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070Y1 - The float for fishing - Google Patents

The float for fis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070Y1
KR200271070Y1 KR2020010039937U KR20010039937U KR200271070Y1 KR 200271070 Y1 KR200271070 Y1 KR 200271070Y1 KR 2020010039937 U KR2020010039937 U KR 2020010039937U KR 20010039937 U KR20010039937 U KR 20010039937U KR 200271070 Y1 KR200271070 Y1 KR 200271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obbin
fishing
saw
bo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93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건부
Original Assignee
오건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건부 filed Critical 오건부
Priority to KR2020010039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07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070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찌본체의 상단에 야간에도 찌톱의 식별이 가능한 캐미라이트를 형성하되, 상기 캐미라이트에 찌톱을 무부력 상태로 만들기 위한 홀을 형성하여 미세한 어신까지도 쉽게 감지할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낚시찌는 자체 부력을 가지며 상단에 홀을 갖는 찌본체와,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를 가지며 상기 찌본체와 연결된 찌톱과, 상기 찌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낚시줄을 관통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한 낚시찌에 있어서, 상기 찌톱의 상단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를 갖되 측면에는 상기 관통구와 내통하는 홀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가 상기 찌톱의 관통구와 연결되는 자체 발광하는 캐미라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camilight that can be identified at the top of the bobbin body at night on the top of the bobbin body, to form a hole in the camilight without buoyancy state to provide a fishing bobber that can easily detect even fine fishery As the fishing bobb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ts own buoyancy and a bobbin main body having a hole at the top, a bobbin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bobbin main body, and a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bbin main body to penetrate the fishing line In the provided fishing bobber,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law saw and has a through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hole in the 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through hole further comprises a self-emitting cami light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poke saw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Description

낚시찌{The float for fishing}Fishing float {The float for fishing}

본 고안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야간에 낚시찌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는 캐미라이트에 찌톱의 부력을 제거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여 수면에 노출되는 찌톱을 무부력 상태로 만들어 미세한 어신 전달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bobber, in particular, to form a hole for removing the buoyancy of the bobbin in the cami light that can check the movement of the fishing bobber at night to make the jigsaw exposed to the water without buoyancy to check the fine fishery transmission It's about a bobber.

낚시찌는 낚싯줄의 상태와 바늘의 위치 및 줄의 균형을 잡아 주고,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렸는지를 육안으로 확인시켜 주는 것으로서, 낚싯줄과 연결되어 있는 바늘의 근접거리에 상기 낚시찌 몸체의 일단이 낚싯줄에 연결되고, 낚시질을 할 때 상기 바늘은 미끼와 함께 수면에 잠기게 된다.The fishing bobber is to balance the position of the fishing line with the position of the fishing hook and to visually check whether the fish is caught by the fishing needle. When fishing, the needle is submerged with the bait.

이때, 낚시찌의 몸체부분이 낚싯줄과 함께 수면에 잠기고, 찌톱 부분은 수면 위로 노출되어 물고기가 바늘에 걸린 미끼를 물게 되면 물고기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낚시찌의 몸체가 수면을 중심으로 상, 하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물고기의 포획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At this time, the body part of the bobber is submerged in the surface with the fishing line, the bobbin part is exposed above the water surface and when the fish bites the bait caught in the needle, the body of the bobber moves up and down around the water surface as the fish moves. You can visually check whether the fish is caugh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낚시찌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의 낚시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위로 노출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찌톱(1)과, 물고기의 입질에 따라 상기 찌톱(1)이 승/하강하도록 찌톱(1)에 일체로 연결되어 봉돌(도시하지 않음)에 상응하는 부력을 갖는 찌본체(2)와, 상기 찌본체(2)의 끝단에 형성되어 낚시줄(3)이 통과되어 걸리도록 홀(4)이 형성된 연결부(5)로 구성되어 있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conventional fishing bobber, as shown in the figure,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jagged top (1) and air injected therein,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fish 1)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bbin (1) so that the lifting / lowering has a buoyancy body (2) having a buoyancy corresponding to the bump (not shown), and formed at the end of the bobbin body (2) fishing line (3) It is comprised by the connection part 5 in which the hole 4 was formed so that () may pass through.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낚시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찌본체(2)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5)에 낚시줄(3)이 통과되도록 홀(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홀(4)을 통해 낚시줄(3)을 관통시키고, 상기 관통된 낚시줄(3)의 끝단에 봉돌 및 도래와 낚시바늘 등을 매달아 민물 또는 바다 등에 투척하면, 낚시줄(3)의 끝단에 연결된 봉돌의 중량에 의해 낚시찌가 수중으로 입수되면서 낚시찌는 자체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상승하게 된다.1 to 3, the conventional fishing bobb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hole 4 formed so that the fishing line 3 passes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5 formed integrally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 and the hole is formed. (4) penetrates through the fishing line (3), and the end of the pierced fishing line (3) is suspended to the end of the fishing line (3), if throwing fresh water or the sea, etc.,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shing line (3) The fishing bobber is brought underwater by the weight of the boulder, and the fishing bobber rises above the surface by its own buoyancy.

