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823B1 - Fishing float - Google Patents
Fishing flo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7823B1 KR101177823B1 KR1020100009439A KR20100009439A KR101177823B1 KR 101177823 B1 KR101177823 B1 KR 101177823B1 KR 1020100009439 A KR1020100009439 A KR 1020100009439A KR 20100009439 A KR20100009439 A KR 20100009439A KR 101177823 B1 KR101177823 B1 KR 1011778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self
- fishing
- center
- bobber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1000276420 Lophius pisca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1009 Or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3 fri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F21K2/06—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using chemiluminescen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대를 바깥쪽으로 밀어 신장시키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투척된 상태에서 보다 빨리 중심대가 신장됨으로써 투척된 찌가 보다 빨리 자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척이 용이하고, 작은 추만으로도 자립되어 보다 예민한 입질을 감지할 수 있는 자립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립 낚시찌는 낚싯줄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력 특성의 찌몸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되어 있는 중공의 찌톱,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심대, 상기 중심대의 하단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과 나란하게 관통홀이 형성된 추, 상기 찌몸체측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중심대가 신장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부 및 하부 고정관, 상기 하부고정관의 내측 단부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중심대의 중간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중심대를 바깥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spring to push the center bar outwards to extend the center bar in the throwing state, the thrown fly can not only be more self-supporting fast, but also easy to throw, and even a small weight is more self-conscious It is about a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that can detect.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has a buoyancy tailing body having a through-hole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penetrat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hollow bobbin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a through-hole formed in the tailing body, and enters from a through-hole formed in the tailing body. A center bar having a fishing line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fishing line penetrates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enter bar, and having a penetrating hole formed in parallel with a through-hole formed in the tail body, the tail body The upper and lower fixed tube is inserted into the side through-hole to serve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enter belt extends, one end is fixed to the inner end of the lower fixing tube, and the other end is caught by a locking jaw formed in the middle of the center belt. It includes a spring that pushes outward.
Description
본 발명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찌몸체로부터 돌출된 찌톱과 상기 찌톱과 찌몸체의 내부로 출입 가능하게 중심대를 구비하여 투척 전에는 중심대가 찌톱의 내부로 수축되어 전체 부피가 작고, 투척 후 중심대가 신장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위치에 투척이 가능한 자립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bobber, and in particular, a bobbin protruding from the bobbin body, and having a centerpiece to allow access to the inside of the bobbin and the bobbin body before being thrown, the centerpiece is contracted into the bobbin, so that the entire volume is small and thrown. Since the center can be extended to the self-supporting bobber that can be thrown in the desired position.
특히, 중심대를 바깥쪽으로 밀어 신장시키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투척된 상태에서 보다 빨리 중심대가 신장됨으로써 투척된 찌가 보다 빨리 자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척이 용이하고, 작은 추만으로도 자립되어 보다 예민한 입질을 감지할 수 있는 자립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by installing a spring that pushes the center bar outwards to extend it, the center bar is stretched faster in the throwing state, so that the thrown fly can be freed up more quickly, and it is easier to throw, and it is self-supporting with a small weight, making it more sensitive. It is about a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that can be detected.
일반적으로 낚시찌는 낚싯줄에 매어서 수면 위로 뜨게 하여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 낚싯바늘에 걸리게 되면 낚시찌가 요동되어 낚시꾼에게 물고기가 낚싯바늘에 걸렸다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사용된다.In general, fishing bobbers are tied to a fishing line and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When a fish catches a bait and catches on a fishing hook, the fishing bobber swings and is used as a means to signal the angler to the fish.
이러한 낚시찌에는 구멍찌와 막대찌가 있으며, 이들을 각각 자립 낚시찌와 비자립 낚시찌로 구분한다.These bobbers have holes and rods, and they are divided into self-supporting and non-independent fishing bobbers, respectively.
자립 낚시찌는 자체에 추가 부착되어 있어 처음부터 곧게 서기 때문에 채비가 내려가는 도중의 입질도 어느 정도는 파악할 수 있는 찌이고, 비자립 낚시찌는 찌 자체에는 추가 없어 찌에서부터 채비의 단부에 설치된 추와 미끼가 정확하게 원하는 지점에 가라앉을 때까지 찌가 서지 못하고 있다가 추와 미끼가 가라앉으면 서는 것을 말한다.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is attached to itself and stands straight from the beginning, so it is possible to grasp the quality of the food while it is going down. The non-independent fishing bobber is not added to the bobber itself. It means that the weight and lure sink as the steam doesn't stand until it reaches the desired point.
이러한 낚시찌들 중 자립 낚시찌는 처음부터 곧게 서기 때문에 채비가 내려가는 도중의 입질도 어느 정도는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자립 낚시찌의 경우 얕은 곳에서 밑걸림이 생길 경우 찌가 누워 버리기 때문에 수심을 파악하기 유리하고, 채비가 정렬되어야 찌가 서기 때문에 채비의 정렬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봉돌의 무게에 의해 찌가 서기 때문에 파도가 거친 상황에서는 찌가 안정되지 못하고 많이 흔들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Among these fishing bobbers,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s stand straight from the beginning, so the quality of the way along the way down is very good. Non-magnetic fishing bobb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grasp the depth because the bobber will lay down if it is caught in the shallow place, and it is easy to grasp the arrangement of the bobbin because the bobbin should be align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waves can not be stabilized and shake a lot when the waves are rough.
