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708B1 -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 - Google Patents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708B1
KR100562708B1 KR1020040026239A KR20040026239A KR100562708B1 KR 100562708 B1 KR100562708 B1 KR 100562708B1 KR 1020040026239 A KR1020040026239 A KR 1020040026239A KR 20040026239 A KR20040026239 A KR 20040026239A KR 100562708 B1 KR100562708 B1 KR 100562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crew
insertion hole
ball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0991A (ko
Inventor
신종호
Original Assignee
신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호 filed Critical 신종호
Priority to KR1020040026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708B1/ko
Publication of KR20050100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64Means for adjusting screwing dep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25B23/10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using mechanical grip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25B23/1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using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드라이버삽입공(11)이 관통 형성된 몸통(10)을 갖고, 이 몸통(10)은 위치고정볼(40)에 의해 드라이버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몸통의 일면에는 자력에 의해 나사(S)를 파지하는 자석(20)이 마련되고, 반대 면에는 나사머리를 걸어서 파지하는 나사머리파지볼(30)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자석 및 나사머리파지볼을 통해 금속성 및 비금속성에 상관없이 모든 나사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나사를 한 손으로도 편리하게 박을 수 있기 때문에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사 가이드공구는 몸통이 버팀 역할을 하여 나사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박히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대상물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드라이버, 나비나사, 파지, 몸통, 자석

Description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Screw guide tool for driv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의 결합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드라이버에 장착되기 위해 커버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에서 자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나사를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드라이버 3: 장착홈
10: 몸통 11: 드라이버삽입공
12: 나사머리삽입부 13: 볼삽입공
14: 파지볼삽입공 15: 자석조립홈
16: 스냅링홈 17: 오링홈
18: 스크류체결공 20: 자석
22: 간섭방지홈 24: 비자성체
30: 나사머리파지볼 32: 스냅링판
40: 위치고정볼 50: 스냅링
60: 오링 70: 위치고정스크류
80: 커버통 82: 돌출부
84: 캡고정홈 90: 스프링
100: 더스트캡 110: 고정부
112: 캡고정돌기 114: 링조립홈
120: 자바라부 130: 고정링
S: 나비나사
본 발명은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라이버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나사를 파지하며, 나사가 대상물에 박힐 때 일정 깊이 이상으로 박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라이버는 나사를 체결 및 해체하기 위한 도구로서, 건축현장이나 기계 및 가구를 조립할 때는 물론, 가정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필수용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버의 종류를 보면 그 형상에 따라 통상적으로 일자 드라이버와 십자 드라이버로 구분되는데, 최근에는 일측에 일자 드라이버가 형성되고 타측에 십자 드라이버가 형성된 드라이버 몸통을 손잡이에 번갈아 가며 꼽아 사용할 수 있는 겸용 드라이버, 또는 교체형 드라이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작동 방식에 따라 수동 드라이버와 전동 드라이버로 구분되는데, 통상적으로 수동 드라이버는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전동 드라이버는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최근에는 대부분의 종류의 드라이버가 자성화되거나 그 끝에 자성화된 팁이 부착되어 나사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성체 드라이버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성체 드라이버는 나사가 자석에 직접 달라붙는 것이 아니 라 자화된 드라이버의 끝에 나사가 달라붙는 것이기 때문에 강한 자력을 전달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나사와의 접촉면적이 적어서 나사가 자주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나사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자성체 드라이버는 비금속성의 나사를 사용할 수가 없으며, 드라이버 또한 비자성체의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자성체 드라이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359284호에서는 드라이버용 나사파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 내용을 보면, 비자성체인 드라이버에도 자성체 드라이버 이상의 성능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자력을 나사에 직접적으로 인가시켜서 견고한 파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십자 