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481B1 - 영상 표시 장치 및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및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481B1
KR101036481B1 KR1020090045485A KR20090045485A KR101036481B1 KR 101036481 B1 KR101036481 B1 KR 101036481B1 KR 1020090045485 A KR1020090045485 A KR 1020090045485A KR 20090045485 A KR20090045485 A KR 20090045485A KR 101036481 B1 KR101036481 B1 KR 101036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histogram distribution
level signal
image
blac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005A (ko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5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481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histogram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2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global image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 및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로부터 블랙 데이터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블랙 데이터의 비율을 일정 시간 동안 제 1 기준 값과 비교하여 블랙 레벨 신호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블랙 레벨 신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영상 신호 영역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를 반영한 감마 곡선 기울기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감마 곡선 기울기를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입력 영상에 적용하여 콘트라스트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 영상과 상관없는 블랙 레벨 신호로 인한 영상의 화이트가 포화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최적화하고 좌우의 검은 바(bar)를 제거하여 개선된 시청 환경을 제공한다.
영화 영상, 블랙 데이터, 콘트라스트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 및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ast-enhancement}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 및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랙 데이터 제거를 통해 영화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보정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과거 4:3 아날로그 방송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TV 등)와 최신의 디지털 와이드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첨단 디지털 Ready 형태의 디스플레이가 혼용되고 있다. 방송 상황 또한 아날로그 TV와 디지털 TV 모두를 고려하여 백워드 호환성(Backward Compatability)을 유지하기 위해 4:3 TV를 위한 16:9 소스의 변환 수 방송 등으로 대응하고 있다. 순수 HD 카메라로 제작된 HD 영상물에 있어서는 4:3 HD 모니터에서 홀쭉한 화면(squeeze) 또는 화면의 위, 아래에 블랙 레벨이 있는 레터 박스(letter box) 모양으로 TV를 시청해야 한다. 이러한 과도기적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 팬/스캔과 레터 박스와 같은 형태의 디스플레이가 사용되고 있다.
도 1a, 1b, 1c 및 1d는 종래의 블랙 레벨 신호를 포함하는 영화 영상이 화면 에 출력될 때의 도면이다.
도 1a는 일반적인 4:3 화면 비로 표시될 때 영화 영상의 이미지를 나타내며, 블랙 레벨(A) 영역이 형성된다. 도 1b는 도 1a의 블랙 레벨(A) 영역을 포함하는 영화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블랙 데이터(B[0],B[1],B[2])의 누적 빈도 수가 가장 높게 검출된다. 도 1c는 도 1b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반영한 감마 곡선 기울기의 변환(P->P')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d는 도 1c의 감마 곡선 기울기를 적용한 영화 영상의 화이트 포화 된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c에 표시된 (A) 영역과 (S) 영역은 각각, 도 1d에서 블랙 라벨 영역(A)과 화이트 포화(S) 이미지로 출력된다.
이러한 형태의 출력은 와이드 화면에서의 장시간 반복되는 블랙 레벨 신호로 인해 제품 수명에 영향을 주거나, 히스토그램 분포 검출 시 블랙 데이터가 카운팅되어 정상적인 감마 곡선을 적용하지 못하여 화이트가 포화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검은 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실제 사용자의 눈에도 보이면서 아무런 비디오 정보가 실려 있지 않기 때문에 블랙 레벨 신호로 표현되는 좌우의 검은 바(bar)가 시청자들의 눈을 상당히 거슬리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는 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는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산출하여,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검출하는 히스토그램 분포 검출부; 상기 검출된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전체 레벨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영상 신호 영역을 조정하는 블랙 데이터 분석부;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의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를 바탕으로 감마 곡선의 기울기를 변환하는 감마 곡선 변환부; 상기 변환된 감마 곡선의 기울기를 상기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영상 신호 영역의 R,G,B 신호에 적용하여 명도 레벨을 보정하는 콘트라스트 보정부; 및 상기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되고 상기 콘트라스트 보정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히스토그램 분포 검출부는 상기 입력 영상의 그레이 레벨에 따른 빈도 수의 누적 분포로부터 블랙 데이터 빈소 수를 검출하는 한다.
