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320B1 -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320B1
KR101037320B1 KR1020090004892A KR20090004892A KR101037320B1 KR 101037320 B1 KR101037320 B1 KR 101037320B1 KR 1020090004892 A KR1020090004892 A KR 1020090004892A KR 20090004892 A KR20090004892 A KR 20090004892A KR 101037320 B1 KR101037320 B1 KR 101037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user
forming apparatus
authentication
authent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901A (ko
Inventor
히로시 야스하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56878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3732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0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7Details of housings or case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base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housings or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정보처리장치가 특별한 인증 기능을 갖는 것을 요구하지 않고, 액세스 제한을 줄 수가 있는 화상형성장치. 이 화상형성장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를 수신한다. 상기 접속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에, 화상형성장치는 수신된 인증 정보에 근거해서 유저가 인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유저가 인증되었을 경우에, 화상형성장치는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처리의 실행을 허가하고, 유저가 인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처리의 실행을 거부한다.
정보처리장치, 화상형성장치, 기록매체, 인증, 유저 인터페이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유저의 액세스 제한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년,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시큐러티(security) 또는 코스트(cost) 관리의 목적을 위해서, 액세스 제한 기능이 제공되어(부가되는) 오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1810호 참조). 화상형성장치에의 액세스 제한 방법은 다양하지만, 화상형성장치에 액세스하는 유저를 인증해서, 유저가 인증되었을 경우에만 유저가 화상형성장치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근년,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정보처리장치가 직접 화상형성장치에 접속되고, 화상형성장치에 화상 출력 지시와 출력 데이터를 송신하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화상을 출력하는 기능이 화상형성장치 및 정보처리장치에 제공되어 오고 있다.
화상형성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인증 기능은 그 형태가 다양하고, 입력되는 정보 및 인증에 이용하는 통신 방법 및 암호화 등의 처리는, 인증 프로토콜이나 인증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한편,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정보처리장치에는, 인증 장치 그 자체가 탑재되어 있지 않거나, 혹은 화상형성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다양한 인증 기능과 동등의 인증 기능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와 정보처리장치로 이루어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정보처리장치로부터 화상형성장치로 화상 출력 지시를 전송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가 액세스 및 사용 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상형성장치에의 액세스 제한이, 화상형성장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제공되는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에 접속된 외부 장치인 정보처리장치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의 액세스 제한을 제공할 수 없다. 즉, 화상형성장치에의 액세스 제한의 목적인 시큐러티 및 코스트 관리를 충분히 실시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술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1810호에 있어서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같은, 화상형성장치 및 정보처리장치는, 고유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이들 장치 내에 저장된 고유의 정보가 대조되어 서로 매치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만 화상형성장치가 액세스되도록 허용된다. 즉, 화상형성장치는 장치들 간의 인증이 성공했을 경우에만 액세스되도록 허가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에의 액세스 제한을 주고 있다.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1810호에 기재된 기술은, 특정의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에 대응한 정보처리장치를 필요로 하고, 액세스 제한을 줄 수 있는 장치들의 범위를 제한한다. 게다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1810호에 기재된 기술은, 장치에 따라 장치에의 액세스가 허가되거나 허가되지 않도록 구성되지만, 장치에 액세스하는 유저가 식별되지 않기 때문에, 허가받지 않은 유저가 장치에 액세스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정보처리장치가 특별한 인증 기능을 갖는 것을 요구하지 않고, 액세스 제한을 줄 수가 있는 화상형성장치, 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의 국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조작부를 통하여 입력된 인증 정보와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된 또 다른 인증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의 수신 유닛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의 수신 유닛과, 상기 제2의 수신 유닛이 상기 접속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에,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인증 정보에 근거해서 유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인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 유닛과, 상기 유저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되었다고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처리의 실행을 허가하고, 상기 판단 유닛이 상기 유저가 인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라도, 상기 유저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되었다고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처리의 실행을 거부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의 국면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조작부를 통하여 입력된 인증 정보와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된 또 다른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송신된 송신된 접속 요구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접속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에, 상기 조작부를 이용하여 입력된 상기 인증 정보에 근거해서 유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인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과, 상기 유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되었다고 상기의 판단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처리의 실행을 허가하고, 상기 판단에서 상기 유저가 인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라도, 상기 유저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되었다고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처리의 실행을 거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의 국면에 있어서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가 제공되는데, 상기의 제어방법은, 조작부를 이용해서 입력된 인증 정보와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된 또 다른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송신된 송신된 접속 요구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접속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에, 상기 조작부를 이용하여 입력된 상기 인증 정보에 근거해서 유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인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과, 상기 유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되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처리의 실행을 허가하고, 상기 판단에서 상기 유저가 인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라도, 상기 유저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되었다고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처리의 실행을 거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정보처리장치가 특별한 인증 기능을 갖는 것을 요구하지 않고, 화상형성장치에 액세스 제한을 줄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유저 인증 기능을 갖는 복합기로 구성되고, 직접 접속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인쇄 지시를 수신해서 화상을 인쇄한다.
