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407B1 - Float for fishing - Google Patents

Float for fis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407B1
KR100285407B1 KR1019990003019A KR19990003019A KR100285407B1 KR 100285407 B1 KR100285407 B1 KR 100285407B1 KR 1019990003019 A KR1019990003019 A KR 1019990003019A KR 19990003019 A KR19990003019 A KR 19990003019A KR 100285407 B1 KR100285407 B1 KR 100285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stopper
inner tube
fishing lin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23867A (en
Inventor
조희용
Original Assignee
조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용 filed Critical 조희용
Priority to KR1019990003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407B1/en
Publication of KR20000023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8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407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신감지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낚시의 묘미를 증대시키고 낚시준비과정을 대폭 줄여줌으로서 낚시의 즐거움을 배가시키고 낚시입문이 용이하도록 한 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bobber that increases the enjoyment of fishing by greatly responding to fishery detection and greatly reduces the fishing preparation process, thereby facilitating the introduction of fishing;

구멍찌(15)의 몸체(10)를 양분하여 나사(18)결합되도록 한 상부캡(16)과 하부캡(17), 상,하부캡(16,17)의 내부에 낚시줄(11)이 통과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19,20)을 가지고 구비되는 내부관체(21,22), 하부캡(17)에 위치하는 내부관체(2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구멍찌(10)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량체(25), 하부캡(17)에 위치하는 내부관체(22)의 상단내측에 형성하는 브라켓(30), 브라켓(30)에 일측을 토셔널스프링(32)을 개재시킨 축(33)으로 움직일 수 있게 고정되는 스토퍼(31), 스토퍼(31)에는 낚시줄(11)이 지나갈 수 있도록 형성하는 슬로트(35)를 포함하고;The fishing line 11 passes through the upper cap 16, the lower cap 17, and the upper and lower caps 16 and 17, which bisects the body 10 of the bore 15 to be screwed together. Inner pipes 21 and 22 provided with free spaces 19 and 20 to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pipe body 22 located in the lower cap 17 can maintain a stable posture 10. A shaft having a weight spring 25, a bracket 30 formed on the upper inner side of the inner tube body 22 located on the lower cap 17, and a torsion spring 32 on one side of the bracket 30 ( A stopper 31 fixedly movable to 33, and the stopper 31 includes a slot 35 which allows the fishing line 11 to pass therethrough;

상기 내부관체(21,22)에는 스토퍼(31)가 회동할 수 있을 정도의 반경을 가지는 돌출부(36)와 상기 스토퍼(31)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후육부(37)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tube (21, 22) to further form a projection 36 having a radius enough to rotate the stopper 31 and the thick portion 37 that can prevent the stopper (31) from falling It features.

Description

낚시용 찌{Float for fishing}Float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과정에서 물고기가 미끼를 물었는지의 여부, 일명 어신을 감지하는 개선된 찌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bobber,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provision of an improved bobber for detecting whether a fish bites a bait during fishing, aka fishery.

낚시용 찌는 낚시대와 미끼를 끼운 낚시바늘 및 봉돌을 연결하고 있는 낚시줄의 중도에 연결되어 수면에 부상한 상태에서 물고기가 미끼를 흡입(입질)하는 지의 여부를 낚시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어신감지용 부표로서 일종의 신호기이다.The fishing bobber is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fishing line connecting the fishing rod with the bait and the bait, so that the fisherman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fish sucks the bait while floating on the surface. A buoy for fishing detection, a kind of signal.

이러한 낚시찌는 큰 부력을 가지도록 유선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하단부로 연결되는 톱(Top)과 찌꼬리 및 톱의 상단부에 야광테이프나 야광도료를 도색한 보다 선명한 식별력을 가질 수 있는 인식수단을 강구한 찌돋보기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막대찌와, 계란형태의 몸체 수직방향으로 낚시줄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한 구멍찌등으로 구분된다.These fishing bobbins have a streamlined body and a top and bottom tail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dy to have a large buoyancy, and a recognition means capable of having a clearer discriminating power by coating luminous tape or luminous paint on the top of the saw. It is divided into a general rod consisting of a jjigae that finds a hole, and a hole formed a hole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can pass in the egg-shaped body vertical direction.

