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991B1 - 가로등용 등주 - Google Patents

가로등용 등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991B1
KR101035991B1 KR1020100104998A KR20100104998A KR101035991B1 KR 101035991 B1 KR101035991 B1 KR 101035991B1 KR 1020100104998 A KR1020100104998 A KR 1020100104998A KR 20100104998 A KR20100104998 A KR 20100104998A KR 101035991 B1 KR101035991 B1 KR 101035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ing
post
sliding do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원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원엘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원엘피
Priority to KR1020100104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점검구를 갖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형성된 점검구에 고정되며 상기 점검구와 소통하는 소통공이 형성되고 양측단에 레일이 형성된 이너 케이스; 상기 이너 케이스와 대면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도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동력을 슬라이딩 도어에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이너 케이스에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편축회전하는 절곡핀;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고, 편축회전하는 상기 절곡핀이 삽입되어 일방향으로 통행하며, 통행하는 절곡핀을 로킹하거나 언로킹하는 홈 형태의 트랙이 형성된 로킹 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되고, 절곡핀 및 로킹 블록에 의해 개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원터치로 슬라이딩 도어를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로등용 등주 { POST FOR STREETLIGHT }
본 발명은 가로등용 등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검구를 원터치식으로 개폐할 수 있고, 매립형 깃대꽂이를 가지며, 차량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가로등용 등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주는 가로등 또는 신호등과 같은 발광체가 일정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등주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기둥의 형태를 갖고 길거리, 교차로 등과 같은 사람 또는 차량이 지나는 길거리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등주의 내부에는 발광체의 점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발광체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안정기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등주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점검구가 형성되고, 점검구를 통해 내부에 안정기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점검구에 커버를 설치하여 빗물, 눈, 기타 이물질이 점검구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악의적인 목적으로 안정기를 사용할 수 없도록 차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점검구에 설치되는 커버는, 상기 등주에 형성된 점검구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고, 상기 커버가 점검구와 대면한 상태에서 체결용 볼트가 커버의 연부를 따라 점검구 또는 등주와 체결되어 상기 점검구를 차폐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점검구를 차폐하는 커버는 상기 점검구의 내부에 설치된 안정기의 점검이 필요한 경우 상기 커버로부터 체결용 볼트를 해제하여 점검구를 개방하고 안전기를 점검 또는 보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볼트 체결에 의한 커버의 고정은 안정기를 점검 또는 보수하는 작업을 불편하게 한다. 즉, 상기 점검구의 내부에 설치된 안정기를 점검하기 위해 커버를 점검구로부터 분리해야 하는데 이때, 상기 커버를 고정한 다수의 체결용 볼트를 일일이 해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 와중에 해제된 체결용 볼트가 분실될 우려가 있어 커버의 고정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 들어 상기 점검구를 볼트 체결에 의해 차폐하는 커버를 대신하여 상기 점검구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가 점검구에 마련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도어가 마련된 점검구는 도어의 양측단에 가이드 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턱에 대응하는 위치의 점검구에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가이드 턱이 상기 점검구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상기 점검구를 개폐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점검구를 차폐하는 슬라이딩 도어가 일반인에 의해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점검구에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한 후에 슬라이딩 도어를 밀어 올리거나 내려 점검구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슬라이딩 도어가 점검구에 마련된 종래의 가로등용 등주는, 안정기를 점검하는 작업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여 작업능률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도어를 상방으로 올려 개방시키는 구조를 갖는 점검구인 경우 상기 밀어 올려진 도어가 안정기의 점검 또는 보수 중에 내려와 닫히지 않도록 작업자의 한 손이 도어를 붙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만으로 안정기를 점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도어를 하방으로 내려 개방시키는 구조를 갖는 점검구인 경우 안정기의 점검이 끝나고 상기 도어를 닫을 때 작업자의 한 손이 상기 도어와 점검구에 설치된 잠금장치가 일치하게 도어를 붙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잠금장치를 조작해 닫아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두 손이 자유롭지 못해 작업능률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가로등의 등주는 파이프 형태의 깃대꽂이가 상단부 외측에 돌출설치된다. 따라서, 등주는 깃대꽂이에 깃대를 꽂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등주는 깃대꽂이가 외부로 돌출되므로 미관이 저해되고, 깃대꽂이의 하부가 지지되지 못하므로 깃대를 빈번하게 꽂을 경우 깃대꽂이가 변형되어 깃대가 잘 꽂히지 못하며, 깃대꽂이에 우수가 유입되어 등주에 녹물이 흐르는 문제도 있다.
또, 가로등의 등주는 하단부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충돌을 완화시킬 수 없으므로 인사사고를 경감시킬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점검구 내부에 설치된 안정기를 점검 또는 보수하는 작업자가 점검구를 차폐하는 도어를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로등용 등주를 제공함이 그 목적이다.
또, 상기 점검구를 차폐하는 도어의 수밀성을 향상시켜 빗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점검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로등용 등주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깃대를 꽂는 깃대꽂이가 은페된 상태로 마련되고, 이에 더하여 충돌하는 차량의 충격을 완충시켜서 완화시킬 수 있는 가로등용 등주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점검구를 갖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형성된 점검구에 고정되며 상기 점검구와 소통하는 소통공이 형성되고 양측단에 레일이 형성된 이너 케이스; 상기 이너 케이스와 대면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도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동력을 슬라이딩 도어에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이너 케이스에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편축회전하는 절곡핀;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고, 편축회전하는 상기 절곡핀이 삽입되어 일방향으로 통행하며, 통행하는 절곡핀을 정지시켜서 로킹하거나 정지를 해제하여 언로킹하는 홈 형태의 트랙이 형성된 로킹 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이너 케이스와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잠금장치는 예컨대,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고 열쇠로 회전되는 걸쇠; 및 상기 걸쇠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에 형성되는 잠금 고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포스트의 점검구와 이너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 상기 이너 케이스의 양측단에 형성된 레일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 상기 걸림 돌기와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가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의 상단이 절곡되고, 상기 절곡된 슬라이딩 도어의 상단에 형성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나선형의 클럭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킹 블록의 트랙은 예컨대, 상기 절곡핀의 편축회전을 방지하는 상태로 절곡핀을 통행시키는 일직선의 직선로; 및 상기 직선로의 단부에 하트 형태로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절곡핀을 편축회전시키면서 절곡핀을 통행시키고, 슬라이딩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절곡핀이 중앙부에 결려서 고정되거나 상기 중앙부로부터 이탈되면서 걸림이 해제되는 곡선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로킹 블록의 트랙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함께 슬라이딩하는 래크 기어; 및 상기 래크 기어와 교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피니언 기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포스트에 내장된 상태로 깃대가 꽂히는 깃대꽂이;를 더 포함할 필요가 있다.