따라서 파도가 있고 조류나 바람이 강한 상황에서는 주로 자립 낚시찌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립 낚시찌의 경우 특히 파도가 있는 바다 낚시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Therefore, in the situation where there is a wave and a strong tidal current or wind is mainly used a lot of independent fishing bobber, these independent fishing bobber is used for sea fishing with a wave in particular.
이러한 낚시찌들 중 자립 막대찌는 상단에 가느다란 눈금이 표시된 찌톱과 부력을 좌우하는 중간 부분의 몸통, 낚싯줄과 연결하기 위하여 하단에 구멍이 있어 부레를 사용하여 수중찌에 연결토록 구성되어 있고, 구멍찌는 전체적으로 짧고 몸통이 넓으며 종으로 낚싯줄이 관통하여 끼워지게 구성되고 바람이 다소 불어오거나 아니면 파도가 높은 곳에서 물고기의 활동이 활발할 때, 혹은 파도가 부서지거나 포말이 형성되는 곳과 같은 조건이 주어질 때 많이 사용된다. Among these fishing bobbers, the self-supporting sticks are composed to connect to the underwater bobbers by using the bures because they have a slender scale marked on the top, the trunk of the middle part which determines buoyancy, and a hole at the bottom to connect with the fishing line. It is short, wide and composed of bells that penetrate through the fishing line, and when the wind is blowing a little, or when the activity of the fish is active at high waves, or when conditions such as where the waves break or form foam are given. Used.
이러한 종래의 구멍찌는 원심력으로 투척하며, 이렇게 투척할 경우 부피가 작아 바람의 저항을 적게 받음으로써 낚시꾼이 원하는 투척 지점에 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낚시 장소로부터 투척길이가 멀면 구멍찌의 가시거리가 멀어짐으로써 물고기가 입질을 할 경우 낚시꾼이 구멍찌가 요동하는 상태를 보기가 어려워 낚시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Such conventional punching is thrown by centrifugal force, and when throwing in such a way, the fish can be easily settled at the throwing point desired by the angler by receiving less wind resistance, but the throwing distance is far from the fishing place. As a result, when the fish are biting, it is difficult for the angler to see the state of swinging the bobber,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fishing falls.
반면에 막대찌는 구멍찌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어 막대찌를 낚시 장소로부터 먼 거리에 투척하여도 막대찌의 요동하는 상태를 볼 수 있으나 낚시꾼이 낚싯대의 낚싯줄에 매달린 막대찌를 회전시켜 원심력으로 원하는 목표지점에 투척할 경우 부피가 구멍찌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아 불안정한 낚싯대의 스윙으로 목표 지점에 던지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회전으로 인하여 엉킴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어 등록된 특허 제0781696호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ick is longer than the hole, so you can see the swing of the stick even if you throw the stick farther away from the fishing spot.However, the angler can throw the stick hanging on the fishing line and throw it to the desired target point by centrifugal force. In this case, the volume i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hole, so it is difficult to throw at the target point due to the swing of the unstable fishing rod, which is subjected to wind resistance, and was developed by the present applicant to compensate for this disadvantage by being entangled by rotation. Patent No. 0781696 has been issued.
이 특허문헌에 따른 낚시찌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이 관통되는 수직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어 부력이 작용하는 찌몸체(100)와 상기 찌몸체(100)의 상단에 구비되고 낚싯줄이 끼워지는 낚싯줄 관통공(22)과 통수공(210)과 수직 절개홈(230)이 형성된 중공의 찌톱(200)과 상기 찌몸체(100)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관통홀(40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심대(400)와 상기 중심대(400)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중심대(400)에 형성된 낚싯줄 관통홀(40a)과 대향되는 관통공(30a)이 형성된 추(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23 and 24, the fishing bobbin according to this patent document is provided with a vertical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penetrat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이렇게 구성된 자립 낚시찌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대가 수축된 상태로 투척되며, 투척된 후 추가 아래로 기울어져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서게 된다.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rown in a contracted state, as shown in FIG. 23, and after being thrown, is further tilted downward to stand vertically as shown in FIG. 24.
