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491A - Stick float - Google Patents

Stick flo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491A
KR20180014491A KR1020160097830A KR20160097830A KR20180014491A KR 20180014491 A KR20180014491 A KR 20180014491A KR 1020160097830 A KR1020160097830 A KR 1020160097830A KR 20160097830 A KR20160097830 A KR 20160097830A KR 20180014491 A KR20180014491 A KR 20180014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fishing
buoyancy body
buoyancy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동현
Original Assignee
우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동현 filed Critical 우동현
Priority to KR1020160097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4491A/en
Publication of KR20180014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4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rod float capable of easily regulating the position of a float, which varies the shape of the rod float depending on a fishing environment to enable fishing preparation to be stably operated, wherein the fishing rod float comprises: a slotted rod part having a stop protrusion at one end and a hook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passes at the other end; a buoyancy body part having a through hole for separating and receivi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d part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part and having a specific gravity with respect to seawater; and a first body fixing part coupled to one end of the buoyancy body part and fixing the buoyancy body par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od part.

Description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Stick float}Stick float for easy adjustment of buoyancy position

본 발명은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 환경에 따라 막대찌의 형태를 다양하게 가변시켜 안정적으로 낚시 채비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d for fishing which is easy to adjust the position of a buoyancy ho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oyancy rod which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a buoyancy valve so that the shape of a rod can be varied according to a fishing environment, Fishing rod.

낚시는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 쉽게 즐길 수 있는 레저 중 하나로 남녀노소 불문하고 취향에 따른 다양한 장르의 낚시가 이루어지고 있다.Fishing is one of the leisure activities that can be easily enjoyed in Korea, which is three sides of the sea. Fishing is being done in various genres according to taste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young or old.

특히, 민물낚시나 바다낚시 모두에 흔히 사용되는 낚시찌는 낚시를 함에 있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In particular, fishing cages, which are commonly used in both freshwater fishing and sea fishing, offer a variety of functions for fishing.

낚시찌는 일정한 부력을 유지하면서 봉돌과 미끼를 바닥까지 가라앉히고, 낚싯줄을 타고 전해지는 고기의 입질을 전달하는 것으로, 지형이나 물고기가 먹이를 먹는 특성에 따라 위로 올라가기도 하고 물속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수심을 잴 때는 자의 구실도 하는데 봉돌이 바닥에 닿았는지 수초나 장애물에 걸렸는 지의 여부를 판별케 한다. 또한, 바닥의 생김새나 수초의 유무도 판별할 수 있고, 물 흐름의 여부, 방향, 속도를 알 수 있도록 한다.A fishing rod maintains a constant buoyancy, sinks the baengdol and bait to the bottom, and transmits the fishing nets on the fishing lin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rain or the fish eating the fish, it goes up and goes into the water. When we measure the water depth, it also serves as a pretext for discriminating whether the beneath the floor is touched by the water or the obstacle.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the floor and the presence of a few seconds can be determined, and the presence, direction, and speed of the water flow can be known.

이러한 낚시찌는 어신을 알려주는 역할이 주된 기능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채비를 멀리 운반시키는 역할을 하며, 더욱이 종류에 따라서는 채비와 미끼가 원하는 수심에 머물도록 하는 기능, 복잡한 조류에 동조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은 낚시찌는 그 종류가 다양해서 대상어와 구사하는 기법에 따라 사용법 또한 달라지게 된다.These fish catches are the main function of the fish catcher, but in some cases they serve to transport the fish farther away. Furthermore, depending on the species, the fish catches the ability to stay at the desired depth of preparation and bait, . These types of fishes vary in their usage depending on the technique used and the target language.

특히, 낚시찌 중 막대찌는 구멍찌와는 달리 길이가 긴 막대 형상으로서, 수면에 직립한 상태에서 채비가 정렬되므로 원거리에서도 입질 파악이 용이하다.In particular, the rod of a fishing rod has a long rod shape unlike a hole, and it is easy to grasp the fishing rod even at a long distance because the fishing gear is arranged in a standing state on the water surface.

