so as to face each other.
  • the drain cove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 magnetic material including a frame 62 having a solenoid coil 61 therein and a bracket portion 63 for fixing the frame 62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washing machine.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means 60, the magnetic body guide means 60 is preferably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body 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washing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wash the water tank, the washing tank, the pulsator, etc. without disassembling the washing machin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aundry from being contaminated by mold or bacteria parasitic inside the washing machine. That is, the washing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assified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conomical washing means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driving energy or washing water because it cleans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while moving by itself according to the rotating water flow of the washing water.
  • it since it is implemented in a small sized ball or the like form, it is possible to freely move while washing the narrow space between the washing tank and the reservoir. In particular, since it can pass freel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pace to the inner portion bent by the letter '', it is possible to wash to the part that is difficult to reach with a conventional straight washing brush.
  • the washing ball since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washing ball is discharged to the drain of the washing machine, the washing ball does not need to be replenished every time even if the washing process is repeated several times.
  • the drainage cover structure of the embodiments can ensure a maximum drainage space, so that rapid drainage can be made.
  • the next step of washing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by assisting the washing balls gathered around the drain to smoothly escape the drain.
  • FIG 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washing principle of the washing b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3 to 6 and 7 is a cutaway view of thi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washing ball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washing operation in the case where three kinds of washing balls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weight.
  • FIG.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kind of washing operation for the washing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 12 to 14 show various examples of a reservoir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oil windings.
  • 1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attern forming circuit.
  • 1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ignal pattern according to T1 and T2.
  • FIG. 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waveforms of signals generated with magnitudes of T3 and T4.
  • FIG. 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waveforms of signals generated with magnitudes of T3 and T4.
  • 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ignal pattern of FIG. 16 and the signal pattern of FIG.
  • 19 and 20 are view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washing ball in the section in which the washing motor rotates clockwise / counterclockwise.
  • 21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ignal generator in the pattern forming circuit of FIG. 15;
  • 26 to 28 show examples of pulse signals generated by the microcomputer 8051
  • FIG. 2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rain cover of Embodiment 1.
  • FIG. 2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rain cover of Embodiment 1.
  • FIG. 30 is a view showing a drain cover is attached to the washing machine drain of the first embodiment.
  • FIG. 31 shows an example of a drain cover of Embodiment 2.
  • FIG. 32 is a view showing separately the mantle mold in the drain cover of Example 2.
  • Fig. 33 is a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receiving the mantle mold in the drain cover of the second embodiment
  • 34 is a side view for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rain cove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washing machine.
  • 3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opper is formed around the drain cover.
  • 3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ant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FIG. 3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ant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38 and 39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mantle.
  • 4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shing ball composed of independent power supply.
  • specific gravity refers to the ratio of the unit weight of an object to unit weight, which is the weight when the temperature of pure water is four.
  • buoyancy refers to a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gravity that a stationary object in a fluid receives from the fluid when gravity is applied. Therefore, whe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object is less than 1,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the buoyancy of the object becomes large. On the contrary, whe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object is greater than 1, the specific gravity of the object becomes smaller.
  • washing water is mixed with various disinfectants, detergents, laundry contaminants, etc., compared to pure water, and the room temperature is usually higher than 4,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hing water may be slightly less than 1. Therefore, whe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hing water is A,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hing ball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as B by a predetermined value larger than A.
  • FIG. 1 is a view showing a washing principle of the washing b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ner space of the cabinet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washing machine 10 is installed with a reservoir 11 for containing the wash water, the inner lower end of the reservoir 11 is provided with a pulsator (13) connected to the motor is washed It forms a rotational flow of water, the washing tank 12 for storing the laundry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reservoir (11) to be rotatable.
  • a predetermined water flow guide 14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washing tank 12. Spaces between the water reservoir 11 and the washing tank 12 and between the washing tank 12 and the water flow guide 14 are usually several cm to several decades apart, and the washing tank 12 and the water flow guide 14 have a plurality of spaces. Since a hole is formed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freely introduced or discharged through the hole, the water tank 11, the washing tank 12, and the water flow guide 14 maintain the same water level.
  • washing ball 100 operates in the washing machine 10 structure as follows.
  • the washing ball 100 is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water storage tank 11 and the washing tank 12 of the washing machine 10 and between the washing tank 12 and the water flow guide 14. As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he water is suspended at a predetermined depth of the washing water, and then moves dynamically according to the rotational flow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pulsator 13, and the reservoir 11, the washing tank 12, and the water guide 14 Dirt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is removed by friction.
  • the pulsator 13 of the washing machine is usually manufactured by molding a plastic material, so the durability of the motor should be ensured because it plays a role of generating a strong rotational flow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he washing water.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durability, metal reinforcement unevenness (13-1) is additionally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which causes a large amount of contaminants in a narrow space between the pulsator 13 and the bottom of the reservoir 11. It is very difficult to clean it. 2 shows an internal bottom structure of such a washing machine.
  • the washing ball 100 moves dynamically according to the rotational water flow and approaches the space between the pulsator 13 and the bottom of the reservoir 11. And while riding on the strong rotation of the pulsator 13, the dirt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space is removed by friction.
  • the pulsator 13 is made of a metallic material and ensures durability, the member such as the reinforcement irregularities will be unnecessary, and thus, the space between the pulsator 13 and the bottom of the reservoir 11 is wider. Can lose. If so, the washing ball 100 can be more freely to the space, so that the contaminants can be removed more clean.
  • the cleaning ball 100 should maintain an appropriate buoyancy, and various embodiments of how to maintain the buoyancy are presented below.
  • Embodiment 1 relates to a case in which the inside of the washing ball is divided into an outer layer and an inner layer, and the inner layer is implemented by a member of a specific material for maintaining buoyancy.
  • 3 and 4 is a cutaway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washing b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the washing ball 100 of the first embodiment is a body 110 for maintaining a predetermined buoyancy to float at a certain depth of the wash water, a plurality of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10 Including the washing protrusion 120, the body 110 is to maintai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hing ball 100 while being positioned inside the outer layer 111 and the outer layer 111 to which the washing protrusion is attached again.
  • the inner layer 112 is divided.
  • the outer layer 111 is preferably implemented with a plastic material or a ceramic material such as a thermoplastic resin or a thermosetting resin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appearance due to long-term us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but the durability of the outer layer 111 is plastic or ceramic Any material that guarantees a level can be used.
  • the outer layer 111 and the washing protrusion 120 may be integrally produced by molding injection, and in this case, the washing protrusion 12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ductility so as not to damage the outer surface of the washing tub. 111 is also preferably produced from a soft material (for example, a plastic material). In addition, the outer layer 111 may be implemented by a material having a small ductility (for example, a ceramic material) for maintaining the appearance shape or by bonding the washing protrusion 120 having a high ductility thereto.
  • the inner layer 112 may be implemented with a member of a specific material to adjust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hing ball. Since the specific gravity of each material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select an appropriate material member so that the washing ball 100 maintains the buoyancy designed in advance.
  • a solid such as wood, plastic, metal, or a liquid such as water or a mixture of water and other materials (for example, brine, soda water, etc.) may be used.
  • a porous member such as a sponge, a memory foam, etc. may be used to adjust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hing ball 100 by absorbing the washing water.
  • a plurality of perforations are formed in the outer layer 111 so that washing water can freely flow into or out of the inner layer 112 through the outer layer 111.
  •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hing ball 100 is a C value smaller than A. Therefore, the washing ball 100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due to the high buoyancy at the initial time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reservoir 11.
  •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hing ball 100 gradually approaches B.
  • the buoyancy of the washing ball 100 becomes the specific gravity B. It will float at a certain depth below the surface while decreasing to a corresponding degree.
  • the washing ball 100 moves dynamically to the washing protrusion 120 of the washing ball 100 while moving dynamically according to the rotational water flow rate ( 11) and the washing tank 12 is rubbed to remove dirt that has been implanted everywhere.
  • Example 2 is the inside of the washing ball is divided into the outer layer and the inner layer, the inner layer is implemented with a member of a specific material for maintaining buoyancy, the center of the inner layer relates to the case where the weight is further provided for adjusting the buoyancy of the washing ball will be.
  •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type of raw materials to be used as the porous member of the inner layer is limited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securing raw materials or the cost of the raw materials, the second embodiment can not meet the pre-designed buoyancy due to the porous member of the raw material. It can be used to provide washing balls with various degrees of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weight or weight type as a set product.
  • FIG. 5 is a cutaway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washing ba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the washing ball 20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 body 21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buoyancy to float at a certain depth of the wash water, a plurality of washing projection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210) 220, and the body 210 is the outer layer 211 to which the washing projections are attached again, and the inner layer for maintain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hing ball 200 larger than water while being located inside the outer layer 211 ( 212).
  • a weight 213 for adjusting the buoyancy of the washing ball 200 is furthe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layer 212.
  •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layer 211 and the inner layer 212 of the body is the same as the outer layer 111 and inner layer 112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weight 213 will be further described herein.
  • the weight of the weight 213 is set so that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hing ball 200 is matched to a pre-desig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when the inner layer 212 absorbed the wash water to the maximum.
  • the specific gravity value designed in advance may be one or two or more.
  • the weight of the weight 213 should also be provided in various ways.
  • the weight 213 is sufficient to play a role of controll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hing ball 200 and there is no separate limitation on the material or shape. Therefore, a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or ceramic may be used as the weight 213 or a liquid material may be used.
  • Example 3 relates to a case in which the inside of the washing ball is divided into an outer layer and an inner layer, and the inner layer is implemented by a member of a magnetic material for maintaining buoyancy and recovering the washing ball. If the material of the inner layer is not magnetic, the material of the central weight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layer may be implemented as a magnetic.
  • Example 3 is a method for recovering the washing ball after washing, in the case of washing the washing tank and the reservoir by putting only the washing ball without the laundry in order to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the laundry is contaminated with dirt by the washing operation of the washing ball.
  • the inner layer or the center weight of the ball is formed of a member of the magnetic material, it can be utilized to take out the washing ball by using a washing ball recovery rod equipped with a recovery por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or steel material on one side.
  • FIG. 6 is a cutaway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washing bal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the washing ball 300 of the third embodiment is a body 31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buoyancy to float at a certain depth of the wash water, and a plurality of washing projection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310) 320, the body 310 is the outer layer 311 to which the washing projections are attached again, and the inner layer for maintain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hing ball 300 larger than water while being located inside the outer layer 311 ( 312).
  •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layer 311 and the inner layer 312 of the body 310 is the same as the outer layer 111 and inner layer 112 of the first embodiment.
  • the inner layer 312 may be easily recovered by the recovery rod 350 at the time of recovery from the washing machine by adopting a magnetic material in addition to maintaining the buoyancy of the washing ball 300.
  • the buoyancy maintenance role of the inner layer 312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 a center weight 313 of a magnetic material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layer 312.
  • the central weight 313 serves to help the recovery ball 300 to be easily recovered by the recovery rod 350 when the washing ball 300 is recovered from the washing machine, and also adjusts the buoyancy of the washing ball 300. You can work together.
  • the buoyancy adjustment role of the center weight 313 may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weight 213 of the second embodiment.
  • Example 4 relates to a cleaning ball consisting simply of the body and the cleaning protrusion.
  • the material of the body or the material of the body and the washing protrusion to maintain the buoyancy of the washing ball in the pre-designed degre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ashing ball can be simplified.
  • FIG. 7 is a cutaway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washing bal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 the washing ball 400 of the fourth embodiment is a body 41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buoyancy to float at a certain depth of the wash water, and a plurality of washing projection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410) 420).
  • the description of the body 410 and the washing protrusion 42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body 110 and the washing protrusion 120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buoyancy of the washing ball is made of the material of the body or the material of the body and the washing protrusi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at a material must be used that is capable of maintaining a predesigned level.
  • Example 5 relates to a case where a plurality of washing balls are put into one washing machine, and the plurality of washing balls are divided into two or more groups according to the size of buoyancy.
  • the washing ball 100 of the first embodiment may provide the washing balls 100 divided into two or more groups according to buoyancy by different materials of the inner layer 112, washing ball 200 of the second embodiment ) May provide washing balls 100 divided into two or more groups according to buoyancy by different materials of the inner layer 212 and / or the weight 213.
