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514B1 - Fishing bobber - Google Patents

Fishing bob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514B1
KR100330514B1 KR1019980056265A KR19980056265A KR100330514B1 KR 100330514 B1 KR100330514 B1 KR 100330514B1 KR 1019980056265 A KR1019980056265 A KR 1019980056265A KR 19980056265 A KR19980056265 A KR 19980056265A KR 100330514 B1 KR100330514 B1 KR 100330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fishing bobber
saw
fishing
bo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2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40596A (en
Inventor
권대희
Original Assignee
권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대희 filed Critical 권대희
Priority to KR1019980056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514B1/en
Publication of KR20000040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5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514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 찌톱(10)과 찌몸통(20)을 포함하는 낚시용 찌(1)에 있어서, 상기 찌톱(10)에는 입질인식표식(30)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입질인식표식(30)은 상기 찌톱(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찌톱(10)에 끼워지며 그 비중이 물보다 작은 제1 표식부(40), 및 상기 제1 표식부(40)의 상측에서 상기 찌톱(10)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표식부(40)가 상기 찌톱(10)의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표식부(50)로 구성된 것으로, 찌톱(10)을 최대한 가늘게 할 수 있으므로 입질에 대한 찌의 예민성을 최대화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1 표식부(40)와 제2 표식부(50)를 눈에 잘 보이도록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어 시인성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bobber, in the fishing bobber (1) comprising a bobbin (10) and a bobbin body (20), the jigsaw (10) is equipped with a granular marker (30), the The granularity identification mark 30 is fitted to the claw saw 10 so as to be free to move along the up-and-down direction of the claw saw 10, the first marker portion 40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water, and the first marker portion ( The second mark portion 50 is fixed to the claw saw 10 at an upper side of the claw saw 10 and prevents the first mark portion 40 from escaping to the upper side of the claw saw 10. Can be made as thin as possible to maximize the sensitivity of the fly to the mouth,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marker portion 40 and the second marker portion 50 can be made large enough to be visible to the eye enough visibility It is to be secured.

Description

낚시용 찌Fishing bobber

본 발명은 낚시용 찌(Float for Fishing)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고기의 입질을 보다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예민성과 그러한 찌의 움직임이 낚시인의 눈에 잘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시인성을 동시에 갖춘 낚시용 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 for fishing, and more particularly, a fishing having both visibility and visibility that allows the movement of the float to be more accurately recognized by the fisherman's eyes. It is about dragon bobber.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낚시용 찌는 낚시 바늘의 봉돌과 조합하여 수중에서 부력과 중력이 균형상태를 유지하도록 적당한 부력을 가지는 재료로 만들어지고 물고기가 미끼를 먹는 동작을 취할 때 물고기의 행동에 의해 그 균형이 파괴되면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낚시인들이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하고 챔질의 시점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구의 하나이다.As is widely known, fishing bobbers are made of a material with adequate buoyancy to balance buoyancy and gravity in water in combination with the sticks of the hook, and the balance by the action of the fish when the fish takes the bait-eating action. It is one of the fishing equipment that allows the anglers to grasp the quality of the fish and determine the timing of the chamber by moving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while being destroyed.

낚시용 찌는 수중에 있는 물고기의 행동을 낚시인에게 나타내주는 최선의 수단이기 때문에 모든 낚시인들이 이에 많은 정성을 들이고 있는 것이며, 결국 낚시의 여러 요소 중에서도 가장 으뜸으로 삼지 않을 수 없는 것이라 할 수 있다.Fishing bobbers are the best means to show fishers the behavior of fish in the water, so all the fishers are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it, which is inevitably the foremost among the many elements of fishing.

도 9는 종래의 전형적인 낚시용 찌의 정면도, 도 10은 찌맞춤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11은 찌맞춤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9 is a front view of a typical fishing bobber of the related art, FIG.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jagging method, and 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jagging method.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낚시용 찌(100)는 낚시인에게 입질을 인식시켜주기 위한 상부의 찌톱(110)과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의 찌몸통(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전형적인 낚시용 찌(100)는 찌몸통(120) 아래로 찌의 전체적인 균형을 위한 찌다리(130) 및 찌를 낚싯줄(200)에 구비된 찌고무(210)에 꽂기 위한 부분인 찌날나리(140)가 구비된 것이 일반적이며, 찌날나리(140)는 연결끈(141)에 의해 찌다리(130)에 연결된다.As shown, the conventional fishing bobber 100 is composed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the upper bobbin 110 for recognizing the mouth of the fisherman and the lower bobbin 120 for providing buoyancy. In addition, the typical fishing bobber 100 is the tailings 140 for the overall balance of the bobber below the bobber body 120 and the tailings 140, which is a part for plugging the bobber into the tailing rubber 210 provided on the fishing line 200 It is generally provided, the final blade 140 is connected to the tail leg 130 by a connecting string 141.