이러한 막대찌는 시인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으로 인해, 원거리 포인트를 공략할 때, 또는 입질 파악이 서툰 초보자에게 많이 사용되고 있다.Such a rod is advantageous in visibility, so it is widely used for a beginner who tries to capture a remote point or grasp the quality.

그러나 막대찌는 찌톱이 수면 위에 솟아오른 상태로 채비가 정렬되기 때문에 기상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바람이나 물결의 영향을 크게 받아 입질 파악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weather condition is not good, the bar is greatly affected by the wind and the waves, and it is hard to grasp the nose.

즉, 강한 바람이나 물결에 의해 찌톱이 기울어지거나 심하게 요동함으로 인해 입질의 분간이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nipple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saw tooth due to the strong wind or the wave or the swaying motion.

이에, 종래에는 기상이 좋지 않을 때에 강한 바람이나 물결에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형 봉돌을 목줄에 연결함으로써 찌톱의 일부가 수면 아래로 잠기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추가되는 소형 봉돌에 의해 부력이 가변되므로 찌의 예민함이 저하되고 부력에 따른 대상 어종을 공략하기 힘들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strong winds or waves when the weather is bad, a method has been used in which a portion of the sawdust is submerged below the water surface by connecting a small balloon to a neckline. However, in this case, the buoyancy is varied by the small bongle added, so that the sensitivity of the crucible is reduced and it becomes difficult to target the target species due to buoyancy.

한편, 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8779호가 제안된 바 있으며, 찌 톱의 일정 구간을 고무제의 바킹이나 찌 톱의 자체에 일체로 형성된 단턱에 의해 구획하여 이 구획된 찌톱 구간에서만 찌 몸통이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38779 has been proposed 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a certain section of the saw tooth is divided by a step formed integrally with the rubber balking or the tooth top itself So that the crucible body is allowed to move up and down freely only in the divided chipping section.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부력구의 역할을 하는 찌 몸통이 상하로 움직이므로 정확한 부력의 낚시채비를 구성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techniqu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stitute fishing boats of accurate buoyancy because the crucible body serving as a buoyancy sphere moves up and down.

그리고, 찌 몸통의 상하 이동 범위를 결정하는 고무제의 바킹은 바닷물에서 쉽게 부식됨으로 인해 내구성이 저하되어 헐거워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The barking made of rubber, which determines the up-and-down movement range of the crucible body, is easily corroded in seawater, which causes deterioration in durability and loosening or breakage.

또한, 상기 고무제의 바킹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찌톱 자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단턱은 접착제 등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므로 찌톱의 높이를 조절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position of the step formed integrally with the chip itself is fixed by an adhesive or the like, the height of the chip can not be adjusted.

KRKR 10-053877910-0538779 B1B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력구의 높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낚시 상황에 따라 찌톱이 수면 위에서 부상하는 높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prior art technology,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buoyant sphere so that the height of the buoyant sphere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fishing situation A fishing rod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찌톱 및 찌다리를 이루는 막대부의 일 지점에 부력구가 움직이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부력의 낚시채비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oyancy regulating device for fishing buoyancy which allows a buoyancy sphere to be firmly fixed to one point of a rod portion constituting a chisel and a dagger, It is to provide a ro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력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바닷물에서도 장기간 성능 저하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shing rod rod which is easy to adjust the position of a buoyancy port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stopper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buoyant sphere can be improved and used even in seawater for a long time without deteriorating performance.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낚시줄의 원줄 및 목줄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유동하거나 낚시줄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결속되는 낚시용 막대찌에 있어서, 일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낚시줄이 통과하는 고리가 마련되는 일자형의 막대부; 상기 막대부의 둘레를 이격 수용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막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바닷물에 대해 일정 비중을 가지는 부력몸체부; 및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부력몸체부를 상기 막대부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1몸체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object is achieved by a rod for fishing which is bound to be fixed along at least one of a main line and a neck line of a fishing line or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fishing line, A rod-like rod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portion with a ring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passes; A buoyancy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 receivi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d portion and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portion and having a specific gravity with respect to seawater; And a first body fixing part coupled with one end of the buoyancy body part to fix the buoyancy body par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od part. have.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력몸체부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부력몸체부를 고정을 보강하는 제2몸체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fix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ody fixing par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uoyancy body part to reinforce the buoyancy body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상기 막대부의 둘레를 이격 수용하되, 외력에 의해 상기 막대부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며, 상기 제1몸체고정부 및 상기 제2몸체고정부는 각각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가압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상기 막대부에 밀착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uoyancy body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the periphery of the rod portion, and are adhered to or released from the rod portion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first body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body fixing portion are And one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buoyancy body portion are tightly fixed to the rod portion by being pressed to press one end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buoyancy body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둘레조절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고정부 및 상기 제2몸체고정부의 내부 내주면은 테이퍼지게 형성되어져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fixing parts has a circumferential groov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uoyancy body, respective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fixing part and the second body fixing part are tapered, And is screw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respectively.

