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849Y1 - 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 Google Patents

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849Y1
KR200496849Y1 KR2020200003463U KR20200003463U KR200496849Y1 KR 200496849 Y1 KR200496849 Y1 KR 200496849Y1 KR 2020200003463 U KR2020200003463 U KR 2020200003463U KR 20200003463 U KR20200003463 U KR 20200003463U KR 200496849 Y1 KR200496849 Y1 KR 2004968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buoyancy
fishing
buoyancy control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4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2255U (en
Inventor
이종승
Original Assignee
이종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승 filed Critical 이종승
Priority to KR2020200003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49Y1/en
Publication of KR20200002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25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4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에 관한 것으로서, 탄력성으로 찌톱의 외측둘레에 결합되어 찌톱의 최상부와 찌몸통과 접하는 최하부의 구간 내에서 자유롭게 위치조정가능하며, 찌톱 상부에 결합한 상태로 바닥낚시에 맞는 찌맞춤을 실시한 상태에서는 찌 돋보기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고, 수면 이하에 위치하는 찌몸톰통과의 경계부위에 부력조절구를 위치시키면, 부력조절구의 찌몸통에 대한 체적에 부력조절구의 부피가 갖는 체적을 높여 줌으로써, 바닥낚시에서 이용하였던 봉돌의 침력 대비 찌에 부력을 부력조절구가 갖는 체적만큼 상승시켜 수중 바닥으로부터 봉돌을 띄우고, 찌톱을 수면 위로 상승시키고, 바늘채비만을 바꾸어 줌으로써, 내림 또는 중층낚시로 전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찌 동작이 예민하게 나타나는 낚시, 적정 수심 층에 머무는 고기를 낚을 수 있는 채비 전환효과가 있고, 찌몸텁과 접하는 찌목 부위에 부력조절구를 위치시켜 줌으로써 강한 챔질로 인한 찌목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which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oat saw with elasticity and can be freely positioned within the uppermost section of the float saw and the lowermost section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float, and bottom fishing whil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loat saw. It can be used as a magnifying glass in the state in which the fit is performed, and when the buoyancy control sphere is placed at the boundary of the body tom passage located below the water surface, the volume of the buoyancy control sphere is 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rod, the buoyancy of the rod used in bottom fishing is raised by the volum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to float the rod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raise the ro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change only the needle rigging, lowering or Since it can be switched to mid-layer fishing, there is a fishing in which the float motion is sensitive, a gear conversion effect that can catch fish staying in the appropriate depth layer, and a buoyancy control device placed on the floating neck part in contact with the float body It is a useful design that can also be used for purposes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chimok part.

Description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본 고안은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올림 낚시를 위해 침력에 대응되게 부력이 맞추어진 찌에 있어 찌톱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맞추어진 찌의 부력을 증가시켜 무게추인 봉돌을 바닥으로부터 띄워 올림 낚시와는 달리 내림 낚시 및 중층낚시로 바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부력조절구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수면에 올려진 찌톱을 돋보이게 하는 효과와 더불어 낚시 찌의 몸통과 접하는 찌톱의 경계부위의 취약점을 보강할 수 있는 용도로도 활용 가능한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and more specifically, in a bobber whose buoyancy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invasion force for lifting fishing, it is movably provided on the float and increases the buoyancy of the fitted float to increase the weight Unlike lifting fishing by floating the rod from the bottom, it can be immediately switched to lowering fishing and mid-layer fishing, and when not used as a buoyancy control tool, it enhances the top of the float raised on the water surface and makes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fishing float. It relates to a variable buoyancy control tool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that can also be used to reinforce the weak points of the boundary of the float saw.

일반적으로 민물낚시에는 낚시대를 비롯하여 낚시채비가 반드시 적용되며, 민물낚시의 대표적으로는 찌낚시가 보편적으로 행하여 지고 있다.In general, fishing gear including a fishing rod is necessarily applied to freshwater fishing, and float fishing is commonly practiced as a representative of freshwater fishing.

상기 낚시채비는 낚시대의 초릿대에 연결되는 원줄에 찌, 찌를 고정하기 위한 찌홀더, 찌홀더의 밀림을 방지하는 스톱퍼 및 찌의 부력에 맞는 무게 추(이하, 봉돌이라 칭함), 무게 추에 목줄을 매달아 달리는 낚시 바늘이 세팅되어 사용된다.The fishing gear is a float on the main line connected to the chorit of the fishing rod, a float holder for fixing the float,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slide of the float holder, and a weight suitable for the buoyancy of the floa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ongdol), a leash on the weight weight A hanging fishing hook is set and used.