이 화상형성장치는,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01), 컨트롤러(101)가 화상형성장치의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102)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02)는, 예를 들면, USB 인터페이스, Ethernet(등록상표) 인터페이스나 IEEE1284 인터페이스, 혹은 그 외의 다른 적절한 통신 인터페이스여도 괜찮다.
또, 본 화상형성장치는, 컨트롤러(101)에 의해 제어되는 스캐너 엔진(103) 및 프린터 엔진(104)을 포함한다. 프린터 엔진(104)은, 예를 들면, 레이저 빔 프린터나 잉크젯 프린터, 혹은 다른 적절한 프린터여도 괜찮다.
또, 본 화상형성장치는, 컨트롤러(101)에 의해 제어되는,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시의 통신 제어를 포함하는 FAX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FAX 보드(105)를 포함한다.
또, 본 화상형성장치는 유저 인터페이스(106)를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10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키보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저 인 터페이스(106)는 컨트롤러(101)로부터의 정보를 표시하고,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컨트롤러(101)에 전한다. 유저 인터페이스(106)에 있어서, LCD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갖고,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엔진(104)을 선택해서 프린트 잡(print job)을 발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화상형성장치는 스캐너 엔진(103)을 선택해서 스캔 잡(scan job)을 발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엔진(104)과 스캐너 엔진(103)을 선택해서 카피 잡(copy job)을 발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엔진(104), 스캐너 엔진(103), 및 FAX 보드(105)를 선택해서 FAX 수신 잡 및 FAX 송신 잡을 발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컨트롤러(101)는, 통신 인터페이스(102)를 통해서 원고 데이터를 취득하고, 프린터 엔진(104)을 이용해서 프린트 잡을 발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컨트롤러(101)는, 통신 인터페이스(102)를 통해서 원고 데이터를 취득해서, FAX 송신 잡을 발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컨트롤러(101)와 화상형성장치의 컨트롤러 관련 부품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있어서의 CPU(201), RAM(202), 및 ROM(203)은, 도 1에 있어서의 컨트롤러(101)를 구성한다. 또, 도 1에 있어서의 LCD(106-1)와 키보드(106-2)는 도 1에 있어서의 유저 인터페이스(106)를 구성한다. 도 2에 나타내는 각 하드웨어 디바이스는 시스템 버스(205)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101)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은, ROM(203) 혹은 디스크(하드 디스크 등)(204)에 기억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RAM(202)에 판독되어서, CPU(201)에 의해 실행된다.
또, ROM(203) 및 디스크(204)는, 제어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의 기능 및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나, 해당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잡의 속성 정보나,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잡 데이터 등도 기억하고 있다.
또, CPU(201)는, LCD(106-1)를 통해서 표시를 행하고, LCD(106-1) 또는 키보드(106-2)로부터 유저 지시를 받는다. 또, CPU(201)는, 통신 인터페이스(102)를 통해서 화상형성장치의 외부와 통신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특별한 다른 규정이 없는 한, CPU(201)는 시스템 버스(205)를 통해서 키보드(106-2)로부터 유저의 입력을 받는다. 또, CPU(201)가, RAM(202), LCD(106-1), ROM(203), 통신 인터페이스(102), 스캐너 엔진(103), 프린터 엔진(104), FAX 보드(105), 및 디스크(204)를 제어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와 정보처리장치가 서로 접속된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제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301)와 정보처리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302)가 USB 케이블(303)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302)는,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내부의 기록 매체에 보존하는 기능을 갖는다.
