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837B1 -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 - Google Patents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837B1
KR101034837B1 KR1020110008098A KR20110008098A KR101034837B1 KR 101034837 B1 KR101034837 B1 KR 101034837B1 KR 1020110008098 A KR1020110008098 A KR 1020110008098A KR 20110008098 A KR20110008098 A KR 20110008098A KR 101034837 B1 KR101034837 B1 KR 101034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ircumferential surface
bit
groove
bi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채
박경찬
이재민
박종한
조영용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8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08Means for retaining and guiding the tool bit, e.g. chucks allowing axial oscillation of the tool b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6/00Portable percussive machines with superimposed rotatio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utput shaft of a motor being modified to generate axial impacts on the tool b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371Use of springs
    • B25D2250/381Leaf springs

Abstract

본 발명은 비트로 콘크리트 등을 타격하여 천공하는 기능과 비트를 회전시켜 천공하는 기능을 함께 구비한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격하여 천공하는 툴 홀더와 비트를 회전시켜 천공하는 드릴 척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한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트가 장착되며 전동공구의 실린더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로서, 상기 실린더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연통한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제1관통공에 위치한 제1볼은 외주면 밖으로 돌출되거나 내주면 안쪽으로 돌출되는 비트 홀더와, 상기 비트 홀더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관통공과 대응하는 비트 홀더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제1볼이 정합되는 제1볼홈이 형성된 잠금 링과, 상기 비트 홀더의 중공에 삽입되는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관통공과 대응하게 형성된 제1홈 및, 상기 제1관통공에 위치한 제1볼이 상기 비트 홀더의 중공 안쪽으로 비트 홀더를 통과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1관통공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Installation and uninstallation apparatus of bit assembly}
본 발명은 비트로 콘크리트 등을 타격하여 천공하는 기능과 비트를 회전시켜 천공하는 기능을 함께 구비한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격하여 천공하는 툴 홀더와 비트를 회전시켜 천공하는 드릴 척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성이 작은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항타 즉 타격하여 천공하고, 목재나 철판의 경우에는 드릴을 회전시켜 천공한다. 개발된 전동공구 중에는 콘크리트를 천공하기 위한 항타 기능 및 목재나 철판을 천공하기 위한 회전 기능을 함께 구비하며, 목적에 따라 적합한 비트를 교체하며 장착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천공하기 위해서는 햄머드릴 비트를 이용하고, 목재나 철판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드릴 비트를 이용한다. 통상적으로 햄머드릴 비트는 툴 홀더에 장착되고, 드릴 비트는 드릴 척에 장착되며, 드릴 척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어댑터를 툴 홀더에 장착하고 어댑터에 드릴 척을 장착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동공구는 툴 홀더가 장착된 상태로, 드릴 비트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툴 홀더에 어댑터를 장착하고 어댑터에 드릴 척을 장착하여 연결함에 따라 전동공구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고 중량이 커져 작업자가 천공함에 있어 불편함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전동공구에 드릴 척을 장착하거나 툴 홀더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툴 홀더 및 드릴 척을 전동공구에 탈장착함에 있어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탈장착할 수 있게 구성한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트가 장착되며 전동공구의 실린더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로서, 상기 실린더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연통한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제1관통공에 위치한 제1볼은 외주면 밖으로 돌출되거나 내주면 안쪽으로 돌출되는 비트 홀더와, 상기 비트 홀더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비트 홀더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제1볼이 정합되거나 이탈하는 제1볼홈이 형성된 잠금 링과, 상기 비트 홀더의 중공에 삽입되는 실린더의 외주면에 상기 제1관통공과 대응하게 형성된 제1홈 및, 상기 제1관통공에 위치한 제1볼이 상기 비트 홀더의 중공 안쪽으로 비트 홀더를 통과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1관통공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 링의 내주면을 따라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비트 홀더의 외주면에는 제2볼이 위치하는 제2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볼홈에 위치한 제2볼의 일부는 상기 장홈에 끼워져 상기 잠금 링이 상기 장홈이 형성하는 회전각도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관통공은 비트 홀더의 180도의 각도로 2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볼홈은 2개의 제1관통공을 잇는 곡선 상의 중간부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위치 링과, 상기 제2관통공에 위치하며 위치 링의 내주면으로 일부 돌출되게 위치하는 제3볼과, 위치 링의 둘레를 감싸며 제3볼이 위치 링의 외주면으로 이탈하지 않고 내주면 쪽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비트 홀더의 외주면에 상기 제3볼의 일부가 정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3볼홈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3볼홈들은 