바람직하게는, 상기 막대부의 둘레를 이격 수용하여 상기 걸림턱과 상기 부력몸체부 사이를 이동하며, 바닷물과 동일한 비중 또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가지는 식별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dentification hole having a specific gravity equal to or lower than a specific gravity of the seawater, the separator being spaced apart from the periphery of the rod portion and moving between the retaining jaw and the buoyancy body portion.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부력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찌톱이 수면 위에서 부상하는 높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낚시 상황에 따라 안정적인 채비 운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uoyancy body portion, the height at which the tooth surface is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can be easily chang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stable prepar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shing situation.

둘째, 부력몸체부의 높이 조절시 막대부의 일 지점에 부력몸체부가 움직이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부력의 낚시채비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when the height of the buoyancy body part is adjusted, the buoyancy body part can be firmly fixed to one point of the rod part without mov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n accurate buoyancy fishing ability.

셋째, 부력몸체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몸체고정부가 고무제의 스토퍼 방식이 아닌 나사결합되는 구조로써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바닷물에서도 장기간 성능 저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the body fixing part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buoyancy body part is not a stopper method of rubber but a screwed structure, which improves durability and can be used in seawater for a long time without deterioration in performanc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1예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2예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3예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의 분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shing rod for easy adjustment of a position of a buoyant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rod for fishing which is easy to adjust the position of a buoyancy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irst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 fishing rod for easy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a buoyant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ond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fishing rod for easy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a buoyant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hird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a fishing rod for easy adjustment of a buoyancy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view of a fishing rod for easy adjustment of a position of a buoyant sp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is provided to inform the person completely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herein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는 낚시줄의 원줄 및 목줄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유동하거나 낚시줄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결속되는 것으로서, 도1 내지 도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크게 막대부(200)와 부력몸체부(400) 및 제1몸체고정부(600)를 포함한다.The fishing rod for easy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buoyancy ho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und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shing line or to flow alo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of the fishing line. And includes a rod portion 200, a buoyancy body portion 400, and a first body fixing portion 600, as can be seen in FIG.

먼저, 막대부(200)는 일자형으로 이루어져 일단부에는 걸림턱(220)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낚시줄이 통과하는 고리(240)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고리(240)에 직접 낚시줄을 통과시키지 않고, 찌홀더를 먼저 낚시줄에 통과시킨 후 상기 고리(240)를 찌홀더에 체결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irst, the rod 200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and a hook 240 is formed at one end and a hook 240 is formed at the other end through which the fishing line passe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is also possible to fasten the loop 240 to the crest holder after the crest holder is first passed through the fishing line without directly passing the fishing line through the loop 240.

이러한 막대부(200)는 일반적인 목줄찌와 같이 저부력으로 이루어져 대상어가 입질시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자형으로 길게 이루어져 원거리에서도 어신의 파악이 용이하도록 하며, 원거리에서도 시인성을 가질 수 있도록 원색의 눈에 잘띄는 색상이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림턱(220)에는 상기 막대부(200)와는 대비되는 색상이 도포되는 것이, 어신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하는 데에 바람직하다.The rod 200 is made of a low buoyancy force like a general necklace so that the foreign object can be minimized when the target is worn. In addition, it is preferably long and straight, so that it can be easily grasped even at a long distance, and it is preferable to apply a conspicuous color of primary color so as to have visibility even at a long distanc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apply a color to the hook 220 in contrast to the rod 200 to more easily grasp the fish.

