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236B1 - Balance weight of the fishing pot for capturing webfoot octupus - Google Patents

Balance weight of the fishing pot for capturing webfoot octup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236B1
KR101996236B1 KR1020180134467A KR20180134467A KR101996236B1 KR 101996236 B1 KR101996236 B1 KR 101996236B1 KR 1020180134467 A KR1020180134467 A KR 1020180134467A KR 20180134467 A KR20180134467 A KR 20180134467A KR 101996236 B1 KR101996236 B1 KR 101996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hellfish
bruise
cross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건호
조삼광
차봉진
구명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34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2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2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6Sink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ight for a shellfish shell fishing gear with improved capturing power, comprising: a polypyramid weight body of which one side has a cross-shaped portion having a cross-shaped (+) structure at a certain length, and which consists of a converging portion of which the width narrows toward the other side; and a fixing device connected and fixed with an inking line through a ring structure at the side center of the cross-shaped potion of the weight body. Accordingly, by preventing the loss of existing shellfish shell fishing gears with a large amount of loss, costs for purchasing fishing gears and costs of fishery loss of fishermen can be reduced.

Description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 {Balance weight of the fishing pot for capturing webfoot octup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net having a fishing force for capturing webfoot octupus,

본 발명은 패류껍질 어구의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무게추로, 어느 한 측면은 십자형이고 타측면은 일방향으로 폭이 협소되는 입체형상인 무게추 본체와, 상기 십자형 측면에는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고정구가 구비되는 봉으로 이루어진 무게추로 구성함으로써 무게추에 연결된 어구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수중에 설치된 어구의 유실을 줄일 수 있는 패류껍질어구용 무게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body used for fixing a shellfish shellfish, a body weight body having a cross shape on one side and a narrow width on the other side in one direction, and a cross- And the weight of the shell of the shellfish which can reduce the loss of the fishing gear installed in the water by improving the fixing force of the fishing gear connected to the weight.

연안복합어업에 속하는 패류껍질어구(일명 주꾸미소호)는 자망, 통발, 안강망 등과 더불어 풍랑에 의한 유실이 많은 어구 중 하나이다. 패류껍질어구는 다른 연안 어업들에 비해 비교적 얕은 수심인 15 m 전후의 연안에 설치되어 파랑의 영향에 쉽게 노출 될 뿐만 아니라, 어구 고정을 위한 수단으로 닻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정력이 약한 멍(sand bag)을 사용하므로 어장 환경이나 어구 구성이 유실에 취약하다. The shellfish shellfish (aka jukinmi soho) belonging to the coastal compound fishery is one of the words with many loss due to the storm along with the netting, The shellfish shellfish is installed at a relatively shallow water depth of about 15 m, which is relatively shallow compared to other coastal fisheries, and is easily exposed to the influence of waves. In addition, a sand bag ), So that the fishery environment and fishery composition are vulnerable to loss.

패류껍질어구란 은신처를 찾아들어가 그곳에 숨어들려고 하는 생물의 습성을 이용하여 소라나 고등 등을 미끼 없이 해저에 부설하였다가 패류껍질에 들어있는 대상 생물을 잡는 어업을 지칭한다. 패류껍질어구의 주요 어획종은 주꾸미이고 낙지 등도 혼획된다.Shellfish shellfish refers to the fishery that uses shellfish or high shellfish to lay on the seabed without bait and to catch the creatures contained in the shellfish. The main species of shellfish shellfish are jukumi and octopuses are also seized.

패류껍질 어구의 일반적은 구조는 어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부표와, 부표와 어구를 연결하는 부표줄, 부표줄과 부표줄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모릿줄과 모릿줄에 설치되는 패류껍질, 어구를 해저에 모릿줄의 양끝단에 연결되는 멍줄 및 멍이 해저에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Shellfish Shellfish is composed of a buoy line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fishery, a buoy line connecting the buoy and the fish, a coral line connecting the buoy line and the buoy line horizontally and a shellfish shell attached to the coral line, And the bruises and bruise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rrugated lines are fixed to the sea floor.

패류껍질 어업의 조업방법은 대상 어장에 도착하면 어선은 저속으로 항해하면서 선에서 부표를 투하하고 부표줄을 내어준다. 부표줄이 다 나가면 중갑판 우현에서 멍을 투하하고 멍줄을 내어준다. 투하된 멍의 침강력과 배의 항해속력에 따라 모릿줄이 나가면서 패류껍질이 투하되기 시작한다. The fishing method of shellfish shellfish fishing is when the fishing boat arrives at the fishing ground, the fishing boat sails at low speed and drops the buoy from the ship and gives out the buoy line. When the row of buoys is over, he bruises and gives off his bruises from the bow of the heavens. Depending on the salivating force of the dropped bruise and the speed of the ship, the bark of the shell begins to fall as the marginal line rises.

이때 모릿줄이 엉키지 않도록 선원은 모릿줄에 달린 패류껍질을 차례대로 투하한다. 모릿줄이 달린 패류껍질이 모두 투하되면 멍과 부표 및 부표줄을 투하하여 투승을 마친다. 패류껍질은 대상생물인 주꾸미가 패류껍질에 충분히 들어갈 수 있는 시간인 약 7일 동안 담갔다가 양승한다.At this time, the crews in turn drop shells on the corrugated lines so that the corrugated lines do not get tangled. When the bark of shells with all the corrugated lines are all dropped, the bruises, buoys and buoys are dropped and the tour ends. Shellfish shells are immersed for about 7 days, the time for the target creature, juku, to enter shellfish shells fully.

어구를 일정 위치에 고정 하는 데에는 닻이 많이 사용되지만, 닻은 대개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사용 기간이 끝난 후 수거하는 데 불편하므로 닻 대신 사용할 목적으로 가마니나 줄망태기에 돌, 자갈, 모래 등을 넣어 만든 것을 멍(sand bag)이라 한다. Anchor is often used to fix a fish to a certain location, but anchor is often expensive and inconvenient to collect after the period of use, so put a stone, gravel, It is called a sand bag.

