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255U - 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 Google Patents

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255U
KR20200002255U KR2020200003463U KR20200003463U KR20200002255U KR 20200002255 U KR20200002255 U KR 20200002255U KR 2020200003463 U KR2020200003463 U KR 2020200003463U KR 20200003463 U KR20200003463 U KR 20200003463U KR 20200002255 U KR20200002255 U KR 202000022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saw
buoyancy control
control device
buoyancy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4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6849Y1 (en
Inventor
이종승
Original Assignee
이종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승 filed Critical 이종승
Priority to KR2020200003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49Y1/en
Publication of KR20200002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25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4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에 관한 것으로서, 탄력성으로 찌톱의 외측둘레에 결합되어 찌톱의 최상부와 찌몸통과 접하는 최하부의 구간 내에서 자유롭게 위치조정가능하며, 찌톱 상부에 결합한 상태로 바닥낚시에 맞는 찌맞춤을 실시한 상태에서는 찌 돋보기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고, 수면 이하에 위치하는 찌몸톰통과의 경계부위에 부력조절구를 위치시키면, 부력조절구의 찌몸통에 대한 체적에 부력조절구의 부피가 갖는 체적을 높여 줌으로써, 바닥낚시에서 이용하였던 봉돌의 침력 대비 찌에 부력을 부력조절구가 갖는 체적만큼 상승시켜 수중 바닥으로부터 봉돌을 띄우고, 찌톱을 수면 위로 상승시키고, 바늘채비만을 바꾸어 줌으로써, 내림 또는 중층낚시로 전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찌 동작이 예민하게 나타나는 낚시, 적정 수심 층에 머무는 고기를 낚을 수 있는 채비 전환효과가 있고, 찌몸텁과 접하는 찌목 부위에 부력조절구를 위치시켜 줌으로써 강한 챔질로 인한 찌목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The present design relates to a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which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hisaw due to its elasticity and can be freely positioned within the section of the top of the chisaw and the bottom in contact with the chisaw body, and bottom fishing in a state coupled to the top of the chisaw It can be used as a poke magnifying glass in the state of performing a dent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surface, and if the buoyancy control unit is positioned at the boundary of the bobbin passage located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volume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is adjusted to the volume of the bobbin trunk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By increasing the volume, the buoyancy of the float is increased by the volum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compared to the invasion of the stick used in bottom fishing to float the stick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raise the claw above the surface, and change only the needle rig to lower or Since it can be used as a middle-tier fishing, it has a sharp float movement, and has a conversion effect to catch fish that stays in the proper depth level, and by placing a buoyancy control device in the part of the floa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loat, it is caused by strong chamfering. It is a useful design that can also be used to prevent damage to the stinging area.

Description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본 고안은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올림 낚시를 위해 침력에 대응되게 부력이 맞추어진 찌에 있어 찌톱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맞추어진 찌의 부력을 증가시켜 무게추인 봉돌을 바닥으로부터 띄워 올림 낚시와는 달리 내림 낚시 및 중층낚시로 바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부력조절구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수면에 올려진 찌톱을 돋보이게 하는 효과와 더불어 낚시 찌의 몸통과 접하는 찌톱의 경계부위의 취약점을 보강할 수 있는 용도로도 활용 가능한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and more specifically, in a float with buoyancy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invasion force for raising fishing, it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flow on the float to increase the buoyancy of the matched float to gain weight. Unlike lifting fishing by floating the bongdol from the bottom, it can be used directly by converting to lowering fishing and mid-tier fishing, and when not used as a buoyancy control device, it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bobber on the surface stand out and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fishing float. It relates to a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that can be used as a purpose to reinforce the weakness of the edge of the chisaw.

일반적으로 민물낚시에는 낚시대를 비롯하여 낚시채비가 반드시 적용되며, 민물낚시의 대표적으로는 찌낚시가 보편적으로 행하여 지고 있다.In general, for freshwater fishing, fishing gear including a fishing rod must be applied, and as a representative of freshwater fishing, float fishing is generally practiced.

상기 낚시채비는 낚시대의 초릿대에 연결되는 원줄에 찌, 찌를 고정하기 위한 찌홀더, 찌홀더의 밀림을 방지하는 스톱퍼 및 찌의 부력에 맞는 무게 추(이하, 봉돌이라 칭함), 무게 추에 목줄을 매달아 달리는 낚시 바늘이 세팅되어 사용된다.The fishing rig includes a float on the main line connected to the chorizo of a fishing rod, a float holder for fixing the float, a stopper that prevents the float holder from being pushed, and a weight suitable for the buoyancy of the float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ngdol), and a neckline on the weight. A hanging fishing hook is set and used.

민물낚시 찌는 그 기본적인 형태가 몸통, 찌톱, 다리부분으로 크게 나뉘어 지며, 몸통의 소재는 가벼운 목(木)소재, 자연소재인 갈대, 수수대, 공작 깃, 나노 폼 등등으로 그 형태는 원추형, 유선형 등으로 제작되며, 상기 찌톱은 각기 다른 색상의 컬러가 칠해진 카본, 솔리드(유리섬유), 연신 튜브 등의 소재로서 가는 굵기로 제작되어 찌 몸통과 결합되거나 찌 몸통을 관통하고, 찌 몸통의 하부는 다리로 구분하여 각 부분을 균형있게 고정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The basic shape of freshwater fishing is largely divided into a body, a chisaw, and a leg, and the material of the body is a light wood material, a natural material such as reed, spearfish, peacock feather, nano foam, etc. The shape is conical, streamlined, etc. The chisel is made of a thin material such as carbon, solid (glass fiber), and stretched tubes painted in different colors, and is combined with the body or penetrates the body, and the lower part of the body is a leg It is manufactured in a way that is divided into and each part is fixed in a balanced manner.