민물낚시 찌는 그 기본적인 형태가 몸통, 찌톱, 다리부분으로 크게 나뉘어 지며, 몸통의 소재는 가벼운 목(木)소재, 자연소재인 갈대, 수수대, 공작 깃, 나노 폼 등등으로 그 형태는 원추형, 유선형 등으로 제작되며, 상기 찌톱은 각기 다른 색상의 컬러가 칠해진 카본, 유리섬유, 연신 튜브 등의 소재로서 가는 굵기로 제작되어 찌 몸통과 결합되거나 찌 몸통을 관통하고, 찌 몸통의 하부는 다리로 구분하여 각 부분을 균형있게 고정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The basic shape of a freshwater fishing float is largely divided into a body, a float, and a leg. The material of the body is light wood, natural materials such as reeds, water bands, peacock feathers, nano foam, etc. The shape is conical, streamlined, etc. The chisaw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carbon, glass fiber, or elongated tube colored with different colors, and is made of a thin thickness and is combined with or penetrating the steamer body, and the lower part of the steamer body is divided into legs It is manufactured in a way to fix each part in a balanced way.

찌톱은 일반적으로 최상단에 발광체인 케미컬라이트 혹은 낮캐미(일명 주간캐미), 배터리가 결합, 분리되는 전자캐미를 꽂기 위한 캐미홀더가 구비되며, 또한 지의 종류에 짜라 일명, 전자찌는 찌 몸통 내부에 소형배터리의 장착과 더불어 소형램프를 식재하여 찌톱에 빛이 전도되게 하는 일명 전자찌 전용 찌톱이 사용된다.The chisaw is generally equipped with a cami holder at the top for inserting a chemical light or day cami (aka day cami), which is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n electronic cami in which a battery is combined and separated. In addition to the installation of the battery, a so-called electric chisel saw is used that allows light to be transmitted to the chisel saw by planting a small lamp.

상기 찌는 반드시 봉돌의 무게를 포함하여 부력과 침력을 맞추어 사용하게 되는바, 부력보다 봉돌의 침력이 강한 경우에는 봉돌을 조금씩 깍아 내거나 편납인 경우에는 가위로 조금씩 잘라내어 부력 대비 침력이 1 대 1이 되게 맞추어 줌으로써, 미끼를 취한 붕어 및 기타 어종은 섭이(攝餌) 동작에 따라 침력의 균형이 깨지면서 찌 부력에 영향을 주어 찌톱이 수면 위로 더 올라가거나 수면 아래로 내려가 동작을 낚시인이 이를 판별하고 낚시대를 잡고서 챔질 함으로써 해당 어종을 훅킹하여 낚을 수 있었다.The steamer is necessarily used to match the buoyancy and invasion, including the weight of the bongdol. If the aerosol of the bongdol is stronger than the buoyancy, cut the bongdol little by little or in the case of a side nap, cut it little by little with scissors so that the buoyancy versus invasion is 1 to 1 By matching, the baited crucian carp and other fish species break the balance of invasion force according to the feeding action, affecting the buoyancy of the float, so that the saw top rises above the water surface or goes down below the water surface. By catching and chamfering, the fish species could be hooked and caught.

최근에는 기존의 납성분으로 제작된 봉돌을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인 소재의 봉돌이 사용되고 있으며, 부식이 없는 스테인레스, 황동재질로 제작된 보조링을 채비에 가감하는 방식으로 찌의 부력을 정밀하게 맞추어 사용하기도 한다.In recent years, instead of using conventional lead-based bongdols, eco-friendly bongdols are being used, and auxiliary rings made of corrosion-free stainless and brass materials are added to or subtracted from the rigging to precisely adjust the buoyancy of the floats. also use

상기와 같은 방식 외에도 최근에는 일일이 봉돌의 무게를 찌 부력대비 보조링을 추가하지 않고 찌 자체에서 조절하도록 한 찌들도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s, recently, there are also jjims that individually adjust the weight of the bongdol in the jji itself without adding an auxiliary ring for buoyancy.

상기 찌 관련 선행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9600호(명칭: 부력조절장치 및 그 부력조절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찌, 공고일자: 2006년 11월 01일, 이하 이를 '선원문헌 1' 이라 칭함) 및 등록실용 제20-0249303호(명칭: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공고일자: 2001년 11월 16일, 이하 이를 '선원문헌 2' 라 칭함)가 개시되어 있다.Looking at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float,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639600 (name: buoyancy control device and fishing float provided with the buoyancy control device, date of publication: November 01, 2006,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afarer Document 1 ') and Registry No. 20-0249303 (Name: Freshwater fishing float with variable position auxiliary body, date of announcement: November 16, 2001,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afarer Document 2') are disclosed.