  • the washing ball 300 of the third embodiment may be different from the material of the inner layer 312 and / or the central weight 313, the washing ball 400 of the fourth embodiment is the body 410 and / or The cleaning protrusions 420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washing ball 200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varying the material of the weight 213 in the second embodiment
  • This can be carried out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not only in Example 2, but also in Examples 1, 3, and 4 from the following.
  •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hing water is A
  •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hing ball a without weight is a (where a> A)
  •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hing ball b with weight m is b (where b> a> A )
  •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shing ball c provided with a weight n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c (where c> b> a> A).
  • FIG. 8 illustrates a washing operation when three kinds of washing balls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weight.
  • washing water floats up to the full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11 so as to float at three depths.
  • the washing ball a is suspended in the upper layer of the washing water
  • the washing ball b is suspended in the middle layer of the washing water
  • the washing ball c is placed on the bottom layer of the washing water.
  • the washing balls a to c dynamically mov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water flow, and the water tank 11 as the washing protrusion 220 of the washing ball. And by rubbing the washing tank 12, the dirt that has been implanted everywhere is removed.
  • the washing ball a mainly moves in zone I by buoyancy of specific gravity a
  • the washing ball b mainly moves in zone II by buoyancy of specific gravity b
  • the washing ball c is zone III (or by buoyancy of specific gravity c) Remove dirt from the main area only (near the floor).
  • Example 6 relates to a washing ball using acrylic yarns as washing protrusions. 9 shows an example of the washing ball of Example 6.
  • FIG. 9 shows an example of the washing ball of Example 6.
  • the washing ball 500 of the sixth embodiment consists of a body (not shown in the figure) and the washing protrusion 520 of acrylic yarn material.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is the same as the washing ball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nly the washing protrusion 520 will be described herein.
  • Acrylic yarn refers to a yarn made of acrylic material.
  • acrylic yarns because of the antibacterial (or bactericidal) properties of acrylic yarns provides excellent washing power for washing tanks and water tanks.
  • acrylic polymer grooves When the acrylic yarn is enlarged, many polymer grooves are formed on the surface, so the oil removal property is stronger than other materials. In other words, acrylic polymer grooves easily absorb oil components on the basis of capillary action and osmotic pressure. Since the main component of the dirt attached to the washing tank and the storage tank is often oil, the washing effect of the acrylic yarn may be doubled when the washing protrusion 520 of the acrylic company is used.
  • the washing ball 500 of the sixth embodiment may be attached to the body by attaching a plurality of acrylic yarns using a predetermined adhesive means, or by sewing on the skin of the body.
  • Example 7 relates to a disposable wash ball.
  • the washing protrusions 120, 220, 320, 420, and 520 are gradually worn out by friction with dirt, etc., over time, and eventually, the washing balls 100, 200, 300, 400, You may need to replace 500).
  • Example 7 proposes a washing ball that dissolves in the wash water after several uses, focusing on this point.
  • the washing ball of the seventh embodiment (no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decomposed by one us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decomposed only after several or several tens of use. Theref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sposable” does not necessarily refer to a use that is used only once,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a use that is used with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 the washing ball of Example 7 may be formed by mixing at least one of fibrous powder (eg, starch), gelatin, and an abrasive into starch.
  • fibrous powder eg, starch
  • gelatin e.g., gelatin
  • an abrasive e.g., abrasive into starch.
  • the washing ball of the seventh embodiment is soft and polishes and cleans dirt of the outer wall without damaging the outer walls of the water storage tank 11 and the washing tank 12. And while washing several times or tens of times, it is gradually dissolved in the wash water to disappear.
  • At least one of fibrous powder such as starch, gelatin and abrasive is added to the starch and kneaded with water.
  • the steamed mixture is first steamed to a kneaded mixture and subjected to compression molding using a prefabricated mold. Inside the mold, the body of the washing ball and the washing protrusions are formed in advance into empty spaces. Thereafter, the steam-formed mixture is subjected to steam steam at a high temperature secondly, and then gradually cooled and cured. Drying of the cured mixture produced wash balls of Example 7.
  • the washing ball of Example 7 is formed at the same time the body and the cleaning projections, there is no separate attachment process of the cleaning projections.
  • the body 110, 210, 310, 410, 510 of the washing ball (100, 200, 300, 400, 500) is implemented in the shape of a sphere (for example) Although described,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embodied in any polyhedron shape such as tetrahedron, hexahedron, and octahedron.
  • washing protrusions 120, 220, 320, 420, and 520 of the washing balls in the embodiments 1 to 7 have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being implemented in a conical shap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implemented as.
  • Examples 1 to 7 are examples in which the washing balls 100, 200, 300, 400, and 500 operate in the general washing machine structure, but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structure of the drum type as shown in FIG. If the washing tank is provided separately and the washing machin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pace is maintained between the washing tank and the water storage tank, the washing balls 100, 200, 300, 400, and 500 may be applied to any of the washing balls.
  • FIGS. 12-14 show various examples of a reservoir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oil windings.
  • At least one winding support part for fixing the plurality of coil windings C20 is formed or mounted in the reservoir 11.
  • the winding support may be implemented in a shape in which two support shafts 14a and one winding shaft 14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portion 11a of the reservoir 11 to which the winding support is mounted is preferably designed to dent into a predetermined portion.
  • the coil end line of each coil winding C20 is connected to the pattern forming circuit, respectively.
  • FIG. 13 does not separately show the winding support (not shown in FIG. 2) but shows only the shape in which the coil winding C20 is wound.
  • the winding support may have a shape in which one support shaft (not shown in FIG. 13) and one winding shaft (not shown in FIG. 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FIG. 14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wo support shafts 14a and one winding shaft 14b are provided with four winding support part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dumbbell shape per one coil winding C20 set.
  • One coil winding C20 set is divided into an A group on the left side and a B group on the right side, and the A group and the B group are configured such that winding directions of the coil windings C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reservoir 11 is equipped with a total of four sets of coil windings C20, and coil windings C20 of a group facing each other between neighboring sets of coil windings C20 also have different winding directions. It is configured to.
  • a washing machine reservoir may be embodied as a reservoir of a washing machine, a reservoir tank, an electronic fish tank, and the like.
  • a washing machine reservoir It is assumed that a washing ball with a washing protrusion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s a floating body having a permanent magnet embedded between the storage tank and the washing tank of the washing machine is floating at a certain depth.
  • 15 shows an example of the pattern forming circuit C200.
  • the pattern forming circuit C200 is connected to both end lines of the coil winding C20.
  • the portion 20_1 shown in blue in FIG. 15 specif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coil winding C20 of FIG. 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isplay portion 20_1 may be the coil winding C20 of FIGS. 13 and 14. It is obvious that the configuration can be replaced with.
  • the pattern forming circuit C200 generates a predetermined signal pattern by a predetermined cycle or a cycl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ulsator 13 (or the washing motor), and the signal is formed at two end lines of the coil winding C20.
  • the H signal and the L signal according to the pattern are alternately applied.
  • a detailed operation of the pattern forming circuit C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5.
  • H (High) signal is generated at the third terminal of the pulse generator (NE 555) included in. In the example of FIG. 15, the H signal occurs with a length of T1.
  • a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photo coupler IC3 to drive the transistor Q3, so that a current flows in the coil winding C20.
  • a current flows in the coil winding C20, an electric field is generated around the coil winding C20 according to the left hand rule of flaming, and the washing ball is rotated clockwise by a built-in permanent magnet to the electric field. While being aligned, the revolutions are parallel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washing motor (ie clockwise).
  • T2 C1 * (R1 + R2) * (R3 + R4)
  • the pulse generating circuit generates an H signal having a length of T3 according to the impedance of C1 * R1 and an L signal having a length of T4 according to the impedance of C1 * R1 * (R3 + R4).
  • T4 C1 * R1 * (R3 + R4)
  • FIG. 17 schematically shows waveforms of signals generated with magnitudes of T3 and T4. As shown in Fig. 17, T3 and T4 form a pattern approximately opposite to the periodic patterns of T1 and T2, so that the washing ball rotates and revol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before.
  • FIG. 18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ignal pattern of FIG. 16 and the signal pattern of FIG. 17 occur in succession.
  • FIG. 19 is a view illustrating a washing ball moving in a section A in which the washing motor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in FIG. 18, and FIG. 20 illustrates a washing ball moving in a section B in which the washing motor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FIG. 18. It is.
  • the pattern forming circuit C200 applies a pattern signal consisting of an H signal of T1 length and an L signal of T2 length to the coil winding C20.
  • T2 is greater than T1 in the section A
  • the electric field by T2 is predominantly formed between the coil windings C20 by the length of T2-T1
  • the washing ball 100 is applied to the electric field of T2. It moves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 and the revolution in the alignment direction (ie clockwise).
  • the pattern forming circuit C200 when power is applied to rotate the washing motor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pplies a pattern signal consisting of an H signal of length T3 and an L signal of length T4 to the coil winding C20.
  • T3 is greater than T4 in the section B, the electric field by T3 is predominantly formed between the coil windings C20 by the length of T3-T4, and as a result, the washing ball 100 is applied to the electric field of T3. It moves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 and the revolution in the alignment direction (ie counterclockwise).
  • FIG. 21 illustrates a modified example of the signal generator C210 in the pattern forming circuit C200 of FIG. 15, and the overall operation principle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 FIG. 22 shows a circuit for simultaneously driving the washing motor and the pattern forming circuit with one power source as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attern forming circuit C200.
  • the pattern forming circuit of FIG. 22 is not suitable for an apparatus requiring a large output such as a washing machine, a set of artificial fish (not shown) and a coiled fish tank (not shown) equipped with a permanent magnet instead of the washing ball 100 are installed. This can be useful for systems with only a small power output. Except that one power is applied, the principle of generating the pattern signal is the same,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 FIG. 23 is a fur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attern forming circuit C200, and illustrates a large output motor driving circuit using a solid state relay and a pattern forming circuit included therein.
  • the pattern forming circuit of FIG. 23 can be used in a system requiring a strong output, such as a dish washer. The same principle is used to generate the pattern signal except that a steady state relay is added.
  • FIG. 24 illustrates a motor driving circuit for obtaining high output by a Darlington circuit combining a PNP transistor and an NPN transistor, and a pattern forming circuit included therein, a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attern forming circuit C200. . This also applies the principle of generating the pattern signal except that the Darlington circuit is added, so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 FIG. 25 illustrate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attern forming circuit C200.
  • the controller 7805 is replaced with a micom 8051 performing a more complicated function is illustrated.
  •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washing ball 100 may be adjusted by variously modifying the phase and / or amplitude of the pulse signal using the micom 8031. This means that the washing force of the washing ball 100 can be adjusted more precisely.
  • 26 to 28 show examples of pulse signals generated by the microcomputer 8051.
  • Fig. 26 is a normal pulse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8051.
  • the pulse signal of FIG. 26 the same or similar signal pattern as that of FIG. 18 described above is generated.
  • 27 and 28 modulate phase and / or amplitude in the pulse signal of FIG. Through such phase modulation and / or amplitude modulation, the washing ball 100 is moved to the bottom of the reservoir 11, an elliptic trajectory is drawn, or the movement is carried out in close contact with the washing tank 13. Can be controlled.
  • the cleaning ball is composed of a coil winding, a pattern forming circuit, and an independent power source having a built-in power supply.
  • 40 briefly illustrates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washing ball composed of independent power supplies. As shown in FIG.
  • the cleaning ball includes a magnetic core corresponding to a coil winding, a control circuit board corresponding to a pattern forming circuit, and an independent power source corresponding to a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Free movement of the washing ball is induced by the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pattern forming circuit in the washing ball and the external permanent magnet.
  • Example 1 relates to a drain cover that applies Bernoulli's principle.
  • the "cleaning ball” refers to the washing ball described in the related technology 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10-0001434) or the related technology 2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09467). Point.
  • FIG. 29 shows an example of the drain cover of Example 1.
  • the drain cover of Embodiment 1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plurality of drain hole groups having different sizes and shapes.
  • Each drain hole group includes a plurality of drain holes having the same shape.
  • the drain cover includes a convex hemispherical main body 20 and a fixed body 30 for stably mounting the main body 20 to the drain of the washing machine.
  • the fixing body 30 includes a horizontal circular band-shaped plate portion 31 and a vertical circular band-shaped drain hole mounting portion 32.
