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219B1 - 지능형 방범설비 - Google Patents

지능형 방범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219B1
KR101034219B1 KR1020100117909A KR20100117909A KR101034219B1 KR 101034219 B1 KR101034219 B1 KR 101034219B1 KR 1020100117909 A KR1020100117909 A KR 1020100117909A KR 20100117909 A KR20100117909 A KR 20100117909A KR 101034219 B1 KR101034219 B1 KR 101034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around
camera device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10011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2Camera support structures, e.g. attachment means, po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19Details of cas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4Electrical details of the system, e.g. component blocks for carrying out specific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지주 상부 둘레에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가 방향 및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나사방식으로 결합되고, 지주가 기초콘크리트에 대하여 회동가능 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작업이나 지주 내부에 배선된 케이블의 배선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지능형 방범설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지능형 방범설비{intelligent crime preven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지능형 방범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시영역의 변경에 따라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의 방향전환이 용이하고 보수작업이 간편하면서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지능형 방범설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길가나 공원에 가보면, 한 차원 높은 방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촬영기능과 조명기능은 물론 통신기능까지 구비한 지능형 방범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지능형 방범설비는 하단이 지면에 매립된 기초콘크리트에 고정되어 입설되도록 설치되는 지주와, 방범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방범기능유닛과, 방범기능유닛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박스를 구비한다. 복수의 방범기능유닛과 콘트롤박스는 지주에 일체로 설치되며, 지주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강관으로 마련된다.
방범기능유닛은 야간시 주변을 조명하도록 마련된 보안등과, 위험상황을 주변에 알리도록 마련된 비상벨과, 인근 유관기관의 통합관제센터와의 연락을 위한 인터폰과, 주위의 상황을 촬영하여 녹화하고 녹화된 내용을 상기 통합관제센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된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 등을 구비하게 된다. 여기서 유관기관은 인근 구청이나 경찰서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능형 방범설비를 이용하게 되면, 보안등을 통해 가로등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도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공원이나 길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급상황을 녹화하여 통합관제센터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게 되고, 위급한 상황에 처한 이용자가 인터폰을 통해 통합관제센터로부터 알맞은 행동요령 등을 지시받을 수 있게 되는 등 이용자에게 보다 차원 높은 방범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범기능유닛의 구성에서 비상벨이나 인터폰 등은 이용자가 바로 조작할 수 있도록 지주 저부를 통해 설치되고, 상기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는 보다 넓은 주변지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주 상부 둘레에 설치된다. 통상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 일단이 지주 상부 일측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연결암의 타단에 고정되도록 설치도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방범기능유닛의 적절한 제어와 구동을 위해 각 방범기능유닛과 콘트롤박스에는 전원공급이나 통신 등을 위한 전원 또는 신호 케이블이 연결된다. 전원 및 신호 케이블은 먼저 주면 지하에 매설된 메인 케이블과 접속된 상태로 기초콘크리트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와 중공의 지주 내부를 경유하여 콘트롤박스로 연장되고, 콘크롤박스로 연결된 전원 및 신호케이블은 다시 지주 내부를 경유하여 각 방범기능유닛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마련되는 종래 지능형 방범설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상기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의 경우 상부에서 하부 쪽 영역을 촬영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이용도중 촬영해야할 위급상황 발생 예상 지역이 변경됨에 따라 그 방향을 조절해야 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그러나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가 연결암을 통해 지주 일측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는 종래 지능형 방범설비는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의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경우 지면에 대한 지주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에서 지주 전체를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때는 지주 자체의 무게에 지주에 고정된 복수개의 방범기능유닛과 콘트롤박스의 무게까지 더해지게 되어 지주를 돌릴 때 크레인을 동원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지능형 방범설비의 이용도중에는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가 손상되거나 고장 날 우려가 있는데, 이때도 지주와 본체케이스가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는 종래 지능형 방범설비는 보수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자가 사다리나 기중기 등을 동원하여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가 위치된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보수작업을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보수작업 도중 작업자가 낙상을 하게 되는 등 보수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지능형 방범설비에 있어서, 지주 하단 측면에는 상기 케이블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구가 형성되고, 작업자는 필요시 이러한 점검구를 개방하여 지주 내부의 케이블의 배선 상태를 확인하거나 배선 추가 작업을 수행하였는데, 지주 하단 외면에 설치된 이러한 점검구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장마 때나 홍수가 날 경우 감전 및 누전사고의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시영역의 변경에 따라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의 방향을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지능형 방범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 상부에 설치되는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의 보수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지능형 방범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종 방범기능유닛들과 콘크롤박스로 연결되는 전원 및 신호 케이블이 기초콘크리트 내부를 경유하여 지주 내부를 통해 배선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전원 및 신호 케이블의 점검 및 보수와 관련된 구조가 감전 및 누전의 위험성이 없도록 마련된 지능형 방범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는 상면에 출구가 형성된 케이블인출유로가 일체로 가공되어 지하에 매설되고, 상기 출구 둘레로 복수개의 앵커볼트가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와;
상기 출구와 통하도록 마련된 제1연통공과, 상기 앵커볼트에 체결되도록 상기 제1연통공 주변에 마련된 복수개의 제1볼트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면에 일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면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면과 상기 고정플레이트 하면 사이에 마련되는 접착층과;
상기 제1연통공과 통하도록 마련된 제2연통공과, 상기 앵커볼트에 체결되도록 상기 제1볼트체결홀과 통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제2볼트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 상부에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일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일단을 통해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일체로 힌지 결합되는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회동동작을 단속할 수 있도록 마련됨은 물론 상기 고정플레이트 쪽으로 회동된 회동플레이트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2볼트체결홀 상부의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앵커너트와;