찌톱은 일반적으로 최상단에 발광체인 케미컬라이트 혹은 낮캐미(일명 주간캐미), 배터리가 결합, 분리되는 전자캐미를 꽂기 위한 캐미홀더가 구비되며, 또한 지의 종류에 짜라 일명, 전자찌는 찌 몸통 내부에 소형배터리의 장착과 더불어 소형램프를 식재하여 찌톱에 빛이 전도되게 하는 일명 전자찌 전용 찌톱이 사용된다.A chi-top is generally equipped with a chemical light or day cami (a daytime cami) that is a light-emitting body at the top, and a cami holder for inserting an electronic cami that combines and separates the battery.Also, weave it according to the type of paper. Along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battery, a small lamp is planted to allow light to be transmitted to the chisaw.

상기 찌는 반드시 봉돌의 무게를 포함하여 부력과 침력을 맞추어 사용하게 되는바, 부력보다 봉돌의 침력이 강한 경우에는 봉돌을 조금씩 깍아 내거나 편납인 경우에는 가위로 조금씩 잘라내어 부력 대비 침력이 1 대 1이 되게 맞추어 줌으로써, 미끼를 취한 붕어 및 기타 어종은 섭이(攝餌) 동작에 따라 침력의 균형이 깨지면서 찌 부력에 영향을 주어 찌톱이 수면 위로 더 올라가거나 수면 아래로 내려가 동작을 낚시인이 이를 판별하고 낚시대를 잡고서 챔질 함으로써 해당 어종을 훅킹하여 낚을 수 있었다.The steaming must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buoyancy and sedimentation, including the weight of the bongdol.If the bongdol's invasion power is stronger than the buoyancy, the bongdol is cut out little by little, or in the case of braiding, it is cut out with scissors so that the invasion versus buoyancy is 1 to 1. By matching the bait, crucian carp and other fish species lose the balance of their invasion according to the feeding motion, affecting the floatation buoyancy, causing the floater to rise above the surface or descend below the surface, and the angler determines this and moves the fishing rod. It was possible to hook and catch the fish by grabbing it and slam it.

최근에는 기존의 납성분으로 제작된 봉돌을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인 소재의 봉돌이 사용되고 있으며, 부식이 없는 스테인레스, 황동재질로 제작된 보조링을 채비에 가감하는 방식으로 찌의 부력을 정밀하게 맞추어 사용하기도 한다.In recent years, it does not use the existing sticks made of lead, but the sticks made of eco-friendly materials, and the buoyancy of the bobs is precisely adjusted by adding or subtracting auxiliary rings made of stainless steel and brass without corrosion. It is also used.

상기와 같은 방식 외에도 최근에는 일일이 봉돌의 무게를 찌 부력대비 보조링을 추가하지 않고 찌 자체에서 조절하도록 한 찌들도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recently, there are also the floats in which the weight of the sticks is manually adjusted by the float itself without adding an auxiliary ring for the weight of the floats.

상기 찌 관련 선행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9600호(명칭: 부력조절장치 및 그 부력조절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찌, 공고일자: 2006년 11월 01일, 이하 이를 '선원문헌 1' 이라 칭함) 및 등록실용 제20-0249303호(명칭: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공고일자: 2001년 11월 16일, 이하 이를 '선원문헌 2' 라 칭함)가 개시되어 있다.Looking at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floa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39600 (Name: a float for fishing equipped with a buoyancy control device and its buoyancy control device, date of announcement: November 1, 2006, hereinafter referred to as'Seaman Document 1 ') and Registration Room No. 20-0249303 (Name: Freshwater Fishing Float with Position Variable Aid Body, Date of Announcement: November 16, 2001, hereinafter referred to as'Seaman's Document 2') has been disclosed.

상기 선원문헌 1은 민물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찌의 고정된 침력에 대한 부력을 사용자의 임의대로 자유롭게 가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낚시용 찌몸통에 장착하는 부력조절장치 및 그 부력조절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찌로서, 그 구성은 찌의 찌몸통 상측에 연결 고정될 수 있는 장치로서, 중공의 원통형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당접되어 이동가능한 중공의 원통형 제2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하우징의 상하이동거리에 따라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결합체의 부피가 일정범위내로 자유롭게 조절되어 이에 따라 부력이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되는 것으로, 찌 하부의 일정무게의 추에 의한 침하력에 대한 부력을 가감할 수 있도록 낚시용 찌의 찌몸통 상측에 별도로 장착된 것이 특징이며, 이러한 부력조절장치를 이용할 경우 봉돌의 절단이나 편납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어 낚시 현장에서의 정확한 찌맞춤을 신속하게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Said source document 1 is a buoyancy control device mounted on a fishing float that allows the user to freely adjust the buoyancy against the fixed invasion of a float used in freshwater fishing, and a fishing float having the buoyancy control device. As, the configuration is a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bbin body, consisting of a hollow cylindrical first housing and a hollow cylindrical second housing movable in contact with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he volum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combination is freely controlled within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and the buoyancy is freely controlled within a certain range, and the buoyancy against the settling force by the weight of a certain weight under the float is controll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parate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of the float for fishing so that it can be adjusted, and if such a buoyancy control device is used, the time required for cutting or knitting the stick can be drastically reduced and convenience can be improved.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quickly and conveniently perform an accurate denting of

