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278B1 - A hall float for fishing - Google Patents

A hall float for fis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278B1
KR100356278B1 KR1020000025606A KR20000025606A KR100356278B1 KR 100356278 B1 KR100356278 B1 KR 100356278B1 KR 1020000025606 A KR1020000025606 A KR 1020000025606A KR 20000025606 A KR20000025606 A KR 20000025606A KR 100356278 B1 KR100356278 B1 KR 100356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center
buoyancy
gravity
bo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63203A (en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김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수 filed Critical 김문수
Priority to KR102000002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278B1/en
Publication of KR20000063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2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278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구멍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위로 던져 진 낚시채비가 조류의 흐름에 의해 낚시채비가 묶여져 있는 목줄과 낚시용 구멍찌의 위에 있는 낚시원줄이 낚시용 구멍찌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관과 거의 일직선으로 유지되여, 낚시원줄은 관통관을 통하여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아무런 저항을 받지않고 찌고용매듭까지 자연스럽게 내려가게 되어 낚시채비를 사용자가 원하는 깊이 만큼의 물 속으로 잠기게 하는 동시에 미약한 어신에도 아주 예민하게 반응하여 어신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낚시용 구멍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bobber, and more particularly, a fishing web thrown on the surface of the fishing web is formed on the fishing bobber on the neckline where the fishing web is tied by the flow of birds and the fishing web on the fishing bobber. Maintained almost in line with the clearance, the fishing line naturally descend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rough the through tube to the steaming knot, so as to submerge the fishing gear into the water as deep as the user wants. It's about fishing gears that respond very sensitively to fishery and can detect fishery accurately.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구멍찌는, 원추형상의 부력제(11)(11')로 이루어진 몸체(10)에 봉돌(14)이 삽입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력제(11)(11')의 중앙에는 낚시줄이 통과하는 관통관(13)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원추형상의 부력제(11)(11')로 이루어진 몸체(10)의 무게중심(A) 하부에 위치하는 몸체(10)의 1/2인 반쪽 몸체(15)의 무게중심(B)을 기준점으로 하여 부력제(11)(11')의 상하좌우로 대칭되게 공간부(12)(12')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제(11)(11')의 상하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된 공간부(12)(12')에는 몸체(10)의 부력보다 적은 봉돌(14)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봉돌(14)이 삽입 설치된 상부 또는 하부에는 공기방(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ishing b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d 14 is inserted into the body 10 made of a conical buoyancy agent 11, 11 ′, the buoyant agent 11, 11 ′ made of the above conical shape. In the center of the through-hole 13 through which the fishing line passes is installed, the body 10 which is located below the center of gravity (A) of the body 10 made of the conical buoyancy (11, 11 ') Space parts 12 and 12 'are symmetrically formed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buoyant agent 11, 11' with the center of gravity B of the half body 15, which is 1/2 of), In the spaces 12 and 12 'symmetrically formed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buoyant agent 11, 11', a lesser bump 14 is inserted than the buoyancy of the body 10, and the bump 14 is inserted. Air chamber 16 is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is installed.