상기 케이블인출유로와 통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일체를 이루도록 하단부 둘레를 통해 상기 제2연통공에 용접되어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일체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회동플레이트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접하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입설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지주와;
입설된 상태의 상기 지주에 대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지주 끝단에 상기 제2연통공을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지주가 입설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통공에 삽입되는 관통부와;
외면에 수나사가 가공되어 상기 지주 상부 둘레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나선부재와;
상기 나선부재 둘레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도록 내주에 제1암나사가 가공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나선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도록 마련되고, 렌치의 삽입을 위한 복수개의 제1렌치삽입홈이 외면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위치고정부재와;
이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마련된 비상벨이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비상벨이 눌려진 상태에서 유관기관의 통합관제센터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지주 저부 일측면에 설치되는 인터폰과;
상기 비상벨이 눌려진 상태에서 비상상황을 주변에 알릴 수 있도록 상기 지주 상단에 설치되는 경광등과;
평상시에는 상기 지주 주변상황을 녹화하고, 상기 비상벨이 눌려진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폰 주변을 집중적으로 촬영하여 촬영내용을 상기 통합관제센터로 전송하도록 상기 경광등 하부 쪽 상기 지주 상부 둘레에 배치되는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와;
상기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를 상기 지주 상부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일단에는 상기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위치고정부재 상부의 상기 나선부재 둘레에 나사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내주에 제2암나사가 가공된 체결공이 마련된 카메라 연결암과;
상기 체결공 쪽 상기 카메라 연결암 상부의 나선부재 둘레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도록 내주에 제3암나사가 가공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나선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도록 마련되고, 렌치의 삽입을 위한 복수개의 제2렌치삽입홈이 외면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위치고정부재와;
야간시 상기 지주 주변을 조명하도록 상기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 하부의 상기 지주 둘레에 배치되도록 마련된 보안등과;
상기 인터폰과 상기 경광등과 상기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와 상기 보안등의 전반적인 동작을 상기 비상벨의 동작상태와 연동하여 제어하도록 상기 보안등과 상기 인터폰 사이의 상기 지주 측면에 설치되는 콘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에 있어서, 상기 제2볼트체결홀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원활한 회동동작을 위해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회동방향 쪽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형태로 마련되며, 복수의 상기 제1볼트체결홀 안쪽 상기 제1연통공 둘레의 상기 고정플레이트 상면과 복수의 상기 제2볼트체결홀 안쪽 상기 제2연통공 둘레의 상기 회동플레이트 하면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인출유로와 상기 지주 내부의 방수를 위한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에 있어서, 상기 지주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인출유로를 경유하여 상기 콘트롤박스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콘트롤박스로부터 상기 인터폰과 상기 경광등과 상기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와 상기 보안등으로 연결되는 전원 또는 신호 케이블이 배선되되, 케이블인출유로와 상기 지주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지주의 회동 동작시 상기 전원 또는 신호 케이블을 보호하도록 플랙시블한 재질로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케이블인출유로의 출구 안쪽으로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지주 하부 내부로 삽입되도록 마련된 케이블보호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지능형 방범설비는 지주 상부를 통해 설치되는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가 지주 상부 둘레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에 따르면, 감시영역이 변경될 경우지주는 그대로 두고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를 지주에 연결하는 카메라 연결암만을 회전시켜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의 방향을 자유롭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는 지주를 함께 회전시킬 필요가 없이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가 연결된 카메라 연결암만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의 회전에 따른 중량 부담이 적어져 크레인을 동원하지 않고서도 작업자가 직접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를 간단히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 방향 전환에 따른 비용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가 카메라 연결암을 통해 지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는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를 지주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지상에서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의 보수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의 보수작업 도중 작업자가 낙상을 하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회동플레이트의 회동동작을 통해 지주가 기초콘크리트에 대하여 눕혀지도록 회동될 수 있게 되고, 이때는 지주 내부에 배선된 케이블이 배선 관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지면 상부의 지주 외면에 배선 작업을 위한 별도의 점검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지주 내부 케이블의 상태를 점검하거나 케이블을 추가하는 작업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배선 작업을 위한 점검구로 인해 감전이나 누전사고와 같은 안전사고의 일어날 우려가 없어지게 되면서도 지주 내부 배선 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에 있어서,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가 고정된 카메라 연결암과 지주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카메라 연결암이 지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에 있어서, 지주에 대한 카메라 연결암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카메라 연결암의 방향전환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에 있어서 지주와 기초콘크리트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보호커버를 해체하고 앵커너트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지주가 눕혀지도록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가 고정된 카메라 연결암과 지주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카메라 연결암이 지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지주에 대한 카메라 연결암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카메라 연결암의 방향전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지능형 방범설비에 있어서 지주와 기초콘크리트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보호커버를 해체하고 앵커너트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지주가 눕혀지도록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는 촬영기능과 조명기능은 물론 통신기능까지 겸비하여 보다 차원 높은 방범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지면에 입설되도록 설치되는 중공의 지주(10)와, 방범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방범기능유닛(20)과, 방범기능유닛(20)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박스(30) 구비하여 외관을 이룬다.
