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153B1 -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153B1
KR101036153B1 KR1020100082437A KR20100082437A KR101036153B1 KR 101036153 B1 KR101036153 B1 KR 101036153B1 KR 1020100082437 A KR1020100082437 A KR 1020100082437A KR 20100082437 A KR20100082437 A KR 20100082437A KR 101036153 B1 KR101036153 B1 KR 101036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rinted
frame
profile
printed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복현
정삼배
Original Assignee
정삼배
영림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삼배, 영림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삼배
Priority to KR1020100082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4Squeegees or do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27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layers by lamination or by fusion of the coatings o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81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waves, e.g. ultraviolet radiation, electron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00/00Printing processes
    • B41P2200/40Screen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피인쇄물로서 프로파일(profile)을 압출기로부터 압출하여 횡길이 2,500㎜~7,500㎜로 커팅하는 피인쇄물 압출 및 커팅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1공정(S1)과; 상기 피인쇄물 압출 및 커팅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피인쇄물(P)을 베드(1) 위에서 다수의 이송롤러(2)에 의해 인쇄기로 이송하고 스톱퍼(3)에 의해 정지시키는 인쇄기로 이송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2공정(S2)과; 상기 인쇄기로 이송공정에서 이송된 피인쇄물(P)을 푸쉬대(5)로써 고정대(6)를 향해 밀어내는 피인쇄물 푸쉬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3공정(S3)과; 상기 피인쇄물 푸쉬공정에서 고정대(6)를 향해 푸쉬된 피인쇄물(P)을 고정대(6)와 푸쉬대(5)에 의해 직진도 및 수평도를 유지되게 하고 흔들림을 방지하는 피인쇄물 고정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4공정(S4)과; 상기 피인쇄물 고정 공정에서 고정된 피인쇄물(P)의 표면 위에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와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8) 및 스퀴지 바(squeeze bar)(9)로 구성되는 인쇄장치(A)가 하강하여 장착되는 인쇄장치 하강장착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5공정(S5)과; 상기 인쇄장치 하강장착 공정에서 피인쇄물(P)의 표면 위에 장착된 인쇄장치(A)의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 위에서 스퀴지 바(squeeze bar)(9)에 의해 인쇄잉크혼합액을 밑으로 밀어내면서 전진시켜 인쇄 작업을 하는 인쇄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6공정(S6)과; 상기 인쇄 공정에서 피인쇄물(P)의 표면위에 인쇄를 완료한 후 인쇄장치(A)는 다시 상승 복귀하고 다수의 이송롤러(2)에 의해 유브이(UV) 건조기로 이송하는 유브이(UV) 건조기로 이송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7공정(S7)과; 상기 유브이(UV) 건조로 이송 공정으로부터 이송되어 공급된 피인쇄물(P)의 인쇄 층을 메탈램프(20)와 수은램프(21)에 의해 순차적으로 건조시키고 또한 상기 메탈램프(20)에 의해 건조할 시 급기장치(22)에 의해 에어를 공급하여 냉각하고 배출장치(23)에 의해 냉각 열과 먼지 및 이물질을 배출시키면서 건조하는 유브이(UV) 건조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8공정(S8)과; 상기 유브이(UV) 건조 공정으로부터 이송되어 공급된 유브이(UV) 건조된 피인쇄물(P)을 투명필름(25)으로써 인쇄 층을 피복하여 완료하는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9공정(S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창틀 등의 프레임 샤시(frame sash)로 사용되는 횡길이 2,500㎜ 내지 7,500㎜ 장바의 프로파일(profile)의 표면에 직접 양질의 인쇄를 할 수 있고, 같은 공정에서 프로파일을 압출 및 커팅과 동시에 인쇄공정으로 즉시 투입되어 인쇄함은 물론 유브이(UV) 건조 및 라미네팅 작업을 곧바로 할 수 있어 생산력을 높이고 생산 원가를 절감하며 품질을 향상시켜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printing method of profile}
본 발명은 프로파일(profile)의 인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 등의 프레임 샤시(frame sash)로 사용되는 횡길이 2,500㎜~7,500㎜ 장바의 프로파일(profile)(이하, "피인쇄물"이라고도 약칭한다)의 표면에 직접 인쇄를 할 수 있고, 같은 공정에서 프로파일을 압출과 동시에 인쇄공정으로 즉시 투입되어 인쇄함은 물론 유브이(UV) 건조 및 라미네팅 작업을 할 수 있어 생산력을 높이고 원가를 절감하여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프로파일(profile)의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로파일(profile)은 표면에 무늬 등을 인쇄하기 위해서 그 횡길이가 2,400㎜까지만 인쇄가 가능하고 그 이상 길이의 프로파일(profile) 인쇄는 불가하였다.