멍은 같은 중량의 닻에 비해 해저에 대한 고정력은 떨어지지만, 닻을 사용할 때 줄이 닻에 감기거나 얽히는 문제가 없는 장점 때문에 패류껍질어구에서 널리 사용된다. 닻을 사용하는 자망, 통발 등의 어업과 달리 패류껍질어구에서만 멍을 사용하는 이유는 조업 방식에 기인한다. 자망과 통발 어업은 어획물 수확 시 부이줄과 함께 닻도 양망을 하지만 패류껍질어구는 패류 껍질만 갑판에 올려 어획물을 확인하고, 어구 끝의 마지막 멍을 제외한 멍은 양망하지 않는다. Bruises are less common in the seabed compared to anchors of the same weight but are used extensively in shellfish shellfish because of the advantage that the anchors do not have a problem of stringing or entangling the anchors. Unlike fishing, which uses anchors such as nettles and pots, the reason for using bruises only in shellfish shells is due to the way they operate. In the case of harvesting and fishing, both the anchors and the anchors are caught in the harvesting of the catches, but the shellfish shells are raised on the deck only by shellfish shells, and the bruises except for the last bruise on the end of the catch are not destroyed.

멍을 올리지 않은 상태로 어획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패류 껍질을 갑판에 끌어 올렸을 때도 멍이 당겨지지 않을 만큼 멍줄이 길어야 한다. 보통수심 10 m인 어장에서는 멍줄 길이가 30 m에 이른다. 이처럼 어구를 고정하는 줄의 길이가 긴 상태에서 닻을 사용하게 되면 줄이 닻팔이나 닻장 등에 감기면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In order to identify the catch without bruising, the bark must be long enough to prevent the bruise from being pulled up when the shell of the shell is pulled up to the deck. A fishery with a depth of 10 m usually has a length of 30 m. If the anchor is used in a state where the length of the line fixing the fishing gear is lo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ine may be wound around the anchorpost or the anchorpipe.

이에 반해 멍은 모양이 단순하여 멍줄이 멍에 감길 확률이 낮다. 그러 멍줄 길이가 길수록 멍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고정력이 약한 멍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따라서, 패류껍질어구의 유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강한 풍랑이 발생할 때 어구가 받는 힘을 줄이는 것도 필요하지만 근본적으로 취약한 멍의 고정력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Bruises, on the other hand, are less likely to be wrapped around their yoke by their simplicity. Therefore,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bruise, the greater the ability to increase the fixation force of the bruise.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loss of shellfish shellfish,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force applied to the fish when a strong storm occurs, bu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fixability of the fundamentally vulnerable bruise.

닻의 고정력과 관련된 연구들은 보고된 바 있으나 멍의 고정력 개선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특허 선행문헌의 경우에도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731229호와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633822호에는 두족류 포획을 위한 어구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을 뿐 본 발명의 패류껍질어구의 유실을 줄일 수 있는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어구용 무게추의 구성은 개시되지 않아 차이를 보인다.Studies related to the anchoring force have been reported, but studies related to improving the fixation ability of bruises are rarely performed, and in the case of the patent literature, Korean Patent No. 10-1731229 and Korean Patent No. 10-1633822 The configuration of the weights for the shellfish shell fishing gogg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disclosed only for the capturing of the cephalopods, and for which the fixing force of the shellfish shellfis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duced, is not disclosed.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731229호에는 원형 또는 조개껍질과 동일 유사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상하 대칭되는 한 쌍의 몸체로 구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쭈꾸미 포획용 어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10-1731229 discloses a fish catching fish catch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composed of a pair of bodies vertically and symmetrically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circular shell or a shell shell.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633822호에는 기존 두족류 포획시 사용되는 천연 패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제작시 무취(無臭) 재질인 멜라민수지(melamine resin)를 이용하되, 해산물 향이나는 향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어구 내 두족류 잠입을 유도하여 어획량이 증가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10-1633822 discloses a method for solving problems of natural shell used in capturing existing cephalopods and using melamine resin which is odorless material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 adding seafood fragrance material And introduces a catch phrase for capturing cephalopods that leads to infiltration of the cephalopods by the fish.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944424호에는 내면과 외면으로 나선 형상을 이루고, 상기 외면으로는 나선형 곡선을 따라 돌기가 다수개로 형성된 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는 합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연 소라껍데기 분쇄물 또는 석회분 10중량% ~ 20중량%가 혼합되어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체가 분리되거나 조립되는 구조가 아닌 일체의 형상으로 성형시켜 내면 및 외면이 천연 소라껍데기와 동일하게 하여 두족류의 생물학적 특성을 고려하고, 주꾸미 포획기로 사용 불가능한 작은 소라껍데기 분쇄물을 일정 부분 포함시켜 친환경적이며, 주꾸미 포획에 알맞은 크기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주꾸미 포획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10-0944424 discloses a spiral wound body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long a spiral curv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10% by weight to 20% by weight of water or limestone are mixed and molded integrally. The main body is formed into an integral shape rather than being separated or assembled, and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are made of a cephalopod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jujube catching machine which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y including a small portion of crushed corn husks which can not be used as a juniper catcher and has an effect of being mass-produced in a size suitable for jujube capture.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9074호에는 나선 모양으로 감겨 상호 대응 결합시 소라 형상을 갖는 상하 한 쌍의 몸체로 이루어진 주꾸미 포획용 어구에 있어서, 상하로 관통된 체결홀을 갖는 상부 체결보스가 나선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단부에 로프 결합을 위한 로프홀이 형성된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 체결보스와 대응되는 하부 체결보스가 형성된 하부 몸체와; 상하 체결보스의 체결홀에 각기 삽입되며, 그 각각의 대응단이 서로 체결되는 한 쌍의 웨이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꾸미 포획용 어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19074 discloses an apparatus for catching junk food comprising a pair of upper and lower bodies each having a helical shape and wound in a spiral shape and having a shell shape when the upper and lower fastening bosses having upper and lower fastening holes are screwed, An upper body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and having a rope hole for rope coupling at an upper end thereof; A lower body formed with a lower fastening boss corresponding to an upper fastening boss of the upper body; A pair of weight members which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of the upper and lower fastening bosses and whose corresponding ends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 catching fishery fishe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sh catching fish.