지주(10)는 표면이 분체 도장된 구조용 탄소강관으로 형성되고 거리나 공원 한 쪽의 지하에 매설된 기초콘크리트(40)에 하단이 고정된 상태로 입설되게 설치되며, 방범기능유닛(20)과 콘트롤박스(30)는 이러한 지주(10)에 일체로 설치된다.
방범기능유닛(20)은 먼저 이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마련된 비상벨(21a)이 일체로 구성된 인터폰(21)을 구비한다. 인터폰(21)은 비상벨(21a)이 눌려진 상태에서 유관기관의 통합관제센터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지주(10) 저부 일 측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유관기관은 인근 구청이나 경찰서 등이 될 수 있다.
또 방범기능유닛(20)은 상기 비상벨(21a)이 눌려진 상태에서 비상상황을 주변에 알릴 수 있도록 지주(10) 상단에 설치되는 경광등(22)과, 평상시에는 지주(10) 주변상황을 녹화하고 상기 비상벨(21a)이 눌려진 상태에서는 인터폰(21) 주변을 집중적으로 촬영하여 촬영내용을 상기 통합관제센터로 전송하도록 경광등(22) 아래쪽 지주(10) 상부 둘레에 배치되는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와, 야간시 상기 지주(10) 주변을 조명하도록 상기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 하부의 지주(10) 둘레에 배치되는 보안등(24)을 구비한다.
여기서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는 카메라 연결암(50)을 통해 지주(10)와 연결되고, 보안등은 연결대(39)를 통해 지주와 연결된다.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는 카메라 연결암(50)의 일단에 고정되고, 카메라 연결암(50)의 타단은 지주(10) 둘레에 체결되는 체결부(51)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박스(30)는 인터폰(21)과 상기 경광등(22)과 상기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와 보안등(24)의 전반적인 동작을 상기 비상벨(21a)의 동작상태와 연동하여 제어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각각의 방범기능유닛(20)들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내부에 복수의 전장부품(미도시)이 내장된 상태로 보안등(24)과 상기 인터폰(21) 사이의 상기 지주(10) 측면에 설치된다.
각각의 전장부품(미도시)과 상기 방범기능유닛(20)들 사이는 지주(10) 내부를 통해 배선되는 전원 및 신호케이블(200,30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 및 신호 케이블(200,300)은 주변 지하에 매설된 메인 케이블(미도시)과 접속된 상태로 먼저 기초콘크리트(40)에 형성된 케이블인출유로(41)와 지주(10) 내부를 경유하여 콘트롤박스(30)로 연장되어 상기 전장부품(미도시)과 접속되고, 다시 지주(10) 내부로 배선되어 상기 각 방범기능유닛(20)들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마련되는 지능형 방범설비는 방범기능유닛(20)이 다양화되고, 다양화된 방범기능유닛(20)들의 동작을 비상벨(21a)의 동작과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차원 높은 방범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러한 지능형 방범설비가 공원에 설치된 경우, 공원 이용자 중 위급상황을 맞은 사고당사자는 지능형 방범설비로 달려가 비상벨(21a)을 누르게 된다. 비상벨(21a)이 눌려지면, 상기 경광등(22)은 공원 주변에 있는 다름 사람들에게 위급상황을 알리도록 동작되어 주변 이목을 사고당사자 쪽으로 집중시키고, 주변을 촬영하고 있던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는 인터폰(21) 쪽을 집중적으로 촬영하면서 촬영내용을 통합관제센터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인터폰(21)은 즉시 통합관제센터와 사고당사자가 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데, 이에 따라 통합관제센터에서는 사고당사자 쪽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원을 투입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사고당사자에게 현 응급상황에 맞는 적절한 행동요령 등을 실시간으로 알려줌으로써, 한 차원 업그레이드 된 방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의 경우 상부에서 하부 쪽 감시영역을 촬영하게 되며, 이때 감시영역은 촬영의 필요성이 큰 위급상황 발생 예상 지역이 된다. 따라서 지능형 방범설비의 이용도중에는 이러한 감시영역이 변경될 수 있고, 이때는 변경될 감시영역의 위치에 대응하여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의 방향을 전환시킬 필요가 생기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연결암(50)은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지주(10) 상부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지주(10) 상부 둘레에는 외면에 수나사(61)가 가공된 나선부재(60)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나선부재(60)에는 나선부재(60) 둘레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도록 내주에 제1암나사(71)가 가공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나선부재(60)의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도록 마련된 제1위치고정부재(70)가 설치되며, 카메라 연결암(50)의 체결부(31)에는 상기 제1위치고정부재(70) 상부의 나선부재(60) 둘레에 나사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내주에 제2암나사(51b)가 가공된 체결공(51a)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51) 상부의 나선부재(60) 둘레에는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도록 내주에 제3암나사(81)가 가공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나선부재(80)의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도록 마련된 제2위치고정부재(80)가 설치된다.
