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403B1 - 전신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전신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403B1
KR101437403B1 KR1020130047589A KR20130047589A KR101437403B1 KR 101437403 B1 KR101437403 B1 KR 101437403B1 KR 1020130047589 A KR1020130047589 A KR 1020130047589A KR 20130047589 A KR20130047589 A KR 20130047589A KR 101437403 B1 KR101437403 B1 KR 101437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waist
connection
r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현석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47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5Details of the rope or band, e.g. shape or colour co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착용구 및 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신축성있는 연결끈을 이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한 운동효과를 극대화 시킴과 동시에 하반신의 대퇴부나 상반신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종합적 전신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신 운동기구{EXERCISING INSTRUMENT FOR WHOLE BODY}
본 발명은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착용구 및 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신축성있는 연결끈을 이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한 운동효과를 극대화 시킴과 동시에 하반신의 대퇴부나 상반신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종합적 전신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태권도, 유도 같은 전신을 사용하는 운동에 있어서, 하체의 대퇴근이나 상체의 가슴근육은 폭발적인 힘을 발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하체와 상체를 단련하기 위해 수많은 운동법과 전신 강화를 위한 운동 기구는 개발되어 왔으나, 효율적이지 못하고 운동시 제한이 따르며 부상의 위험성도 높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2-0138375호는 허리디스크를 방지하기 위한 운동장치를 개시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더라도 상체를 지지할 별도의 견인수단, 고정봉, 사용자가 착용하는 옷에 추가적인 결합구조 등의 복잡한 구조를 요구하고 있고, 조끼를 착용하는 구조로 인하여 회전운동이 불가능 하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착용구 및 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신축성있는 연결끈을 이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한 운동효과를 극대화 시킴과 동시에 하반신의 대퇴부나 상반신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종합적 전신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허리 주위를 감싸는 허리착용구 및 허리착용구의 측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결끈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신 운동기구는 허리착용구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조절끈 및 허리착용구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조절끈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신 운동기구의 제1 조절끈은 허리착용구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이격된 지점에 연결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신 운동기구의 제2 조절끈은 허리착용구의 타단으로부터 일정 이격된 지점에 연결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신 운동기구는 제1 조절끈의 말단에 형성된 조절고리, 제2 조절끈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제1 접착부, 허리착용구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제2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제2 조절끈은 조절고리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접착부가 제1 접착부에 접착되도록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신 운동기구의 제1 접착부 및 제2 접착부는 벨크로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신 운동기구의 허리착용구는 내주면에 사용자의 허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패드가 결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신 운동기구의 제1 조절끈은 제1 조절끈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연결고리 및 제1 연결고리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신 운동기구의 제1 연결끈은 일단에 고리가 형성되어 있어, 제1 연결고리와 고리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신 운동기구의 제2 조절끈은 제2 조절끈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연결고리 및 제2 연결고리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신 운동기구의 제2 연결끈은 일단에 고리가 형성되어 있어, 제2 연결고리와 고리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신 운동기구의 연결끈은 양단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신 운동기구의 연결끈은 탄성재질로 이루어 진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신 운동기구는 연결끈의 주위를 감싸고, 주름형상으로 형성된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착용구 및 허리착용구와 연결되는 연결끈의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야외 또는 실내 등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허리에 밸트형식으로 착용하는 구조로 인하여, 직진운동뿐 아니라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에서 태권도의 돌려차기와 같은 회전동작이 가능하고, 회전동작 이후에도 사용자와 운동기구가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허리착용구의 양 말단에 별도의 조절끈이 결합되는 구조로 인하여, 착용하는 자의 허리 두께에 맞게 조절할 수 있고,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조절끈의 마모 시 조절끈부분만의 교체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허리착용구의 양단과 조절끈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 회전과 별도로 허리착용구가 움직일 수 있고, 사용자의 허리 회전운동 시에도 허리착용구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허리착용구에 접착부를 배치시켜 허리착용구의 길이를 각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고, 허리착용구가 사용자의 허리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하여 전신 운동시 발생될 부상의 위험률을 감소시켰다.