일반적인 막대찌의 경우에는 수면이 대체적으로 안정된 민물낚시에 많이 사용되고, 낚시줄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찌꼬리나 찌꼬리의 단부에 형성되는 섬유체의 날라리에 고무밴드를 이용하여 낚시줄과 낚시찌를 연결함으로서 낚시찌가 쉽게 이동(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In the case of a common stick, the surface of water is generally used for stable freshwater fishing, and as a means for connecting a fishing line, a fishing line and a fishing bobber are used by using a rubber band on the edge of the fiber formed at the end of the tail or tail tail. By connecting, the bobber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easily.

특히 일반적인 막대찌의 톱상에는 야간낚시를 할 경우 보다 용이한 식별이 가능하도록 몸체의 내부에 리듐전지를 내장하고 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를 가지도록 하거나, 케미라이트내장 및 야광테이프 및 야광도료를 채색하는 등 여러 방식들이 이용되고 있다.Especially on the top of a common stick, a lithium battery is built in the inside of the body so that it can be easily identified when fishing at night. Several methods are used, such as coloring.

수면의 파고가 민물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불규칙적인 바다낚시에 사용되는 구멍찌의 경우에는 계란형태의 몸체 내부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낚시줄이 통과하도록 하고, 몸체의 상,하단에 위치하는 구멍위치에는 낚시줄을 매듭지어 낚시줄이 불필요하게 유동함으로서 낚시찌가 낚시줄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야 한다.In the case of hole bobs used for irregular sea fishing, where the wave height is relatively higher than fresh water, the fishing line passes through the hole tha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egg-shaped body, and the fishing line is located at the top and bottom holes of the body. Tie a knot to make the fishing line flow unnecessarily to prevent the bobber from moving up and down the fishing line.

상기와 같은 구멍찌의 경우에는 낚시줄과 찌를 연결하기 위한 전과정이 복잡하여 전체적인 낚시과정이 복잡하고, 특히 초보자의 경우에는 낚시줄의 매듭만들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쉽게 사용하기 어렵게 된다.In the case of the hole bob as described above, the entire fishing process is complicated because the entire process for connecting the fishing line and the bobber is complicated, and especially for beginners, it is difficult to easily use the knot of the fishing line.

종래의 구멍찌는 단순히 낚시줄과 연결되어 수면위에 부상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단순부구의 역할만을 수행함으로서 어신감지력이 상당히 떨어지기 때문에 찌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가 상당히 어렵다.Conventional hole bobs are simply connected to a fishing line and are in a floating state on the surface of the water, so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bobs because the fish sensing power is considerably lowered by only serving as a simple float.

특히 미약한 어신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기가 곤란하게 되는 데, 이는 수면의 파동과 미약한 어신감도가 비슷한 상태이기 때문에 어신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처하기가 곤란하고, 파동에 의하여 구멍찌가 유동하기 때문에 이를 어신으로 오인할 수 있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there is a weak fishery, it is difficult to detect it quickly, which is difficult to cope quickly with fishery because of a similar state of sleep and poor fishery sensitivity. There were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misunderstanding it as a fisherman.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멍찌를 개선하여 충분경력의 조(釣)사에게는 어신감지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낚시의 묘미를 증대시키고, 초보경력의 조사에게는 낚시준비과정을 대폭 줄여줌으로서 낚시의 즐거움을 배가시키고 입문이 용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improve the jaws and enough time to cope with fishery sense quickly to the fisherman (신) to increase the zest of fishing, the survey of the beginner's career to prepare the fishing process significantly It aims to increase the enjoyment of fishing and ease the initiation by reducing.

이를 위한 본 발명에서는 낚시줄이 통과하는 구멍찌의 내부구조를 대폭 개선하여 낚시줄의 매듭이 필요없으면서도 어신감지시에는 구멍찌 전체가 하강하도록 함으로서 물고기의 입질포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미약어신에 대해서도 신속한 포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ole bobber that the fishing line passes through is greatly improved, so that the whole hole bobber is lowered at the time of fishery detection without the need for the knot of the fishing line, so that the trapping of the fish is easy and the catching is quick. It is a feature that makes th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찌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shing bobber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찌의 종단면도.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ishing bobber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도 2의 A부위를 발췌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 portion A of FIG.