여기서,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기 막대부(200)의 일단부 끝단에는 케미꽂이가 장착될 수 있는데, 상기 케미꽂이에 케미라이트가 착탈 가능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케미라이트는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하여 어신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미꽂이는 고무재질이의 튜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케미꽂이에는 케미라이트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게미꽂이 대신에 배터리에 의해 발광하는 LED가 구비된 전자케미가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hemistry holder may be mounted at one end of the rod 200, and a chemilite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hemiluminescence holder. So as to detect the deceased. The chemiluminescent device may be made of a tube of rubber material, and chemilite is coupled to the chemiluminescent device in a tight fitting mann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an electronic chemistry having an LED that emits light by a battery may be mounted instead of the jamming plug.

다음으로, 부력몸체부(400)는 상기 막대부(200)의 둘레를 이격 수용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막대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바닷물에 대해 일정 비중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바닷물에 대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e buoyancy body part 40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for receivi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d part 200 and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part 200 and is formed to have a specific gravity with respect to seawater So that the buoyant force against seawater can be adjusted.

여기서, 본 발명의 부력몸체부(400)는 막대부(200)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막대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후술할 제1몸체고정부(600) 및 제2몸체고정부(800) 및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일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몸체부(400)는 제1몸체고정부(600)와 제2몸체고정부(800)가 결합해제 되었을 때 그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Here, the buoyancy body par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grally coupled to the rod part 200 but is movably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part 200 so that the first body fixing part 600 And the second body fixing part 800 and at least one of them. 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the first body fixing part 600 and the second body fixing part 800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the buoyancy body part 400 can be moved therebetween.

한편,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420) 및 타단부(440)는 상기 막대부(200)의 둘레를 이격 수용하되, 외력에 의해 상기 막대부(200)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된다. 즉,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420) 및 타단부(440)가 외력에 의해 막대부(200)에 밀착되면 상기 막대부(20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고, 반대로 밀착해제되게 되면 상기 막대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One end 420 and the other end 440 of the buoyancy body pa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rod part 200 and are tightly or tightly released from the rod part 200 by an external force. That is, when one end 420 and the other end 440 of the buoyancy body part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od 200 by external force, they ar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od 200, And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200.

덧붙여, 상기 부력몸체부(400)는 상기 막대부(200)의 색상과는 대비되는 명시성이 높은 색상이 도포되어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uoyancy body part 400 may be coated with a high-definition color that is in contrast to the color of the rod part 200, thereby maximizing the visibility.

또한, 상기 부력몸체부(4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환되어 조류에 반응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조류에 더욱 잘 유동할 수 있는 형태로 체적을 변형시켜 약한 조류에서도 채비를 쉽게 흘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넓은 범위를 탐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oyancy body part 400 can be converted into various shapes to control the degree of response to the algae. In particular, the buoyancy body part 400 can deform the volume in a form that can flow more easily to algae, You can explore a wide range.

다음으로, 상기 제1몸체고정부(600)는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420)와 결합되어 상기 부력몸체부(400)를 상기 막대부(200)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킨다.Next, the first body fixing part 600 is engaged with the one end 420 of the buoyancy body part to fix the buoyancy body part 40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r 200.

뿐만 아니라, 상기 부력몸체부의 타단부(440)와 결합되어 상기 부력몸체부(400)를 고정을 보강하는 제2몸체고정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fixing part 8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ody fixing part 800 coupled to the other end part 440 of the buoyancy body part to reinforce the buoyancy body part 400.

즉, 상기 제1몸체고정부(600) 및 상기 제2몸체고정부(800)는 각각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420) 및 타단부(440)를 가압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420) 및 타단부(440)를 상기 막대부(200)에 밀착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body fixing part 600 and the second body fixing part 800 are coupled to press one end 420 and the other end 440 of the buoyancy body, respectively, 420 and the other end portion 440 are tightly fixed to the rod portion 200.