제1위치고정부재(70)와 체결부(51) 사이 및 체결부(51)와 제2위치고정부재(80) 사이의 나선부재(60) 둘레에는 체결부(51)나 제1 및 제2위치고정부재(70,80)가 외부 충격에 의해 나선부재(60)로부터 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스프링와셔(91,92)가 개재되며, 제 1 및 제2위치고정부재(70,80)를 렌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 및 제2위치고정부재(70,80)의 외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렌치삽입홈(72,82)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2렌치삽입홈(72,82)은 각각 제1 및 제2위치고정부재(70,80) 외면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씩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를 카메라 연결암(50)이 나선부재(60)의 길이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는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제2위치고정부재(80)의 제2렌치삽입홈(82)에 렌치를 삽입하여 제2위치고정부재(80)를 상승하는 방향으로 충분히 회전시켜 놓은 상태에서 카메라 연결암(50)을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가 원하는 위치에 놓일 때까지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다음에는 카메라 연결암(50)의 체결부(51) 하부에 지지되도록 제1위치고정부재(70)를 렌치를 이용하여 나선부재(60) 상에서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위치고정부재(80)를 체결부(51) 상부에 지지되도록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부(51)가 제1 및 제2위치고정부재(70,80) 사이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방향이 조절된 씨시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반대로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를 카메라 연결암(50)이 나선부재(6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강하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는 먼저 제1위치고정부재(70)의 제1렌치삽입홈(72)에 렌치를 삽입하여 제1위치고정부재(70)를 하승하는 방향으로 충분히 회전시켜 놓은 상태에서 카메라 연결암(50)을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가 원하는 위치에 놓일 때까지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다음에 카메라 연결암(50)의 체결부(51) 상부에 지지되도록 제2위치고정부재(80)를 렌치를 이용하여 나선부재(60) 상에서 하승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위치고정부재(70)를 체결부(51) 하부에 지지되도록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부(51)가 제1 및 제2위치고정부재(70,80) 사이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방향이 조절된 씨시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와 지주(10) 내부에 배선된 케이블 간의 접속을 위해 카메라 연결암(50) 내부에는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23) 장치와 접속된 접속케이블(52)이 내장되고, 이러한 접속케이블(52)은 플랙시블한 재질의 플랙시블케이블(53)을 통해 지주(10) 내부의 배선과 접속된다. 플랙시블케이블(53)의 일단은 상기 접속케이블(52)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플랙시블케이블(53)의 타단은 상기 경광등(22)과 지주(10) 상단 사이를 통해 지주(10) 내부로 삽입되어 지주(10) 내부 배선과 접속된다. 따라서 카메라 연결암(50)을 지주(10)에 대하여 큰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지주(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 상기 플랙시블케이블(53)은 카메라 연결암(50)의 회전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접속케이블(52)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리된 플랙시블케이블(53)과 접속케이블(52) 사이는 카메라 연결암(50)의 방향전환 동작이 완료되거나 카메라 연결암(50)이 다시 지주(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재접속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는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의 감시영역이 변경될 경우 지주(10)는 그대로 두고 카메라 연결암(50)만을 회전시켜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의 방향을 자유롭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때는 지주(10)를 함께 회전시킬 필요가 없이 카메라 연결암(50)만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의 회전작업에 따른 중량 부담이 적어져 크레인 등을 동원하지 않고서도 작업자가 직접 카메라 연결암(50)을 간단히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의 방향 전환작업에 따른 비용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 