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549B1 - Fishing float - Google Patents
Fishing flo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5549B1 KR101035549B1 KR1020100068469A KR20100068469A KR101035549B1 KR 101035549 B1 KR101035549 B1 KR 101035549B1 KR 1020100068469 A KR1020100068469 A KR 1020100068469A KR 20100068469 A KR20100068469 A KR 20100068469A KR 101035549 B1 KR101035549 B1 KR 1010355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bbin
- fish
- fishing
- tailings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1921 mouth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40000007643 Phytolacca american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9074 Phytolacca ameri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76420 Lophius pisca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6275 Fea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82 Ochroma pyramid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34 Paulownia toment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73256 Phragmite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고기의 입질에 대해 찌몸통은 부력에 의해 고정되고 찌톱 및 찌다리만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 및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물고기의 미세한 입질에 대해서도 반응을 빠르고 정확하게 어신에 전달할 수 있는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bobber, and more particularly, the bobbin body is fixed by buoyancy with respect to the mouth of the fish, and only the bobbin and the tail are configured to descend and ris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It is about fishing bobber that can be delivered quickly and accurately.
일반적으로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낚시 도구를 구비해야 하는데, 최근에는 가볍고 성능이 뛰어난 낚시 도구들이 출현하여 낚시 애호가들의 관심과 시선을 끌고 있다. 이러한 낚시도구 중에는 개선해야 할 도구가 많지만 그 중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낚시찌이다.
In general, fishing is required to have a variety of fishing tackle, recently, fishing tackle has emerged to attract the attention and attention of fishing enthusiasts have emerged light and excellent fishing tackle. Among these fishing tackle, there are many tools that need to be improved, but among them, fishing bobber is indispensable.
이러한 낚시찌는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하여 낚시꾼에게 전달해주는 신호장치로, 낚시꾼은 오직 낚시찌를 통해서만 물속 상태와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시에 있어서 낚시찌는 핵심도구이며 요구되는 조건이 많다. 상기 좋은 낚시찌의 요건으로는 예민성, 정직성, 가시성, 견고성, 심미성 및 투척성이 있지만, 이 중 물고기의 입질을 받으면 빠르고 정확하게 어신을 전달할 수 있는 예민성, 물고기의 입질을 가감없이 전달해야 하는 정직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These fishing bobber is a signal device that grasps the quality of the fish and delivers it to the angler, the angler is able to grasp the state of the water and the quality of the fish only through the fishing bobber, the fishing bobber is a key tool in fishing and there are many requirements. The above requirements for good fishing bobber are sensitive, honesty, visibility, firmness, aesthetics and throwing, but among these, the sensitivity of the fish can be delivered quickly and accurately, and the honesty that the fish must be delivered without adding or subtracting. Thi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한편, 도 1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낚시찌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하면, 종래의 낚시찌는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찌몸통(1)과, 상기 찌몸통(1)의 상단에 결합되어 수면위로 노출되는 찌톱(2)과, 상기 찌몸통(1)의 하단에 결합되는 찌다리(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찌다리(3)의 하단부는 낚시줄에 끼워져 결합된 고무링(4)과 결합되어 낚시줄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낚시찌는 수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찌톱(2)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물고기의 입질하는 순간에 포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낚시대를 적절하게 당길 수 있게 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1 is shown a conventional general fishing bobber. Referring to this, a conventional fishing bobber is provided with a bobbin body 1 for providing buoyancy, a bobbin saw 2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bobbin body 1 and exposed on the water surface, and a bottom of the bobbin body 1. It consists of the
하지만, 종래의 낚시찌는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낚시찌가 전체적으로 물속에서 하강 및 상승하게 구성된다. 즉, 물고기의 입질에 의해 찌다리, 찌몸통, 찌톱이 모두 하강 및 상승하게 구성되므로, 낚시찌의 찌몸통의 부력에 의해 물고기의 입질에 반응이 약하게 되어 찌톱에 물고기의 입질에 대한 반응을 빠르고 정확하게 어신에 전달할 수 없으며, 시원한 찌내림 및 찌올림을 보여주지 못하게 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fishing bobb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mouth of the fish descends and rises in the water as a whole. In other words, because of the fish's mouth, the legs, tailings and tailings are all lowered and ascended, so the buoyancy of the tailings of the tailings makes the fish weaker in response to the mouthing of the fish. It cannot pass on and will not show cool pokes and pokes.
