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089B1 -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089B1
KR101035089B1 KR1020100122631A KR20100122631A KR101035089B1 KR 101035089 B1 KR101035089 B1 KR 101035089B1 KR 1020100122631 A KR1020100122631 A KR 1020100122631A KR 20100122631 A KR20100122631 A KR 20100122631A KR 101035089 B1 KR101035089 B1 KR 101035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earing
wear
hip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빅터 리
Original Assignee
빅터 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터 리 filed Critical 빅터 리
Priority to KR1020100122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089B1/ko
Priority to PCT/KR2011/009220 priority patent/WO2012074293A2/ko
Priority to JP2013541922A priority patent/JP2014501579A/ja
Priority to US13/880,425 priority patent/US20130210591A1/en
Priority to AU2011337417A priority patent/AU201133741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63B21/00043Exercising devices consisting of a pair of user interfaces connected by flexible elements, e.g. two handles connected by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1Replaceable resistance units of different strengths, e.g. for swapp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5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by increasing or reducing the number of resistanc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63B21/025Spiral springs with turns lying substantially in plan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59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worn by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왼쪽 허벅지에 착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착용밴드; 오른쪽 허벅지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착용밴드; 및 제1착용밴드와 제2착용밴드를 연결하고, 탄성변형되는 연결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PORTABLE HEALTH APPARATUS CAPABLE OF HIP-UP EXERCISE}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운동을 즐길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하고자하는 운동방식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수려한 외모에 대한 인간의 욕구는 비단 최근의 일만은 아니며, 보다 아름답고 건강한 모습을 갖기 위한 노력이 끊이지 않고 있다. 다만, 최근에는 아름다운 얼굴에 못지않게 아름다운 몸매 또한 주목받는 시대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다이어트 내지는 몸매관리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체의 외형적 형상, 즉 몸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균형이라고 할 수 있다. 키가 작거나, 혹은 날씬하지 않더라도 균형있는 몸매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외형적인 미감을 전달할 수 있으며, 더욱 날씬하게 보이거나 상대적으로 키가 커보이게 된다. 이러한 몸매의 균형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부위로는 바로 허리라인과 엉덩이 라인을 꼽을 수 있다. 적당히 힙업(hip up)되어 있고, 볼륨감이 있는 엉덩이는 다리를 길어보이게 하며 날씬해 보이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30대부터는 근육 량의 감소가 서서히 이루어지며, 60대를 넘어서면서 근육은 거의 쇠퇴하게 되는데, 꾸준한 운동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둔부의 근육은 급격히 감소하여 축 처지는 형태의 엉덩이를 갖기 십상이다.
탄력 있고 아름다운 라인을 연출하는 엉덩이를 갖기 위해서는 엉덩이를 이루는 근육의 효과적인 운동이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운동을 힙업(hip up)운동으로 칭하도록 한다. 힙업을 위해서는 엉덩이의 근육을 수축해 줄 수 있는 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은데, 일상적인 생활에서 이러한 운동이 수반되는 것을 기대하기는 곤란하며, 특히 육체적인 활동량이 현저히 감소된 현대의 생활에서는 엉덩이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이루어지는 운동이 반복되는 것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힙업을 위한 별도의 운동 내지는 이를 위한 장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가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간단한 형태의 운동기구로서, 힙업(hip up)운동이 효율적이고 또 집중적으로, 그리고 적합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보조해 주는 기구는 사실상 찾기가 곤란하다. 