본 발명은 패류껍질어구용 무게추(멍)의 고정력이 약해 어구가 유실되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 사각형 또는 원형이었던 무게추의 단면을 십자형으로 돌출되게 구성하여 해저에서 무게추가 끌릴 때 자중에 의한 마찰력뿐만 아니라 토압에 의한 저항력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함으로써 고정력을 향상시킨 패류껍질어구용 무게추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at the fishing force is weak due to weak fixing force of shellfish for shellfish shellfish fishing, a cross-section of a conventional weight or weight has been criss- And a resistance to earth pressure is additionally generated so as to improve the fixing for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는 일정 길이로 일측면은 십자형(+)구조의 십자형상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을 향하여 폭이 협소해지는 수렴부로 이루어지는 다각뿔구조의 무게추 본체; 상기 무게추 본체의 십자형상부 측면 중심부에는 고리구조로 멍줄과 연결 고정되는 고정장치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eights for the shellfish shell fishing tack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fixed length,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 cruciform top of a cruciform (+) structure is formed on one side, A weight body having a polygonal pyramid structure; And a fastening device that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breech-like structure in an annular shape on the center portion of the cross-shaped upper side of the weight body.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는 일정 길이로 일측면은 십자형(+)구조의 십자형상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을 향하여 폭이 협소해지는 수렴부로 이루어지는 다각뿔구조의 무게추 본체; 상기 무게추 본체의 십자형상부 측면 중심부에는 스틱구조의 봉프레임의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봉프레임의 타측 말단에는 고리 구조로 멍줄과 연결 고정되는 고정장치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The weights for the shellfish shell fishing tack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fixed length and a polygonal pyramidal structure composed of a convergent portion having a cruciform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ross shape with a + A weight body; One end of a bar frame having a stick structure is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a side of the cross body of the weight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rod frame may be formed of a fixing device which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barb with a loop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는 일정 길이로 일측면은 십자형(+)구조의 십자형상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을 향하여 폭이 협소해지는 수렴부로 이루어지는 다각뿔구조의 무게추 본체;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십자형상부를 내부로 삽입고정하는 십자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십자커버 측면부에는 스틱구조의 봉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공이 형성되며;상기 봉프레임의 일단에는 고리 구조로 멍줄과 연결 고정되는 고정장치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고정공에 걸려 봉프레임이 십자커버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장치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The weights for the shellfish shell fishing tack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fixed length and a polygonal pyramidal structure composed of a convergent portion having a cruciform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ross shape with a + A weight body; A cross cover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cruciform upper part into the inside thereof; A fixing devic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ar frame so as to be fixedly connected to the bar stool by means of an annular structure and at the other end, And a latch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cover from being detached can be formed.

이를 위해 패류껍질어구에서 사용 중인 멍은 그 형상에 따라 고정력이 다를 것으로 가정하고 멍의 형태에 따른 고정력의 차이를 실험을 통해 조사함으로써 멍의 고정력 향상효과를 나타내었다.For this purpose, the bruch used in shellfish shells was supposed to have a different fixing forc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ruch shell.

본 발명은 기존의 유실량이 많은 패류껍질어구용 어구 유실을 방지함으로써 패류껍질어구용 무게추의 재사용율이 높아짐과 동시에 어업인의 어구 구입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purchasing a fishing gear of a fishermen while preventing the loss of fishermen's shells having a large amount of conventional shellfish shells, thereby increasing the reuse rate of the shellfish shellfish weight.

도 1은 종래의 패류껍질어구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를 나타낸다.
도 3는 본 발명의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 실시예 2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 실시예 2를 나타낸다.
도 6은 실험예 1에 따라 바닥면의 면적 차이에 따른 무게추의 고정력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제작된 단면 모양이 직사각형인 5개의 멍을 나타낸다.
도 7은 실험예 1에 따라 무게추 단면 면적 차이에 대한 고정력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제작된 단면 모양이 정사각형이 5개의 멍들을 나타낸다.
도 8은 실험예 1에 따른 멍 B1, B2, B3, B4, B5 각각을 멍줄에 연결하여 일정한 속력으로 당길 때 멍줄에 작용하는 장력의 변화를 시간 경과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험예 1에 따른 멍 B1, B2, B3, B4, B5 각각을 멍줄에 연결하여 일정한 속력으로 당길 때의 각 멍줄 장력 최댓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험예 1에 따른 멍 A1, A2, A3, A4, A5를 각각 당길 때 발생하는 멍줄의 장력을 시계열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험예 1에 따른 멍 A1, A2, A3, A4, A5를 각각 당길 때 발생하는 각 멍줄의 최대 장력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험예 2에 따른 무게추 형상 차이에 따른 고정력을 확인하기 위해 제작한 무게추 형상을 나타낸다.
도 13은 실험예 2에 멍 SQ, TR, CI, CR-S, CR-L이 각각 당겨질 때 발생하는 멍줄의 장력을 시간을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실험예 2에 멍 SQ, TR, CI, CR-S, CR-L이 각각 당겨질 때 발생하는 각 멍줄의 최대 장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실험예 3의 무게 분포 차이에 따른 고정력을 확인하기 위해 제작한 정사각형 멍을 나타낸다.
도 16은 실험예3에 따라 형성된 멍을 예인하기 위한 예인 수조를 나타낸다.
도 17은 실험예 3에 따라 측정한 멍줄의 장력을 시계열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실험예 3에 따라 측정한 각 멍줄의 최대장력을 나타낸다.
1 shows a conventional shellfish shell fishing apparatus.
Fig. 2 shows a weight weight for a shellfish shell fishing tackle improved in fixat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Embodiment 1 of the weight piece for shellfish shell fis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improved fixing force.
Fig. 4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roving the fixing force of the shellfish shell.
Fig. 5 shows Embodiment 2 of the weight piece for shellfish shell fis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improved fixing force.
FIG. 6 shows five bruises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in order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fixing force of the weight according to the area dif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FIG. 7 shows five bruises having a square cross-sectional shape design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fixation force between the weight cross-sectional area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FIG.
FIG. 8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ensile force acting on a bruise when the bruises B1, B2, B3, B4, and B5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are connected to the bruch and pulled at a constant speed.
FIG. 9 is a graph showing the maximum values of the bark tensions when the bruises B1, B2, B3, B4 and B5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are connected to the bruch and pulled at a constant speed.
10 is a time-series graph show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breechbars generated when the bruises A1, A2, A3, A4, and A5 are pulled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respectively.
11 is a graph showing the maximum tension value of each bruise generated when each of the bruises A1, A2, A3, A4 and A5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is pulled.
FIG. 12 shows a weight profile formed to confirm the fixing force according to the weight difference of the weight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2. FIG.
FIG. 13 is a graph showing time-dependent tensile strength of a bruise caused when bruise SQ, TR, CI, CR-S and CR-L are pulled respectively in Experimental Example 2. FIG.
14 shows the maximum tensile strength of each bruise produced when the bruise SQ, TR, CI, CR-S, and CR-L are pulled in Experimental Example 2, respectively.
Fig. 15 shows square bruises produced to confirm the fixing force according to the weight distribution difference of Experimental Example 3.
16 shows a water tank for towing a bruise formed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3;
17 is a time-series graph showing the tension of the saddle stub measured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3. Fig.
Fig. 18 shows the maximum tension of each bruise measured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3. Fig.

