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110B1 - 혼방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혼방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110B1
KR101035110B1 KR1020100071758A KR20100071758A KR101035110B1 KR 101035110 B1 KR101035110 B1 KR 101035110B1 KR 1020100071758 A KR1020100071758 A KR 1020100071758A KR 20100071758 A KR20100071758 A KR 20100071758A KR 101035110 B1 KR101035110 B1 KR 101035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fiber
conveyor belt
needle
pu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욱
Original Assignee
송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욱 filed Critical 송욱
Priority to KR1020100071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02Card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66Natural fibre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H1/425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를 이용하여 우모(羽毛)의 비산을 방지하고 우모가 전면에 고르게 분포되면서 니들펀칭으로 우모를 견고히 얽힌 조직을 이루는 혼방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며, 상기 혼방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카딩 머시인에서 공급되는 화이버에 정전기를 형성하는 단계와, 정전기가 형성된 상기 화이버 상부의 전면에 개면된 우모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정전기에 의하여 일면에 우모가 결합된 상기 화이버를 제1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서 일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소정 폭을 왕복하여 상기 화이버를 하부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방향과 수직으로 구동되는 제2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하부로 공급되는 상기 화이버의 왕복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화이버를 이송하여 왕복 공급되는 상기 화이버를 지그재그로 겹치게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된 화이버를 압축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1회 이상 압축을 수행하는 단계와, 압축된 복수 겹의 상기 화이버를 프리펀칭기에서 제1 니들로 펀칭하여 불규칙하게 얽히는 상기 화이버로 상기 우모를 고정하면서 웹 형태를 안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프리펀칭기에서의 니들 펀칭 속도 보다 빠른 속도로 메인펀칭기에서 상기 화이버를 제2 니들로 펀칭하여서 웹의 결합을 더욱 강화하여 화이버의 배열이 3차원적인 랜덤 구조를 갖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혼방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fabricating a blended 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혼방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기를 이용하여 우모(羽毛)의 비산을 방지하고 우모가 전면에 고르게 분포되면서 니들펀칭으로 견고히 얽힌 조직을 이루는 혼방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충돌이나 침몰과 같은 해양 사고의 경우 오일이 누출되어서 해양에 심각한 오염을 야기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해양에 오일이 누출되는 경우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중화제를 살포하거나 흡착포를 투척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중 중화제 살포는 해양에 누출된 오일을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오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를 방지하는 효과는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으나 화학적으로 결합된 오일과 중화제를 분리할 수 없어서 매립 또는 소각과 같은 후처리가 필요하며 그에 따른 이차적인 오염이 초래될 수 있다.
그리고, 오일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반적인 흡착포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레이온, 비니온(이를 1차 가공한 제품을 '화이버'라 함) 등을 소재로 만든 부직포가 이용된다. 종래의 부직포는 흡유력이 약하기 때문에 오일 제거를 위하여 많은 양을 투척하여야 하고, 이로 인한 이차적인 처리 비용이 엄청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부직포의 흡유력을 개선하고자 섬유 소재의 흡착포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섬유 흡착포는 흡유(吸油)력 뿐만 아니라 흡수(吸水)력도 좋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며 회수가 지연되면 그대로 해양에 가라앉기 때문에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수성을 가지면서 흡유력을 갖는 우모(조류 털)를 흡착포에 이용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즉, 부직포 포대에 우모를 넣어서 투척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우모는 흡유력이 뛰어나지만 물에 뜨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종래의 흡착포에서 발생하던 문제점들이 상당 부분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우모는 흡유하게 되면 중량이 무거워지며 자체 무게 때문에 부직포 포대 내에서 흡유한 우모가 쏠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심한 경우 쏠림에 의한 하중 때문에 부직포 포대가 터져서 해양이 이차적으로 오염되거나 또는 부직포 포대의 박음질 틈새로 우모가 흘러나와서 해양이 이차적으로 오염되는 문제점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우모의 우수한 흡유력을 이용하면서 해양의 이차적인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흡착포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두 겹의 부직포 사이에 우모를 도포한 후 니들 펀칭으로 화이버를 엉키도록 하여 우모를 고정하여 흡착포로 제작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혼방 부직포(Blended non-woven fabric, 混紡不織布)는 혼방 직물(Blended yarn fabric, 混紡織物)처럼 2종류 이상의 섬유로 혼방사를 사용하여 방적, 제직, 편성 순서를 거치지 않고 원사를 직접 직물 상태로 만든 것을 말한다.