다만, 통상 헬스운동 시설이 갖추어진 헬스장에서는 이러한 힙업운동이 가능한 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나, 일반 가정에서 쓰기에는 그 크기가 너무 크고, 가격 또한 매우 고가이며, 운동 방법도 단조로운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서 가능한 운동 포지션이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형태로 이루어져 일반 가정에서 쉽게 사용될 수 있으며, 효과적인 힙업운동이 구현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95556호는, 힙업운동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높이가 조절되는 프레임 중앙에 슬라이딩판을 설치하고 슬라이딩판에 마찰되면서 어깨로 밀어 올리고 복원력으로 내리는 슬라이더를 구비하여 운동자가 슬라이딩판 앞에서 기립한 자세로 슬라이더를 일정범위로 승강시키는 동작을 하여 운동을 반복할수 있게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구성과, 힙업운동기는 프레임의 중앙에 슬라이딩판이 설치된 프레임과 슬라이딩판에 마찰되도록 슬라이더가 설치되어 슬라이더 내측에 마찰로울러가구비되고 마찰로울러에는 회전기어가 구비되어 슬라이더 내부에 장치한 저항기어에 치합되고 저항기어축과 저항기어 사이에 코일스프링이 장치되어 슬라이더의 승강운동에 따라 스프링이 긴장되고 헤이되며 전면에 등판과 어깨걸이를 구비하고 저항기어축의 양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프레임의 가이더에 결합하는 슬라이더와 의자 및 발받침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과 슬라이딩판과 슬라리더의 마찰로울러는 톱니형 구성으로 서로 마찰되게 한 것을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95556호는, 이러한 힙업운동기에 의하면, 히프근육과 허벅지의 근육이 중점적으로 발달하여 히프가 처지지 않고 아름다운 모습을 유지하는 힙업 운동효과를 낼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95556호에 따른 힙업운동기는, 그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어 제조가 곤란하여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일반 가정에서 쉽게 구입하여 사용하는 데는 무리가 있을 수밖에 없다.
또한, 상기 힙업운동기에 따른 운동 방법은, 극히 단조로운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으며, 가능한 운동 포지션이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 및 요구에 적합한 형태의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할 수 없고, 이러한 운동기구에 따른 지극히 단조로운 움직임 만으로 둔부 근육의 충분한 운동량을 기대하기는 매우 곤란하며, 결국 집중적인 힙업운동은 기대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운동을 즐길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힙업운동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생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하고자하는 운동방식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힙업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는, 왼쪽 허벅지에 착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착용밴드; 오른쪽 허벅지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착용밴드; 및 상기 제1착용밴드와 제2착용밴드를 연결하고, 탄성변형되는 연결밴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는, 허벅지 둘레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밴드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가 허벅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를 각각 체결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의 외측에 결합되고, 일측 단부에 타측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체결고리가 형성되고, 외측면 일측에 제1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수단에 인접하여 상기 제1결합수단과 결합하는 제2결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의 외측에 결합되고, 내측면 일측에 제1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외측면 일측에 상기 제1결합수단과 결합하는 제2결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밴드에 연결되는 착용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에서, 상기 연결밴드는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는, 허벅지에 착용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무릎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무릎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릎부는 상기 착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릎부 외측에 결합되고, 다리를 감을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며, 상기 무릎부가 다리에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무릎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에서,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는, 외피부와, 상기 외피부 내측에 결합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밴드는, 탄성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길이조정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탈부착 가능한 커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기본적으로 허벅지에 착용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밴드로 이루어져, 한쪽 다리를 지탱하고 다른 한쪽 다리를 움직이면서 힙업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힙업운동을 할 수 있으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둘째, 제1착용밴드와 제2착용밴드가 허벅지를 감싸며 착용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이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형성하여 허벅지에 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셋째, 체결부에 제1결합수단과 제2결합수단이 형성되도록 하여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의 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체결부에 체결고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착용밴드 등을 허벅지에 착용하는 경우 한 손으로 사이즈를 조절하며 착용할 수 있다.