도 1은 종래의 패류껍질 어구 장치를 나타낸다. 종래의 패류껍질 어구(Webfoot octopus pot)는 일정부력을 가지고 해수면에 부유하여 어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부표가 해수표면에 부유하고, 부표와 어구를 연결하는 부표줄, 부표줄과 부표줄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모릿줄과, 모릿줄에 설치되어 어획공간을 제공하는 패류껍질, 모릿줄의 양끝단에 연결되는 멍줄과 멍이 해저에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1 shows a conventional shellfish shell fishing apparatus. Conventional webfoot octopus pot has a buoyant buoyancy which floats on the sea surface and floats on the surface of sea wat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fishery. The buoy line connects the buoy to the fishing line, the buoy line and the buoy line horizontally It is made up of a corrugated string to be connected, a shell of shellfish that is installed on the corrugated lines and provides a fishing space, and a bruise and a bruise to the both ends of the corrugated string are fixed to the sea floor.

그러나, 상기 통상적인 멍의 형태는 정육면체 또는 구형으로 사용 재료도 돌이나 시멘트와 같이 재질 특성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멍의 고정력은 멍의 무게에 의존적이다. 또한, 어구 고정 시 닻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정력이 약한 콘크리트 무게추를 사용하므로 어구 유실의 빈도가 커질 수 있어 본 발명은 무게추의 고정력을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를 제공하고자 한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bruise shape is a cube or a spherical shape, and the material used does not have a large difference in material properties such as stone or cement, the fixing force of the bruise depends on the weight of the bruise. Also, since the weight of the concrete weight is relatively weaker than that of the anchor in fixing the fishing gear, the frequency of the fish loss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shing weight for fishing the shellfish shell having improved fixing force.

이하, 본 발명의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와 관련된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drawings related to a weight for shellfish shell fishing gea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improved fixing force.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는 일정길이로 일측면은 십자형상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을 향하여 폭이 협소해지는 수렴부로 이루어진 다각뿔구조의 무게추 본체(10); 상기 무게추 본체의 십자형상부 측면 중심부에는 고리구조로 멍줄과 연결 및 고정되는 고정장치(11)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Fig. 2 shows a weight weight for a shellfish shell fishing tackle improved in fixat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ing main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lyhedron structur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onverging part having a cross-shaped upper part formed on one side and a narrower width toward the other side. And a fixing device 11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criss-crossing upper side of the weight body in such a manner that the fixing device 11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wrist by a loop structure.

본 발명의 무게추 본체(10)는 일측면은 십자구조(+)의 십자형상부가 타측면을 향해 폭이 협소해지는 수렴부로 이루어져 길이 둘레는 요철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화살촉과 같은 구조를 이룬다. 수렴부는 해저에 고정되고, 십자형 구조부에 비해 상태적으로 중량이 무겁도록 형성한다. 이는 후술할 실험예로 확인된 바와 같이 종래의 멍보다 고정력을 2배 이상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weight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verging portion having a cruciform portion of a cross structure on the one side and a narrow width toward the other side,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weight portion 10 is concavo-convex. The converging portion is fixed to the seabed and formed to be heavier in weight than the cruciform portion. This is to improve the fixation force more than twic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bruise, as confirmed in the experimental example to be described later.

일실시예에 따른 무게추 중량은 수렴부의 중량은 전체 무게추의 중량의 20%가 집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적절한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추의 요철부가 해저면 저질에 깊게 고정됨으로써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In the weight w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eight of the convergent portion is formed such that 20% of the weight of the entire weight weight is concentrated. This is because the projections and depressions of the weight 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eply fixed to the bottom of the sea floor, It is for this reason.

도 3는 본 발명의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 실시예 1을 나타낸다. 실시예 1에 따른 무게추는 십자구조 측면과 고정장치는 스틱구조의 봉프레임(12)을 매개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실시예 1에 따른 무게추는 고정력이 무게추의 모멘트보다 클 경우 수렴부가 들려 고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실시예 1의 봉프레임은 이를 방지할 수 있다. Fig. 3 shows Embodiment 1 of the weight piece for shellfish shell fis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improved fixing force. The weigh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structured such that the cruciform side surface and the fixing device are connected via the rod frame 12 of the stick structure. When the weight of the weigh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larger than the moment of the weight, the convergence part can be heard and the fixing force can be reduced. Thus, the rod fram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prevent this.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 실시예2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무게추의 재질은 통상적인 멍과 동일하게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으나, 콘크리트는 장기간 해수에 설치되는 경우 부식이 크고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요철구조는 파손율이 종래의 직사각형의 벽돌형상의 멍에 비해 크다. Fig. 4 and Fig. 5 show Embodiment 2 of the weight piece for shellfish shell fishing ta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improved fixing force. Although the material of the weigh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be formed of concrete in the same manner as a conventional bruise, when the concrete is installed in seawater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corrosion is great, and in particular, It is larger than a brick-shaped yoke.

이에 실시예 2에 따른 무게추는 내구력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십자형상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십자커버(13)를 설치하여 무게추 본체의 십자형상부를 덮어 파손율을 줄이도록 하였다. The crisscross cover 13 is installed so that the crisscross portion can be inserted and fixed with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o that the crisscross portion of the weight portion main body is covered to reduce the breakage rate.