도 4는 도 2의 B부위를 발췌한 일부생략 상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omitted state B portion of FIG.

도 5는 도 4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used i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몸체10; Body

15; 구멍찌15; Hole

16; 상부캡16; Upper cap

17; 하부캡17; Lower cap

21,22; 내부관체21,22; Inner tube

31; 스토퍼31; stopper

35; 슬로트35; Slot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멍찌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action of the jaw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낚시용 찌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부위를 발췌한 일부생략 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shing bobber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fishing bobber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from a portion A of FIG. 2, and FIG. 4 is FIG.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omitted state taken from the portion B of FIG. 5 will be described together a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수면에 부상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계란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수직방향으로 낚시줄(11)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12)이 형성되어 통상적인 구멍찌(15)가 구성된다.Egg hole body (10) made of a material that can rise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hole 12 is formed so that the fishing line 11 can pas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10 is a conventional hole bob 15 Is composed.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멍찌(15)의 내부를 개선하여 구멍찌(15)를 통과하는 낚시줄(11)의 매듭이 필요없으면서도 어심감지가 용이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hole bobbin 15 is improved to facilitate the detection of fish cakes without the need for a knot of the fishing line 11 passing through the hole bobbin 15.

이를 위한 수단으로 몸체(10)를 양분하여 상부캡(16)과 하부캡(17)으로 구분하고, 양분된 상,하부캡(16,17)의 단부에는 나사(18)를 형성하여 상,하부캡(16,17)이 나사결합되도록 한다.As a means for this, the body 10 is divided into upper caps 16 and lower caps 17, and the upper and lower caps 16 and 17 are formed with screws 18 at th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caps 16 and 17. Make sure the caps 16 and 17 are screwed in.

물론, 상기 상,하부캡(16,17)이 나사결합되는 부위에는 패킹니나 오링과 같은 기밀재를 구비함으로서 몸체(10)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등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Of course, the upper and lower caps (16, 17) is screwed to the site of the sealing material such as packing teeth or O-rings to be able to rule out the concern that the moisture penetrates into the body 10, etc. will be.

상기 상,하부캡(16,17)의 내부에는 낚시줄(11)이 통과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19,20)을 가지는 내부관체(21,22)을 더 구비한다.The upper and lower caps 16 and 17 are further provided with inner tubes 21 and 22 having free spaces 19 and 20 to allow the fishing line 11 to pass therethrough.

상기 내부관체(21,22)는 상,하부캡(16,17)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상,하부캡(16,17)과 분리시켜 삽입할 수 있는 형태로 하여도 된다.The inner tube (21, 2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and lower caps (16, 17) or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caps (16, 17) separately.

내부관체(21,22)를 상,하부캡(16,17)과 분리시킬 경우에는 상,하부캡(16,17)의 내부 상,하측에 내부관체(21,22)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23,24)을 더 형성하여 내부관체(21,22)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When separating the inner tube 21 and 22 from the upper and lower caps 16 and 17, the inner tube 21 and 22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caps 16 and 17. The grooves 23 and 24 are further formed to maintain the inner tube bodies 21 and 22 in a stable state.

상기 하부캡(17)에 위치하는 내부관체(22)의 하단부 외측에는 구멍찌(10)가 수면위에서 안정된 상태(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봉돌과 같은 중량체(25)를 가지도록 한다.On the outside of the lower end of the inner tube (22) located in the lower cap (17) to have a weight (25), such as a boulder 10 to maintain a stable state (posture) on the water surface.

상기 중량체(25)는 구멍찌(10)가 가지는 부력을 극복할 정도의 무게가 되면 구멍찌(10)가 수면속으로 잠수하기 때문에 구멍찌(10)가 가지는 부력의 약 1/3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구멍찌(10)가 수면위에서 안정된 자세(수면과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weight body 25 has a weight enough to overcome the buoyancy of the bore 10, the bore 10 will submerge into the water so that the bore 10 has about one third of the buoyancy. Hole 10 can maintain a stable posture (vertical to the surface) on the water surface.