넷째, 체결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밴드에 연결되는 착용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제1착용밴드의 착용위치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연결밴드의 연결지점이 힙업운동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특히 힙업운동시 슬라이딩 되는 착용고리에 의하여 허벅지에 뒤틀림이 작용하지 않아 안정된 자세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섯째, 연결밴드가 제1착용밴드 등에서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의 착용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연결밴드의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신체 사이즈 및 운동 조건에 적합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섯째,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를 형성함에 있어서, 착용부와 무릎부로 나뉘어 이루어지도록 하여 무릎을 보호할 수 있으며, 무릎을 지면에 지탱하면서 운동하는 경우에 별도의 도구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도 무릎에 통증이 가해지지 않으며 안정된 자세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곱째, 무릎부가 착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무릎부가 필요없는 경우에 이를 분리한 상태에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무릎부만을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A-A에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의 연결밴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의 착용밴드를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는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장치로서, 신체 중 둔부(臀部)를 형성하는 근육의 수축운동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는 기본적으로, 제1착용밴드(100), 제2착용밴드(200) 및 연결밴드(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착용밴드(100) 및 제2착용밴드(200)가 허벅지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착용밴드(100)와 제2착용밴드(200)는 각각 한쪽 다리의 허벅지에 착용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밴드(300)는 상기 제1착용밴드(100)와 제2착용밴드(200)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착용밴드(100)와 제2착용밴드(200)는 서로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특별히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제1착용밴드(100)와 제2착용밴드(200)에 대한 설명은 함께하도록 한다.
제1·2착용밴드(100, 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벅지에 착용되는 착용부(110, 210)와 상기 착용부(110, 210)의 하측에 형성되어 무릎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무릎부(120, 22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는, 허벅지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는 상기 무릎부(120, 220)가 제거된 형태, 즉 상기 착용부(110, 210)만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힙업운동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운동방법 중 하나인, 무릎을 지면에 지지한 형태의 운동이 이루어져야 함을 고려하여, 상기 무릎부(120, 220)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는 각각 왼쪽과 오른쪽 허벅지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착용부(110, 210)가 허벅지에 착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는 허벅지 둘레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착용감 및 운동시의 편의를 고려하여 허벅지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는 넓고 긴 형태의 밴드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30, 230)가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130, 230)는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가 허벅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며,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의 착용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130, 230)는, 상기 착용부(110, 210)의 좌우 두 부분에 나뉘어, 단추, 스냅단추, 후크(hook), 벨크로(Velcr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착용부(110, 210)가 허벅지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양 단부가 서로 결합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체결부(130, 230)는, 상기 착용부(110, 210)가 허벅지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띠 형태의 벨크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체결부(130, 230)에 의하여, 상기 착용부(110, 210)는 허벅지 둘레 전체에서 고른 결합력으로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운동시 상기 착용부(110, 210)가 분리되거나 느슨해지는 일 없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허벅지에 착용가능하도록 형성된 상기 제1착용밴드(100) 및 제2착용밴드(200)와 이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밴드(300)로 이루어져, 한쪽 다리를 지탱하고 다른 한쪽 다리를 움직이면서 힙업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힙업운동을 할 수 있으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착용밴드(100)와 제2착용밴드(200)가 허벅지를 감싸며 착용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이를 고정하는 상기 체결부(130, 230)를 형성하여 허벅지에 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에서, 상기 체결부(130, 230)는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의 길이보다 충분히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의 외측에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체결부(130, 230)는 긴 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의 착용부(110, 210)의 외측에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130, 230)의 외측면 일측 단부에서 반대쪽 방향으로 제1결합수단(132, 232)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수단(132, 232)과 연속하여 제2결합수단(133, 2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수단(132, 232)과 제2결합수단(133, 233)은 서로 결합되는 벨크로(Velcro)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130, 230)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수단(132, 232)이 형성된 상기 체결부(130, 230)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체결고리(131, 23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130, 230)가 허벅지를 감싸는 형태로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수단(132, 232)이 형성된 상기 체결부(130, 230)의 단부가 상기 체결고리(131, 231)를 통과한 후, 다시 반대 방향으로 감기게 되어 상기 제1결합수단(132, 232)과 제2결합수단(133, 233)이 서로 결합되게 된다.
즉, 상기 체결부(130, 230)의 단부가 상기 체결고리(131, 231)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130, 230)의 단부를 당겨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가 허벅지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수단(132, 232)과 제2결합수단(133, 233)이 서로 결합되도록 밀착시키게 된다.