상기 깃대꽂이는 예컨대, 상기 포스트에 형성되는 삽입구멍; 상기 삽입구멍에 부합하는 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구멍을 통해 포스트의 내부로 삽입되며, 깃대가 꽂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기울어진 꽂이구멍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에 형성된 삽입구멍의 외측면 연부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힌지 체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상기 꽂이구멍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는 상단부가 상기 힌지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여닫이 식으로 상기 삽입구멍을 개폐하며, 상기 도어와 상기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부분이 차양되도록 도어의 둘레를 따라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함몰부에 매몰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포스트로 이루어진 가로등의 식별정보가 표기된 태그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깃대꽂이는 예컨대, 상기 포스트에 형성되는 삽입구멍; 상기 삽입구멍에 부합하는 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구멍을 통해 포스트의 내부로 삽입되며, 깃대가 꽂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기울어진 꽂이구멍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에 형성된 삽입구멍의 외측면 연부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힌지 체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상기 꽂이구멍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도어는 하단부가 상기 힌지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하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여닫이 식으로 상기 꽂이구멍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깃대꽂이는,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돌출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가압력이나 도어에 다시 가해지는 재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를 로킹하거나 언로킹하는 로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로커는 예컨대,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거나 도어에 다시 가해지는 재가압력에 의해 걸림돌기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고리; 상기 걸고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 상기 토션스프링 및 걸고리가 일측에 힌지고정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가해지는 가압력이나 재가압력에 의해 수평상태로 슬라이딩하면서 토션스프링을 압축시키거나 압축을 해제하며, 일측에 진입구가 마련된 폐루프형태의 가이드홈이 타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캠; 상기 슬라이딩캠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 및 슬라이딩캠이 내장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일단부가 힌지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캠의 가이드홈에 타단부가 삽입되며, 슬라이딩캠의 슬라이딩에 의해 일단부를 중심으로 가이드홈을 따라 타단부가 삽입되어 가이드홈의 일부분에 걸리거나 가이드홈에서 이탈되면서 슬라이딩캠을 슬라이딩상태로 로킹하거나 로킹을 해제하는 랫치핀;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포스트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포스트에 충돌되는 차량의 충격을 완충하는 충격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필요도 있다.
상기 충격완충부재는 예컨대, 상기 포스트의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이격설치되는 한쌍의 이격링; 상기 이격링들 사이에 개재되고, 차량의 충돌에 의해 회전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원통형의 회전바렐; 및 상기 회전바렐 및 한쌍의 상기 이격링들을 관통하여 회전바렐을 이격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축;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용 등주는, 슬라이딩 도어의 배면에 형성된 로킹 블록의 트랙과 이너 케이스에 설치된 절곡핀 및 상기 이너 케이스와 슬라이딩 도어를 연계하여 설치된 탄성부재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가 이너 케이스의 상단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그 반작용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가 자연스럽게 이너 케이스의 상단을 향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작업자가 원터치로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포스트의 점검구 내부에 설치된 안정기를 점검 또는 보수하는 작업자가 점검구를 차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개방된 슬라이딩 도어는 탄성부재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자는 슬라이딩 도어가 작업중에 닫히는 것을 염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로부터 작업자는 안정기의 점검 또는 보수에 더욱 열중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이너 케이스의 접촉면과 상기 이너 케이스와 포스트 사이를 통해 빗물이 유입될 수 없게 실링부재, 가스켓이 설치됨으로써 안정기가 설치된 점검구로 빗물과 이물질 등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소통공을 개방하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상방을 향해 슬라이딩될 때 래크 기어와 피니언 기어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속도를 제어하므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급격한 속도로 슬라이딩하여 작업자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깃대를 꽂는 깃대꽂이가 포스트에 매립된 상태로 마련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깃대꽂이의 본체가 포스트에 내장되어 포스트의 삽입구멍에 일단부가 지지되므로 깃대를 보다 안정적으로 계양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에 형성된 꽂이구멍의 입구가 힌지 체결된 도어에 의해 개폐되기 때문에 꽂이구멍에서 깃대가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꽂이구멍을 도어가 능동적으로 폐쇄하여 우천시 빗물이 꽂이구멍 내지 포스트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우수한 수밀성을 갖는다.
게다가, 플레이트의 고정시 태그가 함께 설치되므로 태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편축회전하는 도어를 로킹하거나 언로킹하는 로커를 마련할 경우 도어를 원터치식으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도어를 매우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더욱이, 스프링에 탄력지지되는 슬라이딩캠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걸고리가 도어의 걸림돌기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할 경우 로커가 기계식 구조에 의해 로킹이나 언로킹을 실시하므로 로커의 안정적인 작동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커의 반영구적인 내구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의 점검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의 점검구 중 절곡핀과 탄성부재가 이너 케이스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의 점검구 중 도어의 슬라이딩에 따른 로킹 블록의 트랙에서의 절곡핀 통행을 나타낸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의 점검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의 점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에 깃대꽂이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깃대꽂이가 등주에서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등주의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깃대꽂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깃대꽂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로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로커의 슬라이딩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슬라이딩캠의 슬라이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슬라이딩캠의 복귀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에 충격완충부재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의 점검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의 점검구 중 절곡핀과 탄성부재가 이너 케이스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는, 포스트(10), 이너 케이스(110), 슬라이딩 도어(120), 탄성부재(130), 절곡핀(140) 및 로킹블록(150)을 포함한다.