상기 선원문헌 1은 민물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찌의 고정된 침력에 대한 부력을 사용자의 임의대로 자유롭게 가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낚시용 찌몸통에 장착하는 부력조절장치 및 그 부력조절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찌로서, 그 구성은 찌의 찌몸통 상측에 연결 고정될 수 있는 장치로서, 중공의 원통형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당접되어 이동가능한 중공의 원통형 제2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하우징의 상하이동거리에 따라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결합체의 부피가 일정범위내로 자유롭게 조절되어 이에 따라 부력이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되는 것으로, 찌 하부의 일정무게의 추에 의한 침하력에 대한 부력을 가감할 수 있도록 낚시용 찌의 찌몸통 상측에 별도로 장착된 것이 특징이며, 이러한 부력조절장치를 이용할 경우 봉돌의 절단이나 편납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어 낚시 현장에서의 정확한 찌맞춤을 신속하게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Sailor Document 1 is a buoyancy control device mounted on a body of a fishing float that allows the user to freely increase or decrease the buoyancy against the fixed penetration of a float used for freshwater fishing, and a fishing float equipped with the buoyancy control device As, the configuration is a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of the float, consisting of a hollow cylindrical first housing and a hollow cylindrical second housing that is movable in contact with the first housing, and of the second housing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ing distance, the volum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ssembly is freely adjusted within a certain range, and accordingly, the buoyancy is freely adjusted within a certain rang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separate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of the fishing float so that it can be added or subtracted. When using this buoyancy control device, the time required for cutting or stitching the rod can be drastically shortened and convenience can be improved, so it can be used at the fishing site. Provide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quickly and conveniently perform accurate alignment of the

선원문헌 2의 구성은, 주몸통과, 주몸통의 상단에 고정되는 찌톱과, 주몸통의 하단에 고정되는 찌다리와, 상기한 찌톱에 고정되는 스톱퍼와, 상기한 찌톱이 관통되고 주몸통의 상기한 상단과 스톱퍼 사이에서 상기한 찌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보조 몸통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주몸통이 찌 전체 길이의 하방으로부터 1/3이 되는 지점 아래에 위치하면서도, 상기한 보조 몸통의 무게 배분으로 인하여 찌의 무게 중심이 찌 전체 길이의 하방으로부터 1/3 부근에 위치하고, 채비 투척후 찌가 수면에 안정된 상태로부터 입질에 의한 찌 상승에 의하여 상기한 보조 몸통이 수면에 도달하기까지는 상기한 보조 몸통은 수면아래에 위치하여 상기한 찌에 대한 부력을 형성하며, 상기한 보조 몸통이 수면에 도달하면 상기한 찌에 대한 부력을 상실함과 동시에, 상기한 찌톱의 직립 상승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챔질 시기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작용하는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로써, 이는 직립성을 겸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시인성 또한 양호하며, 또한 선택적으로는 낚시 환경에 맞추어 필요시 찌 전체의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The configuration of Sailor Document 2 is a main body, a chi-saw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 chi-saw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 stopper fixed to the chi-saw, and the above-mentioned chi-saw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It consists of an auxiliary body that can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ove-mentioned chisaw between one top and a stopper, and while the main body is located below the point where it is 1/3 from the bottom of the total length of the chisaw, the above-mentioned auxiliary body Due to the weight distribu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loat is located around 1/3 from the bottom of the total length of the float, and after throwing the preparation, the float is stable on the water surface until the auxiliary body reaches the surface by the lift by the bite. One auxiliary body is located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to form buoyancy for the above-mentioned float, and when the above-mentioned auxiliary body reaches the water surface, it loses buoyancy for the above-mentioned float, and at the same time guides the upright rise of the above-mentioned float, In addition, it is a freshwater fishing float with a position-variable auxiliary body that acts as an indicator of the chamfering time. It has both uprightness and good visibility, and optionally adjust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ntire float to suit the fishing environment if necessary.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ve easily.

상기 선원문헌 1은 찌맞춤에 있어, 내부공간의 확장 또는 줄임으로 봉돌에 대한 찌의 부력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부력조절로서 봉돌을 수중 바닥에 위치시키는 침력으로 조절하거나 바닥으로부터 적절하게 띄울 수 있는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오랜 사용으로 누수로 인한 정밀 부력조절이 어려워지는 단점과 더불어 찌 제작에 따른 불량률이 많으며, 특히 수온에 따른 내부 결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시로 찌맞춤을 확인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In the seafarer document 1, the buoyancy of the bobbin is adjusted for the bongdol by expanding or reducing the inner space, and as the buoyancy control, it can be adjusted by the invasion force that places the bongdol at the bottom of the water or appropriately floated from the bottom Although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used as a function,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buoyancy due to water leakage after long use, and there is a high rate of defects due to the production of floats. There is a downside to