이처럼, 상기 체결부(130, 230)에 상기 제1결합수단(132, 232)과 제2결합수단(133, 233)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1착용밴드(100) 및 제2착용밴드(200)의 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상기 체결부(130, 230)에 상기 체결고리(131, 231)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를 허벅지에 착용하는 경우 한 손으로 사이즈를 조절하며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수단(132, 232)은 상기 체결부(130, 230)의 단부에서부터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체결부(130, 230)의 단부가 분리됨이 없이 상기 체결부(130, 230)의 다른 부분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의 착용시 외형상 깔끔하고, 운동시 방해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는, 도 3a에 도시된 형태와 달리, 상기 체결부(130, 230)의 내측면 일측에 제1결합수단(132, 232)이 형성되고, 외측면 일측에는 상기 제1결합수단(132, 232)이 결합되는 제2결합수단(133, 233)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즉, 이 경우 상기 체결부(130, 230)의 단부는 상기 체결고리(131, 231)에 끼워져 반대로 감기는 것이 아니고, 허벅지를 한 방향으로 감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수단(132, 232)과 제2결합수단(133, 233)이 결합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의 편의와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도 3a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에서 상기 체결부(130, 230)에는, 상기 체결부(130, 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착용고리(140, 240)가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130, 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의 착용부(110, 210)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착용부(110, 210)보다 충분히 길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체결부(130, 230)의 내측면 전체가, 상기 착용부(110, 21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은 아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130, 2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착용고리(140, 2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130, 230)의 내측면 일부분이 상기 착용부(110, 210)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착용고리(140, 240)는 상기 체결부(130, 23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며, 아울러 상기 착용고리(140, 240)의 분리가 방지된다.
상기 착용고리(140, 240)는 상기 연결밴드(300)에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밴드(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상기 연결밴드(300)는 고무줄 또는 고무밴드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 단부에는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 특히 상기 착용고리(140, 240)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고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밴드(300)는 길이 조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밴드(300)는 탄성변형 되지 않은 상태에서 길이 조정되도록 형성되며, 길이조정이 가능한 통상의 가방끈, 밸트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밴드(300)는 사용자의 운동량, 방식에 따라, 다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에 연결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밴드(300)가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에 연결되는 지점은, 하나의 특정한 지점으로 정하여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착용부(110, 210)의 길이 방향에서 임의의 지점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밴드(300)가 상기 착용부(110, 210)에 연결되는 지점은, 허벅지의 내측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운동상 편하며, 또한 상기 연결밴드(300)는 비교적 짧게 형성되어야 운동시 충분한 저항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밴드(300)를 비교적 짧게 형성하더라도, 상기 연결밴드(300)의 연결지점이 허벅지의 내측으로 정확히 맞추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를 허벅지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착용 후 상기 연결밴드(300)의 연결지점을 허벅지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밴드(300)가 상기 착용부(110, 210)에 연결되는 지점이 고정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운동시 다리의 반복적인 이동에 의하여 상기 연결밴드(300)는 상기 착용부(110, 210)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반복적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착용부(110, 210)를 통하여 허벅지에 토션(torsion)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러한 작용은 운동을 불편하게 할 뿐 아니라 안정된 자세의 유지가 곤란하여 효과적인 힙업운동을 기대하기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130, 230)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상기 착용고리(140, 240)에 의하여 상기 연결밴드(300)의 이동시에도 상기 착용부(110, 210)의 뒤틀림이 없도록 하고 있으며 안정된 자세의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는, 상기 체결부(130, 23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밴드(300)에 연결되는 상기 착용고리(140, 24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의 