포스트(10)는 도로나 지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방에 내장된 안정기(미도시)를 점검하는 점검구(IH)가 형성된다. 이너 케이스(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0)의 점검구(20)에 고정된다. 슬라이딩 도어(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 케이스(110)와 대면하여 상하로 슬라이딩한다. 탄성부재(130)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와 이너 케이스(110)에 설치된다. 절곡핀(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 케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슬라이딩할 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슬라이딩 방향을 안내한다. 로킹 블록(150)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절곡핀(140)이 삽입되며, 슬라이딩 도어(120)가 슬라이딩할 때 상기 절곡핀(140)을 정지시키거나 절곡핀(140)의 통행을 안내하는 트랙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110)는, 포스트(10)에 형성된 점검구(20)와 부합하는 외형을 가지며 상기 점검구(20)와 소통하는 소통공(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너 케이스(110)는 소통공(112)이 형성된 박스의 형상을 갖으며 양측단을 따라 레일(114)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이너 케이스(110)는 배면 연부를 따라 단차지는 플랜지(116)가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10)에 형성된 점검구(20)에 고정될 때 플랜지(116)가 점검구(20)의 외측면 연부에 걸리므로 점검구(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116)는 포스트(10)에 체결용 볼트(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고, 또는 포스트(10)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너 케이스(110)가 포스트(10)에 형성된 점검구(20)에 고정될 때 이너 케이스(110)와 점검구(20)의 접촉면을 통해 빗물 내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점검구(20)와 이너 케이스(110)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가스켓이 개재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114)은 이너 케이스(110)의 내측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갖으며, 상기 절곡된 레일(114)의 상부 내측에 후술되는 슬라이딩 도어(120)에 형성된 스토퍼(122)와 걸림되는 걸림 돌기(11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110)와 대면하여 슬라이딩 도어(120)가 설치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110)와 대면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120)는 이너 케이스(110)에 형성된 소통공(112)을 슬라이딩하며 개폐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다. 즉,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는 상기 이너 케이스(110)에 형성된 소통공(112)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으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상단이 포스트(10)를 향해 절곡되어 이너 케이스(110)와 슬라이딩 도어(120)의 접촉면을 통해 빗물 내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양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포스트(10)를 향해 절곡된 슬라이딩 도어(120)의 상단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이너 케이스(110)의 소통공(112)을 차폐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120)가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될 때 절곡된 슬라이딩 도어(120)의 상단이 이너 케이스(110)에 간섭되어 슬라이딩 도어(120)의 슬라이딩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상단은 상기 이너 케이스(110)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이너 케이스(110)의 소통공(112)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110)의 상면과 대면하는 상기 절곡된 슬라이딩 도어(120)의 상단에 고무 블록과 같은 완충부재(124)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상단과 이너 케이스(110)의 상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하부를 향해 과도하게 슬라이딩될 때 상기 완충부재(124)가 완충하며 충격력을 흡수하여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 및 이너 케이스(11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완충부재(124)와 대면하는 이너 케이스(110)의 상면에 실링부재(126)가 형성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110)의 상면과 상기 절곡된 슬라이딩 도어(120)의 상단 사이로 빗물 및 이물질이 스며들지 않도록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양측면은 상기 이너 케이스(110)의 양측단에 형성된 레일(114)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하부 양측면에 앞서 설명한 상기 레일(114)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걸림 돌기(113)에 걸림되는 스토퍼(122)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상기 이너 케이스(110)의 레일을 따라 상방으로 슬라이딩될 때 레일(114)로부터 슬라이딩 도어(120)가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110)에 형성된 레일(114)은 경우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레일(114)이 이너 케이스(1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레일과 형합하는 홈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이너 케이스(1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된 레일의 끝단은 그 단면형상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에 형성된 홈은 앞서 설명한 상기 레일의 끝단에 형성된 단면형상에 맞추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와 이너 케이스(110)에 탄성부재(130)가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110)의 레일(114)을 따라 슬라이딩 도어(120)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부연하자면, 상기 탄성부재(130)의 선단은 슬라이딩 도어(120)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걸림편(128)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130)의 기단은 상기 이너 케이스(110)의 기단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너 케이스(110)의 상부 배면에 탄성부재(130)가 매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130)의 선단은 이너 케이스(110)의 상부에 형성된 인출공(115)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걸림편(128)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30)는 바람직하게 태엽과 같은 나선형의 클럭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나선형의 클럭 스프링 기단을 포함한 일부가 상기 이너 케이스(110)의 상부 배면에 매몰되고 선단이 앞서 설명한 인출공(115)을 통해 슬라이딩 도어(120)의 걸림편(128)에 고정된다.
이와 함께, 상기 이너 케이스(110)의 상부에 절곡핀(140)이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130)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에 의해 편축회전하게 된다. 상기 절곡핀(140)은 일단(142)과 타단(144)이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곡핀(140)의 일단(142)과 타단(144) 사이에 수직부(146)를 형성하여 상기 일단(142)과 타단(144)이 연결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렇게, 상기 절곡핀(140)이 절곡된 형상을 갖게 됨으로써, 상기 절곡핀(140)의 일단(142)은 상기 이너 케이스(110)의 상부에 형성된 회동공(117)에 힌지 결합되어 편축회전하게 되면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은 상기 절곡핀의 일단(142) 보다 큰 회전반경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배면에 형성된 로킹 블록(150)의 트랙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슬라이딩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배면에 형성된 로킹 블록(150)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내측을 향해 함몰된 홈이 형성된 트랙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상기 트랙에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이 삽입되어 일방향으로 통행하며 통행 중에 정지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110)와 대면하여 슬라이딩 하는 슬라이딩 도어(120)를 로킹하거나 정지가 해제되어 슬라이딩 도어(120)를 언로킹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로킹 블록(150)의 트랙은 크게 직선로(152)와 곡선로(1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선로(152)는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이 트랙에 삽입되어 안내될 때 상기 절곡핀(140)의 편축회전을 방지하는 상태로 통행시키는 일직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곡선로(154)는 상기 직선로(152)의 단부에 하트 형태로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절곡핀(140)을 편축회전시키면서 절곡핀(140)을 통행시키고, 슬라이딩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에 의해 절곡핀(140)이 고정되거나 이탈되면서 걸림이 해제되게 올림한계점(154a), 닫힘점(154b), 내림한계점(154c)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올림한계점(154a)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상방을 향해 슬라이딩될 때 더 이상 상방으로 슬라이딩하지 못하게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을 정지시키는 곡선로(154)의 지점을 일컫는다.
또한, 상기 닫힘점(154b)은 슬라이딩 도어(120)가 상기 소통공(112)을 차폐시킨 상태를 유지토록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이 로킹되는 곡선로(154)의 지점을 일컫는다.
또한, 상기 내림한계점(154c)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에 의해 차폐된 소통공(112)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를 하방을 향해 슬라이딩시킬 때 더 이상 하방으로 슬라이딩하지 못하게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을 정지시키는 곡선로(154)의 지점을 일컫는다.