상기 선원문헌 2는 별도의 보조 몸통을 찌톱 길이 범위에서 유동가능하게 구비하여 주몸통에 대한 부력을 보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찌의 직립성을 유지시키고, 찌가 반듯하게 솟구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봉돌이 수중바닥에 닿는 바닥낚시에서 봉돌이 수중바닥으로 뜨고 바늘채비만 바닥에 닿게하는 내림낚시 혹은 봉돌과 바늘채비까지 모두 띄우는 중층낚시로의 전환시에는 새롭게 찌맞춤(찌의 부력에 대한 침력)을 새롭게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Said Sailor Document 2 provides a separate auxiliary body movable in the length range of the chisel top so that it can be used by assisting the buoyancy of the main body, but this helps to maintain the uprightness of the float and to make the float rise straight By giving a new float (buoyancy of the float) when changing from bottom fishing in which the rod touches the bottom of the water to down fishing in which the rod floats to the bottom and only the needle rig touches the bottom, or intermediate fishing in which both the rod and the needle rig are floated. There was the hassle of having to renew the invasio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올림 낚시를 위해 침력에 대응되게 부력이 맞추어진 찌에 있어 찌톱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맞추어진 찌의 부력을 증가시켜 무게추인 봉돌을 바닥으로부터 띄워 올림 낚시와는 달리 내림 낚시 및 중층낚시로 바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부력조절구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수면에 올려진 찌톱을 돋보이게 하는 효과와 더불어 낚시 찌의 몸통과 접하는 찌톱의 경계부위의 취약점을 보강할 수 있는 용도로도 활용 가능한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n a bobber whose buoyancy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invasion force for lifting fishing, it is provided movably on the bobbin and increases the buoyancy of the fitted bobber to increase the weight Unlike lifting fishing by floating the weight rod from the bottom, it can be immediately switched to lowering fishing and mid-layer fishing, and when not used as a buoyancy control tool, it enhances the floating top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body and body of the fishing floa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ariable buoyancy control tool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tha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reinforcing the weakness of the boundary of the contact sa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찌톱의 상단에서는 자체 탄성력으로 찌톱의 외측둘레에 결합되어 찌몸통의 상부측 찌톱 전체 길이의 구간 내에서 유동 및 고정되며, 봉돌의 침력에 대한 찌의 부력 맞춤시 수면 위의 찌톱 위치에서는 찌 돋보기로 활용되고,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찌톱과 찌몸통이 접하는 경계부위에서 부력상승을 도와 찌톱을 수면위로 상승시키고, 봉돌은 수중 바닥에서 띄울 수 있는 내림낚시 및 중층낚시로 전환하도록 된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end of the chitop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hitop with its own elastic force, so that it flows and is fixed within the entire length of the upper side chitop of the body, and the buoyancy of the chitop against the penetration of the bongdol. It is used as a magnifying glass at the position of the saw top on the water surface when it is aligned, and at the boundary where the saw top and the body of the float are in contact, it helps to increase buoyancy and raises the saw saw to the surface of the water. In the variable buoyancy control tool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to be switched to fishing,

상기 부력조절구는, 중공의 파이프형, 또는 각재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카본, 유리섬유, 폴리카보네이트 및 빛이 투과되는 광섬유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성형되며, 그 외표면에는 형광도료가 도색된 관체와, 상기 관체 내에 삽입 부착되는 중공형으로 찌톱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탄성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oyancy control device is made of either a hollow pipe type or a square material shape, and is formed of any one of carbon, glass fiber, polycarbonate, and light-transmitting optical fiber material, and the outer surface thereof has a fluorescent material. It is characterized by combining a tubular body painted with paint and an elastic body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hitop in a hollow shape inserted into and attached to the tubular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탄성체는 실리콘, 발포 폼, 고무튜브 중 어느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astic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silicone, foam, rubber tube.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부력조절구는 다수개로 상기 찌톱 및 찌톱과 찌몸통이 접하는 지점에 찌몸통의 상부 일부분을 포함하는 형태로 분할 고정되어 찌몸통의 부력조절과 찌 돋보기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oyanc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and fixed in a form including an upper part of the jjitap at the point where the jjitap and the jjitap and the jjitong are in contact, and is used as a buoyancy control and a jjit magnifying glass.