  • the main body 20 is formed with a first drainage hole group consisting of large circular pores and a second drainage hole group consisting of manure-shaped pores, and the plate portion 31 of the fixed body 30
  • a third drainage hole group is formed of small circular pores.
  • the third drain hole group is an option that can be selectively formed.
  • a fixing groove 33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drain body mounting portion 32 in the fixing body 30 to insert and fix the drain cover to the drain of the washing machine, and in this case, the fixing groove 33 inside the drain of the washing machine.
  • the engaging protrusion (not shown) coupled to the) may be formed.
  • Each drain hole belonging to the first drain hole group is called a first drain hole
  • each drain hole belonging to the second drain hole group is called a second drain hole
  • each drain hole belonging to the third drain hole group is called a third drain hole
  • the area of the first drainage hole is the largest
  • the area of the second drainage hole is the next largest
  • the area of the third drainage hole is the smallest.
  • the diameter of the drain cover of the first embodiment is preferably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ashing machine drain, by a predetermined size, more preferably at least twice more. This is because, when some of the drain holes are covered when the wash balls stick to the drain cover, sufficient drainage inflow space must be secured.
  • FIG. 29 illustrates a drain cover having a convex main body 20
  • a drain cover having a concave main body 20 may also be used a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rain cover of the firs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washing machine drain.
  • a washing machine motor or drainage motor
  • the drain cover of Embodiment 1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ound the washing machine reservoir.
  • Example 2 relates to a drain cover with a pair of manure members.
  • wash ball particularly refers to the washing ball described in related art 2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09467).
  • FIG. 31 shows an example of the drain cover of Example 2.
  • the drain cover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filter frame (40) having a predetermined filtering member for filtering the washing ball, and a receiving body for storing the filter frame (40) fixed to the position of the washing machine drain ( 50).
  • Filter frame 4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box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pen, or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drawer shape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When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drawer, at least one fastener 42 for fixing the filter frame 40 to the receiving body 50 in pieces on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handle portion of the drawer may be provided.
  • the filter frame 40 of the abov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smooth discharge of the elongated foreign matter, such as hair or yarn.
  • the elongated foreign matter such as hair or yarn.
  • thin and long foreign matters are entangled at the intersections of the manure flesh, which increases as time passes, thereby causing a difficult drainage.
  • the filter fram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face two comb member (41) of the comb shap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because the separation gap between the two filter member 41 is formed Even if the hair or thread is entangled in the manure, the hair or thread slides along the manure due to the slope and drainage of the manure, thereby preventing the clogging of the drain hole by the hair or thread.
  • the filtering member 4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dge of the manure flesh is formed by one closed curve, so that smooth discharge of thin and long foreign matters can be induced, whereas in the case of a lattice strainer, it has a plurality of vertices. Long debris can easily clog
  • the gap formed between the two filtering members 41 has a sufficient distance so that coins or buttons can escape.
  • the receiving body 50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not shown) for accommodating the filter frame 40 on one side thereof, and a drain inlet 5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 31 illustrates a drain inlet 51 formed as a quadrang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as a polygon or a circle other than a quadrangle.
  • the lower surface is formed with a drain outlet 52 protruding in a pipe shape for fixing the receiving body 50 to the washing machine drain.
  • the diameter of the drain outlet 52 is preferably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washer drain.
  • FIG. 33 is an expression for easily understanding how the filter frame 4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body 50.
  • the drain cover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magnetic induction means 60 which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50 and pulls the washing ball out of the space using a solenoid coil.
  • magnetic induction means 60 which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50 and pulls the washing ball out of the space using a solenoid coil. Since the washing ball of the related art 2 has a magnetic body (for example, a permanent magnet) embedded in the center thereof, the washing ball is drawn out of the receiving body 50 by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ed by the solenoid coil.
  • the magnetic induction means 60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50 while maintaining a sufficient distance to allow the cleaning balls to easily escape from the housing body 50.
  • the magnetic body induction means 60 includes a frame 62 having a solenoid coil 61 therein and a frame 62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ashing machine (for example, a reservoir bottom plate of the washing machine, one end of a drainage motor part of the washing machine, etc.). It comprises a bracket portion 63 for fixing to.
  • the frame 62 and the bracket portion 63 may be integrally formed.
  • 34 is a side view for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rain cove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washing machine.
  • the receiving body 50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reservoir bottom plate, it can be seen that the magnetic induction means 60 is fixedly mounted to the reservoir bottom plat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body 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ave.
  • the solenoid coil 61 Since the solenoid coil 61 needs to operate only in the drainage process in order to save energy, it is preferable to design the solenoid coil 61 to be interlocked with a driving unit (not shown) of the washing machine drainage motor.
  • a stopper may be further formed around the drainage cover of Embodiment 2,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 plates.
  • 35 shows the stopper 70 formed around the drain cover.
  • the stopper 70 is implemented so that the plurality of triangular plates 71 surround the drain cover in a quadrangular shape as a whol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This is to ensure that the drainage time is not delayed despite the presence of the stopper 70 by allowing the washing water to pass through the spaces between the triangular plates 71.
  • Bernoulli's principle is that the washing balls are first guided toward the triangular plate 71 of the stopping jaw 70 rather than directly passing over the stopping jaw 70, the washing balls may be primarily prevented from entering the recessed space.
  • the triangular plate 71 may not necessarily be implemented as an accurate triangle, but may be implemented in a shark fin shape or the like.
  • Embodiment 3 of a drain cover is related with the drain cover with which the inclination angle of a filtering member is formed by elastic means.
  • the filtering member 41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ltering mold 40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filtering mold 4000-1 of the third embodiment usually includes the filtering member 4100. -1) is maintained horizontally, and when foreign matters such as washing balls arrive, they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ir weight, and when the foreign matters are removed, the structure reverts back horizontally by a predetermined elastic member. There is a difference.
  • FIG 36 shows an example of the mantle frame 4000-1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drain cover.
  • each manure member 4100-1 has a body 4110-1 and a plurality of manures 4120-1. It is composed. And both sides of the body (4110-1)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jection (4130-1) for coupling the filtering member (4100-1) to the filter frame 4000-1, corresponding to the filter frame (4000-1) 4, four coupling grooves 4010-1 for coupling with the coupling protrusions 4130-1 of the filtering member 4100-1 are formed.
  • the mantle frame 4000-1 of FIG. 36 supports the manure member 4100-1 so that it is usually horizontal, and if the objec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is placed on the manure member 4100-1, the manure member Although the 4100-1 is tilted downward, the elastic member (not shown in FIG. 36) may be further provided to provide the filtering member 4100-1 with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so as to recover to a horizontal state when the object disappears.
  • the elastic member an 'A'-shaped spring or an annular leaf spring may be used, and a fixing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inside the mantle frame 4000-1 to fix one end of the spring. .
  • One of the objects placed on the filtering member 4100-1 may be a washing ball.
  • the filtering member 4100-1 should be inclined, but the washing ball should not be designed to pass through the drain cover.
  • a filtering member 4100-1 is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filtering frame 4000-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dy 4110-1 of the filtering member 4100-1 or the body of the filtering member 4100-1 in a long direction.
  • a stopper 4400-1 may be further formed to stop the inclined movem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prevent the inclination from being further inclined.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shape and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stopper 4400-1, and may be formed as a simple protrusion or triangular protrusion.
  • FIG. 37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mantle frame 4000-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FIGS. 38 and 39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mantle frame 4000-2.
  • the mantle frame 4000-2 is provided with one manure member 4100-2, and each manure member 4100-2 has a body 4110-2 and a plurality of manure flesh 4402-0. It consists of 2). And both sides of the body (4110-2)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jection (4130-2) for coupling the filtering member (4100-2) to the filter frame (4000-2), corresponding to the filter frame (4000-2) ), Two coupling grooves 4010-2 for engaging with the coupling protrusions 4130-2 of the filtering member 4100-2 are formed inside.
  • the filter frame 4000-2 of FIG. 37 supports the filter member 4100-2 so that the filter member 4100-2 is usually horizontal, and when an objec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is placed on the filter member 4100-2, the filter member The 4100-2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4140-2 which provide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filtering member 4100-2 such that when the object is inclined downward and the object disappears, the 4100-2 is restored to a horizontal state.
  • an 'A'-shaped spring or an annular leaf spring may be used, and as shown in FIGS. 38 and 39, the inner and the filtering members 4100-2 of the mantle frame 4000-2 may be used.
  • one end of the spring may have a spring hanger (4141) is fixed.
  • a lower stopper 4400-2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frame 4000-2 so that the filtering member 4100-2 stops the inclined movem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no longer inclines.
  • an upper stopper 4400 that prevents the manure flesh 4120-2 of the manure member 4100-2 from protruding upward by the elastic member 4140-2 at one upper portion of the mantle frame 4000-2. -3) can be formed.
  • the lower stopper 4400-2 is formed to protrude into an inclined rectangle
  • the upper stopper 4400-3 is preferably formed in a plate shape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one side of the mantle frame 4000-2, but is necessarily limited to a specific shape. It is not.
  • any member capable of apply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filtering members 4100-1 and 4100-2 may be used as the elastic member (not shown in FIG. 36 and 4140-2 in FIG. 37), and each elastic member
  • the fixing groove (not shown in Fig. 36, spring hanger (4141) in Figs. 38 and 39) to fix this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uld be appropriately modified.
  • Such modification of the fixing groove is widely disclosed and wide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backflow prevention drain cover,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the design.
  • Example 3 the structure of the accommodating body 50, the magnetic body guide means 60, and the stopping jaw 70 except the filter frames 4000-1 and 4000-2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2 of the drain cover.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d to the drain cover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the drain of the drum washing machine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as shown in FIG.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technical field of washing the interior of the washing machine.

Abstract

세탁기 내부의 오염 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수단과, 전기장 유도를 이용하여 저수조의 내벽을 효과적으로 세척하거나 저수조의 인공 부유체에 모션을 부여하기 위한 영구자석의 유도 수단과, 세탁기 세척볼의 세척 동작을 돕기 위한 세탁기 배수구용 덮개가 제공된다. 세척 수단은 볼(ball)과 같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본체와 다수의 세척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저수조와 세탁조 및 저수조와 펄세이터 사이의 공간에 투입되어 세탁용수의 일정 수심에서 부유하고 있다가 세탁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회전수류에 따라 다이나믹하게 이동하면서 저수조, 세탁조 및 펄세이터에 부착되어 있는 각종 오물을 세척 돌기로 마찰시켜 제거한다.

Description

세탁기 세척볼의 유도 장치 및 세척볼을 위한 배수구 덮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탁기의 저수조, 세탁조 및 수류가이드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전기장 유도를 이용하여 저수조, 세탁조 및 수류가이드의 내벽을 효과적으로 세척하거나 저수조와 세탁조의 사이 공간, 세탁조와 수류가이드의 사이 공간에 있는 세척볼에 모션을 부여하기 위한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은 세탁조와 저수조 사이의 세척을 수행하는 세척볼이 세탁용수와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머리카락이나 실 그리고 동전이나 단추와 같은 나머지 이물질 그리고 세탁용수는 원활하게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한 배수구 덮개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의 사용 연한이 오래됨에 따라 세탁기의 저수조와 세탁조 사이의 공간에는 세탁물에서 배출된 때, 자투리 섬유, 모발 등의 오물이 쌓이게 된다.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통상 4~5년을 주기로 세탁기를 분해하여 세척하거나 액상의 세척 세제를 세탁용수에 풀어 공회전을 시키는 방식으로 위의 오물을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세탁기의 분해 및 세척을 위해서는 상당 정도의 메카닉 기술을 숙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일반인이 직접 수행하기에는 버거운 면이 있어 통상 이를 전업으로 하는 서비스업이 성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소정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므로 경제적 부담이 상당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액상의 세제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방식은 상대적으로 전문 지식을 요하지 않아 일반인이 수행하기에 용이하지만 묵은 때나 찌든 오물 등은 제대로 세척되지 않아 만족도가 높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세탁기 내에 내부 세척 기능을 자체적으로 구비하려는 시도들도 제기되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0023804호(선행기술 1)는 자동 세척 장치가 장착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 과정에서 세탁기 내부를 자동으로 세척하기 위해 세탁기 수조 내벽에 설치되는 제1세척 솔과, 세탁기 드럼 외벽에 설치되는 제2세척 솔과, 수조 바닥의 드럼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3세척 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7-0088212호(선행기술 2)는 세탁기 및 세제공급기구의 세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고 급수유로와 배수유로가 구비된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에 세제가 공급되도록 상기 급수유로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된 세제공급기구와, 상기 급수유로의 타측에 급수구가 연결되어 스팀수가 급수되고 상기 세제공급기구와 세탁조에 스팀 배출구가 연결되어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698304호(선행기술 3)는 드럼 세탁기의 세척조 세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세척조의 세정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증기 발생장치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증기 발생장치의 히터를 온(ON)시켜 세척수를 가열하는 단계와, 세척조 내에 소정 시간동안 증기를 분사하여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 1에 의하면 세탁기 내부에 세척 솔과 같은 인위적인 부재를 장착해야 하는바 세척 솔에 의해 세탁기의 원활한 동작이 방해받을 수 있고 노후된 세척 솔을 교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과 수고를 지불해야 하는 문제가 있 다.