혼방 부직포는 직물이나 편물과 달리 천에 방향성이 없고 풀리지 않으며 함기성이 크기 때문에 가볍고 우모(羽毛)로 인하여 일반 부직포 보다 월등하게 보온성이 풍부하며 흡유성이 양호한 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두 겹의 부직포 사이에 우모를 도포하여 니들펀칭으로 혼방 부직포를 제작하여 흡착포로 사용하는 경우, 우모가 부직포의 변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에 집중적으로 우모를 도포할 수 밖에 없고 우모가 부직포에 적층되는 단계에서 우모의 비산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서 상술한 방법으로 제작된 혼방 부직포를 흡착포로 사용하는 경우 중앙에 집중적으로 도포한 우모의 밀집 현상에 의하여 오일 흡수 기능이 저하된다. 그리고 중앙에 밀집된 우모가 오일을 함유하면 상부와 하부에서 엉킨 상태의 부직포(또는 화이버)가 오일을 함유한 우모의 하중에 의하여 양 끝단이 벌어질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오일을 함유한 우모가 외부로 쏟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작 단계에서 우모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견고하게 우모와 화이버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우모가 골고루 분포하여서 우모가 오일을 함유하더라도 쏠림을 방지할 수 있는 혼방 부직포의 제조 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혼방 부직포의 제조 과정에서 우모를 공급할 때 우모가 비산되는 것을 정전기를 이용하여 방지할 수 있는 혼방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우모를 화이버의 전면에 고르게 도포하며 여러 겹으로 성형한 후 화이버를 니들펀칭함으로써, 흡착포로 사용되는 경우 내부의 흡유한 우모가 쏠리는 현상이 억제되고 따라서 흡착포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혼방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방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카딩 머시인에서 공급되는 화이버에 정전기를 형성하는 단계와, 정전기가 형성된 상기 화이버 상부의 전면에 개면된 우모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정전기에 의하여 일면에 우모가 결합된 상기 화이버를 제1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서 일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소정 폭을 왕복하여 상기 화이버를 하부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방향과 수직으로 구동되는 제2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하부로 공급되는 상기 화이버의 왕복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화이버를 이송하여 왕복 공급되는 상기 화이버를 지그재그로 겹치게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된 화이버를 압축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1회 이상 압축을 수행하는 단계와, 압축된 복수 겹의 상기 화이버를 프리펀칭기에서 제1 니들로 펀칭하여 불규칙하게 얽히는 상기 화이버로 상기 우모를 고정하면서 웹 형태를 안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프리펀칭기에서의 니들 펀칭 속도 보다 빠른 속도로 메인펀칭기에서 상기 화이버를 제2 니들로 펀칭하여서 웹의 결합을 더욱 강화하여 화이버의 배열이 3차원적인 랜덤 구조를 갖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화이버는 양면에 펠트를 형성하는 깊이로 상기 니들펀칭을 수행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화이버는 7 내지 9 겹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방 부직포 제조 시스템은, 화이버를 공급하는 카딩 머시인과, 상기 카딩 머시인에서 공급되는 화이버에 정전기를 형성하여 공급하는 정전기 장치와, 상기 정전기 장치에서 공급되는 상기 화이버를 수평으로 이송하며 소정 폭 왕복하여 상기 화이버를 하부로 공급하는 제1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송되는 정전기가 형성된 상기 화이버 상부에 우모를 개면하여 공급하는 우모 공급 장치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와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에서 공급되는 상기 화이버를 지그재그로 겹치게 성형한 후 성형된 화이버를 적어도 1회 이상 압축하는 성형 장치와, 성형된 상기 화이버를 제1 니들로 펀칭하여 불규칙하게 얽히는 상기 화이버로 상기 우모를 고정하면서 웹 형태를 안정시키는 프리펀칭기 및 상기 프리펀칭기에서의 니들 펀칭 속도 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화이버를 제2 니들로 펀칭하여서 웹의 결합을 더욱 강화하여 화이버의 배열이 3차원적인 랜덤 구조를 갖도록 하는 메인펀칭기를 