그러나 이러한 자립 낚시찌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로 투척된 상태에서 낚싯줄의 매듭이 중심대의 내측 단부 즉, 찌톱까지 수축된 중심대의 내측 단부에 걸린 상태가 되고, 이렇게 매듭이 걸린 상태에서는 추의 무게가 작용하게 되며, 이런 상태에서는 찌몸체의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추와 찌톱이 시이소와 같은 작용을 하며, 추의 무게에 대응하여 찌톱의 표면장력이 작용하여 자립 낚시찌가 서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is in a state where the knot of the fishing line is caught at the inner end of the center, that is, the inner end of the center contracted to the claw in the first thrown state as shown in FIG. 23, and in this state, the weight of the weight In this state, the weight and the sawdust act like a seesaw around the middle part of the body, and the surface tension of the sawtooth acts in response to the weight of the weight, which takes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즉, 찌몸체의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추의 무게와 찌톱과 물 사이의 표면장력이 서로 반대로 작용하므로 추가 충분히 무거워 찌톱의 표면장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가 되어야 자립 낚시찌가 수직으로 자립할 수 있어 추의 무게를 무겁게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That is, since the weight of the weight and the surface tension between the claw saw and the water act on each other in the middle of the center of the tail body, they must be heavy enough to overcome the surface tension of the claw saw.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weight of the weight should be heav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심대를 바깥쪽으로 밀어 신장시키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투척된 상태에서 보다 빨리 중심대가 신장됨으로써 투척이 용이하고, 작은 추만으로도 자립되어 보다 예민한 입질을 감지할 수 있는 자립 낚시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spring to push the center belt outwards to extend the center belt in the throwing state, so that the throwing is easier to throw, It is to provide a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that can stand on its own with a small weight and detect a more sensitive mouth.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심대의 전체 길이를 찌톱의 상단을 초과하도록 하여 중심대가 신장 중에 찌톱의 상단에 걸리지 않게 하므로써 낚싯줄과 뒷줄이 서로 엉키지 않도록 구성된 자립 낚시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configured so that the fishing line and the rear row are not entangled with each other by allowing the entire length of the center bar to exceed the top of the jigsaw so that the center bar is not caught on the top of the jigsaw during stretch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낚싯줄에 형성된 매듭이 추에 걸리게 함으로써 추의 무게가 찌몸체를 중심으로 하였을 때 추에 실리게 됨으로써 보다 빠른 입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자립 낚시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that can be obtained faster by being loaded on the weight when the weight of the weight is centered on the bobbin body by the knot formed on the fishing line is caught on the weigh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미라이트(Chemical light)를 설취 위치를 찌톱의 하단으로 낮춤과 동시에 찌톱에 의한 장애 없이 사방에서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된 자립 낚시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configured to be visible from all directions without hindering the chop saw while simultaneously lowering the position of the chemical light to the bottom of the claw.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d other objects,
낚싯줄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력 특성의 찌몸체;Buccal body of buoyancy characteristics that the through-hole penetrates the fishing lin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되어 있는 중공의 찌톱;A hollow tooth saw having at least a portion thereof coupled 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dy;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심대;A center bar provided to be accessible from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tail body and having a fishing line through hole formed in a length direction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penetrates;
상기 중심대의 하단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과 나란하게 관통홀이 형성된 추;A weigh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enter portion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parallel wit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tail body;
상기 찌몸체측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중심대가 신장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부 및 하부 고정관;Upper and lower fixing pipes inserted into the bore body-side through-holes to serve as passages through which the center band extends;
상기 하부고정관의 내측 단부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중심대의 중간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중심대를 바깥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립 낚시찌를 제공한다.One end is fixed to the inner end of the lower fixing tube,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comprising a spring that is caught on the locking jaw formed in the middle of the center to push the center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추와 상기 하부 고정관에 동시에 끼움 결합되며 투척 시에 상기 추와 상기 하부 고정관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을 정도로 끼움 결합되는 수중찌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수중찌는 상기 추의 형상과 함께 상기 하부 고정관의 외형에 따르는 내부 구조를 가지며, 투척 전, 상기 수중찌는 상기 추와 상기 하부 고정관에 형상에 따라 끼움 결합되며, 투척시 수면에 닿는 충격으로 인해 수중찌는 분리되며 본찌는 수직으로 자립하고, 채비가 정렬을 이룬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and the fitting is coupled to the lower fixed tube at the same time, and further comprises a hand-fitting fitting so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weight and the lower fixed tube when throwing. This underwater bobbin has an inn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fixed tube together with the shape of the weight, and before throwing, the underwater bobbin is fitted to the weight and the lower fixed tube according to the shape, and the underwater bobbin due to the impact on the water surface during the throwing Are separated and Bonchi is freestanding vertically, and the gear is aligned.