착용 위치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연결밴드(300)의 연결지점이 힙업운동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특히 힙업 운동시 슬라이딩 되는 상기 착용고리(140, 240)에 의하여 허벅지에 뒤틀림이 작용하지 않아 안정된 자세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밴드(300)가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에서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제1착용밴드(100) 및 제2착용밴드(200)의 착용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상기 연결밴드(300)의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신체 사이즈 및 운동 조건에 적합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에서,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는 허벅지에 착용되는 착용부(110, 210)와 상기 착용부(110, 210)의 하측에 형성되고 무릎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무릎부(120, 2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무릎부(120, 220)는 상기 착용부(110, 210)에서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무릎부(120, 220)와 착용부(110, 210)의 결합 및 분리는 벨크로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는, 기본적으로 허벅지에 착용하여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특히, 힙업운동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운동방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무릎부(120, 220)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즉, 효과적인 힙업 운동의 일 방법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무릎을 지면에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쪽 다리를 반복하여 움직이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의 운동이 이루어져야 함을 고려하여, 상기 무릎부(120, 220)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무릎부(120, 220)에는 일측에 결합되어, 다리를 감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무릎밴드(121, 221)가 형성된다. 상기 무릎밴드(121, 221)는 운동시 상기 무릎부(120, 220)가 다리에서 이격됨이 없이 안정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릎밴드(121, 221)는 일체로 이루어진 원형의 고무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양자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릎밴드(121, 221)가 고무 등의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탄력변형되게 되어 착용시 또는 운동시 상기 무릎밴드(121, 221)에 의해 다리가 강하게 조여지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릎밴드(121,221)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탈부착의 용이를 위하여, 벨크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에서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는, 상기 체결부(130, 230)의 조임 또는 상기 연결밴드(300)에 따른 허벅지의 압박을 방지하고, 힙업 운동시 허벅지의 안정된 움직임을 위하여,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비교적 두툼한 형태로 형성되며, 특히 외피부(100a, 200a)와, 상기 외피부(100a, 200a) 내측에 결합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100b, 200b)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완충부(100b, 200b)는 쿠션 형태로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에서는, 상기 제1착용밴드(100) 및 제2착용밴드(200)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110, 210)와 무릎부(120, 220)로 나뉘어 이루어지도록 하여 무릎을 보호할 수 있으며, 무릎을 지면에 지탱하면서 운동하는 경우에 별도의 도구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도 무릎에 통증이 가해지지 않으며 안정된 자세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무릎부(120, 220)가 상기 착용부(110, 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무릎부(120, 220)가 필요없는 운동 자세 경우에 이를 분리한 상태에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릎부(120, 220)는 사용시 지면에 닿게 되는 부분으로서, 다른 부분에 비하여 쉽게 더러워질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무릎부(120, 220)만을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세탁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고 간이하게 세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의 연결밴드(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연결밴드(300)는, 탄성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길이조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도 7에서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밴드(300)는, 상기 제1착용밴드(100) 및 제2착용밴드(200)에 연결되기 위한 후크부(330)와, 후크부(330)에서 연결되는 연결부(340)와, 연결부(340)의 가운데에 형성되는 조정장치(3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정장치(350)는, 상기 연결부(340)의 일부가 수용되는 조정케이스(351)와 상기 조정케이스(351) 상단을 덮는 조정캡(352), 그리고 상기 연결부(340)의 노출길이를 조정하는 조정바(3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정케이스(351)는 상기 연결부(340)가 감긴 상태에서 보관될 수 있도록 원형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연결부(340)가 인출되는 조정구멍(351a)이 형성된다. 