십자커버의 측면부에는 봉프레임이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공이 형성된다. 봉프레임의 일측은 멍줄과 연결되는 고정장치가 형성되고, 타측은 고정공에 삽입 후 고정공에 걸려 봉프레임이 십자커버 외로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걸림장치 실시예로는 십자형상의 걸림장치로 형성하여 봉프레임은 고정공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나 걸림장치에 의해 고정공을 이탈하는 것은 방지된다.A fixing hole is formed in a side portion of the cross cover so that the rod frame can be inserted and fixed. A fixing devic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rod fram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barb. The other side of the bar frame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and then caught by the fixing hole so that the rod frame is not separated from the cross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la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ing device is formed in a cross-shaped latching device so that the rod frame can move along the fixing hole, but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ixing hole by the latching devi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의 고정력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마찰력은 마찰계수와 물체가 표면을 누르는 수직항력(또는 무게)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마찰면의 물리적 특성과 물체의 무게가 동일하다면 물체의형태가 달라져도 마찰력은 동일하다. 멍의 고정력 또한 고정 계수와 물체의 수중무게에 의해 결정되며, 이 중 고정계수는 멍의 재료와 저질의 특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n experimental example for confirming the fixing force of the weight weight for the shellfish shell with improved fixing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general, the frictional force is determined by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nd the perpendicular drag (or weight) of the object against the surface. Therefore, i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riction surface and the weight of the object are the same, the frictional force is the same even if the shape of the object is different. The fixation force of the bruise is also determined by the fixed coefficient and the underwater weight of the object, and the fixed coefficient can be determined by the material and the quality of the bruise.

그러나, 멍의 경우 멍이 접촉하는 바닥이 주로 모래나 뻘 등으로 되어있어 물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저질의 형상이 변형되는 차이점이 있다. 물체의 무게와 마찰면의 특성이 동일하더라도 물체의 형태가 달라지면 멍이 당겨지는 과정에서 저질이 변형되는 정도도 달라져 멍의 고정력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bruises, the bottom of contact with bruises mainly consists of sand or mud, so that the shape of the bruise is deform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Even if the weight of the obje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iction surface are the same, if the shape of the object is chang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rittle fixing force is changed due to the different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brittl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기의 실험예는 무게추의 다양한 형태 조건 중에서 멍의 바닥면의 면적, 단면(이동 방향과 수직인 면)의 면적, 단면의 형상 그리고 멍의 무게 분포 차이에 따른 고정력 차이를 확인하였다.Therefore,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in various form conditions of the weight,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ruise, the area of the cross-section (plane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the shape of the cross- Respectively.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One. 무게추Weights 바닥면 면적 및 단면 면적 차이에 따른  Depending on floor area and cross-sectional area difference 고정력Fixing force 차이 Difference

도 6은 바닥면의 면적 차이에 따른 무게추의 고정력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단면 모양이 직사각형인 5개의 멍을 나타낸다. 상기 각 멍의 바닥면 면적이 각각 0.011, 0.016,0.019, 0.022, 0.025 mm2(이하 B1, B2, B3, B4, B5)가 되도록 하였고, 각 멍의 단면적(3,025,000 mm3)과 길이(200 mm)는 모두 동일하게 하였다.FIG. 6 shows five bruises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 order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fixing force between the weights according to the area dif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The sectional area (3,025,000 mm3) and the length (200 mm) of each bruch were 0.011, 0.016, 0.019, 0.022, and 0.025 mm2 respectively (B1, B2, B3, B4 and B5) All the same.

도 7은 무게추 단면 면적 차이에 대한 고정력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단면 모양이 정사각형이 5개의 멍들을 나타낸다. 단면의 면적을 늘리면서 동일한 무게를 갖게 하기 위해 멍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였다. 각 멍의 단면 면적이 각각 3,025, 6,050, 9,075, 12,100, 15,125 mm2(이하 A1, A2, A3, A4, A5)가 되도록 하였고, 각 멍의 체적(605,000 mm3)은 모두 동일하게 하였다. 앞면의 개방된 부분은 플라스틱 판넬(두께 1 mm, ABS)로 막아 예인 과정에서 모래가 멍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였다. 고정력은 무게추를 일정한 속도(0.35 m/s)로 당길 때 발생하는 인장력을 Loadcell 로 측정해서 구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각 모델에 대해 5회 수행 하고 그 결과를 평균하였다.FIG. 7 shows five bruises having a square cross-section in order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fixation force between the weight cross-sectional area differences. A space was formed inside the bruch to increase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and to have the same weight. The cross-sectional area of each bruch was 3,025, 6,050, 9,075, 12,100, 15,125 mm2 (A1, A2, A3, A4, A5) and the volume of each bruch was the same (605,000 mm3). The open part of the front was blocked with a plastic panel (1 mm in thickness, ABS) to prevent the sand from entering the bore during towing. The clamping force was obtained by measuring the tensile force generated when the weight was pulled at a constant speed (0.35 m / s) by Loadcell. These experiments were performed 5 times for each model and the results were averaged.

도 8은 멍 B1, B2, B3, B4, B5 각각을 멍줄에 연결하여 일정한 속력으로 당길 때 멍줄에 작용하는 장력의 변화를 시간 경과에 따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멍줄 장력의 최댓값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 결과, 멍 B1, B2, B3, B4, B5를 각각 당길 때 작용하는 장력은 시간 변화에 따라 거의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였고, 멍 종류에 따른 장력 크기도 큰 차이가 없었다. 각 멍의 최대 장력도 서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Fig. 8 shows the change in tension acting on the bruise when the bruise B1, B2, B3, B4 and B5 are connected to the bruin and pulled at a constant speed. Fig. 9 shows the maximum value of the bruise tension.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each of the bruises B1, B2, B3, B4, and B5 was almost constant over tim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tension depending on the bruise type. The maximum tensile strength of each bruch was similar.

도 10은 멍 A1, A2, A3, A4, A5를 각각 당길 때 발생하는 멍줄의 장력을 시계열로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각 멍줄의 최대 장력 값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 결과, 멍 A1, A2, A3, A4, A5를 각각 당길 때 작용하는 장력은 시간 변화에 따라 아주 조금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전체적으로 거의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였다. 멍 종류에 따른 장력 크기는 서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최대 장력값 역시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았다.FIG. 10 is a time series of the tension of the barb caused when each of the bruises A1, A2, A3, A4 and A5 is pulled, and FIG. 11 shows the maximum tension value of each barb.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tensile forces acting on the bruises A1, A2, A3, A4, and A5, respectively, increase slightly and decrease with time, but remain almost constant througho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nsile strength between the types of bruises, and the maximum tension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상기 실험 결과는 멍의 고정력이 멍의 바닥면과 단면 면적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며, 그 특성이 일반적인 마찰력의 특성과도 유사하다는 것을 나타낸다.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fixation force of the bruise is not affected by the chang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ruch, and the characteristic is similar to that of general friction force.