상기 하부캡(17)에 위치하는 내부관체(22)의 상단내측에는 여유공간(20)방향으로 브라켓(30)을 돌출시키고, 상기 브라켓(30)에는 스토퍼(31)의 일측을 토셔널스프링(32)을 개재시킨 축(33)으로 움직일 수 있게 고정한다.The upper end of the inner tube 22 positioned in the lower cap 17 protrudes the bracket 30 in the direction of the free space 20, and one side of the stopper 31 is attached to the bracket 30 by the torsion spring ( It is fixed to be movable by the shaft 33 interposed 32.

상기 축(33)으로 고정되는 스토퍼(31)의 대향위치에는 낚시줄(11)이 지나갈 수 있도록 V형상의 슬로트(35)를 형성하고, 상측의 내부관체(21)에는 스토퍼(31)가 회동할 수 있을 정도의 반경으로 돌출부(36)를 형성한다.At the opposite position of the stopper 31 fixed to the shaft 33, a V-shaped slot 35 is formed so that the fishing line 11 can pass, and the stopper 31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tube 21. The protrusion 36 is formed to a radius that can be rotated.

상기 동출부(36)와 연접되는 하측의 내부관체(22)상에는 후육부(37)를 일체로 형성하여 스토퍼(31)가 더이상의 하강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The thicker portion 37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inner tube 2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drawer 36 so that the stopper 31 can prevent further lowering.

상기 스토퍼(31)의 단부에 형성되는 슬로트(35)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할 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하고, 상측보다는 하측의 폭이 좁은 형상으로 하여 입질에 의하여 하강하는 낚시줄(11)을 멈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The slot 35 formed at the end of the stopper 31 has a narrower shape as it go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has a narrower width at the lower side than the upper side, so that the fishing line 11 descends by the mouth.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stop).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구멍찌(10)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working relationship of the hole jaw 10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낚시대와 미끼를 끼운 낚시바늘 상간을 연결하고 있는 낚시줄(11)을 구멍찌(10)의 내부관체(21,22)가 형성하고 있는 여유공간(19,20)을 통과하도록 한다.The fishing line 11 connecting the fishing rod top with the fishing rod and the bait passes through the free spaces 19 and 20 formed by the inner bodies 21 and 22 of the bore 10.

이때, 낚시줄(11)은 하측의 내부관체(22)에 형성되는 브라켓(30)상에 고정되는 스토퍼(31)의 슬로트(35)를 통과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ishing line 11 to pass through the slot 35 of the stopper 31 is fixed on the bracket 30 formed on the lower inner tube (22).

상기와 같이하면 낚시줄(11)은 낚시바늘과 미끼등의 무게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하강하고 일정깊이로 하강한 후에는 낚시줄(11)이 스토퍼(31)의 슬로트(35)상에 걸림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낚시줄(11)을 매듭지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없이도 구멍찌(10)가 정상적인 자기 위치를 찾을 수 있게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fishing line 11 descends naturally by the weight of the fishing needle and the bait and descends to a certain depth, the fishing line 11 is caught on the slot 35 of the stopper 31. Since the hole bobbin 10 is able to find the normal magnetic position without the inconvenience, such as having to tie the fishing line (11).

특히 구멍찌(10)의 내부 하측에 더 구비되는 중량체(25)에 의하여 구멍찌(10)가 안정된 상태로 수면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면의 파동이나 물결, 바람과 같은 외압에 의한 신호와 어신(입질)에 의한 신호의 차이를 혼동할 우려가 없게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pore 10 is positioned on the water surface in a stable state by the weight body 25 further provided in the lower side of the pore 10, signals and speech caused by external pressure such as waves, waves, and wind of the water surface There is no fear to confuse the difference in signal by.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물고기가 미끼를 흡인하여 어신이 감지되면 구멍찌(10)는 즉각적인 반응을 하여 수면속으로 잠수하게 됨으로서 조사는 이 어신을 기초로 하여 낚시대를 당기면서 들어올림으로서 물고기를 낚을 수 있게된다.In the above state, when the fish sucks the bait and the fishery is detected, the hole bob 10 immediately reacts and dives into the water so that the survey can catch the fish by lifting the fishing rod based on the fishery. do.