이러한, 상기 절곡핀(140)과 로킹 블록(150)의 트랙 및 탄성부재(130)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이너 케이스(110)의 상단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그 반작용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120)를 이너 케이스(110)의 상단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배면에 형성된 트랙은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이 삽입되어 상기 트랙에 안내될 때 절곡핀의 타단(144)이 상기 곡선로(154)의 닫힘점(154b)에 로킹된 상태에 있다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하면 상기 닫힘점(154b)에 있던 절곡핀의 타단(144)이 트랙에 안내되어 내림한계점(154c)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후부터는 상기 탄성부재(130)에서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이 상기 곡선로(154)를 빠져나와 직선로(152)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는 상기 이너 케이스(110)의 상부를 향해 슬라이딩하여 상기 소통공(112)을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통공(112)이 차폐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를 닫을 때에는 슬라이딩 도어(120)를 하부를 향해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절곡핀(140)의 타단은 직선로(152)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120)의 하부 슬라이딩에 따라 직선로(152)를 거슬러 이동하여 곡선로(154)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은 곡선로(154)의 올림한계점(154a)을 거쳐 닫힘점(154b)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슬라이딩하여 소통공(112)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해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을 안내하는 트랙의 바닥면은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을 일방향으로만 안내할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트랙에 형성되는 단차는 바람직하게 직선로(152)가 가장 깊게 형성되고 곡선로(154) 중에는 올림한계점(154a), 닫힘점(154b), 내림한계점(154c)의 순으로 바닥면이 깊어진다.
한편, 상기 포스트(10)의 점검구(20)에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120)를 악의적인 목적으로 개방할 수 없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와 이너 케이스(110)에는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잠금장치(160)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에 설치되고 열쇠로 회전되는 걸쇠(162)와, 상기 걸쇠(162)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110)에 형성되는 잠금 고리(164)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갖는 등주의 점검구의 작동을 도 3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의 점검구 중 도어의 슬라이딩에 따른 로킹 블록의 트랙에서의 절곡핀 통행을 나타낸 도어의 배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의 점검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점검구(20)의 내부에 설치된 안정기 등을 점검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와 이너 케이스(110)에 설치된 잠금장치(160)를 해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휴대한 열쇠(미도시)로 슬라이딩 도어(120)에 형성된 걸쇠(162)를 회전시켜 상기 걸쇠(162)를 이너 케이스(110)의 잠금 고리(164)에서 이탈시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와 이너 케이스(110)의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잠금장치(160)가 해제된 상태의 슬라이딩 도어(120)는 상기 이너 케이스(110)에 형성된 소통공(112)을 차폐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배면에 형성된 로킹 블록(150)의 트랙에 위치하는 절곡핀의 타단(14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로(154)의 닫힘점(154b)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소통공(112)을 차폐한 슬라이딩 도어(120)를 개방하기 위해 작업자는 도 7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딩 도어(120)를 눌러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를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선로(154)의 닫힘점(154b)에서 내림한계점(154c)으로 이동하는데, 상기 닫힘점(154b)의 바닥면은 내림한계점(154c)의 바닥면보다 높기 때문에 닫힘점(154b)에서 내림한계점(154c)으로 이동한 절곡핀의 타단(144)은 역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이 닫힘점(154b)에서 내림한계점(154c)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와 상기 이너 케이스(110)에 고정된 탄성부재(130)로부터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상부를 향해 슬라이딩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이 내림한계점(154c)에 위치되면 상기 탄성부재(130)에서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부를 향해 슬라이딩된다.
이렇게,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상부를 향해 슬라이딩되면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림한계점(154c)이 형성된 곡선로(154)를 벗어나 직선로(152)로 진입한 상태를 갖게 되고,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는 소통공(112)을 완전히 개방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120)가 상부를 향해 슬라이딩되어 소통공(112)이 개방되면 작업자는 상기 소통공(112)을 통해 점검구(20)의 내부에 설치된 안정기 등을 점검 또는 보수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안정기의 점검 또는 보수를 완료하게 되면, 작업자는 슬라이딩 도어(120)를 닫아 소통공(112)을 차폐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개방된 슬라이딩 도어(120)를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로(152)에서 곡선로(154)로 진입하여 올림한계점(154a)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올림한계점(154a)에 위치한 절곡핀의 타단(144)은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 올림한계점(154a)에서 닫힘점(154b)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슬라이딩 도어(120)가 소통공(112)에 대해 완전히 차폐한 닫혀진 상태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120)가 소통공(112)을 차폐하게 되면 작업자는 슬라이딩 도어(120)에 설치된 걸쇠(162)를 열쇠로 회전시켜 상기 걸쇠(162)가 이너 케이스(110)에 형성된 잠금 고리(164)에 걸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불순한 목적을 갖는 사람에 의해 개방될 수 없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는, 슬라이딩 도어(120)의 배면에 형성된 로킹 블록(150)의 트랙과 이너 케이스(110)에 설치된 절곡핀(140) 및 상기 이너 케이스(110)와 슬라이딩 도어(120)를 연계하여 설치된 탄성부재(130)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120)가 이너 케이스(110)의 상단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그 반작용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120)가 자연스럽게 이너 케이스(110)의 상단을 향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작업자가 원터치로 슬라이딩 도어(120)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포스트(10)의 점검구(20) 내부에 설치된 안정기를 점검 또는 보수하는 작업자가 점검구(20)를 차폐하는 슬라이딩 도어(120)를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개방된 슬라이딩 도어(120)는 탄성부재(130)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자는 슬라이딩 도어(120)가 작업중에 닫히는 것을 염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로부터 작업자는 안정기의 점검 또는 보수에 더욱 열중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와 이너 케이스(110)의 접촉면과 상기 이너 케이스(110)와 포스트(10) 사이를 통해 빗물이 유입될 수 없게 실링부재, 가스켓이 설치됨으로써 안정기가 설치된 점검구로 빗물과 이물질 등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로킹 블록(150)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배면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로킹 블록(150)의 트랙에 안내되는 절곡핀(140)이 상기 이너 케이스(1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로킹 블록과 절곡핀이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선 상세한 설명에서는 슬라이딩 도어(120)를 개방하기 위해 먼저 슬라이딩 도어(120)를 하향되게 슬라이딩시켜 그 반작용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120)가 상향되게 슬라이딩되어 이너 케이스(110)의 소통공(112)을 개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상기 도어를 상향되게 슬라이딩시켜 그 반작용에 의해 도어가 하향되며 슬라이딩되어 상기 소통공이 개방될 수도 있을 것이며, 또는 측방을 향해 도어가 슬라이딩하여 소통공을 개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탄성부재(130)에 의해 상방을 향해 슬라이딩될 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개방 속도를 제어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도 9 및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의 점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배면에 형성된 로킹 블록(150)에 래크 기어(156)를 형성하고, 상기 래크 기어(156)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48)를 상기 이너 케이스(110)측에 회전자치토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소통공(112)을 개방하도록 탄성부재(130)에 의해 상방을 향해 슬라이딩될 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개방 속도를 제어하여 급격히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도어(120)에 