또한, 접착부를 벨크로 소재로 구성하여, 허리착용구의 길이조절의 편리성을 높이고, 전신 운동기구의 장기적인 사용에도 견고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허리착용구의 내주면에 보호패드를 장착하여, 사용자의 허리와 허리착용구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고 전신운동시 허리에 작용하는 힘을 최대한 분산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보호패드를 충격흡수 소재로 구성하여 더욱 하중을 분산시키고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전신운동 시 발생될 수 있는 부상의 위험률을 감소시켰다.
또한, 허리착용구의 외주면에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연결고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전신운동시 연결고리와 허리착용구가 별도로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연결고리의 독립적인 이동으로 발생될 수 있는 허리착용구의 길이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허리착용구와 복수개의 연결끈을 연결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허리착용구에 전달되는 힘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균형잡힌 전신운동이 가능하게 하여 비대칭 운동으로부터 발생되는 부상을 최소화 하고, 전신근육의 고른 발달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끈의 양말단에 고리가 형성하여, 운동의 각 목적에 따라 복수의 고리를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시키는 경우, 두명이상의 사용자가 서로 허리 착용구끼리 연결하여 운동하는 경우 또는 기둥에 고리로 고정시켜 스스로 운동하는 경우 등 다른 형태로 구조를 변형할 수 있다.
또한, 허리착용구를 조절끈과 조절고리를 이용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혼자 허리운동을 할 경우, 고정되는 기둥의 두께에 맞추어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기둥의 두께 제한없이 조절하여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결끈을 탄성소재로 구성하고, 연결끈 주위를 감싸는 보호커버를 주름지게 구성하여, 신축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전신운동 시 발휘될 수 있는 힘을 최대로 유도하여 운동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끈의 일정지점마다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표식을 해두어, 전신 운동시 연결끈이 신장됨에 따라 상기 표식을 확인하여 단계적인 운동을 시행할 수 있고, 운동정도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허리착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연결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운동기구의 사시도 및 착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운동기구의 사시도 및 착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운동기구의 사시도 및 착용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운동기구의 허리착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착용구(10)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벨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벨트 구조는 종래의 조끼와 같은 운동기구가 할 수 없었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회전운동에도 사용자와 분리되지 않는 효과를 발휘한다.
허리착용구(10)의 양 말단에 각각 조절끈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조절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허리 두께에 맞도록 허리착용구(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끈은 안전벨트의 소재 중 하나인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으며, 신축성을 가진 탄성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연결끈을 탄성소재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전신운동 시 발휘될 수 있는 힘을 최대로 유도시킬 수 있어, 전신운동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허리착용구(10)는 밴드형의 보호패드(30), 보호패드(30)의 외주면에 접착형성된 조절끈, 상기 조절끈의 일측 단부에 재봉형성된 고리로 구성되어 있다. 조절끈은 벨크로가 형성된 일면이 보호패드(30)의 외주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하여 벨크로가 형성되지 않은 타면이 보호패드(30)의 외주면에 접착되어 있다. 조절끈이 보호패드(30)와 접착된 부분을 제2 접착부(14)라 하고, 조절고리(15)를 감아서 벨크로가 형성된 부분이 보호패드를 향하도록 하는 부위를 제1 접착부(13)라 할 때, 제1 접착부(13)와 제2 접착부(14)는 서로 벨크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다시말해, 제1 접착부(13)는 보호패드(30)의 내주방향으로 조절끈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2 접착부(14)는 보호패드(30)의 외주방향으로 조절끈의 일면에 형성되며, 제1 접착부(13)와 제2 접착부(14)가 서로 벨크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벨크로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제1 접착부(13)와 제2 접착부(14)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고, 허리착용구(10)의 둘레길이를 사용자의 허리두께에 맞도록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착부를 벨크로 소재로 구성하여, 허리착용구의 길이조절의 편리성을 높이고, 전신 운동기구의 장기적인 사용에도 견고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절고리(15)가 재봉결합된 부분을 제1 조절끈(11), 벨크로가 일면에 형성된 타측을 제2 조절끈(12)이라 이하 명명하며, [도 1]과 같이 제1 조절끈(11)과 제2 조절끈(12)은 서로 다른 끈이 아닌 하나의 조절끈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지칭하는 명칭이다. 조절끈은 보호패드(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구조이나, [도 1]과 같이 보호패드(30)의 외주면 전부에 접합되지 않고 일부 영역이 분리되도록 결합되는 구조이다. 자세히는, 조절고리(15)가 재봉된 제1 조절끈(11)을 살펴보면 보호패드(30)의 일단부 외주면과 접합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벨크로가 형성된 제2 조절끈(12) 역시 보호패드(30)의 타단부 외주면과 접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점선표시는 보호패드(30)의 외주면 모두에 조절끈이 접합되지 않고, 보호패드(30)의 양단부 일정부분이 조절끈과 이격됨으로서 보호패드(30)의 양단부가 내주면을 향해 약간 구부려 움직일 수 있는 자유도가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표시한 것이다.