선원문헌 2의 구성은, 주몸통과, 주몸통의 상단에 고정되는 찌톱과, 주몸통의 하단에 고정되는 찌다리와, 상기한 찌톱에 고정되는 스톱퍼와, 상기한 찌톱이 관통되고 주몸통의 상기한 상단과 스톱퍼 사이에서 상기한 찌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보조 몸통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주몸통이 찌 전체 길이의 하방으로부터 1/3이 되는 지점 아래에 위치하면서도, 상기한 보조 몸통의 무게 배분으로 인하여 찌의 무게 중심이 찌 전체 길이의 하방으로부터 1/3 부근에 위치하고, 채비 투척후 찌가 수면에 안정된 상태로부터 입질에 의한 찌 상승에 의하여 상기한 보조 몸통이 수면에 도달하기까지는 상기한 보조 몸통은 수면아래에 위치하여 상기한 찌에 대한 부력을 형성하며, 상기한 보조 몸통이 수면에 도달하면 상기한 찌에 대한 부력을 상실함과 동시에, 상기한 찌톱의 직립 상승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챔질 시기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작용하는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로써, 이는 직립성을 겸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시인성 또한 양호하며, 또한 선택적으로는 낚시 환경에 맞추어 필요시 찌 전체의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ource document 2 includes a main body, a chisaw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 chisaw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 stopper fixed to the chisaw, and the chisaw penetrated and the main body It consists of an auxiliary body that can be moved in posi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hisaw between one upper end and the stopper, and while the main body is located below a point that is 1/3 from the bottom of the total length of the chisaw, Due to weight distribu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bbin is located about 1/3 from the bottom of the overall length of the bob, and after throwing, the bobbin is stabilized on the water surface until the above-mentioned auxiliary body reaches the surface by the rise of the bob by biting. One auxiliary body is located under the surface of the water to form buoyancy against the aforementioned bobbin, and when the aforementioned auxiliary body reaches the surface, it loses the buoyancy against the aforementioned bobbin, and at the same time guides the erect rise of the aforementioned bobbin. In addition, as a freshwater fishing bobber with a position-variable auxiliary body that acts as an index indicating the timing of smacking, it has both uprightness and good visibility, and optionall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ntire bobbin if necessary according to the fishing environment.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ve easily.

상기 선원문헌 1은 찌맞춤에 있어, 내부공간의 확장 또는 줄임으로 봉돌에 대한 찌의 부력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부력조절로서 봉돌을 수중 바닥에 위치시키는 침력으로 조절하거나 바닥으로부터 적절하게 띄울 수 있는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오랜 사용으로 누수로 인한 정밀 부력조절이 어려워지는 단점과 더불어 찌 제작에 따른 불량률이 많으며, 특히 수온에 따른 내부 결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시로 찌맞춤을 확인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Said Source Document 1 is to adjust the buoyancy of the bongdol to the bongdol by expanding or reducing the internal space in jjigajom. As a buoyancy control, the bongdol can be adjusted by the invasion force placed on the underwater floor or can be properly floated from the flo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as a function, but with the disadvantage that precise buoyancy control due to leakage due to water leakage is difficult due to long use, there is a lot of defect rate due to the production of flakes.In particular, internal condensation may occur according to the water temperature, so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flakes frequently. There is a drawback.