연결암(50)이 나선부재(60)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연결암(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가 나선부재(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할 수 있게 되어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의 높이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지능형 방범설비의 이용도중에는 상기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가 손상되거나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생기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카메라 연결암(50)이 지주(10)에 대하여 착탈될 수 있도록 마련된 지능형 방범설비는 이러한 경우 카메라 연결암(50)을 지주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지상에서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의 보수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의 보수작업 도중 작업자가 낙상을 하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연결암(50)을 지주(10) 상부로 빼내는 과정에서 경광등(22)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광등(22)의 직경 크기는 지주(10) 직경과 같거나 지주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에서 상기 지주(10)는 내부 케이블의 배선 관련 작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면서도 안전사고 발생률을 줄일 수 있도록 기초콘크리트(4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지주(10)의 회동 가능 구조를 상기 전원 및 신호케이블(200,300)의 배선구조와 관련지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케이블인출유로(41)는 기초콘크리트(41) 상면 중앙에 출구가 형성되고 기초콘크리트(40) 측면에 입구가 형성되도록 기초콘크리트(40)에 일체로 가공되고, 상기 전원 및 신호케이블(200,300)은 기초콘크리트(40) 주변에 매설되어 있는 메인 케이블(미도시)과 접속된 상태로 이러한 케이블인출유로(41)를 경유하여 지주(10) 내부로 배선된다. 케이블인출유로(41)는 나중에 케이블이 증설될 경우를 대비하여 기초콘크리트(40)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인출유로(41) 출구 둘레의 기초콘크리트(40)에는 복수개의 앵커볼트(42)가 설치되며, 기초콘크리트(40) 상면의 상부 쪽에는 고정플레이트(90)가 설치된다.
고정플레이트(90)는 기초콘크리트(40) 상면과 일치되는 판상으로 마련된다. 고정플레이트(90)의 중앙에는 상기 출구와 통하도록 마련된 제1연통공(91)이 형성되고, 제1연통공(71) 주변의 고정플레이트(70)에는 앵커볼트(42)에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제1볼트체결홀(92)이 가공된다. 또 고정플레이트(90) 하면과 기초콘크리트(40) 상면 사이에는 접착제를 통해 형성되는 접착층(110)이 마련되며, 고정플레이트(90)는 제1볼트체결홀(92)를 통해 앵커볼트(42)에 끼워진 상태로 접착층(110)을 통해 기초콘크리트(40) 상면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볼트체결홀(92)은 앵커볼트(42)의 외경과 일치될 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플레이트(90)에는 회동플레이트(100)가 힌지 결합된다. 회동플레이트(100)는 고정플레이트(90)와 일치될 수 있는 판상으로 마련되고, 회동플레이트(100)와 고정플레이트(90)는 회동플레이트(100)가 고정플레이트(90) 쪽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90) 상부에 일치된 상태로 포개어질 수 있도록 상호 대응하는 일단을 통해 일체로 힌지 결합된다. 미설명 부호 120과 121은 각각 고정플레이트(90)와 회동플레이트(100)를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와 힌지축을 가리킨다.
또 회동플레이트(100) 중앙에는 제1연통공(91)과 통하도록 제2연통공(101)이 형성되고, 제1연통공(101) 주변의 회동플레이트(100)에는 상기 앵커볼트(42)의 체결을 위해 제1볼트체결홀(92)과 통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제2볼트체결홀(102)이 마련된다. 제2볼트체결홀(102)은 고정플레이트(90)에 대한 회동플레이트(100)의 회동동작이 앵커볼트(42)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회동플레이트(100)의 회동방향 쪽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인출유로(41)를 경유한 전원 및 신호케이블(200,300)은 상기 제1 및 제2연통홀(91,101)을 통과하여 상부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지주(10)는 하단부 둘레를 통해 제2연통공(101)에 용접됨으로써 회동플레이트(100)와 일체로 회동할 수 있도록 회동플레이트(100)와 한 몸이 된다. 이러한 지주(100)는 회동플레이트(100)가 고정플레이트(90) 쪽으로 회동하여 고정플레이트(90) 상면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입설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회동플레이트(100)가 고정플레이트(90) 바깥쪽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지주(10)는 가로로 눕혀지며 내부에 배선된 케이블을 외부로 노출시키게 된다.