상기 블랙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검출된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산출된 히스토그램 분포의 전체 영상 레벨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는 블랙 데이터 비율 계산부; 상기 계산된 블랙 데이터 비율이 제 1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영상 신호 영역의 Start/End 포인트를 조정하는 데이터 Start/End 포인트 조정부; 및 상기 조정된 Start/End 포인트를 이용하여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영상 신호 영역의 화소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Start/End 포인트 조정부는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의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로부터 재검출된 블랙 데이터 비율과 이전 블랙 데이터 비율 간의 차이 값이 제 2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신호 영역의 블랙 레벨 신호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Start/End 포인트를 조정한다.
상기 블랙 데이터 분석부는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스토그램 분포 검출부는 상기 블랙 데이터 분석부로부터 수집된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영상 신호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검출한다.
상기 감마 곡선 변환부는 상기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영상 신호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바탕으로 감마 곡선을 소정 형태로 변환시켜 입력 영상의 R,G,B 데이터의 감마 보정 값을 조정한다.
상기 콘트라스트 보정부는 상기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영상 신호 영역에 감마 보정 값을 적용하여 영상 신호의 계조 레벨에 따른 휘도 값을 선형적으로 변 환시켜 콘트라스트를 보정한다.
상기 블랙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계산된 블랙 데이터의 비율이 일정 시간 동안 제 1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입력 영상 자체가 어두운 영상으로 판단한다.
상기 블랙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의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로부터 재검출된 블랙 데이터 비율과 이전 블랙 데이터 비율 간의 차이 값이 제 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상기 콘트라스트 보정부로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로부터 블랙 데이터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블랙 데이터의 비율을 일정 시간 동안 제 1 기준 값과 비교하여 블랙 레벨 신호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블랙 레벨 신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영상 신호 영역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를 반영한 감마 곡선 기울기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감마 곡선 기울기를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입력 영상에 적용하여 콘트라스트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블랙 데이터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로부터 입력 영상의 그레이 레벨에 따른 빈도 수의 누적 분포에 해당하는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전체 그레이 레벨의 빈도 수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블랙 레벨 신호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블랙 데이터의 비율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 1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입력 영상이 블랙 레벨 신호를 포함하는 영화 영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랙 레벨 신호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블랙 데이터의 비율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 1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입력 영상 자체가 어두운 영상으로 판단하여 초기의 검출된 상기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바탕으로 감마 곡선을 변환시킨다.
상기 영상 신호 영역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한 영상 신호 영역의 화소 데이터를 개더링(gathering) 하기 위해 Start/End 포인트를 조정한다.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로부터 재검출된 블랙 데이터 비율과 이전 블랙 데이터 비율의 차이 값을 제 2 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블랙 데이터 비율의 차이 값이 제 2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의 블랙 레벨 신호를 완전히 제거하도록 영상 신호 영역을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랙 데이터 비율의 차이 값이 제 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바탕으로 감마 곡선의 기울기를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 영상과 상관없는 블랙 레벨 신호로 인한 영상의 화이트가 포화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최적화하고 좌우의 검은 바(bar)를 제거하여 시청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입력 영상의 블랙 데이터를 제거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히스토그램 분포 검출부(20)는 입력 라인으로부터의 제공되는 입력 영상에 포함된 픽셀의 영상 레벨에 따른 빈도 수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 분포를 산출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히스토그램 분포는 입력 영상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화소 데이터 개수의 분포를 나타낸다. 산출된 히스토그램 분포 즉, 입력 영상의 그레이 레벨에 따른 빈도 수의 누적 분포로부터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검출한다.
블랙 데이터 분석부(30)는 히스토그램 분포 검출부(20)로부터 산출된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전체 영상 레벨에 대한 비율로 계산한다. 이때, 블랙 데이터 분석부(30)는 계산된 전체 영상 레벨에 대한 블랙 데이터 비율을 일정 시간 동안 제 1 기준 값과 비교한다.
여기서, 블랙 데이터 분석부(30)는 블랙 데이터 비율이 일정시간 동안 제 1 기준 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고 입력 영상의 화소 데이터를 개더링(gathering) 하기 위한 Start/End 포인트를 조정한다. 이때, 블랙 데이터 분석부(30)는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고 수집된 입력 영상의 화소 데이터를 히스토그램 분포 검출부(20)와 감마 곡선 변환부(40)로 출력한다.
도 3a는 블랙 데이터 분석부(30)를 통해 Start/End 포인트를 조정하여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입력 영상 신호 영역을 나타낸다. 도 3b는 히스토그램 분포 검출부(20)에서 검출된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나타낸다.