상기 선원문헌 2는 별도의 보조 몸통을 찌톱 길이 범위에서 유동가능하게 구비하여 주몸통에 대한 부력을 보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찌의 직립성을 유지시키고, 찌가 반듯하게 솟구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봉돌이 수중바닥에 닿는 바닥낚시에서 봉돌이 수중바닥으로 뜨고 바늘채비만 바닥에 닿게하는 내림낚시 혹은 봉돌과 바늘채비까지 모두 띄우는 중층낚시로의 전환시에는 새롭게 찌맞춤(찌의 부력에 대한 침력)을 새롭게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Said Source Document 2 provides a separate auxiliary body to be able to flow 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the chisaw, so that it can be used by assisting the buoyancy on the main body, but this helps to maintain the uprightness of the chisel and to make the float rise straight. In the case of the transition from bottom fishing where the bongdol touches the underwater bottom to the bottom fishing where the bongdol floats to the bottom of the water and only the needle rigs touch the bottom, or when switching to mid-tier fishing where both bongdol and needle rigs float There was a hassle to renew the invasio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올림 낚시를 위해 침력에 대응되게 부력이 맞추어진 찌에 있어 찌톱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맞추어진 찌의 부력을 증가시켜 무게추인 봉돌을 바닥으로부터 띄워 올림 낚시와는 달리 내림 낚시 및 중층낚시로 바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부력조절구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수면에 올려진 찌톱을 돋보이게 하는 효과와 더불어 낚시 찌의 몸통과 접하는 찌톱의 경계부위의 취약점을 보강할 수 있는 용도로도 활용 가능한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nd is provided in a float with buoyancy corresponding to the invasion force for raising fishing, and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flow on the float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matched float Unlike raising fishing by floating the Chuin Bongdol from the bottom, it can be used directly by switching to lowering fishing and mid-tier fishing. When not used as a buoyancy control device, it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bobber on the surface stand out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that can also be used to reinforce the weaknesses of the boundary of the claw sa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상기 부력조절구는, 찌톱의 상단에서는 자체 탄성력으로 찌톱의 외측둘레에 결합되어 찌몸통의 상부측 찌톱 전체 길이의 구간 내에서 유동 및 고정되며, 봉돌의 침력에 대한 찌 의 부력 맞춤시 수면 위의 찌톱 위치에서는 찌 돋보기로 활용되고,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찌톱과 찌몸통이 접하는 경계부위에서 부력상승을 도와 찌톱을 수면위로 상승시키고, 봉돌은 수중 바닥에서 띄울 수 있는 내림낚시 및 중층낚시로 전환하는 것으로, 상기 찌톱의 외직경보다 작은 찌톱삽입공이 중앙에 관통된 연질의 합성수지계열로 제작된 타원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oyancy control device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hisaw with its own elastic force at the top of the chisaw, and is flowed and fixed within the entire length of the chisaw on the upper side of the chisel, and when the buoyancy of the chisaw against the invasion of the chisaw is matched, the chisaw on the water surface At the location, it is used as a poke magnifying glass, and at the boundary where the poke saw and the bobbin body ar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 it helps to increase the buoyancy and raises the pokesaw above the surface, and the bongdol converts to low-down fishing and mid-tier fishing that can be floated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elliptical body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series with a chisaw insertion hol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hisaw penetrated in the center.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부력조절구는 실리콘, 발포 폼, 우레탄소재 중 어느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oyanc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y one of silicone, foam, and urethane materials.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부력조절구는 중공의 파이프형, 또는 각재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카본, 솔리드(유리섬유), 폴리카보네이트 및 빛이 투과되는 광섬유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성형되며, 그 외표면에는 형광도료가 도색된 관체와, 상기 관체 내에 삽입 부착되는 중공형으로 찌톱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탄성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oyanc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y one of a hollow pipe type or a square member shape, and is formed of any one of carbon, solid (glass fiber), polycarbonate, and optical fiber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 A tube body painted with a fluorescent paint on its outer surface, and an elastic body position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hisaw in a hollow shape inserted and attached to the tube body are combined.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탄성체는 실리콘, 발포 폼, 고무튜브 중 어느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astic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silicone, foam, and rubber tube.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부력조절구는 다수개로 상기 찌톱 및 찌톱과 찌몸통이 접하는 지점에 찌몸통의 상부 일부분을 포함하는 형태로 분할 고정되어 찌몸통의 부력조절과 찌 돋보기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oyanc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vided and fixed in a form including an upper part of the chisel at a point where the chisaw and the chisaw and the chisel bod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s used as a buoyancy control of the chisel body and a chisel magnifying glass.

본 고안의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는, 탄력성으로 찌톱의 외측둘레에 결합되어 찌톱의 최상부와 찌몸통과 접하는 최하부의 구간 내에서 자유롭게 위치조정가능하며, 찌톱 상부에 결합한 상태로 바닥낚시에 맞는 찌맞춤을 실시한 상태에서는 찌 돋보기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고, 수면 이하에 위치하는 찌몸톰통과의 경계부위에 부력조절구를 위치시키면, 부력조절구의 찌몸통에 대한 체적에 부력조절구의 부피가 갖는 체적을 높여 줌으로써, 바닥낚시에서 이용하였던 봉돌의 침력 대비 찌에 부력을 부력조절구가 갖는 체적만큼 상승시켜 수중 바닥으로부터 봉돌을 띄우고, 찌톱을 수면 위로 상승시키고, 바늘채비만을 바꾸어 줌으로써, 내림 또는 중층낚시로 전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찌 동작이 예민하게 나타나는 낚시, 적정 수심 층에 머무는 고기를 낚을 수 있는 채비 전환효과가 있고, 찌몸텁과 접하는 찌목 부위에 부력조절구를 위치시켜 줌으로써 강한 챔질에 찌목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The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of the present design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hisaw with elasticity and can be freely positioned within the section of the top of the chisaw and the lowest part in contact with the chisaw body. In the state of being customized, it can be used as a magnifying glass, and i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is placed at the boundary of the body torso located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volum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is adjusted to the volume of the body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By raising it, the buoyancy of the float compared to the invasion of the stick used in bottom fishing is raised by the volum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to float the stick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raise the chisaw above the water surface, and change only the needle rig to go down or mid-tier fishing. Because it can be used for conversion, it has the effect of changing the rigging to catch fish that stays in the proper depth and fishing that shows sensitive float movement, and by placing a buoyancy control device in the area of the floa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loat, it damages the float by strong chamfering. It can also be used for purposes that can prevent it from becoming.