그 이유는 첫째, 압출기로부터 압출되어 커팅된 횡길이 2,500㎜~7,500㎜ 장바의 프로파일(profile)을 인쇄기로의 자동이송이 곤란하고 또한 인쇄기에서의 직진도 및 수평도를 유지시키면서 장착하는 것이 곤란하며 흔들림의 발생을 방지하지 못하는 것이어서 피인쇄물의 표면에 인쇄작업이 불가능한 것이었다.
둘째, 인쇄기에서 피인쇄물에 인쇄를 하기 위한 필수장비로서 다양한 형태의 무늬 등이 디자인화되어 인쇄 처리를 위한 후막용 제판(製版)장치가 필요한데, 제판장치는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와 스크린 망사가 평탄하게 펼쳐진 상태로 설치 유지시키는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 및 인쇄잉크혼합액을 스크린망사 밑으로 밀어내면서 전진하여 피인쇄물 표면에 인쇄하는 스퀴지 바(squeeze bar)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틀체용 프레임 바는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의 장력에 의해 뒤틀림이나 휨이 발생하여 스퀴지 바(squeeze bar)의 작동이 불가능함은 물론 스크린 망사의 쭈그러짐에 의한 인쇄가 불가능한 것이었다.
셋째, 상기 후막용 제판(製版)장치에서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의 횡 길이가 최소 7,500㎜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의 자체 하중에 의해 중간 부분에서 하측으로의 휨이 발생하여 수평 바란스의 유지가 불가하여 피인쇄물의 표면에 인쇄작업이 불가능한 것이었다.
넷째, 피인쇄물의 표면에 상기 스퀴지 바(squeeze bar)를 스크린 망사 위에서 인쇄잉크혼합액을 밑으로 밀어내면서 전진시켜 인쇄 작업을 할 경우 상기 스퀴지 바(squeeze bar)가 전방으로의 진행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후방에서 인쇄완료된 스크린망사가 피인쇄물의 표면에 달라 붙어 인쇄된 부분이 망가져 버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어서 피인쇄물의 표면에 인쇄작업이 불가능한 것이었다.
다섯째,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장바의 프로파일(profile)은 같은 공정라인에서 즉시 인쇄공정으로 투입되지 못하고 별도의 외부 인쇄처리를 해야하기 때문에 운송비, 보관비, 가공 및 작업비용 등이 증가하여 프로파일의 원재료비용 보다 높은 것이어서 높은 생산비에 따른 채산성이 맞지 않아 인쇄작업이 불가능한 것이었다.