작업자가 부딪혀 부상을 입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배면에 형성된 로킹 블록(150)의 트랙 내측벽면을 따라 래크 기어(15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래크 기어(156)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48)가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에 회전 자치토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피니언 기어(148)가 설치된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이 트랙을 통행할 때 상기 래크 기어(156)와 맞물린 피니언 기어(148)가 회전하며 트랙을 따라 통행하기 때문에 상기 래크 기어(156)와 피니언 기어(148)의 마찰력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120)의 개방 속도를 감소시켜 슬라이딩 도어(120)의 슬라이딩을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배면에 형성된 로킹 블록(150)의 트랙 외측벽면을 따라 래크 기어(15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래크 기어(156)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48)를 설치한 돌출부재(118)가 상기 절곡핀(140)을 편축회전하게 지지한 이너 케이스(110)의 상단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소통공(112)을 개방토록 상방을 향해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이너 케이스(110)의 상단에 마련된 돌출부재(118)의 피니언 기어(148)가 상기 로킹 블록(150)의 트랙 외측벽면에 형성된 래크 기어(156)와 맞물려 이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120)의 개방 속도를 감소시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슬라이딩을 감속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가 소통공을 개방하도록 탄성부재(130)에 의해 상방을 향해 슬라이딩될 때 상기 로킹 블록(150)에 형성된 래크 기어(156)와 상기 절곡핀의 타단(144) 또는 이너 케이스(110)의 상단에 형성된 돌출부재(118)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148)의 마찰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0)의 개방 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급격한 속도로 슬라이딩 도어(120)가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슬라이딩 도어(120)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에 깃대꽂이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깃대꽂이가 등주에서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등주의 종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깃대꽂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는 도시된 바와 같이 깃대꽂이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깃대꽂이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멍(212), 본체(220), 플레이트(230) 및 도어(240)를 포함한다.
삽입구멍(2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0)에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구멍(212)은 지상으로부터 약 2.5~3m의 높이에 형성된다.
본체(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구멍(212)에 부합하는 외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삽입구멍(212)을 통해 포스트(10)의 내부로 삽입되며, 깃대가 꽂히는 꽂이구멍(222)이 형성된다. 플레이트(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2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10)에 형성된 삽입구멍(212)의 외측면 연부에 걸림되어 고정된다. 도어(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20)의 일측면에 힌지로 고정되어 상기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개폐한다.
상기 본체(220)는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의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 깃발을 매단 깃대가 꽂히는 꽂이구멍(222)이 형성되는데, 상기 꽂이구멍(222)은 깃대의 끝단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갖으며, 상기 본체(22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향해 하향되게 기울어져 형성된다.
또한, 상기 꽂이구멍(222)은 본체(220)를 중심으로 평면상으로 대칭되게 양 갈래로 나뉘어 형성되는데, 상기 꽂이구멍(222) 간의 입구가 소정의 각도로 벌어져 상기 꽂이구멍(222)에 깃발을 매단 깃대가 꽂혔을 때 상기 깃발들이 중첩되거나 간섭받지 않아 깃발의 시인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0)에 형성된 삽입구멍(212)의 외측면 연부에 걸림되도록 플랜지(23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플랜지(232)는 이면이 상기 포스트(10)의 외측면과 대면하게 되고, 체결용 볼트(234)에 의해 포스트(10)의 외측면과 체결되면서 상기 플레이트(230) 및 본체(220)를 포스트(10)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플랜지(232)의 이면과 상기 포스트(10)의 외측면 사이에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가스켓(250)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230)가 포스트(1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230)의 이면과 포스트(10)의 외측면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실링하여 상기 틈새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30)는 상기 본체(220)의 꽂이구멍(222)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240)가 설치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은 힌지 블록(23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어(240)는 이러한 힌지 블록(236)에 힌지 체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플레이트(230)의 전방을 향해 편축회전하면서 여닫이 식으로 꽂이구멍(222)을 개방한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 블록(236)과 힌지 핀(242)이 제각기 꽂이구멍(222)의 입구 상부와 도어(240)의 상부에 마련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230)의 전방을 향해 상향 회동하여 상기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개방한 도어(240)는 상기 꽂이구멍(222)에 깃대가 꼽히지 않았을 때 도어(240)의 자중에 의해 하향 회동하여 상기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능동적으로 폐쇄하게 됨으로써, 우천시 빗물이 꽂이구멍(222)의 입구로 스며들지 않도록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함께, 상기 꽂이구멍(222)의 입구와 대면하는 도어(240)의 이면에 계단지는 돌출턱(244)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240)가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돌출턱(244)이 꽂이구멍(222)의 내부로 인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더욱 수밀하게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턱(244)에 오일링(미도시)과 같은 실링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꽂이구멍(222)의 입구와 도어(240)의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어(240)의 정면에는 사용자가 도어(240)를 용이하게 파지하는 손잡이(246)가 마련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플레이트(230)의 힌지 블록(236)과 도어(240)의 힌지 핀(242)이 힌지 체결될 때 탄성력을 발휘하는 토션 스프링(미도시)이 개재되어 상기 도어(240)가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향해 하향 회동될 때 탄성력을 발휘하여 더욱 신속하고 긴밀하게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폐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어(240)와 상기 플레이트(230)의 꽂이구멍(222) 입구가 접촉하는 부분이 차양되어 빗물이 상기 접촉하는 틈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상기 도어(240)와 접촉하는 플레이트(230)의 일부분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240)가 플레이트(230)에 매몰되는 구조를 갖는다.
부연하자면, 상기 도어(240)가 위치하는 플레이트(230) 상에 본체(220)의 내측을 향해 단차지는 함몰부(238)를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238)에 도어(240)를 앞서 설명한 힌지 체결에 의해 매몰되게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230)에 함몰부(238)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238)에 도어(240)가 매몰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도어(240)와 꽂이구멍(222)의 입구가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플레이트(230)의 표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차양되고 이에 따라서, 우천시 빗물이 상기 도어(240)와 꽂이구멍(222)의 입구가 접촉하는 부분으로 스며들지 않게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30)에는 상기 포스트(10)로 이루어지는 가로등의 식별정보가 표기된 태그(260)가 마련된다. 상기 태그(2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의 형상을 갖고 그 일면과 타면에 해당 포스트(10)의 시공위치, 일련번호와 같은 식별정보가 표기되어 상기 포스트(10)의 보수시 작업자에게 정확한 위치를 확인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의 사용을 도 1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에 설치된 깃대꽂이의 사용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국기나 행사를 알리는 깃발(14)을 포스트(10)에 게양하기 위해 작업자는 깃발(14)을 매단 깃대(12)를 포스트(10)에 매립된 본체(220)의 꽂이구멍(222)에 꽂아 넣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작업자는 상기 플레이트(230)에 설치되어 꽂이구멍(222)을 폐쇄하고 있는 도어(240)를 전방으로 상향되게 회동시켜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개방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꽂이구멍(222)이 개방되면 작업자는 깃대(12)의 끝단을 꽂이구멍(222)에 밀어 넣어 깃발(14)을 포스트(10)에 게양하게 된다.