특히, 겨울철에는 물고기의 활동력이 떨어져 물고기의 입질에 대한 낚시찌의 반응이 더욱 약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고기의 입질에도 낚시찌의 반응이 둔감할 뿐만 아니라 반응속도가 늦어 챔질 타이밍을 정확히 포착하기가 어려우며 헛챔질의 빈도수도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in winter, the activity of the fish is reduced, the response of the bobber to the mouth of the fish is more weak. Accordingly, not only is the response of the bobber to the mouth of the fish slow, but also the reaction rate is slow,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capture the timing of the chamb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requency of the vacancy increase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고기의 입질에 대해 찌몸통은 부력에 의해 고정되고 물고기의 입질에 대해 찌톱 및 찌다리만이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 및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물고기의 미세한 입질에 대해서도 반응을 빠르고 정확하게 어신에 전달할 수 있는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tail body is fixed by buoyancy with respect to the mouth of the fish and only the tail top and tail is lowered and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ans with respect to the mouth of the fish It is configured to, and relates to a fishing bobber that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liver the response to the fish even fine fish.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부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찌몸통과; 하단부는 상기 찌몸통의 관통홀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찌몸통 상측으로 배출되어 연장 구성되는 찌톱과; 상기 찌톱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찌몸통 하측으로 구성되는 찌다리와; 상기 찌다리의 상단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되, 상단은 상기 찌몸통의 하단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찌몸통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찌다리 외면에 결합된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물고기의 입질에 대해 상기 찌몸통은 부력에 의해 물속에서 유동없이 고정되고, 상기 찌몸통에 대해 상기 찌톱 및 찌다리만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하강 및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물고기의 미세한 입질에 대해서도 반응을 빠르고 정확하게 어신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vertical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ail bod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buoyancy; A lower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bobbin body and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flows, and is disposed to extend and extend upward of the bobbin body; A tail extends from the bottom of the bobbin and constitutes the bottom of the bobbin; Is configured to be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leg,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bobbin, the lower end is composed of a spring which is fixed by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leg is spaced a predetermined interval downward To the mouth of the fish, the tailings are fixed without flow in the water by buoyancy, and only the tailings and tailings with respect to the tailings are configured to descend and rise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bob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eliver the response to the fish quickly and accurately.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의 입질에 찌몸통은 부력에 의해 고정되고 물고기의 입질에 대해 찌몸통 내부에서 부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찌톱 및 찌다리만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 및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물고기의 미세한 입질에 대해서도 반응을 빠르고 정확하게 어신에 전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the mouth of the f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ilings are fixed by buoyancy and only the tailings and tailings which are not affected by buoyancy inside the tailings with respect to the mouth of the fish are configured to descend and ris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Even fine granules hav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deliver the reaction quickly and accurately to fish.
도 1은 종래의 낚시찌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낚시찌의 작동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shing bobbe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 of the fishing bobb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낚시찌의 작동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operation of the fishing bobb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는 찌몸통(10), 찌톱(20), 찌다리(30) 및 스프링(4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is,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찌몸통(10)은 중앙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홀(11)이 형성되고, 부력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되는 데, 유선형, 원형, 봉형, 접시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낚시찌에 부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찌몸통(10)의 재질은 가공력이 뛰어나고 수분 흡수율이 적으며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질을 선택하되, 부력을 가지면서도 비중이 낮은 소재인 합성수지 또는 갈대, 부들, 오동나무나 발사목과 같은 목재 등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찌몸통(10)은 도면과 같이 내부가 빈공간(S)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부력을 가질 수 있다면 내부가 꽉 차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찌몸통(10)의 외면에는 찌몸통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찌톱(20)은 하단부가 상기 찌몸통의 관통홀(11)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찌몸통(10) 상측으로 배출되어 연장 구성된다. 즉, 상기 찌톱(20)은 상기 찌몸통(10)의 상측으로 돌출 구성되어 낚시찌의 착수시 수면위로 노출되어 낚시찌의 상태를 나타내는 역활을 수행한다. 상기 찌톱(20)은 최소한의 부피를 가져 표면장력 및 유체점성저항이 적어지도록 직경이 대략 0.4mm~1.3mm 정도로 가늘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찌톱(20)은 비중이 가벼운 유리섬유나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지만, 상술한 재질보다 비중이 가벼운 카본 재질로 마련하여 시원한 찌올림을 제공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찌톱(20)의 외면에는 일정구간마다 소정의 폭으로 다색의 형광물질을 도포하여 식별띠(21)를 마련함으로써, 멀리 떨어져 있어도 낚시찌의 상태를 잘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가시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찌다리(30)는 상기 찌톱(20)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찌몸통(10) 하측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찌다리(30)는 상기 찌톱(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찌톱(20)의 상하 유동과 연동하여 상하 유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찌다리(30)는 찌톱(20)과 마찬가지로 비중이 가벼운 유리섬유나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지만, 상술한 재질보다 비중이 가벼운 카본 재질로 마련하여 시원한 찌올림을 제공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찌다리(30)에 날라리줄을 통해 연결된 찌날라리를 통해 낚시줄에 연결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링(R)을 통해 직접 낚시줄에 연결될 수 있다.