여섯째, 피인쇄물인 장바의 프로파일(profile)은 인쇄가 불가하지만 설령 인쇄가 되더라도 같은 자동공정에서의 건조기에서 건조가 불가능하여 자연건조를 할 수 밖에 없는 것이어서 생산성이 떨어져 생산이 불가능하고, 라미네이팅 처리 또한 같은 공정에서 불가하기 때문에 기존에는 장바의 프로파일(profile)(횡길이2,500㎜~7,500㎜)은 인쇄 없이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틀 등의 프레임 샤시(frame sash)로 사용되는 횡길이 2,500㎜~7,500㎜ 장바의 프로파일(profile)의 표면에 직접 인쇄를 할 수 있고, 같은 공정에서 프로파일을 압출과 동시에 인쇄공정으로 즉시 투입되어 인쇄함은 물론 유브이(UV) 건조 및 라미네팅 작업을 할 수 있어 생산력을 높이고 원가를 절감하여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프로파일(profile)의 인쇄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피인쇄물로서 프로파일(profile)을 압출기로부터 압출하여 횡길이 2,500㎜~7,500㎜로 커팅하는 피인쇄물 압출 및 커팅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1공정과;
상기 피인쇄물 압출 및 커팅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피인쇄물을 베드 위에서 다수의 이송롤러에 의해 인쇄기로 이송하고 스톱퍼에 의해 정지시키는 인쇄기로 이송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2공정과;
상기 인쇄기로 이송공정에서 이송된 피인쇄물을 푸쉬대로써 고정대를 향해 밀어내는 피인쇄물 푸쉬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3공정과;
상기 피인쇄물 푸쉬공정에서 고정대를 향해 푸쉬된 피인쇄물을 고정대와 푸쉬대에 의해 직진도 및 수평도를 유지되게 하고 흔들림을 방지하는 피인쇄물 고정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4공정과;
상기 피인쇄물 고정 공정에서 고정된 피인쇄물의 표면 위에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와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 및 스퀴지 바(squeeze bar)로 구성되는 인쇄장치가 하강하여 장착되는 인쇄장치 하강장착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5공정과;
상기 인쇄장치 하강장착 공정에서 피인쇄물의 표면 위에 장착된 인쇄장치의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위에서 스퀴지 바(squeeze bar)에 의해 인쇄잉크혼합액을 밑으로 밀어내면서 전진시켜 인쇄 작업을 하는 인쇄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6공정과;
상기 인쇄 공정에서 피인쇄물의 표면위에 인쇄를 완료한 후 인쇄장치는 다시 상승 복귀하고 다수의 이송롤러에 의해 유브이(UV) 건조기로 이송하는 유브이(UV) 건조기로 이송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7공정과;
상기 유브이(UV) 건조로 이송 공정으로부터 이송되어 공급된 피인쇄물의 인쇄 층을 메탈램프와 수은램프에 의해 순차적으로 건조시키고 또한 상기 메탈램프에 의해 건조할 시 급기장치에 의해 에어를 공급하여 냉각하고 배출장치에 의해 냉각 열과 먼지 및 이물질을 배출시키면서 건조하는 유브이(UV) 건조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8공정과;
상기 유브이(UV) 건조 공정으로부터 이송되어 공급된 유브이(UV) 건조된 피인쇄물을 필름으로써 인쇄 층을 피복하여 완료하는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9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창틀 등의 프레임 샤시(frame sash)로 사용되는 횡길이 2,500㎜ 내지 7,500㎜ 장바의 프로파일(profile)의 표면에 직접 양질의 인쇄를 할 수 있고, 같은 공정에서 프로파일을 압출 및 커팅과 동시에 인쇄공정으로 즉시 투입되어 인쇄함은 물론 유브이(UV) 건조 및 라미네팅 작업을 곧바로 할 수 있어 생산력을 높이고 생산 원가를 절감하며 품질을 향상시켜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에서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를 하측으로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틀체를 결합 구성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에서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와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의 결합 구성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에서 피인쇄물에 인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발췌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2에 따라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이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제1공정(S1)- 피인쇄물 압출 및 커팅공정으로서 압출기로부터 피인쇄물(P)로서 프로파일(profile)을 압출하여 횡길이 2,500㎜~7,500㎜로 커팅한다.
상기 피인쇄물(P)의 커팅된 횡길이를 2,500㎜~7,500㎜로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인쇄방법으로 7,500㎜까지로 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7,500㎜이상으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공정(S2)- 인쇄기로 이송공정으로서 상기 피인쇄물 압출 및 커팅공정으로부터 콘베어(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피인쇄물(P)을 베드(1) 위에서 다수의 이송롤러(2)에 의해 인쇄기로 이송하고 스톱퍼(3)에 의해 정지시킨다[도 2 (b) 참조].
즉,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2)는 베드(1)의 관통공을 통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승하여 피인쇄물(P)을 장착하여 베드(1)의 횡방향을 따라 이송시키고 아울러 실린더 장치(4)에 의해 스톱퍼(3)를 상승시켜 상기 피인쇄물(P)이 이송되어 스톱퍼(3)에 당접되면 피인쇄물(P)의 이송은 정지되고 동시에 상기 이송롤러(2)와 스톱퍼(3)는 하강하며 피인쇄물(P)은 베드(1) 위에 놓이게 된다.