또한, 선행기술 2 및 선행기술 3은 공히 스팀을 발생시켜 세탁기 내부를 세척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므로 세척을 위한 스팀 발생에 인위적인 에너지를 투입해야 하는 맹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비단 세탁기뿐만 아니라 사람의 손이 직접 닿기 힘든 구조의 저수조, 저수 탱크, 대형 어항 등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실제로 세척볼을 이용하여 세탁기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1회 이상의 급수(給水) 과정과 배수(排水) 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각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다음의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즉, 세탁기의 배수구에는 통상의 배수구에 사용되는 이물질 거름용 배수구 덮개가 없으므로 배수 과정이 진행될 때 다수의 세척볼들이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버리거나, 세척볼이 배수구 부위에 한꺼번에 모여들 경우 원활한 배수를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1회의 세탁기 세척만으로는 원하는 만큼의 세척 효과를 기대하기 힘드므로 복수 회의 세척을 수행하여야 할 때 위와 같이 세척볼들이 외부로 배출되어 버리면 매회의 세척 과정에서 세척볼들을 세탁기 내에 보충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세척볼에 의해 원활한 배수가 방해받으면 그만큼 세척 시간이 길어지고, 세척된 오염물질들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은 상태로 다음 단계의 급수가 이루어지므로 세척 효율이 저감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위적인 세척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으면서 무동력으로 세탁기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세척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세탁기의 내부에 투입 및 회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세척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세탁기 내부의 세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 특성을 달리하는 세척 수단을 세트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전기장 유도를 이용하여 저수조의 내벽을 효과적으로 세척하거나 저수조의 인공 부유체에 모션을 부여하기 위한 영구자석의 유도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배수 과정에서 세척볼들이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배수구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상기 배수구 덮개 부위에 세척볼들과 다수의 이물질이 집중 되더라도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구 덮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급수 과정에서 배수구 덮개 부위에 집중되어 있는 세척볼들이 급수 과정에서 용이하게 상기 배수구 부위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탁용수의 흐름에 편승하도록 소정의 부력을 유지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부에 부착되며 세탁조 및 저수조를 마찰하여 오물을 제거하는 복수의 세척 돌기를 포함하는 세탁기 세척볼을 일 실시예로 제안한다.
본 발명은 위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세탁용수의 흐름에 편승하도록 세탁용수의 비중보다 큰 제1비중을 유지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외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1 세척 돌기를 포함하는 제1세척볼 및 세탁용수의 비중보다 크고 상기 제1비중과는 상이한 제2비중을 유지하는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외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세척 돌기를 포함하는 제2세척볼이 함께 제공되는 세탁기 세척볼 세트를 다른 일 실시예로 제안한다.
본 발명은 위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저수조 안에 위치한 영구자석 내장 부유체의 유도 장치를 다른 일 실시예로 제안한다. 상기 유도 장치는 상기 저수조의 외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코일 권선 및 상기 코일 권선에 미리 정해진 패턴의 펄스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저수조 안에 상기 부유체를 유도하기 위한 전기장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볼록 반구 형상의 주 몸체(20)와, 상기 주 몸체(20)를 세탁기의 배수구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 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 몸체(20)에는 제1 직경의 원형 배수 홀과 거름 부재형의 배수 홀이 각각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를 일 실시예로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각형의 서랍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름 틀(40)과, 상기 거름 틀(40)을 세탁기 배수구의 위치에 고정 수납하는 수납 몸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거름 틀(40)의 내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거름 부재(41)가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를 다른 실시예로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두 번째 실시예의 배수구 덮개는 그 내부에 솔레노이드 코일(61)을 내장하는 프레임(62)과, 상기 프레임(62)을 세탁기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부(63)를 포함하는 자성체 유도수단(6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자성체 유도수단(60)은 상기 수납 몸체(50)의 상부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척볼에 의하면 세탁기를 분해하지 않고도 저수조, 세탁조, 펄세이터 등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세탁기의 내부에서 기생하는 곰팡이나 세균 등으로부터 세탁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세척볼은 세탁용수의 회전수류에 따라 스스로 이동하면서 세탁기 내부를 청소하므로 별도의 구동 에너지나 세척 용수를 요구하지 아니하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세척 수단으로 분류된다. 또한, 작은 크기의 볼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구현되므로 세탁조와 저수조 사이의 좁은 공간을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세척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공간의 하단 부위에서 ''자로 꺾인 안쪽 부분까지 자유롭게 지나다닐 수 있으므로 종래의 직선 형 세척솔로는 닿기 힘든 부분까지 세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하면 영구자석을 내장한 세척볼과 영구자석 유도 장치를 이용하여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이라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하면 세탁기의 배수구로 세척볼이 배출될 가능성이 없으므로 여러 번의 세척 과정을 반복하더라도 매번 번거롭게 세척볼을 보충해 넣을 필요가 없다. 또한 세척볼들과 다수의 이물질들이 배수구 부근에 집중되더라도 실시예들의 배수구 덮개 구조로 인해 최대한의 배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수구 주변에 몰려 있던 세척볼들이 배수구를 원활하게 벗어날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다음 단계의 세척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볼의 세척 원리를 도시한 도시도.
도 3 내지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세척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이것의 절개도.
도 8은 무게추에 따라 3가지 종류의 세척볼이 제공되는 경우에 있어서 세척 동작을 도시한 도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세척볼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세척볼에 대한 다른 종류의 세척 동작을 도시한 도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복수의 코일 권선이 장착된 저수조의 예를 다양하게 제시한 도시도.
도 15는 패턴 형성 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도시도.
도 16은 상기 T1 및 T2에 따른 신호 패턴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시도.
도 17은 T3 및 T4의 크기로 생성된 신호의 파형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시도.
도 18은 도 16의 신호 패턴과 도 17의 신호 패턴이 연달아 발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시도.
도 19 및 도 20은 세탁 모터가 시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간에서 세척볼의 이동 모습을 도시한 도시도.
도 21은 도 15의 패턴 형성 회로에 있어서 신호 발생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시도.
도 22 내지 도 25는 패턴 형성 회로의 다른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시도.
도 26 내지 도 28은 마이콤(8051)에 의해 생성되는 펄스 신호의 예들을 도시한 도시도.
도 29는 실시예 1의 배수구 덮개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시도.
도 30은 실시예 1의 배수구 덮개가 세탁기 배수구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시도.
도 31은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시도.
도 32는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에서 거름 틀을 별도로 도시한 도시도.
도 33은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에서 거름 틀의 수납 원리를 도시한 도시도.
도 34는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가 세탁기에 장착되는 구조를 표현하기 위한 측면도.
도 35는 배수구 덮개 주위에 저지턱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시도.
도 36은 실시예 3에 따른 거름 틀의 일례를 도시한 도시도.
도 37은 실시예 3에 따른 거름 틀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시도.
도 38 및 도 39는 거름 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40은 독립 전원체로 구성되는 세척볼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시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비중(比重, specific gravity)이라 함은 어떤 물체의 단위중량과 순수한 물의 온도가 4일 때의 중량인 단위중량과의 비를 말한다. 또한, 부력(浮力, buoyancy)이라 함은 중력이 작용할 때 유체 속에 있는 정지 물체가 유체로부터 받는 중력과 반대 방향의 힘을 말한다. 따라서, 물체의 비중이 물의 비중인 1보다 작아지면 해당 물체의 부력은 커지게 되고, 반대로 물체의 비중이 물의 비중인 1보다 커지면 해당 물체의 부력은 작아지게 된다.
세탁용수는 순수한 물에 비해 각종 소독제, 세제, 세탁물의 오염물 등이 혼합되어 있고 상온은 통상 4보다 높으므로 세탁용수의 비중은 1보다는 다소 작은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세탁용수의 비중을 A라 할 때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세척볼의 비중은 A보다 미리 정해진 값만큼 큰 B로 설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볼의 세척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의 세척볼(100)이 삽입되는 일반적인 세탁기(10)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1에서 보듯, 세탁기(10)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 내부 공간에는 세탁용수를 담기 위한 저수조(11)가 설치되고, 저수조(11)의 내측 하단부에는 모터와 연결된 펄세이터(13)가 구비되어 세탁용수의 회전수류를 형성하며, 저수조(11)의 내측에는 세탁물을 담기 위한 세탁조(12)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세탁조(12)의 안쪽에서 소정의 수류 가이드(14)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저수조(11)와 세탁조(12) 사이 및 세탁조(12)와 수류 가이드(14) 사이에는 통상 수 cm 내지 십수 cm 간격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세탁조(12)와 수류 가이드(14)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세탁용수가 상기 홀을 통해 자유롭게 유입 또는 유출되므로 저수조(11), 세탁조(12) 및 수류 가이드(14)는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의 세탁기(10) 구조에서 세척볼(100)이 동작하는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척볼(100)은 세탁기(10)의 저수조(11)와 세탁조(12) 사이, 세탁조(12)와 수류 가이드(1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된다. 그리고 세탁용수가 공급됨에 따라 세탁용수의 일정 수심에서 부유하고 있다가 펄세이터(13)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회전수류에 따라 다이나믹하게 이동하면서 저수조(11), 세탁조(12) 및 수류 가이드(14)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물을 마찰에 의해 제거한다.
한편, 세탁기의 펄세이터(13)는 통상 플라스틱 재질을 성형하여 제작되는데 모터의 회전력을 세탁용수로 전달하여 강한 회전수류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하므로 그 내구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내구성의 강화를 위해 그 하단면에 금속 재질의 보강 요철(13-1)이 추가로 장착되는데 이로 인해 펄세이터(13)와 저수조(11)의 저면 사이의 좁은 공간에 오염 물질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데 비해 이를 세척하기는 매우 어려운 구조이다. 도 2는 이러한 세탁기의 내부 하단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세척볼(100)은 회전수류에 따라 다이나믹하게 이동하면서 펄세이터(13)와 저수조(11)의 저면 사이의 공간에까지 접근한다. 그리고 펄세이터(13)의 강한 회전에 편승하면서 해당 공간에 부착되어 있는 오물들을 마찰하여 제거한다.
만약, 펄세이터(13)가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내구성이 원천적으로 보장된다면 상기 보강 요철과 같은 부재는 불필요해질 것이므로 이로 인해 펄세이터(13)와 저수조(11)의 저면 사이의 공간이 좀 더 넓어질 수 있다. 그렇다면 진다면 세척볼(100)이 해당 공간에까지 보다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으므로 오염 물질이 한층 더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오물 세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세척볼(100)은 적절한 부력을 유지해야 하며, 부력을 어떠한 방식으로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가 아래에 제시된다.
<세척볼의 실시예 1>
실시예 1은 세척볼의 내부가 외층과 내층으로 구분되며, 내층은 부력 유지를 위한 특정 재질의 부재로 구현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세척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듯, 실시예 1의 세척볼(100)은 세탁용수의 일정 수심에서 부유하도록 소정의 부력을 유지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세척 돌기(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몸체(110)는 다시 세척 돌기가 부착되는 외층(111)과, 외층(111)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세척볼(100)의 비중을 물보다 크게 유지하기 위한 내층(112)으로 구분된다.