또한 제1볼트체결홀(92) 안쪽 제1연통공(91) 둘레의 상기 고정플레이트(90) 상면과 상기 제2볼트체결홀(102) 안쪽 제2연통공(101) 둘레의 상기 회동플레이트(100) 하면 사이에는 케이블인출유로(41)와 상기 지주(10) 내부의 방수를 위해 링형상의 실링부재(120)가 설치된다. 실링부재(120)의 설치를 위해 제1연통공(91) 둘레의 고정플레이트(90) 상면에는 실링부재(120)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링형상의 제1안착홈(93)이 형성되고, 제2연통공(102) 둘레의 회동플레이트(100) 하면에는 실링부재의(120) 상부가 안착되도록 링형상의 제2안착홈(103)이 형성된다. 또 고정플레이트(90)에 대한 회동플레이트(100)의 회동동작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정플레이트(90) 쪽으로 회동된 회동플레이트(100)를 고정시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지주(10)가 입설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2볼트체결홀(102) 상부의 앵커볼(42)트에는 앵커너트(43)가 체결된다.
한편, 둘레에 복수의 방범기능유닛(20)과 콘트롤박스(30)가 설치되는 지주(10)의 경우 입설된 상태에서 균형을 제대로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앵커너트(43)를 체결하기 전 입설된 상태의 지주(10)는 균형을 잃고 다시 기우어질 우려가 있으며, 이때는 지주(10) 주변의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앵커너트(43)를 체결하기 전에도 지주(10)가 입설된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회동플레이트(100)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지주(10)의 하부 끝단은 제2연통공((102))을 관통하는 관통부(11)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관통부(11)는 지주(10)가 입설되도록 회동플레이트(100)가 고정플레이트(90) 쪽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90)의 제1연통공(91)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지주(10)가 입설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관통부(11)의 길이가 고정플레이트(90)의 두께보다 두껍거나 같게 될 경우에는 관통부(11)가 제1연통공(91)에 걸려 회동플레이트(100)의 회동동작이 어렵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회동플레이트(1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관통부(11)의 길이는 지주(10)에 대한 고정플레이트(90)의 지지력과 회동플레이트(100)의 원활한 회동동작을 감안해서 고정플레이트(90) 두께의 절반정도가 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너트(43)가 앵커볼트(42)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동플레이트(100) 상부로 돌출된 부위의 앵커볼트(42) 외부에는 누수방지캡(130)이 씌워지게 되고, 회동플레이트(100) 상부는 지주(10) 하단부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된 보호커버(140)를 통해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가려지게 된다. 보호커버(140)는 지주(10) 하단부 일측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된 제1보호커버(141)와, 지주(10) 하단부 타측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된 제2보호커버(142)가 분리 가능한 상태로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며, 누수방시캡(130)은 장공형태로 마련되는 제2볼트체결홀(102)을 가릴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지능형 방범설비는 보호커버(140)를 해체하여 앵커볼트(42)로부터 앵커너트(43)를 풀어낸 상태에서 지주(10)를 눕혀지도록 회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지주(10) 내부에 배선된 케이블은 배선 관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범설비는 종래와 같이 지면 상부의 지주 외면에 배선 작업을 위한 별도의 점검구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지주(10) 내부 케이블의 상태를 점검하거나 케이블을 추가하는 작업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 작업을 위한 점검구로 인해 감전이나 누전사고와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효과적으로 줄이게 되면서도 지주(10) 내부 배선 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원 및 신호케이블(200,300)의 경우 지주(10)의 회동 동작시에도 방범기능유닛(20) 및 콘트롤박스(30) 쪽이나 상기 메인 케이블(미도시)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지주(10) 내부에 여유 있는 길이를 갖도록 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지주(10)의 회동 동작시에는 지주(10) 하단 내주에 의해 케이블이 긁히면서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케이블인출유로(41)와 지주(10)의 연결부위에는 지주(10)의 회동 동작시 상기 전원 또는 신호 케이블(200,300)을 보호하도록 플랙시블한 재질로 마련된 케이블보호관(150)이 마련된다. 케이블보호관(150)은 일단이 케이블인출유로(41)의 출구 안쪽으로 삽입되고 타단이 지주(10) 하부 내부로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지주(10)의 회동 동작시 지주(10)의 회동 구간 내에 있는 전원 및 신호케이블(200,300)을 보호하게 된다.