또한, 블랙 데이터 분석부(30)는 재검출된 블랙 데이터 비율과 이전 블랙 데이터 비율의 차이 값을 제 2의 기준 값과 비교 판단하여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Start/End 포인트의 조정 여부를 분석한다.
히스토그램 분포 검출부(20)는 블랙 데이터 분석부(30)로부터 수집된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영상 신호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검출한다.
감마 곡선 변환부(40)는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영상 신호 영역의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를 근거하여 감마 곡선을 소정 형태로 변환시켜 입력 영상의 R,G,B 데이터의 감마 보정 값을 조정한다. 도 3c는 도 3b의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영상 신호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반영한 감마 곡선 기울기의 변환(P->P')을 나타낸 것이다.
콘트라스트 보정부(50)는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영상 신호 영역에 변환된 감마 곡선의 감마 보정 값을 적용하여 영상 신호의 계조 레벨에 따른 휘도 값을 선형적으로 변환시켜 콘트라스트(명도 레벨)를 보정한다.
디스플레이 부(60)는 콘트라스트 보정부(50)로부터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되고 콘트라스트가 보정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3d는 입력된 영화 영상(a)에서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한 영상 신호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반영하여 콘트라스트 보정된 이미지(b)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의 블랙 데이터 분석부를 구체화한 블럭 구성도이다.
블랙 데이터 비율 계산부(31)는 검출된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일정 시간 동안 산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로부터 전체 영상 레벨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여 입력 영상의 상하 혹은 좌우에 블랙 레벨 신호가 포함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데이터 Start/End 포인트 조정부(33)는 블랙 데이터 비율 계산부(31)로부터 계산된 블랙 데이터 비율이 제 1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고 입력 영상의 화소 데이터를 개더링(gathering) 하기 위한 Start/End 포인트를 조정한다. 또한, 데이터 Start/End 포인트 조정부(33)는 블랙 데이터 비율 계산부(31)로부터 재검출된 블랙 데이터 비율이 이전 블랙 데이터 비율과의 차이 값이 제 2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Start/End 포인트를 조정한다.
데이터 수집부(35)는 데이터 Start/End 포인트 조정부(33)에 의해 조정된 Star/End 포인트를 이용하여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영상 신호 영역의 화소 데이 터를 수집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랙 데이터 분석부(30)는 아래의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소프트웨어(S/W) 방법으로도 구체화할 수 있다.
PQL_SetDynamicContrastPro
if(BlackCount >= Movie_Detect_Time) //일정시간 동안 블랙 { //데이터(Bin0)를 counting
BlackCount >= Movie_Detect_Time;
MovieAction = True;
setStartingPoint = 0xXX; //Data Gathering Start/End point 조정
setEndPont = 0xYY;
if(swBing0Past-swBin0Now > Movie_Bin0) //이전 bin0와 //현재 bin0의 차가 일정 이상이면
setStartingPoint = 0xXX; //Data Gathering Start/End
setEndPoint = 0xYY; //point 최종 조정
else if(swBing0Past - swBin0Now <= Movie_Bin0) //이전 bin0 //와 현재 bin0의 차가 일정 이하이면
setStartingPoint = 0x00; //Data Gathering Start/End
setEndPoint = 0xFF; //point 초기값 원복
}
else //입력 영상이 블랙 레벨신호를 포함한
{ //영화 이미지가 아닌 경우
BlackCount++;
MovieAction = False;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고 콘트라스트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검출한다(S501). 검출된 입력 영상의 그레이 레벨에 따른 빈도 수의 누적 분포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 분포로부터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검출한다.
히스토그램 분포의 전체 영상 레벨 빈도 수에 대한 검출된 블랙 데이터(Bin0) 빈도 수의 비율을 계산한다(S502).
계산된 블랙 데이터(Bin0)의 비율을 일정 조건과 비교 판단한다(S503). 이때, 일정 조건은 일정 시간 및 블랙 데이터 비율의 제 1 기준 값(reference value)을 포함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 동안 계산된 블랙 데이터(Bin0) 비율이 제 1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즉, 입력 영상이 블랙 레벨 신호를 포함한 것이 아닌 영상 자체가 어두운 것으로 판단하여 S507 단계로 이동한다.