본 고안의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는, 탄력성으로 찌톱의 외측둘레에 결합되어 찌톱의 최상부와 찌몸통과 접하는 최하부의 구간 내에서 자유롭게 위치조정가능하며, 찌톱 상부에 결합한 상태로 바닥낚시에 맞는 찌맞춤을 실시한 상태에서는 찌 돋보기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고, 수면 이하에 위치하는 찌몸톰통과의 경계부위에 부력조절구를 위치시키면, 부력조절구의 찌몸통에 대한 체적에 부력조절구의 부피가 갖는 체적을 높여 줌으로써, 바닥낚시에서 이용하였던 봉돌의 침력 대비 찌에 부력을 부력조절구가 갖는 체적만큼 상승시켜 수중 바닥으로부터 봉돌을 띄우고, 찌톱을 수면 위로 상승시키고, 바늘채비만을 바꾸어 줌으로써, 내림 또는 중층낚시로 전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찌 동작이 예민하게 나타나는 낚시, 적정 수심 층에 머무는 고기를 낚을 수 있는 채비 전환효과가 있고, 찌몸텁과 접하는 찌목 부위에 부력조절구를 위치시켜 줌으로써 강한 챔질에 찌목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The variable buoyancy control tool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oat saw with elasticity, and can be freely positioned within the uppermost section of the float saw and the lowermost section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float,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loat saw, suitable for bottom fishing. In the state of being fitted, it can be used as a magnifying glass, and when the buoyancy control sphere is placed at the boundary of the buoyancy control sphere located below the water surface, the volume of the buoyancy control sphere has a volume relative to the body of the buoyancy control sphere By increasing it, the buoyancy of the rod used in bottom fishing is raised by the volum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to float the rod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raise the ro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change only the needle rigging, thereby lowering or intermediate fishing Because it can be used for conversion, there is an effect of switching the gear to catch fishing that shows sensitive movements of the float and fish staying in the appropriate depth layer, and by locating the buoyancy control device on the part of the neck that contacts the body of the body, the body of the body is damaged by strong chamfering It can also be used for purposes that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도 1은 본 고안인 부력조절구를 적용한 민물찌의 찌맞춤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조절구를 찌톱 상부에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부력조절구를 찌톱에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부력조절구를 찌톱에 분할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분할된 부력조절구를 찌톱 및 찌목부위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찌톱에 부력조절구가 적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fit of a freshwater float to which the buoyancy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top of the chisaw;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control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hitop;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control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and applied to the chitop;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control unit divided in FIG.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control tool is applied to another chis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Hereinafter,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s will be clearly reveale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1 to 6.

첨부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10)는,As shown in the attached FIG. 2, the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10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찌톱(2)의 상단에서는 자체 탄성력으로 찌톱의 외측둘레에 결합되어 찌몸통(3)의 상부측 찌톱 전체 길이의 구간 내에서 유동 및 고정되며, 봉돌(W)의 침력에 대한 찌(1)의 부력 맞춤시 수면 위의 찌톱 위치에서는 찌 돋보기로 활용되고,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찌톱과 찌몸통이 접하는 경계부위에서 부력상승을 도와 찌톱을 수면위로 상승시키고, 봉돌(W)은 수중 바닥에서 띄울 수 있는 내림낚시 및 중층낚시로 전환하도록 된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10)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구(10)는 중공의 파이프형, 또는 각재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카본, 유리섬유, 폴리카보네이트 및 빛이 투과되는 광섬유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성형되며, 그 외표면에는 형광도료가 도색된 관체(12)와, 상기 관체(12) 내에 삽입 부착되는 중공형으로 찌톱(2)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탄성체(14)가 결합된다.
At the top of the jjitap (2), it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jjitap with its own elastic force and flows and is fixed within the section of the entire length of the upper side jjitap of the jjitap (3). When adjusting the buoyancy, it is used as a magnifying glass at the position of the saw top on the water surface, and at the boundary where the saw top and the body of the bo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helps to increase the buoyancy and raises the saw top to the surface of the water. In the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10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to be switched to down fishing and mid-layer fishing,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is made of either a hollow pipe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and is formed of any one of carbon, glass fiber, polycarbonate, and light-transmitting optical fiber material. On the surface, a tubular body 12 painted with fluorescent paint and an elastic body 14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hisaw 2 in a hollow shape inserted into and attached to the tubular body 12 are coupled.

상기 찌톱은 1.5~2mm의 직경으로 제작된 튜브형 찌톱, 광섬유형 찌톱으로, 발광체가 미적용된 낮낚시용 혹은 배터리와 램프에 의해 빛이 지톱에 전도되어 찌톱자체가 발광되는 전자찌용 찌톱에 해당한다.The chisaw is a tube-type chisaw and an optical fiber chisaw manufactured with a diameter of 1.5 to 2 mm, and is a chisaw for daytime fishing without a luminous body or an electronic chisaw in which light is transmitted to the chisaw by a battery and a lamp so that the chisaw itself emits light. Corresponds to.

상기 관체(12)는 비교적 하드(Hard)한 소재인 반면에, 상기 탄성체(14)는 소프트한 소재이면서 전반적으로 이들의 합체에 따른 무게는 찌의 무게 중심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의 소재이면 모두 제작 가능하다. While the tube body 12 is a relatively hard material, the elastic body 14 is a soft material, and overall, if the weight according to their combination is a material in a range tha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loat all can be produc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부력조절구(10)의 관체(12) 및 탄성체(14)는 물에 뜨는 부력소재, 물의 비중보다 무거워 물에 뜨지 않고 가라앉는 소재여도 모두 가능하다. 이는 수면 위에 부력조절구(10)가 위치할 때에는 무게로 찌 맞춤에 반영되고, 수중에 위치되는 상태에서는 찌몸통(3)이 가지는 부력을 더하는 부력조절구의 부피에 대한 체적을 갖도록 하여 찌(1) 부력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The tube body 12 and the elastic body 14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may be a buoyancy material that floats on water or a material that sinks without floating on water because it is heavi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This is reflected in the fit of the float when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is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and has a volume relative to the volum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that adds the buoyancy of the float body 3 in the state of being located underwater, so that the float (1 ) can act as a factor that increases buoyancy.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찌에 대한 봉돌의 침력과 찌의 부양력(부력)을 1대 1로 맞춘 상태에서 상기의 부력조절구는 무게로 혹은 체적증가로 인한 부력체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buoyancy control device can act as a weight or a buoyancy body due to volume increase in a state where the buoyancy force (buoyancy) of the buoy and the buoyancy of the buoy is set to 1:1.

