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935B1 - Fishing float with the same center point of gravity moment and buoyancy moment - Google Patents
Fishing float with the same center point of gravity moment and buoyancy mo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7935B1 KR100677935B1 KR1020050037150A KR20050037150A KR100677935B1 KR 100677935 B1 KR100677935 B1 KR 100677935B1 KR 1020050037150 A KR1020050037150 A KR 1020050037150A KR 20050037150 A KR20050037150 A KR 20050037150A KR 100677935 B1 KR100677935 B1 KR 1006779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shing
- bobber
- buoyancy
- moment
- cent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06010031009 Oral pain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41000276420 Lophius pisca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167880 Hirundi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40954 Skin wrinkl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84 plastic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69 gran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79 gran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906 Bronz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307 Overweigh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74 bronz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UNSUQLRTQLHQQ-UHFFFAOYSA-N copper tin Chemical compound [Cu].[Sn] KUNSUQLRTQLH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33 l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부력을 가지는 찌몸통의 상,하측에 찌톱과 찌다리가 일체로 형성된 낚시용 찌 자체의 무게모멘트 중심과, 낚시용 찌가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발생하는 부력모멘트 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낚시용 찌의 구조를 개선시킴으로서, 물고기의 초기입질로부터 그 진행입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시킬 수 있도록 하고,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낚시용 찌의 움직임 또한 왜곡없이 정확하고 큰 폭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물고기의 예민한 입질까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조과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무게모멘트 중심과 부력모멘트 중심을 일치시킨 낚시용 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bobber used for fishing, and more particularly, the center of weight of the fishing bobber itself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bbin and the bobber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bb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buoyancy, and the fishing bobber.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fishing bobber so that the buoyancy moment centers generated while submerged in water are coinciden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induce the advancing granules from the initial granules of the fish. The movement can also be expressed accurately and in a wide range without distortion, which makes it easy to grasp the sensitive mouth of the fish, thereby making the fishing bobber consistent with the center of gravity and buoyancy moment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confectionery. It is about.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찌는, 소정의 부력을 가지는 찌몸통(11)의 상,하부에 찌톱(12)과 찌다리(1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찌톱(12)은 그 재질이 카본 또는 글라스 솔리드(Glass solid) 재질로 이루어지는 낚시용 찌(10)에 있어서, 상기 찌다리(13)의 하측부에는 낚시용 찌(10)의 무게모멘트 중심(GM)을 낮추어 주기 위한 무게밸런스부(30)가 찌다리(13)와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실시예로써 상기 찌몸통(11)으로부터 찌톱(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낚시용 찌(10)의 부력모멘트 중심(BM)을 높여주기 위한 부력밸런스부(20)가 찌톱(12)의 외부로 삽입하여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bobbin body 11 having a predetermined buoyancy is formed with a bobbin 12 and a bobbin 13 integrally, the bobbin 12 is made of carbon or glass In the fishing bobber 10 made of a solid (Glass solid) material, the weight balance portion 30 for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GM) of the fishing bobber 1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er 13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bobber 13, in another embodiment to increase the buoyancy moment center (BM) of the bobber 10 for fish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bbin 12 from the bobbin body 11 Buoyancy balance portion 20 for the cyc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installation by inserting to the outside of the jaw saw 12.