실험예 2. 형상에 따른 고정력 차이Experimental Example 2. Difference in fixing force according to shape

도 12는 무게추 형상 차이에 따른 고정력을 확인하기 위해 제작한 무게추 형상을 나타낸다. 무게추 형상에 따른 고정력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길이는 동일하고 일측면의 형상을 정사각형(SQ), 삼각형(TR), 원형(CI), 굵고 작은 십자형(CR-S), 가늘고 큰 십자형(CR-L)으로 달리하여 제작하였다. 상기 형상의 무게추 체적은 0.000605

Figure 112018109476774-pat00001
이고 단면의 면적은 0.003025
Figure 112018109476774-pat00002
로 모두 동일하도록 하였다. 고정력 측정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Fig. 12 shows a weight profile formed to confirm the fixing force according to the weight difference. (SQ), triangle (TR), circular (CI), coarse and small crisscross (CR-S), and elongated crisscross (CR-S) L). The weight of this shape is 0.000605
Figure 112018109476774-pat00001
And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is 0.003025
Figure 112018109476774-pat00002
Respectively. The fixing forc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above.

도 13은 멍 SQ, TR, CI, CR-S, CR-L이 각각 당겨질 때 발생하는 멍줄의 장력을 시간을 따라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최대 장력을 나타낸 것이다. 시험 결과, 단면모양 차이에 따른 실험에서는 가늘고 큰 십자형(CR-L)>굵고 작은 십자형(CR-S)>원형(CI)>삼각형(TR)>정사각형(SQ)의 순서로 고정력이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단면 모양이 십자형인 멍들의 멍줄 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냈다.최대 장력에 대해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는데, 최대 장력이 가장 큰 멍(CR-L)과 가장 작은 멍(SQ) 사이의 값 차이는 약 2배 정도를 나타내었다.FIG. 13 shows the tension of the bruises occurring when the bruises SQ, TR, CI, CR-S and CR-L are respectively pulled, and FIG. 14 shows the maximum tension. As a result of the test, it was found that the fixation force was higher in the order of the thin cross-shape (CR-L)> the coarse cross shape (CR-S)> the circular shape (CI)> the triangle (TR)> the square (SQ)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bruising (CR-L) and the smallest bruch (SQ) was about the same for the maximal tensile strength, 2 times.

상기 결과를 통해 단면의 모양이 다를 때는 멍들 간의 고정력이 현저하게 차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십자형 멍들의 고정력이 가장 컸는데, 이것은 이 멍들에서 가늘게 돌출된 부분들이 모래 바닥을 깊게 파면서 높은 저항을 형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fixation force between the bruises is remarkably different when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is different. Particularly, the cross-shaped bruises have the greatest fixing power because the thin protruding parts of these bruises penetrate the sand bottom deeply and form a high resistance.

콘크리트 블록과 같은 무게추가 저질에 침하되거나 매몰되면 자중 뿐만 아니라 접지 측면의 표면 마찰력을 받게되며, 수평성분력으로는 저면의 마찰력과 좌우의 토압을 받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t is known that when the foundation is submerged or buried in the same weight as the concrete block, it receives not only its own weight but also the surface friction of the ground side, and the horizontal component force receives the frictional forc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right and left earth pressure.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대조구인 직사각형 모델의 경우 저질에 침하된 정도가 적기 때문에 접지측면의 표면 마찰이나 토압이 상대적으로 적어 멍줄의 장력이 낮게 나타난 반면 십자형 모델의 경우, 침하되는 정도가 커서 마찰과 토압이 크게 작용하여 멍줄 장력이 직사각형 모델보다 크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동일 자중을 가진 두 물체라도 저질에 침하되는 정도에 따라 고정력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In the rectangular model, which is a control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gree of sinking in the submergence is small, the tension of the suture line is low due to relatively low surface friction or earth pressure on the ground side. In the case of the cruciform model, And the earth pressure were greatly influenced, and the bark tension was larger than that of the rectangular model.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fixation force of two objects having the same weigh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gree of sinking in the bottom.

같은 십자형 멍이라도 돌출부가 가늘고 길수록 고정력이 높게 나왔는데, 이러한 사실을 통해 바닥을 깊게 팔 수 있는 형태를 가진 멍일수록 높은 고정력 형성에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멍의 재료와 무게가 같더라도 멍의 단면 형상을 적절히 변형하면 고정력을 향상되는 것으로 사료된다.Even with the same cross-shaped bruise, the longer the protrusion becomes, the higher the fixation force become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more the bruise having the shape capable of deeply selling the floor, the better the formation of the higher fixation force. Therefore, even if the material and weight of the bruise are the same, it is considered that modify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ruk improves the fixation forc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3.  3. 무게추Weights 무게 분포에 따른  Weight distribution 고정력Fixing force 차이 Difference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3의 무게 분포 차이에 따른 고정력을 확인하기 위해 제작한 정사각형 멍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3는 무게 분포에 따른 고정력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2에 따른 상기 모델 중 단면이 정사각형(SQ)인 모델 위에 50 g 추 6개를 올려놓고 각각의 위치를 달리했을 때의 고정력 차이를 조사하였다. FIG. 15 shows square bruises produced in order to confirm the fixing force according to the weight distribution difference in Experimental Exampl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perimental Exampl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fixation force according to the weight distribution. Six specimens of 50 g weight were put on a model having a square section (SQ) of the model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2, The difference of fixation force was investigated.

일단 멍줄이 달린 쪽을 앞쪽으로 정하고, 실험 구분을 위해 예를 들어 멍 앞쪽에 추 5개, 뒤쪽에 1개가 놓였을 경우 250∼50 g 등으로 표시하였다. 실험은 멍위에 놓인 무게추의 분포에 따라 300∼0 g, 250∼50g, 200∼100 g, 150∼150 g 4가지 경우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멍의 고정력 측정은 저질 위에 놓인 멍을 일정한 속도로 당길 때 멍줄에 발생하는 장력을 계측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Once the bruised side is set to the front, for example, 5 pieces are placed in front of the bruise and 250 to 50 g if the back is placed.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4 cases with 300 ~ 0 g, 250 ~ 50g, 200 ~ 100g and 150 ~ 150g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weights on the bones. The measurement of the fixation force of the bruise was performed by measuring the tension on the bruise when pulling the bruise on the bottom at a constant speed.