The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찌다리(30)의 상단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되, 상단은 상기 찌몸통(10)의 하단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찌몸통(10)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찌다리 외면에 결합된 고정부재(31)를 통해 고정된다. 즉 상기 스프링(40)은 찌다리(30)와 지톱(20)이 탄성적으로 상하 유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는, 물고기의 입질에 대해, 상기 찌몸통(10)은 부력에 의해 물속에서 유동없이 고정되고, 상기 찌몸통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1)에 끼워져 결합되는 찌톱(20) 및 찌다리(30)만이 찌몸통(10)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40)의 탄성력을 통해 하강 및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물고기의 미세한 입질에 대해서도 반응을 빠르고 정확하게 어신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그리고,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지톱(20) 및 찌다리(30)가 찌몸통(10)에서 탄성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면, 인장스프링, 압축스프링, 나선스프링, 태엽스프링 등 공지된 모든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인장할려고 하는 힘에 저항하도록 구성되는 인장스프링을 사용하여 시원한 찌올림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40)의 장력은 상기 찌몸통(10)의 부력보다 약하게 구성하여 찌몸통이 부력에 의해 물속의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면서 찌톱과 찌다리만이 스프링에 의해 상하 탄성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if the
나아가, 상기 찌톱(20)의 외면에는 상기 찌몸통(10)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이동제한스토퍼(22)가 결합 고정되어, 낚시찌가 뒤집어졌을 때, 상기 찌몸통(10)의 상단이 상기 이동제한스토퍼(22)에 걸림되어 찌몸통(10)이 찌톱(20)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제한스토퍼(22)는 낚시찌가 뒤집어졌을 때, 찌몸통(10)의 무게에 의해 찌톱(20)에서 찌몸통(10)이 찌톱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프링이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찌몸통이 찌톱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Further, the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Now, with reference to Figure 4, looks at the operation and action / effect of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찌를 낚시줄에 연결하여 물속으로 투척하면, 찌몸통(10)은 물 속에서 대해 수직을 유지하면서 떠 있고 찌다리(30)는 수중으로 잠기게 되며 찌톱(20)은 수면위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찌몸통(10)의 부력에 의해 물속에서 무게 중심을 유지하여 물속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떠 있게 된다.
First, as shown in (a), when the fishing bobber is connected to a fishing line and thrown into the water, the
그리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고기의 입질이 시작되면, 물고기 입질에 의해 낚시줄이 하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때 물고기 입질에 대한 힘이 낚시줄을 통해 찌다리와 찌톱(20)의 상단으로 전달되어 식별부(21)가 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찌몸통(10)은 부력에 의해 물속의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되고, 스프링이 인장되면서 상기 찌몸통(1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1)에 끼워져 결합된 찌톱(20) 및 찌다리(30)는 찌몸통(10) 내부에서 하강한다. 이때, 찌몸통(10)의 부력 및 스프링의 장력의 정도에 따라 찌몸통(10)은 하측으로 미세한 유동이 있을 수 있다. 이때, 물고기의 입질에 대해 찌몸통(10)은 부력에 의해 고정되고 부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찌톱(20) 및 찌다리(30)만이 하강되므로 물고기의 미세한 입질에도 반응을 빠르고 정확하게 어신에 전달할 수 있다.
And, as shown in (b) when the mouth of the fish is started, the fishing line is pulled downward by the fish mouth, at this time the force for the fish mouth to the top of the jjigae and
그리고,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된 스프링(40)이 탄성력에 의해서 오므려 들면서, 상기 찌몸통(1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1)에 끼워져 결합된 찌톱(20) 및 찌다리(30)는 찌몸통(10) 내부에서 빠르게 상승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낚시찌는 시원한 찌올림이 가능해지며, 물고기의 미세한 입질에도 반응을 빠르고 정확하게 어신에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nd, as shown in (c), the tensioned
그리고,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찌톱(10)의 타이밍을 포착하여 낚시대를 채줌으로써 물고기를 용이하게 낚을 수 있다. 이때, 찌톱(10) 외면에 고정된 이동제한스토퍼(22)에 의해 찌몸통이 찌톱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프링이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찌몸통이 찌톱에서 분리되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And, as shown in (d) it is possible to easily catch the fish by capturing the timing of the jaw saw 10 to take the fishing rod. At this time, by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claims. Anyone can grow up easily.