외층(111)은 장기 사용으로 인한 외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이나 세라믹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고 외층(111)의 내구성을 플라스틱이나 세라믹 수준으로 보장하는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외층(111)과 세척 돌기(120)는 성형 사출에 의해 일체로 생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세척 돌기(120)는 세탁조의 외부면을 훼손하지 않기 위해 연성이 높은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외층(111) 역시 연성 재질(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로 생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층(111)은 외관 형상 유지나 기타 목적을 위해 연성이 작은 재질(예를 들면 세라믹 재질)로 구현되고 여기에 연성이 높은 세척 돌기(120)를 접합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서 보듯, 내층(112)은 세척볼의 비중을 조절하기 위해 특정 재질의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재질마다 그 비중이 서로 상이하므로 세척볼(100)이 미리 설계한 부력을 유지하도록 적절한 재질의 부재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내층(112)의 재질로 목재, 플라스틱, 금속 등의 고체를 사용하거나 물이나 물과 다른 물질의 혼합물(예를 들면 소금물, 소다수 등) 등의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내층(112)의 다른 예로서, 도 4에서 보듯, 세탁용수를 흡수하여 세척볼(100)의 비중을 조절하기 위해 스펀지, 메모리 폼 등의 다공(多孔)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내층(112)으로 다공 부재가 사용되는 경우, 세탁용수가 외층(111)을 통해 내층(112)으로 자유롭게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도록 외층(111)에는 복수의 천공들이 형성된다.
다공 부재의 예로 스펀지를 들어보면, 저수조(11)에 세탁용수가 공급되기 전까지는 내층(112)의 스펀지는 공기만을 머금고 있으므로 세척볼(100)의 비중은 A보다 작은 C값이다. 따라서, 저수조(11)에 세탁용수가 공급되기 시작하는 초기 시점에는 높은 부력으로 인해 세척볼(100)은 세탁용수의 수면 위로 뜨게 된다.
그러나, 점차 스펀지가 세탁용수를 흡수함에 따라 세척볼(100)의 비중은 점점 B로 접근하게 되고, 세탁용수가 저수조(11)의 만수위에 다다를 때쯤이면 세척볼(100)의 부력은 비중 B에 상응하는 정도로 감소하면서 수면 아래의 소정의 수심에서 부유하게 된다.
이후, 세탁기의 펄세이터(13)의 동작으로 인해 세탁용수에 회전수류가 발생하면, 세척볼(100)은 회전수류에 따라 다이나믹하게 이동하면서 세척볼(100)의 세척돌기(120)로 저수조(11) 및 세탁조(12)를 마찰함으로써 곳곳에 착상되어 있는 오물을 제거한다.
<세척볼의 실시예 2>
실시예 2는 세척볼의 내부가 외층과 내층으로 구분되며, 내층은 부력 유지를 위한 특정 재질의 부재로 구현되고, 내층의 중심에는 세척볼의 부력을 조정하기 위한 무게추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2는 원자재 확보의 용이성 또는 원자재의 비용을 고려할 때 내층의 다공 부재로 사용할 원자재의 종류가 제한적인 경우 등에 있어서, 해당 원자재의 다공 부재로 인해 미리 설계된 정도의 부력을 맞출 수 없어 이를 무게추로 보정하거나, 무게추의 유무 또는 무게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정도의 부력을 가진 세척볼들을 세트 상품으로 제공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 2에 따른 세척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도이다.
도 5에서 보듯, 실시예 2의 세척볼(200)은 세탁용수의 일정 수심에서 부유하도록 소정의 부력을 유지하는 몸체(210)와, 몸체(210)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세척 돌기(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몸체(210)는 다시 세척 돌기가 부착되는 외층(211)과, 외층(211)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세척볼(200)의 비중을 물보다 크게 유지하기 위한 내층(212)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내층(212)의 중심에는 세척볼(200)의 부력을 조정하기 위한 무게추(213)가 더 구비된다.
몸체의 외층(211) 및 내층(212)에 대한 구성은 실시예 1의 외층(111) 및 내층(112)과 동일하며 여기서는 무게추(213)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무게추(213)의 무게는 내층(212)이 세탁용수를 최대로 흡수하였을 때를 고려하여 세척볼(200)의 비중이 미리 설계된 값에 매칭되도록 설정된다. 이때 미리 설계된 비중값은 하나일 수도 있고 둘 이상의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세척볼(200)의 비중을 복수의 값으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무게추(213)의 종류도 해당 개수만큼 다양하게 구비되어야 한다.
무게추(213)는 세척볼(200)의 비중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면 족하고 그 재질이나 형상에는 별도의 제한이 없다. 따라서, 무게추(213)로 금속이나 세라믹 등의 고체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고 액상의 재질도 사용 가능하다.
<세척볼의 실시예 3>
실시예 3은 세척볼의 내부가 외층과 내층으로 구분되며, 내층은 부력 유지 및 세척볼의 회수를 위한 마그네틱 재질의 부재로 구현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만약, 내층의 재질이 마그네틱이 아니라면 내층의 중심에 추가로 구비되는 중심추의 재질이 마그네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 3은 세척볼의 세척 동작으로 세탁물이 오물에 오염되는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세탁물 없이 세척볼만을 투입하여 세탁조 및 저수조를 세척하는 경우에 있어서, 세척 후에 세척볼을 다시 회수하기 위한 방안으로 세척볼의 내층 또는 중심추를 마그네틱 재질의 부재로 형성하고, 일측에 마그네틱 재질 또는 철강 소재의 회수부가 구비된 세척볼 회수봉을 이용하여 세척볼을 끄집어 내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 3에 따른 세척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도이다.
도 6에서 보듯, 실시예 3의 세척볼(300)은 세탁용수의 일정 수심에서 부유하도록 소정의 부력을 유지하는 몸체(310)와, 몸체(310)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세척 돌기(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몸체(310)는 다시 세척 돌기가 부착되는 외층(311)과, 외층(311)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세척볼(300)의 비중을 물보다 크게 유지하기 위한 내층(312)으로 구분된다.
몸체(310)의 외층(311) 및 내층(312)에 대한 구성은 실시예 1의 외층(111) 및 내층(112)과 동일하다. 다만, 내층(312)은 세척볼(300)의 부력을 유지하는 역할 외에 그 재질로 마그네틱을 채택함으로써 세탁기로부터 회수 시 회수봉(350)에 의해 용이하게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내층(312)의 부력 유지 역할에 대해서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내층(312)의 중심에는 마그네틱 재질의 중심추(3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중심추(313)는 세척볼(300)을 세탁기로부터 회수할 때 회수봉(350)에 의해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한편, 세척볼(300)의 부력을 조정하는 역할도 함께 담당할 수 있다. 중심추(313)의 부력 조정 역할에 대해서는 실시예 2의 무게추(213)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할 수 있다.
<세척볼의 실시예 4>
실시예 4는 단순히 몸체와 세척 돌기로만 구성되는 세척볼에 관한 것이다. 몸체의 재질 또는 몸체와 세척 돌기의 재질로 세척볼의 부력을 미리 설계한 정도로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세척볼의 제작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 4에 따른 세척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도이다.
도 7에서 보듯, 실시예 4의 세척볼(400)은 세탁용수의 일정 수심에서 부유하도록 소정의 부력을 유지하는 몸체(410)와, 몸체(410)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세척 돌기(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410) 및 세척 돌기(420)의 설명은 실시예 1의 몸체(110) 및 세척 돌기(120)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며, 다만 몸체의 재질 또는 몸체와 세척 돌기의 재질로 세척볼의 부력을 미리 설계한 정도로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점에 일부 차이가 있다.
<세척볼의 실시예 5>
실시예 5는 하나의 세탁기에 복수의 세척볼을 투입하되, 복수의 세척볼을 부력의 크기에 따라 둘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투입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실시예 1의 세척볼(100)은 내층(112)의 재질을 서로 달리함으로써 부력에 따라 둘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되는 세척볼(100)들을 제공할 수 있고, 실시예 2의 세척볼(200)은 내층(212) 및/또는 무게추(213)의 재질을 서로 달리함으로써 부력에 따라 둘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되는 세척볼(100)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의 세척볼(300)은 내층(312) 및/또는 중심추(313)의 재질을 서로 달리할 수 있고, 실시예 4의 세척볼(400)은 몸체(410) 및/또는 세척 돌기(420)의 재질을 서로 달리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 2에서 무게추(213)의 재질을 다양화함으로써 세척볼(200)을 3개의 그룹으로 구분하는 경우를 실시예 5의 대표적인 예로 활용하여 설명한다. 이는 실시예 2 뿐만 아니라 실시예 1, 3, 4에도 당업자라면 아래의 내용으로부터 손쉽게 유추하여 실시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탁용수의 비중이 A이고, 무게추가 없는 세척볼a의 비중은 a(여기서 a>A), 무게추m이 구비된 세척볼b의 비중은 b(여기서 b>a>A), 무게추n이 구비된 세척볼c의 비중은 c(여기서 c>b>a>A)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8은 이와 같이 무게추에 따라 3가지 종류의 세척볼이 제공되는 경우에 있어서 세척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세척볼a~c는 그 비중이 서로 상이하므로 세탁용수가 저수조(11)의 만수위까지 차면 3가지 높이의 수심에서 부유하게 된다. 도 4의 예에서, 세척볼a는 세탁용수의 상층에 부유하고 세척볼b는 세탁용수의 중층에 부유하고 세척볼c는 세탁용수의 바닥층에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세탁기의 펄세이터(13)의 동작으로 인해 세탁용수에 회전수류가 발생하면, 세척볼a~c는 회전수류에 따라 다이나믹하게 이동하면서 세척볼의 세척돌기(220)로 저수조(11) 및 세탁조(12)를 마찰함으로써 곳곳에 착상되어 있는 오물을 제거한다. 여기서, 세척볼a는 비중 a의 부력에 의해 구역 I에서 주로 이동하고, 세척볼b는 비중 b의 부력에 의해 구역 II에서 주로 이동하며, 세척볼c는 비중 c의 부력에 의해 구역 III(또는 바닥 근처)에서만 주로 이동하면서 오물을 제거한다.
이는 일률적인 부력의 세척볼을 사용할 경우 세척볼의 이동 범위가 너무 넓어 세척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변형 실시예로 볼 수 있다.
<세척볼의 실시예 6>
실시예 6은 세척 돌기로 아크릴 사(絲)를 이용하는 세척볼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실시예 6의 세척볼의 예를 도시한다.
실시예 6의 세척볼(500)은 몸체(도면에 미도시)와 아크릴 사 재질의 세척 돌기(520)로 이루어진다. 몸체의 구성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세척볼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세척 돌기(520)에 대하여만 상술한다.
아크릴 사(絲)란 아크릴 재질로 제조된 실을 의미한다. 아크릴 사로 세척 돌기(520)를 형성할 경우, 아크릴 사의 항균(또는 제균) 특성 때문에 세탁조 및 저수조 등에 대한 우수한 세척력을 제공한다.
아크릴 사를 확대해 보면 그 표면에 다수의 고분자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타 재질보다 기름 성분을 제거하는 특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즉, 아크릴 사의 고분자 홈들은 모세관 현상과 삼투압의 원리로 기름 성분을 용이하게 흡수한다. 세탁조 및 저수조 등에 부착된 오물의 주요 성분은 유분인 경우가 많으므로 아크릴 사의 세척 돌기(520)를 이용하면 그 세척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실시예 6의 세척볼(500)은 복수의 아크릴 사를 몸체에 소정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몸체의 표피에 꿰매는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다.
<세척볼의 실시예 7>
실시예 7은 일회용 세척볼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6의 세척볼에서 세척 돌기(120, 220, 320, 420, 52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물 등과의 마찰에 의해 서서히 마모되므로 종국에는 세척볼(100, 200, 300, 400, 500)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 7은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몇 번의 사용으로 세탁용수에 녹아 없어지는 세척볼을 제안한다. 실시예 7의 세척볼(도면에 미도시)은 1회 사용으로 분해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회 또는 수십 회의 사용 후에 비로소 분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일회용이라 함은 반드시 1회만 사용되는 용도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며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서 사용되는 용도라 해석되어야 한다.
실시예 7의 세척볼은 녹말에 섬유질 분말(일례로 전분), 젤라틴, 연마제 중 적어도 하나를 혼합하여 조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시예 7의 세척볼은 연성을 가지게 되어 저수조(11)와 세탁조(12)의 외벽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외벽의 오물들을 연마 및 세척한다. 그리고 수회 또는 수십 회 정도의 세척을 수행하면서 차츰 세탁용수에 녹아 소멸한다.