상기 회전각도범위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제4볼이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위치하며, 실린더가 삽입되는 상기 비트 홀더의 입구에는 상기 제4볼과 정합하는 개방홈이 비트 홀더의 단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를 비트 홀더의 삽입함에 있어 개방홈에 제4볼이 정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제4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4볼이 상기 제4볼홈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4볼의 일부가 실린더의 외주면 밖으로 돌출되며, 링스프링이 제4볼홈에 위치한 제4볼을 가압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는 햄머드릴 비트가 장착된 툴 홀더 또는 드릴 비트가 장착된 드릴 척이 교체하여 탈장착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드릴 비트를 장착하기 위해 툴 홀더에 어댑터를 연결하고 어댑터에 드릴 척을 장착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전동공구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전동공구의 길이를 감축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는 툴 홀더 및 드릴 비트를 비트 홀더에 장착함에 있어 커버를 회전시키는 원터치 방식으로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보다 편리하게 탈장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전동공구에 툴 홀더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툴 홀더의 비트 홀더와 실린더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2a는 전동공구에 드릴 척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드릴 척의 비트 홀더와 실린더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3은 커버를 회전시켜 잠금상태와 체결상태를 나타낸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잠금상태와 체결상태의 비트 홀더와 위치 링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B-B'선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b의 분해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a는 전동공구에 툴 홀더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툴 홀더의 비트 홀더와 실린더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2a는 전동공구에 드릴 척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드릴 척의 비트 홀더와 실린더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3은 커버를 회전시켜 잠금상태와 체결상태를 나타낸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잠금상태와 체결상태의 비트 홀더와 위치 링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B-B'선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b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공구(100)에는 햄머드릴 비트(102)를 구비한 툴 홀더(101)가 장착되거나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 비트(107)를 구비한 드릴 척(106)이 장착된다. 여기에서 전동공구의 동력을 전달받아 비트를 움직이면서 전동공구에 탈장착하는 드릴 척 및 툴 홀더 등과 같은 구성을 '비트 조립체'라 한다.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 홀더(101) 및 드릴 척(106)은 둘레에 커버(110)가 위치하고, 커버(110)의 내부에는 비트 홀더(120)가 삽입되어 위치하며, 비트 홀더(120)가 잠금 링(130)과 위치 링(140)을 관통한 상태로 커버(110)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비트 홀더(120)에는 제1볼(123)과 제2볼(126)이 위치한 상태로 잠금 링(130)의 회전에 따라, 제1볼(123)이 실린더(160)에 결합되면서 비트 홀더(120)와 실린더(160)를 잠금하거나 제1볼(123)이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여 실린더(160)에서 비트 홀더(120)가 분리될 수 있는 풀림상태가 된다. 제2볼(126)은 잠금 링(130) 및 커버(110)의 회전각도범위를 제한한다.
한편, 위치 링(140)에는 제3볼(141)이 관통해 위치하도록 제2관통공(143)이 형성되며, 위치 링(140)의 둘레를 감싸는 판스프링(145)이 제3볼(141)을 바깥쪽을 가압한다. 제3볼(141)에 대응하여 비트 홀더(120)의 외주면에는 제3볼홈(122)이 2개 형성되는데, 2개의 제3볼홈(122) 간격은 제2볼(126)의 회전각도범위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풀림상태 또는 잠금상태에 따라 제3볼(141)은 2개의 제3볼홈(122) 중 어느 한 제3볼홈에 정합되고, 이와 같이 정합된 상태에서는 비트 홀더(120)의 둘레를 위치 링(140)이 자유롭게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실린더(160)에는 제4볼(161)이 위치하며 제4볼(161)은 실린더(16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위치한다. 실린더(160)에 장착된 제4볼(161)은 비트 홀더(120)의 후단 내주면에 형성된 개방홈(128)에 끼워지는데 제4볼(161)과 개방홈(128)의 정합은 실린더(160)에 툴 홀더(101) 또는 드릴 척(106)을 장착함에 있어 장착위치를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툴 홀더(101) 및 드릴 척(106)은 전방에 각 해당하는 비트(102, 107)가 장착되며 후방에는 탈장착하기 위한 커버(110)가 장착된다. 커버(110)의 내부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트 홀더(120)가 내장되는데, 비트 홀더(120)와 커버(110)의 사이에는 제1볼(123), 제2볼(126), 제3볼(141), 잠금 링(130), 판스프링(145), 위치 링(140) 및 리테이너(170)가 장착된다. 여기에서 리테이너(170)는 비트 홀더(120)의 후단에 체결되어 비트 홀더(120)와 커버(110)의 사이에 장착된 구성들이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비트 홀더(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 형성된 실린더 구조로서, 비트 홀더(120)의 전방부는 툴 홀더(101) 및 드릴 척(106)에 따라 구조적으로 다르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툴 홀더(101)의 비트 홀더(120)는 그 전방부가 햄머드릴 비트(102)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드릴 척(106)의 비트 홀더(120)는 그 전방부가 드릴 비트(107)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비트 홀더(120)의 전방부는 종래에도 그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비트 홀더(120)의 후방부는 전동공구의 실린더(160)에 탈장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비트 홀더(120)의 후방부에 있어서, 후방부의 선단에는 C링(150)이 장착되도록 C링홈(121)이 형성된다. C링홈(121)에는 C링(150)이 장착된 상태로 비트 홀더(120)는 커버(110)의 안쪽에 삽입된다.