그리고, 야간에 낚시를 할 때에는 자체적으로 빛을 발하도록 된 케미컬라이트(chemical light:150)(낚시업계에서는 보통 "케미라이트" 또는 단순히 "케미"라 약칭함)를 사용하는 바, 찌톱(110)의 최상부에 케미컬라이트(150)를 꽂을 수 있도록 된 케미라이트 꽂이(151)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when fishing at night, a chemical light (chemical light: 150) (which is usually abbreviated as "chemite" or simply "chemi" in the fishing industry) is used to emit light itself. It is common to mount and use the chemical light stand 151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top of the chemical light 150.

이하,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낚시용 찌의 맞춤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낚시인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거의 대부분의 낚시인은, 도 10에 도시된 맞춤법이나 도 11에 도시된 맞춤법 중의 하나를 택해 사용한다.Hereinafter, the spelling of the fishing bobber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angler, almost all anglers use either the spelling shown in FIG. 10 or the spelling shown in FIG.

도 10의 방법은 봉돌(220)은 물속에 뜨게 하고 바늘(미끼: 230)만 바닥(240)에 닿게 하는 방법이고, 도 11의 방법은 봉돌(220)이 바닥(240)에 닿게 함으로써 당연히 바늘(230)도 바닥(240)에 닿아 있게 하는 방법이다. 어느 방법이든 물고기가 미끼(230)를 먹는 행동을 취할 때 봉돌(220)이 들려지고 이에 따라 낚시용 찌(100)와 봉돌(220) 사이의 부력과 중력의 균형이 깨져 낚시용 찌(100)가 상승하게 됨으로써 낚시인들은 찌톱(110)의 상승을 보고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The method of FIG. 10 is a method in which the pedestal 220 floats in water and only the needle (bait 230) touches the bottom 240. The method of FIG. 11 makes the needle 220 naturally touch the bottom 240 by the needle. 230 is also a method of touching the bottom 240. Either way, when the fish takes the action of eating the bait 230, the boulders 220 are lifted and thus the balance of buoyancy and gravity between the fishing bobber 100 and the bondol 220 is broken, thus the fishing bobber 100 By being raised to the anglers will see the rise of the sawdust 110 will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fish.

원칙적으로 물고기가 입질을 하여 낚시용 찌(100)가 상승할때 찌몸통(120)은 수중에 잠겨 있고, 찌톱(110)의 일부는 수중에 잠겨 있다가 상승하여 수면 위로 나오게 되는 것이며, 낚시인들은 이러한 찌톱(110)의 상승을 파악하여 챔질의 순간을 포착하는 것이다.In principle, when the fishing bobber (100) rises in the fish mouth, the bobber body 120 is submerged in water, and a part of the bobbin 110 is submerged in water and then rises to come out of the water surface. By grasping the rise of the peg saw 110 is to capture the moment of the chamber.

그런데, 이와 같이 찌톱이 물속에 잠겨 있다가 수면 위로 나오게 되면, 나온 부피에 대응하는 만큼의 부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부력 상실은 찌와 봉돌의 부력과 중력 관계를 균형 상태로부터 불균형 상태로 변화시키게 된다. 균형 상태에서는 물고기가 저항감 없이 미끼를 흡입할 수 있으나, 불균형 상태에서는 부력 감소분 만큼 더 큰 흡입력으로 미끼를 흡입하여야 하므로 물고기에게 저항감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물고기에게 저항감을 유발하지 않는 경우에도 부력이 감소되면서 찌의 상승속도가 감소하고, 찌의 상승폭도 감소한다. 따라서 찌톱은 그 부피가 작을수록 그 상승시의 부력 손실이 적어져서 찌가 물고기의 입질을 보다 예민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결론적으로 낚시용 찌 자체의 측면에서는 찌톱이 가늘수록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claw saw is submerged in the water and comes out above the water surface, the buoyancy is lost as much as the volume. This loss of buoyancy changes the buoyancy and gravity relationship between the bobber and the boulder from a balanced state to an unbalanced state. In a balanced state, the fish can inhale the bait without resistance, but in an unbalanced state, the fish must inhale the bait with a suction force larger than the buoyancy decrease, causing resistance to the fish. In addition, even if the fish does not cause a resistance buoyancy is reduced as the rise rate of the bobber, the rise width of the bobber is also reduced. Therefore, the smaller the volume, the smaller the buoyancy loss in the ascension, so that the tail can express the quality of the fish's mouth more sensitively. In conclusion, the thinner the saw blade, the more ideal it is in terms of the fishing bobber itself.