녹말에 전분 등의 섬유질 분말, 젤라틴 및 연마제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한 후 물과 함께 반죽한다. 반죽된 혼합물에 1차로 고온의 증기찜을 수행하고, 미리 제작된 형틀을 이용하여 압착 성형을 가한다. 형틀의 안쪽에는 세척볼의 몸체와 세척 돌기 부분이 미리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후, 압착 성형된 혼합물에 2차로 고온의 증기찜을 수행한 후 서서히 냉각하여 경화시킨다. 경화된 혼합물을 건조시키면 실시예 7의 세척볼이 생성된다. 실시예 7의 세척볼은 몸체와 세척 돌기가 한 번에 형성되며 세척 돌기의 부착 과정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 1~7에서 세척볼(100, 200, 300, 400, 500)의 몸체(110, 210, 310, 410, 510)는 구체(具體)의 형상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며, 사면체, 육면체, 팔면체 등 어떠한 다면체 형상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실시예 1~7에서 세척볼의 세척 돌기(120, 220, 320, 420, 520)는 원뿔 형상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며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쉬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실시예 1~7는 일반형의 세탁기 구조에서 세척볼(100, 200, 300, 400, 500)이 동작하는 예를 들었지만 도 11에서 보듯 드럼형의 세탁기 구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세탁조가 별도로 구비되고 세탁조와 저수조 사이에 공간이 유지되는 구조의 세탁기라면 어떤 것에라도 본 발명의 세척볼(100, 200, 300, 400, 500)을 적용할 수 있다.
<세척볼 유도 장치의 코일 권선 장착 예>
도 12 내지 도 14는 복수의 코일 권선이 장착된 저수조의 예를 다양하게 제시한다.
저수조(11)에는 복수의 코일 권선(C20)을 고정하기 위한 권선지지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 또는 장착된다.
도 12의 예에서, 권선지지부는 2개의 지지축(14a)과 하나의 권선축(14b)이 서로 연결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코일 권선(C20)은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므로 권선지지부가 장착되는 저수조(11)의 부위(11a)는 일정 부분 안쪽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코일 권선(C20)의 코일 끝선은 각각 패턴 형성 회로에 연결된다.
도 13의 예는 권선지지부(도 2에 미 도시)를 별도로 도시하지 않고 코일 권선(C20)이 감긴 형상만을 도시한다. 도 13에 의하면, 권선지지부는 하나의 지지축(도 13에 미 도시)과 하나의 권선축(도 13에 미도시)이 서로 연결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4의 예는 2개의 지지축(14a)과 하나의 권선축(14b)이 덤벨 형상으로 서로 연결된 권선지지부가 하나의 코일 권선(C20) 세트당 4개씩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하나의 코일 권선(C20) 세트는 좌측의 A 그룹과 우측의 B 그룹으로 구분되며, A 그룹과 B 그룹은 각각 코일 권선(C20)의 권취 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4의 예에서 저수조(11)에는 총 4개의 코일 권선(C20) 세트가 장착되는데, 이웃하는 코일 권선(C20) 세트 간에 마주보는 그룹의 코일 권선(C20)들 역시 그 권취 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된다.
도 12 내지 도 14의 저수조는 세탁기의 저수조, 저수 탱크, 전자 어항 등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에서는 세탁기의 저수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세탁기의 저수조와 세탁조 사이에는 영구자석을 내장한 부유체로서 몸체 외면에 세척 돌기가 부착된 세척볼이 일정한 수심에 부유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세척볼 유도 장치에 포함되는 패턴 형성 회로의 구성>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4의 코일 권선(C20)에 일정 패턴의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세척볼을 유도하기 위한 전기장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패턴 형성 회로(C2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패턴 형성 회로(C200)는 코일 권선(C20)의 양 끝선에 연결된다. 도 15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20_1)은 도 12의 코일 권선(C20)의 예를 특히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표시 부분(20_1)을 도 13 및 도 14의 코일 권선(C20)로 대체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패턴 형성 회로(C200)는 미리 정해진 주기 또는 펄세이터(13)(또는 세탁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주기에 의해 소정의 신호 패턴을 생성하고, 코일 권선(C20)의 두 끝선에 상기 신호 패턴에 따른 H 신호 및 L 신호를 번갈아 가면서 인가한다. 이하, 도 15를 참고로 패턴 형성 회로(C200)의 구체적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에서, Q4의 B(base)에 세탁 모터의 동작 신호(시계 방향의 회전을 위한)가 들어오면 릴레이(RELAY)가 온(ON) 되면서 패턴 형성 회로(C200)에 전원이 인가된다.
패턴 형성 회로(C200)의 트랜지스터 Q1 B에 초기 신호(세탁 모터의 시계방향 회전 신호)가 인가되면 신호 발생부(C210)에 C1*R1*R2의 임피던스가 형성되고, 그에 따라 신호 발생부(C210)에 포함된 펄스 생성기(NE 555)의 3번 단자에서 H(High) 신호가 생성된다. 도 15의 예에서, H 신호는 T1의 길이로 발생한다.
T1 = C1 * R1 * R2
H 신호가 발생하면 포토 커플러 IC3의 2번 단자에 신호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 Q3가 구동되고, 그에 따라 코일 권선(C20)에 전류가 흐른다. 코일 권선(C20)에 전류가 흐르면 플래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코일 권선(C20)의 주위에 전기장이 발생하고, 상기 세척볼은 내장된 영구 자석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자전(自轉)하여 상기 전기장에 정렬되는 한편 세탁 모터의 회전 방향(즉 시계 방향)으로 공전(公轉)을 병행한다.
다음으로, T1의 시간이 경과하면 펄스 생성기(NE 555)의 3번 단자에서 반시계 방향 회전을 위한 L(Low) 신호(펄스)가 생성된다. 이때, 회로에는 C1*(R1+R2)*(R3+R4)의 임피던스가 형성되며 상기 L 신호는 T2 길이로 발생한다.
T2 = C1 * (R1 + R2) * (R3 + R4)
L 신호가 발생하면 IC3은 구동을 멈추고 대신 포토 커플러 IC2 및 Q2가 구동되면서 코일 권선(C20)에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플래밍의 왼손에 법칙에 따라 반대 방향의 전기장이 발생하고, 상기 세척볼은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自轉)하여 상기 변경된 전기장에 정렬되는 한편 세탁 모터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즉 반시계 방향)으로 공전(公轉)을 병행한다.
도 16은 상기 T1 및 T2에 따른 신호 패턴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6에서 보듯, 도 15의 패턴 형성 회로(C200)에서 T1의 길이와 T2의 길이에 차이가 발생하도록 설계하였으므로 세탁 모터가 시계 방향으로 일정 시간 회전할 때 상기 회전 시간 동안의 T1의 합은 T2의 합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도 16의 단위 신호 패턴에 의하면 상기 세척볼은 시계 방향의 자전과 반시계 방향의 자전과 공전을 반복하지만, 반시계 방향의 자전 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과 공전을 병행하게 된다.
한편, Q1 B에 세탁 모터의 반시계 방향 회전 신호가 인가되면 R2는 무시된다. 따라서 펄스 생성 회로에는 C1 * R1의 임피던스에 따른 T3 길이의 H 신호와, C1*R1*(R3+R4)의 임피던스에 따른 T4 길이의 L 신호가 발생한다.
T3 = C1 * R1
T4 = C1 * R1 * (R3 + R4)
도 17은 T3 및 T4의 크기로 생성된 신호의 파형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7에서 보듯, T3 및 T4는 T1 및 T2의 주기 패턴과 대략 상반된 패턴을 형성하므로 전술한 동작 원리에 따라 상기 세척볼은 이전과 반대의 방향으로 자전 및 공전을 수행한다.
세탁이 진행됨에 따라 세탁 모터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번갈아가며 수행하므로 결과적으로 패턴 형성 회로(C200)를 통해 생성되는 신호의 패턴은 도 18과 같다. 즉, 도 18은 도 16의 신호 패턴과 도 17의 신호 패턴이 연달아 발생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세탁 모터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간 A의 세척볼 이동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20은 도 18에서 세탁 모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간 B의 세척볼 이동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에서, 세탁 모터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원이 인가되면, 패턴 형성 회로(C200)는 코일 권선(C20)에 T1 길이의 H 신호와 T2 길이의 L 신호로 구성된 패턴 신호를 인가한다. 도 18에서 보듯, 구간 A에서 T2가 T1보다 더 크므로 코일 권선(C20) 사이에는 T2-T1의 길이만큼 T2에 의한 전기장이 우세하게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세척볼(100)은 T2의 전기장에 정렬되는 방향(즉, 시계 방향)으로 자전과 공전을 병행하면서 움직인다.
도 20에서, 세탁 모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원이 인가되면, 패턴 형성 회로(C200)는 코일 권선(C20)에 T3 길이의 H 신호와 T4 길이의 L 신호로 구성된 패턴 신호를 인가한다. 도 18에서 보듯, 구간 B에서 T3가 T4보다 더 크므로 코일 권선(C20) 사이에는 T3-T4의 길이만큼 T3에 의한 전기장이 우세하게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세척볼(100)은 T3의 전기장에 정렬되는 방향(즉,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과 공전을 병행하면서 움직인다.
<패턴 형성 회로의 변형 예들>
도 21은 도 15의 패턴 형성 회로(C200)에 있어서 신호 발생부(C210)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며, 전반적인 동작 원리는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22는 패턴 형성 회로(C200)의 다른 변형예로서, 하나의 전원으로 세탁 모터와 패턴 형성 회로를 동시에 구동하기 위한 회로를 도시한다. 도 22의 패턴 형성 회로는 세탁기 등과 같이 대출력을 요하는 기기에는 부적합 하지만 세척볼(100) 대신 영구 자석을 내장한 인공 물고기(미도시)와 코일 권선이 장착된 저자 어항(미도시)의 세트 등과 같이 소출력만으로 충분한 시스템에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전원이 하나 인가되는 점을 제외하고 패턴 신호를 생성하는 원리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은 패턴 형성 회로(C200)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정상 상태 릴레이(solid state relay)를 사용한 대출력 모터 구동 회로와 그에 포함되는 패턴 형성 회로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23의 패턴 형성 회로는 식기 세척기 등과 같은 강력한 출력을 요하는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역시 정상 상태 릴레이가 추가되는 점을 제외하고 패턴 신호를 생성하는 원리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는 패턴 형성 회로(C200)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PNP형 트랜지스터와 NPN형 트랜지스터를 조합한 다링톤 회로에 의해 고출력을 얻기 위한 모터 구동 회로와 그에 포함되는 패턴 형성 회로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이 역시 다링톤 회로가 추가되는 점을 제외하고 패턴 신호를 생성하는 원리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5는 패턴 형성 회로(C200)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도 15의 패턴 형성 회로(C200)에서 제어부(7805)를 보다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콤(8051)으로 대체한 예를 도시한다. 상기 마이콤(8051)을 이용하여 펄스 신호의 위상 및/또는 진폭을 다양하게 변형함으로써 세척볼(1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세척볼(100)의 세척력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6 내지 도 28은 마이콤(8051)에 의해 생성되는 펄스 신호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26은 마이콤(8051)의 제어에 의해 생성되는 통상의 펄스 신호이다. 도 26의 펄스 신호에 의해 전술한 도 18과 동일 또는 유사한 신호 패턴이 생성된다. 도 27 및 도 28은 도 26의 펄스 신호에서 위상 및/또는 진폭을 변조한 것이다. 이와 같은 위상 변조 및/또는 진폭 변조를 통해 세척볼(100)을 저수조(11)의 바닥으로 이동시킨다든지, 타원 궤적을 그리게 한다든지, 세탁조(13)에 밀착하여 이동하게 한다든지 등으로 그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저수조(11)의 외벽에 복수의 코일 권선(C20)이 배치되고 세척볼에 영구자석이 내장되는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반대로 세척볼에 코일 권선이 내장되고 저수조(11)의 외벽에 영구자석이 배치되도록 변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세척볼은 코일 권선과 패턴 형성 회로 및 전원을 내장하는 독립 전원체로 구성된다. 도 40은 독립 전원체로 구성되는 세척볼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40에서 보듯, 세척볼은 코일 권선에 해당하는 자기코어와, 패턴 형성 회로에 해당하는 제어회로판과, 배터리 등의 전원에 해당하는 독립 전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세척볼 내의 패턴 형성 회로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와 외부의 영구자석에 의해 세척볼의 자유운동이 유도된다.