Description

낚시용 구멍찌{A hall float for fishing}A hall float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구멍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용 구멍찌의 무게중심 아래에 봉돌을 삽입 설치하며, 봉돌에 상부 또는 하부에 공기방을 형성하여 사용하므로서 수면위로 던져 진 낚시채비가 조류의 흐름에 의해 낚시채비가 묶여져 있는 목줄과 낚시용 구멍찌의 위에 있는 낚시원줄이 낚시용 구멍찌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관과 거의 일직선으로 유지되여 낚시원줄은 관통관을 통하여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아무런 저항을 받지않고 찌고정용매듭까지 자연스럽게 내려가게 되어 낚시채비를 사용자가 원하는 깊이 만큼의 물 속으로 잠기게 하는 동시에 미약한 어신에도 아주 예민하게 반응하여 어신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낚시용 구멍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bobber, and more specifically, to install a bondol und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ishing bobber, and to form an air chamber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fishing rod thrown over the water by using the flow of birds The fishing line tied to the fishing net and the fishing line on the fishing bobber are kept almost in line with the through tube formed in the fishing bobber, and the fishing line is steamed without any resistan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rough the through pipe. It is naturally related to fishing knives which can detect the fishing boats accurately by responding to the weak fishing boats very sensitively while at the same time allowing the fishing knives to be submerged in the water to the depth desired by the user.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낚시용 낚시용 구멍찌(100)는 용도에 따라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나 대체적으로 국내 공개 실용신안 제1996-13032호 (19996.5.17 공개)의 낚시용 구멍찌가 알려져 있으며 그에 따른 구성 및 작용관계를 도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Conventionally used fishing tackle 100 for fishing is commonly used, but can be changed in shape depending on the use of the fishing tackle of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1996-13032 (published on June 17, 1999) is known and accordingly The configuration and the working relationshi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s follows.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종래의 낚시용 구멍찌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부력제(11)(11')가 결합된 몸체(10)와, 몸체(10)의 하부에 부착되어 부력제(11)(11')의 부력에 대응하는 침강력을 갖는 봉돌(14)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10)와 봉돌(14)의 중심부에는 낚시원줄이 관통하는 관통관(13)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conventional fishing bore is attached to the body 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the buoyancy agent (11, 11 ')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is attached to the buoyancy agent ( 11) (11 ′) is a rod 14 having a settl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buoyancy, the through-hole 13 through which the fishing line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body 10 and the bump 14 is formed. .

상기의 낚시용 구멍찌(100)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낚시채비(27)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도시되지 않은 릴에 감겨진 낚시원줄(20)은 낚싯대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링을 따라 끼워지는 낚시원줄(20)은 낚시용 구멍찌(10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관(13)으로 삽입되며, 상기 낚시용 구멍찌(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낚시원줄(20)에는 유동하는 낚시용 구멍찌(100)을 정지시키는 찌고정용 스토퍼인 찌고정매듭(21)이 묶어지고, 낚시용 구멍찌(100)와 찌고정매듭(21)와의 밀착을 방지하는 밀착방지용 소형구슬(22)이 낚시용 구멍찌(100)와 찌고정매듭(21)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낚시용 구멍찌(100)를 관통한 낚시원줄(20)의 끝단부에는 도래(24)가 고정되고 도래(24)와 낚시용 구멍찌(100) 사이에는 충격방지용 쿠션고무(23)가 끼워지며, 상기 도래(24)에는 낚시바늘(26)이 고정되는 소정길이의 목줄(20a)이 묶어지고 목줄(20a) 아래의 소정위치에는 부력조절용 중간봉돌(25)이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general fishing gear 27 using the fishing bore 100 is the fishing line 20 wound on a reel not shown as shown in Figure 2 is fitted along the guide ring installed on the fishing rod Fishing line 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tube 13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shing bobber 100, the fishing fishing bobber (100) that flows in the fishing line 20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shing bobber 100 The fastening knot (21), which is a stopper for fastening fastening, is tied up, and the small-sized beads (22) for preventing close contact between the fastening knot (100) and the fastening knot (21) for fishing are fastened for fishing (100). Wedge is fitted between the fixed knot 21, the end of the fishing line 20 penetrating the fishing bore 100, the auger 24 is fixed between the advent 24 and the fishing bore 100 There is a shock-resistant cushion rubber (23) is fitted, the advent (24) is a fishing needle (26)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collar (20a) is being tied predetermined position under the collar (20a) which is formed of an intermediat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uoyancy adjustment bongdol 25 is fixed.

상기와 같은 낚시채비(27)로 하여 부력제(11)(11')가 결합된 몸체(10)의 하부에 봉돌(14)이 설치된 낚시용 구멍찌(100)를 사용하여 낚시를 행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수면위로 던져진 낚시용 구멍찌(100)는 무게 중심이 제일 아래쪽에 있으므로 낚시용 구멍찌(100)의 몸체(10)는 수면으로 부터 거의 일직선상으로 세워지게 된다.In the case of fishing using the fishing bore 10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the buoyant (11, 11 ') is coupled to the fishing gear 27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shing As shown in Figure 2, the fishing bore 100 thrown onto the water desired by the user has a center of gravity at the bottom, so the body 10 of the fishing bore 100 is built up almost in a straight line from the water surface.