상기 하부 고정관의 원주면에는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다.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fixing tube is preferably formed with a groov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 상기 중심대의 상단에는 중심대가 찌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링이 더 설치되고, 상기 고정링의 하단이 상기 찌톱의 상단을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고정링에 형성된 구멍의 상단 내부면은 호형모서리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ring is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enter unit as a means for fixing the center unit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and the lower end of the fixing ring does not exceed the upper end of the tooth saw.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hole formed in the fixing ring has an arc-shaped corner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는 투척 전에는 중심대가 찌톱과 찌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축되고, 낚싯줄이 찌몸체와 찌톱 및 중심대의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투척됨으로서 낚싯줄이 낚시찌의 다른 부분에 걸리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하여 투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부피가 작아져 바람에 의한 저항이 감소됨으로서 쉽게 원하는 장소에 투척을 할 수 있고, 투척 후에는 중심대의 단부에 설치된 추와 찌몸체의 부력의 반작용에 의해 중심대가 신장되어 쉽게 자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acted before being thrown into the inside of the bobbin and the bobbin body before being thrown, and the fishing line is thrown through the center of the bobbin body and the bobbin and the center rod so that the fishing line is caught on another part of the bobber.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rowing and tangling, and to make throwing easier. In addition, the overall volume is reduced, which reduces the wind resistance, so that the throwing can be easily carried out at a desired place. By the reaction of buoyancy of the central zone is extend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independent.
또한, 상기 중심대를 길게 형성하여, 추와 찌몸체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무게 중심이 아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작은 추를 사용하여도 낚시찌가 쉽게 자립될 수 있고, 이렇게 작은 추를 사용함으로서 낚시찌 전체의 무게가 가벼워짐으로 보다 예민한 입질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center belt long, the distance between the weight and the bobbin body is far away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moved down and accordingly, even if using a small weight can be easily self-supporting, using such a small weight whole fishing bobber The lighter the weight, the more sensitive the effect can be confirmed.
또한,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중심대가 바깥쪽으로 밀리게 함으로써 투척된 상태에서 중심대가 보다 빨리 신장되어 무게중심이 추 쪽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찌가 보다 빨리 자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a spring to push the center band outwards in the throwing state the center band is extended faster and the center of gravity is inclined toward the weight has the effect that the bobber can be self-supporting fas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는 중심대의 상단 부분이 찌톱의 상단 개구 부분에 걸쳐 있어 중심대가 신장시 찌톱의 상단에 걸릴 염려가 없으며 이와 동시에 찌톱의 상단 부분이 라운딩되어 있어 낚싯줄이 빠르게 자리를 잡을 수 있어 투척 지점에서 낚싯줄과 뒷줄이 엉킬 위험을 최소화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portion over the upper opening portion of the tooth saw there is no fear of catching on the top of the tooth saw when the center pole is stretched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portion of the tooth saw is rounded so that the fishing line can be quickly settled This can minimize the risk of tangling the fishing line and the back line at the throwing poi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에 설치되는 케미라이트 꽂이 및 케미라이트가 무게 중심이 낮춰져 있으며, 이와 동시에 낚시꾼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육안 식별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hemie Wright stand and Chemie Lite installed in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 center of gravity,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is easy to visually identify even if the angle is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ngl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립 낚시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중심대가 신장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중심대가 수축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추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상부 고정관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케미라이트 꽂이 부분과 찌톱의 결합 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하나의 변형된 형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케미라이트 꽂이 부분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케미라이트 꽂이가 찌톱에 고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케미라이트 꽂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사용 상태 단면도로서, 도 19는 최초 투척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20은 스프링에 의해 중심대가 밀려 신장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21은 자립 낚시찌가 기울어지기 시작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22는 자립 낚시찌가 수직으로 선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종래의 자립 낚시찌의 사용 상태 단면도로서, 도 23은 최초 투척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4는 자립 낚시찌가 수직으로 선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reestand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eestanding bobber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er stage is extended constituting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3.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er of the contraction state constituting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of FIG. 6.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ight constituting the freestand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fixing tube constituting the freestand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ing constituting the freestand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chemite stand portion and a tooth saw of a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view of one modified form of FIG. 12.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chemirite holder shown in FIG.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chemite stand shown in FIG. 14 is fixed to a jaw saw.
16 to 18 are views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hemierite rack.
19 to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first throwing state, Figure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nter bar is extended by a spring extended state.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starts to tilt, and FIG. 2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lf-standing fishing bobber stands vertically.