즉, 상기 낚시찌는 상단에 공기가 채워진 찌톱(1)과, 상기 찌톱(1)에 연결되어 상기 봉돌에 상응하는 부력을 갖는 찌본체(2)로 구성되어 상기 봉돌의 중량에 의해 찌본체(2)는 수중으로 입수되는 반면에, 상기 찌본체(2)와 일체로 형성된 찌톱(1)은 수면 위로 부상하게 된다.That is, the fishing bobber is composed of a bobbin (1) filled with air at the top, and a bobbin main body (2) connected to the bobbin top (1) having a buoyancy corresponding to the bondol (2) by the weight of the bondol (2) ) Is obtained underwater, while the sawdust 1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bbin body 2 rises above the water surfa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낚시찌는 찌본체(2)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부(5)에 낚시줄(3)이 관통된 상태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낚시질을 하기 위해 낚시줄 및 낚시찌를 수중에 투척할 때 찌본체(2)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소정의 부력을 갖는 찌톱(1)이 수면 위로 노출되는 원리인 바, 찌본체(2)의 부력과 찌톱(1)의 부력에 의해 찌톱(1)이 수면에서 예민하게 유동하지 못하므로 작은 물고기에 의한 미세한 어신(흔히, "물고기의 입질" 이라 함)은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ishing bobber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5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bbin body 2 in a state where the fishing line 3 is penetrated, so that the user throws the fishing line and fishing bobber in hand for fishing. Air is injected into the upper body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p of the main body (2) is a principle that is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chip top (1) having a predetermined buoyancy bar, the buoyancy of the main body (2) and buoyancy of the main saw 1 Thereby, the claw saw (1) does not flow sensitively at the surface,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detect the fine fish (commonly referred to as "fish mouth") by small fish.

이와 같이 미세한 어신을 감지하는 못하는 문제는 찌톱을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하여 낚시대를 통해 전달되는 어신을 사용자가 손의 감각으로 직접 감지하여야 하는 밤낚시의 경우에 더 큰 문제로 작용하게 된다.This problem of not detecting fine fish is a bigger problem in the case of night fishing where the user cannot directly detect fishes delivered through a fishing rod due to the naked eye of the claw saw.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찌본체의 상단에 야간에도 찌톱의 식별이 가능한 캐미라이트를 형성하되, 상기 캐미라이트에 찌톱을 무부력 상태로 만들기 위한 홀을 형성하여 미세한 어신까지도 쉽게 감지할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ile forming a camilight that can be identified at the top of the bobbin body at night on the top of the main body, there is a hole in the camilight to make the claw saw buoyant stat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fishing bobber that can easily detect even fine fisher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낚시찌는 자체 부력을 가지며 상단에 홀을 갖는 찌본체와,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를 가지며 상기 찌본체와 연결된 찌톱과, 상기 찌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낚시줄을 관통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한 낚시찌에 있어서, 상기 찌톱의 상단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를 갖되 측면에는 상기 관통구와 내통하는 홀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가 상기 찌톱의 관통구와 연결되는 자체 발광하는 캐미라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shing bob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buoyant body having its own buoyancy and a hole at the top, a bobbin connected to the bobbin body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shing lin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bbin body In the fishing bobber having a connecting portion for penetrating, the bobbin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claw saw,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hole in the 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through hole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poke saw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milight.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낚시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 to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4 to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7b는 본 고안에 따른 캐미라이트와 찌톱과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도면7a to 7b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between the cami light and the claw s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41, 47 : 제 1, 제 2 홀 43 : 찌본체41, 47: 1st, 2nd hole 43: Chibon body