반면, 일정 시간 동안 계산된 블랙 데이터(Bin0) 비율이 제 1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입력된 영상 신호가 블랙 레벨 신호를 포함하는 영화 영상으로 판단하여,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한 영상 신호 영역으로 화소 데이터를 개더링(gathering) 하기 위해 Start/End 포인트를 조정한다(504).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한 영상 신호 영역의 수집한 화소 데이터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재 검출한다(S505).
재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로부터 블랙 데이터(Bin0) 비율과 이전 블랙 데이터(Bin0) 비율 간의 차이를 제 2 기준 값과 비교 판단한다(S506).
여기서, 재검출된 블랙 데이터(Bin0) 비율과 이전 블랙 데이터 비율(Bin0) 차가 제 2 기준 값보다 큰 경우, 블랙 라벨 신호를 완전히 제거하도록 S504 단계로 이동한다.
반면, 재검출된 블랙 데이터(Bin0) 비율과 이전 블랙 데이터 비율(Bin0) 차가 제 2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재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를 바탕으로 감마 곡선의 기울기를 변환한다(507).
그리고 변환된 감마 곡선을 이용한 RGB 보정 값을 블랙 라벨 신호가 제거된 영상 신호 영역에 적용하여 콘트라스트를 보정한다(S508).
따라서,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되고 콘트라스트가 보정된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S509).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 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도 1a는 일반적인 영화 영상의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영화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반영한 감마 곡선 기울기의 변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d는 도 1c의 감마 곡선 기울기를 적용한 영화 영상의 화이트 포화 된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입력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b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c은 도 3b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반영한 감마 곡선 기울기의 변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d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고 콘트라스트 보정된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의 블랙 데이터 분석부를 구체화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고 콘트라스트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히스토그램 분포 검출부 30. 블랙 데이터 분석부
31. 블랙 데이터 비율 계산부 33. 데이터 Start/End 포인트 조정부
35. 데이터 수집부 40. 감마 곡선 변환부
50. 콘트라스트 보정부 60. 디스플레이부

Claims (18)

  1. 삭제
  2.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로부터 블랙 데이터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블랙 데이터의 비율을 일정 시간 동안 제 1 기준 값과 비교하여 블랙 레벨 신호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블랙 레벨 신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영상 신호 영역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를 반영한 감마 곡선 기울기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감마 곡선 기울기를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입력 영상에 적용하여 콘트라스트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랙 데이터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로부터 입력 영상의 그레이 레벨에 따른 빈도 수의 누적 분포에 해당하는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전체 그레이 레벨의 빈도 수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3. 삭제
  4.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로부터 블랙 데이터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블랙 데이터의 비율을 일정 시간 동안 제 1 기준 값과 비교하여 블랙 레벨 신호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블랙 레벨 신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영상 신호 영역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를 반영한 감마 곡선 기울기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감마 곡선 기울기를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입력 영상에 적용하여 콘트라스트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랙 레벨 신호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블랙 데이터의 비율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 1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입력 영상 자체가 어두운 영상으로 판단하여 초기의 검출된 상기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바탕으로 감마 곡선을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5. 삭제
  6.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로부터 블랙 데이터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블랙 데이터의 비율을 일정 시간 동안 제 1 기준 값과 비교하여 블랙 레벨 신호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블랙 레벨 신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영상 신호 영역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를 반영한 감마 곡선 기울기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감마 곡선 기울기를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입력 영상에 적용하여 콘트라스트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로부터 재검출된 블랙 데이터 비율과 이전 블랙 데이터 비율의 차이 값을 제 2 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데이터 비율의 차이 값이 제 2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의 블랙 레벨 신호를 완전히 제거하도록 영상 신호 영역을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데이터 비율의 차이 값이 제 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바탕으로 감마 곡선의 기울기를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9. 삭제
  10.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산출하여,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검출하는 히스토그램 분포 검출부;
    상기 검출된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전체 레벨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영상 신호 영역을 조정하는 블랙 데이터 분석부;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의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를 바탕으로 감마 곡선의 기울기를 변환하는 감마 곡선 변환부;
    상기 변환된 감마 곡선의 기울기를 상기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영상 신호 영역의 R,G,B 신호에 적용하여 명도 레벨을 보정하는 콘트라스트 보정부; 및
    상기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되고 상기 콘트라스트 보정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스토그램 분포 검출부는 상기 입력 영상의 그레이 레벨에 따른 빈도 수의 누적 분포로부터 블랙 데이터 빈소 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1.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산출하여,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검출하는 히스토그램 분포 검출부;