23 and 2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onventional self-supporting bobber, Figure 23 is a view showing a state at the first throw, Figure 2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eestanding bobber is vertically standing.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수직", "상부", "하부"와 같은 기재는 낚시찌가 투척 후 자립했을 경우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descriptions such as "vertical", "top", "bottom" should be understood to be based on the case where the bobber becomes independent after throwing.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exemplary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립 낚시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중심대가 신장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중심대가 수축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C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추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상부고정관의 부분 단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스프링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케미라이트 꽂이 부분과 찌톱의 결합 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하나의 변형된 형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케미라이트 꽂이 부분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케미라이트 꽂이가 찌톱에 고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6 내지 도 18은 케미라이트 꽂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사용 상태 단면도로서, 도 19는 최초 투척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20은 스프링에 의해 중심대가 밀려 신장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21은 자립 낚시찌가 기울어지기 시작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22는 자립 낚시찌가 수직으로 선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state in which the center bar constituting the independent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3, and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tracted state of the center rod constituting the freestand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6,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ight constituting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fixing tube constituting the freestand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ing constituting the freestand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chemistry of the freestand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ght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one of the modified form of FIG. 12, and FIG. 1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hemilite holder shown in FIG. 13.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emite stand shown in FIG. 14 is fixed to a claw saw, and FIGS. 16 to 18 show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hemite stand, and FIGS. 19 to 22 show A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19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first throwing, Figure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nter bar is extended by a spring, Figure 21 is a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which started to be inclined, and FIG. 22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which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stood vertically.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는 낚싯줄이 관통되는 수직 관통홀(1a)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어 부력이 작용하는 찌몸체(1)와; 상기 찌몸체(1)의 상단에 구비되고 낚싯줄이 끼워지는 낚싯줄 관통홀(22)이 형성된 중공의 찌톱(2)과 ;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1a)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관통홀(4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심대(4)와 ; 상기 중심대(4)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1a)과 대향되는 관통홀(3a)이 형성된 추(3)와 ; 상기 수직 관통홀(1a)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중심대(4)가 신축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하부고정관(6, 7)과 ; 상기 하부고정관(7)의 내측 단부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중심대(4)의 중간에 형성된 걸림턱(43)에 걸려 중심대(4)를 바깥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vertical through-hole (1a) through which the fishing line penetr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buoyancy acts on the buoyancy; A hollow bobbin (2) provided at the top of the bobbin body (1) and having a fishing line through hole (22) into which a fishing line is fitted; A
상기 찌몸체(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며 지름이 작아지는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에는 상기 찌톱(2)이 구비되고 하단에는 추(3)가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찌톱(2)은 수면의 위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실제로 사용자가 입질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으로 물과 대조되는 색깔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야광성을 띠는 것이 좋다.The jig saw 2 is a part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which is actually a part that the user can check the granularity is composed of a color contrasted with water and preferably luminous.
상기 찌톱(2)은 낚싯줄이 끼워지는 낚싯줄 관통홀(22)이 그 상단에 형성된 중공의 가느다란 파이프로 만들어지고, 상기 찌몸체(1)의 상단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The
상기 찌톱(2)의 측벽에는 낚싯줄이 이동하는 수직 절개홈(23)이 상하로 길게 더 형성되어 있어 낚싯줄이 찌톱(2)의 상단에 형성된 낚싯줄 관통홀(22)에 끼워진 상태로 투척된 후,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이 수직 절개홈(23)을 따라 찌몸체(1)의 상단 부분으로 이동함으로서 낚싯줄이 팽팽하게 긴장되게 당겨져도 낚시찌가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The side wall of the claw saw (2) is further vertically formed in the vertical cutting groove (23) to move the fishing line up and down so that the fishing line is thrown in the state fitted to the fishing line through-
또한, 상기 찌톱(2)에 형성된 낚싯줄 관통홀(22)에는 낚싯줄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마찰방지링(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낚싯줄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티탄 등과 같이 강도는 높되 마찰이 적은 재질의 수지나 금속으로 만들어진 마찰 방지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shing line through-
상기 찌톱(2)의 측벽에는 바람의 저항을 줄여주는 다수의 통기공(21)이 더 형성되어 있다. 찌가 물에 투척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찌톱(2)이 바람의 저항에 의해 흔들리게 되므로 가능한 바람과의 저항을 줄이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해 상기 통기공(21)을 형성하였다.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찌톱(2)의 상단은 도시한 바와 같이 라운드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이 라운드진 경사면의 중간에 상기한 낚싯줄 관통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중심대(4)의 상단에 설치된 고정링(5)의 하단은 상기 찌톱(2)의 상단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중심대(4)의 신장시 고정링(5)이 찌톱(2)의 상단에 걸리지 않게 함과 동시에 중심대의 신장시 낚싯줄이 상기 찌톱(2)의 상단에 형성된 라운드진 경사면을 타고 상기한 수직 절개홈(23)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n upper end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찌톱(1)의 낚싯줄과 접촉면에 마찰방지링을 더 설치할 수 있으나 실제로 낚싯줄과 마찰을 많이 일으키는 부분은 중심대(4)에 형성된 낚싯줄 관통홀(4a)의 상단 부분과 추(3)의 하단 부분으로 이 부분에는 마찰방지링(미도시)을 설치하여 낚싯줄과의 마찰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anti-friction ring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fishing line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상기 추(3)는 상기 중심대(4)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대(4)의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낚싯줄 관통홀(4a)와 대향되는 관통홀(3a)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관통홀(3a)은 낚싯줄에 형성된 매듭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매듭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다. 또한, 낚싯줄이 마모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홀의 양단이 경사지게 형성하였다.The through hole 3a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knot so that the knot formed in the fishing line does not pass.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hole is formed to be inclined to reduce the wear of the fishing line.