도4 및 도5는 부력몸체부(400)가 고정되는 위치에 따른 막대부(200) 길이 가변을 나타내고 있는데, 부력몸체부(400)가 막대부(200)에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찌톱과 찌다리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알 수 있다.4 and 5 show the variable length of the rod 200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buoyancy body 400 is fixed.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buoyancy body 400 is fixed to the rod 200, It is understood that the length of the optical fiber is variable.

도4의 일례에서는, 부력몸체부(400)가 막대부(200)의 상부에 치우쳐 고정됨으로 인해 찌톱의 길이(α)가 찌다리보다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된다.In the example of FIG. 4, since the buoyancy body part 400 is biased to the upper part of the rod part 200, the length? Of the chip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e burr.

도5의 일례에서는, 부력몸체부(400)가 막대부(200)의 하부에 치우쳐 고정됨으로 인해 찌톱의 길이(β)가 찌다리보다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된다.In the example of FIG. 5, since the buoyancy body part 400 is biased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rod part 200, the length? Of the chip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기존의 막대찌의 경우 부력몸체부가 막대부와 일체형이기 때문에 찌톱이 수면 위에 부상하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목줄에 봉돌을 가감해야만 했으나, 본 발명은 봉돌의 가감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찌톱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rod, the buoyancy body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d portion. Therefore,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at which the tooth surface is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the rod must be added to the neck line. However, .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강한 바람이 부는 환경에서는 찌톱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막대부(200)가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안정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r portion 200 from tilting by minimizing the length of the jig in a strong wind environment, and to maximize the stability.

덧붙여, 기존의 막대찌는 바람의 영향으로 찌톱이 기우는 현상을 최소화하고자 봉돌을 목줄에 물릴 경우 찌톱을 최대한 수면까지 내릴 수는 있으나 바람, 조류 또는 와류 현상에서 찌톱이 수면 아래로 잠기는 현상이 발생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부력몸체부(400) 자체를 막대부(200)의 상부로 올려 찌톱의 높이를 최소화한 것이기 때문에 바람, 조류 또는 와류 현상에서도 최상의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incidence of chopstick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wind, the existing rod can be lowered to the maximum possible level when the bongle is stuck to the neckline, but the chopsticks are submerged under the wind in the wind, . However, since the buoyancy body part itself is minimized by raising the buoyancy body part itself to the upper part of the rod part 200,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best stability even in the wind, algae or vortex phenomenon.

나아가, 본 발명은 부력몸체부(40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부력몸체부(400)를 상부로 이동시킬수록 추의 위치가 아래로 더 내려가 강한 바람에도 찌탑이 기울어지는 현상이 현저하게 줄고 최상의 안정감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달리 말하면 선박의 하부(물에 잠겨있는 부위) 깊이가 깊을수록 선박의 롤링현상이 적다는것과 유사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buoyancy body part 400, as the buoyancy body part 400 is moved upward, the position of the weight is further lowered,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the best feeling of stability. In other words, it is a similar concept to the fact that the deeper the depth of the lower part of the ship (the part immersed in water), the less rolling phenomenon of the ship.

특히, 낚시를 함에 있어, 모든 사람의 개성과 취향이 다른 점을 고려하여 개개인의 취향에 맞춰 찌톱의 높이를 조절해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면서도 낚시의 재미를 한층 더 배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personality and taste of all people in fishing, the height of the fishing pawl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individual taste, so that it is possible to double the fun of fishing easily.

나아가, 도3 및 도6을 참조하면,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420) 및 타단부(440)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둘레조절홈(422,4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둘레조절홈(422,442)은 그 간격이 외력에 의해 조절됨으로써 상기 부력몸체부(400)가 막대부(200)에 밀착 및 밀착해제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다.3 and 6, the one end 420 and the other end 440 of the buoyancy body may have circumferential adjustment grooves 422 and 44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circumferential adjusting grooves 422 and 442 are adjust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buoyancy body 400 can be easily and tightly contacted to and disengaged from the rod 200.