이때, 전방으로 상향되게 회동하여 꽂이구멍(222)을 개방한 도어(240)는 꽂이구멍(222)에 꽂힌 깃대(12)에 걸림된 상태를 갖게 되기 때문에 도어(240)가 스스로 꽂이구멍(222)에 닫혀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포스트(10)에 게양된 깃발(14)을 내릴 때에는 깃대(12)를 상기 꽂이구멍(222)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는데, 상기 깃대(12)가 꽂이구멍(222)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깃대(12)에 걸쳐진 상태에 있던 도어(240)가 자중에 의해 하향되게 회동하여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용 등주에 의하면, 깃대를 꽂는 깃대꽂이가 포스트(10)에 매립됨으로써 일직선으로 형성된 포스트(1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우수로부터 보호되어 녹물이 포스트(10)에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20)의 단부 하단이 삽입구멍(212)에 지지되어 깃대(12)의 하중을 포스트(10)에 전이할 수 있으므로 깃대(12)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구멍(212)이 꽂이구멍(222)을 형성하는 본체(220)의 외형에 부합하기 때문에 삽입구멍(212)에 따른 포스트(10)의 외형적인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 상기 포스트(10)의 내구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형의 최소화로 인해 장기간의 사용에도 깃대(12)를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20)에 형성된 꽂이구멍(222)의 입구가 힌지 체결된 도어(240)에 의해 개폐되기 때문에 꽂이구멍(222)에서 깃대가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꽂이구멍(222)을 도어(240)가 능동적으로 폐쇄하여 우천시 빗물이 꽂이구멍(222) 내지 포스트(10)의 내부로 스며들지 않아 우수한 수밀성을 갖는다.
한편, 첨부된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깃대꽂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로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로커의 슬라이딩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슬라이딩캠의 슬라이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슬라이딩캠의 복귀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깃대꽂이는 도어(240)가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249)에 의해 플레이트(230)에 고정되어 하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여닫이 식으로 꽂이구멍(222)을 개폐한다. 이때, 꽂이구멍(2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20)에 파이프(222a)를 내장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도어(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걸림돌기(241)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돌기(2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공(241a)이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0)에 내장되는 로커(270)에 걸려서 로킹되거나 걸림이 해제되면서 언로킹된다. 이때, 로커(270)는 도어(24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나 도어(240)에 다시 가해지는 재가압력에 의해 걸림돌기(241)를 로킹하거나 언로킹한다. 이와 같은 로커(27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271), 토션스프링(273), 슬라이딩캠(275), 스프링(277), 하우징(278) 및 랫치핀(279)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걸고리(271)는 도어(240)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걸림돌기(241)에 걸리거나 도어(240)에 다시 가해지는 재가압력에 의해 걸림돌기(241)의 걸림을 해제한다. 걸고리(27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273a)에 의해 슬라이딩캠(275)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토션스프링(27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힌지(273a)에 와인딩된 상태로 걸고리(271) 및 슬라이딩캠(275)에 양단부가 제각기 지지된다. 따라서, 토션스프링(273)은 걸고리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슬라이딩캠(275)은 걸림돌기에 가해지는 가압력이나 재가압력에 의해 수평상태로 슬라이딩하면서 토션스프링을 압축시키거나 압축을 해제하는 부재이다. 슬라이딩캠(27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하부)에 걸고리(271)가 힌지(273a)로 고정되고, 타측면(상부면)에 후술되는 가이드홈(275a)이 형성된다.
스프링(277)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78)에 내장되어 슬라이딩캠(275)의 후방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하우징(27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캠(275) 및 스프링(277)이 내장가능하게 형성된다. 하우징(278)은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BK)을 통해 파이프(222a)에 고정되거나 본체(220)에 고정될 수 있다.
랫치핀(27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핀이다. 랫치핀(279)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78)에 일단부가 힌지고정되고, 전술한 슬라이딩캠(275)의 가이드홈(275a)에 타단부가 삽입된다. 이러한 랫치핀(27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판스프링(279')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랫치핀(279)은 판스프링(279')의 탄성력에 의해 타단부가 가이드홈(275a)에 안정적으로 삽입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걸림돌기(2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는 도어(240)에 의해 슬라이딩캠(275)을 가압한다. 이때, 걸림돌기(241)는 도어(240)의 상단부가 가압됨에 따라 슬라이딩캠(275)을 가압한다. 따라서, 슬라이딩캠(275)은 스프링(277)을 압축하면서 수평상태로 슬라이딩한다.
걸고리(271)는 슬라이딩캠(275)과 함께 슬라이딩한다. 이때, 걸고리(27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하우징(278)의 단부에 지지되면서 힌지(273a)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걸고리(27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273)은 압축하면서 걸림돌기(241)의 걸림공(241a)에 걸려서 고정된다. 따라서, 도어(240)는 걸림돌기(241) 및 걸고리(271)의 걸림에 의해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차폐한다.
한편, 랫치핀(279)은 슬라이딩캠(275)의 슬라이딩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캠(275)의 선단측에 위치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슬라이딩캠(275)의 가이드홈(275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진입구(275a')가 마련된 폐루프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홈(275a)은 대략 하트형태의 폐루프를 형성한다. 이러한 가이드홈(275a)은 폐루프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중앙에 하트형 돌기(275h)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트형 돌기(275h)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측 모서리(뾰족한 부분)가 랫치핀(279)의 센터선(CL)과 약간 어긋나는 상태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240)의 작동을 첨부된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을 참조하면, 걸림돌기(2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240)에 의해 슬라이딩캠(275)를 가압하여 회전되는 걸고리(271)에 걸린다. 이러한 걸림돌기(241)는 도어(240)의 상부가 다시 재가압될 경우 재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딩캠(275)을 다시 가압한다. 따라서, 슬라이딩캠(275)은 스프링(277)을 가압하면서 후퇴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랫치핀(279)은 슬라이딩캠(275)의 후퇴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275a)의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랫치핀(279)은 후술되는 바와 같은 가이드홈(275a)의 구조로 인하여 가이드홈(275a)의 후단측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딩캠(275)은 랫치핀(279)의 후단측 이동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물론, 슬라이딩캠(275)은 스프링(277)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때, 걸고리(271)는 토션스프링(273)의 탄성력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걸림돌기(241)의 걸림을 해제한다. 따라서, 도어(240)는 꽂이구멍(222)을 다시 개방한다.