44a : 관통구 45 : 찌톱44a: through hole 45: saw blade

49 : 캐미라이트 51 : 관통구멍49: cami light 51: through hole

53 : 낚시줄 55 : 연결부53: fishing line 55: connection

이하, 본 고안의 낚시찌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ishing bobb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고안의 낚시찌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구를 갖는 찌톱의 상부에 야간에도 눈에 잘 띄는 캐미라이트를 연결하되, 상기 캐미라이트에 찌톱의 관통구와 내통(內通)하여 찌톱을 무부력(無浮力) 상태로 만들기 위한 홀(hole)을 형성한다.First, the fishing bobb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prominent cami light even at night to the upper part of the bobbi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inner side of the bobbin with the through hole of the claw saw has no buoyancy force ( It forms a hole to make it invisible.

따라서, 낚시찌를 수중에 투척하게 되면, 일단 낚시찌 전체가 물속에 잠기게 되는데 이때, 캐미라이트에 형성된 홀을 통해 찌톱의 내부로 물이 스며들게 되어 관통구에 물이 고이게 되고, 이후, 상기 찌본체가 거의 드러날 정도로 수면 위로 부상(浮上)하게 됨에 따라 찌톱의 관통구에 고였던 물은 찌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refore, once the fishing bobber is thrown in water, the entire fishing bobber is submerged in water. At this time, water penetrates into the inside of the claw saw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cami light, and water is accumulated in the through hole. As it floats above the surface almost to be exposed,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saw bla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formed at the top of the blade body.

이후, 상기 찌본체는 서서히 수중으로 가라앉게 되어 결국 수면 위에는 찌톱만 남게 되는데, 상기 찌본체가 수중으로 가라앉게 됨으로써 찌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물이 어느 정도 찌본체 내로 스며들게 되나, 찌톱의 상부가 관통된 상태이기 때문에 공기압에 의해 찌톱의 관통구까지 물이 스며들지는 않는다.Thereafter, the bobbin body gradually sinks into the water, so that only the bobbin remains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bobbin body sinks into the water, so that water penetrates into the bobbin body to some extent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body. Since the upper part of the penetrated state, water does not penetrate the through hole of the peg saw by air pressure.

결국, 찌톱은 무부력 상태가 되므로 미세한 어신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가 있으며, 상기 찌톱을 무부력 상태로 만드는 캐미라이트가 찌톱의 상부에 연결되므로 야간에도 찌톱의 유동을 쉽게 확인할 수가 있다.Eventually, the claw saw becomes buoyant, so it can react sensitively to fine fishery, and the camilight, which makes the claw saw buoyant,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claw, making it easy to check the flow of the claw saw at night.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낚시찌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찌는 봉돌에 상응하는 부력을 가지며 그 상단에 제 1 홀(41)을 갖는 찌본체(43)와, 상기 찌본체(43)와 일체로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구(44a)를 갖는 찌톱(45)과, 일측 단부가 상기 찌톱(45)의 상부에서 상기 관통구(44a)에 끼워지거나 상기 찌톱(45)의 상부를 덮어씌우는 형태로 찌톱(45)과 연결되는 제 2 홀(47)을 갖는 캐미라이트(49)와, 상기 찌본체(43)의 하단에 형성되어 낚시줄(53)이 관통되도록 관통구멍(51)을 갖는 연결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4 to 6 illustrate the bob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bobb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oyancy corresponding to a boulder and has a bobbin body 43 having a first hole 41 at an upper end thereof. And, the saw body 45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bobbin body 43 and has a through hole 44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portion is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44a at the top of the bobbin 45 or the A camilight 49 having a second hole 47 connected to the chuck saw 45 in a form of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law saw 45, and a fishing line 53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bbin body 43. It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55 having a through hole 51 to penetrate.