디지털 카메라(302)로부터의 유저 조작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302) 내부의 기록 매체에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301)에 송신한 경우, 화상 형성장치(301)는, 화상 데이터에 근거해서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묘화 데이터에 근거해서 화상을 형성하며, 이 화상을 용지에 전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프린트 아웃을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301)와 디지털 카메라(302) 간의 접속을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로서 USB 케이블(303)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접속 인터페이스로서는, 무선, BlueTooth 등의 다른 프로토콜과 조합하여 이용되는 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와 정보처리장치가 서로 접속된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301)는, 도 3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로, USB 케이블(303)을 통해서 정보처리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302)에 접속 가능하고, 또한 다른 정보처리장치로서의 클라이언트 PC(401)와 인증 서버(402)에 네트워크(403)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PC(401)는, 네트워크(403)를 통해서 화상형성장치(301)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화상형성장치(301) 또는 클라이언트 PC(401)의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인증 정보가 네트워크(403)를 통해서 인증 서버(402)에 송신된다. 인증 서버(402)는, 인증 처리를 행한 후에, 화상형성장치(301) 또는 클라이언트 PC(401)에 인증 처리의 결과를 송신한다.
화상형성장치(301)는, 유저 인터페이스(106)를 통해서 유저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받아서, 통신 인터페이스(102)를 통해서 인증 서버(402)와의 사이에서 인증을 위한 통신을 행한다.
인증이 성공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화상형성장치(301)의 LCD(106-1)에는 인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유저는 키보드(106-2)를 통해서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증이 성공했을 경우에는, LCD(106-1)에는 화상형성장치(301)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면이 표시되어서, 유저는 카피, 스캔, 프린트 등의, 화상형성장치(310)의 각 조작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화상형성장치(301)는 네트워크(403)를 통해서 인증 서버(402)에 인증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인증 결과를 얻는 방식(도 4에 나타낸 정보 처리 시스템의 예에 대응)에 의해 인증을 행하고 있지만, 인증 방식 및 인증의 구성은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301) 내에 인증 서버(402)와 동등의 기능을 보유하고, 인증 서버(402)나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는 인증 방식(도 3에 나타낸 정보 처리 시스템의 예에 대응)을 이용해도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인증이 성공하지 않으면 화상형성장치(301)를 이용할 수 없게 하고 있지만, 인증 화면의 제어 방식은 본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저가 스캔 지시, 프린트 지시 등을 화상형성장치(301)에 준 후에, 유저가 성공적으로 인증되지 않은 상태이면, 인증 화면 혹은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또, 화상형성장치(301)는, 화상형성장치(301)의 유저 인터페이스(106)를 통 해서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PC(401)로부터 화상형성장치(301)에 네트워크(403)를 통한 접속에 의해서도 조작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PC(401)로부터의 화상형성장치(301)의 유저 조작 및 이 조작에 필요한 인증 기능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인증 세션을 관리하기 위한 세션 관리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션 관리 테이블은, 세션을 나타내는 인덱스(501)의 기재란과, 인증 종류(502)의 기재란을 갖는다. 인증 종류(502)의 기재란에 있어서, Locally Logged-in Session의 단축형인 LLS는 유저 인터페이스(106)(Local User Interface)를 통해서 유저가 인증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Remotely Logged-in Session의 단축형인 RLS는, 통신 인터페이스(102)를 통해서 클라이언트 PC(401)로부터의 접속을 통해서 유저가 인증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LUI(Local User Interface) 로그인 상태(503)의 기재란은, 유저 인터페이스(106)(로컬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유저가 로그인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고 있다. TRUE는 유저가 로그인 상태, 즉 유저 인터페이스(106)를 통해서 인증된 유저의 인증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유저가 인터페이스(106)를 이용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FALSE는 유저가 로그아웃 상태, 즉 유저 인터페이스(106)를 통해서 인증된 유저의 인증된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유저가 유저 인터페이스(106)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디바이스 세션 ID(504)의 기재란에는, 정보처리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에, 정보처리장치를 화상형성장치에 접속해서 유지했을 때에 작성되는 세션 ID가 기재된다. 컨텍스트 ID(505)의 기재란에는, 유저의 정보에 대응하고 각 유저에게 유일(unique)한 컨텍스트 ID가 그것에 대응한 인덱스와 관련지어서 기재된다.