도 16은 상기 멍을 예인하기 위해 제작한 예인 수조를 나타낸다. 예인 수조 (L2.0××m)에서 예인 전차에 멍을 매달아 일정한 속도로 당기면서 실시하였다. 수조는 멍을 예인하는 예인 전차와 구동장치(25 w, torque 39.4 kgf·SPG Co., Ltd), 예인 전차와 멍 사이에서 멍의 고정력을 측정하는 장력계 (SUMM(SP)-10K, Max 100N, Senstech. CO, Korea)와 장력 데이터 입력 시스템(AM-310, Senstech.CO, Korea) 등으로 구성된다. Fig. 16 shows a water tank for towing the bruises. The towing tank (L2.0 × m) was pulled at a constant speed by hanging the bruise on the towing tank. The water tank consists of a tug and a drive train (25 w, torque 39.4 kgf · SPG Co., Ltd) towing the bruise, a tension meter (SUMM (SP) -10K, Max 100N , Senstech.CO, Korea) and tension data input system (AM-310, Senstech.CO, Korea).

장력 데이터의 측정 빈도는 200 Hz였다. 고정력 시험용 저질은 입자 크기 2 mm 이하인 해성모래를 사용하였다. 멍줄(nylon coated stainless wire ?0.5 mm)은 멍 앞면의 무게 중심에 연결하였고, 멍줄이 바닥과 수평이 되도록 하였다. 멍을 당기는 속도는 0.35 m/s였다. 모든 실험은 각 멍에 대해 5회 시험을 하였고, 그 결과를 평균하였으며, 실험은 2017년 9월 1∼15일에 서해수산연구소 어업기술연구실에서 수행되었다. The measurement frequency of the tension data was 200 Hz. For the sedimentation test, the digestible sand having a particle size of 2 mm or less was used. The nylon-coated stainless wire (0.5 mm) was connected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ront face of the bruise and the bruise was level with the floor. The rate of bruising was 0.35 m / s.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5 times for each bruise, and the results were average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the Fisheries Technology Laboratory of the 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on September 1-15, 2017.

도 17은 멍 SQ(직육면체형 멍) 위에 무게추를 각각 300∼0 g, 250∼50 g, 200∼100 g, 150∼150 g의 구성으로 배치한 뒤 각각 측정한 멍줄의 장력을 시계열로 나타낸 것이고, 도 18은 최대 장력을 나타낸다. 실험 결과,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멍줄을 당기는 초기에는 장력이 서로 비슷하다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앞쪽 부분이 무거운 경우일수록 멍줄 장력의 증가폭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최대 장력의 경우에도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게의 20%가 앞쪽에 쏠리는 300∼0 g 조건의 경우가 무게 치우침이 없는 150∼150 g 조건에 비해 값이 약 26% 큰 것으로 나타났다.FIG. 1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tensile strengths of the slacks measured in a time-series manner after arranging the weights on the SQ (rectangular parallelepiped) of 300 to 0 g, 250 to 50 g, 200 to 100 g, and 150 to 150 g, respectively And Fig. 18 shows the maximum tension.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7, in the initial stage of pulling the staples, the tensile strengths were similar to each other. However, as the time elapsed, the increase in the staple tension tended to increase as the front portion was heavier. As shown in Fig. 18, the maximum tensile strength was about 26% greater than the 150 to 150 g weightless condition, with 20% of the weight shifting to the front side in the 300 to 0 g condition.

상기 결과를 통해 멍의 무게 분포의 차이에 따른 실험에는 멍의 앞쪽이 무거울수록 고정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멍의 앞쪽이 무거울 경우 멍의 진행과정에서 멍이 점점 더 앞으로 기울어지면서 모래 바닥을 파고 들어가 높은 저항을 형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fixation force increased with the weight of the front part of the bruise in the experim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weight distribution of the bruise. This suggests that if the front of the bruise is heavy, the bruises tend to lean forward as the bruise progresses, forming a high resistance by digging into the sand bottom.

따라서, 무게가 동일한 멍이라도 앞쪽 무게를 높일수록 고정력을 더 좋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예 2와 3에 따라 멍의 고정력이 증가한 요인은 멍의 돌출부나 기울어진 앞부분이 멍의 진행과정 중에 공통적으로 모래 바닥을 파고 들어갔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현상은 닻의 고정력이 닻의 중량 외에 닻의 팔이 저질을 파고 들어가는 깊이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특성과 일맥상통한다. Thus, even if the bruise has the same weight,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front weight, the better the fixing force.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s 2 and 3, the increase in the fixation force of the bruise is considered to be caused by the protrusion of the bruise or the inclined front portion of the bruise common to the sand bottom during the process of bruising. This phenomenon coincides with the property that the anchoring force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depth of the anchor's arm in addition to the weight of the anchor.

일반적으로 물체의 무게와 마찰면의 조도가 동일할 경우 모양이 달라도 마찰력 즉, 물체를 당길 때 드는 힘이 동일하나 모래와 같이 바닥의 형태가 물체를 당기는 과정에서 변형되는 경우는 물체의 단면형상이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보고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무게추는 프레임의 너비가 수렴되는 구성부의 중량이 타측에 비해 무겁게 형성되고 십자형구조에 의해 형성된 요철이 해저면의 저질을 깊게 파면서 고정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In general, when the weight of an object and the friction surface are the same, friction force, that is, force to pull the object is the same, but when the shape of the bottom is deformed in the course of pulling the object, The impact is reported to be large. Accordingly, the weights of the we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heavier than those of the other weights, and the irregularities formed by the cross-shaped structure deeply digest the bottom of the sea floor and increase the fixing force.

본 발명에 따른 패류껍질어구용 무게추는 기존 무게추의 낮은 고정력으로 인해 패류껍질어구가 해중에서 유실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어구 구입비 및 어획 손실 비용 그리고 무게추와 관련된 구입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관련 산업 종사자의 이익향상 뿐만 아니라 어업 기술재고에 도움이 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Since the shell weight of the shellfish sh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that the shellfish shellfish is lost in the sea due to the low fixation force of the conventional shellfish weight, it can reduce the purchase cost related to the fishing cost, It is industrially applicable because it not only improves the profit of the workers but also helps to stock fishery technology.