조절끈과 보호패드(30)의 양단부는 일정부분이 이격된 구조로써, 사용자의 운동시 허리착용구(10)와 독립된 운동이 가능하다. 일정 이격된 지점은 바람직하게는 보호패드(30)의 끝단으로부터 5~15cm 정도이며, 이는 사용자의 착용되는 허리에 고려되어 사이즈 별로 제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호패드의 양단부는 조절끈과 분리된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분리된 영역은 보호패드(30)의 끝단으로부터 5~15cm가 적합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운동시 사용자의 허리회전과 별도로 보호패드(30)가 움직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운동기구의 착용 상태에서 자유로운 회전 운동이 가능하고, 전신운동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유도가 증가된 운동이 가능하므로 특히, 태권도의 돌려차기 같은 운동 시 유리한 구조를 가진다.
제1 조절끈(11)의 말단에는 조절고리(15)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조절끈(12)의 말단이 조절고리(15)를 통과하여 폐구간을 형성하고, 벨크로 접착을 통해 조절끈의 둘레가 고정되는 것으로 보호패드(30)의 둘레길이를 조절 및 고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착용하는 자의 허리 두께에 맞게 조절할 수 있고,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조절끈의 마모 시 조절끈부분 만의 교체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제2 조절끈(12)의 외주면 일부에는 제1 접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허리착용구(10)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제2 접착부(14)와 접착 결합되기 위한 부위로, 제1 접착부(13) 또는 제2 접착부(14)는 바람직하게 벨크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조절끈(12)의 말단에 형성된 제1 접착부(13)는 제1 조절끈(11)의 말단에 형성된 조절고리(15)를 통과하여 허리착용부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제2 접착부(14)와 접착 결합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사용자는 제1 접착부(13)와 제2 접착부(14)를 용이하게 접착 및 분리시켜 허리착용구(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부(13) 및 제2 접착부(14)는 벨크로 소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벨크로결합으로 인해 접착부간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고, 허리착용구(10)가 사용자의 허리에 안정적으로 착용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 허리두께에 맞추어 허리착용구(10)를 착용시킬 수 있고, 운동시 발생될 수 있는 허리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착부를 벨크로 소재로 구성하여, 허리착용구의 길이조절의 편리성을 높이고, 전신 운동기구의 장기적인 사용에도 견고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허리착용구(10)의 내주면에는 사용자의 허리를 2중으로 보호하기 위해 보호패드(30)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호패드(3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쿠션인 폼(foa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허리와 허리착용구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운동시 허리에 인가되는 하중을 최대한 분산하고, 보호패드의 충격흡수 소재로 인해 전신운동 시 발생될 수 있는 부상의 위험률을 감소시켰다.