그러나, 여기에서 다른 측면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데, 그것은 사람 시력의 한계에 관련된 것이다. 즉 찌톱이 가늘수록 잘 보이지 않으므로 낚시인이 그 움직임을 파악하기 더욱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실적으로는 시인성이라는 측면에서 상당한 부력 손실을 감수하고서라도 찌톱을 굵게 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이상에서 낚시용 찌의 상승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며, 하강할 때에도 마찬가지임은 쉽게 유추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However, other aspects are to be considered here, which are related to the limits of human vision. In other words, the thinner the jigsaw is, the more difficult it is for the angler to grasp the movement. Therefore, in reality, it is inevitable to make the sawdust thick even with a considerable buoyancy loss in terms of visibility. The rise of the fishing bobber has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and the same is true even when falling, so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통적인 종래의 낚시용 찌(100)로는 입질의 예민성과 낚시인의 시인성이라는 두 요소를 동시에 만족할 수는 없다는 한계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limit that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fishing bobber 100 cannot simultaneously satisfy two factors, namely, sensitivity of the mouth and visibility of the fisherman.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낚시용 찌 자체의 예민성과 그것이 낚시인들에게 쉽게 파악될 수 있는 시인성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찌톱의 상승 또는 하강시 부력 변동을 최소화하면서도 찌톱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이 낚시인들에게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는 낚시용 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by simultaneously implementing the sensitivity of the fishing bobber itself and the visibility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angler, thereby minimizing the buoyancy fluctuations during the rise or fall of the jig saw. Ye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ishing bobber that can be easily grasped to the anglers the rising or falling motion of the bobbi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용 찌에 적용함으로써 입질에 대한 낚시찌의 예민성과 낚시인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입질인식표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nular marker that can improve the sensitivity of the fishing bobber to the mouth by applying to the fishing bobb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찌톱과 찌몸통을 포함하는 낚시용 찌로서, 찌톱의 상하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찌톱에 끼워지고 비중이 물보다 작은 이동 표식부, 및 이동 표식부의 상측에 찌톱에 고정되어 이동 표식부가 찌톱의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표식부로 이루어진 입질인식표식이 찌톱에 구비된 낚시용 찌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shing bobber comprising a bobbin and a bobbin, fitted to the jigsaw so as to be able to move freely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jigsaw, the specific gravity is less than water moving marker portion, and the moving marker portion There is provided a fishing bobber provided with a mouthpiece identification mark consisting of a fixed marker portion fixed to the tooth saw on the upper side to prevent the moving marker portion from escaping to the upper side of the tooth saw.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낚시용 찌의 찌톱에 끼워져서 그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물보다 작은 비중의 이동 표식부와, 찌톱에 끼워진 이동 표식부가 찌톱의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표식부로 구성된 낚시찌용 입질인식표식이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ving marker portion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water inserted into a bobbin of a fishing bobbin and freely moving in its up and down direction, and a fixed marker portion for preventing the moving marker portion fitted to the bobbin from escaping to the upper side of the bobbin. A constructed mouthpiece marker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제1 표식부의 일예를 보여주는 종단면도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irst marker portion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도 4는 도 1의 제1 표식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marker of FIG.

도 5는 도 1의 횡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도 6은 도 1의 제 2표식부의 상세도FIG. 6 is a detailed view of the second marker portion of FIG. 1. FIG.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7 and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종래의 전형적인 낚시용 찌의 정면도9 is a front view of a typical typical fishing bobber

도 10은 찌맞춤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pelling method

도 11은 찌맞춤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hucking metho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낚시용 찌 10: 찌톱1: fishing bobber 10: bobber

20: 찌몸통 30: 입질인식표식20: tail body 30: granular marker

40,41: 제1 표식부 40a,41a: 관통구40, 41: first marking portion 40a, 41a: through hole

41b: 슬릿 50: 제2 표식부41b: Slit 50: Second Marker

51: 꽂이 52: 표식물51: holder 52: marker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a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1)는 통상의 찌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찌톱(10)과 찌몸통(2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찌톱(10)에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에 따라 낚시인이 찌(1)의 입질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입질인식표식(30)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입질인식표식(30)은 이동하는 제1 표식부(40)와 고정된 제2 표식부(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ishing bobb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bobbin 10 and a bobbin body 20 as in the conventional bobber, and the bobbin 10 includ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the mouth recognition marker 30 is installed so that the fisherman can easily recognize the mouth of the bobber (1), the mouth recognition marker 30 is the first marker portion 40 to move And a second marker portion 50 fixed thereto.