상기 캐미라이트(49)는 도 7a 내지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제 1 직경을 갖고, 타측은 상기 제 1 직경에 비해 더 작은 제 2 직경을 가지며, 중앙부가 상기 일측 및 타측의 직경에 비해 더 큰 제 3 직경을 갖는 튜브(tube) 형태로 구성되고, 재질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캐미라이트(49)의 중앙부에는 찌톱(45)의 관통구(44a)와 내통되는 제 2 홀(47)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7A to 7B, the camilight 49 has a first diameter at one side, a second diameter smaller at the other side than the first diameter, and a central portion at a diameter of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Compared to the shape of the tube (tube) having a larger third diameter, the material is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At this time, the second hole 47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milight 49 and the through hole 44a of the jaw saw 45.

참고로, 도 7a는 제 1 직경을 갖는 일측이 찌톱(45)의 상부면을 덮어씌운 형태로 찌톱(45)과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며, 도 7b는 제 2 직경을 갖는 타측이 찌톱(45)의 내구경면으로 삽입되어 찌톱(45)과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For reference, FIG. 7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one side having a first diameter is connected to the sawdust 45 in a form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awdust 45, and FIG. 7B shows the other side having a second diameter of the sawdust 45.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shows the appearance connected to the sawdust (45).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낚시찌를 이용할 경우, 먼저, 찌본체(43) 하단부의 관통구멍(51)을 관통하여 낚시줄(53)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낚시줄(53) 및 본 고안의 낚시찌를 수중으로 투척하면, 낚시찌는 봉돌의 중량에 의해 처음에는 수중으로 가라앉게 된다.In the case of using the fishing bob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fishing line 53 and the fishing bob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nderwater when the user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51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43 and the fishing line 53 is connected. When throwing in, the bobber will initially sink underwater by the weight of the boulder.

이때, 찌톱(45)의 상단에 연결된 캐미라이트(49)의 제 2 홀(47)을 통해 물이 찌톱(45)의 관통구(44a)로 스며들게 되는데, 상기 찌본체(43)는 부력을 갖기 때문에 서서히 수면으로 부상(浮上)하게 되며, 그로 인해, 찌톱(45)내의 관통구(44a)에 고여있던 물은 찌본체(43)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 1 홀(4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water penetrates into the through hole 44a of the poke saw 45 through the second hole 47 of the camilight 49 connected to the top of the claw saw 45, and the poke body 43 has buoyancy. As a result, the water gradually rises to the surface, and therefore, water accumulated in the through hole 44a in the jaw saw 4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hole 41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body 43. do.

이후, 찌본체(43)는 비록 자체 부력을 갖는다고 하더라도 봉돌에 의해 수중으로 가라앉게 되고, 결국 수면 위에는 찌톱(45)만 노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찌본체(43)가 수중으로 가라앉게 됨에 따라 그 상단에 형성된 제 1 홀(41)을 통해 물이 스며들게 되나, 찌톱(45)의 관통구(44a)가 튜브형태의 캐미라이트(49)와 연결되므로 공기압에 의해 찌톱(45)으로 스며들지는 않게 된다.Thereafter, the bobbin body 43 sinks into the water by the bumps even though it has its own buoyancy, and eventually only the bobbin 45 is exposed on the water surface. At this time, as the bobbin body 43 sinks into water, water is permeated through the first hole 41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but the through hole 44a of the bobbin 45 is a tube-shaped cami light 49 ) So that it does not seep into the peg saw 45 by the air pressure.