도 17를 참조하면, 랫치핀(279)은 슬라이딩캠(275)의 미작동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279a)가 하우징(278)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고정된 상태로 타단부(279b)가 가이드홈(275a)의 진입구(275a')에 위치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랫치핀(279)은 화살표방향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딩캠(275)이 이동할 경우 타단부(279b)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모양의 가이드홈(275a)을 따라 가이드홈(275a)의 선단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랫치핀(279)은 일단부(276a)가 힌지고정됨에 따라 타단부(279b)가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된다.
랫치핀(279)은 가압력이 해제될 경우 슬라이딩캠(275)이 스프링(277)에 의해 전방으로 다시 이동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279b)가 하트형 돌기(275h)의 오목한 중앙에 걸린다. 물론, 슬라이딩캠(275)은 랫치핀(279)의 타단부(279b)에 의해 전방으로 더 이상 슬라이딩할 수 없다. 이때, 슬라이딩캠(275)은 전술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78)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걸고리(27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41)에 걸려서 고정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랫치핀(279)은 슬라이딩캠(275)이 재가압될 경우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형 돌기(275h)의 오목한 중앙에서 이탈된다. 이때, 랫치핀(279)은 하트형 돌기(275h)의 구조로 인하여 화살표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75a)에 삽입된다. 즉, 랫치핀(279)은 타단부(279b)의 걸림이 해제된다. 물론, 슬라이딩캠(275)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279b)의 해제로 인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슬라이딩캠(275)은 전술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걸고리(271)를 원위치로 복귀시켜서 걸고리(271) 및 걸림돌기(241)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상과 같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깃대꽂이는 도어(240)가 매우 편리하게 원터치식으로 작동하므로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등주에 충격완충부재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0)는 하단부에 충격완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완충부재는 포스트(10)에 충돌되는 차량의 충격을 완충하여 경감시키는 요소이다. 이러한 충격완충부재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이격링(312, 314), 회전바렐(315) 및 고정축(317)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격링(312, 3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구멍을 갖는 원판으로 형성되어 포스트(10)에 끼워진다. 이러한 이격링(312, 314)은 수직으로 이격된 상태로 포스트(10)에 끼워진다.
회전바렐(3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막대로 구성되어 이격된 한쌍의 이격링(312, 314)들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회전바렐(315)은 금속막대로 구성될 수 있으나, 충격흡수를 위해 이보다는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축(317)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링(312, 314) 및 회전바렐(315)을 관통하고, 양단부가 한쌍의 이격링(312, 314)에 제각기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축(317)은 이격링(312, 314)들 사이에 회전바렐(315)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축(317)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보호캡(319)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포스트(1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벨로우즈관(31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벨로우즈관(31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0)에 밀착고정된 상태로 회전바렐(315)의 외주면을 지지한다.
이상과 같은 충격완충부재는 차량의 충돌시 회전바렐(315)이 차량의 타이어나 범퍼 또는 본닛에 접촉된다. 이때, 회전바렐(315)은 차량의 충격에 의해 고정축(317)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킨다. 따라서, 차량은 포스트(10)와의 충돌시 충격이 경감된다.
벨로우즈관(310)은 차량의 충격시 펴지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따라서, 차량은 충격이 더욱 경감된다.
한편,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포스트 20 : 점검구
110 : 이너 케이스 112 : 소통공
113 : 걸림 돌기 114 : 레일
115 : 인출공 116 : 플랜지
117 : 회동공 120 : 슬라이딩 도어
122 : 스토퍼 124 : 완충부재
126 : 실링부재 128 : 걸림편
130 : 탄성부재 140 : 절곡핀
142 : 일단 144 : 타단
146 : 수직부 148 : 래크 기어
150 : 로킹 블록 152 : 직선로
154 : 곡선로 156 : 피니언 기어
154a : 올림한계점 154b : 닫힘점
154c : 내림한계점 160 : 잠금장치
162 : 걸쇠 164 : 잠금 고리
212 : 삽입구멍 220 : 본체
222 : 꽂이구멍 230 : 플레이트
232 : 플랜지 234 : 체결용 볼트
236 : 힌지 블록 238 : 함몰부
240 : 도어 242 : 힌지 핀
244 : 돌출턱 246 : 손잡이
250 : 가스켓 260 : 태그
270 : 로커 271 : 걸고리
273 : 토션스프링 275 : 슬라이딩캠
277 : 스프링 278 : 하우징
279 : 랫치핀 310 : 벨로우즈관
312, 314 : 이격링 315 : 회전바렐
317 : 고정축

Claims (10)

  1. 수직으로 설치되고, 점검구를 갖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형성된 점검구에 고정되며 상기 점검구와 소통하는 소통공이 형성되고 양측단에 레일이 형성된 이너 케이스;
    상기 이너 케이스와 대면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도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동력을 슬라이딩 도어에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이너 케이스에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편축회전하는 절곡핀;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고, 편축회전하는 상기 절곡핀이 삽입되어 일방향으로 통행하며, 통행하는 절곡핀을 정지시켜서 로킹하거나 정지를 해제하여 언로킹하는 홈 형태의 트랙이 형성된 로킹 블록;을 포함하는 가로등용 등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와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고 열쇠로 회전되는 걸쇠; 및
    상기 걸쇠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에 형성되는 잠금 고리;를 포함하는 가로등용 등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점검구와 이너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
    상기 이너 케이스의 양측단에 형성된 레일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
    상기 걸림 돌기와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가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의 상단이 절곡되고, 상기 절곡된 슬라이딩 도어의 상단에 형성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로등용 등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나선형의 클럭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등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킹 블록의 트랙은,
    상기 절곡핀의 편축회전을 방지하는 상태로 절곡핀을 통행시키는 일직선의 직선로; 및
    상기 직선로의 단부에 하트 형태로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절곡핀을 편축회전시키면서 절곡핀을 통행시키고, 슬라이딩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절곡핀이 중앙부에 결려서 고정되거나 상기 중앙부로부터 이탈되면서 걸림이 해제되는 곡선로;를 포함하는 가로등용 등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킹 블록의 트랙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함께 슬라이딩하는 래크 기어; 및