도 1은 본 고안인 부력조절구를 적용한 민물찌의 찌맞춤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조절구를 찌톱 상부에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부력조절구를 찌톱에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부력조절구를 찌톱에 분할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분할된 부력조절구를 찌톱 및 찌목부위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찌톱에 부력조절구가 적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 1 is a front view sequentially showing a dent of a freshwater floa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uoyancy control device is applie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top of the chisaw,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control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hisaw,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control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and applied to a chisaw,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control unit divided in FIG. 4 is positioned on a chisaw and a chimok por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control device is applied to another chis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Hereinafter,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s will be clearly reveale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s follows.

첨부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10)는,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 2, the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10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찌톱(2)의 상단에서는 자체 탄성력으로 찌톱의 외측둘레에 결합되어 찌몸통(3)의 상부측 찌톱 전체 길이의 구간 내에서 유동 및 고정되며, 봉돌(W)의 침력에 대한 찌(1)의 부력 맞춤시 수면 위의 찌톱 위치에서는 찌 돋보기로 활용되고,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찌톱과 찌몸통이 접하는 경계부위에서 부력상승을 도와 찌톱을 수면위로 상승시키고, 봉돌(W)은 수중 바닥에서 띄울 수 있는 내림낚시 및 중층낚시로 전환하는 것으로, 상기 찌톱(2)의 외직경보다 작은 찌톱삽입공(11)이 중앙에 관통된 연질의 합성수지계열로 제작된 타원형체이다.At the top of the chisaw (2), it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hisaw by its own elastic force and flows and is fixed within the entire length of the chisaw on the upper side of the chisel (3). When the buoyancy is adjusted, it is used as a magnifying glass in the position of the chisel above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it helps to increase the buoyancy at the boundary where the chisaw and the chisel body located under the surface of the water to raise the chisaw above the water surface, and the Bongdol (W) can be floated from the underwater floor. It is an elliptical body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series with a chisaw insertion hole 11 that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hisaw 2, which is converted into low-down fishing and mid-tier fishing.

상기 찌톱은 1.5~2mm의 직경으로 제작된 튜브형 찌톱, 광섬유형 찌톱으로, 발광체가 미적용된 낮낚시용 혹은 배터리와 램프에 의해 빛이 지톱에 전도되어 찌톱자체가 발광되는 전자찌용 찌톱에 해당한다.The chisaw is a tube-type chisaw and an optical fiber-type chisaw made with a diameter of 1.5 to 2 mm, and corresponds to a chisaw for daytime fishing in which a light-emitting body is not applied, or a chisaw for an electronic chisel in which light is conducted to the chisaw by a battery and a lamp to emit light.

상기 부력조절구(10)는 실리콘, 발포 폼, 우레탄소재 중 어느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무게 대비 부력 상승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소재이면 모두 가능하다.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is made of any one of silicone, foam, and urethane material, and any material that can help increase buoyancy relative to weight may be used.

상기 부력조절구(10)는 첨부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의 파이프형, 또는 각재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카본, 솔리드(유리섬유), 폴리카보네이트 및 빛이 투과되는 광섬유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사출 성형되며, 그 외표면에는 형광도료가 도색된 관체(12)와, 상기 관체 내에 삽입 부착되는 중공형으로 찌톱(2)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탄성체(14)가 결합된 형태로도 적용 가능하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 3,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is formed in any one shape of a hollow pipe type or a rectangular shape, but carbon, solid (glass fiber), polycarbonate and light are transmitted. It is injection-molded from any one of the optical fiber materials, and the outer surface thereof includes a tube body 12 painted with a fluorescent paint, and an elastic body 14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hisel 2 in a hollow shape inserted and attached to the tube body. It can also be applied in a combined form.

상기 관체(12)는 비교적 하드(Hard)한 소재인 반면에, 상기 탄성체(14)는 소프트한 소재이면서 전반적으로 이들의 합체에 따른 무게는 찌의 무게 중심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의 소재이면 모두 제작 가능하다. Whereas the tubular body 12 is a relatively hard material, the elastic body 14 is a soft material and the overall weight due to the combination thereof is a material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loat All can be made.

상기 부력조절구(10)의 관체(12) 및 탄성체(14)는 물에 뜨는 부력소재, 물의 비중보다 무거워 물에 뜨지 않고 가라앉는 소재여도 모두 가능하다. 이는 수면 위에 부력조절구(10)가 위치할 때에는 무게로 찌 맞춤에 반영되고, 수중에 위치되는 상태에서는 찌몸통(3)이 가지는 부력을 더하는 부력조절구의 부피에 대한 체적을 갖도록 하여 찌(1) 부력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The tubular body 12 and the elastic body 14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may be a buoyancy material floating in water or a material that is heavi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and sinks without floating in water. This is reflected by weight when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is positioned on the water surface, and in a state in which it is located underwater, it has a volume for the volum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that adds the buoyancy of the body 3 ) It can act as a factor to increase buoyancy.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찌에 대한 봉돌의 침력과 찌의 부양력(부력)을 1대 1로 맞춘 상태에서 상기의 부력조절구는 무게로 혹은 체적증가로 인한 부력체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o be more specific, the buoyancy control device can act as a weight or as a buoyancy body due to an increase in volume in a state where the invasion of the bongdol and the buoyancy (buoyancy) of the bob are adjusted to one to one.