인증 종류(502)로서의 RLS로 나타낸 클라이언트 PC(401)로부터의 인증을 통해서 로그 인된 세션의 경우에는, 본 관리 테이블의 각각의 인덱스 및 그것과 관련된 정보 항목은, 클라이언트 PC(401)로부터의 화상형성장치의 리모트 조작을 종료하고, 세션을 클로우즈해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유저가 로그 아웃했을 경우에 파기된다. 또, 인증 종류(502)로서의 LLS로 나타낸 로컬 유저 인터페이스(유저 인터페이스 106)로부터의 인증을 통해서 로그 인된 세션의 경우에는, 각각의 인덱스 및 그것과 관련된 정보 항목은, 유저가 LUI(local user interface)로부터 로그 아웃한 경우, 동시에 화상형성장치와 정보처리장치와의 사이의 실제의 세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파기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인덱스 3에 있어서, 인증 종류(502)로서의 LLS는 유저가 유저 인터페이스(106)를 통해서 인증된 것을 나타내고, LUI 로그인 상태(503)의 입력란의 TRUE는 유저가 현재 LUI로 로그 인된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인덱스 2, 4, 및 5에 있어서는, 인증 종류(502)로서의 RLS는, 유저가 리모트 로그 인을 통해서 인증된 것을 나타내고, 그들의 다른 컨텍스트 ID(505)는, 서로 다른 유저들이 멀리 떨어져서 화상형성장치를 조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인덱스 1에 있어서, LLS는 로컬 유저 인터페이스(유저 인터페이스 106)를 통해서 인증된 것을 나타내지만, LUI 로그인 상태(503)의 입력란의 FALSE는, 화상형성장치(301)의 유저 인터페이스(106)로부터 로그아웃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관련된 디바이스 세션 ID(504)의 기재(entry)는, 인덱스 1의 유저가, 정보처리장치를 조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인증된 각 유저의 로그인 컨텍스트를 나타내는 컨텍스트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텍스트 테이블은, 컨텍스트 ID(601)의 기재란, 유저의 식별자(602)의 기재란, 유저가 소속하는 도메인(603)의 기재란, 부문(部門) 관리에 사용된 부문 ID(604)의 기재란, 및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605)의 기재란을 포함한다. 유저의 컨텍스트 ID(601), 식별자(602), 도메인(603), 부문 ID(604), 및 이메일 어드레스(605)가, 해당 유저의 후술의 로그인 컨텍스트를 구성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인덱스 1로 표시된 유저는, Yasuhara, Domain A의 도메인, 1의 부문 ID, 및 yasu@domaina의 이메일 어드레스의 유저 식별자와 관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정보는, 화상형성장치(301)의 유저 조작 이력과 액세스 제한 등, 유저 고유의 정보를 취급하는 기능에 이용된다. 또, 도 6에 나타낸 컨텍스트 테이블의 각각의 컨텍스트 ID와 그것과 관련된 정보의 세트는, 도 5에 나타낸 세션 관리 테이블의 대응하는 인덱스와 쌍을 이루고 있고, 세션 관리 테이블로부터 대응하는 인덱스가 삭제되었을 경우에는, 본 컨텍스트 테이블로부터 컨텍스트 ID와 그것과 관련된 정보의 세트가 삭제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컨텍스트 테이블에 기재되는 정보의 항목은, 본 실시의 형태에 사용된, 도메인(603), 부문 관리를 위한 부문 ID(604),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 (605)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각 유저 고유의 속성 정보가 이 테이블 내의 항목으로서 추가되어도 되고, 동시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의 항목 또는 항목들이 없어도 된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인증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본 처리는, 도 1에 나타낸 컨트롤러(101), 한층 더 자세하게는, 도 2에 나타낸 CPU(201)에 의해 실행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증 처리가 초기에는 LUI 로그인 대기 상태에 있다(스텝 S701). 이 스텝 S701에서는, LCD(106-1)에 인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키보드(106-2)를 통해서 유저로부터 인증 정보의 입력을 받아들인다.