낚시용 찌, 솔리드톱(카본, 글라스), 무게모멘트, 부력모멘트 Fishing bobber, solid top (carbon, glass), weight moment, buoyancy momen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낚시용 찌를 나타내는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shing bobber.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게모멘트 중심과 부력모멘트 중심을 일치시킨 낚시용 찌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shing bobber matching the center of gravity moment and buoyancy mo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찌의 부력밸런스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Figure 5 (a) and (b) is an enlarg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uoyancy balance of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낚시용 찌 11 : 찌몸통 12 : 찌톱10: bobber for fishing 11: bobber 12: bobbin
13 : 찌다리 14 : 케미홀더 15 : 케미컬라이트13: brittle 14: chemical holder 15: chemical light
16 : 찌고무 17 : 유동고리 20 : 부력밸런스부16: steam rubber 17: flow ring 20: buoyancy balance unit
21 : 튜브 22 : 공간부 23 : 부력재21
30 : 무게밸런스부 GM : 무게모멘트 중심 BM : 부력모멘트 중심30: Weight balance part GM: Weight moment center BM: Buoyancy moment center
본 발명은 소정의 부력을 가지는 찌몸통의 상,하측에 찌톱과 찌다리가 일체로 형성된 낚시용 찌에 있어, 낚시용 찌 자체의 무게모멘트 중심과 낚시용 찌가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발생하는 부력모멘트 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낚시용 찌의 구조를 개선시킴으로서, 물고기의 입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시키고 그 어신의 판단 또한 용이하게 수행토록 하여 조과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무게모멘트 중심과 부력모멘트 중심을 일치시킨 낚시용 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ishing bob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p and bottom of the bobber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bb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buoyancy, buoyancy moment generated in the center of the weight moment of the fishing bobber and the fishing bobber submerged in water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fishing bobber so that the centers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center of weight moment and buoyancy moment coincide to make the fish's mouth more effective and to judge the fishery more easily, thu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confectionery. It is about letting fishing bobber.
일반적으로 낚시에 사용되는 찌는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린 미끼를 물었을 경우의 신호, 즉 어신을 낚시인에게 전달시키기 위한 부표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크게 구멍찌와 막대찌로 대별되는 데, 구멍찌의 경우는 계란형이나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찌몸통상에 낚시줄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관통된 것이고, 막대찌는 표현 그대로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된 찌를 말하는 것이다.Commonly used for fishing, it is a signal when a fish bites a lure caught in a fishing needle, that is, a buoy for delivering a fisherman to an angler. It is largely classified into a hole and a rod, which is an egg or cone. A hole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can pass through is formed through the body of the bobber, and the rod bobber refers to the bobber formed in the shape of a stick as it is.
상기와 같은 막대찌 또한 그 종류별로 여러 가지의 형상을 가지지만 민물낚시에 사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형태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부력을 가지는 찌몸통(11)의 상,하측에 찌톱(12)과 찌다리(1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찌톱(12)의 상단에는 케미컬라이트(15)를 꽂아서 고정시킬 수 있는 케미홀더(14)가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찌다리(13)의 하단에는 낚시용 찌(10)를 낚시줄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스냅도래와 같은 유동고리(17)가 찌고무(16)에 의하여 고정된 것을 들 수 있다.The rod as described above also has a variety of shapes for each type, but the most typical form used for freshwater fishing, as shown in Figure 1, the top of the bobbin having a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낚시용 찌(10)는 대부분 그 자체의 무게모멘트 중심(그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나뉘어지는 찌의 무게와 그 지점으로부터 찌의 양단부까지의 거리를 곱한 값이 일치되는 지점으로서, 무게중심점과 동일한 지점이 될 수도 있고 달라질 수도 있으므로 하기에서는 무게모멘트 중심으로 통칭하기로 