및 일자 나사 등의 손쉬운 체결작업을 가능하게 한 드라아버용 나사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드라이버용 나사파지장치는 나사를 파지하는 기능은 갖고 있지만, 나사가 대상물에 박힐 때 나사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박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강성이 약한 나무나 석고보드 등의 재질을 갖는 대상물에 나사를 박을 경우에는 나사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박혀 대상물이 손상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석의 원리만으로 나사를 파지하기 때문에 비금속성의 나사는 파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발명과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380640호 에서는 드라이버의 나사 가이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 구성을 보면, 드라이버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나사 가이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드라이버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고정통과, 고정통을 기준으로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선단부가 나사머리와 접촉되어 나사머리를 지지하는 자석이 설치되는 가동통과, 가동통의 전후진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과, 고정통과 가동통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통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이지고, 자석은 다수개의 원형 또는 다면체 조각으로 이루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드라이버의 나사 가이드장치는 자석을 통해 금속성의 나사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고, 가동통이 버팀 역할을 하여 나사가 대상물에 박힐 때 일정 깊이 이상으로 박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그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고 고장률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명과 마찬가지로 자석의 원리만으로 나사를 파지하기 때문에 비금속성의 나사는 파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드라이버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금속성 나사는 물론, 비금속성 나사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나사가 대상물에 박힐 때 일정 깊이 이상으로 박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용이하게 휴대 및 드라이버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측둘레에 더스트캡을 마련하여 나사가 대상물에 박힐 때 발생되는 스크랩을 집진시킬 수 있도록 한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는 내부에는 드라이버삽입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고, 드라이버삽입공의 일단부에는 나사머리가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나사머리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둘레 일부분에는 원주를 따라 드라이버삽입공 방향으로 좁아지게 경사진 다수개의 볼삽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둘레 일단부에는 원주를 따라 나사머리삽입부 방향으로 좁아지게 경사진 다수개의 파지볼삽입공이 관통 형성된 몸통; 몸통의 일면에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금속성 나사를 파지하는 자석; 몸통의 파지볼삽입공에 각각 삽입되어 그 일부분이 나사머리삽입부로 돌출되고, 이 돌출부에 나사머리가 걸려 파지될 때 돌출부가 파지볼삽입공으로 이동되었다가 다시 복원력에 의해 돌출되도록 탄력적으로 설치된 나사머리파지볼; 몸통의 각각의 볼삽입공에 삽입되어 그 일부분이 드라이버삽입공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드라이버에 형성된 장착홈에 걸려 몸통이 드라이버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위치고정볼; 몸통의 외측둘레에 조립되되, 내면에는 그 일부분이 돌출되어 몸통의 외측둘레에 밀착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돌출부는 일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고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볼삽입공을 밀폐시키는 위치에서 슬라이딩이 멈출 수 있게 마련된 커버통; 및 커버통의 돌출부가 볼삽입공을 밀폐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게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통 외측둘레에는 볼삽입공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다수개의 스크류체결공이 원주를 따라 드라이버삽입공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이 스크류체결공에는 위치고정스크류가 체결되며, 이 위치고정스크류가 드라이버의 외면을 가압하여 몸통을 드라이버에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통의 일면에 드라이버삽입공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자석조립홈을 형성하고, 이 자석조립홈에 자석이 삽입되어 부착 고정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통의 일면에 드라이버삽입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자석조립홈을 형성하고, 이 자석조립홈에 자석이 삽입되어 부착 고정되며, 이 자석의 일면에는 드라이버의 단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간섭방지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통의 외면에는 나사가 대상물에 박힐 때 발생되는 스크랩을 집진시킬 수 있도록 더스트캡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커버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자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나사를 나타낸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는 원통형의 몸통(10)을 갖는다.