<배수구 덮개의 실시예 1>
실시예 1은 베르누이의 원리를 적용한 배수구 덮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에서 "세척볼"이라 함은 관련기술1(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0-0001434호) 또는 관련기술2(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10-0009467호)에 설시된 세척볼을 가리킨다.
도 29는 실시예 1의 배수구 덮개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다.
실시예 1의 배수구 덮개는 크기 및 형상이 상이한 복수의 배수 홀 그룹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각 배수 홀 그룹은 동일한 형상의 배수 홀을 복수 개 포함한다. 도 29의 예에서, 배수구 덮개는 볼록 반구 형상의 주 몸체(20)와 주 몸체(20)를 세탁기의 배수구에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고정 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 몸체(30)는 수평 원형 띠 형상의 판 부(31)와 수직 원형 띠 형상의 배수구 장착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 몸체(20)에는 큰 원형의 다공들로 이루어진 제1 배수 홀 그룹과, 거름 부재형의 다공들로 이루어진 제2 배수 홀 그룹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 몸체(30)의 판 부(31)에는 작은 원형의 다공들로 이루어진 제3 배수 홀 그룹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3 배수 홀 그룹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옵션 사항이다.
고정 몸체(30)에서 배수구 장착부(32)의 측면에는 배수구 덮개를 세탁기의 배수구에 삽입한 후 고정하기 위한 고정 홈(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세탁기의 배수구 안쪽에는 상기 고정 홈(33)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수 홀 그룹에 속하는 각 배수 홀을 제1 배수 홀이라 하고, 제2 배수 홀 그룹에 속하는 각 배수 홀을 제2 배수 홀이라 하며, 제3 배수 홀 그룹에 속하는 각 배수 홀을 제3 배수 홀이라 할 때, 제1 배수 홀의 면적이 제일 크고 제2 배수 홀의 면적이 그 다음으로 크며 제3 배수 홀의 면적이 가장 작다. 이는 베르누이의 정리(Bernoulli equation)를 적용한 결과로서, 넓은 면적의 배수 홀에는 세척볼이 적게 집중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배수 홀에는 세척볼이 많이 집중되므로 배수구의 급격한 막힘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
즉,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르면 유체의 속력이 증가하면 유체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고 반대로 속력이 감소하면 내부 압력이 높아지는데, 큰 구멍의 제1 배수 홀에서는 세척용수의 내부 압력이 낮고 작은 구멍의 제3 배수 홀에서는 세척용수의 내부 압력이 높으므로 배수구 주위의 세척용수는 제1 배수 홀 쪽 보다는 제2 배수 홀 쪽으로 흐르게 되고, 만약 제3 배수 홀이 형성되어 있다면 제1 배수 홀 또는 제2 배수 홀 쪽 보다는 제3 배수 홀 쪽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대다수의 세척볼들도 세척용수의 흐름에 편승하여 제3 배수 홀 쪽으로 모이므로, 제1 배수 홀 및 제2 배수 홀은 세척볼들의 방해를 받지 않게 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실시예 1의 배수구 덮개의 지름은 세탁기 배수구의 지름보다 소정의 크기 만큼 크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소한 두 배가 넘게 설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배수구 덮개에 세척볼들이 달라붙을 때 일부의 배수 홀이 가려지더라도 그 외에 충분한 배수 유입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29에서는 볼록 형상의 주 몸체(20)를 가지는 배수구 덮개에 대하여 도시하였지만 오목 형상의 주 몸체(20)를 가지는 배수구 덮개 역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0은 실시예 1의 배수구 덮개가 세탁기 배수구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0에서 보듯, 세탁기 저수조의 중심에는 세탁기 모터(또는 배수 모터)가 장착되고 그 주위의 소정의 위치에 실시예 1의 배수구 덮개가 장착된다.
<배수구 덮개의 실시예 2>
실시예 2는 거름 부재 쌍을 구비하는 배수구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세척볼"이라 함은 특히 관련기술2(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10-0009467호)에 설시된 세척볼을 가리킨다.
도 31은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다.
도 31에서 보듯,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는 세척볼을 걸러내기 위한 소정의 거름 부재를 구비하는 거름 틀(40)과, 거름 틀(40)을 수납하여 세탁기 배수구의 위치에 고정하는 수납 몸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2는 이해를 돕기 위해 거름 틀(40)을 따로 도시한 것이다.
거름 틀(40)은 상향면과 하향면이 개방된 사각 함의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도 32의 예와 같이 사각 서랍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각 서랍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서랍의 손잡이부에 해당하는 측면에는 거름 틀(40)을 수납 몸체(50)에 피스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42)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거름 틀(40)에 의하면, 머리카락이나 실과 같이 가늘고 긴 이물질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통상 이물질의 여과를 위한 격자형의 거름망의 경우, 거름 살들이 교차되는 지점에 가늘고 긴 이물질이 엉키게 되고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게 되므로 원활한 배수를 어렵게 하는 원인이된다. 반면, 본 발명의 거름 틀(40)에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빗(comb) 형상의 두 거름 부재(41)가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두 거름 부재(41)의 사이에는 이격 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설령 거름 살에 머리카락이나 실이 엉기는 경우에도 거름 살이 갖는 기울기와 배수에 의하여 머리카락이나 실이 거름 살을 따라 미끄러져 내림으로써 머리카락이나 실에 의한 배수구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거름 부재(41)는 거름 살들의 테두리가 한 개의 폐곡선에 의해 형성된 구조이므로, 가늘고 긴 이물질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반면, 격자형의 거름망의 경우 다수개의 꼭지점을 구비하는 관계로 가늘고 긴 이물질이 쉽게 엉기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두 거름 부재(41)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틈은 동전이나 단추 들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충분한 거리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 몸체(50)는 그 일측면에 거름 틀(4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홈(미 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상위면에는 세척용수를 받아들이기 위해 배수 입구(51)가 형성되어 있다. 도 31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배수 입구(51)를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고 사각형 외의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위면에는 수납 몸체(50)를 세탁기 배수구에 결합 고정하기 위해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되는 배수 출구(52)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 출구(52)가 세탁기 배수구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 배수 출구(52)의 지름은 세탁기 배수구의 지름보다 작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름 틀(40)에 여러 가지 세탁 이물질들이 누적되어 배수 효율이 낮아지면 거름 틀(40)을 수납 몸체(50)에서 이탈시켜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다시 수납할 수 있으므로 유지비가 적게 소요되며 관리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도 33은 거름 틀(40)이 수납 몸체(50)에 수납되는 모습을 이해하기 쉽도록 표현한 것이다.
한편, 세척용수의 배수 과정에서 다수의 세척볼들은 배수구 덮개의 수납 몸체(50)과 거름 틀(40) 사이의 공간에 몰리게 된다. 이 경우, 도 31에서 보듯 상기 공간은 함몰형으로 형성되므로 인위적으로 세척볼들을 끄집어 내 주지 않으면 급수가 진행되더라도 세척볼들이 상기 공간에서 자연스럽게 빠져나올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는, 수납 몸체(50)의 상단에 위치하면서 솔레노이드 코일을 이용하여 세척볼을 상기 공간으로부터 끄집어 내주는 자성체 유도수단(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관련기술2의 세척볼은 그 중심에 자성체(일례로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있으므로 솔레노이드 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장에 이끌려 수납 몸체(50)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자성체 유도수단(60)은 세척볼들이 용이하게 수납 몸체(50)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수납 몸체(50)의 상향부에 위치하게 된다. 자성체 유도수단(60)은 그 내부에 솔레노이드 코일(61)을 내장하는 프레임(62)과, 프레임(62)을 세탁기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세탁기의 저수조 밑판, 세탁기의 배수 모터부 일단 등)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부(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62)과 브라켓부(63)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4는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가 세탁기에 장착되는 구조를 표현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4의 예에서, 수납 몸체(50)는 저수조 밑판의 하부에 장착되고, 자성체 유도수단(60)은 수납 몸체(50)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저수조 밑판에 고정 장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코일(61)은 배수 과정에서만 동작하는 것이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필요하므로 솔레노이드 코일(61)이 세탁기 배수 모터의 구동부(미 도시)와 연동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솔레노이드 코일(61)에 구동 전압이 인가될 때 세척볼들이 수납 몸체(50)를 벗어날 수 있을 정도로만 부양되도록 적절한 크기의 전자기장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적절한 크기의 전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코일(61)의 감김 횟수(또는 촘촘히 감긴 정도)를 조절하여 구현하거나, 별도의 구동 전압 강하(또는 승압) 회로를 자성체 유도수단(60)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자성체 유도수단(60)으로 배수구 덮개의 함몰 공간에 유입된 세척볼들을 끄집어내기에 앞서 세척볼들이 상기 함몰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저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 2의 배수구 덮개 주위에는 복수의 돌기 판들로 구성되는 저지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35는 배수구 덮개 주위에 저지턱(70)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35의 예에서 보듯, 저지턱(70)은 복수의 삼각판(71)들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전체적으로 4각의 형상으로 배수구 덮개를 에워싸도록 구현된다. 이는 각 삼각판(71) 사이의 공간으로 세척용수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저지턱(70)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배수 시간이 지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세척볼들은 저지턱(70)을 곧바로 넘기보다는 저지턱(70)의 삼각판(71) 쪽으로 먼저 유도되므로 세척볼들이 함몰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삼각판(71)은 반드시 정확한 삼각형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샤크 지느러미 형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배수구 덮개의 실시예 3>
배수구 덮개의 실시예 3은 탄성수단에 의해 거름 부재의 경사각이 형성되는 배수구 덮개에 관한 것이다.
배수구 덮개의 실시예 2에서는 거름 틀(40)의 내측에 거름 부재(41)가 소정의 각도로 고정되어 형성되는 데 비해, 실시예 3의 거름 틀(4000-1)은 평상시에 거름 부재(4100-1)가 수평으로 유지되고 있다가 세척볼 등과 같은 이물질이 도달하면 그 무게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순간적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이물질이 제거되면 소정의 탄성 부재에 의해 다시 수평으로 되돌아오는 구조로 구현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도 36은 배수구 덮개의 실시예 3에 따른 거름 틀(4000-1)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6의 일례에 의하면, 2개의 거름 부재(4100-1)가 하나의 쌍으로 구비되며 각 거름 부재(4100-1)는 몸체(4110-1)와 복수의 거름 살(4120-1)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4110-1)의 양 측면에는 거름 부재(4100-1)를 거름 틀(4000-1)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4130-1)가 형성되는데, 이에 상응하여 거름 틀(4000-1)의 내측에는 거름 부재(4100-1)의 결합 돌기(4130-1)들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 홈(4010-1)이 4개 형성된다.
아울러, 도 36의 거름 틀(4000-1)은, 거름 부재(4100-1)가 평소에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거름 부재(4100-1) 위로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물체가 놓여지면 거름 부재(4100-1)가 아래로 기울어지지만 상기 물체가 없어지면 다시 수평 상태로 회복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거름 부재(4100-1)에 제공하는 탄성 부재(도 36에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의 예로 'A'자형 스프링 또는 고리 형상의 판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거름 틀(4000-1)의 내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거름 부재(4100-1)의 위에 놓여지는 물체 중의 하나는 세척볼일 수 있다. 다만 세척볼의 무게로 인해 거름 부재(4100-1)가 기울어지되 세척볼이 배수구 덮개를 통과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거름 부재(4100-1)의 몸체(4110-1) 또는 거름 부재(4100-1)의 몸체와 긴 방향으로 맞닿는 거름 틀(4000-1)의 내측면에는 거름 부재(4100-1)가 소정의 각도에서 경사 이동을 멈추고 더 이상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4400-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톱퍼(4400-1)의 형상 및 형성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단순 돌기형 또는 삼각 돌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7은 실시예 3에 따른 거름 틀(4000-2)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38 및 도 39는 거름 틀(4000-2)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37의 일례에 의하면, 거름 틀(4000-2)에는 하나의 거름 부재(4100-2)가 구비되며 각 거름 부재(4100-2)는 몸체(4110-2)와 복수의 거름 살(4120-2)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4110-2)의 양 측면에는 거름 부재(4100-2)를 거름 틀(4000-2)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4130-2)가 형성되는데, 이에 상응하여 거름 틀(4000-2)의 내측에는 거름 부재(4100-2)의 결합 돌기(4130-2)들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 홈(4010-2)이 2개 형성된다.