한편, 상기 탄성체(14)는 실리콘, 발포 폼, 고무튜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가능하다. 여기서 탄성체(14)의 외측에는 접착제의 도포로서 상기 관체(12)의 내경에 부착되도록 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body 14 can be applied by selecting any one of silicone, foam, and rubber tube. Here,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outer side of the elastic body 14 so that it is attach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body 12.

첨부된 도 4 및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의 부력조절구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부력조절구(10)는 다수개로 상기 찌톱(2) 및 찌톱과 찌몸통(3)이 접하는 지점에 찌몸통의 상부 일부분을 포함하는 형태로 분할 고정되어 찌몸통의 부력조절과 찌 돋보기의 용도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4 and 5 show a buoyancy control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where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is a plurality of pieces of the body of the body at the point where the top 2 and the top and the body 3 come into contact. It is divided and fixed in a form including an upper part so that it can be used for buoyancy control of the body and as a magnifying glass.

첨부된 도 6은 또 다른 찌(1)의 찌톱(2)에 부력조절구(10)가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카본 혹은 유리섬유 재질로 가늘게 제작된 찌톱(2)에 부력조절구(10)가 먼저 삽입되고, 이어서 찌톱의 상단에는 캐미컬라이트(C)를 꽂을 수 있는 캐미홀더(C1)이 부착된 타입의 찌로, 이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찌톱(2)의 구간 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력조절구(10)를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혹은 수중에 위치시켜 줌으로써, 부력조절구의 기능, 찌 돋보기의 기능, 찌목 보호 기능 등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is applied to the top 2 of another top 1, which is usually made of carbon or glass fiber material thinly. (10) is first inserted, and then a cami holder (C1)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chisaw to insert a camilight (C), which, as described above, is one or As described above, by placing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above or in the water, it is shown that it can be used as a function of a buoyancy control device, a function of a magnifying glass, a protection function, etc.

도면 중 미설명 부호 L1은 '원줄'을 나타내고, 부호 L2는 바늘채비인 '목줄'을 나타낸다. In the drawing, the unexplained sign L1 denotes a 'won line', and the reference sign L2 denotes a 'leash line', which is a needle rig.

이와 같이 구성된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조절구(10)의 위치 적용에 따라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은 찌 맞춤으로 바닥낚시와 내림낚시용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position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by switching to bottom fishing and bottom fishing with the same fit as in FIG. 1 attached.

바닥낚시를 위한 찌맞춤과정으로서, 도 1에서 ①은 초기에 찌의 부력보다 침력이 큰 봉돌(W)을 원줄(L1)의 끝단에 매단 상태, 즉 바늘채비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중에 찌(1) 전체가 가라 앉은 상태에서 찌 맞춤이 시작된다. As a floating process for bottom fishing, in Figure 1, ① is a state in which a rod stone (W), which initially has a greater buoyancy than the buoyancy of the float, is suspended from the end of the original line (L1), that is, in the state of not being equipped with a needle ( 1) Floating begins when the whole is submerged.

이때의 부력조절구(10)는 찌톱(2)의 최상단에 결합한 상태이며, 찌(1)를 원줄(L1)상에서 위로 올려 충분히 수면에 찌톱이 3~4마디 올라온 상태에서 다시 찌를 20~30센티정도 바늘채비쪽으로 내린 다음, 봉돌(W)의 무게를 자라내어 조금씩 감소시켜 가면서 찌 맞춤을 실행한다.At this time,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pike saw (2), and the pike (1) is raised on the original line (L1) to raise the pike (1) up to 20 to 30 cm to stab again in a state where the pike saw is raised 3 to 4 node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fter descending to the level of the needle set, increase the weight of the bongdol (W) and reduce it little by little while performing the stitching.

도 1의 ②는 상기와 같이 봉돌의 무게를 점차 감소시켜 수면 위로 부력조절구를 포함한 찌톱(2)의 1마디 내지 1마디 반정도가 나오게 조절하여 일차적으로 찌(1)의 부양력 대비 침력을 동등한 형태로 만들어 준다.In ② of FIG. 1, the weight of the bongdol is gradually reduc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buoyancy control tool is adjusted so that one to one and a half joints of the jjisaw (2) comes ou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make it in shape

도 1의 ③은 상기 부력조절구(10)를 포함한 찌톱(2)의 상부가 2~3마디 수면위로 노출되게 하되, 봉돌(W)에는 바늘과 함께 채비되는 목줄(L2)를 매달고 미끼를 바늘에 달아 낚시를 시작한다.In ③ of FIG. 1, the upper part of the jjisaw (2) including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is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by 2 to 3 segments, but the leash (L2) equipped with the needle is hung on the rod stone (W) and the bait is hooked to the needle hang on it and start fishing.