이때, 상기 제1몸체고정부(600) 및 상기 제2몸체고정부(800)의 내부 내주면은 테이퍼지게 형성되어져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420) 및 타단부(440)에 각각 나사결합된다. 즉, 나사결합시 테이퍼진 내주면에 의해 상기 둘레조절홈(422,442)의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상기 부력몸체부(400)가 막대부(200)에 밀착 및 밀착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rst body fixing part 600 and the second body fixing part 800 have inn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tapered and screwed to the one end part 420 and the other end part 440 of the buoyancy body part, respectively. That is, the spacing of the circumferential adjusting grooves 422 and 442 is adjust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apered at the time of screwing, so that the buoyancy body 400 can be closely contacted to and disengaged from the rod 200.

한편, 상기 막대부(200)의 둘레를 이격 수용하여 상기 걸림턱(220)과 상기 부력몸체부(400)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식별구(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식별구(300)는 바닷물과 동일한 비중 또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적어도 일부가 수면에 뜬 상태를 유지한다.The identification part 300 may further include an identification part 300 configured to receive the periphery of the bar part 200 and to move between the engagement part 220 and the buoyancy body part 400, (300)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specific gravity or relatively low specific gravity as the sea water, so that at least a part thereof remains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여기서, 상기 부력몸체부(400)가 완전히 수면에 잠기는 잠수찌 형태로 운영될 경우, 상기 식별구(300)는 원거리 투척이 용이하도록 중량과 부피가 어느 정도 나가도록 형성된 고부력의 구멍찌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식별구(300)가 고부력으로 이루어지더라도 막대부(200)와는 이격된 상태로 수면에서 별도로 유동하므로 상기 막대부(200)에 부력에 대한 간섭을 주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식별구(300)는 어신과 관련된 부력이 아니며, 상기 막대부(200)와 대비하여 시인성을 더 확보하거나 원거리 투척을 위한 부력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식별구(300)는 상기 막대부(200)의 색상과는 대비되는 명시성이 높은 색상이 도포되어 원거리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buoyancy body part 400 is operated in the form of a submerged bucket that is completely submerged in the water, the identification hole 300 may be in the form of a high-strength hole such that the weight and the volume are somewhat outward . Thus, even if the identification hole 300 is made to have a high force,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buoyancy of the rod 200 because the rod is separated from the rod 200 separately from the water surface. That is, the identification port 300 is not a buoyancy related to a fish-eye, and is a buoyancy for securing more visibility compared to the bar 200 or throwing it at a distanc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dentification hole 300 is coated with a color having a high contrast, which is in contrast to the color of the rod 200, so that the remote visibility is maximized.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부력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찌톱이 수면 위에서 부상하는 높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낚시 상황에 따라 안정적인 채비 운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uoyancy body portion, the height at which the tooth surface is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can be easily chang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stable prepar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shing situation.

둘째, 부력몸체부의 높이 조절시 막대부의 일 지점에 부력몸체부가 움직이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부력의 낚시채비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when the height of the buoyancy body part is adjusted, the buoyancy body part can be firmly fixed to one point of the rod part without mov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n accurate buoyancy fishing ability.

셋째, 부력몸체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몸체고정부가 고무제의 스토퍼 방식이 아닌 나사결합되는 구조로써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바닷물에서도 장기간 성능 저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the body fixing part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buoyancy body part is not a stopper method of rubber but a screwed structure, which improves durability and can be used in seawater for a long time without deterioration in performance.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e claims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막대부
220: 걸림턱
240: 고리
300: 식별구
400: 부력몸체부
420: 부력몸체부 일단부
422: 둘레조절홈
440: 부력몸체부 타단부
442: 둘레조절홈
600: 제1몸체고정부
800: 제2몸체고정부
200:
220: hanging jaw
240: Ring
300: Identification hole
400: buoyancy body part
420: buoyancy body part one end part
422: circumferential adjustment groove
440: Buffering body end
442: circumferential adjustment groove
600: first body fixing portion
800: Second body fixing part

Claims (5)