도 7 상에서, 상기 조정장치(350) 좌측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340)은 상기 조정케이스(351) 외측면에 고정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조정장치(350) 우측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340)는 상기 조정케이스(351) 내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조정바(353)는, 상기 조정케이스(351) 내부에서 감긴 형태로 유지되는 상기 연결부(340)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조정캡(352)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조정캡(352)에는 상기 조정바(353)가 회동된 상태에서 수납될 수 있는 조정홈(352a)이 형성되는데, 상기 조정홈(352a)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어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조정바(35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조정홈(352a)은 상기 조정바(353)가 쉽게 인출되지 않도록,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조정케이스(351) 내부에서 감긴 형태로 유지되는 상기 연결부(340)를 필요한 만큼 인출한 후 상기 조정바(353) 및 조정홈(352a)을 이용하여 연결부(34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의 착용밴드(100,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1착용밴드(100) 및 제2착용밴드(20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탈부착 가능한 커버부(100c,200c);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100c,200c)는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벨크로(V)와 같은 부착수단이 형성되어 탈부착가능하게 이루어지는데, 특히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100c,200c)는, 통상의 타올과 같이, 수분흡수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100c,200c)는,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외부와 접촉하면서 오염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100c,200c)만을 분리하여 세탁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 전체를 세탁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버부(100c,200c)는 상기 제1·2착용밴드(100, 20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사용자로부터의 땀이나 때를 상기 커버부(100c,200c)에 의하여 흡수하도록 하여, 상기 커버부(100c,200c)만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의 사용형태에 대하여 간단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기본적인 사용법이 도시되어 있으며, '운동법 1'로 정한다. 운동법 1에서, 사용자는 양쪽 무릎이 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운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한쪽 무릎은 지면에 놓인 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쪽 다리는 후방 상측으로 이동을 반복하며 운동을 수행한다. 즉, 한쪽 다리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한쪽 다리는 상기 연결밴드(300)가 당겨지도록 뒤로 움직이면서 둔부근육의 수축운동이 반복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에서는, 상기 무릎부(120, 22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쿠션 장비가 없더라도 어디서나 용이하게 상기 운동법 1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는 다른 형태의 운동법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운동법 2'로 정한다. 운동법 2는 지면에 선 자세로 행하는 것이며, 역시 한쪽 다리는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고 다른 쪽 다리를 후방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연결밴드(300)에 의하여 둔부근육의 수축운동이 반복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운동을 요하는 다리를 뒤로 이동시켜 쭉 펴면서 운동을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에서는, 상기 연결밴드(300)가 상기 착용고리(140, 240)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반복적인 움직임에 의하더라도 상기 착용부(110, 210)에 뒤틀림이 작용하지 않게 되며, 안정된 자세의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과 도 12에는 또 다른 형태의 운동법이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 '운동법 3', '운동법 4'로 정한다. 운동법 3과 4는 모두 기립된 상태에서 행하여 진다.
'운동법 3'에서는 다리를 측면 방향으로 벌리는 형태로 반복운동을 수행하고, '운동법 4'에서는 한쪽 다리를 앞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연결밴드(300)를 인장시킨다. 운동법 3 또는 운동법 4의 어느 경우에나, 상기 체결부(130, 23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상기 착용고리(140, 240)에 의하여 허벅지에 뒤틀림이 작용하지 않게 되며, 안정된 자세의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운동법 1 내지 4는 현재까지 힙업운동을 위하여 알려진 가장 최적화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1)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발명이며,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조건, 성향 등에 따라 적합한 동작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1 :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100 : 제1착용밴드
100a : 외피부 100b : 완충부
100c : 커버부
110 : 착용부 120 : 무릎부
121 : 무릎밴드
130 : 착용부
131 : 체결고리 132 : 제1결합수단
133 : 제2결합수단
140 : 착용고리
200 : 제2착용밴드
200a : 외피부 200b : 완충부
200c : 커버부
210 : 착용부
220 : 무릎부 221 : 무릎밴드
230 : 체결부
231 : 체결고리 232 : 제1결합수단
233 : 제2결합수단
240 : 착용고리
300 : 연결밴드

Claims (12)