상기와 같이 낚시용 구멍찌(100)의 몸체(10)가 수면으로 부터 거의 일직선상으로 세워지게 되어 조류(潮流)의 흐름이나 파도에 의해서도 낚시용 구멍찌(100)는 거의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상태가 되므로, 낚시용 구멍찌(100)의 몸체(10) 상부에 위치하는 낚시원줄(20)은 관통관(13)에 대하여 직각형태로 꺽여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낚시용 구멍찌(100)의 아래쪽에 있는 낚시채비(27)에 고정되어 있는 중간봉돌(23)의 비중이 낚시원줄(20)에 작용하는 부력보다 적어 낚시채비(27)가 묶어져 있는 낚시원줄(20)이 물 속으로 자연스럽게 잠길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서, 낚시채비(27)를 사용자가 원하는 깊이 만큼의 물 속으로 자연스럽게 잠길 수 없게 되어 고기가 회유하는 유영층까지 공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body 10 of the fishing bobber 100 is erected almost in a straight line from the water surface, and the fishing bobber 100 is almost vertically erected even by the flow or waves of birds. , Fishing line 20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of the fishing bore 100 is bent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through-pipe 13, the fishing in the bottom of the fishing boil 100 Since the specific gravity of the middle bar 23 fixed to the chae 27 is less than the buoyancy acting on the fishing ponse 20, the fishing ponse 20 is tied to the fishing chae 27 27 can not be naturally locked into the water As a result of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immersed in the water as much as the user wants the fishing gear (27) naturally to the swimming layer where the meat stalks.

또한, 낚시채비(27)를 고기가 회유하는 유영층까지 도달하게 하려면, 낚시바늘(26)을 묶는 목줄(20a)의 상부에 별도의 부력조절용으로 사용하는 무거운 봉돌를 달아서 낚시원줄(20)에 잔존하는 부력을 상쇄시켜야 하는 번거러움과, 묶는 목줄(20a)의 상부에 별도의 부력조절용으로 사용하는 무거운 봉돌을 부착하므로 인하여 낚시용 구멍찌(100)가 수중에 잠긴 상태로 있게 되어 어신을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reach the streamer layer where the meat is gathered 27, the fishing scoop 27 remains on the fishing line 20 by attaching heavy rods used for separate buoyancy control on the upper part of the collar 20a that binds the fishing needle 26. Hassle to offset the buoyancy to, and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tie neck (20a) heavy rods used for separate buoyancy control due to the fishing boulder (100) is locked in the water can not grasp the fishery problem There was this.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추형상의 부력제로 이루어진 몸체의 무게중심 하부에 위치하는 반쪽 몸체의 무게중심을 기준점으로 하여 부력제의 상하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된 공간부에 몸체의 부력보다 적은 봉돌을 삽입 설치하고, 봉돌이 설치된 상부 또는 하부에 공기방을 형성하여 사용하므로서, 수면위로 던져 진 낚시채비가 조류의 흐름에 의해 낚시채비가 묶여져 있는 목줄과 낚시용 구멍찌의 위에 있는 낚시원줄이 낚시용 구멍찌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관과 거의 일직선으로 유지되여 낚시원줄은 관통관을 통하여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아무런 저항을 받지않고 자연스럽게 내려가게 되어 낚시채비를 사용자가 원하는 깊이 만큼의 물 속으로 잠기게 하는 동시에 미약한 어신에도 아주 예민하게 반응하여 어신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less than the buoyancy of the body in the space formed symmetrically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oyan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alf body located below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made of a conical buoyancy agent By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bondol, and forming the air chamber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where the bondol is installed, the fishing net thrown onto the surface of the fishing net is tied with the tether and the fishing pontoon on the fishing bobber. It is kept almost in line with the penetrating tube formed in the bore, and the fishing line naturally descend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rough the penetrating tube without any resistance, so as to submerge the fishing gear into the water as deep as desired by the user. Reacts very sensitively to one fish, And to make a technical problem.