제1 조절끈(11)의 외주면에는 제1 연결고리(16)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연결고리(16)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제1 고정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고정부(18)는 제1 연결고리(16)와 결합되어 제1 연결고리(16)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18)는 상하를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홀에 제1 연결고리(16)이 결합된다. 제1 고정부(18)는 제1 연결고리(16)의 일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연결고리(16)는 제1 고정부(18)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서 움직이게 되므로, 제1 조절끈(11)의 위주면에 고정되어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회전운동시 제1 연결고리(16)가 허리착용부에 고정되어 연결끈(20)과 연결된 지점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연결끈(20)과 허리착용구(10)의 연결지점을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연결끈(20)에 힘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운동효과를 극대화 시킴과 동시에 회전 운동에 따른 부상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가진다.
다시 말해, 전신운동시 연결고리와 허리착용구가 별도로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연결고리의 독립적인 이동으로 발생될 수 있는 허리착용구의 길이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연결끈(21)의 일단에는 고리가 형성되어 있어 제1 조절끈(11)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연결고리(16)와 고리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는 연결끈(20)과 허리착용구(10)간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회전운동에도 연결끈(20)과 허리착용구(10)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즉, 허리착용구의 연결고리가 연결부의 말단에 형성된 고리와 고리결합으로 견고하게 연결되게 구성하여, 전신운동 시 연결끈과 허리착용구간 일부 자유로운 운동이 가능하게 유연성 있는 구조로 구성하여 부상의 위험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사용자는 야외뿐 아니라 실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즉, 장소에 제한이 없으며, 연결끈(20)의 양 말단에 고리가 형성되게 하여 한쪽을 기둥이나 벽 등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여 혼자서도 전신운동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연결끈의 사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끈(20)의 말단에는 허리착용대의 측면에 연결되는 고리(25)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끈(20)은 사용자로부터 힘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탄성재질(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신축성 있는 구성으로 인하여, 운동시 사용자의 힘을 최대한 유도하여 전신운동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과도한 운동에 따른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고 연결끈(20)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연결끈(20) 주위에 보호커버(24)를 감싸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보호커버(24)는 주름형상이 외주면에 형성하게 하여 연결끈(20)의 신축성을 증가시켰다.
다시 말해, 연결끈(20)을 탄성소재로 구성하고, 연결끈(20) 주위를 감싸는 보호커버(24)를 주름지게 구성하여, 신축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전신운동 시 작용되는 장력을 최대한 전달될 수 있게 하여, 운동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주름진 보호커버(24)에는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표식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전신운동시 연결끈(20)이 신장됨에 따라 사용자가 표식을 볼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단계적인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연결끈(20)의 양단에는 고리(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허리착용구(10)의 측면과 결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제1 연결끈(21)과 제2 연결끈(22)을 연결하여 연결끈(20)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연결끈(20)의 양말단에 고리(25)를 형성하여, 운동의 각 목적에 따라 복수의 고리를 서로 연결시키거나, 기둥에 고리로 고정시키는 등 다른 형태로 구조를 변형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또한, 2개의 전신 운동기구일 경우 혼자서 운동이 가능하다. 즉, 하나의 전신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다른 하나의 전신 운동기구는 기둥에 고정시키고, 양자를 연결끈(20)으로 연결하는 구조이다. 다시말해, 본 발명인 전신 운동기구의 허리착용구가 복수일 경우, 기둥이 있거나, 하나의 전신 운동기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물체가 존재한다면 혼자서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변형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는, 허리착용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연결고리에 제1 연결끈(21)과 제2 연결끈(22)을 모두 연결시킬 수 있어, 사용자는 2배의 탄성력으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고리결합으로 인하여 변형된 운동방식을 적용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써 실내 또는 실외에서 실시할 수 있는 융통성이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끈(21)과 제2 연결끈(22)을 고리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끈이 한 개일 때와 동일한 장력을 가지나, 길이를 증가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운동 목적에 맞추어 변형된 실시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연결끈을 연결시켰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연결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착용구(10)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연결고리(16)는 제1 연결끈(21)의 말단에 형성된 고리(25)와 연결되며, 연결지점은 사용자의 후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제1 연결끈(21)이 연결된 허리착용구(10)를 허리에 착용하게 될 경우, 제1 연결끈(21)과 허리착용구(10)와 연결지점은 사용자의 후면인 척추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1 연결끈(21)과 제1 연결고리(16)가 고리결합하는 구조로 구성하여 일정한 자유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자유도를 구비하여 유연성 있는 운동이 가능하고, 전신운동 시 발생할 부상의 위험을 최소화 하였다.