10: 찌몸통 11: 관통홀
20: 찌톱 21: 식별부
22: 이동제한스토퍼 30: 찌다리
31: 고정부재 40: 스프링
R: 고무링10: tail body 11: through hole
20: peg saw 21: identification unit
22: Restriction Stopper 30: Fears
31: fixing member 40: spring
R: rubber ring
Claims (3)
하단부는 상기 찌몸통의 관통홀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찌몸통 상측으로 배출되어 연장 구성되는 찌톱과;
상기 찌톱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찌몸통 하측으로 구성되는 찌다리와;
상기 찌다리의 상단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되, 상단은 상기 찌몸통의 하단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찌몸통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찌다리 외면에 결합된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물고기의 입질에 대해 상기 찌몸통은 부력에 의해 물속에서 유동없이 고정되고, 상기 찌몸통에 대해 상기 찌톱 및 찌다리만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하강 및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물고기의 미세한 입질에 대해서도 반응을 빠르고 정확하게 어신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찌톱의 외면에는 상기 찌몸통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이동제한스토퍼가 결합 고정되어, 낚시찌가 뒤집어졌을 때, 상기 찌몸통의 상단이 상기 이동제한스토퍼에 걸림되어 찌몸통이 찌톱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vertical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ail bod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buoyancy;
A lower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bobbin body and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flows, and is disposed to extend and extend upward of the bobbin body;
A tail extends from the bottom of the bobbin and constitutes the bottom of the bobbin;
It is configured to be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leg, the top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tail, the bottom is composed of a spring fixed by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ail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ecame,
With respect to the mouth of the fish, the tailings are fixed in the water by buoyancy without flow, and the tailings and tailings with respect to the tailings are configured to descend and rise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hus responding to the minute mouthing of the fish. Is configured to deliver fast and accurate to the fisherma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the movement limit stopper is fixedly fixed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bobbi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when the fishing bobber is inverted, the upper end of the bobbin is caught by the movement limit stopper and the bobbin Fishing bobb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event the movement to the upper side.
상기 스프링은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The method of claim 1,
The spring bobbi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ension spr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8469A KR101035549B1 (en) | 2010-07-15 | 2010-07-15 | Fishing floa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8469A KR101035549B1 (en) | 2010-07-15 | 2010-07-15 | Fishing floa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35549B1 true KR101035549B1 (en) | 2011-05-23 |
Family
ID=4436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8469A KR101035549B1 (en) | 2010-07-15 | 2010-07-15 | Fishing floa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554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35265A (en) * | 2016-05-26 | 2016-10-26 | 合肥栖龙阁生态农业有限公司 | Fishing float structur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5705U (en) * | 1990-09-20 | 1992-04-21 | 김상근 | bobber |
JPH07322797A (en) * | 1994-05-30 | 1995-12-12 | Masatoshi Yoshikawa | Float for fishing |
KR20020074298A (en) * | 2001-03-19 | 2002-09-30 | 김경태 | Freshwater float having height varible auxiliary bady |
KR20100009654U (en) * | 2009-03-24 | 2010-10-04 | 이무관 | A float for regulating buoyancy |
-
2010
- 2010-07-15 KR KR1020100068469A patent/KR10103554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5705U (en) * | 1990-09-20 | 1992-04-21 | 김상근 | bobber |
JPH07322797A (en) * | 1994-05-30 | 1995-12-12 | Masatoshi Yoshikawa | Float for fishing |
KR20020074298A (en) * | 2001-03-19 | 2002-09-30 | 김경태 | Freshwater float having height varible auxiliary bady |
KR20100009654U (en) * | 2009-03-24 | 2010-10-04 | 이무관 | A float for regulating buoyancy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35265A (en) * | 2016-05-26 | 2016-10-26 | 合肥栖龙阁生态农业有限公司 | Fishing float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4793B1 (en) | Multi functional fishing float | |
KR101035549B1 (en) | Fishing float | |
KR101022490B1 (en) | Float | |
KR20180014491A (en) | Stick float | |
KR20180024087A (en) | Fishing float | |
KR20100088327A (en) | Self-reliance fishing float | |
KR10092045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bobber | |
US20040088899A1 (en) | Fish strike indicator | |
KR200227085Y1 (en) | The fishhook a float | |
KR100375352B1 (en) | The float | |
KR200292563Y1 (en) | Fishing sinkfloat | |
KR200354251Y1 (en) | A float for rolling inhibit fishline | |
RU192835U1 (en) | DEVICE FOR SPRINGING FEEDING FOR FISH | |
KR20050082444A (en) | Multi-functional float | |
KR100677935B1 (en) | Fishing float with the same center point of gravity moment and buoyancy moment | |
KR200271070Y1 (en) | The float for fishing | |
KR102624084B1 (en) | Improved type of sinker | |
KR20150000702U (en) | Zero Point Float For Fishing | |
KR20090037241A (en) | Leg of fishing float with adjustment device of gravity moment | |
KR200496849Y1 (en) | 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 |
KR20190068105A (en) | Fishing float with excellent visibility | |
KR200461667Y1 (en) | Device for replaceable fishing float | |
KR200446884Y1 (en) | supporter for waterweed fishing float | |
KR200377320Y1 (en) | A float having a divided float Assembly | |
KR200292574Y1 (en) | Floa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