몸통(10)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도록 드라이버삽입공(11)이 형성되고, 이 드라이버삽입공(11)의 일단부에는 나비나사(S)의 머리부분이 삽입될 수 있게 나사머리와 같거나 약간 큰 직경을 갖는 나사머리삽입부(12)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몸통(10)의 외측둘레 일부분에는 원주를 따라 드라이버삽입공(11) 방향으로 좁아지게 경사진 다수개의 볼삽입공(13)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둘레 일단부에는 원주를 따라 나사머리삽입부(12) 방향으로 좁아지게 경사진 다수개의 파지볼삽입공(14)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볼삽입공(13)과 파지볼삽입공(14)은 대략 120°의 등간격을 갖도록 3개 정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지볼삽입공(14)은 몸통(10)의 외측둘레에서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하여 파지볼삽입공(14)에 삽입되는 나사머리파지볼이 최대한 나사머리삽입부(12)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된 몸통(10)의 일면에는 자력에 의해 금속성 나비나사(S)를 파지 할 수 있게 자석(20)이 설치된다. 여기서, 자석(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10)의 일면에 드라이버삽입공(1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자석조립홈(15)을 형성한 후, 이 자석조립홈(15)에 자석을 삽입하여 부착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석(20)은 나비나사(S)와 직접적으로 닿게되면 깨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서로 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몸통(10)의 전면보다 약간 더 들어가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력을 모아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링자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석(20)의 설치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석(20)의 설치 방법은 나비나사(S)를 파지하는 것과 더불어 드라이버 작업시 나사 또는 드라이버와 자석간의 마찰로 인해 자석이 파손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으면 어느 방법이든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5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10)의 일면에 드라이버삽입공(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자석조립홈(15)을 형성하고, 이 자석조립홈(15)에 자석이 삽입되어 부착 고정되도록 설치할 수 있는데, 이때 자석(20)의 일면에는 드라이버의 단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간섭방지홈(22)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몸통(10)에 형성된 다수의 파지볼삽입공(14)에는 각각 나사머리파지볼(30)이 삽입되고, 나사머리파지볼(30)이 파지볼삽입공(1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통(10)의 외측둘레에는 파지볼삽입공(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스냅링판(32)이 조립되어 파지볼삽입공(14)을 밀폐시키는 것과 더불어 나사머리파지볼(30)을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파지볼삽입공(14)에 삽입되는 나사머리파지볼(30)의 일부분은 나사머리삽입부(12)로 돌출되고, 이 돌출부에 의해 금속성 또는 비금속성 나비나사(S)의 머리부분이 걸려 파지된다. 그리고 나사머리가 삽입되면서 파지될 때, 나사머리파지볼(30)의 돌출부가 파지볼삽입공(14)을 따라 이동되었다가 다시 스냅링판(32)의 복원력에 의해 돌출되면서 나사머리를 파지하게 된다. 참고로, 스냅링판(32)은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탄성력에 의해 벌어졌다 다시 복원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절단되어 있다.
다음으로, 몸통(10)에 형성된 다수의 볼삽입공(13)에는 각각 위치고정볼(40)이 삽입된다. 이때, 위치고정볼(40)의 일부분은 드라이버삽입공(1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이로 인해 위치고정볼(40)의 일부분이 드라이버(1)에 형성된 장착홈(3)에 걸려 몸통(10)이 드라이버(1)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고정볼(40)은 몸통(10)의 외측둘레에 조립되는 커버통(80)에 의해 볼삽입공(1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과 더불어 커버통(80)이 이동되면 볼삽입공(13)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커버통(80)은 내면 일부분이 돌출되어 몸통(10)의 외측둘레에 밀착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돌출부(82)가 일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고 반대방향으로는 볼삽입공(13)을 밀폐시키는 위치에서 슬라이딩이 멈출 수 있게 마련된다. 따라서 커버통(80)의 돌출부(82)가 볼삽입공(13)의 위치에 있으면 위치고정볼(40)의 이탈이 방지되고, 돌출부(82)가 볼삽입공(13)에서 벗어나게 이동하면 위치고정볼(40)은 볼삽입공(13)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몸통(10)와 커버통(80)의 돌출부(82) 사이에는 스프링(90)이 설치되 어 커버통(80)의 돌출부(82)를 항상 볼삽입공(13)을 밀폐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커버통(80)의 돌출부(82)가 볼삽입공(13)을 밀폐시키는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통(10)의 외측둘레 일부분에는 원주를 따라 스냅링홈(16)이 형성되고, 이 스냅링홈(16)에는 커버통(80)의 돌출부(82)가 걸릴 수 있게 스냅링(50)이 조립된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스냅링(50)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스냅링(50)과 위치고정볼(40)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통(10)의 외측둘레에는 스냅링홈(16)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를 따라 오링홈(17)이 형성되고, 이 오링홈(17)에는 고무재질의 오링(60)이 조립된다. 이때 오링(60)의 외면은 커버통(80)의 내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다른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가 위치고정볼(40)이 삽입되는 장착홈(3)이 없는 드라이버나 장착홈(3)이 있더라도 그 위치를 벗어나 드라이버의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몸통(10) 외측둘레에는 볼삽입공(13)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스크류체결공(18)이 드라이버삽입공(11)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이 각각의 스크류체결공(18)에는 위치고정스크류(70)가 체결되며, 이 위치고정스크류(70)가 드라이버(1)의 외면을 가압하여 몸통(10)을 드라이버(1)의 일부분에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커버통(80)의 외면에는 나사가 대상물에 박힐 때 발생되는 스크랩 또는 구멍을 뚫을 때 발생되는 스크랩을 집진시킬 수 있도록 더스트캡(100)이 설치 된다.