한편, 상기 탄성체(14)는 실리콘, 발포 폼, 고무튜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가능하다. 여기서 탄성체(14)의 외측에는 접착제의 도포로서 상기 관체(12)의 내경에 부착되도록 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body 14 can be applied by selecting any one of silicone, foam, and rubber tube. Here,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elastic body 14 to be attach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body 12.

첨부된 도 4 및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의 부력조절구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부력조절구(10)는 다수개로 상기 찌톱(2) 및 찌톱과 찌몸통(3)이 접하는 지점에 찌몸통의 상부 일부분을 포함하는 형태로 분할 고정되어 찌몸통의 부력조절과 찌 돋보기의 용도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Attached Figures 4 and 5 show the buoyancy control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wherein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is a plurality of the chisaw 2 and the chisaw and the chisaw body 3 at the contact point of the chisel body It is divided and fixed to include a part of the upper part, so that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buoyancy of the body and as a magnifying glass.

첨부된 도 6은 또 다른 찌(1)의 찌톱(2)에 부력조절구(10)가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카본 혹은 솔리드 재질의 가늘게 제작된 찌톱(2)에 부력조절구(10)가 먼저 삽입되고, 이어서 찌톱의 상단에는 캐미컬라이트(C)를 꽂을 수 있는 캐미홀더(C1)이 부착된 타입의 찌로, 이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찌톱(2)의 구간 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력조절구(10)를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혹은 수중에 위치시켜 줌으로써, 부력조절구의 기능, 찌 돋보기의 기능, 찌목 보호 기능 등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Attached Figure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buoyancy control unit 10 is applied to the chisaw 2 of another chisaw 1, which is usually a buoyancy control tool on the chisaw 2 made of carbon or solid material. 10) is inserted first, and then a cami holder (C1) for inserting a chemical light (C)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chip top. This is one or more within the section of the chip top (2) as described above. By placing the above buoyancy control unit 10 above or in the water as described above, it is shown that it can be used as a function of a buoyancy control unit, a function of a poke magnifying glass, a poke protection function, and the like.

도면 중 미설명 부호 L1은 '원줄'을 나타내고, 부호 L2는 바늘채비인 '목줄'을 나타낸다. In the drawings,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L1 denotes'one line', and reference numeral L2 denotes a'neckline', which is a needle fitting.

이와 같이 구성된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The ac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조절구(10)의 위치 적용에 따라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은 찌 맞춤으로 바닥낚시와 내림낚시용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position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by switching to bottom fishing and bottom fishing with a float fit as in FIG. 1.

바닥낚시를 위한 찌맞춤과정으로서, 도 1에서 ①은 초기에 찌의 부력보다 침력이 큰 봉돌(W)을 원줄(L1)의 끝단에 매단 상태, 즉 바늘채비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중에 찌(1) 전체가 가라 앉은 상태에서 찌 맞춤이 시작된다. As a flotation process for bottom fishing, in Fig. 1, ① in FIG. 1 indicates that a bongdol (W), which has a greater invasion force than the buoyancy of the float initially, is suspended at the end of the main line (L1),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needle is not prepared. 1) In the state where the whole is subsided, the bobbins start.

이때의 부력조절구(10)는 찌톱(2)의 최상단에 결합한 상태이며, 찌(1)를 원줄(L1)상에서 위로 올려 충분히 수면에 찌톱이 3~4마디 올라온 상태에서 다시 찌를 20~30센티정도 바늘채비쪽으로 내린 다음, 봉돌(W)의 무게를 자라내어 조금씩 감소시켜 가면서 찌 맞춤을 실행한다.At this time,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is in a state that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chisaw (2), and the chisaw (1) is raised above the main line (L1), and the chisaw is sufficiently raised on the surface by 20 to 30 cm. After lowering it toward the needle rig, increase the weight of Bongdol (W) and decrease it little by little, and perform the bobbin fit.

도 1의 ②는 상기와 같이 봉돌의 무게를 점차 감소시켜 수면 위로 부력조절구를 포함한 찌톱(2)의 1마디 내지 1마디 반정도가 나오게 조절하여 일차적으로 찌(1)의 부양력 대비 침력을 동등한 형태로 만들어 준다.② in Fig. 1 is, as described above, by gradually reducing the weight of the bongdol so that one to one and a half measures of the chisaw (2) including the buoyancy control device appear above the surface of the water. Make it into a shape.

도 1의 ③은 상기 부력조절구(10)를 포함한 찌톱(2)의 상부가 2~3마디 수면위로 노출되게 하되, 봉돌(W)에는 바늘과 함께 채비되는 목줄(L2)를 매달고 미끼를 바늘에 달아 낚시를 시작한다.③ of FIG. 1 is to expose the upper part of the chisaw (2) including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2 to 3 nodes above the water surface, but hang a neckline (L2) prepared with a needle on the bongdol (W), and attach the bait And start fishing.