이 과정을 살펴보면, 물고기가 미끼를 물고 달아나게 되면 낚시줄(11)이 당겨지게 되고, 이 낚시줄(11)은 구멍찌(10)의 내부를 통과하여 스토퍼(31)를 경유하기 때문에 순간적인 당김에 의하여 낚시줄(11)이 스토퍼(31)의 슬로트(35)상에 걸림된상태에 있게된다.(도 5참조)Looking at this process, when the fish runs away with the bait, the fishing line 11 is pulled, and the fishing line 11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hole bobber 10 and passes through the stopper 31, thereby causing a momentary pulling. As a result, the fishing line 11 is in a locked state on the slot 35 of the stopper 31. (See FIG. 5).

이러한 상태에서는 낚시줄(11)의 풀려짐이 없기 때문에 구멍찌(10)는 자연스럽게 수면 속으로 잠수하게 되므로 조사가 어심을 감지하여 낚시대를 당길 수 있게된다.In this state, since there is no loosening of the fishing line 11, the bore 10 is naturally submerged into the surface of the water so that the irradiation detects the ice and can pull the fishing rod.

상기와 같이 어신이 감지됨으로서 낚시줄(11)이 통과하는 스토퍼(31)는 축(33)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고, 하측의 내부관체(22)에 더 형성한 후육부(37)상에 스토퍼(31)의 끝단부가 걸림됨으로서 스토퍼(31)의 움직임은 정지된다.As the fishery is sensed as described above, the stopper 31 through which the fishing line 11 passes is rotated downward about the shaft 33 and formed on the thick portion 37 formed in the lower inner tube 22. As the end of the stopper 31 is locked, the movement of the stopper 31 is stopped.

이러한 상태에서 조사가 낚시대를 당기게되면 스토퍼(31)의 슬로트(35)에 걸림되었던 낚시줄(11)은 당기는 낚시대에 의하여 스토퍼(31)가 축(33)을 중심으로 전기한 반대방향인 내부관체(21,22)의 상방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이 회동과정에서 낚시줄(11)이 슬로트(35)의 내측에서 서서히 외측으로 이탈함으로서 낚시줄(11)은 걸림상태를 벗어나 정상적인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irradiation pulls the fishing rod, the fishing line 11 that is caught on the slot 35 of the stopper 31 is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stopper 31 is electrically rotated about the shaft 33 by the pulling fishing rod. Since the fishing line 11 rotates upwardly of the tubular bodies 21 and 22, the fishing line 11 gradually escapes from the inside of the slot 35 to the outside in this rotation process, so that the fishing line 11 escapes from the locked state and returns to a normal state. Don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구멍찌(15)의 내부로 낚시줄(11)이 단순히 통과하도록만 하고 별도의 매듭과 같은 부수적인 공정이 없이도 물고기의 입질상태인 어신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allow the fishing line 11 to simpl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hole bobber 15,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ct the fisherman's mouth of the fish without the additional process such as a separate knot.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구멍찌를 개선하여 충분경력의 조(釣)사에게는 어신감지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낚시의 묘미를 증대시키고, 초보경력의 조사에게는 낚시준비과정을 대폭 줄여줌으로서 낚시의 즐거움을 배가시키고 낚시입문이 용이하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mproves the boulder to respond to the fishery sense quickly to the sergeant of sufficient experience to increase the zest of fishing, and to investigate the beginner's career by greatly reducing the fishing preparation process to enjoy the pleasure of fishing It has the effect of doubling and facilitating initiation of fishing.

Claims (4)