한다)(GM)이 찌몸통(11)측에 위치하게 되는 데, 이러한 낚시용 찌(10)가 수중에 잠길 경우에는 낚시용 찌(10)의 무게모멘트 중심(GM)이 부력모멘트 중심(BM)이 되지 못하고, 그 부력모멘트 중심(BM)이 무게모멘트 중심(GM)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낚시용 찌(10)가 수중에 잠길 경우 발생하는 부력모멘트 중심(BM)이 낚시용 찌(10) 자체의 무게모멘트 중심(GM)보다 낮게 되는 이유는, 그 찌톱(12)이 대부분 찌다리(13)보다 길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찌톱(12)이 튜브 종류가 아닌 카본이나 글라스와 같은 고비중의 솔리드(Solid) 재질로 제작될 경우 찌톱(12)보다 찌다리(13)가 더 굵기 때문에, 낚시용 찌(10)가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발생하는 주된 부력은 찌몸통(11)과 찌다리(13)에 의하여 발생하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uoyancy moment center BM generated when the
다시 말해서, 낚시용 찌(10)의 무게모멘트 중심(GM)은 찌톱(12)과 찌몸통(11) 및 찌다리(13)로 이루어지는 모든 부위의 무게를 고려하여 설계되지만, 낚시용 찌(10)가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발생하는 부력모멘트 중심(BM)은 찌톱(12) 부분이 제외된 상태에서 찌몸통(11)과 찌다리(13)에 의한 부력 작용의 중심점이 되기 때문에 무게모멘트 중심(GM)이 부력모멘트 중심(BM)보다 항상 높은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enter of gravity (GM) of the fishing bobber (10)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all parts consisting of the
또한, 야간낚시의 경우 케미홀더(14)에 발광용 케미컬라이트(15)를 꽂아서 사용하게 될 뿐만 아니라, 주간낚시에 있어서도 야간낚시로의 전환시 찌의 부력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케미컬라이트(15)와 동일한 무게를 가지면서도 찌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간케미를 꽂아서 사용하게 되고, 낚시용 찌(10)를 낚시줄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스냅도래와 같은 유동고리(17)를 찌고무(16)에 의하여 연결시켜 사용하게 되므로, 케미컬라이트(15)나 유동고리(17)의 무게에 의하여 수중에 잠긴 낚시용 찌(10)의 부력모멘트 중심(BM)은 무게모멘트 중심(GM)보다 더욱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night fishing, the light emitting
특히, 위와 같은 낚시용 찌(10)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낚시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낚시용 찌(10)가 물속에 잠기는 부분은 민물올림낚시(즉, 바닥낚시)나 민물내림낚시 또는 중층낚시(바다낚시를 포함한다)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수면을 통하여 외부로 나오게 되는 부분은 부력이 작용하지 않고 그 무게만 작용하기 때문에, 낚시용 찌(10)가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발생하는 부력모멘트 중심(BM)은 실질적으로 더욱 더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even in the case of substantially fishing using the
상기와 같이 낚시용 찌(10)의 무게모멘트 중심(GM)이 부력모멘트 중심(BM)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낚시대로부터 낚시용 찌(10)를 거쳐 "ㄱ"자 형태로 전개되는 낚시줄의 특성상 무게모멘트 중심(GM)과 부력모멘트 중심(BM)이 이격된 차이만큼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찌의 움직임과는 무관하게 낚시줄과 낚시용 찌(10)가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낚시용 찌(10) 자체를 반전시키려고 하는 에너지 즉, 반전모멘트를 내재하게 되는 데, 실질적으로는 낚시용 찌(10)가 봉돌이나 편납의 무게에 의하여 낚시줄에 걸린 상태로 중립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반전현 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enter of gravity GM of the
그러나, 낚시바늘과 미끼를 가라앉히기 위한 봉돌이나 편납의 무게 및 낚시용 찌(10)의 부력이 중립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물고기의 입질에 따라 그 중립상태를 변화시키는 힘이나 에너지가 부여될 경우, 그 힘이나 에너지의 대부분이 낚시용 찌(10)의 반전모멘트로 소실되고 그 일부만이 낚시용 찌(10)를 실질적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데 사용되게 된다.However, if a force or energy is applied to change the neutral stat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fish in the state in which the weight of the stick or sewn rod for sinking the fishing needle and the bait and the buoyancy of the
따라서, 무게모멘트 중심(GM)과 부력모멘트 중심(BM)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반전모멘트로 인하여 물고기의 입질과 이에 따른 낚시용 찌(10)의 움직임이 불일치하게 됨으로서, 유연하고 신속하며 깔끔하고 연속적인 입질표현이 낚시용 찌(10)를 통하여 나타나지 못하고, 물고기의 예민한 입질시 그 입질표현이 없거나 낚시용 찌(10)가 꾸물거리면서 움직이거나 또는 입질표현이 뒤늦게 매우 급하게 발생하는 것과 같은 왜곡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due to the reversal moment resulting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GM) and the buoyancy moment (BM), the quality of the fish and the movement of the fishing bobber (10) are inconsistent, resulting in a flexible, quick, clean, continuous There is no distortion of appearance such as the expression of the quality of fish (10), the lack of the quality of the fish, the movement of the fishing fish (10) or the movement of the fish (10). There was a problem appearing.