포함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화이버가 7 내지 9 겹으로 겹쳐지도록 이송 속도가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혼방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하여 우모를 화이버에 공급할 때 비산되는 것이 정전기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정전기에 의하여 제품화 과정에서 우모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이버 상에 고르게 분포되고 여러 겹으로 겹친 상태에서 니들펀칭에 의하여 화이버가 얽힘으로써, 흡착포로 이용하는 경우 흡유한 우모가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유한 우모의 하중에 의해서 흡착포가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방 부직포 제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성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니들 펀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혼방 부직포의 롤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혼방 부직포의 매트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혼방 부직포의 리본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방 부직포 제조 방법 및 시스템은 정전기를 이용하여 우모의 비산을 방지하고 개면된 우모를 화이버의 전면에 고르게 분포시키며 화이버를 여러 겹으로 성형하고 여러 겹의 화이버를 니들펀칭하여 우모를 견고히 고정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되는 혼방 부직포는 수많은 화이버의 엉킴 조직 속에 우모가 고르게 흩어져서 포집되어 고정되며 우모가 뭉쳐지거나 쏠리지 않으면서 흡유력(吸油力)을 갖는다.
즉, 정전기를 이용하여 우모의 비산을 방지하면서 화이버 상에 개면된 우모를 고르게 분포시키고, 정전기에 의하여 우모가 결합된 화이버를 여러 겹으로 겹치게 성형하여 니들펀칭함으로써 전면에 우모가 고르게 분포하고 엉킨 화이버에 의하여 견고하게 우모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혼방 부직포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의 시스템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혼방 부직포 제조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공급되는 화이버에 정전기를 형성하고, 정전기가 형성된 화이버 상에 개면된 우모를 전면에 고르게 공급하며, 우모가 포집된 화이버를 여러 겹으로 성형하고, 성형된 화이버를 니들펀칭하는 순으로 혼방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우모의 공급을 위하여 우모 개면기(1, Bale Breaker)와 오토 피더(Auto Feeder)(2)를 포함하는 우모 공급 장치가 구성되고, 화이버의 공급을 위하여 카딩 머시인(Carding Machine)(5)이 구성되며, 화이버에 정전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정전기 장치(6)가 구성된다.
여기에서 우모 개면기(1)는 절단된 가벼운 우모를 연속으로 펼쳐서 공급하는 장치이며, 오토 피더(2)는 우모 개면기(1)에서 개면되어 공급되는 우모를 피딩하여 후술되는 제1 컨베이어 벨트(3) 상부에 우모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카딩 머시인(5)은 개면되어 공급되는 화이버를 해면하여 정확한 두께로 공급하는 장치이며, 정전기 장치(6)는 자신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화이버에 정전기가 생성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정전기 장치(6)는 통상적으로 이송되는 화이버를 대전시킴으로써 전하가 축적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카딩 머신인(5)으로 개면된 화이버가 연속하여 공급되며, 정전기 장치(6)를 통과한 화이버는 대전에 의한 정전기를 갖는다. 화이버는 정전기 장치(6)를 통과한 후 제1 컨베이어 벨트(3) 상에 실려서 이송되며, 제1 컨베이어 벨트(3)는 정전기 장치(6)에서 공급되는 화이버를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이송하도록 설치되고, 제1 컨베이어 벨트(3)로 화이버가 공급되는 위치의 상부에 오토 피더(2)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제1 컨베이어 벨트(3)로 진입한 화이버 상부에 오토 피더(2)에서 공급되는 개면된 우모가 적층되며, 우모는 정전기에 의하여 비산되지 않고 포집되어서 화이버 상에 적층된다. 즉, 정전기에 의하여 우모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우모는 화이버의 전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오토 피더(2)에 의하여 화이버 상부로 공급되며 화이버의 전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공급량 및 피딩 두께가 설정된다.