다음에, 스텝 S702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로그인 버튼이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로그인 버튼이 눌려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701로 돌아와서 LUI 로그인 대기 상태를 계속한다.
로그인 버튼이 눌려져 있는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703로 진행되고, 인증 정보를 인증 서버(402)에 송신한다. 다음의 스텝 S704에서는, 인증 결과를 인증 서버(402)로부터 수신한다.
스텝 S705에서, 인증이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인증이 성공했을 경 우에는, 처리가 스텝 S706로 진행되어, 로그인 세션(login session)을 생성한다. 스텝 S705에서 인증이 실패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708로 진행되어, 에러 화면을 표시한다. 스텝 S708에서 에러 화면을 표시한 후, 처리는 스텝 S701로 돌아와서 LUI 로그인 대기 상태가 된다.
스텝 S706에서 로그인 세션을 생성할 때에는, 도 5에 나타낸 세션 관리 테이블에 새로운 세션을 추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세션을 나타내는 인덱스 501을 추가하고, 유저 인터페이스(106)를 통해서 인증을 행하므로 인증 종류(502)를 LLS로 설정한다. 게다가, 유저가 LUI로 로그인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LUI 로그인 상태(503)는 TRUE로 설정된다.
또, 인증 결과와 동시에 인증 서버(402)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유저의 식별자, 도메인명, 부문 ID, 및 이메일 어드레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유저 정보에 근거해서, 각 유저에게 유일하게 준비된 컨텍스트 ID를 포함한 유저의 로그인 컨텍스트를 생성해서, 도 6에 나타낸 컨텍스트 테이블에 추가한다. 컨텍스트 ID는, 컨텍스트 ID 505 및 601로서 도 5에 나타낸 세션 관리 테이블 및 도 6에 나타낸 컨텍스트 테이블로 각각 설정된다.
다음에, 처리는 스텝 S707로 진행되고, 조작 화면을 표시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LCD(106-1)에 표시된 화면은, LUI 로그인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30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화면으로 전환된 후, 인증 처리를 종료한다.
도 8은, 도 4에 나타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형성장치와 정보처리장치(디지털 카메라)와의 접속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801에서는, 화상형성장치(301)가 정보처리장치(302)의 접속 요구를 수신한다. 정보처리장치(302)와 화상형성장치(301)가 접속 인터페이스(USB 케이블)(303)에 의해 접속되었을 경우, 정보처리장치(302)로부터 화상형성장치(301)에 접속 요구가 송신된다.
통신 인터페이스(102)를 통해서 정보처리장치(302)로부터 접속 요구를 수신하면, 처리는 스텝 S802로 진행되고, 유저의 LUI 로그인 상태를 판단한다. 즉, 스텝 S802에서는, 도 7의 인증 처리가 종결되어서, 유저가 LUI(유저 인터페이스 106)에 로그 인된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도 5의 세션 관리 테이블에, LUI 로그인 상태(503)가 TRUE인 세션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 S802에서, LUI 로그인 상태(503)가 TURE인 세션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유저가, LUI로 로그 인된 상태(503)에 있다고 판단해서, 처리는 스텝 S803로 진행되고, 정보처리장치 접속 처리, 즉, 도시한 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301)에 디지털 카메라(302)를 접속하기 위한 처리를 개시한다.
스텝 S802에서, LUI 로그인 상태(503)가 TRUE인 세션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LUI에 로그 인된 상태에 있는 유저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해서, 처리는 스텝 S805로 진행되고, 정보처리장치에의 접속을 거부한다.
스텝 S803의 정보처리장치 접속 처리에 의해, 화상형성장치(301)와 정보처리 장치(302)를 서로 접속한 후, 스텝 S804에서, 세션 관리 테이블에 정보처리장치(302)의 접속에 관한 정보를 추가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스텝 S804에서는, 도 5의 세션 관리 테이블에, 화상형성장치(301)와 정보처리장치(302)와의 접속 세션을 나타내는 디바이스 세션 ID(504)을 유일하게 생성해서 부가한다. 이것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와 정보처리장치(302)와의 접속 처리가 완료된다.