  1. 왼쪽 허벅지에 착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착용밴드;
    오른쪽 허벅지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착용밴드; 및
    상기 제1착용밴드와 제2착용밴드를 연결하고, 탄성변형되는 연결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는,
    허벅지에 착용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무릎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무릎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는, 허벅지 둘레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밴드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가 허벅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를 각각 체결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의 외측에 결합되고,
    일측 단부에 타측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체결고리가 형성되고, 외측면 일측에 제1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수단에 인접하여 상기 제1결합수단과 결합하는 제2결합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의 외측에 결합되고,
    내측면 일측에 제1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외측면 일측에 상기 제1결합수단과 결합하는 제2결합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밴드에 연결되는 착용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는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7. 삭제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부는 상기 착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부 외측에 결합되고, 다리를 감을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며, 상기 무릎부가 다리에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무릎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는,
    외피부와, 상기 외피부 내측에 결합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는, 탄성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길이조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용밴드 및 제2착용밴드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탈부착 가능한 커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KR1020100122631A 2010-12-03 2010-12-03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KR101035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631A KR101035089B1 (ko) 2010-12-03 2010-12-03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PCT/KR2011/009220 WO2012074293A2 (ko) 2010-12-03 2011-12-02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JP2013541922A JP2014501579A (ja) 2010-12-03 2011-12-02 携帯用ヒップアップ運動器具
US13/880,425 US20130210591A1 (en) 2010-12-03 2011-12-02 Portable apparatus for hip-up exercise
AU2011337417A AU2011337417B2 (en) 2010-12-03 2011-12-02 Portable apparatus for hip-up exerc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631A KR101035089B1 (ko) 2010-12-03 2010-12-03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089B1 true KR101035089B1 (ko) 2011-05-19

Family

ID=44366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631A KR101035089B1 (ko) 2010-12-03 2010-12-03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10591A1 (ko)
JP (1) JP2014501579A (ko)
KR (1) KR101035089B1 (ko)
AU (1) AU2011337417B2 (ko)
WO (1) WO2012074293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070Y1 (ko) 2013-05-14 2014-08-19 김주형 밴드형 운동기구
KR101927638B1 (ko) * 2017-09-20 2018-12-10 김보르미 밴드를 이용한 힙업기구
WO2020028692A1 (en) * 2018-08-01 2020-02-06 Fitworks, Inc. Dba Crossover Symmetry Exercise device and methods of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2190B2 (en) * 2012-06-04 2015-01-13 Derrick Moore Resistance band-based leg strengthening and training exercise equipment
US20150183067A1 (en) * 2013-12-31 2015-07-02 Lesley Ruskau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Friction Surface o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bject
US20150196789A1 (en) * 2014-01-12 2015-07-16 Russell Thomas Whitt Hamstrong prosthetic hamstring/ post chain brace
CN108652941A (zh) * 2018-05-16 2018-10-16 蚌埠市龙子湖区天鉴理疗服务部 一种理疗用小腿肌肉按摩装置
US11291878B2 (en) * 2019-03-27 2022-04-05 Michael Carosella Quad exercis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774A (ko) * 2002-11-25 2004-06-02 이재복 저층용 승강기
JP2006271918A (ja) * 2005-03-25 2006-10-12 Kunihiko Konno 筋力鍛錬具
KR200445774Y1 (ko) * 2009-04-30 2009-09-01 조용연 손가락 밴드
KR20090124898A (ko) * 2008-05-29 2009-12-03 이종목 조립 및 분리형 밴드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69829A (en) * 1917-03-09 1918-06-18 Joseph A Lumley Knee pad and protector.