낚시줄의 원줄 및 목줄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유동하거나 낚시줄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결속되는 낚시용 막대찌에 있어서,
일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낚시줄이 통과하는 고리가 마련되는 일자형의 막대부;
상기 막대부의 둘레를 이격 수용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막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바닷물에 대해 일정 비중을 가지는 부력몸체부; 및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부력몸체부를 상기 막대부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1몸체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
Claims [1] A fishing rod for fishing, which is bound to be fixed along at least one of a raw line and a neck line of a fishing line or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fishing line,
A rod-shaped bar having a hook at one end thereof and a hook through which the fishing line passes at the other end;
A buoyancy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 receivi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d portion and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portion and having a specific gravity with respect to seawater; And
A first body fixing part coupled to one end of the buoyancy body to fix the buoyancy body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od;
Wherein the buoyancy rod is easily adjustable in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몸체부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부력몸체부를 고정을 보강하는 제2몸체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body fixing uni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uoyancy body to reinforce the buoyancy body;
The fishing r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상기 막대부의 둘레를 이격 수용하되, 외력에 의해 상기 막대부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며,
상기 제1몸체고정부 및 상기 제2몸체고정부는 각각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가압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상기 막대부에 밀착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uoyancy body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the periphery of the rod portion and are tightly or tightly released from the rod portion by an external force,
Wherein the first body fixing part and the second body fixing part are respectively coupled to pres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uoyancy body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uoyancy body are closely fixed to the rod, Eas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rod fishing r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둘레조절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고정부 및 상기 제2몸체고정부의 내부 내주면은 테이퍼지게 형성되어져 상기 부력몸체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
The method of claim 3,
A circumferential groove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uoyancy body,
Wherein the inner body of the first body fixing part and the second body fixing part are tapered and screw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uoyancy body part,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부의 둘레를 이격 수용하여 상기 걸림턱과 상기 부력몸체부 사이를 이동하며, 바닷물과 동일한 비중 또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가지는 식별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dentification hole having a specific gravity equal to or lower than a specific gravity of the seawater, the gravity point being spaced apart from the periphery of the rod portion and moving between the retaining jaw and the buoyancy body portion;
The fishing r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KR1020160097830A 2016-08-01 2016-08-01 Stick float KR201800144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830A KR20180014491A (en) 2016-08-01 2016-08-01 Stick flo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830A KR20180014491A (en) 2016-08-01 2016-08-01 Stick flo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491A true KR20180014491A (en) 2018-02-09

Family

ID=6119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830A KR20180014491A (en) 2016-08-01 2016-08-01 Stick flo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449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321A1 (en) * 2018-06-22 2019-12-26 권태화 Fish bite detecting float using tilt sensor
KR20200062908A (en) * 2018-11-27 2020-06-04 김동찬 fishing float
KR200493782Y1 (en) * 2020-11-09 2021-06-04 허영웅 Weight of holder type for self-reliance fishing floa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321A1 (en) * 2018-06-22 2019-12-26 권태화 Fish bite detecting float using tilt sensor
KR20200062908A (en) * 2018-11-27 2020-06-04 김동찬 fishing float
KR200493782Y1 (en) * 2020-11-09 2021-06-04 허영웅 Weight of holder type for self-reliance fishing flo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4491A (en) Stick float
US6009659A (en) Flip float
US20090229535A1 (en) Buoyant toy
KR101882086B1 (en) Double fishing float easy to measure the depth of water and possible to control buoyancy minutely
US5852894A (en) Flip float
US20100031554A1 (en) Plastic fishing cork
KR100964289B1 (en) Fishing float
JP3154598U (en) Fishing for day and night fishing
KR101753967B1 (en) Multifunction float
KR101776406B1 (en) Multifunction float
CN209660229U (en) A kind of fishing water surface mark buoy
KR100896006B1 (en) Hole Type Fishing Float
KR101776407B1 (en) Multifunction float
KR101022490B1 (en) Float
JP2018078843A (en) Fishing rod float facilitating position adjustment of buoyancy tool
KR102229119B1 (en) Fishing float
KR200370603Y1 (en) Stick type holl float
JP2003061531A (en) Float and lure
CN220402813U (en) Fishing light-mouth far-throwing balance weight water surface mark buoy
CN215302483U (en) Automatic bottom finding type buoy
KR20170022321A (en) Multifunction stick float
US20160000058A1 (en) Tattle Tail Bobber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249303Y1 (en) Freshwater float having height varible auxiliary bady
KR200381287Y1 (en) Hollow Stick Float
KR200299112Y1 (en) float that have duplex separa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