도 1은 종래의 낚시용 구멍찌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shing bobber.

도 2는 도 1의 종래의 낚시용 구멍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Figure 2 is a use state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conventional fishing fork of Figure 1;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봉돌을 제외한 낚시용 구멍찌의 무게중심(A)을 도시한 상태도.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center of gravity (A) of the fishing bobber for fishing except the bu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봉돌을 제외한 도 3의 무게중심선을 기준으로 한 낚시용 구멍찌의 반쪽에 대한 무게중심(B)을 도시한 상태도.Figure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center of gravity (B) for the half of the fishing bobber on the basis of the center of gravity of Figure 3, except for the boul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구멍찌에 공기방이 봉돌의 상부에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bladder fishing tack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구멍찌에 공기방이 봉돌의 하부에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bar on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구멍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Figure 7 is a use state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낚시용 구멍찌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ishing jaw of Figure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몸체 11,11' : 부력제 12,12' : 공간부10: body 11,11 ': buoyancy 12,12': space part

13 : 관통관 14 : 봉돌 15 : 반쪽몸체13: penetrating tube 14: bumper 15: half body

16 : 공기방 20 : 낚시원줄 20a : 목줄16: air room 20: fishing line 20a: neckline

21 : 찌고정매듭 22 : 소형구슬 23 : 쿠션고무21: sticking knot 22: small beads 23: cushion rubber

24 : 도래 25 : 중간봉돌 26 : 낚시바늘24: Arrival 25: Middle bar 26: Fishing needle

100 : 낚시용 구멍찌100: fishing bobb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8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봉돌을 제외한 낚시용 구멍찌의 무게중심(A)을 도시한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봉돌을 제외한 도 3의 무게중심선을 기준으로 한 낚시용 구멍찌의 반쪽에 대한 무게중심(B)을 도시한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구멍찌에 공기방이 봉돌의 상부에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구멍찌에 공기방이 봉돌의 하부에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구멍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낚시용 구멍찌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3 show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center of gravity (A) of the fishing fork except for the boul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ishing fork on the basis of the center of gravity of Figure 3 except for the boul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center of gravity (B) for the half, Figure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bulge in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for fi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ir chamber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boulder, Figure 7 show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8 is for fishing of Figure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orking state of the bore.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구멍찌(10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원추형상의 부력제(11)(11')로 이루어진 몸체(10)의 중앙에는 낚시줄을 관통하기 위하여 파이프로 되는 수직의 관통관(13)이 삽입 설치된다.Fishing jaw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pe for penetrating the fishing line in the center of the body 10 made of conical buoyancy (11, 11 ') as shown in Figure 5 and 6 The vertical through tube 13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그리고 상기의 관통관(13)이 삽입 설치되는 낚시용 구멍찌(100)에 봉돌(14)이 삽입되며, 공기방(16)이 형성되는 공간부(12)(12')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봉돌이 설치되지 않은 원추형상의 부력제(11)(11')로 이루어진 몸체(10)의 무게중심(A) 하부 아래인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봉돌이 설치되지 않은 낚시용 구멍찌(100)의 몸체(10)의 1/2인 반쪽 몸체(15)의 무게중심(B)을 기준점으로 하여 부력제(11)(11')의 상하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된다.And the rod 14 is inserted into the fishing bore 1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tube 13, the space portion 12, 12 'is formed in the air chamber 16 is shown in FIG. As shown below in Figure 4, the bottom of the center of gravity (A) of the body 10 made of a conical buoyant (11) (11 ') that is not installed with a boulder (100) It is formed symmetrically to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buoyant (11) (11 ') with the center of gravity (B) of the half body (15) which is 1/2 of the body (10).