제1 표식부(40)는 찌톱(10)에 끼워져서 찌톱(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는 부재로서, 물의 부력을 받아 수면에 떠 있을 수 있도록 물보다 작은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진다.The first mark portion 40 is a member that is fitted to the claw saw 10 and is freely moved along the claw saw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so that it can float on the surface under the buoyancy of the water.

제1 표식부(40)의 재료로서는 결과물의 비중이 물보다 작은 것이면, 나무와 같은 천연 재료와 플라스틱과 같은 인공재료 등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그 크기는 낚시인들의 눈에 잘 보일 수 있는 정도이면 족하다.As the material of the first mark portion 40, if the specific gravity of the resultant is smaller than water,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such as natural materials such as wood and artificial materials such as plastic, and the size thereof is sufficient to be visible to the anglers. .

제1 표식부(40)의 전체적인 형상과 찌톱(10)에 이동 자유롭게 끼우는 구조는 낚시인이 의도적으로 분리시키지 않는 한 찌톱(10)에서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그 부력에 의해 찌톱(10)을 따라 상하로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라면 충분하다.The overall shape of the first marker portion 40 and the structure that fits freely on the claw 10 are along the claw 10 by buoyancy without being easily detached from the claw 10 unless the fisherman intentionally separates it. A structure that can move freely up and down is sufficient.

예를 들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중앙에 찌톱(10)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는 수직의 관통구(40a)가 형성된 예를 들어 구형 또는 원주형으로 제1 표식부(4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표식부(40)는 관통구(40a)에 찌톱(10)을 상단으로부터 꿰어 넣음으로써 찌톱(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rst mark is formed in a spherical or circumferential shape, for example, in which a vertical through hole 40a having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jaw saw 10 is formed in the center. The part 40 may be formed, and in this case, the first mark part 40 is fitted to the tooth saw 1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inserting the tooth saw 10 into the through hole 40a from the upper end.

다른 예로서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중앙에 찌톱(10) 보다 약간 큰 직경의 관통구(41a)가 형성되어 있되, 이 관통구(41a)의 일측으로 찌톱(10)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가지는 수직의 슬릿(41b)이 형성된 제1 표식부(41)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표식부(41)는 찌톱(10)의 상단을 관통구(41a)에 꿰어 넣거나 상기 슬릿(41b)에 찌톱(10)을 정렬한 상태에서 손으로 제1 표식부(41)와 찌톱(10)을 가압하여 억지 끼우기하는 식으로 찌톱(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s. 4 and 5, a through hole 41a having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teeth saw 10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41a is formed. A first mark portion 41 having a vertical slit 41b having a width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may be used, and in this case, the first mark portion 41 may pass the upper end of the peg saw 10 to the through hole 41a. It is inserted into the bobbin 10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in such a manner as to press or press the first mark portion 41 and the bobbin 10 by hand in a state where the snap saw 10 is aligned with the slits 41b. .

한편,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찌톱(10)의 상단에는 상기 제1 표식부(40)가 상기 찌톱(10)의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즉 상기 관통구(41)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표식부(50)가 고정된다. 제2 표식부(50)는 제1 표식부(40)(41)가 찌톱(10)의 상단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막는 목적 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표식부(40)(41)와 함께 낚시인의 눈에 잘 띠는 것이 입질인식에 효과적이므로 이를 고려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6, the first mark portion 40 is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upper side of the claw saw 10 at the upper end of the claw saw 10, that is, of the through hole 41. The second mark portion 50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is fixed. The second marking portion 50 is fishing with the first marking portions 40 and 41 a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first marking portions 40 and 41 from escaping to the upper end of the peg saw 10.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ize considering this because it is effective to recognize the mouth.