한편, 제1 컨베이어 벨트(3)는 화이버 공급을 위하여 벨트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화이버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전체가 왕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 벨트(3)가 왕복됨에 따라서 제1 컨베이어 벨트(3)는 벨트의 회전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화이버의 위치가 제1 컨베이어 벨트(3)가 왕복되는 폭만큼 가변된다. 즉, 정전기를 이용하여 상부의 우모와 결합된 화이버는 소정 폭 왕복되면서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컨베이어 벨트(7)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제1 컨베이어 벨트(3) 자체가 화이버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왕복됨으로써 화이버가 하부로 공급되는 위치가 소정 폭 왕복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제1 컨베이어 벨트(3)를 고정한 상태에서 화이버가 소정 폭 왕복되면서 하부로 공급하는 구성이 제시될 수 있다. 즉, 고정된 제1 컨베이어 벨트(3)에 이어져서 화이버를 공급받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장치가 왕복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화이버의 위치가 왕복되는 상기 장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삭제
여기에서 제2 컨베이어 벨트(7)는 제1 컨베이어 벨트(3)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컨베이어 벨트(3)가 화이버를 이송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화이버를 이송하도록 설치된다.
소정 폭으로 왕복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공급되는 화이버는 제2 컨베이어 벨트(7)가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지그재그로 여러 겹 쌓이면서 성형된다.
전면에 고르게 우모가 포집된 화이버가 소정 폭을 왕복하면서 제1 컨베이어 벨트(3)의 이송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송을 수행하는 제2 컨베이어 벨트(7) 상부에 공급됨으로써 화이버는 지그재그로 여러 겹으로 제2 컨베이어 벨트(7) 상에 성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이버가 왕복되면서 지그재그로 여러 겹 쌓임에 따라서 화이버 상부에 결합된 우모는 성형되는 전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그리고, 화이버가 여러 겹으로 쌓임에 따라서 화이버는 후술되는 니들펀칭에 의하여 우모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베이어 벨트(7)는 이송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소정 폭 왕복하면서 공급되는 화이버가 쌓이는 겹 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대체로 7겹 내지 9겹 정도로 화이버가 겹쳐지도록 이송 속도가 조절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제2 컨베이어 벨트(7)는 성형 장치에 포함되며, 성형 장치는 후술되는 니들펀칭을 수행하기 전에 한차례 또는 두차례 이상 화이버를 압축하는 압축 장치가 더 구성될 수 있다. 화이버는 압축 장치를 이용한 압축에 의하여 원하는 두께로 성형할 수 있으며, 압축 장치는 피딩 기능을 갖는 통상적인 롤러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2 컨베이어 벨트(7)의 이송 방향 단부에는 니들펀칭 장치(8)가 구성되며, 상술한 제2 컨베이어 벨트(7) 상부에서 지그재그로 겹쳐지면서 성형된 화이버가 니들펀칭 장치(8)로 공급된다.
니들펀칭 장치(8)는 여러 겹의 화이버를 펀칭하여서 화이버를 불규칙하게 얽어서 전면에 고르게 분포된 우모를 견고히 고정한다. 니들펀칭 장치(8)는 화이버가 이면으로 돌출됨으로써 펠트를 이루도록 니들펀칭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니들펀칭은 여러 종류의 니들을 이용하여 적층된 섬유층의 표면 또는 이면에서 섬유층을 펀칭하고, 니들의 반복적인 상하운동에 의해 섬유층이 기계적으로 서로 얽히면서 일정한 두께와 섬유 밀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니들펀칭 장치(8)는 프리펀칭기(8a)와 메인펀칭기(8b)로 구분되는 다단의 펀칭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리펀칭기(8a)는 혼방부직포의 웹 형태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메인펀칭기(8b)는 완성펀칭기로서 니들의 펀칭 속도가 더욱 빨라지면서 웹의 결합을 더욱 강화하여 화이버의 배열이 3차원적인 랜덤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메인펀칭기(8b)에 의하여 펠트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8c는 프리펀칭기 또는 메인펀칭기가 구성될 수 있다.