도 1의 ④는 상기와 같은 바닥낚시에서 내림낚시로 전환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는 찌톱(2) 상부에 위치한 부력조절구(10)를 찌몸통(3)으로 내려 준 것으로, 이때 부력조절구는 찌몸통과 함께 수중에 위치하면서 찌몸통에 부력을 더하는 부력재로 작용한다.④ of FIG. 1 shows the transition from bottom fishing to bottom fishing as described above, which is to lower the buoyancy control unit 10 located on the top of the chisaw (2) to the float body (3), at this time, the buoyancy control unit It acts as a buoyant material that adds buoyancy to the body while being located underwater along with the body.

즉, 부력조절구가 갖는 체적을 10cc로 가정한다면, 수중에 위치한 찌톱 전체구간 중 부력조절구의 체적에 대한 부양력 대비 해당 찌톱의 체적 10cc에 해당하는 길이가 수면으로 노출되는 것이다. That is, if the volum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is assumed to be 10 cc,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volume of the chisaw 10 cc compared to the buoyancy force for the volum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is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entire section of the chisaw located underwater.

따라서, 부력조절구(10)가 갖는 체적만큼 찌톱(2)은 수면위로 상승하게 되고, 봉돌은 그만큼 수중바닥에서 띄워진 상태가 된다. 여기서 바늘채비인 목줄(L2)을 긴 목줄로 전환하면, 바늘과 미끼는 바닥에 닿는 슬로프 형태로 전환되어 굳이 봉돌의 무게를 감소시키지 않고도 바닥낚시 모드에서 내림낚시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much as the volum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the chisaw 2 rises above the water surface, and the bongdol floats from the underwater floor that much. Here, when the neckline (L2), which is a needle rigging, is converted to a long neckline, the needle and the bait are converted into a slope that touches the floor, so that it is possible to switch from bottom fishing mode to downfishing without reducing the weight of the stick.

상기 부력조절구(10)는 다양한 크기로 준비하여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하거나 그 수를 증가시키면, 수면위의 찌톱(2)이 노출된 길이, 찌를 내리면 그만큼 수중바닥에서 바늘이 띄워지는 중층낚시모드로 전환 사용이 가능하다.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is prepared in a variety of sizes and is simply replaced and used, or if the number is increased, the length of the chisel 2 on the surface of the water is exposed, and when the float is lowered, the needle is floated from the underwater floor. Conversion use is possible.

본 고안에 따른 부력조절구(10)는 다수개 준비하여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면위로 노출된 찌톱의 상단부, 중간, 찌몸통과 찌톱이 접하는 경계부위에 부력조절구를 분할형태로 나뉘어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찌의 부양력 조절은 물론,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찌톱 상승시 찌 돋보기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A plurality of buoyancy control device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pared, and as shown in FIG. 5, the buoyancy control device is divided into a divided shape and fixed at the upper end, the middle, and the boundary where the body and the chisaw are exposed as shown in FIG. Because it can be used, it can be used not only for controlling the buoyancy of the bobber but also for the use of a poke magnifying glass when the poke is raised according to the bite of the fish.

또한 상기와 같이 찌톱이 만나는 찌몸통에 부력조절구를 위치시키면, 낚시에 따른 강한 챔질시 찌목(찌톱과 몸통의 경계부위)이 부러짐을 미연에 방지하는 용도로도 활용성이 높다. In addition, i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is placed on the body of the body where the pokesaw meets as described above, it is highly useful for preventing the pokes (the boundary between the spear and the body) from being broken during strong chasing due to fishing.

결국 본 고안에 따른 부력조절구는 단위별로, 혹은 무게별로 하나 또는 다수개로 분할 제작하여 낚시인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찌의 부력에 부피를 더한 부력상승목적으로 바닥낚시와는 달리 다른 내림, 중충낚시의 전환을 쉽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성이 떨어지는 기존 내부공간 체적을 늘리고 줄이는 방식에 비해 효율적인 낚시를 즐길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In the end, the buoyanc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one or a plurality of units by unit or weight to increase buoyancy by adding volume to the buoyancy of various floats possessed by the angler. Because it can be easily applied,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enjoying efficient fishing compared to the method of increasing and reducing the volume of the existing internal space, which has a complex structure and poor manufacturability.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If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things having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찌 2: 찌톱
3: 찌몸통 10: 부력조절구
11: 삽입공 12: 관체
14: 탄성체 W: 봉돌
L1: 원줄 L2: 목줄
1: poke 2: poke saw
3: the body 10: buoyancy control
11: insertion hole 12: tube body
14: elastic body W: bongdol
L1: main string L2: collar