상기 중심대(4)는 실질적으로 추가 설치되는 것으로 찌몸체(1)의 내부로 신축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하측의 광폭부(41)와 상측의 협폭부(42)로 구성되어 두 부분 사이에 걸림턱(43)이 형성된다.The
상기 중심대(4)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부고정관(6, 7)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As shown, the
상기 상부고정관(6)과 하부고정관(7)은 모두 원통형 통체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찌몸체(1)의 바깥쪽을 향한 단부 즉, 상기 상부고정관(6)의 상단과 하부고장관(7)의 하단에는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1a)을 덮을 수 있도록 수직 관통홀(1a)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누수방지날개(61, 71)가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fixing tube (6) and the lower fixing tube (7) all form a cylindrical cylindrical shape, that is, the outer end of the
한편, 상기 하부 고정관(7)의 노출된 원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홈(71a)이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상기 누수방지날개(61, 71)들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찌몸체(1)의 양 단에 각각 밀착되어 찌몸체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한다. The
또한, 상기 상부고정관(6)의 내주면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이 원주형성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찌톱(2)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2a)이 끼워져 찌톱(2)이 상부고정관(6)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engaging jaw is formed in the circumference of the
상기 상부고정관(6)의 상단은 낚싯줄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모따기가 되고 마찰력이 적은 티탄 등으로 만들어진다.The upper end of the upper fixing pipe (6) is made of titanium or the like chamfered less friction to reduce the friction with the fishing line.
본 발명의 요지라 할 수 있는 구성으로는 상기한 스프링(8)이다. The structure which can be called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is the
즉, 상기 중심대(4)를 바깥쪽으로 밀어 신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스프링(8)이 더 구성됨으로써 중심대가 보다 용이하게 신장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중심대(4)의 중단에 형성된 걸림턱(43)이 상기 스프링(8)의 일측 단부에 걸려 찌몸체(1)의 내부로 수축된 중심대(4)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 신장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즉, 상기 스프링(8)은 상기 중심대(4)를 바깥쪽으로 밀어 신장시키는 수단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8)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고정관(7)의 외경과 같은 지름을 갖는 광폭부(81)와 ; 상기 중심대(4)를 구성하는 협폭부(42)의 외경과 같은 지름을 갖는 협폭부(82)로 구성되어 있다. That is, the
이렇게 광폭부(81)와 협폭부(82)로 구성된 스프링(8)은 도 4 및 도 7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단부는 상부고정관(6)과 하부고정관(7)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어디에도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놓여져 있다. The
이렇게 설치된 스프링(8)은 상기 중심대(4)가 찌몸체(1)의 내부로 수축된 상태가 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폭부(82)가 중심대(4)의 걸림턱(43)에 걸린 상태로 신장되어 중심대(4)를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방향의 탄성이 작용한다. When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찌(10)가 더 제공된다. 이러한 수중찌(10)는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3)의 외형에 따르는 내부 구조와 상기 하부 고정관(7)의 외형에 따르는 내부 구조를 동시에 갖는다. 또한, 상기 수중찌(10)의 도면상 상단 원주부에는 상기 찌몸체(1)의 아래 부분의 형상에 부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수중찌(10)는 상기 추(3)와 상기 하부 고정관(7)에 동시에 끼움 결합되며 투척 시 상기 추(3)와 상기 하부 고정관(7)으로부터 이탈하여 수중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자립 낚시찌를 투척할 경우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중심대가 신장된다.When throwing the freestanding bobber, the center stage is extended by the process as shown in FIGS. 19 to 22.
도 19는 자립 낚시찌가 투척되는 순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19 shows the state of the moment when the self-supporting bobber is thrown.
자립 낚시찌를 투척하면 낚싯줄에 매달린 또 다른 추의 무게와 찌의 무게 그리고 수중찌의 무게에 의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립 낚시찌 하단의 추(3)와 또 다른 추가 서로 인접한 상태로 투척이 이루어진다. 이때 중심대(4)는 낚싯줄과 또 다른 추의 작용에 의해 찌몸체(1)의 내부로 수축된 상태가 된다. When the self-supporting bobber is thrown, the weight of another weight suspended from the fishing line, the weight of the bobber, and the weight of the hand bobber, as shown in FIG. . At this time, the
이렇게 투척된 자립 낚시찌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8)의 탄성에 의해 밀려 중심대(4)가 바깥쪽으로 신장하게 되고, 이때 추(3)가 찌몸체(1)로부터 멀어짐으로 추의 무게에 의해 자립 낚시찌는 보다 빨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입수를 하게 된다. As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thrown in this way is pushed by the elasticity of the
이때 낚싯줄에 매달린 또 다른 추의 무게에 의해 낚싯줄이 당겨지고, 당겨진 낚싯줄의 중간에 형성된 매듭은 추(3)에 형성된 관통홀(3a)의 안쪽에 걸리며, 이렇게 관통홀(3a)에 매듭이 걸리므로 추(3)와 또 다른 추의 무게는 중심대(4)의 하단에 걸려 중심대(4)가 보다 빨리 수직으로 세워져 입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fishing line is pulled by the weight of another weight suspended on the fishing line, the knot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ulled fishing line is caught inside the through hole 3a formed in the
상기 중심대(4)가 찌몸체(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링(5)이 중심대(4)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The fixing
상기 고정링(5)에도 낚싯줄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의 상단 내주면은 호형모서리부(5a)가 형성되어 있다. A hole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passes is formed in the fixing