제1 연결끈(21)은 탄성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외부에 보호커버를 더 구비하여 연결끈의 내구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보호커버의 외면을 주름지게 구성하여 신축성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사용자는 발휘할 수 있는 힘을 최대로 연결끈에 인가시킬 수 있고, 전신 운동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허리착용구(10)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조절끈(12)은 조절고리(15)를 통과하여 제2 접착부(14)와 제1 접착부(13)가 접착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다시 말해, 허리착용구에 접착부를 배치시켜 허리착용구의 길이를 각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고, 허리착용구가 사용자의 허리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하여 전신 운동시 발생될 부상의 위험률을 감소시켰다.
허리착용구(10)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일정한 너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 실시형태는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허리운동시 복부와 허리착용구(10)가 닿는 면적을 넓혀 하중을 분산시키고자, 보호패드(30)의 앞면, 즉, 조절고리(15)의 반대편이 너비가 가장 넣은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운동기구의 간단한 구성으로 인하여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서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한 명이 착용하고 다른 한 명이 뒤에 연결끈(20) 말단을 잡아주는 형식으로 운동할 수 있고. 연결끈(20) 말단을 기둥 또는 벽 등에 고정시켜 혼자서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착용구(10)의 측면에는 제1 연결끈(21) 및 제2 연결끈(22)이 연결되며, 연결지점은 사용자의 후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제1 연결끈(21) 및 제2 연결끈(22)이 연결된 허리착용구(10)를 착용하게 될 경우, 허리착용구(10)에 제1 연결끈(21) 및 제2 연결끈(22)이 연결되어 있는 지점은 사용자의 척추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하나의 제1 연결고리(16)에 두 개의 제1 연결끈(21) 및 제2 연결끈(22)을 고리결합하여 운동을 실시할 경우, 사용자는 2배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근력강화 등 운동목적에 맞추어 연결끈(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연결끈만을 예시하였으나, 운동 목적에 따라 복수개의 연결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허리착용구(10)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조절끈(12)은 조절고리(15)를 통과하여 제2 접착부(14)와 제1 접착부(13)가 접착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다시 말해, 허리착용구에 접착부를 배치시켜 허리착용구의 길이를 각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고, 허리착용구가 사용자의 허리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하여 전신 운동시 발생될 부상의 위험률을 감소시켰다.
허리착용구(10)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일정한 너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 실시형태는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전신운동시 복부와 허리착용구(10)가 닿는 면적을 넓혀 하중을 분산시키고자, 보호패드(30)의 앞면, 즉, 조절고리(15)의 반대편이 너비가 가장 넣은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운동기구의 간단한 구성으로 인하여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서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한 명이 착용하고 다른 한 명이 뒤에 연결끈(20) 말단을 잡아주는 형식으로 운동할 수 있고. 연결끈(20) 말단을 기둥 또는 벽 등에 고정시켜 혼자서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착용구(10)의 측면에 제1 연결끈(21) 및 제2 연결끈(22)이 연결되며, 연결지점은 사용자의 후면에 위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1 연결끈(21) 및 제2 연결끈(22)이 연결된 허리착용구(10)를 착용하게 될 경우, 제1 연결끈(21) 및 제2 연결끈(22)과 허리착용구(10)와 연결지점은 사용자의 척추부분 주위에 위치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제1 연결고리(16)가 결합된 제1 고정부(18) 및 제2 연결고리(17)가 결합된 제2 고정부(19)는 허리착용구(10)의 착용시 사용자의 척추부위의 양측에 위치하게 된다.