    상기 래크 기어와 교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피니언 기어;를 더 포함하는 가로등용 등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에 내장된 상태로 깃대가 꽂히는 깃대꽂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깃대꽂이는,
    상기 포스트에 형성되는 삽입구멍;
    상기 삽입구멍에 부합하는 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구멍을 통해 포스트의 내부로 삽입되며, 깃대가 꽂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기울어진 꽂이구멍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에 형성된 삽입구멍의 외측면 연부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힌지 체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상기 꽂이구멍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단부가 상기 힌지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여닫이 식으로 상기 삽입구멍을 개폐하며,
    상기 도어와 상기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부분이 차양되도록 도어의 둘레를 따라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함몰부에 매몰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포스트로 이루어진 가로등의 식별정보가 표기된 태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등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에 내장된 상태로 깃대가 꽂히는 깃대꽂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깃대꽂이는,
    상기 포스트에 형성되는 삽입구멍;
    상기 삽입구멍에 부합하는 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구멍을 통해 포스트의 내부로 삽입되며, 깃대가 꽂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기울어진 꽂이구멍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에 형성된 삽입구멍의 외측면 연부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힌지 체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상기 꽂이구멍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하단부가 상기 힌지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하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여닫이 식으로 상기 꽂이구멍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돌출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가압력이나 도어에 다시 가해지는 재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를 로킹하거나 언로킹하는 로커;를 더 포함하는 가로등용 등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거나 도어에 다시 가해지는 재가압력에 의해 걸림돌기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고리;
    상기 걸고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
    상기 토션스프링 및 걸고리가 일측에 힌지고정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가해지는 가압력이나 재가압력에 의해 수평상태로 슬라이딩하면서 토션스프링을 압축시키거나 압축을 해제하며, 일측에 진입구가 마련된 폐루프형태의 가이드홈이 타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캠;
    상기 슬라이딩캠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 및 슬라이딩캠이 내장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일단부가 힌지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캠의 가이드홈에 타단부가 삽입되며, 슬라이딩캠의 슬라이딩에 의해 일단부를 중심으로 가이드홈을 따라 타단부가 삽입되어 가이드홈의 일부분에 걸리거나 가이드홈에서 이탈되면서 슬라이딩캠을 슬라이딩상태로 로킹하거나 로킹을 해제하는 랫치핀;을 포함하는 가로등용 등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포스트에 충돌되는 차량의 충격을 완충하는 충격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완충부재는,
    상기 포스트의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이격설치되는 한쌍의 이격링;
    상기 이격링들 사이에 개재되고, 차량의 충돌에 의해 회전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원통형의 회전바렐; 및
    상기 회전바렐 및 한쌍의 상기 이격링들을 관통하여 회전바렐을 이격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축;을 포함하는 가로등용 등주.
KR1020100104998A 2010-10-27 2010-10-27 가로등용 등주 KR101035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998A KR101035991B1 (ko) 2010-10-27 2010-10-27 가로등용 등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998A KR101035991B1 (ko) 2010-10-27 2010-10-27 가로등용 등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991B1 true KR101035991B1 (ko) 2011-05-23

Family

ID=4436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998A KR101035991B1 (ko) 2010-10-27 2010-10-27 가로등용 등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9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90015A (zh) * 2023-12-19 2024-02-02 深圳市尚为照明有限公司 太阳能路灯
KR20240054726A (ko) * 2022-10-19 2024-04-2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파워 아웃렛
KR102672696B1 (ko) * 2022-10-19 2024-06-0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파워 아웃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713A (ko) * 2007-12-14 2009-06-18 에이치제이산전(주) 가로등 분전함
KR100959414B1 (ko) 2009-09-02 2010-05-24 노삼례 슬라이딩식 등주 수납개방부 커버
KR20100072454A (ko) * 2008-12-22 2010-07-01 우주엘엔티(주) 가로등용 안정기 점검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713A (ko) * 2007-12-14 2009-06-18 에이치제이산전(주) 가로등 분전함
KR20100072454A (ko) * 2008-12-22 2010-07-01 우주엘엔티(주) 가로등용 안정기 점검커버
KR100959414B1 (ko) 2009-09-02 2010-05-24 노삼례 슬라이딩식 등주 수납개방부 커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4726A (ko) * 2022-10-19 2024-04-2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파워 아웃렛
KR102663411B1 (ko) 2022-10-19 2024-05-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파워 아웃렛
KR102672696B1 (ko) * 2022-10-19 2024-06-0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파워 아웃렛
CN117490015A (zh) * 2023-12-19 2024-02-02 深圳市尚为照明有限公司 太阳能路灯
CN117490015B (zh) * 2023-12-19 2024-04-30 深圳市尚为照明有限公司 太阳能路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05758B (zh) 保险箱用空摆手柄结构
MX2013011347A (es) Mecanismo de cierre.
KR101035991B1 (ko) 가로등용 등주
CN202300116U (zh) 一种安全门护栏
KR101086336B1 (ko) 회전식 가로등
CN105569446B (zh) 防误操作自动锁装置和有该装置的推拉平开门窗五金系统
CN104405189B (zh) 封闭式机械防盗门锁
CN103375777B (zh) 照明装置以及用于拆卸照明装置的拆卸工具
KR101111105B1 (ko) 가로등
KR101566683B1 (ko) 도어 안전장치
KR20130075171A (ko) 선박 출입문 구조
CN213418787U (zh) 一种安全型推拉窗锁闭结构
CN106939739B (zh) 一种带电磁阀的保险柜锁
CN214697340U (zh) 带防尘盖的拉紧锁
KR102385140B1 (ko) 트랩형 노면 경전철 도로용 안전 난간
KR101035992B1 (ko) 태양전지 가로등
KR101008660B1 (ko) 깃대꽂이 매립형 가로등주
CN208310431U (zh) 基于互联网的数码式加密防盗电子设备
CN205476885U (zh) 防误操作自动锁装置和有该装置的推拉平开门窗五金系统
CN201306051Y (zh) 一种门锁保护装置及安装有该装置的门
CN103469821B (zh) 一种井盖
CN217579886U (zh) 一种入口用智能门禁系统
CN106013999B (zh) 一种发卡机内的卡箱锁紧机构及解锁装置
CN201152096Y (zh) 推拉门窗固定器
CN204402227U (zh) 升降门驱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