10: 무게추 본체 11: 고정장치
12: 봉프레임 13: 십자커버
10: Weight weight body 11: Fixing device
12: Rod frame 13: Cross cover

Claims (4)

삭제delete 삭제delete 일정 길이로 일측면은 십자형(+)구조의 십자형상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을 향하여 폭이 협소해지는 수렴부로 이루어지는 다각뿔구조의 무게추 본체;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십자형상부를 내부로 삽입고정하는 십자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십자커버 측면부에는 스틱구조의 봉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봉프레임의 일단에는 고리 구조로 멍줄과 연결 고정되는 고정장치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고정공에 걸려 봉프레임이 십자커버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장치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인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
A weight body having a polygonal pyramid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onverging part having a cross-shaped upper part of a cruciform (+) structure and a narrower width toward the other side;
A cross cover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cruciform upper part into the inside thereof; A fixing hole into which the rod frame of the stick structure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ross cover;
Wherein the rod frame is formed with a fastening device which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barb with a ring structure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the rod frame to the crucible cover by being caught by the fastening hole, Weight weight for fish
일정부력을 가지고 해수면에 부유하여 어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부표; 상기 부표와 어구를 연결하는 부표줄; 상기 부표줄과 부표줄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모릿줄; 상기 모릿줄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두족류의 어획공간을 제공하는 패류껍질; 상기 모릿줄의 양 말단에 연결되는 멍줄;
상기 멍줄과 연결되어 어구를 수중에 고정하도록 상기 청구항 제3항으로 이루어지는 무게추가 설치되는 것인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
A buoy that floats on sea level with constant buoyancy to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fish; A buoy line connecting the buoy to the phrase; A corrugated line connecting the buoy line and the buoy line horizontally; Shellfish shells which are installed in the corrugated lines to provide a fishing space for cephalopods; A barb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rrugation;
Wherein the fish is further provided with a weight according to claim 3 so as to fix the fish in the water by being connected to the bruise,
KR1020180134467A 2018-11-05 2018-11-05 Balance weight of the fishing pot for capturing webfoot octupus KR1019962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467A KR101996236B1 (en) 2018-11-05 2018-11-05 Balance weight of the fishing pot for capturing webfoot octup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467A KR101996236B1 (en) 2018-11-05 2018-11-05 Balance weight of the fishing pot for capturing webfoot octup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236B1 true KR101996236B1 (en) 2019-07-08

Family

ID=6725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467A KR101996236B1 (en) 2018-11-05 2018-11-05 Balance weight of the fishing pot for capturing webfoot octup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23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0536U (en) * 1988-02-04 1989-08-15
JPH09275852A (en) * 1996-04-10 1997-10-28 Akira Nemoto Bait-feeding rod for crab net with flow preventive weight
JP2004081082A (en) * 2002-08-26 2004-03-18 Toshiya Okai Jet plane-shaped sprawl wire
KR200419074Y1 (en) 2006-03-24 2006-06-16 배승억 A fishing gear for capturing a octopus ocellatus
JP4274574B2 (en) * 2006-08-02 2009-06-10 孝夫 地原 Fishing weight
KR100944424B1 (en) 2009-08-06 2010-02-25 박민규 Jujube Capture
KR101731229B1 (en) 2016-04-28 2017-04-27 주식회사 하나로클린 The Fishing Pot for Capturing Webfoot Octopu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0536U (en) * 1988-02-04 1989-08-15
JPH09275852A (en) * 1996-04-10 1997-10-28 Akira Nemoto Bait-feeding rod for crab net with flow preventive weight
JP2004081082A (en) * 2002-08-26 2004-03-18 Toshiya Okai Jet plane-shaped sprawl wire
KR200419074Y1 (en) 2006-03-24 2006-06-16 배승억 A fishing gear for capturing a octopus ocellatus
JP4274574B2 (en) * 2006-08-02 2009-06-10 孝夫 地原 Fishing weight
KR100944424B1 (en) 2009-08-06 2010-02-25 박민규 Jujube Capture
KR101731229B1 (en) 2016-04-28 2017-04-27 주식회사 하나로클린 The Fishing Pot for Capturing Webfoot Octopu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633822호에는 기존 두족류 포획시 사용되는 천연 패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제작시 무취(無臭) 재질인 멜라민수지(melamine resin)를 이용하되, 해산물 향이나는 향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어구 내 두족류 잠입을 유도하여 어획량이 증가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meed et al. Modern fishing gear technology
He Gillnets: gear design, fishing performance and conservation challenges
US20110219663A1 (en) Artificial Weed System for Fishing
CN108684588B (en) Method for culturing oysters in raft type on sea by using hard attaching bases
Emmanuel et al. Cast net design characteristics, catch composition and selectivity in tropical open lagoon
KR101996236B1 (en) Balance weight of the fishing pot for capturing webfoot octupus
US20230380393A1 (en) Collapsible Fish Trap With Acoustic Masking Properties
Adamidou III. 4. COMMERCIAL FISHING GEARS AnD METHoDs usED In HELLAs
KR200409920Y1 (en) Fishing tackle
KR102019155B1 (en) Balance weight of the fishing pot for capturing webfoot octupus.
KR200493239Y1 (en) Fishing goods
US4862633A (en) Gangion for longline fishing gear
JP6835341B1 (en) How to create a seaweed fishing ground
Barr et al. Surface to Bottom Pot Fishing for Pandalid Shrimp
CN105900948A (en) Sunken stone bamboo pole curtain type multi-string hook fishing device
Furevik et al. Experiments with cod pots as an alternative to gill-nets in the Varanger fjord in April-June and October-December 1996
Bünyamin et 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hook size and bait type on the catch of whiting, Merlangius merlangus (Linnaeus, 1758)(Gadidae) in bottom longline fisheries of the Black Sea
Malig et al. Deep-sea fish aggregating devices (FADs) in the Philippines
Kalaiarasan et al. Modified Norwegian trap for marine ornamental and food fishes off south-east coast of India
KR100356278B1 (en) A hall float for fishing
US20010023551A1 (en) Fishing artificial bait and fishing terminal tackle
KR102495215B1 (en) Pe coating helical file and entity oyster farming frame fixing structure using the same
JP2018174886A (en) Fishing method of large-sized fish, its device and fishing line connector
Schotte et al. Development of a stock protection system for flexible oceanic pens containing finfish
KR200361713Y1 (en) Fishing rod that compose fl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