상기 고정링(5)은 낚싯줄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티탄 등과 같은 마찰력이 적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The fix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는 도 1 및 특히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미라이트(Chemical light)(24b)와 이를 꽂을 수 있는 케미라이트 꽂이(2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24)에 꽂히는 케미라이트는 특히 야간에 찌가 보다 잘 보이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케미라이트(24b)를 포함한 케미라이트 꽂이(24)는 상기 찌톱(2)의 원주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케미라이트 꽂이(24)는 케미라이트(24b)의 광을 사방으로 방출할 수 있는 구조와 함께 상기 찌톱(2)과 결합되는 결합 부위 쪽으로도 광을 방출시킬 수 있는 광 방출구(24c)를 갖는다. 이때,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에 형성된 광 방출구(24c)는 상기 찌톱(2)에 제공되어 있는 통기공(21) 중의 어느 하나와 연통되게 케미라이트 꽂이(24)가 상기 찌톱(2)에 결합된다. 이는 케미라이트 꽂이(24)가 사용자의 입장에서 찌톱(2)의 후방에 놓이는 경우에도 찌톱(2)의 수직 절개홈(23)을 통해서 쉽게 식별되게 한다.In addition, the self-supporting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케미라이트 꽂이(24)는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미라이트(24b)를 쉽게 빼고 끼울 수 있도록 케미라이트(24b)로부터의 광이 조사되는 반대 방향, 도면상 하부는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노출 부위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케미라이트(24b)를 도면상 위쪽으로 올리므로써 케미라이트 꽂이(24)로부터 케미라이트(24b)를 쉽게 꺼낼 수 있게 한다.The chemistry stand 24 is also shown in FIG. 12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which the light from the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24)는 특히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찌톱(2)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지만,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끼움 부재(28)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끼움 부재(28)의 케미라이트 꽂이(24)의 대향 측면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끼움 방식을 용이하게 하였다. 이러한 끼움 부재(28)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나 개방시 복원 특성을 갖는 재질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케미라이트 꽂이 제공 방식은 케미라이트가 필요 없는 상황, 특히, 태양광량이 풍부한 낮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The chemistry stand 24 may in particular be directly fixed to the claw saw 2 as shown in FIG. 12, but may also be provided with a separate
한편, 다르게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찌톱(2)의 상단 일측에 케미라이트(Chemical light)가 끼워질 수 있는 케미라이트 꽂이(24)가 더 형성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ure 16 to 18, the chemistry light (24)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hemistry (Chemical light) can be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of the claw saw (2).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24)의 위치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찌톱(2)의 상단 중앙의 일측이나,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찌톱(2) 상단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24)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찌톱(2)의 양측에 두 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chemistry stand 24 may be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top center of the top 2 as shown in FIG. 16, or at the sidewall of the top of the top 2 as shown in FIG. 17. In addition, the chemistry stand 24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eg saw 2, as shown in FIG.
1 : 찌몸체
1a : 수직 관통홀
2 : 톱(top)대
2a : 걸림홈
21 : 통기공
22 : 낚싯줄 관통홀
23 : 수직 절개홈
24 : 케미라이트 꽂이
24b : 케미라이트
28 : 끼움 부재
3 : 추
3a : 관통홀
4 : 중심대
4a : 낚싯줄 관통홀
41 : 광폭부
42 : 협폭부
43 : 걸림턱
5 : 고정링
5a : 호형모서리부
6 : 상부 고정관
61 : 누수방지날개
7 : 하부고정관
71 : 누수방지날개
8 : 스프링
81 : 광폭부
82 : 협폭부
10 : 수중찌1: tail body
1a: vertical through hole
2: Top stand
2a: hanging groove
21: ventilator
22: fishing line through hole
23: vertical incision groove
24: Chemie Light Stand
24b: Chemie Lite
28: fitting member
3: weight
3a: through hole
4: center zone
4a: fishing line through hole
41: wide part
42: narrow section
43: jamming jaw
5: retaining ring
5a: arc edge part
6: upper fixing tube
61: Leak prevention wing
7: lower fixing tube
71: Leak-proof wing
8: spring
81: wide part
82: narrow section
10: hand float
Claims (13)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관통홀(1a)에 결합되어 있는 중공의 찌톱(2);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관통홀(1a)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관통홀(4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심대(4);
상기 중심대(4)의 하단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관통홀(1a)과 나란하게 관통홀(3a)이 형성된 추(3);
상기 찌몸체측 관통홀(1a)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중심대(4)가 신장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부 및 하부 고정관(6, 7);
상기 하부고정관(7)의 내측 단부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중심대(4)의 중간에 형성된 걸림턱(43)에 걸려 중심대(4)를 바깥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8); 및
상기 추(3)와 상기 하부 고정관(7)에 동시에 끼움 결합되며 투척 시에 상기 추(3)와 상기 하부 고정관(7)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을 정도로 끼움 결합되는 수중찌(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Buccal body (1) of buoyancy characteristics that the through-hole (1a) through which the fishing line penetrates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ollow bobbin (2) at least part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1a) formed in the bobbin body (1);