또한, 상기 원추형상의 부력제(11)(11')로 이루어진 몸체(10)의 무게중심(A) 하부 아래인 낚시용 구멍찌(100)의 몸체(10)의 1/2인 반쪽 몸체(15)의 무게중심(B)을 기준점으로 하여 부력제(11)(11')의 상하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된 공간부(12)(12')에는 몸체(10)의 부력보다 적은 침강력을 가지는 관통관(13)이 형성된 봉돌(14)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의 봉돌(14)이 삽입 설치되는 상부 또는 하부에 공기방(16)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half body (15) which is 1/2 of the body (10) of the fishing jaw (100) below the center of gravity (A) of the body 10 of the conical buoyancy (11) (11 '). Through-holes having a settling force less than the buoyancy of the body 10 in the space portion 12 (12 ') formed symmetrically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buoyant (11) (11') with the center of gravity (B) of the (13) is formed of a convex (14) is inserted, and the air chamber 16 is formed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where the convex (14) is inser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7 및 도 8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7 and 8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낚시를 행하기 위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낚시원줄(20)에 고기가 회유하는 유영층 까지 낚시용 구멍찌(100)가 유동할 수 있도록 찌고정매듭(21)을 묶은 후에 낚시원줄(20)의 끝부분을 소형구슬(22)과 낚시용 구멍찌(100)에 파이프가 삽입되어 되어 있는 관통관(13)을 통하여 삽입하고, 쿠션고무(23)을 낚시원줄(20)의 끝부분에 통하여 삽입한 상태에서 낚시원줄(20)의 끝부분을도래(24)의 일측에 묶은 후, 낚시바늘(26)이 묶인 목줄(20a)의 타측을 낚시원줄(20)이 묶인 도래(24)의 타측에 묶으므로서 낚시을 할 수 있는 낚시채비(27)가 완료된다.As shown in FIG. 7 for tying fishing, the fishing line after tying the bobbin-shaped knot 21 so that the fishing bobber 100 flows to the swimming layer where the meat is circulated in the fishing line 20 The end of the 20 is inserted through the small tube 22 and the through hole 13 into which the pipe is inserted into the fishing bore 100, and the cushion rubber 23 is the end of the fishing line 20. After the end of the fishing line 20 in the state inserted through the tied to one side of the auger 24, the other side of the neck line 20a, the fishing needle 26 is tied to the advent (24) tied to the fishing line 20 While fishing on the other side of the fishing tackle 27 can be completed.

상기와 같이 만반의 낚시채비(27)를 갖춘 후, 사용자가 원하는 포인트에 낚시용 구멍찌(100)를 던지면, 낚시용 구멍찌(100)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류의 흐름에 의하여 수면 아래쪽에 잠겨 있는 낚시채비(27)는 조류의 흐름방향으로 경사지게 놓여지는 동시에 상기 몸체(10)의 무게중심(A) 하부 아래인 몸체(10)의 1/2인 반쪽 몸체(15)의 무게중심(B)을 기준점으로 하여 부력제(11)(11')의 상하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된 공간부(12)(12')에 설치된 봉돌(14)에 의하여 낚시용 구멍찌(100)의 전체적인 중심이 무게중심(B)의 아래쪽에 위치하므로써 조류의 흐름에 의하여 낚시용 구멍찌(100)는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낚시채비(27)가 묶여져 있는 목줄(20a)과 낚시용 구멍찌(100)의 위에 있는 낚시원줄(20)은 낚시용 구멍찌(10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관(13)과 거의 일직선으로 유지된다.After the fishing gear 27 i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throws the fishing bobber 100 at a desired point, the fishing bobber 100 is lowered from the surface of the water by the flow of birds as shown in FIG. 8. The fishing gear 27 locked in the center is placed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flow of the bird and at the same tim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alf body 15, which is 1/2 of the body 10 below the center of gravity A of the body 10 ( B) as a reference point, the entire center of the fishing jaw 100 is weighed by the rods 14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s 12, 12 'symmetrically formed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buoyancy agents 11, 11'. The fishing bobber 100 is kept slightly inclined by the flow of birds by being positioned below the center B, and the fishing bobbin 27 is tied to the collar 20a and the fishing bobber 100 which are tied. Fishing line 20 is a through tube 13 formed in the fishing bobber 100 is almost It is held in a straight line.