니들펀칭 장치(8)의 니들펀칭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니들펀칭을 위한 니들(30)이 고정되는 니들 빔(32)은 보통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데 그 진폭(S)은(stroke length) 기계에 따라 30 인치, 35 인치, 40 인치, 60인치, 75 인치 등 다른 수치를 갖는다.
니들 빔(32)은 일정한 위치에서 상하 왕복 운동을 하기 때문에 니들(30)의 침 깊이를 변화시킬 때는 베드 플레이트(Bed plate)(34)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침 심도(Depth)를 얻을 수 있다.
베드 플레이트(34)는 상부의 스트리퍼 플레이트(Stripper plate)(36)와 하부의 바텀 플레이트(38)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스트리퍼 플레이트(36)와 바텀 플레이트(38) 사이로 성형된 화이버가 공급된다. 도 3에서 부호 40은 롤러로 구성되는 압축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며, 압축 장치(40)는 니들펀칭을 위한 피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침 심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위치도 상하로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니들펀칭 장치(8)에 채용되는 니들(30)은 다양하며, 니들(30)은 게이지(Gauge), 바브의 위치, 바브의 수, 바브의 형상, 니들의 길이에 따라 종류가 구분될 수 있으며 목적하는 혼방 부직포의 용도에 따라 적합한 것이 선택되어 니들펀칭 장치(8)에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화이버를 얽히게 하는 니들은 웹을 결합하기 위한 펠트용 니들(Felting needle)과 여러 가지의 무늬 및 모양을 내기 위한(주로 카펫용) 구조형 니들(Structuring needle)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펠트용 니들은 전통적인 니들과, 원추형 니들(Conical needle) 그리고 바브(Barb)가 니들의 안쪽으로 음각되어 섬유의 손상을 최소화한 다이 프레스드 니들(Die pressed needle)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전통적인 니들은 바브(Barb)의 돌출 정도에 따라 통상적으로 킥업 타입(Kick up type), 노 킥업 타입(No kick up type) 및 하이 킥업 타입(High kick up type)으로 구분될 수 있고, 다이 프레스드 니들(Die pressed needle)은 유니버셜 타입(Universial type), 서퍼 타입(Supper type) 및 멀티 바브 타입(Multi barb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니들펀칭 장치(8)에서 니들펀칭된 성형된 화이버는 절단기(9)로 공급되어서 제단됨으로써 제품화될 수 있다.