이로 인하여,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린 미끼를 건드리는 초기입질시 물고기가 느끼는 이물감이나 저항이 크게 되어 초기입질로부터 낚시바늘에 걸린 미끼를 완전히 삼키게 되는 진행입질로의 유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낚시인들이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어신의 파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조과의 향상 측면에 있어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될 뿐만 아니라 낚시인들이 느끼는 낚시의 묘미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when the fish touches the bait caught by the fishing needle, the foreign material felt or the resistance of the fish becomes large and the induction from the initial granules to the advanced granule that completely swallows the bait caught by the fishing needle is not performed smoothly.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for anglers to quickly and accurately grasp fishery fish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fish, not only does it adversely affect the improvement of the confectionery, but also the problem of fishing that the fishers feel is halv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찌는 소정의 부력을 가지는 찌몸통의 상,하측에 찌톱과 찌다리가 일체로 형성된 낚시용 찌 자체의 무게모멘트 중심과, 낚시용 찌가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발생하는 부력모멘트 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낚시용 찌의 구조를 개선시킴으로서, 물고기의 초기입질로부터 그 진행입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시킬 수 있도록 하고,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낚시용 찌의 움직임 또한 왜곡없이 정확하고 큰 폭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물고기의 예민한 입질까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조과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moment of the fishing bobber itself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bbin and the bobber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bb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buoyancy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fishing bobber so that the center and the buoyancy moment centers generated when the fishing bobber is submerged in water are improved,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induce the advanced granulation from the initial granulation of the fish. The technical task is to make the movement of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accurate and wider without distor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sensitive mouth of the fish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confectionery. .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부력을 가지는 찌몸통의 상,하부에 찌톱과 찌다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찌톱은 그 재질이 카본 또는 글라스 솔리드(Glass solid) 재질로 이루어지는 낚시용 찌에 있어서, 상기 찌다리의 하측부에는 낚시용 찌의 무게모멘트 중심(GM)을 낮추어 주기 위한 무게밸런스부가 찌다리와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실시예로써 상기 찌몸통으로부터 찌톱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낚시용 찌의 부력모멘트 중심(BM)을 높여주기 위한 부력밸런스부가 찌톱의 외부로 삽입하여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bobb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buoyancy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law saw, the claw saw is made of carbon or glass solid (Glass solid) material In the bobber for fishing, the lower side of the bobbi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balance for fixing the center of gravity (GM) of the bobber for fixing is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bobbin, in another embodiment from the bobbin The buoyancy balance portion for increasing the buoyancy moment center (BM) of the bobber for fish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installation by inserting to the outside of the bobbin.