정보처리장치에의 접속을 거부하는 스텝 S805에서는, 정보처리장치(302)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응답해서, 에러를 돌려준 후,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유저가 LUI에 로그 인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화상형성장치와 정보처리장치(302)와의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도 9는, 도 4에 나타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장치(301)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형성장치와 정보처리장치와의 접속에 관한, 로그인 세션 관리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스텝 S901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화상형성장치(301)와 정보처리장치(302) 사이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해서 유저가 LUI에 로그 인한 상태에 대응한다.
스텝 S902에서는, 유저가 LUI로부터 로그 아웃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유저가 LUI로부터 로그 아웃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903로 진행된다. 유저가 LUI로부터 로그 아웃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908로 진행되고, 화상형성장치에의 정보처리장치의 접속이 해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 S908에서, 정보처리장치(302)의 접속이 해제되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는, 처리는 스텝 S910로 진행되고, 도 5의 세션 관리 테이블의 대응하는 디바이스 세션 ID(504)를 삭제한다.
처리는 스텝 S910로부터 스텝 S901로 돌아오고, 유저는 LUI로 로그 인된 상태가 된다.
스텝 S903에서는, 로그 아웃한지 얼마 안 된 유저의 컨텍스트 ID(505) 및 아직도 TRUE인 채로 있는 LUI 로그인 상태(503)에 따라, 도 5의 세션 관리 테이블에 기재된 디바이스 세션 ID(504)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디바이스 세션 ID(504)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세션 관리 테이블의 대응하는 LUI 로그인 상태(503)를 FALSE로 설정하고(스텝 S904), 처리는 스텝 S905로 진행되고, 화상처리장치(301)는 LUI 로그인 대기 상태가 된다.
스텝 S903에서, 디바이스 세션 ID(504)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909로 진행되고, 로그 아웃한지 얼마 안 된 유저의 세션에 관한 정보 항목, 즉 해당 유저에게 대응하는 컨텍스트 ID(505)와 아직도 TRUE인 채로 있는 LUI 로그인 상태(503)를 포함한 기재(記載)의 한 세트를 도 5의 세션 관리 테이블로부터 삭제하고, 도 6의 컨텍스트 테이블로부터 대응하는 컨텍스트 ID를 포함한 로그인 컨텍스트를 삭제한 후에, 본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905에서는, 화상형성장치(301)가 LUI 로그인 대기 상태로 되어, 도 7의 인증 처리의 스텝 S701의 상태와 같게 된다. 단, 스텝 S905에서의 화상형성장치(301)의 상태에서는, 디바이스 세션 ID(504)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보처리장 치(302)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301)는 정보처리장치(302)에 접속된 상태가 된다. 게다가, 또 다른 유저가 로그 인하여 로컬 카피(local copy)를 할 수 있다. 그 결과, 정보처리장치(30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에 관한 처리는, 정보처리장치(302)를 접속했을 때에 화상형성장치(301)에 로그인하고 있던 유저의 로그(log)로서 기억된다. 한편, 로컬 카피에 관한 처리는, 현재 화상형성장치(301)에 로그인하고 있던 또 다른 유저의 로그로서 기억된다. 이와 같이, 정보처리장치(302)로부터 실행된 처리와 화상형성장치(301)를 조작해서 직접 실행된 처리(로컬 잡)를, 서로 다른 유저들의 서로 다른 로그들로서 기억할 수가 있다.
스텝 S905는, 제1의 유저의 인증 후에, 정보처리장치(302)를 통해서 제1의 유전에 의한 화상형성장치(301)의 사용 중에, 제2의 유저의 인증 처리를 허가하는 기능에 대응한다.