비트 홀더(120)의 C링홈(121)의 후방에는 제1볼(123)이 끼워질 수 있는 제1관통공(124)이 비트 홀더(120)의 외주면에 180도 각도로 2개 형성된다. 그리고 2개의 제1관통공(124)을 잇는 곡선 상에 90도의 각도로 1개의 제2볼홈(127)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1관통공(124)의 안쪽 단부에는 제1볼(123)이 비트 홀더(120)의 안쪽 중공으로 통과하여 이동하지 못하도록 스토퍼(125)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볼(123)은 비트 홀더(120)의 외주면으로 이탈 가능하지만 비트 홀더(120)의 중공 안쪽으로 통과하여 이탈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제1볼(123)은 제1관통공(124)의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125)에 걸려 비트 홀더(120)의 내주면 안쪽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한편, 제2볼(126)은 비트 홀더(12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비트 홀더(120)의 외주면에는 제2볼홈(127)이 형성되는데, 제2볼홈(127)의 위치는 2개의 제1관통공(124)을 잇는 곡선상의 중간 지점에 형성된다. 제2볼홈(127)에 끼워진 제2볼(126)은 비트 홀더(120)의 외주면 밖으로 돌출되며 잠금 링(13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장홈(131)에 끼워진다. 여기에서 잠금 링(130)은 외주면에 돌기(133)가 형성되고 돌기(133)는 커버(110)의 내주면에 정합된 상태로, 사용자가 커버(110)를 회전시키면 커버(110)를 따라 잠금 링(130) 또한 회전한다. 잠금 링(130)이 회전함에 있어 장홈(131)에 제2볼(126)이 끼워져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2볼(126)이 장홈(131)의 양단에 간섭되는 각도만큼 커버(110)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장홈(131)의 양단이 이루는 각도를 '회전각도범위'라 한다.
한편, 잠금 링(130)의 내주면에는 제1관통공(124)과 대응하는 제1볼홈(135)이 형성되는데, 커버(110)에 의해 잠금 링(130)이 회전함에 따라 제1볼홈(135)과 제1관통공(124)이 대응하거나 대응하지 않는다. 제1관통공(124)과 제1볼홈(135)이 대응할 경우 제1관통공(124)에 위치한 제1볼(123)이 잠금 링(130)의 제1볼홈(135)쪽으로 이동 가능하며(이 상태를 '풀림상태'라 함), 대응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1볼(123)이 제1관통공(124)에 위치하며 비트 홀더(120)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비트 홀더(120)에 삽입된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실린더(160)와 정합되면서, 비트 홀더(120)와 실린더(160)가 연동하도록 연결된다(이 상태를 '잠금상태'라 함).
이와 같이 구성된 비트 홀더(120)를 전동공구에 장착함에 있어, 비트 홀더(120)의 내부에 전동공구의 실린더(160)가 삽입되는데, 실린더(1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홈(163)이 비트 홀더(120)의 제1관통공(124)과 대응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풀림상태에서는 제1볼(123)이 잠금 링(130)의 제1볼홈(135)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실린더(160)를 비트 홀더(120)에서 인출 가능하다. 하지만, 잠금상태에서는 제1볼(123)이 실린더(160)의 제1홈(163)에 정합되어 있어 비트 홀더(120)에서 실린더(160)가 인출되지 않고 잠금되며, 제1볼(123)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면서 비트 홀더(120)가 실린더(160)를 따라 연동한다.