제3공정(S3)- 피인쇄물 푸쉬공정으로서 상기 인쇄기로 이송공정으로부터 이송되어 정지된 피인쇄물(P)을 푸쉬대(5)로써 고정대(6)를 향해 밀어낸다[도 2(c) 참조].
즉, 도 2(c)는 평면에서 본 공정으로서 베드위에 놓여진 피인쇄물을 실린더 장치(미도시)에 의해 푸쉬대(5)로써 고정대(6)를 향해 밀어낸다.
제4공정(S4)- 피인쇄물 고정공정으로서 상기 피인쇄물 푸쉬공정에서 고정대(6)를 향해 푸쉬된 피인쇄물(P)을 고정대(6)와 푸쉬대(5)에 의해 직진도 및 수평도를 유지되게 하고 흔들림을 방지한다[도 2(d) 참조].
제5공정(S5)- 인쇄장치 하강장착 공정으로서 상기 피인쇄물 고정 공정에서 고정된 피인쇄물(P)의 표면 위에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와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8) 및 스퀴지 바(squeeze bar)(9)로 구성되는 인쇄장치(A)가 하강하여 장착된다[도 2(e) 참조].
상기 인쇄장치(A)는 도 3 내지 도5에서와 같이 다양한 무늬 등으로 디자인화된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가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8)에 평탄하게 펼쳐진 상태로 설치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8)는 도 5에서와 같이 내부가 중공체로 되고 단면 형상이 사각으로 이루어지며 양방의 내측으로 상하 보강살(10)(10a)(11)(11a)을 균등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8)는 결합 구성된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 방향의 측방에 원호형의 굴곡부(12)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위와 같은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8)는 결합 구성된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의 당겨지는 장력이 발생하여 측방으로 그 힘이 가해지더라도 내측의 양측 상하의 보강살(10)(10a)(11)(11a)로 그 힘이 분산 흡수되고 또한 원호형의 굴곡부(12)에 의해 당겨지는 힘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여 내측으로의 휨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비틀림 또한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8)에 결합 구성된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는 항시 쭈그러짐이 없이 평탄하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8)는 도 3에서와 같이 중간부에 지지편(13)을 갖는 지지틀체(14)에 의해 지지되고 승강장치(15)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승강장치(15)는 일 실시예로서 구동모터(16)에 의해 구동하는 피니언(17)과 상기 피니언(17)과 치합된 랙(1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틀체(14)의 일측부는 랙(18)에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8)는 상기 지지편(13)을 갖는 지지틀체(14)에 의해 하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양호한 직진도와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스퀴지바(9)는 실린더 장치(19)에 의해 상하 승강한다.
따라서 상기 피인쇄물 위에 장착된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와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8)는 양호한 상태의 직진도와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6공정(S6)- 인쇄 공정으로서 상기 인쇄장치 하강장착 공정에서 피인쇄물의 표면 위에 장착된 인쇄장치(A)의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 위에서 스퀴지 바(squeeze bar)(9)에 의해 인쇄잉크혼합액을 밑으로 밀어내면서 전진시켜 인쇄 작업을 실시한다[도 2(f) 참조].
즉,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 위에 당접된 상태로 스퀴지 바(squeeze bar)(9)를 45°의 기울기로 전진하면서 인쇄를 실시한다.
이 경우 스퀴지 바(squeeze bar)(9)에 의해 공급되는 인쇄잉크혼합액을 망사로 이루어진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 밑으로 밀어내면서 전진하여 인쇄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스퀴지 바(squeeze bar)(9)가 전진하면서 인쇄를 할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8)를 후방에서 상측으로 승강장치(미도시)에 의해 상승시킨다.
즉, 상기 스퀴지 바(squeeze bar)(9)에 의해 인쇄를 완료한 후 지나간 부위에서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가 피인쇄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승시킴으로써 인쇄가 완료되었을 경우 처음 시작한 부분에서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가 피인쇄물의 표면에 달라 붙어 인쇄된 부분이 망가져 버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8)가 상승되는 높이는 후방 선단에서 최대 4㎝ 이내이고 또한 상기 스퀴지 바(squeeze bar)(9)가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의 횡방향으로 중간 부분을 통과 할 때 까지만 상승시키고 그 이후는 상승을 멈춘다.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피인쇄물(P)의 표면에는 양질의 인쇄를 실시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쇄잉크혼합액에 친환경소재로서 ㎛단위로 분말화한 황토나 맥반석을 혼합하여 인쇄할 수도 있고, 입체인쇄를 실시할 수도 있다.