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게모멘트 중심과 부력모멘트 중심을 일치시킨 낚시용 찌의 각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찌의 부력밸런스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2 to 4 is a front view showing each embodiment of a fishing bobber in which the center of gravity moment and the buoyancy moment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and (b) is a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buoyancy balance part of.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찌(1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종 목재나 발포플라스틱 또는 스티로폼과 같이 소정의 부력을 가지는 재질로서 찌몸통(11)이 형성되고, 상기 찌몸통(11)의 상,하측에는 찌톱(12)과 찌다리(13)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찌톱(12)의 상단에는 케미컬라이트(15)와 같은 수단를 꽂아서 고정시킬 수 있는 케미홀더(14)가 일체로 부착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종래의 낚시용 찌(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찌톱(12)은 카본이나 글라스와 같은 고비중의 솔리드(Solid)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며, 도면상 상기 찌다리(13)의 하단에는 낚시용 찌(10)를 낚시줄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스냅도래와 같은 유동고리(17)가 찌고무(16)에 의하여 고정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유동고리(17) 대신에 찌다리(13)의 하단부를 낚시줄에 삽입되는 찌고정용 고무에 직접 삽입하여 낚시용 찌(10)를 낚시줄에 고정시키도록 한 것일 수도 있고, 찌다리(13)의 하단부에 일명, 찌날라리가 부착된 것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낚시용 찌(10)의 구조적인 메카니즘에 의하여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낚시용 찌(10)의 움직임이 왜곡되지 않도록 그 무게모멘트 중심(GM)과 부력모멘트 중심(BM)을 일치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찌몸통(11)으로부터 찌톱(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밸런스부(20)를 찌톱(12)과 일체로 형성시켜 낚시용 찌(10)의 부력모멘트 중심(BM)을 높여주도록 한 것이다.By the structural mechanism of the
또한, 낚시용 찌(10)의 무게모멘트 중심(GM)과 부력모멘트 중심(BM)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찌다리(13)의 하측부에 무게밸런스부(30)를 찌다리(13)와 일체로 고정 설치하여 낚시용 찌(10) 자체의 무게모멘트 중심(GM)을 낮추어주도록 한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찌톱(12)의 외부로 삽입하여 고정 설치되는 부력밸런스부(20)와 찌다리(13)와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무게밸런스부(30)를 동시에 사용하여 낚시용 찌(10)의 무게모멘트 중심(GM)과 부력모멘트 중심(BM)이 일치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match the center of gravity (GM) and the buoyancy moment center (BM) of the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낚시용 찌(10)가 가지는 자체의 무게모멘트 중심(GM)을 임의의 위치에 그대로 둔 상태에서, 찌몸통(11)으로부터 찌톱(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밸런스부(20)를 형성시키게 되면, 낚시용 찌(10)가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부력밸런스부(20)에 의하여 발생되는 부력모멘트 중심(BM)이 낚시용 찌(10) 자체의 무게모멘트 중심(GM)측으로 올라오게 되는 바, 상기 부력밸런스부(20)의 재질이나 부력밸런스부(2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즉, 부력밸런스부(20)의 부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낚시용 찌(10)가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발생하는 부력모멘트 중심(BM)을 낚시용 찌(10) 자체의 무게모멘트 중심(GM)과 근접 또는 일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낚시용 찌(10)가 수중에 잠긴 상태의 부력모멘트 중심(BM)을 임의의 위치에 그대로 둔 상태에서, 찌다리(13)의 하측부에 무게밸런스부(30)를 찌다리(13)와 일체로 고정시키게 되면, 낚시용 찌(10) 자체의 무게모멘트 중심(GM)이 낚시용 찌(10)가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발생하는 부력모멘트 중심(BM)측으로 내려가게 되는 바, 상기 무게밸런스부(30)의 중량이나 무게밸런스부(30)가 찌다리(13)상에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것[즉, 무게밸런스부(30)에 의한 중력모멘트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낚시용 찌(10) 자체의 무게모멘트 중심(GM)을 낚시용 찌(10)가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발생하는 부력모멘트 중심(BM)과 근접 또는 일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가장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설명되어진 2가지의 방법 즉, 부력밸런스부(20)에 의하여 낚시용 찌(10)가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발생하는 부력모멘트 중심(BM)을 올려주는 조작과, 무게밸런스부(30)에 의하여 낚시용 찌(10) 자체가 가지는 무게모멘트 중심(GM)을 내려주는 조작을 병행함으로서, 무게모멘트 중심(GM)과 부력모멘트 중심(BM)이 일치하는 낚시용 찌(10)를 제조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 constant buoyanc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buoyancy moment center BM in the state where the