한편, 위치 링(140) 또한 잠금 링(130)과 같이 커버(110)와 정합된 상태로 커버(110)를 따라 회전한다. 위치 링(140)의 외주면에는 판스프링(145)이 위치하며 위치 링(140)을 관통한 제3볼(141)의 외측을 가압한다. 따라서 위치 링(140)을 관통해 위치한 제3볼(141)은 위치 링(140)의 안쪽에 위치한 비트 홀더(120)의 외주면과 접하게 되는데, 비트 홀더(120)의 외주면에는 위치 링(140)을 따라 이동하는 제3볼(141)이 정합할 수 있도록 회전각도범위의 양단 지점에 해당하는 지점에 2개의 제3볼홈(122)이 형성된다.
제3볼(141)은 제2볼(126)이 장홈(131)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에 위치할 때에 각각 2개의 제3볼홈(122) 중에서 어느 한 제3볼홈에 정합하게 된다. 이때 판스프링(145)의 탄성에 의해 정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커버(110)가 잠금상태 및 풀림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하지 않도록 판스프링(145)의 탄성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클릭감을 제공한다.
한편 비트 홀더(120)의 내주면에는 후단에서 길이방향으로 개방홈(128)이 형성된다. 이는 실린더(160)가 비트 홀더(12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정위치를 안내하는 기능으로서, 비트 홀더(120)에 삽입된 실린더(160)가 정위치 즉 제4볼(161)이 개방홈(128)에 대응하여야 완전하게 삽입되어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실린더(160)에는 제4볼(161)이 위치할 수 있는 제4볼홈(165)이 형성되며, 제4볼홈(165)에 제4볼(161)이 위치한 상태에서 제4볼(161)과 접하도록 링스프링(167)이 장착된다. 따라서 링스프링(167)의 간섭에 의해 제4볼(161)을 제4볼홈(165)에서 이탈하지 않고 실린더(16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위치한다.
아래에서는 툴 홀더 및 드릴 척을 탈장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툴 홀더(101)와 드릴 척(106)의 커버(110) 내부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툴 홀더(101)를 실린더(160)에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툴 홀더(101)의 후단 중공에 실린더(160)를 삽입한다. 실린더(160)가 삽입되면서 실린더(160)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제4볼(161)이 비트 홀더(120)의 후단면에 접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툴 홀더(101)를 회전하여 제4볼(161)이 개방홈(128)과 대응하도록 한 상태에서 툴 홀더(101)를 실린더(160)의 안쪽으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제4볼(161)이 개방홈(128)을 따라 진입하여 위치하면서, 실린더(160)와 비트 홀더(120)가 결합되고 실린더(160)의 동력이 제4볼(161)을 통해 비트 홀더(12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비트 홀더(120)에 실린더(160)가 삽입된 상태는 도 3에 도시된 풀림상태이다. 즉 제1볼(123)은 잠금 링(130)의 제1볼홈(135)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110)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버(110)를 따라 잠금 링(130)이 회전하면서 제1볼(123)은 비트 홀더(120)의 내주면 쪽으로 돌출되는 방향 즉 삽입된 실린더(160)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비트 홀더(120)의 내주면으로 돌출된 제1볼(123)의 일부가 실린더(160)에 형성된 제1홈(163)에 정합된다. 이와 같이 잠금상태가 되면 제1볼(123)과 제4볼(161)이 실린더(160)와 비트 홀더(120)를 결합한 상태로서 제1볼(123)과 제4볼(161)을 통해 실린더(160)에서 비트 홀더(120)로 동력이 전달된다.
한편, 제2볼(126)은 잠금 링(130)이 회전함으로써, 잠금 링(130)에 형성된 장홈(131)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볼(141) 또한 판스프링(145)을 탄성변형시키면서 비트 홀더(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어느 한 제3볼홈(122)에서 다른 제3볼홈으로 이동하여 정합하면서 판스프링(145)이 커버(110)의 자유회전을 탄성력으로 차단한다.
이와 같이 잠금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툴 홀더(101)의 커버(110)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앞에서 설명한 역순으로 작동하면서 제1볼(123)이 잠금 링(130)에 형성된 제1볼홈(135)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볼(123)과 제1볼홈(135)이 대응하며, 이 상태에서 툴 홀더(101)를 실린더(160)에서 분리하면 제1볼(123)은 실린더(160)에 밀려 잠금 링(130)의 제1볼홈(135)으로 이동하면서 실린더(160)가 분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에 있어서 제1볼 내지 제4볼은 스틸 재질의 스틸 볼들이다.