도 1의 ④는 상기와 같은 바닥낚시에서 내림낚시로 전환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는 찌톱(2) 상부에 위치한 부력조절구(10)를 찌몸통(3)으로 내려 준 것으로, 이때 부력조절구는 찌몸통과 함께 수중에 위치하면서 찌몸통에 부력을 더하는 부력재로 작용한다.④ of FIG. 1 shows the transition from bottom fishing to bottom fishing as described above, which lowers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located at the top of the float saw 2 to the body of the float 3. At this time, the buoyancy control device It acts as a buoyancy material that adds buoyancy to the body of the float while being located underwater with the body of the float.

즉, 부력조절구가 갖는 체적을 10cc로 가정한다면, 수중에 위치한 찌톱 전체구간 중 부력조절구의 체적에 대한 부양력 대비 해당 찌톱의 체적 10cc에 해당하는 길이가 수면으로 노출되는 것이다. That is, assuming that the volume of the buoyancy control tool is 10 cc,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volume of 10 cc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is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compared to the buoyancy force for the volum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among the entire section of the buoyancy control tool.

따라서, 부력조절구(10)가 갖는 체적만큼 찌톱(2)은 수면위로 상승하게 되고, 봉돌은 그만큼 수중바닥에서 띄워진 상태가 된다. 여기서 바늘채비인 목줄(L2)을 긴 목줄로 전환하면, 바늘과 미끼는 바닥에 닿는 슬로프 형태로 전환되어 굳이 봉돌의 무게를 감소시키지 않고도 바닥낚시 모드에서 내림낚시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much as the volum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has, the chitop 2 rises above the water surface, and the bongdol is floated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by that much. Here, if the leash (L2), which is a needle setup, is converted to a long leash, the needle and bait are converted to a slope that touches the bottom, so that it is possible to switch from bottom fishing mode to down fishing without necessarily reducing the weight of the rod.

상기 부력조절구(10)는 다양한 크기로 준비하여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하거나 그 수를 증가시키면, 수면위의 찌톱(2)이 노출된 길이, 찌를 내리면 그만큼 수중바닥에서 바늘이 띄워지는 중층낚시모드로 전환 사용이 가능하다.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is prepared in various sizes and is simply replaced and used or when the number is increased, the exposed length of the float 2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the mid-level fishing mode in which the needle floats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by that much when the float is lowered. conversion is possible.

본 고안에 따른 부력조절구(10)는 다수개 준비하여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면위로 노출된 찌톱의 상단부, 중간, 찌몸통과 찌톱이 접하는 경계부위에 부력조절구를 분할형태로 나뉘어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찌의 부양력 조절은 물론,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찌톱 상승시 찌 돋보기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A plurality of buoyancy control device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pared, and as shown in FIG. 5, the buoyancy control devices are divided and fixed at the upper end, the middle, and the boundary where the body and the chin top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Because it can be done, it can be usefully used not only to adjust the flotation of the float, but also to magnify the float when the top of the float rises according to the bite of the fish.

또한 상기와 같이 찌톱이 만나는 찌몸통에 부력조절구를 위치시키면, 낚시에 따른 강한 챔질시 찌목(찌톱과 몸통의 경계부위)이 부러짐을 미연에 방지하는 용도로도 활용성이 높다. In addition, if the buoyancy control tool is placed on the body of the body where the saw saw meets, it is also highly usabl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break of the neck (the boundary between the saw and the body) in advance during strong fishing.

결국 본 고안에 따른 부력조절구는 단위별로, 혹은 무게별로 하나 또는 다수개로 분할 제작하여 낚시인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찌의 부력에 부피를 더한 부력상승목적으로 바닥낚시와는 달리 다른 내림, 중충낚시의 전환을 쉽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성이 떨어지는 기존 내부공간 체적을 늘리고 줄이는 방식에 비해 효율적인 낚시를 즐길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In the end, the buoyanc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one or multiple pieces by unit or weight to increase the buoyancy by adding volume to the buoyancy of various floats that anglers have. Since it can be applied easily, it provides an advantage in enjoying efficient fishing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of increasing and reducing the volume of the internal space, which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poor manufacturing.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se claims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찌 2: 찌톱
3: 찌몸통 10: 부력조절구
11: 삽입공 12: 관체
14: 탄성체 W: 봉돌
L1: 원줄 L2: 목줄
1: poke 2: poke saw
3: body body 10: buoyancy control
11: insertion hole 12: pipe body
14: elastic body W: bongdol
L1: one line L2: leash

Claims (5)