상기와 같이 수면위로 던져 진 낚시채비(27)가 조류의 흐름에 의해 낚시채비(27)가 묶여져 있는 목줄(20a)과 낚시용 구멍찌(100)의 위에 있는 낚시원줄(20)이 낚시용 구멍찌(10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관(13)과 거의 일직선으로 유지되여 낚시원줄(20)은 중간봉돌(25)의 무게에 의하여 낚시용 구멍찌(10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관(13)을 통하여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아무런 저항을 받지 않고 찌고용매듭(21) 까지 자연스럽게 내려가게 되어 낚시채비(27)를 사용자가 원하는 깊이만큼의 물 속으로 잠기게 하여 물고기가 회유하는 유영층까지 공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ishing webs 27 thrown on the water as described above is a fishing line (20) on top of the fishing line (27a) and the fishing hole (100), which is tied to the fishing web (27) by the flow of algae fishing hole ( Mainly maintain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through tube 13 formed in the 100, the fishing line 20 is the upper through the through tube 13 formed in the fishing bobber 100 by the weight of the intermediate bar 25 From the bottom to the bottom of the steaming knot (21) without any resistance to naturally fall into the water as much as the user wants to be able to attack the swimming layer where the fish circulate. .

그리고, 원추형상의 부력제(11)(11')로 이루어진 몸체(10)의 무게중심(A) 하부에 위치하는 반쪽 몸체(15)의 무게중심(B)을 기준점으로 하여 부력제(11)(11')의 상하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된 공간부(12)(12')에 몸체(10)의 부력보다 적은 봉돌(14)을 삽입 설치하는 동시에 봉돌(14)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공기방(16)을 형성하여 사용하므로서 수면으로 던져진 낚시용 구멍찌(100)는 미약한 어신에도 아주 예민하게 반응하며, 고기가 낚시바늘을 물고 위로 올라오는 경우에는 낚시용 구멍찌(100)의 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방(16)의 부력에 의해 낚시용 구멍찌(100)가 신속하게 솟아 올라 어신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n, the buoyant 11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B of the half body 15 located below the center of gravity A of the body 10 made of a conical buoyant (11, 11 ') (11) ( 11 ') is inserted into the space 12 (12') formed symmetrically up, down, left, right, and less than the buoyancy of the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air chamber 16 at the top or bottom of the pedestal 14 The fishing boulder (100) thrown into the water by forming a water reacts very sensitively to the weak fishery, and when the meat comes up biting the fishing needle is formed on the body (10) of the fishing boulder (100) Due to the buoyancy of the air chamber 16, the fishing bobber 100 rises quickly to be able to accurately detect the fishery.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구멍찌는 원추형상의 부력제로 이루어진 몸체의 무게중심 하부에 위치하는 반쪽 몸체의 무게중심을 기준점으로 하여 부력제의 상하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된 공간부에 몸체의 부력보다 적은 봉돌을 삽입 설치하며, 봉돌에 상부 또는 하부에 공기방을 형성하여 사용하므로서, 수면위로 던져 진 낚시채비(27)가 조류의 흐름에 의해 낚시채비가 묶여져 있는 목줄과 낚시용 구멍찌의 위에 있는 낚시원줄이 낚시용 구멍찌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관과 거의 일직선으로 유지되여 낚시원줄은 관통관을 통하여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아무런 저항을 받지않고 찌고용매듭까지 자연스럽게 내려가게 되어 낚시채비를 사용자가 원하는 깊이 만큼의 물 속으로 잠기게 하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수면으로 던져진 낚시용 구멍찌가 미약한 어신에도 아주 예민하게 반응하여 어신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ishing bobb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less than one buoyancy of the body in the space formed symmetrically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oyant based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alf body located in the lower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made of a conical buoyancy agent. Insert and install the air chamber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rod, using the fishing jersey thrown on the water surface (27) thrown on the surface of the fishing net is tied to the fishing hoop and fishing poncho on the fishing bobber It is kept almost in line with the through tube formed in the dragon hole, and the fishing line naturally goes down to the steaming knot without any resistan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rough the through tube. A fisherman with a submerged fishing float and a weak fishing float. Would it have to be very sensitive to effects that can accurately detect eosin.