Claims (5)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구(10)는,
찌톱(2)의 상단에서는 자체 탄성력으로 찌톱의 외측둘레에 결합되어 찌몸통(3)의 상부측 찌톱 전체 길이의 구간 내에서 유동 및 고정되며, 봉돌(W)의 침력에 대한 찌(1)의 부력 맞춤시 수면 위의 찌톱 위치에서는 찌 돋보기로 활용되고,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찌톱과 찌몸통이 접하는 경계부위에서 부력상승을 도와 찌톱을 수면위로 상승시키고, 봉돌(W)은 수중 바닥에서 띄울 수 있는 내림낚시 및 중층낚시로 전환하는 것으로, 상기 찌톱(2)의 외직경보다 작은 찌톱삽입공(11)이 중앙에 관통된 연질의 합성수지계열로 제작된 타원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
In the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At the top of the chisaw (2), it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hisaw by its own elastic force and flows and is fixed within the entire length of the chisaw on the upper side of the chisel (3). When the buoyancy is adjusted, it is used as a magnifying glass in the position of the chisel above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it helps to increase the buoyancy at the boundary where the chisaw and the chisel body located under the surface of the water to raise the chisaw above the water surface, and the Bongdol (W) can be floated from the underwater floor. A variable buoyancy control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elliptical chain made of soft synthetic resin series with a chainsaw insertion hole 11 that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hisaw (2) and is penetrated in the center. phr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구(10)는 실리콘, 발포 폼, 우레탄소재 중 어느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is a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of silicone, foam, and urethan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구(10)는 중공의 파이프형, 또는 각재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카본, 솔리드(유리섬유), 폴리카보네이트 및 빛이 투과되는 광섬유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성형되며, 그 외표면에는 형광도료가 도색된 관체(12)와, 상기 관체 내에 삽입 부착되는 중공형으로 찌톱(2)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탄성체(1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buoyancy control device 10 is made of any one of a hollow pipe type or a square member shape, but is formed of any one of carbon, solid (glass fiber), polycarbonate, and optical fiber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 Variable buoyancy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characterized in that a tube body 12 painted with a fluorescent paint on its outer surface and an elastic body 14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hisaw 2 in a hollow shape inserted and attached to the tube body Regul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4)는 실리콘, 발포 폼, 고무튜브 중 어느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elastic body 14 is a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silicone, foam, and rubber tub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구(10)는 다수개로 상기 찌톱(2) 및 찌톱과 찌몸통(3)이 접하는 지점에 찌몸통의 상부 일부분을 포함하는 형태로 분할 고정되어 찌몸통의 부력조절과 찌 돋보기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buoyancy control unit 10 is divided and fixed in a form including an upper part of the chisel at the point where the chisaw (2) and the chisaw and the chisel body (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ntrol the buoyancy of the chisel body and use it as a scouring magnifying glass. Variable buoyancy control device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characterized in that.
KR2020200003463U 2020-09-23 2020-09-23 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KR20049684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463U KR200496849Y1 (en) 2020-09-23 2020-09-23 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463U KR200496849Y1 (en) 2020-09-23 2020-09-23 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55U true KR20200002255U (en) 2020-10-14
KR200496849Y1 KR200496849Y1 (en) 2023-05-10

Family

ID=7280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463U KR200496849Y1 (en) 2020-09-23 2020-09-23 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49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450U (en) * 1996-11-22 1998-08-05 김순태 Buoyancy Adjustable Bobber
KR200227016Y1 (en) * 2000-11-20 2001-06-15 조정진 Assembled tishing float
KR20130000053U (en) * 2011-06-23 2013-01-03 이상지 A float for regulating buotancy
KR200484700Y1 (en) * 2015-10-01 2017-10-17 이덕열 Float for fising
KR20180015345A (en) * 2016-08-03 2018-02-13 주진미 Double fishing float easy to measure the depth of water and possible to control buoyancy minute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450U (en) * 1996-11-22 1998-08-05 김순태 Buoyancy Adjustable Bobber
KR200227016Y1 (en) * 2000-11-20 2001-06-15 조정진 Assembled tishing float
KR20130000053U (en) * 2011-06-23 2013-01-03 이상지 A float for regulating buotancy
KR200484700Y1 (en) * 2015-10-01 2017-10-17 이덕열 Float for fising
KR20180015345A (en) * 2016-08-03 2018-02-13 주진미 Double fishing float easy to measure the depth of water and possible to control buoyancy minute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849Y1 (en) 202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9662A (en) Curved fishing post
KR20200002255U (en) 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KR102370025B1 (en) Freshwater floats with delayed ascent speed
KR100639600B1 (en) A buoyancy controlling apparatus and the fishing buoy having it
CN210076385U (en) Striking float tail electronic float with flow guide groove and thickened conical light guide body
CN208095776U (en) It is a kind of can attracting night fish adjust drift device
CN205794569U (en) A kind of whole-process automatic search is cursory
US1982573A (en) Fishing tackle
GB2148081A (en) Fishing float
KR101022490B1 (en) Float
CN209931281U (en) Conical gravity induction light-changing hard tail electronic float
GB2390965A (en) Light emitting stick
CN112640862A (en) Slide and float foot-based lower threading ring type anti-flowing water fish float
KR200377267Y1 (en) a fishing float
KR970001360Y1 (en) A subaqueous float for fishing
KR20200144949A (en) Fishing tackle capable of adjusting fish biting sense finely
CN219939422U (en) Anti-water-travelling float pendant and float assembly
KR200379255Y1 (en) underwater float for a fishing
KR200494187Y1 (en) Fishing float with function of buoyancy adjusting
CN201308062Y (en) Fishing float with adjustable buoyancy
CN208821520U (en) The long short and thick tail counterweight self-support buoy of foot
KR101672168B1 (en) A buoyancy-adjustable float using air pocket phenomenon
KR20160095841A (en) Fishing Float
CN208480506U (en) One kind changing tail self-support rock and fishes drift
KR200227012Y1 (en) 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