제7공정(S7)- 유브이(UV) 건조기로 이송 공정으로서 상기 인쇄 공정에서 피인쇄물(P)의 표면위에 인쇄를 완료한 후 인쇄장치(A)는 다시 상승 복귀하고 다수의 이송롤러(2)에 의해 유브이(UV) 건조기(B)로 이송한다[도 2(g) 참조].
제8공정(S8)- 유브이(UV) 건조 공정으로서 상기 유브이(UV) 건조로 이송 공정으로부터 이송되어 공급된 피인쇄물(P)의 인쇄 층을 메탈램프(20)와 수은램프(21)에 의해 순차적으로 건조시키고 또한 상기 메탈램프(20)에 의해 건조할 시 급기장치(22)에 의해 에어를 공급하여 냉각하고 배출장치(23)에 의해 냉각 열과 먼지 및 이물질을 배출시키면서 건조한다[도 2(h) 참조].
상기 메탈램프(20)는 상기 수은램프(21)에서 발생되는 자외선 빛의 파장보다 자외선 빛이 깊어 침투력이 뛰어나고 열이 발생하여 인쇄 층의 깊은 속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며, 상기 수은램프(21)는 오존발생이 않되는 환경 친화적인 자외선 방식으로 자외선 빛의 파장이 보다 완만하여 피인쇄물(P)의 인쇄 층 표면을 신속하게 건조시킨다.
그리고 상기 메탈램프(20)에는 건조할 시 급기장치(22)에 의해 에어를 공급하여 냉각하고 배출장치(23)에 의해 냉각 열과 악취 및 먼지와 이물질 등을 배출시켜 열에 의한 피인쇄물의 변형이나 변질을 방지한다.
또한 인쇄 층이 형성된 피인쇄물은 콘베어(24)를 통해 상기 메탈램프(20)와 수은램프(21)를 통과하면서 건조되며, 피인쇄물(P)의 인쇄 층은 10초 이내에 건조가 이루어진다.
제9공정(S9)- 라미네이팅 공정으로서 상기 유브이(UV) 건조 공정으로부터 이송되어 공급된 유브이(UV) 건조되어 완성된 피인쇄물(P)을 투명필름(25)으로써 인쇄 층을 피복하여 완료한다[도 2(i) 참조].
즉, 상기 인쇄완료 된 피인쇄물(P)을 콘베어(26)에 의해 전진시키면서 필름도포용 압착롤러(27)에 의해 투명필름(25)으로써 피인쇄물(P)의 인쇄 층을 피복함으로써 이물질이나 굵힘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한다.
위와 같이 제1 공정 내지 제9공정에 의해 피인쇄물의 표면에 인쇄가 완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창틀 등의 프레임 샤시(frame sash)로 사용되는 횡길이 2,500㎜ 내지 7,500㎜ 장바의 프로파일(profile)의 표면에 직접 양질의 인쇄를 할 수 있고, 같은 공정에서 프로파일을 압출 및 커팅과 동시에 인쇄공정으로 즉시 투입되어 인쇄함은 물론 유브이(UV) 건조 및 라미네팅 작업을 곧바로 할 수 있어 생산력을 높이고 생산 원가를 절감하며 품질을 향상시켜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S1: 제1 공정 S2: 제2 공정
S3: 제3 공정 S4: 제4 공정
S5: 제5 공정 S6: 제6 공정
S7: 제7 공정 S8: 제8 공정
S9: 제9 공정
A: 인쇄장치 B: 유브이(UV) 건조기
P: 피인쇄물 1: 베드
2: 이송롤러 3: 스톱퍼
4: 실린더 장치 5: 푸쉬대
6: 고정대 7: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
8: 틀체용 프레임 바 9: 스퀴지 바
10,10a,11,11a: 보강살 12: 원형의 굴곡부
13: 지지편 14: 지지틀체
15: 승강장치 16: 모터
17: 피니언 18: 랙
19: 실린더 장치 20: 메탈램프
21: 수은램프 22: 급기장치
23: 배출장치 24: 콘베어
25: 투명필름 26: 콘베어
27: 압착롤러

Claims (9)

  1. 피인쇄물로서 프로파일(profile)을 압출기로부터 압출하여 횡길이 2,500㎜~7,500㎜로 커팅하는 피인쇄물 압출 및 커팅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1공정(S1)과;
    상기 피인쇄물 압출 및 커팅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피인쇄물(P)을 베드(1) 위에서 다수의 이송롤러(2)에 의해 인쇄기로 이송하고 스톱퍼(3)에 의해 정지시키는 인쇄기로 이송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2공정(S2)과;
    상기 인쇄기로 이송공정에서 이송된 피인쇄물(P)을 푸쉬대(5)로써 고정대(6)를 향해 밀어내는 피인쇄물 푸쉬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3공정(S3)과;
    상기 피인쇄물 푸쉬공정에서 고정대(6)를 향해 푸쉬된 피인쇄물(P)을 고정대(6)와 푸쉬대(5)에 의해 직진도 및 수평도를 유지되게 하고 흔들림을 방지하는 피인쇄물 고정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4공정(S4)과;
    상기 피인쇄물 고정 공정에서 고정된 피인쇄물(P)의 표면 위에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와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8) 및 스퀴지 바(squeeze bar)(9)로 구성되는 인쇄장치(A)가 하강하여 장착되는 인쇄장치 하강장착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5공정(S5)과;