US4088326A (en) * 1976-08-17 1978-05-09 Bifulco John M Knee holder for golfers
US4120052A (en) * 1977-10-12 1978-10-17 Royal Textile Mills, Inc. Cushioned protector
US4180261A (en) * 1978-06-23 1979-12-25 Kolka Leigh E Exercising device for runners
US4706957A (en) * 1986-05-16 1987-11-17 Jackson Charleston W Leg movement restraining device for training athletes
US5465736A (en) * 1987-10-14 1995-11-14 Restorative Care Of America Incorporated Method and means for preventing skin abrasions for patients having legs substantially locked in juxtaposition
US4815731A (en) * 1987-10-23 1989-03-28 Fitness Quest, Inc. Exercise device
US5176600A (en) * 1991-08-19 1993-01-05 Wilkinson William T Aerobic resistance exercise garment
US5573487A (en) * 1994-03-01 1996-11-12 Wallner; Frank X. Method and apparatus for exercising the legs
US5490826A (en) * 1994-09-30 1996-02-13 Rose; Leighton K. Legwork strengthening and training device
US5800371A (en) * 1997-06-06 1998-09-01 Kevin Robbins Sportsman's knee brace
JP3887103B2 (ja) * 1998-06-22 2007-02-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膝当てパッド
US6258014B1 (en) * 1999-08-06 2001-07-10 Linda Lee Karecki Exercise kit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194710Y1 (ko) * 1999-11-25 2000-09-01 류상하 하체근육 단련용 기능복
US20030045408A1 (en) * 2001-09-05 2003-03-06 Monica Seles Exercise device
US6884202B2 (en) * 2002-08-29 2005-04-26 Stacy E. Erwin Exercise device
US6913583B2 (en) * 2003-06-19 2005-07-05 Creations By B J H, Llc Orthopedic device allows kneeling without contacting knee
KR200330606Y1 (ko) * 2003-08-01 2003-10-17 이동기 하체 운동기구
JP2007239158A (ja) * 2006-03-10 2007-09-20 Dm Shokai:Kk 膝関節用サポーターとその製造方法
US7608026B1 (en) * 2008-02-08 2009-10-27 Jesse Nicassio Device for strengthening, training, and rehabilitating isolated muscle groups using elastic resistance elements
US20120258844A1 (en) * 2011-04-05 2012-10-11 Petrone Charles M Method and Apparatus for Athletic Train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774A (ko) * 2002-11-25 2004-06-02 이재복 저층용 승강기
JP2006271918A (ja) * 2005-03-25 2006-10-12 Kunihiko Konno 筋力鍛錬具
KR20090124898A (ko) * 2008-05-29 2009-12-03 이종목 조립 및 분리형 밴드 운동기구
KR200445774Y1 (ko) * 2009-04-30 2009-09-01 조용연 손가락 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070Y1 (ko) 2013-05-14 2014-08-19 김주형 밴드형 운동기구
KR101927638B1 (ko) * 2017-09-20 2018-12-10 김보르미 밴드를 이용한 힙업기구
WO2020028692A1 (en) * 2018-08-01 2020-02-06 Fitworks, Inc. Dba Crossover Symmetry Exercise device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1337417B2 (en) 2014-09-25
AU2011337417A1 (en) 2013-05-02
US20130210591A1 (en) 2013-08-15
WO2012074293A2 (ko) 2012-06-07
JP2014501579A (ja) 2014-01-23
WO2012074293A3 (ko)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089B1 (ko) 휴대용 힙업 운동기구
KR101009710B1 (ko) 힙업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
US6837834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6036626A (en) Adjustable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5129647A (en) Elastic resistance exerciser secured at the waist
US5507707A (en) Isokinetic cervical exercise device
WO2001010253A1 (en) Exercise kit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07143035A2 (en) Abdominal exercise chair with flexible back bar and rotating seat
US20040053755A1 (en) Power walker
US20200230456A1 (en) Resistance band cover
KR20210071299A (ko) 조립식 통합형 폼롤러
US6063012A (en) Portable multi-use exercise device
US4690402A (en) Tensile exercise device
KR102376666B1 (ko) 허리 지지 교정벨트
US20130079202A1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CN208552954U (zh) 弹力带健身衣
KR20230160161A (ko) 척추 이완용 의료기구
KR200470707Y1 (ko) 손 운동기구
KR102357711B1 (ko)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
KR101437403B1 (ko) 전신 운동기구
JP3179944U (ja) 股関節サポータ
CN214679988U (zh) 腰部运动保护装置
US20100248914A1 (en) Exercising Device
CN218740039U (zh) 一种警校训练用负重装置
US10213637B1 (en) Wearable and detachable exercise access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