찌톱(2)의 상단에서는 자체 탄성력으로 찌톱의 외측둘레에 결합되어 찌몸통(3)의 상부측 찌톱 전체 길이의 구간 내에서 유동 및 고정되며, 봉돌(W)의 침력에 대한 찌(1)의 부력 맞춤시 수면 위의 찌톱 위치에서는 찌 돋보기로 활용되고,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찌톱과 찌몸통이 접하는 경계부위에서 부력상승을 도와 찌톱을 수면위로 상승시키고, 봉돌(W)은 수중 바닥에서 띄울 수 있는 내림낚시 및 중층낚시로 전환하도록 된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10)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구(10)는 중공의 파이프형, 또는 각재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카본, 유리섬유, 폴리카보네이트 및 빛이 투과되는 광섬유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성형되며, 그 외표면에는 형광도료가 도색된 관체(12)와, 상기 관체(12) 내에 삽입 부착되는 중공형으로 찌톱(2)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탄성체(1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
At the top of the jjitap (2), it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jjitap with its own elastic force and flows and is fixed within the section of the entire length of the upper side jjitap of the jjitap (3). When adjusting the buoyancy, it is used as a magnifying glass at the position of the saw top on the water surface, and at the boundary where the saw top and the body of the bo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helps to increase the buoyancy and raises the saw top to the surface of the water. In the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10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to be switched to down fishing and mid-layer fishing,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is made of either a hollow pipe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and is formed of any one of carbon, glass fiber, polycarbonate, and light-transmitting optical fiber material. Variable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characterized in that a tubular body 12 painted with fluorescent paint on the surface and an elastic body 14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hisaw 2 in a hollow shape inserted into the tubular body 12 are combined buoyancy regula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4)는 실리콘, 발포 폼, 고무튜브 중 어느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body 14 is a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silicone, foam, rubber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구(10)는 다수개로 상기 찌톱(2) 및 찌톱과 찌몸통(3)이 접하는 지점에 찌몸통의 상부 일부분을 포함하는 형태로 분할 고정되어 찌몸통의 부력조절과 찌 돋보기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
According to claim 1,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is divided and fixed in a form including an upper part of the jjitap at the point where the jjisaw 2 and the jjisaw and the jjitong 3 come into contact, and used as a buoyancy control and a jjit magnifying glass. Variable buoyancy control tool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characterized in that being.
KR2020200003463U 2020-09-23 2020-09-23 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KR20049684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463U KR200496849Y1 (en) 2020-09-23 2020-09-23 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463U KR200496849Y1 (en) 2020-09-23 2020-09-23 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55U KR20200002255U (en) 2020-10-14
KR200496849Y1 true KR200496849Y1 (en) 2023-05-10

Family

ID=7280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463U KR200496849Y1 (en) 2020-09-23 2020-09-23 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49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016Y1 (en) * 2000-11-20 2001-06-15 조정진 Assembled tishing float
KR200484700Y1 (en) 2015-10-01 2017-10-17 이덕열 Float for fis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630Y1 (en) * 1996-11-22 1999-10-15 김순태 The float for fishing
KR20130000053U (en) * 2011-06-23 2013-01-03 이상지 A float for regulating buotancy
KR101882086B1 (en) * 2016-08-03 2018-07-26 주진미 Double fishing float easy to measure the depth of water and possible to control buoyancy minute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016Y1 (en) * 2000-11-20 2001-06-15 조정진 Assembled tishing float
KR200484700Y1 (en) 2015-10-01 2017-10-17 이덕열 Float for fi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55U (en)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9662A (en) Curved fishing post
KR101364793B1 (en) Multi functional fishing float
KR200496849Y1 (en) 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KR102370025B1 (en) Freshwater floats with delayed ascent speed
KR20180014491A (en) Stick float
KR100639600B1 (en) A buoyancy controlling apparatus and the fishing buoy having it
JP3154598U (en) Fishing for day and night fishing
KR101556764B1 (en) Fishing tool
KR102229119B1 (en) Fishing float
KR101672168B1 (en) A buoyancy-adjustable float using air pocket phenomenon
KR200391787Y1 (en) Float
KR20130119677A (en) An electronic incline float for fishing
JP2018078843A (en) Fishing rod float facilitating position adjustment of buoyancy tool
WO2016126106A1 (en) Fishing float
KR20120124884A (en) A hall float for fishing
KR200377267Y1 (en) a fishing float
KR100632772B1 (en) A buoyancy control device
KR200494187Y1 (en) Fishing float with function of buoyancy adjusting
KR200381785Y1 (en) Plastic top on a float for fishing
KR970001360Y1 (en) A subaqueous float for fishing
KR20080005631U (en) Fishing float
JP2001103892A (en) Internally threaded rod float
KR101600479B1 (en) Electrical float which is adjustable buoyancy
KR100330514B1 (en) Fishing bobber
KR200227040Y1 (en) A float hase holes for fishing in the fresh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