아울러, 도 37의 거름 틀(4000-2)은, 거름 부재(4100-2)가 평소에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거름 부재(4100-2) 위로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물체가 놓여지면 거름 부재(4100-2)가 아래로 기울어지지만 상기 물체가 없어지면 다시 수평 상태로 회복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거름 부재(4100-2)에 제공하는 탄성 부재(414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4140-2)의 예로 'A'자형 스프링 또는 고리형 판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38 및 도 39에서 보듯, 거름 틀(4000-2)의 내측 및 거름 부재(4100-2)의 하부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 끝단이 고정되는 스프링 걸이턱(4141)이 형성될 수 있다.
거름 틀(4000-2)의 내측면에는 거름 부재(4100-2)가 소정의 각도에서 경사 이동을 멈추고 더 이상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하부 스톱퍼(4400-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름 틀(4000-2)의 일측 상부에는 거름 부재(4100-2)의 거름 살(4120-2)이 더 이상 탄성 부재(4140-2)에 의해 상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상부 스톱퍼(4400-3)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스톱퍼(4400-2)는 기울어진 직사각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부 스톱퍼(4400-3)는 거름 틀(4000-2)의 일측의 상부 양쪽에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특정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거름 부재(4100-1, 4100-2)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부재라면 어떤 것이라도 탄성 부재(도 36에 미 도시, 도 37의 4140-2)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각 탄성 부재의 특성에 맞도록 이것을 고정시키는 고정 홈(도 36에 미 도시, 도 38 및 도 39에서 스프링 걸이턱(4141))이 적절히 수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고정 홈의 수정은 역류 방지용 배수구 덮개의 기술분야에서 다수가 공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동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에서 거름 틀(4000-1, 4000-2)을 제외한 수납 몸체(50), 자성체 유도수단(60) 및 저지턱(70)의 구성은 배수구 덮개의 실시예 2와 동일하다.
배수구 덮개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1과 같은 통상의 세탁기 외에 드럼 세탁기의 배수구에도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하여 당업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탁기의 내부를 세척하는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1)

  1. 저수조 안에 위치한 영구자석 내장 부유체의 유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외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코일 권선; 및
    상기 코일 권선에 미리 정해진 패턴의 펄스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저수조 안에 상기 부유체를 유도하기 위한 전기장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을 내장한 부유체의 유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 유도 장치는 세탁기에 장착되며,
    상기 패턴 형성 회로는, 상기 세탁기의 세탁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을 내장한 부유체의 유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회로에 상기 세탁 모터의 제1 회전방향의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H(high) 신호와 L(low) 신호의 지속 시간이 서로 다른 제1 패턴의 펄스 신호가 상기 코일 권선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을 내장한 부유체의 유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회로에 상기 세탁 모터의 제2 회전방향의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H(high) 신호와 L(low) 신호의 지속 시간이 서로 다른 제2 패턴의 펄스 신호가 상기 코일 권선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을 내장한 부유체의 유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의 펄스 신호에서 상기 H 신호와 L 신호는 각각 소정의 플러스 값과 제로 값을 가지며,
    상기 제2 패턴의 펄스 신호에서 상기 H 신호와 L 신호는 각각 제로 값과 소정의 마이너스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을 내장한 부유체의 유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상기 제1 패턴의 펄스 신호에서 상기 H 신호와 상기 L 신호 중 더 긴 지속 시간을 가지는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장에 유도되어 상기 제1 회전방향으로 자전 및
    공전 운동을 병행하고,
    상기 제2 패턴의 펄스 신호에서 상기 H 신호와 상기 L 신호 중 더 긴 지속 시간을 가지는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장에 유도되어 상기 제2 회전방향으로 자전 및 공전 운동을 병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을 내장한 부유체의 유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회로는, 상기 펄스 신호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변조하여 상기 전기장의 형성 패턴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을 내장한 부유체의 유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세탁기의 세탁조와 저수조 사이에 삽입되는 세탁기 세척볼이고,
    상기 세척볼은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저수조의 일정 수심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부력을 유지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부에 부착되며 상기 저수조의 내벽을 마찰하여 오물을 제거하는 복수의 세척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을 내장한 부유체의 유도 장치.
  9. 반구 형상의 주 몸체(20)와,
    상기 주 몸체(20)를 세탁기의 배수구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 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 몸체(20)에는 제1 직경의 원형 배수 홀과 거름 부재형의 배수 홀이 각각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몸체(30)는 수평 원형 띠 형상의 판 부(31)와, 수직 원형 띠 형상의 배수구 장착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몸체(30)의 판 부(31)에는 제2 직경의 원형 배수 홀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경의 원형 배수 홀의 면적은 상기 거름 부재형 배수 홀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거름 부재형 배수 홀의 면적은 상기 제2 직경의 원형 배수 홀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13. 사각형의 서랍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름 틀(40)과,
    상기 거름 틀(40)을 수납하여 상기 거름 틀(40)이 세탁기 배수구 상에 위치하도록 고정하는 수납 몸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거름 틀(40)의 내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거름 부재(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몸체(50)의 일 측면에는 상기 거름 틀(4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 몸체(50)의 상위면에는 배수 입구(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 몸체(50)의 하위면에는 상기 수납 몸체(50)를 세탁기 배수구에 결합 고정하기 위해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되는 배수 출구(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배수구 덮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 부재(41)는 상기 거름 틀(40)의 내측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 부재(41)는 상기 거름 틀(40)의 내측에서 단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 틀(4000-1, 4000-2)과 상기 거름 부재(4100-1, 4100-2)는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거름 부재((4100-1, 4100-2)는 몸체(4110-1, 4110-2)와, 상기 몸체(4110-1, 4110-2)에 구비된 복수의 거름 살(4120-1, 4120-2)들과, 상기 거름 부재(4100-1, 4100-2)를 상기 거름 틀(4000-1, 4000-2)에 결합하기 위해 몸체(4110-1, 4110-2)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 돌기(4130-1, 413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름 틀(4000-1, 4000-2)의 내측에는 상기 거름 부재(4100-1, 4100-2)의 결합 돌기(4130-1, 4130-2)들과 결합되는 결합 홈(4010-1, 4010-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 부재로 돌아오도록 상기 거름 부재(4100-1, 4100-2) 및 상기 거름 틀(4000-1, 4000-2)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부재(4140-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19. 제13항에 있어서,
    내부에 솔레노이드 코일(61)을 내장하는 프레임(62)과,
    상기 프레임(62)을 세탁기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부(63)를 포함하는 자성체 유도수단(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 유도수단(60)은 상기 수납 몸체(50)의 상부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유도수단(60)의 솔레노이드 코일(61)은 세탁기의 배수 펌프 구동계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덮개의 주위에는 복수의 돌기 판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4각의 형상을 형성하는 저지턱(7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PCT/KR2010/007813 2009-11-10 2010-11-05 세탁기 세척볼의 유도 장치 및 세척볼을 위한 배수구 덮개 WO2011059208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09,024 US20130127263A1 (en) 2009-11-10 2010-11-05 Washer washing ball inductive device and a drain cover for the washing balls
JP2012538751A JP2013509980A (ja) 2009-11-10 2010-11-05 洗濯機洗浄ボールの誘導装置及び洗浄ボールのための排水口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7916 2009-11-10
KR10-2009-0107916 2009-11-10
KR20-2010-0000759 2010-01-22
KR20100000759 2010-01-22
KR10-2010-0009467 2010-02-02
KR1020100009467A KR101147025B1 (ko) 2009-11-10 2010-02-02 영구자석을 내장한 부유체의 유도 장치
KR1020100075074A KR101037967B1 (ko) 2010-01-22 2010-08-03 배수구 덮개
KR10-2010-0075074 2010-08-03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9208A2 true WO2011059208A2 (ko) 2011-05-19
WO2011059208A9 WO2011059208A9 (ko) 2011-08-04
WO2011059208A3 WO2011059208A3 (ko) 2011-11-10

Family

ID=4399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7813 WO2011059208A2 (ko) 2009-11-10 2010-11-05 세탁기 세척볼의 유도 장치 및 세척볼을 위한 배수구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1059208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3878A (ja) * 2012-06-08 2015-08-20 海爾集団公司 自己浄化洗濯機と制御方法
WO2018054232A1 (zh) * 2016-09-22 2018-03-2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带有清洁球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WO2019132834A2 (en) 2017-12-23 2019-07-04 Anadolu Universitesi A dishwashing system for dishwashers
CN110777508A (zh) * 2018-07-30 2020-02-1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控制方法
CN112941827A (zh) * 2019-11-26 2021-06-1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具有自清洁装置的波轮洗衣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4231A1 (zh) * 2019-11-26 2021-06-0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具有自清洁装置的波轮洗衣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364Y1 (ko) * 1987-04-25 1989-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소형 세탁조 배수장치
KR20000001799U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세탁기의 청소장치
US20030192353A1 (en) * 2002-04-11 2003-10-16 Chih-Chung Li Clothe-washing ball
KR200428798Y1 (ko) * 2006-07-21 2006-10-16 조태희 수조 및 회전조의 청소기능이 부가된 세탁기
KR20070084929A (ko) * 2006-02-22 2007-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0977014B1 (ko) * 2010-05-19 2010-08-19 광주광역시 남구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거름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364Y1 (ko) * 1987-04-25 1989-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소형 세탁조 배수장치
KR20000001799U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세탁기의 청소장치
US20030192353A1 (en) * 2002-04-11 2003-10-16 Chih-Chung Li Clothe-washing ball
KR20070084929A (ko) * 2006-02-22 2007-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0428798Y1 (ko) * 2006-07-21 2006-10-16 조태희 수조 및 회전조의 청소기능이 부가된 세탁기
KR100977014B1 (ko) * 2010-05-19 2010-08-19 광주광역시 남구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거름 용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3878A (ja) * 2012-06-08 2015-08-20 海爾集団公司 自己浄化洗濯機と制御方法
WO2018054232A1 (zh) * 2016-09-22 2018-03-2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带有清洁球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7858808A (zh) * 2016-09-22 2018-03-3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带有清洁球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7858808B (zh) * 2016-09-22 2020-08-28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带有清洁球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WO2019132834A2 (en) 2017-12-23 2019-07-04 Anadolu Universitesi A dishwashing system for dishwashers
EP3728720A4 (en) * 2017-12-23 2020-12-30 Anadolu Universitesi DISHWASHING SYSTEM FOR DISHWASHER
CN110777508A (zh) * 2018-07-30 2020-02-1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控制方法
CN110777508B (zh) * 2018-07-30 2022-03-01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控制方法
CN112941827A (zh) * 2019-11-26 2021-06-1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具有自清洁装置的波轮洗衣机
CN112941827B (zh) * 2019-11-26 2022-12-0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具有自清洁装置的波轮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9208A3 (ko) 2011-11-10
WO2011059208A9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9208A9 (ko) 세탁기 세척볼의 유도 장치 및 세척볼을 위한 배수구 덮개
WO2011053095A2 (en)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WO2012141411A2 (ko) 세탁기
WO2011078610A1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WO2013151345A2 (en)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8111022A1 (ko) 의류처리장치
WO2011078612A2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WO2016204454A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0040501A1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WO2021182767A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365487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071904A (ko) 휴대용 부분 세탁기
WO2021189768A1 (zh) 一种自清洁洗衣机
WO2012108735A2 (ko) 다용도 세척기
WO2011122804A2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2817209B (zh) 一种洗衣机套桶装置
KR101147025B1 (ko) 영구자석을 내장한 부유체의 유도 장치
JP2005095448A (ja) 布類の洗浄方法、およびそれに利用する洗浄装置
JP5743720B2 (ja) 洗濯機
JP5740518B2 (ja) 洗濯機
KR100930449B1 (ko) 샤워 방식 세탁기
WO2021002639A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02306886A (ja) 業務用洗濯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業務用洗濯装置
JP5663688B2 (ja) 洗濯機
WO2019235818A1 (en)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538751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509024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301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