현실적인 적용에 있어서는 케미컬라이트 꽂이와 유사한 꽂이(51)를 찌톱(10)의 상단에 꽂고 이 꽂이(51)에 케미컬라이트와 유사한 무게와 직경의 표식물(52)을 꽂아 사용하면, 이로써 제2 표식부(50)의 기능을 그대로 수행할 수 있다.In a practical application, a rack 51 similar to a chemical light rack is inserted at the top of the claw saw 10 and a label 52 of weight and diameter similar to a chemical light is inserted into the rack 51, thereby providing a second marker. The function of 50 can be performed as it is.

제1 표식부(40)(41)와 제2 표식부(50)에는 그 시인성의 향상을 위하여 낚시찌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는 형광안료 또는 반사 테이프 등의 처리를 할 수도 있다.The first markers 40 and 41 and the second markers 50 may be treated with fluorescent pigments or reflective tapes that are widely applied in the field of bobber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ir visibility.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낚시용 찌(1)는 낚시를 할 때 전술한 전통적인 낚시용 찌(100)와는 달리 찌톱(10) 자체의 상하 이동을 보고 입질여부를 인식하는 것이 아니고, 제2 표식부(50)와 제1 표식부(40)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변화를 보고 입질여부를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찌톱(10)의 굵기에 영향받지 않고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The fishing bobb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fishing bobber 100 described above when fishing, and does not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mouth by looking a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jigsaw 10 itself, the second marking portion 50 Since it is to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mouth by looking at the relative distance change between the first marker portion 40,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quality of the fish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thickness of the claw saw 10.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1)를 도7과 같이 찌맞춤한다. 찌(1)의 아래부분(봉돌 및 바늘)은 도 10 및 도11의 경우와 같으므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로 한다. 이 상태에서 물고기가 미끼(230)를 먹는 행동을 취할 때 봉돌(220)이 들려지고 이에 따라 낚시용 찌(1)와 봉돌(220) 사이의 부력과 중력 균형이 깨져 낚시용 찌(1)가 상승하게 된다.7 and 8, first, the fishing bobb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as shown in FIG. 7. The lower part of the bobbin 1 (the stick and the needle) is the same as the case of FIGS. 10 and 11, and thus, FIGS. 10 and 11 will be referred to. In this state, when the fish takes the action of eating the bait 230, the bondol 220 is lifted and thus the buoyancy and gravity balance between the fishing bobber 1 and the bondol 220 are broken and the fishing bobber 1 is broken. Will rise.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1)에 구비된 입질인식표식(30)은, 그 제1 표식부(40)가 찌톱(10)에 고정된 것이 아니고 찌톱(10)에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끼워진 것이면서 비중이 물보다 작아 물에 뜨는 것이므로 찌톱(10)이 상승하는 중에 그대로 수면에 떠있는 반면, 제2 표식부(50)는 찌톱(10)에 고정되어 있어서 찌톱(10)의 상승에 따라 함께 상승한다.The granularity identification mark 30 provided in the fishing bobb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rker portion 40 is not fixed to the claw 10, so that the claw 10 can move freely up and down. Since the specific gravity is less than the water and floated in the water while the chip saw 10 is floating as it is in the water while rising, while the second marker portion 50 is fixed to the chip saw 10 to the rise of the chip saw 10 Accordingly rises together.

따라서 찌(1)가 상승할 때 제1 표식부(40)와 제2 표식부(50) 사이의 간격은 멀어지게 된다. 즉, 낚시인이 제1 표식부(40)와 제2 표식부(50) 사이의 거리 변화(d)만을 감지하면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1)는 찌톱(10)의 굵기에 관계없이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bobbin 1 rises, th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1st marking part 40 and the 2nd marking part 50 will become large. That is, since the fisherman only needs to detect a distance change d between the first marker portion 40 and the second marker portion 50, the fishing bobb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the thickness of the bobbin 10. You can easily recognize the quality of the fish without.

결국, 찌톱(10)을 최대한 가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찌(1)의 입질에 대한 예민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것이며, 이와 함께 제1 표식부(40)와 제2 표식부(50)를 낚시인의 눈에 용이하게 인식되도록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최대한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도 있는 것이다.As a result, since the jagged top 10 can be formed as thin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ensitivity to the mouth of the bobber (1), with the first marker portion 40 and the second marker portion 50 at the same time fishing man Because it can be made large enough to be easily recognized by the eye, it can also ensure maximum visibility.