10: 지주 11: 관통부
20: 방범기능유닛 21: 인터폰
21a: 비상벨 22: 경광등
23: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 24: 보안등
30: 콘트롤박스 40: 기초콘크리트
41: 케이블인출유로 42: 앵커볼트
43: 앵커너트 50: 카메라 연결암
51: 체결부 51a: 체결공
60: 나성부재 70: 제1위치고정부재
80: 제2위치고정부재 90: 고정플레이트
91: 제1연통공 92: 제1볼트체결홀
100: 회동플레이트 101: 제2연통공
102: 제2볼트체결홀 110: 접착층
120: 실링부재 130: 누수방지캡
140: 보호커버 150: 케이블보호관
200: 전원 케이블 300: 신호 케이블

Claims (3)

  1. 상면에 출구가 형성된 케이블인출유로(41)가 일체로 가공되어 지하에 매설되고, 상기 출구 둘레로 복수개의 앵커볼트(42)가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40)와;
    상기 출구와 통하도록 마련된 제1연통공(91)과, 상기 앵커볼트(42)에 체결되도록 상기 제1연통공(91) 주변에 마련된 복수개의 제1볼트체결홀(92)을 구비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40) 상면에 일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기초콘크리트(40)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9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90)를 상기 기초콘크리트(40) 상면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기초콘크리트(40) 상면과 상기 고정플레이트(90) 하면 사이에 마련되는 접착층(110)과;
    상기 제1연통공(91)과 통하도록 마련된 제2연통공(101)과, 상기 앵커볼트(42)에 체결되도록 상기 제1볼트체결홀(92)과 통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제2볼트체결홀(102)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90) 상부에 상기 고정플레이트(90)와 일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9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일단을 통해 상기 고정플레이트(90)와 일체로 힌지 결합되는 회동플레이트(10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90)에 대한 상기 회동플레이트(100)의 회동동작을 단속할 수 있도록 마련됨은 물론 상기 고정플레이트(90) 쪽으로 회동된 회동플레이트(100)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2볼트체결홀(102) 상부의 앵커볼트(42)에 체결되는 앵커너트(43)와;
    상기 케이블인출유로(41)와 통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플레이트(100)와 일체를 이루도록 하단부 둘레를 통해 상기 제2연통공(102)에 용접되어 상기 회동플레이트(100)와 일체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회동플레이트(10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90)와 접하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입설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지주(10)와;
    입설된 상태의 상기 지주(10)에 대한 상기 고정플레이트(90)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지주(10) 끝단에 상기 제2연통공(102)을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지주(10)가 입설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통공(91)에 삽입되는 관통부(11)와;
    외면에 수나사(61)가 가공되어 상기 지주(10) 상부 둘레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나선부재(60)와;
    상기 나선부재(60) 둘레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도록 내주에 제1암나사(71)가 가공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나선부재(60)의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도록 마련되고, 렌치의 삽입을 위한 복수개의 제1렌치삽입홈(72)이 외면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위치고정부재(70)와;
    이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마련된 비상벨(21a)이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비상벨(21a)이 눌려진 상태에서 유관기관의 통합관제센터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지주(10) 저부 일측면에 설치되는 인터폰(21)과;
    상기 비상벨(21a)이 눌려진 상태에서 비상상황을 주변에 알릴 수 있도록 상기 지주(10) 상단에 설치되는 경광등(22)과;
    평상시에는 상기 지주(10) 주변상황을 녹화하고, 상기 비상벨(21a)이 눌려진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폰(21) 주변을 집중적으로 촬영하여 촬영내용을 상기 통합관제센터로 전송하도록 상기 경광등(22) 하부 쪽 상기 지주(10) 상부 둘레에 배치되는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와;
    상기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를 상기 지주(10) 상부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일단에는 상기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위치고정부재(70) 상부의 상기 나선부재(60) 둘레에 나사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내주에 제2암나사(51b)가 가공된 체결공(51a)이 마련된 카메라 연결암(50)과;
    상기 체결공(51a) 쪽 상기 카메라 연결암(50) 상부의 나선부재(60) 둘레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도록 내주에 제3암나사(81)가 가공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나선부재(60)의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도록 마련되고, 렌치의 삽입을 위한 복수개의 제2렌치삽입홈(82)이 외면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위치고정부재(80)와; 야간시 상기 지주(10) 주변을 조명하도록 상기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 하부의 상기 지주(10) 둘레에 배치되도록 마련된 보안등(24)과;
    상기 인터폰(21)과 상기 경광등(22)과 상기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와 상기 보안등(24)의 전반적인 동작을 상기 비상벨(21a)의 동작상태와 연동하여 제어하도록 상기 보안등(22)과 상기 인터폰(21) 사이의 상기 지주(10) 측면에 설치되는 콘트롤박스(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범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볼트체결홀(102)은 상기 고정플레이트(90)에 대한 상기 회동플레이트(100)의 원활한 회동동작을 위해 상기 회동플레이트(100)의 회동방향 쪽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형태로 마련되며,
    복수의 상기 제1볼트체결홀(92) 안쪽 상기 제1연통공(91) 둘레의 상기 고정플레이트(90) 상면과 복수의 상기 제2볼트체결홀(102) 안쪽 상기 제2연통공(101) 둘레의 상기 회동플레이트(100) 하면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인출유로(41)와 상기 지주(10) 내부의 방수를 위한 실링부재(1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범설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인출유로(41)를 경유하여 상기 콘트롤박스(30)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콘트롤박스(30)로부터 상기 인터폰(21)과 상기 경광등(22)과 상기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장치(23)와 상기 보안등(24)으로 연결되는 전원 또는 신호 케이블(200,300)이 배선되되,
    케이블인출유로(41)와 상기 지주(10)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지주(10)의 회동 동작시 상기 전원 또는 신호 케이블(200,300)을 보호하도록 플랙시블한 재질로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케이블인출유로(41)의 출구 안쪽으로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지주(10) 하부 내부로 삽입되도록 마련된 케이블보호관(1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범설비.