    상기 인쇄장치 하강장착 공정에서 피인쇄물(P)의 표면 위에 장착된 인쇄장치(A)의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 위에서 스퀴지 바(squeeze bar)(9)에 의해 인쇄잉크혼합액을 밑으로 밀어내면서 전진시켜 인쇄 작업을 하는 인쇄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6공정(S6)과;
    상기 인쇄 공정에서 피인쇄물(P)의 표면위에 인쇄를 완료한 후 인쇄장치(A)는 다시 상승 복귀하고 다수의 이송롤러(2)에 의해 유브이(UV) 건조기로 이송하는 유브이(UV) 건조기로 이송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7공정(S7)과;
    상기 유브이(UV) 건조기로 이송 공정으로부터 이송되어 공급된 피인쇄물(P)의 인쇄 층을 메탈램프(20)와 수은램프(21)에 의해 순차적으로 건조시키고 또한 상기 메탈램프(20)에 의해 건조할 시 급기장치(22)에 의해 에어를 공급하여 냉각하고 배출장치(23)에 의해 냉각 열과 먼지 및 이물질을 배출시키면서 건조하는 유브이(UV) 건조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8공정(S8)과;
    상기 유브이(UV) 건조 공정으로부터 이송되어 공급된 유브이(UV) 건조된 피인쇄물(P)을 투명필름(25)으로써 인쇄 층을 피복하여 완료하는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9공정(S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8)는 내부가 중공체로 되고 단면 형상이 사각으로 이루어지며 양방의 내측으로 상하 보강살(10)(10a)(11)(11a)을 균등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구성하며 측방에 원호형의 굴곡부(12)를 형성하여 직진도 및 수평도를 유지하고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를 평탄하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인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8)는 중간부에 지지편(13)을 갖는 지지틀체(14)에 의해 지지되게 함으로써 하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직진도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인쇄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6공정(S6)에서 상기 스퀴지 바(squeeze bar)(9)에 의해 인쇄를 완료한 후 지나간 부위에서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가 피인쇄물로부터 이탈되도록 틀체용 프레임 바(frame bar)(8)를 후방에서 상측으로 상승시키면서 인쇄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스퀴지 바(squeeze bar)(9)는 실크인쇄용 스크린 망사(7) 위에 당접된 상태로 45°의 기울기로 전진하면서 인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피인쇄물 압출 및 커팅공정에서 인쇄기로 이송이 같은 공정에서 즉시 이루어지고, 인쇄 공정에 의해 인쇄된 피인쇄물은 유브이(UV) 건조기로 같은 공정에서 즉시 이송이 이루어지며, 유브이(UV) 건조기에서 건조된 피인쇄물은 같은 공정에서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즉시 이송되어 투명필름(25)으로써 인쇄 층을 피복하여 완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9공정(S9)에서 인쇄완료 된 피인쇄물(P)을 콘베어(26)에 의해 전진시키면서 필름도포용 압착롤러(27)에 의해 투명필름(25)으로써 피인쇄물(P)의 인쇄 층을 피복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피인쇄물은 횡길이 2,500㎜~7,500㎜로 하여 그 표면에 직접인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피인쇄물은 프로파일(profile)로서 프레임 샤시(frame sash)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
KR1020100082437A 2010-08-25 2010-08-25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 KR101036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437A KR101036153B1 (ko) 2010-08-25 2010-08-25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437A KR101036153B1 (ko) 2010-08-25 2010-08-25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153B1 true KR101036153B1 (ko) 2011-05-23