절단기(9)에서 제단되어 제품화되는 혼방 부직포는 도 4와 같이 롤로 제작되거나 도 5와 같이 매트로 제작되거나 또는 도 6과 같이 리본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서 흡착포 또는 기타의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여 제조되는 혼방 부직포는 불규칙하게 얽힌 화이버로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며, 섬유의 방향성이 없고 내부의 불규칙한 배열로 인하여 방향에 따른 성질 차이가 거의 없으며 90퍼센트 이상의 함기율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혼방 부직포가 오일을 제거하기 위한 흡착포로 이용되는 경우, 여러 겹으로 성형되어 펀칭된 화이버가 불규칙하게 얽힌 상태로 우모를 견고히 지지하기 때문에 우모가 흡유한 상태에서도 하중에 의하여 쏠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오일의 흡수 기능이 개선되고 흡유한 우모의 하중에 의하여 부직포가 벌어져서 오일을 함유한 우모가 외부로 쏟아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혼방 부직포의 제작 과정에서 정전기를 갖는 화이버 상으로 우모가 공급되기 때문에 정전기에 의하여 우모가 포집됨으로써 우모가 비산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결국, 혼방 부직포의 화이버 속에 견고히 자리잡은 우모가 충분히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우모가 견고히 고정됨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혼방 부직포는 오일 제거를 위한 흡착포로 이용되는 경우 재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여 제조되는 혼방 부직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우모의 기능성이 최대한 보장될 수 있기 때문에 흡착포로 사용되는 경우 적은 양으로 보다 많은 오일을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여 제조되는 혼방 부직포는 함기율이 높아서 높은 보온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화훼단지 및 시설작물(비닐하우스) 보온용으로 사용하면 난방 효율이 향상될 수 있어서, 난방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여 제조되는 혼방 부직포는 재단 및 봉제가 용이하고 형체안정성이 좋아서 수축이 적고 수분을 흡수하지 않고 표면에 작게 도포만 되는 성질을 가지므로 의류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쉽게 마르고 다림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1 : 우모 개면기 2 : 오토 피더
3 : 제1 컨베이어 벨트 5 : 카딩 머시인
6 : 정전기 장치 7 : 제2 컨베이어 벨트
8 : 니들펀칭 장치 8a : 프리 펀칭기
8b : 메인 펀칭기 9 : 절단기
30 : 니들 32 : 니들 빔
34 : 베드 플레이트 36 : 스트리퍼 플레이트
38 : 바텀 플레이트 40 : 압축 장치

Claims (7)

  1. 카딩 머시인에서 공급되는 화이버에 정전기를 형성하는 단계;
    정전기가 형성된 상기 화이버 상부의 전면에 개면된 우모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정전기에 의하여 일면에 우모가 결합된 상기 화이버를 제1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서 일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소정 폭을 왕복하여 상기 화이버를 하부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방향과 수직으로 구동되는 제2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하부로 공급되는 상기 화이버의 왕복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화이버를 이송하여 왕복 공급되는 상기 화이버를 지그재그로 겹치게 성형하는 단계;
    성형된 화이버를 압축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1회 이상 압축을 수행하는 단계;
    압축된 복수 겹의 상기 화이버를 프리펀칭기에서 제1 니들로 펀칭하여 불규칙하게 얽히는 상기 화이버로 상기 우모를 고정하면서 웹 형태를 안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프리펀칭기에서의 니들 펀칭 속도 보다 빠른 속도로 메인펀칭기에서 상기 화이버를 제2 니들로 펀칭하여서 웹의 결합을 더욱 강화하여 화이버의 배열이 3차원적인 랜덤 구조를 갖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방 부직포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화이버를 공급하는 카딩 머시인;
    상기 카딩 머시인에서 공급되는 화이버에 정전기를 형성하여 공급하는 정전기 장치;
    상기 정전기 장치에서 공급되는 상기 화이버를 수평으로 이송하며 소정 폭 왕복하여 상기 화이버를 하부로 공급하는 제1 컨베이어 벨트;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송되는 정전기가 형성된 상기 화이버 상부에 우모를 개면하여 공급하는 우모 공급 장치;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와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에서 공급되는 상기 화이버를 지그재그로 겹치게 성형한 후, 성형된 화이버를 적어도 1회 이상 압축하는 성형 장치;
    성형된 복수 겹의 상기 화이버를 제1 니들로 펀칭하여 불규칙하게 얽히는 상기 화이버로 상기 우모를 고정하면서 웹 형태를 안정시키는 프리펀칭기; 및
    상기 프리펀칭기에서의 니들 펀칭 속도 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화이버를 제2 니들로 펀칭하여서 웹의 결합을 더욱 강화하여 화이버의 배열이 3차원적인 랜덤 구조를 갖도록 하는 메인펀칭기를 포함하는 혼방 부직포 제조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100071758A 2010-07-26 2010-07-26 혼방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KR101035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758A KR101035110B1 (ko) 2010-07-26 2010-07-26 혼방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758A KR101035110B1 (ko) 2010-07-26 2010-07-26 혼방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110B1 true KR101035110B1 (ko) 2011-05-19

Family

ID=4436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758A KR101035110B1 (ko) 2010-07-26 2010-07-26 혼방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1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980B1 (ko) 2011-09-29 2012-04-25 최광은 침구용 목화솜 제조장치