수면에 부상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계란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수직방향으로 낚시줄(11)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12)이 형성되어 통상적인 구멍찌(15)에 있어서;Egg hole body (10) made of a material that can rise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hole 12 is formed so that the fishing line 11 can pas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10 is a conventional hole bob 15 To; 상기 몸체(10)를 양분하여 나사(18)결합되도록 한 상부캡(16)과 하부캡(17);An upper cap 16 and a lower cap 17 bisecting the body 10 to be coupled with the screw 18; 상기 상,하부캡(16,17)의 내부에 낚시줄(11)이 통과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19,20)을 가지고 구비되는 내부관체(21,22);An inner tube (21, 22) having a free space (19, 20) to allow the fishing line (11)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caps (16, 17); 상기 하부캡(17)에 위치하는 내부관체(2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구멍찌(10)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량체(25);A weight body 25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tube body 22 positioned in the lower cap 17 so that the hole jaw 10 can maintain a stable posture; 상기 하부캡(17)에 위치하는 내부관체(22)의 상단내측에 형성하는 브라켓(30);A bracket (30) formed at an inner side of an upper end of the inner tube (22) positioned at the lower cap (17); 상기 브라켓(30)에 일측을 토셔널스프링(32)을 개재시킨 축(33)으로 움직일 수 있게 고정되는 스토퍼(31);A stopper (31) fixed to the bracket (30) so as to be movable on one side of the shaft (33) via a torsion spring (32); 상기 스토퍼(31)에는 낚시줄(11)이 지나갈 수 있도록 형성하는 슬로트(35)를 포함하고;The stopper 31 includes a slot 35 formed to allow the fishing line 11 to pass therethrough; 상기 내부관체(21,22)에는 스토퍼(31)가 회동할 수 있을 정도의 반경을 가지는 돌출부(36)와 상기 스토퍼(31)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후육부(37)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The inner tube (21, 22) to further form a projection 36 having a radius enough to rotate the stopper 31 and the thick portion 37 that can prevent the stopper (31) from falling A fishing bobber characterized b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하부캡(16,17)의 나사결합부위에는 몸체(10)내부로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기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Fishing bobbin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caps (16, 17)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irtight member that can prevent the penetration of moisture into the body (10) inside the screw coupl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내부관체(21,22)는 상,하부캡(16,17)의 내부 상,하측에 형성되는 삽입홈(23,24)을 안착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The inner tube (21, 22) is a bobber for fishing, characterized in that seating grooves (23, 24) formed in the upper, lower inside of the upper and lower caps (16, 17).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토퍼(31)에 형성되는 슬로트(35)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할 수록, 상측보다는 하측의 폭이 좁아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Fishing slot,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t 35 formed in the stopper 31 is formed to narrow the width of the lower side than the upper side toward the inner side from the outer side.
KR1019990003019A 1999-01-30 1999-01-30 Float for fishing KR1002854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019A KR100285407B1 (en) 1999-01-30 1999-01-30 Float for fis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019A KR100285407B1 (en) 1999-01-30 1999-01-30 Float for fis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867A KR20000023867A (en) 2000-05-06
KR100285407B1 true KR100285407B1 (en) 2001-03-15

Family

ID=1957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019A KR100285407B1 (en) 1999-01-30 1999-01-30 Float for fis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40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7996A (en) * 2014-06-26 2014-10-01 贵州省智黔科技开发有限公司 Fish-bite warning contro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855B1 (en) * 2009-03-12 2011-06-28 조재용 Fishing flo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7996A (en) * 2014-06-26 2014-10-01 贵州省智黔科技开发有限公司 Fish-bite warning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867A (en)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5803B1 (en) Buoyant fishing device
FI123258B (en) Electronic fishing gear and associated system, method and use
CA1105260A (en) Bob for cast fishing
KR100285407B1 (en) Float for fishing
US20100058641A1 (en) Fishing bobber device
KR101089140B1 (en) self-reliance fishing float
US20080313949A1 (en) Fishing bobber device
KR101125560B1 (en) Float with hole for fishing
KR101407741B1 (en) A fishing float
KR102570316B1 (en) Fishing Float
US5235776A (en) Fishing line floater
KR101177823B1 (en) Fishing float
KR20180096232A (en) A float for fishing
KR200292563Y1 (en) Fishing sinkfloat
TWM624616U (en) Submerged hollow float
JP2003061531A (en) Float and lure
KR101061565B1 (en) Fishing bobb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870003670Y1 (en) A fishing float
JPH0715420Y2 (en) Otori sink for friend fishing
JP3192033U (en) Taki removal combined use
KR200335923Y1 (en) Indicator For Float Fishing
KR20100010334A (en) Fishing sink float
KR200227040Y1 (en) A float hase holes for fishing in the fresh water
JPS6030934Y2 (en) Wave avoidance fishing float
JPH0297347A (en) Detachable ground-bait fish-bite detection apparatus and detection bu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