Family

ID=4436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437A KR101036153B1 (ko) 2010-08-25 2010-08-25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1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440B1 (ko) 2011-11-23 2013-08-07 (주)엘지하우시스 창호프로파일의 코너부 컬러매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코너부 컬러매칭방법
US9393774B2 (en) 2013-05-13 2016-07-19 Samsung Display Co., Ltd. Screen printing apparatus and screen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7443B1 (ko) * 1994-12-31 1998-08-01 성재갑 장식 판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20063654A (ko) * 2001-01-30 2002-08-05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건자재 무늬인쇄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32611A (ko) * 2002-10-10 2004-04-17 김을중 플라스틱 압출성형품 인쇄 제조방법 및 인쇄장치
KR20060032444A (ko) * 2004-10-12 2006-04-17 천일합성목재(주) 피브이씨 하드코팅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그를이용한 피브이씨 가공 프로세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7443B1 (ko) * 1994-12-31 1998-08-01 성재갑 장식 판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20063654A (ko) * 2001-01-30 2002-08-05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건자재 무늬인쇄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32611A (ko) * 2002-10-10 2004-04-17 김을중 플라스틱 압출성형품 인쇄 제조방법 및 인쇄장치
KR20060032444A (ko) * 2004-10-12 2006-04-17 천일합성목재(주) 피브이씨 하드코팅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그를이용한 피브이씨 가공 프로세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440B1 (ko) 2011-11-23 2013-08-07 (주)엘지하우시스 창호프로파일의 코너부 컬러매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코너부 컬러매칭방법
US9393774B2 (en) 2013-05-13 2016-07-19 Samsung Display Co., Ltd. Screen printing apparatus and screen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6918B2 (ja) 印刷装置の製造方法
CN104708689B (zh) 板材逐级自动进料划线涂胶一体化设备
JP5258232B2 (ja) 印刷装置
KR101036153B1 (ko) 프로파일의 인쇄 방법
KR101693596B1 (ko) 팔레트를 이용한 스크린 인쇄기
CN210285848U (zh) 一种同步穿梭式送料平台及丝网印刷设备
CN210309494U (zh) 一种全自动跑台式的丝网印刷设备
KR101252157B1 (ko) 윈도우 글라스 인쇄장치
KR101058512B1 (ko) 건축용 도장패널 제조장치
JP5243367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におけるバキュームベルト搬送方法とその搬送装置
CN1324084A (zh) 积层型电子组件制造方法、制造装置、母板积层机和底板
CN1253303C (zh) 单张工件的冲切组件及折迭组件
CN106697879A (zh) 一种丝网印刷机进出料输送装置及方法
CN114313785B (zh) 一种金属吊顶板输送装置
KR101202581B1 (ko) 금속용기의 상하판 성형장치
CN111731765B (zh) 一种板材降落输送装置
CN211616071U (zh) 一种泥棒供料输送装置
CN207257062U (zh) 多功能印刷机
CN207549758U (zh) 一种铅笔表面图案打印设备
CN220448756U (zh) 一种上板机
TWM514889U (zh) 棒材送料機之取料機構
KR200329756Y1 (ko) 용마루 기와 가공장치
CN210064632U (zh) 薄膜预热用的自带清洁的传输装置
JPH0740525A (ja) 印刷装置
CN112319081A (zh) 喷墨打印方法、喷墨打印装置及发光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