허리착용구(10)에 있어서, 제1 조절끈(11)의 외주면에 제1 고정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조절끈(12)의 외주면에 제2 고정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부(18)에 제1 연결고리(16)의 일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제1 연결고리(16)가 제1 조절끈(11)의 외주면에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고정부(19)에 제2 연결고리(17)의 일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제2 연결고리(17)가 제2 조절끈(12)의 외주면에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고정부를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을 허리에 착용하고 전신 운동을 실시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부상의 위험을 최소화 하였다. 다시 말해, 허리착용구의 외주면에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연결고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허리운동시 연결고리와 허리착용구가 별도로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연결고리의 독립적인 이동으로 발생될 수 있는 허리착용구의 길이변동 및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조절끈(12)의 외주면에는 제2 연결고리(17)가 더 형성되어 있고, 제2 연결고리(17)는 제2 고정부(19)와 결합되어 제2 연결고리(17)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19)는 상하를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홀에 제2 연결고리(17)이 결합된다. 제2 고정부(19)는 제2 연결고리(17)의 일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연결고리(17)는 제2 고정부(19)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서 움직이게 되므로, 제2 조절끈(12)의 위주면에 고정되어 배치되게 된다.
제2 연결끈(22)의 일단에는 고리가 형성되어 있어 제2 조절끈(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연결고리(17)와 고리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는 연결끈(20)과 허리착용구(10)와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회전운동에도 연결끈(20)과 허리착용구(10)가 분리됨을 방지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허리회전운동시 제2 연결고리(17)가 허리착용부에 고정되어 연결끈(20)과의 연결지점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허리로부터 연결끈(20)에 효과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고, 전신운동효과를 극대화 시킴과 동시에 운동부상으로부터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제1 고정부(18)와 제2 고정부(19)를 이격되게 배치하여, 연결끈과 허리착용구의 결합지점도 이격되게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허리착용구에 전달되는 지점이 이격되고, 사용자의 허리에 미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연결고리간 일정 이격된 배치로 인해 사용자에게 가중될 힘을 균형있게 분산시킬 수 있고, 부상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연결끈(21)의 말단에 형성된 고리(25)는 제1 조절끈(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연결고리(16)와 고리결합을 한다. 또한, 제2 연결끈(22)의 말단에 형성된 고리(25)는 제2 조절끈(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연결고리(17)와 고리결합을 한다. 즉, 허리착용구의 연결고리가 연결부의 말단에 형성된 고리와 고리결합으로 견고하게 연결되게 구성하여, 전신운동 시 연결끈과 허리착용구간 일부 자유로운 운동이 가능하게 유연성 있는 구조로 구성하여 부상의 위험을 감소시켰다.
제1 연결고리(16)와 제2 연결고리(17)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이격 배치로 제1 연결끈(21) 및 제2 연결끈(22) 역시 이격된 지점에 연결지점을 가지며, 제1 연결끈(21)만 연결하여 운동할 때보다, 균형잡힌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끈(20)이 2개인 경우로 2배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할 수 있고, 단순히 2개의 연결끈(20)을 모두 하나의 제1 연결고리(16)로 연결하여 실시할 때보다, 균형있게 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허리착용구(10)와 복수개의 연결끈(21, 22)을 연결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허리착용구에 전달되는 힘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균형잡힌 전신운동이 가능하게 하여 비대칭 운동으로부터 발생하는 부상을 최소화 하고, 하체 및 상체근육의 고른 발달이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또한, 여러 사람이 허리착용구(10)를 착용하고, 각각 연결끈(20)으로 연결하여 운동을 실시 할 수도 있고, 하나의 허리착용구(10)를 착용한 한 사람과 2개의 연결끈을 각각 잡고 있는 두 사람을 한 조로 구성하여 전신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을 착용한 경우, 연결끈(20)과 제1 연결고리(16)는 사용자의 등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편의상 하나의 연결끈과 하나의 연결고리로 구성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예 및 운동의 목적에 따라 복수개의 연결끈 또는 복수개의 연결고리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개의 연결끈(20)을 