결국, 찌톱(45)의 하단부는 수중에 잠겨있는 찌본체(43)와 연결되고, 상단부는 튜브형태의 캐미라이트(49)와 연결되어 있어 무부력 상태가 되므로 미세한 어신(漁信)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가 있다. 즉, 찌톱(45)이 무부력 상태이므로 어류가 낚시바늘의 미끼를 먹이 위한 입질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상/하강을 반복하게 된다.As a result, the lower end of the sawdust 45 is connected to the submerged main body 43, and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tube-shaped cami light 49, so that it is buoyant, so it is sensitive to fine fishing. I can react. That is, the jig saw 45 is buoyant state so that the fish is sensitive to the mouth to feed the bait of the fishing needle is repeated up / down.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찌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shing bobb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수중에서 찌톱이 무부력 상태가 되도록 찌톱의 상부에 상기 치톱의 관통구와 내통되도록 홀을 형성한 캐미라이트를 연결함으로써, 어류의 미세한 입질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에 의해 미끼만 먹고 달아남으로 인한 미끼의 재장착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낚시의 재미를 배가시키고, 상기 캐미라이트가 찌톱을 무부력 상태로 만듦과 동시에 자체 발광하기 때문에 야간, 즉 밤낚시를 즐길 때에도 찌톱의 움직임을 쉽게 확인할 수가 있다.By connecting the camilite with a hole formed in the water so as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tooth saw in the top of the tooth saw so that the tooth saw is buoyant, the lure of the bait due to eating only the bait by reacting sensitively to the fine mouth of the fish By eliminating the trouble of remounting, the fun of fishing is doubled, and the camilight makes the claws unbuoyant and emits light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claws can be easily checked even when enjoying night fishing, that is, night fishing.

Claims (3)

자체 부력을 가지며 상단에 홀을 갖는 찌본체와,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를 가지며 상기 찌본체와 연결된 찌톱과, 상기 찌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낚시줄을 관통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한 낚시찌에 있어서,In the bobber body having its own buoyancy and having a hole at the top, a bobbin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bobbin body, and a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bbin body to penetrate the fishing line, 상기 찌톱의 상단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를 갖되 측면에는 상기 관통구와 내통하는 홀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가 상기 찌톱의 관통구와 연결되는 자체 발광하는 캐미라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It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tooth saw and has a through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a hole in the inner side and the through h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further comprises a self-emitting cami light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tooth saw Fishing bob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미라이트는 상기 찌톱의 상단을 덮어씌운 형태로 연결되거나, 상기 찌톱 상단의 내구경면에 그 일측이 삽입되는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The bobbin of claim 1, wherein the camilight is connected in such a way as to cover the top of the claw saw, or one side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top of the claw sa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미라이트는 탄성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The bobbin of claim 1, wherein the camilight is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having elasticity.
KR2020010039937U 2001-12-24 2001-12-24 The float for fishing KR20027107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937U KR200271070Y1 (en) 2001-12-24 2001-12-24 The float for fis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937U KR200271070Y1 (en) 2001-12-24 2001-12-24 The float for fish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070Y1 true KR200271070Y1 (en) 2002-04-09

Family

ID=7311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937U KR200271070Y1 (en) 2001-12-24 2001-12-24 The float for fis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07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99235A1 (en) Fishing Sinker Combined Bait Case
KR200271070Y1 (en) The float for fishing
KR101125560B1 (en) Float with hole for fishing
KR200493239Y1 (en) Fishing goods
KR100559105B1 (en) Multifunctional Fishing Bobber
KR200335923Y1 (en) Indicator For Float Fishing
US20010023551A1 (en) Fishing artificial bait and fishing terminal tackle
KR200333513Y1 (en) Hole bored float for sea fishing
KR200204974Y1 (en) Float for fishing
KR200354251Y1 (en) A float for rolling inhibit fishline
KR200285356Y1 (en) A float
KR970007302B1 (en) Fishing float
KR100356278B1 (en) A hall float for fishing
KR200373280Y1 (en) Multifunctional Fishing Bobber
KR200227085Y1 (en) The fishhook a float
KR20180024087A (en) Fishing float
KR200328786Y1 (en) a structure connected to chemical light for a float
JP2002112684A (en) Dobber
KR200426605Y1 (en) penetration type float be convenient for buoyancy modulation
KR200328785Y1 (en) a structure connected to chemical light for a float
JP4340252B2 (en) Floating hole for sea fishing
KR970001359Y1 (en) A subaqueous float
KR100375352B1 (en) The float
KR200288545Y1 (en) A float inside of the this rise to the surface
KR200393094Y1 (en) Float for Fis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