In particular, most preferably the two method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operation of raising the buoyancy moment center (BM) genera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또한, 낚시용 찌(10)의 찌톱(12)에 부착되는 상기 부력밸런스부(20)는 도 4 및 도 5의 (가) 및 (나)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길이가 길게 되는 원통 또는 원추 형상의 플라스틱 튜브(21)를 찌톱(12)과의 사이에 부력발생용 공간부(22)가 형성되도록 찌톱(12)과 일체로 부착시킨 것일 수도 있고, 각종 목재나 발포플라스틱 또는 스티로폼과 같이 그 자체가 소정의 부력을 가지는 부력재(23)를 찌톱(12)을 따라 일체로 부착시킨 것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튜브(21)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튜브(21)를 통하여 노출되는 찌톱(12)에 의하여 낚시용 찌(10)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가 있지만, 상기 튜브(21)가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는 일반적인 찌톱(12)과 마찬가지로 튜브(21)의 외부 표면에 낚시용 찌(10)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광도료를 도색하거나 또는 형광테이프 등을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부력재(23)의 외부 표면에도 이와 같은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상기와 같은 부력밸런스부(20)는 낚시용 찌(10)의 직립입수를 방해하지 않는 부력 범위내에서 찌몸통(11)으로부터 찌톱(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임의대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찌톱(12) 전체 길이의 1/4 내지 3/4에 해당하는 부위만큼 찌톱(12)을 따라 얇고 길게 형성시키는 것이 낚시용 찌(10)의 전체적인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낚시용 찌(10)를 이용한 각종 낚시기법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그 무게모멘트 중심(GM)과 부력모멘트 중심(BM)을 용이하게 일치시키는 데 있어 보다 더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무게밸런스부(30)는 그 자체가 일정한 무게를 가지는 것이라면 납이나 청동 또는 세라믹이나 각종 수중추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앙부에 찌다리(13)가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시켜 찌다리(13)와 일체로 부착시키도록 한 것일 수도 있고, 일반적인 봉돌과 같이 그 몸체의 일부 를 절개하여 찌다리(13)에 물려서 사용하도록 한 것일 수도 있으며, 가급적 찌다리(13)의 최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적은 무게를 사용하더라도 무게모멘트 중심(GM)의 이동폭을 크게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찌(10)는 부력밸런스부(20)와 무게밸런스부(30)를 단독사용 또는 함께 사용하여 낚시용 찌(10)의 무게모멘트 중심(GM)과 부력모멘트 중심(BM)을 서로 일치시킴으로써,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찌의 움직임과는 무관하게 낚시용 찌(10) 자체를 반전시키려고 하는 반전모멘트 즉, 무게모멘트 중심(GM)과 부력모멘트 중심(BM)이 이격된 거리 만큼의 모멘트를 최소화 내지 거의 제로(Zero)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이로 인하여, 낚시바늘과 미끼를 가라앉히기 위한 봉돌이나 편납의 무게 및 낚시용 찌(10)의 부력이 중립을 유지하는 상태, 즉 낚시대로부터 낚시용 찌(10)를 거쳐 낚시줄이 "ㄱ"자 형태로 전개되어 있는 상태에서, 물고기의 입질에 따라 그 중립상태를 변화시키는 힘이나 에너지가 부여될 경우, 그 힘이나 에너지가 낚시줄에 걸린 낚시용 찌(10)의 반전모멘트로서 소실되지 않고 거의 모든 부분이 낚시용 찌(10)를 실질적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데 적용된다.Due to this, the weight of the rods or bait for sinking the fishing needle and the bait and the buoyancy of the
따라서, 물고기의 입질과 이에 따른 낚시용 찌(10)의 움직임이 거의 정확하게 일치하게 됨으로서, 유연하고 신속하며 깔끔하고 연속적인 입질표현이 낚시용 찌(10)를 통하여 재현되며, 이로 인하여 낚시인들이 어신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챔질 타이밍을 놓치지 않게 됨으로서, 조과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낚시인들이 느끼는 낚시의 묘미 또한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 는 것이다.Therefore, the mouth of the fish and the movement of the
특히,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린 미끼를 건드리는 초기입질시 무게모멘트 중심(GM)과 부력모멘트 중심(BM)의 차이로 인하여 물고기가 느끼는 이물감이나 저항이 크게 감소되기 때문에, 물고기의 초기입질로부터 낚시바늘에 걸린 미끼를 완전히 삼키게 되는 진행입질로의 유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조과의 향상 측면에 더욱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the fish touches the bait caught by the fishing need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GM) and the buoyancy moment (BM) reduces the foreign body feeling or resistance that the fish feels. The induction into the advanced granules, which completely swallows the bait caught in the needle, can be made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fruit.