KR1020100117909A 2010-11-25 2010-11-25 지능형 방범설비 KR101034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909A KR101034219B1 (ko) 2010-11-25 2010-11-25 지능형 방범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909A KR101034219B1 (ko) 2010-11-25 2010-11-25 지능형 방범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219B1 true KR101034219B1 (ko) 2011-05-12

Family

ID=4436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909A KR101034219B1 (ko) 2010-11-25 2010-11-25 지능형 방범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21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986B1 (ko) * 2011-11-25 2013-05-06 주식회사 토페스 이동형 촬영장치
KR101279905B1 (ko) 2011-11-25 2013-06-28 주식회사 토페스 이동형 촬영장치
KR101304430B1 (ko) 2011-12-19 2013-09-06 국방과학연구소 수직 확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감시시스템
KR20160113767A (ko) 2015-03-23 2016-10-04 (주)씨엔에스 정보통신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특성화길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KR20160113764A (ko) 2015-03-23 2016-10-04 (주)씨엔에스 정보통신 안전관리용 볼라드 및 그 볼라드를 이용한 특성화길 이용객 안전관리 시스템
KR20180060278A (ko) * 2016-11-28 2018-06-0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지주 설치형 사진촬영모듈 운용시스템
CN112085910A (zh) * 2020-09-28 2020-12-15 浙江天盛机械有限公司 紧急呼救的报警柱及其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108B1 (ko) 2010-07-06 2010-10-07 주식회사 누리플랜 지능형 방범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108B1 (ko) 2010-07-06 2010-10-07 주식회사 누리플랜 지능형 방범설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986B1 (ko) * 2011-11-25 2013-05-06 주식회사 토페스 이동형 촬영장치
KR101279905B1 (ko) 2011-11-25 2013-06-28 주식회사 토페스 이동형 촬영장치
KR101304430B1 (ko) 2011-12-19 2013-09-06 국방과학연구소 수직 확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감시시스템
KR20160113767A (ko) 2015-03-23 2016-10-04 (주)씨엔에스 정보통신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특성화길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KR20160113764A (ko) 2015-03-23 2016-10-04 (주)씨엔에스 정보통신 안전관리용 볼라드 및 그 볼라드를 이용한 특성화길 이용객 안전관리 시스템
KR20180060278A (ko) * 2016-11-28 2018-06-0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지주 설치형 사진촬영모듈 운용시스템
KR101889825B1 (ko) * 2016-11-28 2018-08-2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지주 설치형 사진촬영모듈 운용시스템
CN112085910A (zh) * 2020-09-28 2020-12-15 浙江天盛机械有限公司 紧急呼救的报警柱及其安装方法
CN112085910B (zh) * 2020-09-28 2023-08-22 浙江天盛机械有限公司 紧急呼救的报警柱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219B1 (ko) 지능형 방범설비
USRE36244E (en) Well plugg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00100244A1 (en) Reed's High Rise Emergency Rescue Egress System
CN109424508A (zh) 具有用于机舱的入口布置的风力涡轮机
US11355904B1 (en) Environmentally sealed enclosure attachable onto pole before or after field installation
AU2009266500A2 (en) An apparatus for splash zone operations
KR100985108B1 (ko) 지능형 방범설비
KR101032372B1 (ko) 무인교통 감시장치
WO2017116234A1 (en) Demolition apparatus
CN110193175A (zh) 适用于电线杆的载人自动攀爬装置
CN212565375U (zh) 一种用于辅助道路的信号控制灯安装架
JP6417301B2 (ja) 指定範囲監視システム
CN112365664A (zh) 一种线路防外破警示的装置及方法
CN113846697A (zh) 井盖结构
KR20090081068A (ko) 모노레일형 이동식 무인감시카메라 회전대 장치
KR20210060206A (ko) 작업자의 안전 확보가 가능한 승강용 기지국 안테나 폴
RU2191612C2 (ru) Пожар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CN106870893A (zh) 一种可移动的视频采集实时布控杆
JP6417302B2 (ja) 指定範囲監視システム
CN219410972U (zh) 一种具有警示功能的窨井盖
CN213690868U (zh) 一种线路防外破警示装置
CN214501047U (zh) 具有消防功能的智慧灯杆
CN216112907U (zh) 一种具有高温报警功能的特种设备
KR102433173B1 (ko) 승하강 장치
CN217562099U (zh) 一种临时安全防护隔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8