Claims (1)

원추형상의 부력제(11)(11')로 이루어진 몸체(10)에 봉돌(14)이 삽입되는 것에 있어서,In inserting the rod 14 into the body 10 made of a conical buoyancy agent 11, 11 ′, 상기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력제(11)(11')의 중앙에는 낚시줄이 통과하는 관통관(13)이 삽입 설치되고,A through tube 13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passes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buoyancy agent 11, 11 ′ formed in the cone shape. 상기 원추형상의 부력제(11)(11')로 이루어진 몸체(10)의 무게중심(A) 하부에 위치하는 몸체(10)의 1/2인 반쪽 몸체(15)의 무게중심(B)을 기준점으로 하여 부력제(11)(11')의 상하좌우로 대칭되게 공간부(12)(12')가 형성되고,Reference point of the center of gravity (B) of the half body (15) that is half of the body (10) located below the center of gravity (A) of the body (10) consisting of the conical buoyancy (11, 11 ') As a result, the space portions 12 and 12 'are symmetrically formed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buoyant agent 11, 11', 상기 부력제(11)(11')의 상하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된 공간부(12)(12')에는 몸체(10)의 부력보다 적은 봉돌(14)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봉돌(14)이 삽입 설치된 상부 또는 하부에 공기방(1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구멍찌.In the spaces 12 and 12 ', which are symmetrically formed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buoyant agent 11, 11', a lesser bump 14 is inserted and installed than the buoyancy of the body 10. Fishing bob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chamber 16 is formed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inserted.
KR1020000025606A 2000-05-13 2000-05-13 A hall float for fishing KR100356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606A KR100356278B1 (en) 2000-05-13 2000-05-13 A hall float for fis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606A KR100356278B1 (en) 2000-05-13 2000-05-13 A hall float for fis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203A KR20000063203A (en) 2000-11-06
KR100356278B1 true KR100356278B1 (en) 2002-10-12

Family

ID=1966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606A KR100356278B1 (en) 2000-05-13 2000-05-13 A hall float for fis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27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678B1 (en) * 2013-04-22 2014-12-01 김문수 Float for fishing
KR102183350B1 (en) * 2020-03-06 2020-11-26 신희봉 Fishing floa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678B1 (en) * 2013-04-22 2014-12-01 김문수 Float for fishing
KR102183350B1 (en) * 2020-03-06 2020-11-26 신희봉 Fishing flo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203A (en)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6278B1 (en) A hall float for fishing
US2792665A (en) Fishing float
CN211607936U (en) Fishing gear with it weighs down to be convenient for install fishing lead
KR200361713Y1 (en) Fishing rod that compose float
KR200384445Y1 (en) Float with a penetrating hole formed by injection mold
CN217644469U (en) Underwater suspension positioning buoy
KR200204974Y1 (en) Float for fishing
KR102511226B1 (en) Fishing tackle
KR100285407B1 (en) Float for fishing
KR101996236B1 (en) Balance weight of the fishing pot for capturing webfoot octupus
JP2012161299A (en) Fishing tackle
KR200327146Y1 (en) Suspend float tied to leader for fresh-water fishing
KR200157322Y1 (en) The fishing rod with net device for protecting the paste bait
KR100675493B1 (en) A float for fishing
JPH06261659A (en) Paternoster tackle for fishing
KR200227040Y1 (en) A float hase holes for fishing in the fresh water
KR200279403Y1 (en) A Float for Sea Fishing Having Improved Sensitivity and Visibility
JPH0715420Y2 (en) Otori sink for friend fishing
KR970007302B1 (en) Fishing float
KR200327142Y1 (en) A fishing float
KR20220002008U (en) Fishing float
KR200184309Y1 (en) The prop stand for establishing fishing-net
KR200328804Y1 (en) Sinker for fishing rod
KR200195014Y1 (en) A float for fishing
JPS6329429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