즉, 더스트캡(100)의 일부분에는 커버통(80)에 밀착되는 고정부(110)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수축 가능하도록 자바라부(120)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110)의 일부분 내면에는 캡고정돌기(112)가 형성되며, 이 캡고정돌기(112)와 대응되는 외면에는 링조립홈(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통(80)의 외면에는 더스트캡(100)의 캡고정돌기(112)와 대응되는 부분에 원주를 따라 소정 깊이의 캡고정홈(84)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더스트캡(100)의 고정부(110)를 커버통(80)에 삽입하여 결합시킨 후 고정링(130)을 링조립홈(114)에 끼워 넣으면, 고정링(130)이 캡고정돌기(112)를 캡고정홈(84)으로 가압하여 더스트캡(100)을 커버통(80)에 고정시키게 된다. 물론, 고정링(130)에는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3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더스트캡(100)은 투명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형상은 일자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자바라부(120)의 선단부가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깔대기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더스트캡(100)은 전체적으로 주름지는 자바라부 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나비나사(S)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머리에 좌우 대칭되게 2개의 주날개(B1)가 경사면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머리부의 단부에는 전후 대칭되게 2개의 보조날개(B2)가 대략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물론, 주날개(B1)와 보조날개(B2)의 단부는 어느 정도의 날카로움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나사에 날개가 형성된 것은 나사가 대상물에 박힐 때 나사머리 부분까지 잘 박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나사머리에 날개가 없는 나사는 대상물에 박힐 때 나사머리 부분이 수평으로 밀착되지 않고 튀어나오거나, 나사머리 부분 또는 대상물이 파손되거나, 십자부분이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먼저 길이로 머리 깊이를 파고 나사를 박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나사머리에 날개를 형성하면, 이 날개가 대상물을 파주면서 나사머리가 박히기 때문에 나사머리가 대상물에 수평으로 밀착되고, 나사머리의 십자부분이 마모될 염려가 없으며, 대상물의 마감부분이 깨끗하게 처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사를 사용하면 전동드릴 작업시 힘이 적게 소모되고 작업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가 드라이버에 장착되는 방법을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통(80)에 힘을 가해 볼삽입공(13)이 노출되도록 이동시킨 상태에서 드라이버(1)를 삽입한다.
그런 다음, 커버통(80)에 가해졌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90)의 복원력에 의해 위치고정볼(40)이 드라이버(1)를 따라 이동하다가 드라이버(1)에 형성된 장착홈(3)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장착홈(3)으로 삽입되고, 커버통(80)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커버통(80)의 돌출부(82)가 위치고정볼(40)을 가압하여 위치고정볼(40)이 드라이버(1)에 형성된 장착홈(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나사 가이드공구의 장착이 완료된다.
그러면, 드라이버(1)가 회전하더라고 위치고정볼(40)이 베어링 역할을 하여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의 회전은 제한된다.
물론, 장착홈(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드라이버(1)나 장착홈(3)이 형성된 드라이버(1)라도 장착홈(3)이 형성된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를 장착해야 되는 경우에는 다수의 위치고정스크류(70)를 스크류체결공(18)을 통해 체결하여 드라이버(1)의 외면을 가압하는 방식에 의해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를 적용하면 모든 종류의 나비나사(S)를 견고하게 파지하여 나사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금속성 나비나사(S)의 경우에는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의 일면에 마련된 자석(20)을 통한 자력에 의해 파지하면 되고, 비금속성 나사의 경우에는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의 타면에 마련된 나사머리파지볼(30)을 통해 나사의 머리부분을 파지하면 된다.