마지막으로, 위에서 설명되어진 것은 찌몸통(11)이 목재나 발포플라스틱 또는 스티로폼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낚시용 찌(10)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것을 하나의 대표적인 실시예로 하여 기재된 것이나, 찌몸통(11)의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된 상태에서 찌톱(12)의 상단에는 배터리와 접속되는 전자케미가 설치된 전자찌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일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 당연히 포함되는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Finally,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as one representative embodim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찌는 부력밸런스부와 무게밸런스부의 단독사용 또는 함께 사용하여 낚시용 찌의 무게모멘트 중심과 부력모멘트 중심을 일치되도록 함으로서 물고기의 입질과 이에 따른 낚시용 찌의 움직임이 거의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유연하고 신속하며 깔끔하고 연속적인 입질표현이 낚시용 찌를 통하여 재현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낚시인들이 어신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챔질 타이밍을 놓치지 않도록 함으로서 조과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낚시인들이 느끼는 낚시의 묘미 또한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buoyancy balance and the weight balance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he center of gravity and buoyancy moment of the fishing bobber to match the mouth of the fish and thus the movement of the fishing bobber By making the match almost accurate, the flexible, quick, clean and continuous expression of the expression is not only reproduced through the fishing bobber, but also the fishers can quickly and accurately grasp the fishery so as not to miss the timing of the game and contribute greatly to the improvement of the confectionery. At the same time, the taste of fishing, which the angler feels, can be further improved.
특히,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린 미끼를 건드리는 초기입질시 무게모멘트 중심과 부력모멘트 중심의 차이로 인하여 물고기가 느끼는 이물감이나 저항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물고기의 초기입질로부터 낚시바늘에 걸린 미끼를 완전히 삼키게 되는 진행입질로의 유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조과의 향상 측면에 더욱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the fish touches the bait caught by the fishing need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buoyancy moment can greatly reduce the foreign body feeling or resistance that the fish feels. The induction into the advanced granules that swallows the bait caught on the needle is made smoothly,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fruit.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7150A KR100677935B1 (en) | 2005-05-03 | 2005-05-03 | Fishing float with the same center point of gravity moment and buoyancy mo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7150A KR100677935B1 (en) | 2005-05-03 | 2005-05-03 | Fishing float with the same center point of gravity moment and buoyancy mo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8578A KR20050048578A (en) | 2005-05-24 |
KR100677935B1 true KR100677935B1 (en) | 2007-02-05 |
Family
ID=37247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7150A KR100677935B1 (en) | 2005-05-03 | 2005-05-03 | Fishing float with the same center point of gravity moment and buoyancy mo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7935B1 (en) |
-
2005
- 2005-05-03 KR KR1020050037150A patent/KR10067793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8578A (en) | 2005-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20338B2 (en) | Spitting weedless surface fishing lure | |
US4414772A (en) | Top water fishing lure | |
US2931124A (en) | Fishing bobber | |
US2456254A (en) | Fishing rig | |
US1485643A (en) | Artificial bait and fishhook therefor | |
KR100677935B1 (en) | Fishing float with the same center point of gravity moment and buoyancy moment | |
US3126661A (en) | Lure with balancing weights | |
KR101022490B1 (en) | Float | |
JP2017104024A (en) | Multi-functional float | |
KR200370603Y1 (en) | Stick type holl float | |
KR200490888Y1 (en) | Lure fishing gear equipped air tube | |
KR101776407B1 (en) | Multifunction float | |
KR101776406B1 (en) | Multifunction float | |
KR200179389Y1 (en) | Fishing float | |
KR102609356B1 (en) | The underwater float for fishing | |
KR200227085Y1 (en) | The fishhook a float | |
KR200327146Y1 (en) | Suspend float tied to leader for fresh-water fishing | |
KR200391787Y1 (en) | Float | |
KR200194996Y1 (en) | The connecter for a float | |
KR200347609Y1 (en) | Buoyancy Adjustable Fishing Tackle | |
KR200412966Y1 (en) | float | |
KR200377320Y1 (en) | A float having a divided float Assembly | |
KR200217437Y1 (en) | The float for fishing | |
KR200449563Y1 (en) | A cork for fishing | |
KR200292556Y1 (en) | Division Float II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