허리착용구에 연결시킬 수 있고, 이러한 허리착용구를 허리에 장착하고, 연결끈(20)의 타단은 다른 사람이 잡는 방식으로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앞으로 가려는 직진운동을 하여 하반신, 특히 대퇴부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고, 상체의 가슴 및 복부근육을 단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전신 운동기구는 간단한 구성으로 인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실시할 수 있어 장소의 제한이 없으며, 운동 목적에 따라서는 연결끈(20)을 하나만 사용하거나, 두 개를 일직선으로 연장 연결하여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신운동기구가 벨트형식으로 구성되어 직진운동뿐 아니라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태권도의 돌려차기나 유도의 업어치기 같은 회전동작을 연습하는데 유리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끈(20)의 말단을 기둥(42)에 고정결합시키고 혼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제2 전신 운동기구(41)가 기둥(42)을 감싸 고정되어 있고, 연결끈이 제2 전신 운동기구(41)와 사용자가 착용하는 제1 전신 운동기구(40)사이를 연결하여, 사용자 혼자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연결끈의 양말단에 고리(25)를 형성하여, 운동의 각 목적에 따라 복수의 고리를 서로 연결시키거나, 기둥에 고리로 고정시키는 등 다른 형태로 구조를 변형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허리착용구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기둥(42)에 고정되게 결합할 수 있고, 각 사용자의 허리 높이에 맞추어 제2 전신 운동기구(4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신 운동기구(41)의 길이 조절방식 역시 접착부를 이용한 것으로, 기둥(42)의 각 둘레에 맞추어 적용할 수 있는 점에 융통성이 넓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기둥에 하나의 연결끈(20)을 예시로 들었으나, 두 개의 기둥에 각각 연결끈(20)을 고정하는 실시예3의 발명을 사용될 수 있고,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사용자가 서로를 연결하여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는 운동의 실시상태에 대한 평면도로, 각자 허리착용구를 허리에 착용하고, 연결끈(20)을 서로 연결하여, 각 사용자가 전진하거나 움직이는 방식으로 전신운동을 실시 할 수 있다.
연결끈(20)과 연결되는 연결고리(16, 17)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하여, 운동하는 사람의 전신에 작용하는 힘을 균형있게 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여러 사람의 허리착용구를 연결할 경우, 이를 위에서 보면 정 다각형 형상을 이루는 모습으로 운동을 실시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9는 세명이 서로를 연결하여 운동을 실시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운동의 목적에 따라 두명 또는 네명이 서로 연결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허리착용구 11: 제1 조절끈
12: 제2 조절끈 13: 제1 접착부
14: 제2 접착부 15: 조절고리
16: 제1 연결고리 17: 제2 연결고리
18: 제1 고정부 19: 제2 고정부
20: 연결끈 21: 제1 연결끈
22: 제2 연결끈 23: 탄성재질
24: 보호커버 25: 고리
30: 보호패드

Claims (15)

  1. 사용자의 허리 주위를 감싸는 허리착용구; 및
    양 끝단에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허리착용구의 측면에 연결된 탄성재질의 하나 이상의 연결끈을 포함하고,
    상기 허리착용구는,
    밴드형의 보호패드;
    상기 보호패드의 외주면에 접합되고 외주방향으로 밸크로가 형성되며, 일단에 조절고리가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조절고리를 통과하여 접어 폐구간을 형성하는 하나의 조절끈; 및
    상기 조절끈의 외주면에 재봉결합된 하나 이상의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끈의 연결고리는 상기 조절끈의 고리에 걸리고,
    상기 보호패드는 양단부에 상기 조절끈과 분리된 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끈은,
    상기 조절고리가 끝단에 재봉결합된 제1 조절끈; 및
    벨크로가 일면으로 형성된 제2 조절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영역은 상기 보호패드의 끝단으로부터 5~1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끈은,
    상기 보호패드의 내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 접착부;
    상기 보호패드의 외주방향으로 형성된 제2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조절고리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접착부에 접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 및 상기 제2 접착부는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7. 삭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끈은,
    상기 제1 조절끈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된 제1 연결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가 상기 제1 연결고리의 일면을 감싸서 상기 제1 연결고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9. 청구항 8 에 있어서,
    제1 연결끈은 일단에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고리와 고리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끈은,