여기서 나사머리파지볼(30)을 통해 나비나사(S)의 머리부분을 파지하는 작용 관계를 좀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나비나사(S)의 머리부분을 나사머리삽입부(12)로 끼워 넣을 때 나사머리의 직경에 의해 나사머리파지볼(30)이 파지볼삽입공(14)을 따라 이동되었다가 나사머리의 삽입이 완료되면 스냅링판(32)의 복원력에 의해 나사머리파지볼(30)의 일부분이 다시 나사머리삽입부(12) 내로 돌출되면서 나사머리가 분리되지 않도록 파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나사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나사를 잡을 필요 없이 한 손으로 나사를 박는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를 통해 나비나사를 파지한 후 대상물에 박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비나사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박히는 것이 방지된다. 즉,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의 일면이 나비나사가 박힐 때 일정 깊이 이상으로 박히지 않도록 버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나비나사가 대상물에 박힐 때 나사머리 면이 대상물의 면보다 더 함몰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나사가 목재나 석고 보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대상물에 박힐 때 대상물이 깨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공구는 나사를 깊이 박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즉, 가이드공구를 위치고정스크류를 통해 드라이버의 어느 부분에든지 자유롭게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드라이버가 가이드공구의 전면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나사를 깊이 박거나 구석지 곳에 박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공구는 나사를 파지하는 용도 외에도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공구는 위치고정스크류를 통해 드라이버와 같은 일정 직경을 갖는 긴 막대 등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깊이의 구멍을 뚫는 작업, 탭을 이용하여 나사홈을 뚫는 작업, 할로겐 등의 전구가 설치되는 매입형 구멍을 뚫는 작업을 할 때 활용할 수 있다.
일례를 들면, 가이드공구를 드릴 등의 공구에 설치한 후, 드릴을 통해 대상물에 구멍을 뚫게 되면 가이드공구가 버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정 깊이의 드릴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더스트캡이 구멍을 뚫을 때 발생되는 스크랩을 집진시키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우수한 작업 환경과 안정성 및 편리함을 제공해 주게 된다. 특히, 더스트 캡이 자바라의 형상을 갖도록 하여 자유롭게 늘어나기 때문에 깊은 구멍을 뚫더라도 스크랩을 집진시키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공구는 여러 공구에 작용하여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우수한 활용성을 갖게 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이한 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를 보면, 몸통(10)의 드라이버삽입공(11)과 드라이버(1)의 사이에 소정의 갭을 갖도록 형성하고, 이 갭에 삽입되도록 비자성체(24)가 결합된 구성을 갖는다. 비자성체가 결합되는 것은 자석(20)의 자력이 드라이버(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자력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나비나사(S)를 파지하는 자력의 효율성을 높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비자성체(24)는 스테인레스 재질을 갖도록 하여 마모되지 않는 부싱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비자성체(24)는 드라이버삽입공(11)의 내경에 전체적으로 마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자석(20)이 마련된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만 마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의 작용 및 효과를 상술한 일 실시예의 내용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자석 및 나사머리파지볼을 통해 금속성 및 비금속성에 상관없이 모든 나사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나사를 한 손으로도 편리하게 박을 수 있기 때문에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사 가이드공구는 몸통이 버팀 역할을 하여 나사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박히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대상물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내부에는 드라이버삽입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고, 드라이버삽입공의 일단부에는 나사머리가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나사머리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둘레 일부분에는 원주를 따라 드라이버삽입공 방향으로 좁아지게 경사진 다수개의 볼삽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둘레 일단부에는 원주를 따라 나사머리삽입부 방향으로 좁아지게 경사진 다수개의 파지볼삽입공이 관통 형성된 몸통;
    상기 몸통의 일면에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금속성 나사를 파지하는 자석;
    상기 몸통의 파지볼삽입공에 각각 삽입되어 그 일부분이 나사머리삽입부로 돌출되고, 이 돌출부에 나사머리가 걸려 파지될 때 돌출부가 파지볼삽입공으로 이동되었다가 다시 복원력에 의해 돌출되도록 탄력적으로 설치된 나사머리파지볼;