    상기 검출된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전체 레벨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영상 신호 영역을 조정하는 블랙 데이터 분석부;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의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를 바탕으로 감마 곡선의 기울기를 변환하는 감마 곡선 변환부;
    상기 변환된 감마 곡선의 기울기를 상기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영상 신호 영역의 R,G,B 신호에 적용하여 명도 레벨을 보정하는 콘트라스트 보정부; 및
    상기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되고 상기 콘트라스트 보정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랙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검출된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산출된 히스토그램 분포의 전체 영상 레벨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는 블랙 데이터 비율 계산부;
    상기 계산된 블랙 데이터 비율이 제 1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영상 신호 영역의 Start/End 포인트를 조정하는 데이터 Start/End 포인트 조정부; 및
    상기 조정된 Start/End 포인트를 이용하여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영상 신호 영역의 화소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영상 표시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Start/End 포인트 조정부는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의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로부터 재검출된 블랙 데이터 비율과 이전 블랙 데이터 비율 간의 차이 값이 제 2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신호 영역의 블랙 레벨 신호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Start/End 포인트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산출하여,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검출하는 히스토그램 분포 검출부;
    상기 검출된 블랙 데이터 빈도 수를 전체 레벨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블랙 레벨 신호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블랙 레벨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영상 신호 영역을 조정하는 블랙 데이터 분석부;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의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를 바탕으로 감마 곡선의 기울기를 변환하는 감마 곡선 변환부;
    상기 변환된 감마 곡선의 기울기를 상기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된 영상 신호 영역의 R,G,B 신호에 적용하여 명도 레벨을 보정하는 콘트라스트 보정부; 및
    상기 블랙 레벨 신호가 제거되고 상기 콘트라스트 보정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랙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의 검출된 히스토그램 분포로부터 재검출된 블랙 데이터 비율과 이전 블랙 데이터 비율 간의 차이 값이 제 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상기 콘트라스트 보정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1020090045485A 2009-05-25 2009-05-25 영상 표시 장치 및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KR101036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485A KR101036481B1 (ko) 2009-05-25 2009-05-25 영상 표시 장치 및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485A KR101036481B1 (ko) 2009-05-25 2009-05-25 영상 표시 장치 및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005A KR20100127005A (ko) 2010-12-03
KR101036481B1 true KR101036481B1 (ko) 2011-05-24

Family

ID=43504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485A KR101036481B1 (ko) 2009-05-25 2009-05-25 영상 표시 장치 및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4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3187A (zh) * 2020-09-11 2022-03-11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动态对比度的确定方法与显示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252A (ja) * 1995-06-16 1997-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階調補正装置
JPH09270966A (ja) * 1996-04-01 1997-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受像機のためのレターボックス画像の自動検出回路
JP2004336664A (ja) 2003-05-12 2004-11-25 Sony Corp 映像信号のコントラスト処理回路
KR100594806B1 (ko) 2004-12-28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252A (ja) * 1995-06-16 1997-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階調補正装置
JPH09270966A (ja) * 1996-04-01 1997-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受像機のためのレターボックス画像の自動検出回路
JP2004336664A (ja) 2003-05-12 2004-11-25 Sony Corp 映像信号のコントラスト処理回路
KR100594806B1 (ko) 2004-12-28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005A (ko) 201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547B1 (ko) 영상 시퀀스에서 플리커의 검출 및 억제
US792429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855877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892268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5436020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20130113683A1 (en) Image display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1250394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295807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288432B2 (en) Motion vector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and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798345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processing a flesh-colored area
JPH09270966A (ja) テレビ受像機のためのレターボックス画像の自動検出回路
US10861420B2 (en) Image output apparatus, image output method, for simultaneous output of multiple images
US20120008050A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processing method
KR101036481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JP2008042768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表示画像の階調補正方法
JP2008258925A (ja) ガンマ補正回路及びガンマ補正方法
JP7394407B2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2019005884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90052833A1 (en) Video display device, television receiver, transmitting device,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813982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EP3734954B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CN108881758B (zh) 电子设备及其处理图像的方法
US20100157161A1 (en) Gamma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8123472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01204456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