본 발명에 따른 제1 표식부(40)에는 또 다른 이점이 있는 바, 이하 이를 설명한다. 야간에 낚시를 하는 경우에는 케미컬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은 전술한 바 있다. 낚시를 할 때에는 주간에서 야간으로 또는 야간에서 주간으로 계속되는 경우가 많은데 주간에는 야간에 쓰던 케미컬라이트를 빼고 전술한 제2 표식부(50)의 표식물(52)을 끼우면 주간과 야간의 찌맞춤이 동일하므로 주간과 야간에 매우 간편하게 정확한 찌맞춤을 유지하면서 낚시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first marking portion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advantag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hen fishing at night, the use of chemical light has been described above. When fishing, it is often continued from daytime to nighttime or nighttime to daytime, but during the daytime, except for the chemical light used at night, and inserting the above-mentioned mark 52 of the second marker 50, the daytime and nighttime alignment is the sa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ish while maintaining the correct alignment during the day and night very easil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1)에 의하면, 찌톱(10)을 최대한 가늘게 할 수 있으므로 입질에 대한 찌의 예민성을 최대화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1 표식부(40)와 제2 표식부(50)를 눈에 잘 보이도록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어 시인성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낚시용 찌는 예민성과 시인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fishing bobb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bobbin 10 can be made as thin as possible, thereby maximizing the sensitivity of the bobber to the mouth,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marker 40 and the first 2 mark part 50 can be made large enough to see easily, and visibility can also be ensured enough. Therefore, the fishing bobb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can be implemented at the same time sensitivity and visibility.

Claims (4)

찌톱과 찌몸통을 포함하는 낚시용 찌에 있어서,In a fishing bobber comprising a bobbin and a bobbin body, 상기 찌톱에는 입질인식표식이 구비되되, 상기 입질인식표식은 상기 찌톱의 상하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찌톱에 끼워지며 그 비중이 물보다 작은 제1 표식부와, 상기 제1 표식부의 상측에서 상기 찌톱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표식부가 상기 찌톱의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표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The jigsaw is provided with a mouth recognition marker, the mouth recognition marker is fitted to the tooth saw so as to move freely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tooth saw, the specific gravity of which is smaller than wat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rker; Fishing bob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marker that is fixed to the claw saw to prevent the first marker portion from escaping to the upper side of the claw.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표식부는 상기 찌톱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The first marker portion fishing bob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rough hol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aw bla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표식부는 상기 찌톱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관통구와, 이 관통구의 일측으로 찌톱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슬릿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The first marking portion fishing bobb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lit formed to have a through hole of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law saw, and a width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law saw to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표식부는 꽂이와, 이 꽂이에 삽탈자재하게 끼워지는 표식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The second marker portion is a fishing bobb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ook, the marker inserted and inserted freely in the rack.
KR1019980056265A 1998-12-18 1998-12-18 Fishing bobber KR1003305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265A KR100330514B1 (en) 1998-12-18 1998-12-18 Fishing bob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265A KR100330514B1 (en) 1998-12-18 1998-12-18 Fishing bob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596A KR20000040596A (en) 2000-07-05
KR100330514B1 true KR100330514B1 (en) 2002-05-09

Family

ID=1956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265A KR100330514B1 (en) 1998-12-18 1998-12-18 Fishing bob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51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290B1 (en) * 2012-10-29 2013-06-26 원철호 Buoyancy control float for buoyancy controller located in 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596A (en)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7364A (en) Weedless, multi-depth sinking and top water fish lures
KR100330514B1 (en) Fishing bobber
KR100964289B1 (en) Fishing float
KR200391787Y1 (en) Float
KR20210130423A (en) Fishing float and fishing float unit
CN208354393U (en) A kind of multi-angle of view buoy
KR200292574Y1 (en) Float
KR100375352B1 (en) The float
KR200381785Y1 (en) Plastic top on a float for fishing
KR200249415Y1 (en) The float
KR200202746Y1 (en) The float
KR102207357B1 (en) Improved sinker for fishing
KR200299112Y1 (en) float that have duplex separation structure
KR200311297Y1 (en) Top marker of fishing float
KR200328785Y1 (en) a structure connected to chemical light for a float
KR200330286Y1 (en) an improved chemical light and a structure connected to chemical light for a float
KR200335923Y1 (en) Indicator For Float Fishing
KR200271070Y1 (en) The float for fishing
KR200333543Y1 (en) A float
KR870003504Y1 (en) A buoy
KR200282111Y1 (en) fishing float
KR100677935B1 (en) Fishing float with the same center point of gravity moment and buoyancy moment
KR200290139Y1 (en) Big Hole Rod
KR200372338Y1 (en) Fishing float with sanp-button
KR20020074298A (en) Freshwater float having height varible auxiliary ba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