100 : 전동공구
101 : 툴 홀더
102 : 햄머드릴 비트
106 : 드릴 척
107 : 드릴 비트
110 : 커버
120 : 비트 홀더
121 : C링 홈
122 : 제3볼홈
123 : 제1볼
124 : 제1관통공
125 : 스토퍼
126 : 제2볼
127 : 제2볼홈
128 : 개방홈
130 : 잠금 링
131 : 장홈
133 : 돌기
134 : 제1볼홈
140 : 위치 링
141 : 제3볼
143 : 제2관통공
145 : 판스프링
150 : C링
160 : 실린더
161 : 제4볼
163 : 제1홈
165 : 제4볼홈
167 : 링스프링
170 : 리테이너

Claims (6)

  1. 비트가 장착되며 전동공구의 실린더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비트 조립체로서,
    상기 실린더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연통한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제1관통공에 위치한 제1볼은 외주면 밖으로 돌출되거나 내주면 안쪽으로 돌출되는 비트 홀더와,
    상기 비트 홀더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비트 홀더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제1볼이 정합되거나 이탈하는 제1볼홈이 형성된 잠금 링과,
    상기 비트 홀더의 중공에 삽입되는 실린더의 외주면에 상기 제1관통공과 대응하게 형성된 제1홈 및,
    상기 제1관통공에 위치한 제1볼이 상기 비트 홀더의 중공 안쪽으로 비트 홀더를 통과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1관통공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링의 내주면을 따라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비트 홀더의 외주면에는 제2볼이 위치하는 제2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볼홈에 위치한 제2볼의 일부는 상기 장홈에 끼워져 상기 잠금 링이 상기 장홈이 형성하는 회전각도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은 비트 홀더의 180도의 각도로 2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볼홈은 2개의 제1관통공을 잇는 곡선 상의 중간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위치 링과,
    상기 제2관통공에 위치하며 위치 링의 내주면으로 일부 돌출되게 위치하는 제3볼과,
    위치 링의 둘레를 감싸며 제3볼이 위치 링의 외주면으로 이탈하지 않고 내주면 쪽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비트 홀더의 외주면에 상기 제3볼의 일부가 정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3볼홈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3볼홈들은 상기 회전각도범위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제4볼이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위치하며, 실린더가 삽입되는 상기 비트 홀더의 입구에는 상기 제4볼과 정합하는 개방홈이 비트 홀더의 단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를 비트 홀더의 삽입함에 있어 개방홈에 제4볼이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제4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4볼이 상기 제4볼홈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4볼의 일부가 실린더의 외주면 밖으로 돌출되며, 링스프링이 제4볼홈에 위치한 제4볼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
KR1020110008098A 2011-01-27 2011-01-27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 KR101034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098A KR101034837B1 (ko) 2011-01-27 2011-01-27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098A KR101034837B1 (ko) 2011-01-27 2011-01-27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837B1 true KR101034837B1 (ko) 2011-05-17

Family

ID=4436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098A KR101034837B1 (ko) 2011-01-27 2011-01-27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1224A1 (en) * 2021-05-14 2022-11-1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it hold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1572A (ja) * 1995-04-10 1996-10-29 Makita Corp 電動工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1572A (ja) * 1995-04-10 1996-10-29 Makita Corp 電動工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1224A1 (en) * 2021-05-14 2022-11-1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it hold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3730B2 (ja) 集塵カップ
US9945155B2 (en) Cylinder lock device
US8147173B2 (en) Adapter for operating a keyhole saw on a driving machine
DE19834691A1 (de) Schließsystem
CN212529919U (zh) 锁紧机构及具有其的车辆
CA2969985C (en) Lock knob assembly
KR101990801B1 (ko) 코어비트의 원터치 락 기능을 갖는 코어드릴
KR101034837B1 (ko) 비트 조립체의 탈장착장치
KR101627578B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조립체
KR200411519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US20050161263A1 (en) Core bit for use with a core drill
RU2009107893A (ru) Патрон для крепления рабочего органа ручной машины
US6874341B1 (en) Combination of an outside spindle and a core retainer for a lock
KR101922640B1 (ko) 전동공구 비트 착탈 장치
JP2009203722A (ja) シリンダー錠装置
CN216866325U (zh) 皮卡车门专用转动锁
CN220487300U (zh) 具有把手换向离合装置的断桥铝智能锁
CN213898467U (zh) 一种智能锁具上的开锁结构
JP2013215963A (ja) コンクリートドリル等のビット着脱機構及びドリル工具
KR102248002B1 (ko)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ATE463152T1 (de) Lösbare stielbefestigung
KR100562708B1 (ko)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
CN211229814U (zh) 基于门厚度调整的锁掣机构
JP2000042947A (ja) 電動工具のビット抜け防止機構
KR920001874Y1 (ko) 창문 개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