A center bar 4 provided to be accessible from the through hole 1a formed in the tail body 1 and having a fishing line through hole 4a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penetrat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weight (3)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enter stage (4) and having a through hole (3a) formed in parallel with a through hole (1a) formed in the tail body (1);
Upper and lower fixing pipes 6 and 7 inserted into the tailing side through-holes 1a and serving as passages through which the center stand 4 extends;
One end is fixed to the inner end of the lower fixing tube (7), the other end is caught by the locking jaw 43 formed in the middle of the center (4) for pushing the center (4) outwards (8) ; And
It is fitted to the weight (3) and the lower fixed tube (7) at the same time, and the handpiece 10, which is fitted to the extent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weight (3) and the lower fixed tube (7) when throwing Freestanding fishing bob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9439A KR101177823B1 (en) | 2010-02-02 | 2010-02-02 | Fishing floa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9439A KR101177823B1 (en) | 2010-02-02 | 2010-02-02 | Fishing floa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9930A KR20110089930A (en) | 2011-08-10 |
KR101177823B1 true KR101177823B1 (en) | 2012-08-31 |
Family
ID=4492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9439A KR101177823B1 (en) | 2010-02-02 | 2010-02-02 | Fishing floa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782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64803A (en) * | 2018-11-23 | 2019-01-25 | 陆树旺 | A kind of composite water purifying agent crushing tossed device suitable for the improvement of lake surface waters |
KR20210094930A (en) | 2020-01-22 | 2021-07-30 | 이문희 | self-reliance fishing float assembly with improved detection sensitivit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0881B1 (en) * | 2020-07-07 | 2022-11-24 | 박지태 | Casting Float for Lure Fishing |
KR102675369B1 (en) * | 2023-05-26 | 2024-06-14 | 주진미 | Flexible fishing floa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8504Y1 (en) | 2002-06-11 | 2002-09-11 | 박영태 | 3 .omitted |
KR100678399B1 (en) | 2004-05-18 | 2007-02-05 | 이상일 | Heresy fishhook float |
KR100781696B1 (en) | 2006-09-22 | 2007-12-04 | 이상일 | Self-reliance fishing float |
-
2010
- 2010-02-02 KR KR1020100009439A patent/KR10117782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8504Y1 (en) | 2002-06-11 | 2002-09-11 | 박영태 | 3 .omitted |
KR100678399B1 (en) | 2004-05-18 | 2007-02-05 | 이상일 | Heresy fishhook float |
KR100781696B1 (en) | 2006-09-22 | 2007-12-04 | 이상일 | Self-reliance fishing floa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64803A (en) * | 2018-11-23 | 2019-01-25 | 陆树旺 | A kind of composite water purifying agent crushing tossed device suitable for the improvement of lake surface waters |
CN109264803B (en) * | 2018-11-23 | 2021-11-09 | 宁夏梦源涌林农业科技有限公司 | Composite water purifying agent crushing and throwing device suitable for lake surface water area treatment |
KR20210094930A (en) | 2020-01-22 | 2021-07-30 | 이문희 | self-reliance fishing float assembly with improved detection sensitivit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9930A (en) | 2011-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4793B1 (en) | Multi functional fishing float | |
US20070033857A1 (en) | Safeslide bobber apparatus | |
KR101177823B1 (en) | Fishing float | |
CA2899637C (en) | Lobster trap stabilizing system | |
US6880288B1 (en) | Removable and interchangeable limited resistance dive-action bait-navigating fishing bobber | |
KR101089140B1 (en) | self-reliance fishing float | |
KR100781696B1 (en) | Self-reliance fishing float | |
US5033227A (en) | Fishing device | |
US20160345564A1 (en) | Fishing Bobbers | |
KR102570316B1 (en) | Fishing Float | |
JP2007117028A (en) | Fishing tackle to use rod float insertion cage having bottom lid and hooking tool and fishing method | |
KR200204944Y1 (en) | The sea fishhook a float | |
KR100678399B1 (en) | Heresy fishhook float | |
KR200370603Y1 (en) | Stick type holl float | |
KR100943275B1 (en) | Float for lure fishing | |
KR200202741Y1 (en) | The sea fishhook a float | |
KR20130119677A (en) | An electronic incline float for fishing | |
KR102447564B1 (en) | self-reliance fishing float assembly with improved detection sensitivity | |
KR101035549B1 (en) | Fishing float | |
KR100803557B1 (en) | Capsule type float | |
JP2003061531A (en) | Float and lure | |
KR200381813Y1 (en) | Float for a fishing | |
KR200227085Y1 (en) | The fishhook a float | |
FI106093B (en) | Trolling spoon | |
KR200302108Y1 (en) | Double Fishhook for Fresh Water Fish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