    상기 제2 조절끈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결합된 제2 연결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고정부가 상기 제2 연결고리의 일면을 감싸서 상기 제2 연결고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제2 연결끈은 일단에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고리 또는 제2 연결고리와 고리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은 양단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13. 삭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의 주위를 감싸고, 주름형상으로 형성된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15. 삭제
KR1020130047589A 2013-04-29 2013-04-29 전신 운동기구 KR101437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589A KR101437403B1 (ko) 2013-04-29 2013-04-29 전신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589A KR101437403B1 (ko) 2013-04-29 2013-04-29 전신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403B1 true KR101437403B1 (ko) 2014-09-05

Family

ID=5175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589A KR101437403B1 (ko) 2013-04-29 2013-04-29 전신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4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5211A1 (en) * 2015-01-14 2016-07-20 Daniel Borak Safety device for exercise resistance band
WO2021157882A1 (ko) * 2020-02-07 2021-08-12 공태영 운동보조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4302A1 (en) 2001-08-22 2004-10-14 Flynn Thomas S.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tretching exercises
KR100759174B1 (ko) * 2006-11-22 2007-09-14 주식회사 스파밸리 탄성체를 이용한 근력 운동기구
KR20100006836U (ko) * 2008-12-26 2010-07-06 전승균 근력강화기구
KR101160895B1 (ko) * 2009-12-02 2012-06-29 정선화 체력단련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4302A1 (en) 2001-08-22 2004-10-14 Flynn Thomas S.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tretching exercises
KR100759174B1 (ko) * 2006-11-22 2007-09-14 주식회사 스파밸리 탄성체를 이용한 근력 운동기구
KR20100006836U (ko) * 2008-12-26 2010-07-06 전승균 근력강화기구
KR101160895B1 (ko) * 2009-12-02 2012-06-29 정선화 체력단련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5211A1 (en) * 2015-01-14 2016-07-20 Daniel Borak Safety device for exercise resistance band
WO2021157882A1 (ko) * 2020-02-07 2021-08-12 공태영 운동보조기구
KR20210100959A (ko) * 2020-02-07 2021-08-18 공태영 운동보조기구
KR102340264B1 (ko) * 2020-02-07 2021-12-16 공태영 운동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7827A (en) Aerobic exercise device
US8771155B1 (en) Exercise apparatus for assisting in strength exercises
US9192806B2 (en) Exercise assembly
US5813955A (en) Aerobic exercise device
US8002681B2 (en) Resistance training tool
US5993362A (en) Martial arts conditioning device
US7707652B2 (en) Exercise system and components
US5308305A (en) Device to augment exercise
CA2775762C (en) Integrator for global elastic motion mode of human body
US5372565A (en) Universal exercise device
US20120202658A1 (en) Wearable exercise equipment
US5507707A (en) Isokinetic cervical exercise device
US20020068667A1 (en) Training device
US20160113339A1 (en) Exoskeleton system
US20200054917A1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with Wearable Anchor Arrangement
US20130079201A1 (en) Mobile Exercise Device
US20100064413A1 (en) Exercise clothing and accessories
KR101437403B1 (ko) 전신 운동기구
US20220257991A1 (en) Adjustable resistance band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10065553A1 (en) Body Mounted Muscular Brace
JP6742612B1 (ja) 着用可能な歩行中の腕運動器具
WO2010079244A1 (es) Equipo de entrenamiento para el fortalecimiento muscular y de las articulaciones
US20180304136A1 (en) Swing Training Device
KR200484476Y1 (ko) 권투훈련을 위한 튜빙 밴드 착용 벨트
US5984840A (en) Water therapy fitness cuffs and mit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