    상기 몸통의 각각의 볼삽입공에 삽입되어 그 일부분이 드라이버삽입공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드라이버에 형성된 홈에 걸려 몸통이 드라이버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위치고정볼;
    상기 몸통의 외측둘레에 조립되되, 내면에는 그 일부분이 돌출되어 몸통의 외측둘레에 밀착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돌출부는 일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고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볼삽입공을 밀폐시키는 위치에서 슬라이딩이 멈출 수 있게 마련된 커버통; 및
    상기 커버통의 돌출부가 볼삽입공을 밀폐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게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외측둘레에는 볼삽입공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다수개의 스크류체결공이 원주를 따라 드라이버삽입공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이 스크류체결공에는 위치고정스크류가 체결되며, 이 위치고정스크류가 드라이버의 외면을 가압하여 몸통을 드라이버에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의 일면에 드라이버삽입공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자석조립홈을 형성하고, 이 자석조립홈에 자석이 삽입되어 부착 고정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의 일면에 드라이버삽입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자석조립홈을 형성하고, 이 자석조립홈에 자석이 삽입되어 부착 고정되며, 이 자석의 일면에는 드라이버의 단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간섭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통의 외면에는 나사가 대상물에 박힐 때 또는 구멍를 뚫을 때 발생되는 스크랩을 집진시킬 수 있도록 더스트캡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삽입공과 드라이버의 사이에 소정의 갭을 형성하고, 이 갭에 자석의 자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자성체가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
  7. 삭제
KR1020040026239A 2004-04-16 2004-04-16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 KR100562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239A KR100562708B1 (ko) 2004-04-16 2004-04-16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239A KR100562708B1 (ko) 2004-04-16 2004-04-16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991A KR20050100991A (ko) 2005-10-20
KR100562708B1 true KR100562708B1 (ko) 2006-03-23

Family

ID=3727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239A KR100562708B1 (ko) 2004-04-16 2004-04-16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7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722B1 (ko) * 2019-01-08 2020-05-2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라이버 보조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722B1 (ko) * 2019-01-08 2020-05-2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라이버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991A (ko)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84114A (en) Screw installing attachment for power tools
US2689131A (en) Tool with shank and removable blade
DK1737616T3 (da) Kraftdrevet håndværktøj med spændeindretning for et værktøj
TW200722237A (en) Adjustable depth-of-drive mechanism for a fastener driving tool
KR840000311A (ko) 공 구 장 치
CA2255508A1 (en) Workpiece-contacting probe for fastener-driving tool for fastening dimpled membranes to foundation walls via fasteners and polymeric plugs
US20070272061A1 (en) Hand tool with replaceable bit
JP2007276064A (ja) 集塵カップ
US6056298A (en) Chuck lock bit changer
US20120152577A1 (en) Hand tool impacting apparatus and method
US10759013B2 (en) Dust containment apparatus for an air tool vacuum dust extraction system
ZA200201338B (en) Working tool with replaceable working bit.
KR100380640B1 (ko) 드라이버의 나사 가이드장치
TW201720588A (zh) 衝擊自旋手工具
GB0123112D0 (en) Drill tool
KR100562708B1 (ko) 드라이버용 나사 가이드공구
KR100543339B1 (ko) 드라이버 나사 홀더
KR101845502B1 (ko) 홀더 겸용 스토퍼
KR20110020074A (ko) 자력부착식 돌기고정부재
KR102042747B1 (ko) 스토퍼 겸용 자화기
KR200381640Y1 (ko) 자석을 이용한 가구의 도어개폐장치
CN220331213U (zh) 一种电用凿子
CN212947526U (zh) 一种卡接式短批头套筒用磁圈
US11969872B2 (en) Multifunctional hand tool
KR20110020075A (ko) 자력부착식 나사고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