다음의 스텝 S906에서는, 화상형성장치(301)에의 정보처리장치(302)의 접속이 해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정보처리장치(302)의 접속이 해제되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는, 처리는 스텝 S907로 진행되고, 화상형성장치(301)에의 접속이 해제된지 얼마 안 된 정보처리장치(302)에 대응하는 유저의 세션에 관한 정보의 항목, 즉, 해당 유저에게 대응하는 디바이스 세션 ID(504)를 포함한 기재(記載)의 한 세트를 도 5의 세션 관리 테이블로부터 삭제하고, 도 6의 컨텍스트 테이블로부터 대응하는 컨텍스트 ID(610)를 포함한 로그인 컨텍스트를 삭제한 후에, 본 처리를 종료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의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매체를,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 등)가 기억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해서 실행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 경우, 기억매체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전술한 각 실시의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므로, 그 프로그램 코드 및 해당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또,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학 자기 디스크, CD-ROM, CD-R, CD-RW, DVD-ROM, DVD-RAM, DVD-RW, DVD+RW 등의 광디스크,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운로드해도 된다.
또, 컴퓨터가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각 실시 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근거해서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operating system)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시함으로써 전술한 각 실시 형태의 기능도 실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 기억매체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삽입된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확장 유닛에 설치된 메모리에 기록한 후,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근거해서, 확장 보드나 확장 유닛에 구비된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시함으로써 전술한 각 실시의 형태의 기능이 실현될 수도 있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되어 있는 2008년 1월 22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번호 제 2008-011656호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컨트롤러와 화상형성장치의 컨트롤러 관련 부품들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와 정보처리장치가 서로 접속된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제1의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와 정보처리장치가 서로 접속된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인증 세션을 관리하기 위한 세션 관리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인증된 각 유저의 로그인 컨텍스트를 나타내는 컨텍스트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인증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도 4에 나타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형성장치와 정보처리장치(디지털 카메라) 간의 접속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도 4에 나타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형성장치와 정보처리장치 간의 접속에 관한, 로그인 세션 관리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Claims (9)

  1. 화상형성장치로서,
    조작부를 통하여 입력된 인증 정보와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된 또 다른 인증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의 수신 유닛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의 수신 유닛과,
    상기 제2의 수신 유닛이 상기 접속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에,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인증 정보에 근거해서 유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인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 유닛과,
    상기 유저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되었다고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에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처리의 실행을 허가하고,
    상기 판단 유닛이 상기 유저가 인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라도, 상기 유저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되었다고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처리의 실행을 거부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의 유저의 인증 후에, 상기 정보처리장치를 통해서 상기 제1의 유저에 의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중에, 제2의 유저의 인증 처리를 허가하도록 구성된 허가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접속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인증된 유저의 인증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된 해제 유닛과,
    상기 해제 유닛에 의해 상기 인증 상태가 해제되었을 경우에, 상기 유저의 인증된 상태의 해제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접속된 상태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관리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이며,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해서 화상 형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조작부를 통하여 입력된 인증 정보와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된 또 다른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송신된 송신된 접속 요구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접속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에, 상기 조작부를 이용하여 입력된 상기 인증 정보에 근거해서 유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인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과,
    상기 유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되었다고 상기의 판단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에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처리의 실행을 허가하고,
    상기 판단에서 상기 유저가 인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라도, 상기 유저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되었다고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처리의 실행을 거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제1의 유저의 인증 후에, 상기 정보처리장치를 통해서 상기 제1의 유저에 의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중에, 제2의 유저의 인증 처리를 허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접속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인증된 유저의 인증 상태를 해제하는 것과,
    상기 인증 상태가 상기의 해제에 의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유저의 인증 상태의 해제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접속된 상태를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이며,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해서 화상 형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9.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제어방법은,
    조작부를 이용해서 입력된 인증 정보와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된 또 다른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송신된 송신된 접속 요구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접속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에, 상기 조작부를 이용하여 입력된 상기 인증 정보에 근거해서 유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인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과,
    상기 유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되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처리의 실행을 허가하고,