CN106222810A (zh) * 2016-08-10 2016-12-14 广德天运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双层高效除杂梳理机
WO2018124566A1 (ko) * 2016-12-27 2018-07-0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카펫 기포지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US10221504B2 (en) 2015-05-28 2019-03-0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blend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and kapok fiber using static electricity and method for blend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and kapok fiber using 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910A (ko) * 1995-09-28 1997-04-28 박명호 인조가죽 제조방법 및 인조가죽
KR20000055072A (ko) * 1999-02-03 2000-09-05 호춘기 우모를 주재로 하는 기름흡착재의 제조장치
JP2006104589A (ja) * 2004-10-01 2006-04-20 Fujikoo:Kk エレクトレットフェルトの製造方法
EP1887121A1 (en) 2003-10-27 2008-02-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of nonwoven web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910A (ko) * 1995-09-28 1997-04-28 박명호 인조가죽 제조방법 및 인조가죽
KR20000055072A (ko) * 1999-02-03 2000-09-05 호춘기 우모를 주재로 하는 기름흡착재의 제조장치
EP1887121A1 (en) 2003-10-27 2008-02-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of nonwoven webs
JP2006104589A (ja) * 2004-10-01 2006-04-20 Fujikoo:Kk エレクトレットフェルト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980B1 (ko) 2011-09-29 2012-04-25 최광은 침구용 목화솜 제조장치
US10221504B2 (en) 2015-05-28 2019-03-0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blend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and kapok fiber using static electricity and method for blend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and kapok fiber using it
CN106222810A (zh) * 2016-08-10 2016-12-14 广德天运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双层高效除杂梳理机
WO2018124566A1 (ko) * 2016-12-27 2018-07-0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카펫 기포지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CN109563663A (zh) * 2016-12-27 2019-04-02 可隆工业株式会社 用于地毯泡沫背衬的无纺布的制造方法
CN109563663B (zh) * 2016-12-27 2021-08-24 可隆工业株式会社 用于地毯泡沫背衬的无纺布的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6099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гидравлически переплетенного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RU2520935C2 (ru) Проницаемая лент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нетка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US3392079A (en) Papermakers' felt
EP0878579B1 (en) Papermaking felt
KR101035110B1 (ko) 혼방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CN102797115B (zh) 用于含加筋层的厚型非织造材料的针刺加固方法
US3428506A (en) Method of producing a needled,nonwoven fibrous structure
JPH03220359A (ja) テキスタイルベロアウエブの製造方法
CN107532352B (zh) 对纤维进行加固和结构化以成为非织造物的方法和设备
CN1646754A (zh) 扣件拉环材料及其制造、以及采用该材料的产品
JP6632579B2 (ja) 凹凸パターン付き不織布の製造方法
EP1735489B1 (en) Method of producing a nonwoven material
JP2523268B2 (ja) 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SE516427C2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framställning av nonwovenmaterial samt användning av ett nät vid förfarandet
KR101519466B1 (ko) 재생 아라미드 니들펀칭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0918075B1 (ko) 우모 직물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우모 직물을 이용한 오일 처리 물품
KR20160125756A (ko) 부직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786555B1 (ko) 완충재와 완충재가 수용되는 포켓을 형성하는 물결형상 중심재를 포함하는 완충 레이어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완충재와 완충재가 수용되는 포켓을 형성하는 물결형상 중심재를 포함하는 완충 레이어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장치
KR100807268B1 (ko) 저신도 고강도의 부직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868689B1 (ko)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
KR102576862B1 (ko) 오일 흡착포 및 그 제조방법
JP4326899B2 (ja) 不織布の製造方法
KR20070031414A (ko) 입체 편물 및 심재 및 적층체
JP4326897B2 (ja) 繊維ウエブ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繊維ウエブを用いた不織布の製造方法
KR20120040904A (ko) 식생매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