    상기 판단에서 상기 유저가 인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라도, 상기 유저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되었다고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처리의 실행을 거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090004892A 2008-01-22 2009-01-21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1037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11656A JP5178212B2 (ja) 2008-01-22 2008-01-22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8-011656 2008-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901A KR20090080901A (ko) 2009-07-27
KR101037320B1 true KR101037320B1 (ko) 2011-05-30

Family

ID=4056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892A KR101037320B1 (ko) 2008-01-22 2009-01-21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93027B2 (ko)
EP (1) EP2085907B1 (ko)
JP (1) JP5178212B2 (ko)
KR (1) KR101037320B1 (ko)
CN (1) CN1014947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8212B2 (ja) * 2008-01-22 2013-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093427B2 (ja) * 2010-09-13 2012-12-1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課金管理システム
JP5963728B2 (ja) * 2013-10-04 2016-08-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認証システム
JP5963727B2 (ja) * 2013-10-04 2016-08-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認証システム
JP6524635B2 (ja) * 2013-11-06 2019-06-0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蓄積システム及び情報蓄積方法
JP2015170117A (ja) * 2014-03-06 2015-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6497A (ko) * 2002-06-04 2005-02-2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인쇄 시스템
US20060283937A1 (en) * 2005-06-21 2006-12-21 Lexmark International, Inc. USB host device for print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9385A (ja) * 1999-03-09 2000-09-22 Canon Inc 画像読み取り装置、方法、画像形成装置、方法、画像通信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3211793A (ja) * 2002-01-24 2003-07-29 Canon Inc 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印刷方法
JP3728276B2 (ja) * 2002-06-04 2005-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リントシステム
JP3728277B2 (ja) * 2002-06-04 2005-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リントシステム
KR100561399B1 (ko) * 2003-07-10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기기 인쇄 허용 등록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외부기기 인쇄 허용방법과 장치
JP2005141313A (ja) 2003-11-04 2005-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機及びユーザ認証方法
JP4896397B2 (ja) * 2004-12-28 2012-03-14 富士通株式会社 プログラム、制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
JP2007027970A (ja) * 2005-07-13 2007-02-0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7021810A (ja) 2005-07-13 2007-02-01 Canon Inc 印字装置
JP2007072605A (ja) * 2005-09-05 2007-03-22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7174062A (ja) * 2005-12-20 2007-07-05 Canon Inc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通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328462A (ja) * 2006-06-06 2007-12-20 Masayuki Sato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携帯電話機、入出力装置、入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12214B2 (ja) * 2006-07-25 201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
JP5178212B2 (ja) * 2008-01-22 2013-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6497A (ko) * 2002-06-04 2005-02-2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인쇄 시스템
US20060283937A1 (en) * 2005-06-21 2006-12-21 Lexmark International, Inc. USB host device for print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93027B2 (en) 2014-04-08
EP2085907A1 (en) 2009-08-05
JP5178212B2 (ja) 2013-04-10
EP2085907B1 (en) 2018-08-22
CN101494707A (zh) 2009-07-29
US20090185220A1 (en) 2009-07-23
KR20090080901A (ko) 2009-07-27
JP2009175860A (ja) 2009-08-06
CN101494707B (zh)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039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initial screen based on past setting informat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1037320B1 (ko)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US8176537B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function extension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function extension program stored therein
JP2013142931A (ja) 出力制御システム、出力制御方法、出力制御装置、出力装置、および出力制御プログラム
JP2003244183A (ja) 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遠隔制御中継サーバ
JP2007156745A (ja) 処理装置、ジョブ実行装置、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025936A (ja) 仲介サーバ、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941404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또는 처리 기능의 제공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 매체, 및 방법
JP2006244302A (ja) 文書管理システム、文書処理装置及びその文書処理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058546A (ja) 認証手段別のアクセス制御機能を有する認証システム
US20090213415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program, data processing method, server, process execution instructing program, and process execution instructing method
EP1335280B1 (en) Peripheral apparatus,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JP201025042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3042332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uthentication system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10055524A (ja) 認証制御装置、認証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64621A (ja) 利用制限管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JP5714081B2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20088B2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90405B2 (ja) 画像形成装置、印刷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757272B2 (en) Virus check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forming system that perform the virus check method
JP2006268628A (ja) 出力内容承認システム、出力内容承認デバイス、出力内容承認装置および出力内容承認プログラム、並びに出力内容承認方法
JP457292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ユーザ認証プログラム
JP2009252124A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15988141A (zh) 图像处理装置及作业的输出方法
JP545400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10708

Effective date: 201301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